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033A -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033A
KR20090089033A KR1020080014354A KR20080014354A KR20090089033A KR 20090089033 A KR20090089033 A KR 20090089033A KR 1020080014354 A KR1020080014354 A KR 1020080014354A KR 20080014354 A KR20080014354 A KR 20080014354A KR 20090089033 A KR20090089033 A KR 2009008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concrete perforated
prefabricated
perforat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847B1 (ko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주)써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포텍 filed Critical (주)써포텍
Priority to KR102008001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847B1/ko
Priority to JP2010546704A priority patent/JP2011512466A/ja
Priority to US12/918,044 priority patent/US8539629B2/en
Priority to CN200980105578.0A priority patent/CN101952514B/zh
Priority to PCT/KR2009/000780 priority patent/WO2009104904A2/ko
Publication of KR2009008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6Prestressed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부재와 복공판이 일체화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재질로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되되, 종, 횡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형상으로 제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와, 상기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 정착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 프리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긴장부재(2)를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 긴장부재(2)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구조체의 내하력 또는 강성을 증대시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두께로 복공 구조체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고, 조립식이므로 설치, 해체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공 편의성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PRECAST CONCRETE DECK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복공부재에 긴장부재를 정착하여 강성을 보강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 구조체는 지하 구조물 또는 교량 등을 시공할 경우에 도로의 유지, 토사 반출, 공사 수행을 위한 작업공간 확보 등의 용도로 현장 내 또는 주변에 임시적으로 가설되는 구조물이다.
통상 지하 구조물 시공 시에는 터파기 공사 전 수직파일을 설치하고, 이후 부분적인 굴착을 하면서 주형보와 복공판을 설치하며, 복공판의 설치가 끝나면 굴착작업과 굴착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가 반복되면서 공사가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임의 가설 교량의 경우에는 지반에 다수의 기둥 보를 간격을 두고 1개씩 관입시킨 후, 다수의 기둥 보 사이를 보강부재로 서로 연결시켜 보강하여 하부 지지 구조를 설치하고, 설치된 하부 지지 구조의 상부로 주형보를 설치하고, 주형보의 상부로 복공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복공 구조체들은 대부분 강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부재들과 그 상부에 상판부재가 안착되어 가설도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복공 구조체들은 각 부재들이 차량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표면은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요철면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재로 구성된 복공 구조체들은 대부분 습기, 염분이나 염화칼슘 및 산성물질에 약해 쉽게 부식되는 취약점이 있었다.
또한, 내구성이 짧고 동절기에 눈이 쌓이는 경우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재를 사용하기가 어려워 안전 관리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특히, 기존의 강재로만 구성되어 있는 철재 복공 구조체들은 제작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수시로 통행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소음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과 복공 구조체 바닥에 대한 노후 및 부식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교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 출원 번호 제2004-0069886호 "콘크리트 보강형 강재 복공판" 및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0351464호 "복공판"에서 형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한 합성 복공판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특허 출원 번호 제2007-0070565호 "복공판 구조체"에서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되면서 자체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단순 나사 체결방식으로 주형보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복공판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된 복공 구조체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도록 일정 두께 이상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자체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주형보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공판은 상부에서 하부로 하중이 가해져 상부에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고, 하부에서는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콘크리트 소재의 경우 압축력에 대한 강성은 크나 인장력에 대한 강성이 압축력에 대한 강성보다 크게 작아 시공 중 쉽게 파손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주형부재와 복공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재질의 복공 구조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인장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고, 자체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콘크리트 재질로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되되, 종, 횡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형상으로 제조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또한, 다수 연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는 프리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긴장부재의 양 단이 정착되는 것을 포함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 긴장부재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내하력을 증대시키고, 인장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두께로 복공판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고, 조립식이므로 설치 해체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공 편의성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박스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가 종, 횡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부와, 상기 콘크리트 패널부의 하부로 고정되는 강재의 지지빔부를 포함한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긴장부재의 정착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3a는 긴장부재가 상부 플레이트부에 일정한 길이로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박스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 정착되는 긴장부재가 가이드 관을 통 해 몸체 내에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4a는 단경간 시공에서 양 측 단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하부로 편심조절부가 돌출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 내지 도 4f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로 조립되되, 양 측 단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 사이에 다수의 프리캐스트 복공부재로 조립된 복공의 연속화 구조체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웨브의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서 횡방향 연결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 도 6a는 플랜지부의 어느 일 측에 일체로 전단키가 돌출되어 연결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 내지 도 6c는 플랜지부의 양 측에 각각 대응되는 암수구조를 가지는 제 1, 