KR20090091581A -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 Google Patents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581A
KR20090091581A KR1020080016930A KR20080016930A KR20090091581A KR 20090091581 A KR20090091581 A KR 20090091581A KR 1020080016930 A KR1020080016930 A KR 1020080016930A KR 20080016930 A KR20080016930 A KR 20080016930A KR 20090091581 A KR20090091581 A KR 20090091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location
tag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한
Original Assignee
드림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소프트(주) filed Critical 드림소프트(주)
Priority to KR102008001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1581A/en
Publication of KR2009009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n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a position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supply position trace, map, advertisement and coupon contents to a client by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tag registered correspondingly to the portable terminal. A service server(100) receives tag position information from one among a plurality of apparatuses. The service server traces a position of a tag based on device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position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stores the traced position information in a position information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tag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position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guiding information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client information.

Description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본 발명은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게 등록해둔 태그 또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 광고, 쿠폰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location tracking, advertisement, and coupon content using a tag registered to correspond to a mobile terminal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about.

유비쿼터스 기술의 급진적인 진보와 더불어 RFID 태그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Along with the radical advancement of ubiquitous technology, various services using RFID tags have been proposed.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위치 검출 시스템 및 RFID 단말기"를 명칭으로 특허출원된 제10-2007-701994호는, 식별 정보 신호를 스스로 무선 송신하는 RFID 단말기와, 상기 식별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장치와, 각 수신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 신호의 수신 통지를 받아서 상기 RFID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검출 서버로 위치 검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2007-701994, filed with the name "Location Detection System and RFID Terminal" in the Korean Patent Office, discloses an RFID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A position detection system is started with a reception device and a location detection server which receives a notification of receiv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from each reception device and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RFID terminal.

이와 같이 종래에는 빌딩이나 유희 시설 등에서 RFID 태그의 소지자에 대한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상기 위치 추적의 정확도를 높 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As such, in the related art, a system for enabling location tracking of a holder of an RFID tag in a building or a recreational facility is implemented, and effor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location tracking have been continued.

그러나 상기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위치 추적 기술은 RFID 태그의 소지자에 대한 위치를 보호자 등의 요청에 따라 수동적으로 추적당하는 것으로, RFID 태그의 소지자 본인이 보호자를 찾기 위해 자신의 위치를 보호자 등에게 알리기 위해 자신의 위치를 통지토록 할 수는 없었다. 즉, 보호자가 미아 상태로 판단하기 전까지는 RFID 태그의 소지자가 길을 잃어버려도 보호자는 이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using the RFID tag is passively tracked at the request of the guardian, etc. of the holder of the RFID tag, so that the holder of the RFID tag can notify his / her guardian, etc. I couldn't tell you where you were. That is, even if the owner of the RFID tag is lost until the guardian determines that he is missing, the guardian cannot know this.

또한 상기 보호자가 미아 센터에 미아로 등록하지 않아도 RFID 태그의 소지자의 위치만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는 없었다. 즉, 폐쇄된 넓은 유희 장소에서 아이가 자유롭게 놀도록 하는 경우에, 아이의 위치만을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보호자는 미아 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guardian does not need to register as a lost child in the center, the position of the holder of the RFID tag could not be easily confirmed. That is, in the case of allowing a child to play freely in a closed large amusement place,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that a guardian should visit a lost child center even when only the child is to be identified.

또한 종래의 RFID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가 단순히 미아 찾기 등에 한정적으로 이용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RFID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limited to simply finding a lost child. Therefore,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to customers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urgently desired.

