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554A -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 Google Patents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554A
KR20090081554A KR1020080007486A KR20080007486A KR20090081554A KR 20090081554 A KR20090081554 A KR 20090081554A KR 1020080007486 A KR1020080007486 A KR 1020080007486A KR 20080007486 A KR20080007486 A KR 20080007486A KR 20090081554 A KR20090081554 A KR 2009008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housing
water
seat unit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08000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554A/ko
Publication of KR2009008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부분의 면적이 협소한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음용수를 받는 용기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가능한 줄일 수 있고, 음용수를 받기 위한 용기가 없는 상태에서도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1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취수꼭지(10)는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를 구비하면서, 하방향과 측방향의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갖는다. 이 취수꼭지(10)는 핸들러(90)의 작동으로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가 선택적으로 유입구(24)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가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FAUCET FO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취수부분의 면적이 협소한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음용수를 받는 용기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가능한 줄일 수 있고, 음용수를 받기 위한 용기가 없는 상태에서도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보건환경에 대한 인식의 발전에 따라 깨끗한 음용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저변화 확대되었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사용형태, 정수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누어지고 있는데, 기본적인 하우징내에 물을 냉온열시키기 위한 냉온장치, 물을 정수하기위한 필터장치,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취수꼭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예컨대, 초음파, 오존, 자외선 등을 사용한 살균기술 등)이 적용된 정수기가 선보이고 있다. 그리고, 물을 공급받는 방식에 따라 상수도 시설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하는 직접 공급방식과, 물탱크를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간접 공급방식 등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한편, 취수꼭지는 상술한 정수기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수도시설의 최종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취수꼭지는 기본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의 개폐하는 밸브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밸브구조{예컨대, 일반적으로 밸브에는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니들 밸브, 플러그(콕) 밸브, 나비 밸브, 포핏 밸브, 스풀 밸브 등이 있다}가 적용된다.
이때, 음용수를 위한 밸브인 취수꼭지는 통상 노즐의 방향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취수꼭지의 하측에 컵, 그릇 및 주전자 등의 용기를 대고, 음용수를 취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취수구조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즉,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그릇이나 주전자 등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작은 용기를 사용해서 음용수를 받아 큰 그릇에 옮겨 담아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취수꼭지가 설치되는 공간이 일반 수도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정수기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컵 등의 용기가 없는 경우, 음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1028호 "정수기 취수꼭지 조절기"는 본체에 부착되어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부착된 외부파이프와, 이 외부파이프로부터 이송수단에 의해 소정길이로 이송되는 내부파이프에 의해 정수기 취수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술에 따르면, 취수꼭지를 외측으로 연장시켜 용기에 음용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은 있으나, 전술한 문제점에서 컵 등의 용기가 없는 경우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5471호 "정수기 구조" 및 등록번호 제20-0433236호 "수도직결식 음수대"와 같이 취수꼭지의 노즐 방향을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므로써, 용기가 없이도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경우 용기에 음용수를 취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3904호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는 취수시 배출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기에 취수함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취수꼭지는 기본적으로 노즐이 하방으로 향하는 구조에서 제한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가 없는 상태에서의 음용이 사실 상 어렵고, 취수꼭지의 각도변환이 사용자가 잡은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이루어지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취수꼭지가 설치되는 공간이 일반 수도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정수기에서 상대적으로 큰 그릇이나 주전자 등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도록 하고, 컵 등의 용기가 없는 경우에도 음용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수기의 물이 흘러나오는 취수구가 하측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정수기의 물이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취수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컵과 같은 별도의 용기가 없어도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취수구를 덮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정수기로부터 공급 되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4)를 갖고, 정수기에 결합되는 하우징(20)과; 상기 유입구(24)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0)내에 설치되는 시트 유니트(50) 및;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시트 유니트(50)와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시트 유니트(50)를 작동시켜 상기 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핸들러(9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방 취수구(26) 및,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측방 취수구(28)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유니트(50)는 상기 핸들러(90)에 의해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었을 때 상기 하방 취수구(26)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 및, 상기 핸들러(90)에 의해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었을 때 상기 측방 취수구(28)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방 취수로(54)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러(90)의 작동으로 상기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가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24)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가 상기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10; 이하, '취수꼭지(10)'라 한다}는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취수꼭지(10)의 주요 구성을 지칭하는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의 분류는 정수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취수꼭지와 동일하다. 