2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연결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서 긴장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 정착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A-A'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로 지면의 굴착부분 일 측에 벽체 파일을 지지하는 다단의 가시설 중 1단 가시설을 대체하도 록 시공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9a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벽체 파일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단부 측 하부에 이동 가능한 이동 정착 브라켓트부재가 구비되어 설치 지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 간의 간격 없이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부(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20)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도 1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몸체에 간격을 두고 관통 구멍(5)이 다수 뚫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구멍(5)은 박스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 상기 측면부(20)에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거나 후술될 T자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 웨브부(30)에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미관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종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결 시 양 측 단부에 위치되는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와, 상기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 크리트 복공부재(1b)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종방향, 횡방향으로 다수 연결되되,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면 및 양 측면에 각각 체결구멍(90)이 형성되어 볼트(90a)와 너트(90b)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복공부재(1)의 측면부(20)에 종방향,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구멍(91)으로 관통되어 결합하여 종방향, 횡방향의 연결상태를 고정하는 정착 강선(91a)를 사용하여 종방향, 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는 도 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결합면이 구비되되, 어느 한 결합면에는 전단키(3)가 돌출되고, 다른 한 결합면에는 상기 전단키(3)가 삽입되는 키 삽입홈(4)이 형성되어 사이 전단키(3)의 결합으로 종, 횡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방향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길이 방향에 일치되고, 횡방향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폭방향에 일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이에 하기된 종방향, 횡방향은 각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길이 방향과, 폭방향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상기 전단키(3)는 결합면의 일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돌출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합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결합면에는 어느 한 측에 종방형 전단키(3a)가 돌출되고, 다른 한 측에 종방향 키 삽입홈(4a)이 형성되어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가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에서 상기 종방향 전단키(3a)를 종방형 키 삽입홈(4a)으로 삽입시키면서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횡방향 결합면에는 어느 한 측에 횡방향 전단키(3b)가 돌출되고, 다른 한 측에 횡방향 키 삽입홈(4b)이 형성되어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가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에서 상기 횡방향 전단키(3b)를 횡방향 키 삽입홈(4b)으로 삽입시키면서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단키(3)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 횡방향 연결 시 키 삽입홈(4)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가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복공 구조체로 시공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전단력을 지지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 횡으로 연결 가능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와,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의 하부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를 임의의 높이로 지지하는 강재 빔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강재 빔부(13)는 복공 또는 가설 교량 시공 시 주형 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형보의 구조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강재 빔부(13)는 도 2의 (a) 내지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의 하부 양 측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2의 (e), (f)와 같이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강재 빔부(13)으로는 도 2의 (a), (b), (e), (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H형 강재빔을 사용하여 상부 플랜지부를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의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H형 강재빔은 도 2의 (a), (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되어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면으로 돌출된 볼트부를 구비한 앵커볼트(13a)에 상부 플랜지부를 관통시켜 결합한 후 너트(13b)를 볼트부에 체결하여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의 하부에 장착 고정될 수도 있으며, 도 2의 (b), (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H형 강재빔의 상부 플랜지부를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의 내부로 삽입하여 일체로 장착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강재 빔부(13)는 도 2의 (c),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형, 또는 ⊥형 강재빔을 사용하여 상단부를 콘크리트 플레이트부(12)의 내부로 삽입하여 일체로 장착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긴장부재(2)는 도 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다수 연결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 양 단이 각각 정착되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내측 또는 외부로 정착된 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긴장부재(2)는 스트랜드, 강선, 케이블 등과 같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긴장부재(2)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상부 플레이트부(10)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 정착부(11)에 정착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정착부(11)는 간격을 두고 상부 플레이트부(10)의 일측에 다수 구비되어 긴장부재(2)의 정착에 따른 응력 집중을 분산하여 긴장부재(2)의 인장력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정착부(11)는 종방향으로 연결 시 양 측 단부에 위치되는 각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상부 플레이트부(10) 단부 측에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되, 양 측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상부 플레이트부(10)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정착부(11)는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결 시 양 측 단부에 위치되는 각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에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되, 정착되는 긴장부재(2)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비되어 각 긴장부재(2)의 길이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긴장부재(2)의 규격화를 통해 긴장부재(2)의 제조 및 시공,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 측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상부 정착부(11)는 가이드 관(2a)으로 연결되어 가이드 관(2a)의 내부로 긴장부재(2)를 통과시켜 긴장부재(2)의 정착 고정 위치를 안내하여 대향되는 각 정착 지점에서 긴장부재(2)의 양 단이 정확히 정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긴장부재(2)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의 하부 측을 통과하여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상부 정착부(11)에 정착되는 것이다.