본 발명은 미리 정해둔 서비스 존(ZONE)으로 입장한 고객에게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게 등록해둔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 지도, 광고, 쿠폰 콘텐츠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that provides location tracking, maps, advertisements, and coupon contents to a customer who enters a predetermined service zone by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or a tag registered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태그 리더모듈이 구비되어, 태그를 독취하면,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태그 위치정보로 송신하며, 태그 독취와 함께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다수의 장치; 휴대 단말기 정보와 다수의 태그 식별정보, 상기 태그 식별정보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다수의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태그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위치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태그 위치정보에 포함된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저장영역에 상기 추적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치추적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추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고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terspersed with the service zone and is provided with a tag reader module, and when the tag is read, the tag is combined with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devices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tracking is requested together with the tag reading; A database for storing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 plurality of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the location of the tag is tracked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Store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torage area, and whe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s received,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s read from the database and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a service server for transmitting guid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상기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둔 서비스 존(ZONE)으로 입장한 고객에게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게 등록해둔 태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 광고, 쿠폰 콘텐츠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고품격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ovides location tracking, advertisement, and coupon contents to the customer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a tag registered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to the customer entering the predetermined service zone (ZONE). It is effective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상기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둔 서비스 존으로 입장한 고객에게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게 등록해둔 태그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 지도, 광고, 쿠폰 등의 다양한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ovides various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location tracking, maps, advertisements, coupons, etc.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or tags registered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to a customer entering a predetermined service zone. do.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서비스 서버(100)와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태그 리더 장치(112), 발권용 단말기(114),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116)을 포함한다.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cludes a service server 100, an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a tag reader device 112, a ticketing terminal 114,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태그 리더장치(112), 발권용 단말기(114), 게이트 장치(116),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118)과의 내부 네트워크인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통신모듈(104)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2통신모듈(106)과, 인 터넷을 통한 고객 단말기(C)와의 통신을 위한 제3통신모듈(108), 위치기반 정보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한다. The service server 100 is an internal network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the tag reader device 112, the ticketing terminal 114, the gate device 116,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module 118. A third commun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04 for interfacing with a wired / wireless network,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06 for interfac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ustomer terminal C over the Internet. Module 108 has a database (DB) for stor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content.

상기 위치기반 정보 콘텐츠로는 고객의 위치 추적 정보, 광고, 쿠폰, 고객의 휴대 단말기 또는 미리 등록해둔 태그의 위치추적 서비스 등이다.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content includes a customer's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advertisements, coupons, a customer's mobile terminal or a location tracking service of a tag registered in advance.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키오스크(KIOSK) 등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객이 입력하는 고객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8)에 등록하고, 상기 고객의 요청에 따라 위치기반 정보 콘텐츠를 출력하거나 상기 고객의 휴대 단말기(MT;Mobile Terminal)로 상기 위치기반 정보 콘텐츠를 제공한다.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registers in the database 108 by providing the customer information input by the customer to the service server 100 in a kiosk or the li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quests the customer. Outputt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content 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MT) of the customer.

또한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고객의 휴대 단말기(MT)를 통해 제어 명령 또는 고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명령 또는 고객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명령으로는 서비스 존에 대한 지도 요청,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요청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10)로 지도정보를 다운로드받아 표시하며, 상기 예약 요청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고객요청에 따른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를 휴대 단말기(MT)를 통해 원격 제어(REMOTE CONTROL)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의 편의를 극대화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command or customer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MT of the custome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processes the control command or the customer information. The control command may include a map request for a service zone, a reservat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program, etc.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downloads and displays map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10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reservation reques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ervice server 110 so that a reservation according to the customer request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mote control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MT,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customer.

상기 태그 리더 장치(112)는 고객에게 배포된 고객용 태그 또는 상품에 부착된 상품용 태그의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그 로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 등이 채용된다. 상기한 태그 리더 장치(112)는 게이트는 물론이고,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설치된 존(ZONE)에 산재되게 설치되어, 상기 태그의 면밀한 위치 추적할 수 있게 한다. The tag reader device 112 rea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ustomer tag distributed to a customer or a product tag attached to a product, and provides the service server 100 with a message including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 an RFID tag or an NFC tag is employed as the ta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reader device 112 is installed not only in the gate but also interspersed in the zone where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tag can be closely tracked.

또한 상기 태그 리더 장치(112)가 게이트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태그 리더 장치(112)가 태그 식별정보를 상기 게이트 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게이트 장치가 상기 태그 식별정보의 인증을 이행하여 입퇴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When the tag reader device 112 is installed in the gate device, the tag reader device 112 provides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ate device so that the gate device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You may be able to leave.

상기 NFC 통신모듈(116)는 고객의 휴대 단말기(MT)와 서비스 서버(100)의 NFC 통신을 이행하며, 상기한 NFC 통신모듈(116)은 게이트는 물론이고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설치된 존에 산재되어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상기 고객의 휴대 단말기(MT)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NFC 통신모듈(116)과의 통신을 위한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휴대폰의 경우에는 SMS 등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을 이행한다.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performs NFC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MT and the service server 100 of the customer, and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is a gate-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rspers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ed zone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rvice server 100 and the mobile terminal MT of the customer. Her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at does not have a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0 is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SMS.