즉, 하우징(20)은 정수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4)를 갖고, 정수기에 결합된다. 시트 유니트(50)는 유입구(24)를 개폐시키도록 하우징(20)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핸들러(90)는 하우징(20)의 외측으로부터 시트 유니트(50)와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시트 유니트(50)를 작동시켜 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취수꼭지(10)는 통상적으로 정수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취수꼭지에서 공통적인 요소인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로 분류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는 스테인레스, 동합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밸브구조 및 그에 따른 부가 구성(누수방지를 위한 링류,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 등)이 적용된다. 예컨대, 정수기에 사용되는 취수꼭지는 대표적으로 플러그(콕) 밸브의 밸브구조가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급되는 물의 흐름의 개폐하는 다양한 밸브구조를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트 유니트(50)는,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으로 핸들러(90)를 밀어서 정수된 물(공급수)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 는 형태와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 통상 알려진 게이트 밸브의 형태{시트 유니트(5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여 유로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비교한 것임}로 보인 것이나, 이외 다른 형태의 밸브구조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러(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컵으로 핸들러(90)를 밀어서 정수된 물(공급수)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핸들러(90)는 상술한 시트 유니트(50)와 같이 다양한 밸브구조에 적용되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취수꼭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취수꼭지에서 공통적인 요소인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를 구비하면서, 종래기술에 따른 취수꼭지와 달리 하방향과 측방향의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취수꼭지(10)에서 하우징(20)은 유입구(24)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방 취수구(26)를 갖고, 유입구(24)와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측방 취수구(28)를 갖는다. 그리고, 시트 유니트(50)는 핸들러(90)에 의해 유입구(24)와 연통되었을 때 하방 취수구(26)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를 갖고, 핸들러(90)에 의해 유입구(24)와 연통되었을 때 측방 취수구(28)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방 취수로(54)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취수꼭지(10)는, 도 2a 및 도 2b에 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러(90)의 작동으로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가 선택적으로 유입구(24)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가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즉,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 유니트(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로부터 공급되는 물(공급수)이 하측 방향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배출되도록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를 갖는 하우징(20)에 설치되어, 핸들러(90)에 의해 이동되므로써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개폐시키고, 공급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시트 유니트(50)에 의한 공급수가 배출되는 방향의 조절형태를 보면,먼저 도 2a와 같이, 핸들러(90)에 의해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가 유입구(24)와 동일하게 위치되었을 때(본 발명에서는 '접속' 또는 '연통'이라는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하방 취수로(52)는 하방 취수구(26)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수기로부터 하우징(20)의 유입구(24)로 유입된 공급수는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를 통해 하우징(20)의 하방 취수구(26)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핸들러(90)에 의해 시트 유니트(50)의 측방 취수로(54)가 유입구(24)와 동일하게 위치되었을 때, 측방 취수로(54)는 측방 취수구(28)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수기로부터 하우징(20)의 유입구(24)로 유입된 공급수는 시트 유니트(50)의 측방 취수로(54)를 통해 하우징(20)의 측방 취수구(28)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시트 유니트(50)는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폐쇄시켜 정수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정수기를 사용할 때{즉, 사용자가 핸들러(90)를 작동시킬 때}, 유입구(24)를 개방시켜 공급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유니트(50)는 선택적으로 하방 취수로(52)가 유입구(24) 및 하방 취수구(26)에 연통되도록 하거나, 측방 취수로(54)가 유입구(24) 및 측방 취수구(28)에 연통되도록 하므로써, 하우징(20)의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취수구로 공급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시트 유니트(50)에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의 위치는 시트 유니트(50)와 핸들러(90)의 작동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 도 3 내지 도 9에서 보인 형태)는 시트 유니트(50)가 실린더와 같은 작동형태를 갖도록 하고, 핸들러(90)가 레버형태를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핸들러(90)의 컵 패드(94)를 뒷방향{정수기(1)의 방향}으로 밀었을 때, 하방 취수구(26)로 공급수가 나오도록 하고, 컵 패드(94)를 앞방향으로 당겼을 때, 측방 취수구(28)로 공급수가 나오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경우 시트 유니트(50)는 하방 취수로(52)가 측방 취수로(54)의 하측에 위치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 도 10에서 보인 형태)는, 전술한 예와 같이,시트 유니트(50)가 실린더와 같 은 작동형태를 갖도록 하고, 핸들러(90)가 레버형태를 갖도록 하고, 공급수의 배출도 동일하게 구성하였지만, 핸들러(90)의 당김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링크구조를 설정하므로써, 시트 유니트(50)는 하방 