즉, 긴장부재(2)의 양단은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를 통과하여 각각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상부 정착부(11)에 각각 정착 고정되고,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된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와,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1b)에 압축력을 발생시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긴장부재(2)는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측면부(20) 중 길이방향 즉, 종방향에서 양 측면을 형성하는 종방향 측면부(21) 사이에 구비되는 가로 정착부(22)에 정착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로 정착부(22)의 양 단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측면부(21)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측면부(21) 사이를 지지하여 강성을 보강함은 물론 긴장부재(2)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가로 정착부(22)는 종방향으로 연결 시 양 측 단부에 위치되는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종방향 측면부(21) 사이에 구비되며, 간격을 두고 긴장부재(2)의 단부가 고정되는 정착구(2b)를 다수 구비하여 긴장부재(2)의 정착에 따른 응력 집중을 분산하도록 한다.
양 측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 사이에는 각 프리캐스트 복공부재(1a)에 구비되는 가로 정착부(22)의 정착구(2b)를 연결하는 가이드 관(2a)이 구비되어, 가이드 관(2a)의 내부로 긴장부재(2)를 통과시켜 긴장부재(2)의 양 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정착구(2b)에 긴장부재(2)의 양 단이 정확히 정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긴장부재(2)의 양단은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를 통과하여 각각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가로 정착부(22)에 구비된 다수의 정착구(2b)에 각각 인장된 상태로 정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호 연결된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와,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에 압축력을 발생시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긴장부재(2)는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측면부(21) 양 쪽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정된 가이드 관(2a)에 삽입되어 양쪽 종방향 측면부(21)의 단부 측에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관(2a)의 단부에는 상기 긴장부재(2)의 단부가 정착 고정되는 정착구(2b)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관(2a)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측면부(21)에 두께를 증대시켜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면부(21a)를 형성하고, 변단면부(21a) 내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변단면부(21a)는 긴장부재(2)의 정착과, 정착에 따른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종방향 측면부(21)의 두께를 증대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2a)은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양 단부를 양 측 단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양 단부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 측 단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양 단부면에는 상기 가이드 관(2a)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긴장부재(2)의 단부가 정착 고정되는 정착구(2b)가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긴장부재(2)의 양 단부가 정착 고정되는 지점 사이에 하부로 돌출되는 편심 연장 돌출부(23)가 구비되어 긴장부재(2)의 편심 길이를 길게 하여 긴장부재(2)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종방향에서 양 측 단부에 위치하며 긴장부재(2)의 양 단이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와, 상기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로 구성되는 단경간 복공 구조체에서 상기 편심 연장 돌출부(23)는 상기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의 하부로 임의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기본 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편심 연장 돌출부(23)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플레이트부(1)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유압 잭에 고정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부(1)에 고정되는 고정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바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바를 고정할 수 있는 록킹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동바를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록킹부로 고정시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된 길이 조절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편심 연장 돌출부(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편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계 시 시공되는 복공 구조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긴장부재(2)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 사이에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를 가지는 복공의 연속화 구조체로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c 내지 도 4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 사이에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를 가지는 복공의 연속화 구조체에서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 중 중간 포스트 파일 구조체(80)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1b')의 단면적을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로 연결되는 다른 중간 프 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의 단면적보다 넓게 하여 부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공의 연속화 구조체에서 긴장부재(2)의 일 단이 고정되는 고정부(1c)는 도 4c와 도 4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 중 중간 포스트 파일 구조체(80)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1b')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c)는 도 4d와 도 4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 중 중간 포스트 파일 구조체(80)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1b')의 양 측에 위치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c)는 복공의 연속화 구조체에서 양 단부 측에 연결되는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의 상부 정착부(11) 또는 가로 정착부(22)의 정착구(2b)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포스트 파일 구조체(80)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1b')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a)로 고정된 긴장부재(2)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c)는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에 구비됨에 있어, 도 4c와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긴장부재(2)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4e와 