<정보 서비스 단말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서비스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 2의 (a)를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00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00)는 제어모듈(200), 메모리부(202), 조작패널(204), 디스플레이 장치(206), 제1통신모듈(208), 제2통신모듈(210), 태그 리더 모듈(212)를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module 200, a memory unit 202, an operation panel 204, a display device 206,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8,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a tag reader. Module 212.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을 물론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작패널(204) 또는 제2통신모듈(210)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기(MT)로부터 각종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른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06)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2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MT)로 제공한다. The control module 200 controls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00 as a whole,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4) or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 After receiving various command data from the MT, a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data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rvice server 100, and when a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th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100, A response message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206 and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M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상기 메모리부(202)는 상기 제어모듈(20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202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ing program of the control module 200.

상기 조작패널(204)은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고객이 입력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200)에 제공한다. The operation panel 204 provides the control module 200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put by a customer through a keypad or a touch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6)는 상기 제어모듈(200)의 제어에 따른 각종 정보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안내한다. The display device 206 out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00 to guide the customer.

상기 제1통신모듈(208)은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8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통신모듈(210)은 상기 휴대 단말기(MT)와의 통신을 위한 NFC 통신을 담당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responsible for NFC commun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MT.

상기 태그 리더 모듈(212)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독취하여 상기 제어모듈(200)로 제공한다. The tag reader module 212 reads an RFID tag or an NFC tag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module 200.

<태그 리더 장치><Tag reader device>

이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태그 리더장치(112)의 구성을 도 2의 (b)를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Now, the configuration of the tag reader device 112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태그 리더장치(112)는 제어모듈(214), 메모리부(216), 통신모듈(218), 태그리더모듈(220)로 구성된다. The tag reader device 112 includes a control module 214, a memory unit 216, a communication module 218, and a tag reader module 220.

상기 제어모듈(214)는 상기 태그리더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을 물론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태그리더모듈(220)이 제공하는 태그정보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태그독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독취정보를 상기 통신모듈(218)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한다.The control module 214 controls the tag reader device as a whole, and add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a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ag reader module 2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tag rea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8.

상기 메모리부(216)는 상기 제어모듈(214)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그 리더 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216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ing program of the control module 214, and particularly, tag reader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통신모듈(218)은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18 is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태그 리더 모듈(220)은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독취하여 상기 제어모듈(214)로 제공한다. The tag reader module 220 reads an RFID tag or an NFC tag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module 214.

<휴대 단말기(MT)><Mobile Terminal (MT)>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MT)의 구성을 도 2의 (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휴대 단말기(MT)는 제어모듈(222), 메모리부(224), 조작패널(226), 디스플레이 장치(228), 제1통신모듈(230), 제2통신모듈(232)로 구성된다. The portable terminal MT includes a control module 222, a memory unit 224, an operation panel 226, a display device 228,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3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32.

상기 제어모듈(222)은 상기 휴대 단말기(MT)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NFC 통신모듈(116) 또는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의 근접시, 즉 소정 서비스 존(ZONE)으로 입장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되어,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의 제어모듈과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뷰잉 모듈에 대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설치 실행한다.The control module 222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MT as a whole, and in the proximity of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predetermined service zone ( ZONE)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download the installation file for the control module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and the viewing module for executing the content for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stall and execute do.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222)은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뷰잉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22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The control module 222 enables the remote control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through the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222 via the viewing module provides location-bas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services to customers.

또한 상기 제어모듈(222)은 상기 NFC 통신모듈(116) 또는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과 이격되는 경우, 즉 해당 존(ZONE)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제거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22 removes the execution program when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corresponding zone (ZONE).

상기 메모리부(224)는 상기 제어모듈(222)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224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ing program of the control module 222.

상기 조작패널(226)은 고객이 입력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222)에 제공한다. The operation panel 226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input by the customer to the control module 222.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8)는 상기 제어모듈(222)의 제어에 따른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The display device 228 outpu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22.

상기 제1통신모듈(23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이동통신을 담당한다(230단계).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30 is responsible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ep 230).

상기 제2통신모듈(232)는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및 NFC 통신모듈(116)과의 NFC 통신을 담당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32 is responsible for NFC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and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데이터베이스 구조><Database structure>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108)에 구비되는 데이터를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data provided in the database 108 included in the service server 100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데이터베이스(108)는 고객정보와 위치별 콘텐츠, 상품용 태그별 콘텐츠, 기타 정보를 저장한다. The database 108 stores customer information, location-specific content, product-specific tag-specific content, and other information.

상기 고객정보는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고객에게 발권된 태그들의 식별정보, 각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되는 위치정보, 상기 고객의 취향정보로 구성된다. The customer information includes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ags issued to the customer, lo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each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st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상기 위치별 콘텐츠는 고객의 위치에 연동되게 미리 저장해둔 콘텐츠로, 광고 콘텐츠와 쿠폰 콘텐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cation-specific content is a content stored in advance linked to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it may be composed of advertising content and coupon content.