취수로(52)가 측방 취수로(54)의 상측에 위치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10)는 하우징(20)에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를 형성시키고, 핸들러(90)에 의해 작동되는 시트 유니트(50)에 의해 하우징(20)으로 유입되는 공급수가 선택적으로 하방 취수구(26) 또는 측방 취수구(28)로 배출되도록 한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10)는 크기가 큰 용기는 측방 취수구(28)에 근접시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용기를 사용하여 물을 원활하게 취수할 수 있게 될뿐만 아니라, 컵과 같은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측방 취수구(28)에 입을 대고 정수기의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의한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에 의하면, 하우징(20)에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를 형성시키고,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가 형성되어 핸들러(90)에 의해 작동되는 시트 유니트(50)에 의해 하우징(20)으로 유입 되는 공급수가 선택적으로 하방 취수구(26) 또는 측방 취수구(28)로 배출되도록 하므로, 크기가 큰 용기는 측방 취수구(28)에 근접시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여 크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용기를 사용하여 물을 원활하게 취수할 수 있고, 컵과 같은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측방 취수구(28)에 입을 대고 정수기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정수기,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통상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 등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 지(1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양한 취수꼭지에서 공통적인 요소인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를 구비하면서, 종래기술에 따른 취수꼭지와 달리 하방향과 측방향의 취수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커버(80)가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내에서 상하에 설치되는 스프링(76)에 지지되는 시트 유니트(50) 및 레버 형태의 핸들러(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커버(80) 및 핸들러(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20)은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내부 공간(22)을 갖고, 이 내부 공간(22)과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형성되므로써 정수기로부터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4)를 갖는다. 그리고, 내부 공간(22)과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방 취수구(26)를 가지고, 내부 공간(22)과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측방 취수구(28)를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의 하우징(20)은 유출되는 공급수(물)가 하방 및 측방으로 안정적으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고, 정수기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해 메인 배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 배럴(23), 하방 배럴(25) 및 측방 배럴(27)을 구비하여 이루 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하우징(20)의 메인 배럴(21)은 내부 공간(22)이 상부로 개구되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 배럴(23)은 유입구(24)가 형성되고, 메인 배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정수기에 결합된다. 하방 배럴(25)은 하방 취수구(26)가 형성되고, 메인 배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방 배럴(27)은 측방 취수구(28)가 형성되고, 메인 베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부품수를 줄이고, 그 제조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메인 배럴(21), 체결 배럴(23), 하방 배럴(25) 및 측방 배럴(27)이 일체로 형성{플라스틱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가능하고, 금속재질을 적용하는 경우 주조성형을 통해 형성가능한 것이다}되어 하우징(20)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20)의 측방 배럴(27)은 바람직하게 상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측방 취수구(28)를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용기없이 음용하는 경우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측방 취수구(28)는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되므로, 이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의 측방 배럴(27)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측방 취수구(28)를 덮는 캡(4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40)은 측방 배럴(27)의 상부에 형성되는 핀(36)에 결합되는 고리(42)를 상측에 형성하여 결합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하우징(2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캡(40)은 측방 취수구(28)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열리도록 구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0)의 체결 배럴(23)에는 정수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구조에는 나사결합, 축의 끼워맞춤, 볼트 고정결합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 배럴(23)의 끝부분의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형태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 배럴(23)의 끝부분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메인 배럴(21)의 상측에는 스톱퍼(32)를 갖는 커버 결합부(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 결합부(30)는 전술한 체결 배럴(23)의 체결구조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80)는 하우징(20)의 상방향의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20)에 결합되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에 위치되는 시트 유니트(50)의 하부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커버(80)는 몸체(82)의 중심에 시트 유니트(50)의 링크 샤프트(62)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홀(84)을 갖고, 핸들러(90)가 핀(112)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운동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88)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80)는 하우징(20)의 커버 결합부(30)에 형성된 스톱퍼(32)에 잠금되는 스톱퍼(86)를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하우징(20)과 커버(80)의 고정은 수밀을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체결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90)가 핀(112)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운동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88)는 커버(80)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서포터(88)는 하우징(80)에 설치되어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20)과 커버(80)에 결합되는 시트 유니트(50)는 하부가 하우징(20)의 상방향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시트 유니트(50)는 유입구(24)와 하방 취수구(26)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를 갖고, 유입구(24)와 측방 취수구(28)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방 취수로(54)를 갖는다. 