도 4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되는 긴장부재(2)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비되어 각 긴장부재(2)의 길이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긴장부재(2)의 규격화를 통해 긴장부재(2)의 제조 및 시공, 유지관리가 용 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1c)가 구비된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b)는 긴장부재(2)의 길이 또는 복공 구조체의 설계 시 시공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부(30)의 상단부에 플랜지부(40)가 형성된 T자형 몸체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웨브부(30)는 간격을 두고 관통 구멍(5)이 형성되어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미관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기 웨브부(30)의 하단부에는 긴장부재(2)가 정착되는 하부 지지부(5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50)의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연결 시 연통되어 상기 긴장부재(2)가 삽입되는 가이드 관(2a)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관(2a)은 일 단부에 긴장부재(2)의 단부가 정착 고정되는 정착구(2b)가 구비되며, 하부 지지부(5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어 긴장부재(2)의 정착에 따른 응력 집중을 분산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부(40)와 웨브부(30)의 길이 방향 양 단부면, 즉, 종방향 전, 후면에는 종방향 전단키(3a)와 상기 종방향 전단키(3a)가 삽입되는 종방향 키 삽입홈(4a)이 형성되어 종방향을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40)의 양 측면에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일 측에 횡방향 전단키(3b)가 돌출되고, 다른 한 측에 횡방향 전단키(3b)가 삽입되는 횡방향 키 삽입홈(4b)이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것 이다.
상기 플랜지부(40)의 양 측면에는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40)에 일체로 돌출되는 횡방향 전단키(3b)와, 플랜지부(40)에 일체로 파여지는 횡방향 키 삽입홈(4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40)의 양 측면에는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재로 형성되며 횡방향 전단키(3b)가 돌출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41)와, 강재로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전단키(3b)가 삽입되는 횡방향 키 삽입홈(4b)이 형성되는 제 2 측면 플레이트(42)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측면 플레이트(41, 42)의 하부에는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 결합부(43)가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 결합부(43)로 연결 볼트(43a)를 관통시켜 결합한 후 연결 볼트(43a)의 단부에 너트(43b)를 체결함으로써 플랜지부(40)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측면 플레이트(41, 42)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내부에 삽입된 철근(6)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임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부(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20)를 구비한 박스 형태로 형성된 것에서 상기 측면부(20)가 복공 시공 시 주형보의 역할을 하게 되어 별도의 주형보의 설치 없이 복공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웨브부(30)의 상단부에 플랜 지부(40)가 형성된 T자형 몸체를 가지는 것에서 상기 웨브부(30)와, 웨브부(3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50)가 복공 시공 시 주형보의 역할을 하게 되어 별도의 주형보의 설치 없이 복공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도 7a 내지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긴장부재(2)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보조 정착부(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부(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20)를 구비한 박스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 상기 보조 정착부(60)는 종방향 측면부(21)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7a의 (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 긴장부재(2)가 정착되는 정착부에서의 단면이고, (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가 다른 프리캐스트 복공부재(1)에 연결되는 접합부의 단면으로써, 접합부에서 하부로 긴장부재(2)가 통과되어 정착부에서 상부 플레이트부(10)의 하부면에 구비된 보조 정착부(60)에 긴장부재(2)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부(30)의 상단부에 플랜지부(40)가 형성된 T자형 몸체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 상기 보조 정착부(60)는 웨브부(30)의 양 측면의 양 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7b의 (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0)에서 긴장부재(2)가 정착되는 정착부에서의 단면이고, (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가 다른 프리캐스트 복공부재(1)에 연결되는 접합부의 단면으로써, 접합부에서 하부로 긴장부재(2)가 통과되어 정착부에서 웨브부(30)의 상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 정착부(60)에 긴장부재(2)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보조 정착부(60)는 복공 구조체 설계 시 상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고려하여 긴장부재(2)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계 시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도 8a 내지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된 지반의 굴착 평면(100) 일측에 종,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되어 굴착 벽면(101)에서 벽체 파일(102)을 지지하는 가시설(103) 중 최상단, 즉, 1단을 대체하도록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굴착된 굴착 평면(100)에서 굴착 벽면(101)에는 벽체 파일(102)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 파일(102)의 사이에는 벽체 파일(102)을 지지하는 가시설(103)이 다단으로 구비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를 종,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가시설(103) 중 1단으로 시공함으로써 굴착 벽면(10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주형보와 복공판이 일체화된 복공 구조체인 것이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임의 가설 교량에서 종, 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주형보와 복공판이 일체화된 복공 구조체로 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굴착 평면(100)의 일측에서 가시설(103)의 1단으로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0)는 도 9a 내지 도 9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파일(101)의 일측에 간격없이 밀착되게 시공되는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하부면에는 연결 방향 즉,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 체결홈(1d)이 형성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단부 측 하부에는 상부에 상기 볼트 체결홈(1d)에 체결되는 설치 볼트(72)가 결합하는 설치 구멍(71)이 형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하부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설치 브라켓트(70)가 구비된다.