상기 상품용 태그별 콘텐츠는 태그가 부착된 상품에 연동되게 미리 저장해둔 콘텐츠로, 광고 콘텐츠와 쿠폰 콘텐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for each product tag is a content previously stored to be linked to a product to which a tag is attached, and may include advertising content and coupon content.

그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서비스 존에 대한 지도 정보 등이 부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may be added with map information about a service zone.

<서비스 구성도><Service Configuration>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본 발명의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는 크게 태그 발권 및 등록 서비스, 정 보 등록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ag ticketing and registration service, information registration service, location tracking service, and information service.

상기 태그 발권 및 등록 서비스는 인터넷 등록 및 현장 발권 서비스, 현장 발권 및 정보 서비스 단말기를 통한 현장 등록 서비스, 현장 발권 및 SMS를 통한 현장 등록 서비스로 구성된다. The tag ticketing and registration service is composed of an internet registration and a site ticketing service, a site ticketing service through a site ticketing and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a site ticketing service, and a site registration service through SMS.

상기 정보 등록 서비스는 상기 태그별 상품정보 및 쿠폰, 광고정보에 대한 등록 서비스, 위치별 쿠폰, 광고정보에 대한 등록서비스, 그외 광고 정보, 위치 정보, 지도 정보 등에 대한 등록 서비스로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service is composed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coupons for each tag, a registration service for advertisement information, a coupon for each location, a registration service for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other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dvertisemen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는 태그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로 구성된다. The location tracking service is composed of a location tracking service for a tag and a location tracking service for a mobile terminal.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는 태그별 상품정보 및 쿠폰, 광고정보 제공 서비스, 위치별 쿠폰, 광고정보 제공 서비스, 광고정보,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정보 서비스 단말기를 통한 전시/홍보/예약 서비스, 위치추적정보 제공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are product information and coupons for each tag,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coupon for each location, advertis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dvertising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exhibition / publicity / reservation service through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providing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Services, etc.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제공 서비스를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ow,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인터넷 등록 및 현장 발권 서비스><Internet registration and on-site ticketing service>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중 인터넷 등록 및 현장 발권 서비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First, the Internet registration and the on-site ticketing service of the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고객은 고객 단말기(PC)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의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500단계). 상기 고객은 상기 고객 단말 기(PC)를 통해 상기 서버스 서버(100)에 태그 발권을 예약함과 동시에 고객정보를 송신한다(502단계).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의 휴대 단말기(MT) 정보, 태그 수, 일행 또는 물품 정보, 취향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ustomer connects to the service server 100 using the customer terminal PC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service server 100 (step 500). The customer reserves tag ticketing to the server server 10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PC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customer information (step 502).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a user's portable terminal (MT) information, the number of tags, party or article information, taste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PC)로부터 제공되는 예약 및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한다(504단계). The service server 100 registers the reservation and custom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PC in the database DB (step 504).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되는 예약 및 고객정보는 고객의 휴대 단말기 정보와 해당 고객에게 발권 예약된 태그들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태그들 각각에 대한 부가정보,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태그들에 대한 위치추적정보, 취향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태그들 각각에 대한 부가정보에는 해당 태그를 부착하는 동반자 또는 물품의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eservation and custom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DB) is in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tags reserved for ticketing to the customer, addition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tags,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ags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tast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tags may include the name of the companion or article attaching the corresponding tag.

상기한 예약 및 고객정보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고객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SMS 방식에 따라 예약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MT)로 송신한다(506단계). When the reservation and the registr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service server 100 generates a reservation comple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SMS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MT ( Step 506).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해당 행사장에 설치된 발권용 단말기(114)로 예약완료정보를 제공하여(506단계), 상기 고객의 방문시에 미리 예약해두었던 태그들의 발권을 가능하게 한다(510단계).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provides the reserv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ticketing terminal 114 installed in the event venue (step 506), thereby enabling ticketing of the tags previously reserved at the visit of the customer (step 510). ).

<현장 발권 및 등록 서비스>On-site ticketing and registration service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현장 발권 및 등록 서비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Now, the on-site ticketing and registra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고객은 발권 부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태그를 발권받는다(600단계). The customer is issued one or more tags through the ticketing booth (step 600).