그리고, 이 시트 유니트(50)는 핸들러(9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하방 취수로(52)가 유입구(24)와 접속되므로써 유입구(24)와 하방 취수구(26)가 연통되도록 하고, 측방 취수로(54)가 유입구(24)와 접속되므로써 유입구(24)와 측방 취수구(28)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시트 유니트(50)는 본 실시예에서 원기둥 형태의 시트 바디(60), 링크 샤프트(62) 및 스프링(76)로 이루어져, 핸들러(90)에 의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상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 바디(60)의 일측면에 입구(52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출구(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시트 유니트(50)의 측방 취수로(54)는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와 이격되어 외주면 둘레로 개방되도록 측방 취수로(54)가 형성된다. 또한, 링크 샤프트(62)는 시트 바디(6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커버(8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핸들러(90)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스프링(76)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내에서 시트 바디(6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시트 바디(60)가 초기 위치가 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시트 유니트(50)는 시트 바디(60)에 결합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밀폐링(70, 72, 74)을 갖는다. 여기서, 제 1 밀폐링(70)은 측방 취수로(54)의 상측에 위치되어 시트 바디(60)의 둘레로 결합되고, 제 2 밀폐링(72)은 상부의 측방 취수로(54)와 하부의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 사이에 위치되어 시트 바디(60)의 둘레로 결합되며, 제 3 밀폐링(74)은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의 하측에 위치되어 시트 바디(60)의 둘레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 1, 제 2 및 제 3 밀폐링(70, 72, 74)은 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수가 각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로 유입될 때 다른 방향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제 2 밀폐링(72)은 시트 바디(60)가 초기 위치{사용자에 의해 핸들러(90)에 가해지는 작동력이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76)에 의해 측방 취수로(54)와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 사이가 유입구(24)에 위치되므로써 공급수가 차단되도록 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 유입구(24)를 안정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제 1, 제 2 및 제 3 밀폐링(70, 72, 74)의 결합관계는 시트 바디(60)와 하우징(20)의 메인 배럴(21)의 내경{내부 공간(22)의 직경}, 스프링(76)의 작동력, 핸들러(90)의 작동구조 등에 따라 설정되는 설계에 따를 것이다.
한편, 핸들러(90)는 하우징(20)과 커버(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 핸들러(90)는 시트 유니트(50)와 접속되어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가 하우징(20)의 유입구(24)와 접속되지 않는 초기 위치에서 시트 유니트(50)의 위치를 변경시키므로써,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가 선택적으로 유입구(24)와 접속되도록 하여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가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핸들러(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90)는 하우징(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92)과, 하우징(20)의 하부에 하방 취수구(28)에 수직되게 배치되는 컵 패드(94) 및, 하우징(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판(92)과 컵 패드(94)를 연결하는 연결대(96)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적용되는 밸브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90)는 상판(92)의 하측에 힌지편(100)과 링크편(102)을 구비하고, 링크편(102)은 장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편(100)이 커버(80)에 형성된 서포터(88)에 핀(112)에 의해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링크 편(102)이 시트 유니트(50)의 링크 샤프트(62)에 핀(110)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링크편(102)에 장공을 형성하므로써, 커버(80)의 서포터(88)와 핀(112)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편(100)을 기점으로 회동운동되는 핸들러(90)의 운동에 대해 시트 유니트(50)의 시트 바디(60)의 상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시트 바디(60)의 상하 직선운동시 시트 유니트(50)의 링크 샤프트62)와 핸들러(90)의 링크편(102)에서 발생되는 하중의 집중을 해소하므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보인 정수기에서 취수꼭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수기(1)의 취수공간(2)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정수기와 동일하게 취수꼭지(10)의 하방에 컵을 대고 공급수(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고,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과 같은 용기없이도 정수기의 공급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의 작용을 살피 면,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의 초기 상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러(90)의 컵 패드(94)가 하우징(20)의 하측에서 하방 취수구(26)에 평행한 상태를 갖고, 이때 시트 유니트(50)의 시트 바디(60)에 의해 유입구(2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a와 같이, 컵을 핸들러(90)의 컵 패드(94)에 대고 컵 패드(94)를 밀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러(90)는 커버(80)의 서포터(88)와 핸들러(90)의 힌지편(10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있는 핀(112)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되면서 시트 바디(6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시트 바디(60)의 이동에 의해 하방 취수로(52)는 유입구(24)와 접속되므로써 정수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방 취수구(26)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시트 바디(60)는 직선운동을 하는데, 링크 샤프트(62)가 장공이 형성된 링크편(102)에 핀(11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링크 샤프트(62)가 링크편(102)의 장공을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면서 전체적으로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시트 바디(60)와 핸들러(90)는 컵이 제거되었을 때, 시트 바디(60)의 상하에 결합된 스프링(76)에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a와 같이, 컵을 핸들러(90)의 컵 패드(94)에 대고 컵 패드(94)를 밀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러(90)는 커버(80)의 서포터(88)와 핸들러(90)의 힌지편(10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있는 핀(112)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되면서 시트 