박스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는 종방향 측면부(21)의 단부 측 하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 체결홈(1d)이 형성되는 것이고, T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는 하부 지지부(50)의 단부 측 하부면에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볼트 체결홈(1d)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설치 브라켓트(70)는 굴착된 지반의 굴착 벽면(101)을 지지하는 벽체 파일(102) 또는 가교의 임시 교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지점 즉, 벽체 파일(102)과 임시 교대(미도시) 측으로 밀착되게 이동하되 설치 구멍(71)을 볼트 체결홈(1d)에 일치되게 이동하여 설치 구멍(71)으로 설치 볼트(72)를 결합하여 볼트 체결홈(1d)에 체결함으로써 설치 지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여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설치 브라켓트(70)는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파일(102) 상단부에 설치된 받침대(102a)의 상부로 안착되되, 상기 받침대(102a)의 상부에 설 치되어 벽체 파일(102)을 지지하는 H빔 등의 간격재 또는 띠장(104)에 밀착되게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 볼트(72)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단부 측 하부에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에서는 종방향 측면부(21)의 단부 측 하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 삽입홈(73a)을 형성하고, 이동 설치 브라켓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부(73)를 형성하여 이동 설치 브라켓트(70)를 설치되는 지점 즉, 벽체 파일(102)과 임시 교대(미도시) 측으로 밀착되게 이동시키되 돌기부(73)를 돌기 삽입홈(73a)에 결합되게 이동시켜 설치 지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여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이동 설치 브라켓트(70)는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파일(102) 상단부에 설치된 받침대(102a)의 상부로 안착되고, 벽체 파일(102)을 지지하는 H빔 등의 간격재 또는 띠장(104)에 길이 조절용 잭(105)으로 연결되어 길이 조절용 잭(105)에 의해 설치 구멍(71)이 볼트 체결홈(1d)에 일치되도록 이동한 후 설치 구멍(71)으로 설치 볼트(72)를 결합시켜 볼트 체결홈(1d)에 체결함으로써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길이 조절용 잭(105)은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지된 잭(Jack)의 구성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이동 설치 브라켓트(70)와 H빔 등의 간격재 또는 띠장(10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구성과 작동 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이동 설치 브라켓트(70)는 도 9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파일(102)에 고정되는 H빔 등의 간격재 또는 띠장(104)에 일단부가 고정되되, 설치 구멍(71)이 볼트 체결홈(1d)에 일치되도록 이동한 후 고정되어 설치 구멍(71)으로 설치 볼트(72)를 결합시켜 볼트 체결홈(1d)에 체결함으로써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단부 측 하부에는 도 9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파일(102)에 고정되는 H빔 등의 간격재 또는 띠장(104)이 삽입되는 간격 유지 삽입홈(1e)이 형성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단부에서 띠장(104)이 간격 유지 삽입홈(1e)에 삽입되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를 벽체 파일(102)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설치 지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여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1)는 몸체 내에 철근(6)을 삽입하여 인장력에 대한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긴장부재의 정착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서 횡방향 연결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을 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A-A'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e는 도 9a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 2 : 긴장부재
3 : 전단키 4 : 키 삽입홈
10 : 상부 플레이트부 20 : 측면부
21 : 종방향 측면부 30 : 웨브부
40 : 플랜지부 50 : 하부 지지부
60 : 보조 정착부 70 : 이동 설치 브라켓트

Claims (20)

  1. 콘크리트 재질로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되되, 종, 횡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형상으로 제조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종, 횡으로 연결 가능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부와, 콘크리트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플레이트부를 임의의 높이로 지지하는 강재 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연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는 프리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긴장부재의 양 단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에는 종, 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결합면이 구비되되, 어느 한 결합면에는 전단키가 돌출되고, 다른 한 결합면에는 상기 전단키가 삽입되는 키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몸체에 간격을 두고 관통 구멍이 다수 뚫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하부면에는 연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단부 측 하부에는 상부에 상기 볼트 체결홈에 체결되는 설치 볼트가 결합하는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하부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연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설치 