상기 고객은 상기 발권된 하나 이상의 태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정보 서비 스 단말기(110)에 독취시킴과 아울러 고객정보를 입력한다(602,604단계). 여기서, 고객이 입력하는 고객정보는 상기 태그에 대한 부가정보, 취향 정보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가정보에는 해당 태그를 부착하는 동반자 또는 물품의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ustomer reads the ticketed one or more tags one by one to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and inputs customer information (steps 602 and 604). Here, the customer information input by the customer is composed of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tag, taste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of a companion or an article to which the tag is attached.

여기서, 상기 고객정보는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의 조작패널을 통해 입력되거나,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의 제어 모듈이 설치된 고객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Here,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an operation panel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r through a portable terminal of a customer in which a control module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is installed.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독취한 태그정보와 상기 고객정보를 결합하여 고객등록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다(606단계).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generates a customer registration message by combining the read tag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ustomer registration message to the service server 100 (step 606).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태그정보와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고객정보 저장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고객정보 저장영역에 상기 태그정보와 고객정보를 저장한다(608단계).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es the tag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allocates a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area, and stores the tag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area (step 608).

상기 고객정보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로 고객정보의 등록완료를 통지함과 아울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고객의 휴대 단말기(MD)로 고객정보의 등록완료를 통지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한다(610~614단계).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service server 100 notifies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f the completion of registr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custom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MD) generates and transmits an SMS message notifying completion of registr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steps 610 to 614).

상기한 태그별 고객정보 등록과정은 해당 고객에게 발급된 태그 수만큼 반복 실행된다. The customer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for each tag is repeate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tags issued to the customer.

<현장 발권 및 SMS 등록 서비스>On-site ticketing and SMS registration service

그리고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설 계된 휴대 단말기(MD)의 SMS 메시징 기능을 통해 고객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a process of registering customer information through the SMS messag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MD, which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cannot be u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고객은 발권 부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태그를 발권받는다(700단계). The customer is issued one or more tags through the ticketing booth (step 700).

상기 고객은 상기 발권된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태그정보와 휴대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등록 요청 메시지인 SMS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다(702단계). 여기서, 상기 고객 등록 요청 메시지는 태그정보:태그부가정보:고객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1111:큰아들:012-345-6789"이 될 수 있다. The customer constructs an SMS message, which is a customer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ag information and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one by one for the at least one ticket issued and transmits the SMS message to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ep 702). . Here, the customer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may be composed of tag information: tag additional information: customer information, and may be, for example, “11111: big son: 012-345-6789”.

상기 고객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정보 저장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고객정보 저장영역에 태그정보와 태그 부가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태그가 독출될 때마다 상기 그 독출위치를 상기 태그위치 저장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704단계).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ing the customer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allocates a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area based on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stores tag information and ta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area, and reads the tag. Each time the read position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tag position storage area (step 704).

상기 고객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등록완료를 통지하는 SMS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MT)로 송신한다(706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MT)는 상기 등록완료를 통지하는 SMS 메시지를 표시하여, 상기 등록 완료를 고객에게 안내한다(708단계).When the storage of the customer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service server 100 constructs an SMS message notifying completion of registr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MT (step 706). The portable terminal MT displays an SMS message notifying the completion of registration, and informs the customer of the completion of registration (step 708).

상기한 과정을 거쳐 발권 및 고객정보의 등록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When ticketing and registration of customer information are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도 8은 휴대 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8 illustrates a process of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MT)가 서비스 존(SERVICE ZONE)에 진입함에 따라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또는 NFC 통신모듈(116)과의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MT)는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또는 NFC 통신모듈(116)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와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어모듈 설치파일을 다운받는다(800~804단계). When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r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is initiated as the portable terminal MT enters a service zone, the portable terminal M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r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and downloads the control module installation file from the service server 100 (steps 800 to 804).

상기 휴대 단말기(MT)는 상기 제어모듈 설치파일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파일을 실행하여 제어모듈을 설치한다(806단계).When the control module installation file is downloaded, the portable terminal MT executes the file to install the control module (step 806).

상기 제어모듈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MT)는 고객이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에 대한 제어모듈을 구동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면(808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MT)는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로 고객이 입력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810단계).When the mobile terminal MT, in which the control module is installed, inputs a control command by driving a control module f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step 808), the portable terminal MT provides the information service through NFC communication.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customer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step 810).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명령을 파싱하고,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고객정보 등록, 콘텐츠 제공 요청, 위치 추적, 지도 요청 등을 위한 제어명령이면,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요청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다(812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요청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로 제공한다(814단계).When th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parses the control command, and if the control command is a control command for registering customer information, requesting content provision, location tracking, and map request to the service server, etc. In operation 812, the request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s provided to the service server 100. The service server 100 processes the request data and provides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step 814).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고객에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MD)로 송신한다(816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MD)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디스플 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고객이 요청한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실현한다(818단계).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utputs the result data through its display device to guide the customer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result data to the mobile terminal MD (step 816). The portable terminal MD outputs the result data through the display device to realize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requested by the customer (step 818).