바디(6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시트 바디(60)의 이동에 의해 하방 취수로(52)는 유입구(24)와 접속되므로써 정수 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방 취수구(26)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시트 바디(60)는 직선운동을 하는데, 링크 샤프트(62)가 장공이 형성된 링크편(102)에 핀(11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링크 샤프트(62)가 링크편(102)의 장공을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면서 전체적으로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시트 바디(60)와 핸들러(90)는 컵이 제거되었을 때, 시트 바디(60)의 상하에 결합된 스프링(76)에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초기 위치에서, 도 9b와 같이, 컵과 같은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정수기의 물을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용기가 커서 취수 공간(2)보다 큰 용기에 취수하고자 하는 경우, 핸들러(90)의 컵 패드(94)를 당기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러(90)는 커버(80)의 서포터(88)와 핸들러(90)의 힌지편(10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있는 핀(112)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되면서 시트 바디(6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시트 바디(60)의 이동에 의해 측방 취수로(54)는 유입구(24)와 접속되므로써 정수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측방 취수구(28)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시트 유니트(50)와 핸들러(90)의 작동관계는 전술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양한 취수꼭지에서 공통적인 요소인 하우징(20),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를 구비하면서, 종래기술에 따른 취수꼭지와 달리 하방향과 측방향의 취수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커버(80)가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내에서 상하에 설치되는 스프링(76)에 지지되는 시트 유니트(50) 및 레버 형태의 핸들러(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하우징, 시트 유니트(50) 및 핸들러(90)의 주요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도 3 내지 도 9b에서 보인 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하우징(20)의 체결 배럴(23)에 정수기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체결 구조가 체결 배럴(23)의 끝부분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형태라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커버(80)가 하우징(20)의 메인 배럴(21)의 상단에서 끼워맞춤(또는 나사를 적용할 수 있다)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서포터(88)는 커버(80)의 뒤측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시트 유니트(50)에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의 위치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그 위치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 른 취수꼭지(10)는 핸들러(90)의 상판(92)에 장공을 형성하여 시트 유니트(50)의 링크 샤프트(62)가 핀(110)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핸들러(90)의 컵 패드(94)를 컵으로 밀었을 때 하방 취수구(26)로 공급수가 나오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는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시트 바디(60)의 상측 및 하측에 단턱형상으로 돌출된 스톱퍼(참조번호 미기입)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시트 바디(60)가 핸들러(9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때 시트 바디(60)의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와 유입구(24), 측방 취수로(54)와 유입구(24)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위치에서 그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꼭지(10)의 시트 바디(60)는 시트 바디(60)의 하측에서 하방 취수로(52)의 출구(52b)가 하방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연장 노즐(64)을 더 구성하여, 하방 취수시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72)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도 3에서 보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가 설치된 정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보인 정수기에서 취수꼭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2 : 취수부
10 :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20 : 하우징 21 : 메인 배럴
22 : 내부 공간 23 : 체결 배럴
24 : 유입구 25 : 하방 배럴
26 : 하방 취수구 27 : 측방 배럴
28 : 측방 취수구 40 : 캡
50 : 시트 유니트 52 : 하방 취수로
52a : 입구 52b : 출구
54 : 측방 취수로 60 : 시트 바디
62 : 링크 샤프트 76 : 스프링
80 : 커버 90 : 핸들러

Claims (3)

  1. 정수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4)를 갖고, 정수기에 결합되는 하우징(20)과;
    상기 유입구(24)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0)내에 설치되는 시트 유니트(50) 및;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시트 유니트(50)와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시트 유니트(50)를 작동시켜 상기 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핸들러(9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방 취수구(26) 및,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측방 취수구(28)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유니트(50)는 상기 핸들러(90)에 의해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었을 때 상기 하방 취수구(26)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 및,
    상기 핸들러(90)에 의해 상기 유입구(24)와 연통되었을 때 상기 측방 취수구(28)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방 취수로(54)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러(90)의 작동으로 상기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로(52)와 측방 취수로(54)가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24)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가 상기 하방 취수 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20)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측방 취수구(28)를 덮는 캡(40)을 구비하여, 상기 측방 취수구(28)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측방 취수구(28)를 덮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2.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내부 공간(22)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22)과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형성되므로써 정수기로부터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4)를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22)과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방 취수구(26)를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22)과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측방 취수구(28)를 갖는 하우징(20)과;