브라켓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하부면에는 연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단부 측 하부에는 상부에 상기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하부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연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설치 브라켓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제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에는 긴장부재의 일단이 정착되는 상부 정착부가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정착부는 정착되는 긴장부재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제조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측면부 사이에는 긴장부재의 일단이 정착 고정되는 가로 정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측면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제조되며, 상기 측면부에는 내부로 긴장부재가 삽입되는 관형상의 가이드관이 고정되고 긴장부재는 가이드관의 양 단부에서 정착 고정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긴장부재의 양 단부가 정착 고정되는 지점 사이에 하부로 돌출되는 편심 연장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4. 청구항 3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연결되되, 양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 사이에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를 가지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 중 중간 포스트 파일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에는 긴장부재의 일 단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5. 청구항 3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연결되되, 양 단부 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 사이에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를 가지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 중 중간 포스트 파일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의 단면적을 단부 복공부로 연결되는 다른 중간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복공부재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긴장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보조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는 웨브부의 상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양 측면에는 강재로 형성되며 횡방향 전단키가 돌출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와, 강재로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전단키가 삽입되는 횡방향 키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 2 측면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측면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 결합부가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 결합부로 연결 볼트를 관통시켜 결합한 후 연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측면 플레이트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부재의 내부에 삽입 된 철근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20080014354A 2008-02-18 2008-02-18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097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54A KR100976847B1 (ko) 2008-02-18 2008-02-18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JP2010546704A JP2011512466A (ja) 2008-02-18 2009-02-18 組み立て式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覆工および架橋構造体
US12/918,044 US8539629B2 (en) 2008-02-18 2009-02-18 Fit-together type of precast concrete lining and bridging structural body
CN200980105578.0A CN101952514B (zh) 2008-02-18 2009-02-18 组合型的预制混凝土衬砌的和桥接的建筑本体
PCT/KR2009/000780 WO2009104904A2 (ko) 2008-02-18 2009-02-18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54A KR100976847B1 (ko) 2008-02-18 2008-02-18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033A true KR20090089033A (ko) 2009-08-21
KR100976847B1 KR100976847B1 (ko) 2010-08-20

Family

ID=4098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354A KR100976847B1 (ko) 2008-02-18 2008-02-18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39629B2 (ko)
JP (1) JP2011512466A (ko)
KR (1) KR100976847B1 (ko)
CN (1) CN101952514B (ko)
WO (1) WO200910490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9546B2 (en) 2010-09-30 2016-02-02 Inct Co., Ltd. Floor slab structure for bridge
CN108265723A (zh) * 2018-02-08 2018-07-10 中国葛洲坝集团公路运营有限公司 用于碾压混凝土入仓的升降式钢栈桥装置
CN108342937A (zh) * 2018-03-14 2018-07-31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墩、板悬浮式筒形剪力撑连接结构
CN113356048A (zh) * 2021-07-01 2021-09-07 河南盛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结构及其***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5569B (zh) * 2010-08-10 2011-11-09 山东泰开成套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元件安装梁组合结构