<미아 또는 분실물 추적 서비스><Mia or Lost & Found Tracking Service>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중 미아 또는 분실물 추적 서비스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ow, the lost or lost items tracking service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또는 태그 리더 장치(112)의 태그 독취부에 고객용 태그가 근접됨에 따른 고객용 태그가 독취되면(900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또는 태그 리더 장치(112)는 상기 독취된 태그정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위치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부가한 태그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10)로 송신한다(902단계). When the customer tag is read as the customer tag approaches the tag reading unit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r the tag reader device (step 900),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r the tag reader device 112 is read. ) Generates tag location information added with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read ta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a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10 (step 902).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고객정보 중 상기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찾아, 상기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에 상기 위치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저장한다(904단계).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및 태그 리더 장치(112) 각각에 대해 식별정보별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해두어, 상기 식별정보만으로도 상기 태그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The service server 110 finds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the tag information among custom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DB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step 904).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ervice server 110 for each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and the tag reader device 112 so that the location of the tag can be tracked with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발매된 모든 태그에 대한 위치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Through this process, location information of all released tags is sequentially stored.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 또는 태그 리더 장치(112)는 태그 독취와 함께 위치추적요청 버튼이 입력되면(906단계), 상기 태그 독취 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 위치추적 요청정보를 결합하여 위치추적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추 적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다(910단계). Whe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button is input together with the tag reading (step 906),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or the tag reader device 112 combines the tag reading information with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tracking request information to track location. A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and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step 910).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서 독출하고, 상기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공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로 송신한다(912단계). Whe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service server 100 reads custom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a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from a database DB, and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 information. In step 912,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공지정보를 표시하여 미아 또는 분실물에 대해 보호자 또는 일반인에게 공지한다(914단계).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displays the notice information to notify the guardian or the public about lost or lost items (step 914).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태그정보의 위치추적정보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고객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916단계).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generates an SMS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step 916).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918단계), 상기 고객이 미리 등록한 태그를 소지한 동반인 또는 상기 태그를 부착한 물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미아 또는 분실물 발견시에 신속 대처할 수 있게 한다.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d outputs the SMS message (step 918), thereby enabling the customer to confirm the location of a companion who has a tag registered in advance or an article to which the tag is attached, so as to promptly detect a lost or missing item. Allow to cope.

<광고, 쿠폰, 지도 서비스><Ads, coupons, map services>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중 광고, 쿠폰, 지도 서비스 절차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nd the procedure of the advertisement, coupon, map service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휴대 단말기(MD)가 서비스 존에 진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MD)과 서비스 서버(100)간에 통신경로가 형성되어(1100,1102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뷰잉 모듈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한다(1104단계). 상기 설치파일의 실행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MD)에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위한 뷰잉 모듈이 설치된다(1106단계). When the mobile terminal MD enters a service zone,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MD and the service server 100 (steps 1100 and 1102), and the viewing module installation file is downloaded from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e and execute (step 1104).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installation file, the mobile terminal (MD) is installed with a viewing module for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step 1106).

상기 NFC 통신모듈(116) 또는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MD)와 근접하게 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 정보를 요청한다(1108단계). When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MD,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requests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step 1108).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전화번호 등의 자신의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NFC 통신모듈(116) 또는 정보 서비스 단말기(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자신의 위치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다(1114단계).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6 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110 that has received the portab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s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by add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step 1114).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그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또는 쿠폰, 지도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MD)로 다운로드한다(1116단계). When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ervice server 100 extracts an advertisement, a coupon or a map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downloads the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MD) (step 1116). ).

상기 휴대 단말기(MD)는 상기 다운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뷰잉 모듈을 실행하여, 고객에게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 광고 또는 쿠폰을 제공한다(1118단계). The mobile terminal MD executes the viewing module for the downloaded content and provides a customer with an advertisement or a coupon that is provid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location (step 1118).

<상품 태그를 통한 연계 정보 서비스><Linking information service through product tag>

한편 본 발명은 서비스 존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태그를 부착하여, 상기 태그를 통해 해당 상품의 구매 또는 연계 상품의 구매 또는 영업소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쿠폰 또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tag to a product sold in a service zone, and provides a coupon or an advertisement service for inducing a purchase of a corresponding product, a purchase of a related product, or a visit to a sales office through the tag.