    하부가 상기 하우징(20)의 상방향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24)와 하방 취수구(26)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방 취수로(52)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24)와 측방 취수구(28)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방 취수로(54)를 갖는 시트 유니트(5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방향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에 위치되는 상기 시트 유니트(50)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커버(80)와;
    상기 하우징(20)과 커버(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 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시트 유니트(50)와 접속되어 상기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가 상기 하우징(20)의 유입구(24)와 접속되지 않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시트 유니트(50)의 위치를 변경시키므로써, 상기 시트 유니트(50)의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가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24)와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유입구(24)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가 상기 하방 취수구(26)와 측방 취수구(2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핸들러(9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내부 공간(22)이 상부로 개구되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 배럴(21)과,
    상기 유입구(24)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배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정수기에 결합되는 체결 배럴(23)과,
    상기 하방 취수구(26)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배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방 배럴(25) 및,
    상기 측방 취수구(28)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베럴(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측방 배럴(27)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 배럴(21), 체결 배럴(23), 하방 배럴(25) 및 측방 배럴(27)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유니트(50)는 일측면에 상기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상기 하방 취수로(52)의 출구(52a)가 형성되며, 상기 하방 취수로(52)의 입구(52a)와 이격되어 외주면 둘레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방 취수로(54)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상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원기둥 형태의 시트 바디(60)와,
    상기 시트 바디(6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8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핸들러(90)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 샤프트(62)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내에서 상기 시트 바디(6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시트 바디(60)가 초기 위치가 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측방 배럴(27)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측방 취수구(28)를 덮는 캡(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KR1020080007486A 2008-01-24 2008-01-24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KR20090081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486A KR20090081554A (ko) 2008-01-24 2008-01-24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486A KR20090081554A (ko) 2008-01-24 2008-01-24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54A true KR20090081554A (ko) 2009-07-29

Family

ID=4129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486A KR20090081554A (ko) 2008-01-24 2008-01-24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5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5306A3 (en) * 2014-05-15 2016-01-21 Robert Rife Water dispenser decontamination device
KR20160020107A (ko) * 2014-08-13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60021498A (ko) * 2014-08-1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02009U (ko) * 2021-02-08 2022-08-17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음료인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5306A3 (en) * 2014-05-15 2016-01-21 Robert Rife Water dispenser decontamination device
US9366013B2 (en) 2014-05-15 2016-06-14 Robert Rife Water dispenser decontamination device
KR20160020107A (ko) * 2014-08-13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60021498A (ko) * 2014-08-1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02009U (ko) * 2021-02-08 2022-08-17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음료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38478B2 (en) Improved faucet with floating seal member
US7090144B2 (en) Water fountain attachment for a faucet
EP2787132A1 (en) Hot water dispenser faucet with thermal barrier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US7093615B2 (en) Water saving faucet valve
WO2007017496A3 (en) System for opening and/or closing an inlet valve and/or an outlet valve of a liquid container
US20110126932A1 (en) Faucet device
ATE395850T1 (de) Mit ventil ausgerichter trinkbecher für säfte
EP2917419B1 (en) Faucet handle with valve cartridge parallel to mounting surface
WO2001090615A1 (es) Valvula distribuidora de agua para grifos de baño y ducha
KR100797773B1 (ko) 정수기의 취수꼭지
US20110272611A1 (en) Water valve body
JP2001026954A (ja) 切り替え弁
ATE425119T1 (de) Zapfhahn zum abgeben von flüssigkeiten aus behältern
KR100870209B1 (ko) Led를 이용한 정수기꼭지 조명 및 개폐장치
US11384851B2 (en) Cartridge assembly for diverting flow
EP3717710B1 (en) Rotatable tap head device
US1205031A (en) Faucet.
US20240076859A1 (en) Pull-out automatic faucet
US11187331B2 (en) Valve assembly
KR100898271B1 (ko) 정수기의 취수꼭지
KR20070087285A (ko) 정수기
JPH0314622Y2 (ko)
US5769392A (en) Water flowrate control device
JP2008095878A (ja) 混合栓および混合栓用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