KR101278704B1 (ko) * 2010-09-30 2013-06-27 주식회사 아앤시티 교량용 바닥판 일체형 거더
KR101376517B1 (ko) * 2010-09-30 2014-03-21 주식회사 창건이앤씨 교량용 방호벽 일체형 바닥판 및 교량용 바닥판 구조체
EP2447446A1 (de) * 2010-10-28 2012-05-02 Sika Technology AG Endverankerung von Zuggliedern an Stahlbetonträgern
KR101177342B1 (ko) 2010-11-26 2012-08-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057409B1 (ko) 2010-12-03 2011-08-17 (주)다음기술단 중공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및 그 다단계 제작방법
KR101330177B1 (ko) * 2011-03-23 2013-11-18 박기태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101196874B1 (ko) 2011-04-01 2012-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DE102011105329B4 (de) * 2011-06-03 2013-06-27 Areva Np Gmbh Verbundbauteil und damit hergestellte Stahlbeton-Stahl-Struktur
US8840336B2 (en) * 2011-11-08 2014-09-23 Fort Miller Co., Inc. Removable dowel connector and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same
US9233043B2 (en) * 2012-01-26 2016-01-12 American Sterilizer Company Femur support for a medical table
AU2014221234B2 (en) 2013-12-11 2015-07-30 Quickcell Technology Pty Ltd Precast concrete beam
CN103835228B (zh) * 2014-02-28 2016-08-17 华南理工大学 一种预制节段式混凝土桥梁接缝结构及其对接方法
MY182009A (en) * 2014-04-07 2021-01-18 Nxt Building System Pty Ltd Support structure
CN104099848B (zh) * 2014-07-23 2015-12-30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高土石坝减压板跨心墙道路的快速连接及拆除方法
CN104099849B (zh) * 2014-07-23 2015-12-16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快速拆装结构的减压板
JP6310823B2 (ja) * 2014-09-01 2018-04-11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鋼管の継手構造、橋床版ユニット、床版橋、鋼管の継手方法、および橋床版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20230030089A1 (en) * 2016-10-26 2023-02-02 Innovative Design Solutions Llc Modular Precast Concrete Water Storage Device and System
DE102017102372B3 (de) * 2017-02-07 2018-05-30 Stahl Cranesystems Gmbh Vorrichtung mit einem Träger in Segmentbauweise und Verfahren
CN107034777A (zh) * 2017-04-28 2017-08-11 金梁复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多孔梁及后预应力人行桥
CN208280001U (zh) * 2018-02-05 2018-12-25 横琴共轭科技有限公司 一种普通钢筋与精轧螺纹钢筋混合配筋的拼装墩
CN109457568B (zh) * 2018-11-12 2020-07-14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双边叠合梁预制后张法预应力装配路面施工工艺
CN112064513A (zh) * 2020-09-11 2020-12-11 合肥清雅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民用小型快速拼接的桥梁设备
CN112144382B (zh) * 2020-10-21 2022-03-2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梁节段拼接结构及施工方法
US20220205194A1 (en) * 2020-12-29 2022-06-30 AEEE Capital Holding & Advisory Group EA I-U-T Girder System
US20220204402A1 (en) * 2020-12-29 2022-06-30 AEEE Capital Holding & Advisory Group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S11603632B1 (en) * 2021-01-11 2023-03-14 AEEE Capital Holding & Advisory Group Method for producing a prestressed concrete bridge beam
CN113235818B (zh) * 2021-05-27 2022-12-02 依格安顾问(香港)有限公司 连接结构及构架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6373A (en) * 1951-01-05 1955-08-30 Frank H Scrivner Paving joint
NL6401391A (ko) * 1963-10-07 1965-08-18
US3879914A (en) * 1969-09-23 1975-04-29 Hans Haller Method of making a platform structure
US3707819A (en) * 1970-12-01 1973-01-02 W Calhoun Decking system
US3722159A (en) * 1971-10-27 1973-03-27 S Kessler Prefabricated concrete structure
US4646495A (en) * 1984-12-17 1987-03-03 Rachil Chalik Composite load-bear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s
US4972537A (en) * 1989-06-05 1990-11-27 Slaw Sr Robert A Orthogonally composite prefabricated structural slabs
US5771518A (en) * 1989-06-16 1998-06-30 Roberts; Michael Lee Precast concrete bridge structure and associated rapid assembly methods
US5634308A (en) * 1992-11-05 1997-06-03 Doolan; Terence F. Module combined girder and deck construction
US5457840A (en) * 1994-05-24 1995-10-17 Derechin; Joshua Fatigue resistant shear connector
JP2945282B2 (ja) * 1994-11-01 1999-09-06 株式会社ピー・エス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方法
US5617599A (en) * 1995-05-19 1997-04-08 Fomico International Bridge deck panel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CA2202193C (en) * 1997-04-09 2000-03-14 George D. Kokonis Reusable composite bridge structure