휴대 단말기(MD)는 태그 리더 장치(1112)를 통해 상품용 태그가 독취되면, 상기 상품용 태그 정보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 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다(1200,1202단계). When the product tag is read through the tag reader device 1112, the mobile terminal MD generates a content request message by adding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duct ta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ent request message to the service server 100 (1200). , Step 1202).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상품용 태그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정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DB)에서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MD)로 송신한다(1204단계). Upon receiving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he service server 100 reads out the information content stored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ag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DB and transmits the read information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MD (1204). step).

상기 휴대 단말기(MD)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뷰잉함으로써, 고객에게 상품 태그에 연계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1206단계).The mobile terminal MD provides the information servic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tag to the customer by view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0 (step 1206).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조도.2 is a database structure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서비스 단말기, 태그 리더 장치,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a tag reader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4 to 11 are flowcharts of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In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서비스 서버가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와 다수의 태그 식별정보, 상기 태그 식별정보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by the service server,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된 태그 리더모듈이 구비된 다수의 장치 중 어느 하나가 태그를 독취하면,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태그 위치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devices provided with a tag reader module interspersed in a service zone reads a tag, comb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s tag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태그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위치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저장영역에 상기 추적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tracks the location of the tag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s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ing; 상기 태그 리더모듈이 구비된 다수의 장치 중 어느 하나가 태그 독취와 함께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If any one of a plurality of devices equipped with the tag reader module requests a location tracking together with a tag reading, transmitting a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위치추적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추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the service server reads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from a database, and stores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Transmitting guid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안내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Receiving and displaying the guide information by the mobil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정보 서비스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guide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erminals interspersed with and installed in the service zone and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상기 다수의 정보 서비스 단말기가 상기 안내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guide information by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객정보 중 태그식별정보와 휴대 단말기 정보는,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정보 서비스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거나,Input through an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 메시지로부터 획득됨을 특징으로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And the mobile terminal is obtained from a message sent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객정보 중 휴대 단말기 정보는,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고객 단말기를 통해 입력됨을 특 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via the custom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이 탑재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근접하면, 상기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간의 통신경로를 형성하는 단계;When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is in close proximity to any one of the devices interspersed in the service zone,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service servers;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정보 서비스 단말기의 제어 모듈의 설치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installation file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설치 파일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실행하여 고객이 입력한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에 대한 제어명령 또는 고객정보를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Receiving,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installation file, installing the control module, and executing the control module to provide a control command or customer information f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input by a customer to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가 상기 제어명령 또는 고객정보를 처리하는 단계Processing the control command or customer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이 탑재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근접하면, 상기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통신경로를 형성하는 제1단계;When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is in close proximity to any one of the devices interspersed in the service zone,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 first step of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service servers;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광고 또는 쿠폰, 지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뷰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의 설치 파일을 송신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an installation file of a control module for viewing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dvertisement, a coupon, and map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설치 파일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광고 또는 쿠폰, 지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뷰잉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receiving,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installation file, installing the control module and executing the control module to view cont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dvertisement, a coupon, and map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3단계가,The third step, 상기 휴대 단말기가 고객이 근접시킨 상품용 태그를 독취하고, 상기 상품용 태그에 대한 식별정보 및 자신의 정보를 결합하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Reading, by the mobile terminal, a product tag that is approached by a customer, generating a content request message by comb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tag and it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request message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용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he service server extracts content stored in a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message. Doing; 상기 휴대 단말기의 뷰잉 모듈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The vie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putting the received content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3단계가,The third step, 상기 뷰잉 모듈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이 탑재된 장치와 근접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Request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on which the viewing module is installed is close to a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따라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by the portable terminal, i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상기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장치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결합하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If the information is provided, comb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to generate a content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request message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장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위치에 대응되게 저장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he service server track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message, extracts th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requests the content request. Transmitting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상기 휴대 단말기의 뷰잉 모듈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The vie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putting the received content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태그 리더모듈이 구비되어, 태그를 독취하면,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태그 위치정보로 송신하며, It is installed scattered in the service zone and provided with a tag reader module. When a tag is read, the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combining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태그 독취와 함께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다수의 장치;A plurality of device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location tracking is requested together with tag reading; 휴대 단말기 정보와 다수의 태그 식별정보, 상기 태그 식별정보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for storing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 plurality of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다수의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태그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위치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태그 위치정보에 포함된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저장영역에 상기 추적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Whe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the location of the tag is tracked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location information. Storing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torage area; 상기 위치추적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추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고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Whe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tracking request message is read from the databas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is included. The service server for transmitting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안내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다수의 정보 서비스 단말기를 더 구비하며,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erminals that are scattered in the service zone and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internal network, receive and display guide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다수의 정보 서비스 단말기로 송 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And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erminals.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고객정보 중 태그식별정보와 휴대 단말기 정보는,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정보 서비스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거나,Input through an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 메시지로부터 획득됨을 특징으로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And the mobile terminal obtains the message from the messag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고객정보 중 휴대 단말기 정보는,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고객 단말기를 통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put via the custom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이 탑재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근접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간의 통신경로를 형성하는 통신장치;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interspersed with the service zone and installed in the service zon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is forme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안내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다수의 정보 서비스 단말기를 더 구비하며,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erminals that are scattered in the service zone and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internal network, receive and display guide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연결되면,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의 제어 모듈의 설치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When the service serv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installation file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설치 파일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실행하여 고객이 입력한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에 대한 제어명령 또는 고객정보를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로 제공하며,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installation file, installs the control module, executes the control module, and provides a control command or customer information for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input by a customer to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상기 정보 서비스 단말기가 상기 제어명령 또는 고객정보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And the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processes the control command or customer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이 탑재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존에 산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근접하면, 상기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간의 통신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장치를 더 구비하며,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interspersed with the service zone and installed in the service zon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proximity, the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evices for forming a pat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광고 또는 쿠폰, 지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뷰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의 설치 파일을 송신하고,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an installation file of a control module for viewing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dvertisement, a coupon, and map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설치 파일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광고 또는 쿠폰, 지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뷰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installation file, installs the control module, executes the control module, and downloads and views content including one or more of an advertisement, a coupon, and map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휴대 단말기가 고객이 근접시킨 상품용 태그를 독취하고, 상기 상품용 태그에 대한 식별정보 및 자신의 정보를 결합하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The mobile terminal reads a product tag that the customer has approached, generates a content request message by comb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tag and its information, and sends it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용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he service server extracts content stored in a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message. and, 상기 휴대 단말기의 뷰잉 모듈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And the vie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received content.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뷰잉 모듈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이 탑재된 장치와 근접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요청하고, If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viewing module is installed is close to a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e device requests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따라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i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상기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통신장치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결합하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When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device generates a content request message by combining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장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위치에 대응되게 저장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he service server track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message, extracts the content stor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from the database, and requests the content. Send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상기 휴대 단말기의 뷰잉 모듈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시스템. And the vie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received content.
KR1020080016930A 2008-02-25 2008-02-25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KR200900915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930A KR20090091581A (en) 2008-02-25 2008-02-25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930A KR20090091581A (en) 2008-02-25 2008-02-25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81A true KR20090091581A (en) 2009-08-28