US6668412B1 (en) * 1997-05-29 2003-12-30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Nebraska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bridge deck subpanel system
IL123543A (en) * 1998-03-04 1999-12-31 Meiranz Benjamin Composite bridge superstructure with precast deck elements
US6170105B1 (en) * 1999-04-29 2001-01-09 Composite Deck Solutions, Llc Composite deck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065257A (en) * 1999-05-24 2000-05-23 Hubbell, Roth & Clark, Inc. Tendon alignment assembly and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a load bearing beam
US6588160B1 (en) * 1999-08-20 2003-07-08 Stanley J. Grossma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pre-compression assembly
JP3532136B2 (ja) * 2000-03-07 2004-05-31 黒沢建設株式会社 覆工板
JP2002138561A (ja) 2000-10-31 2002-05-14 Kobe Steel Ltd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JP2004027504A (ja) 2002-06-21 2004-01-29 Taisei Corp 覆工体
US6875156B1 (en) * 2002-09-27 2005-04-05 Michael Steiger Transmission controller and a method of use
GB0323314D0 (en) * 2003-10-04 2003-11-05 Ardern Fergus J Constructional panels
KR200351464Y1 (ko) * 2004-03-11 2004-05-22 주식회사 케이.알 복공판
US7475446B1 (en) * 2004-10-16 2009-01-13 Yidong He Bridge system using prefabricated deck units with external tensioned structural elements
US7461427B2 (en) * 2004-12-06 2008-12-09 Ronald Hugh D Bridge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7600283B2 (en) * 2005-01-21 2009-10-13 Tricon Engineering Group, Ltd. Prefabricated, prestressed bridg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6283317A (ja) * 2005-03-31 2006-10-19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510254B1 (ko) * 2005-04-13 2005-08-26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및 그제조방법
US7296317B2 (en) * 2006-02-09 2007-11-20 Lawrence Technological University Box beam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420900Y1 (ko) * 2006-04-28 2006-07-05 안승한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9546B2 (en) 2010-09-30 2016-02-02 Inct Co., Ltd. Floor slab structure for bridge
CN108265723A (zh) * 2018-02-08 2018-07-10 中国葛洲坝集团公路运营有限公司 用于碾压混凝土入仓的升降式钢栈桥装置
CN108265723B (zh) * 2018-02-08 2024-03-01 中国葛洲坝集团公路运营有限公司 用于碾压混凝土入仓的升降式钢栈桥装置
CN108342937A (zh) * 2018-03-14 2018-07-31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墩、板悬浮式筒形剪力撑连接结构
CN108342937B (zh) * 2018-03-14 2024-03-01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墩、板悬浮式筒形剪力撑连接结构
CN113356048A (zh) * 2021-07-01 2021-09-07 河南盛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结构及其***的施工方法
CN113356048B (zh) * 2021-07-01 2022-12-27 马鞍山市皖江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结构及其***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2514A (zh) 2011-01-19
JP2011512466A (ja) 2011-04-21
US20100307081A1 (en) 2010-12-09
WO2009104904A2 (ko) 2009-08-27
US8539629B2 (en) 2013-09-24
WO2009104904A3 (ko) 2009-11-12
CN101952514B (zh) 2014-11-26
KR100976847B1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US6260320B1 (en)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KR101078047B1 (ko) 프리캐스트 가시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27344B1 (ko)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97988B1 (ko) 트러스 하로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WO2004072386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1851557B1 (ko)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84701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JP2005256341A (ja)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0906161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398605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JP3958319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工法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82294B1 (ko) 터널용 지보재
JP4972139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構造
KR101058982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층간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200398769Y1 (ko) T형단면 조립식 아치터널
KR20160110699A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101557554B1 (ko) 전단 연결재 일체형 광폭 psc 거더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EP1238172B1 (en)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