Family

ID=4120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930A KR20090091581A (en) 2008-02-25 2008-02-25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158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69B1 (en) * 2011-10-28 2013-02-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070052A (en)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지오넷 Space-contents management network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740160A (en) * 2019-08-29 2020-01-31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multi-source data map meshing and data state real-time push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69B1 (en) * 2011-10-28 2013-02-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070052A (en)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지오넷 Space-contents management network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740160A (en) * 2019-08-29 2020-01-31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multi-source data map meshing and data state real-time push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0599B2 (en) Smart beacon point of sale (POS) interface
US20140279014A1 (en) Push notifications for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17037238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ush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US20060202030A1 (en) Moveable object accountability system
US20180341985A1 (en) Provision and management of advertising via mobile entity
US20140136312A1 (en)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CN112042213A (e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OT equipment
KR10075454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inpointing a tag&#39;s loc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utilizing both of them
KR101230127B1 (en) Application system to output waiting order from remote place and method thereof
JPWO2008114643A1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advertisement effect verification server,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and advertisement effect verification program
KR201200191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up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488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reating and transferring data corresponding to a benefit from a web page to a mobile application by using a web-based marker
KR20120018246A (en) Service profer system of personal identification base using of smart-phone and service profer method thereof
US20160358273A1 (en)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beacon detection
US20200111137A1 (en) Server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230068152A1 (en) Locat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120004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ffline audience validation
KR1018191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p service app connecting with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KR20090091581A (en)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position
KR20200083679A (en) Distribution method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motion point having unit of time
JP2017125901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117506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5140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service
TWM521782U (en) Push notification module
JP2015216480A (en) Notification effect analysis system, message system, and traffic line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