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287A -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287A
KR20090081287A KR1020080007278A KR20080007278A KR20090081287A KR 20090081287 A KR20090081287 A KR 20090081287A KR 1020080007278 A KR1020080007278 A KR 1020080007278A KR 20080007278 A KR20080007278 A KR 20080007278A KR 20090081287 A KR20090081287 A KR 2009008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ature
citrus
extract
formula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761B1 (ko
Inventor
김기옥
한종헌
고광효
이정아
김행범
강민철
이주엽
김봉석
진호경
안승현
진희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08000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7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 8-메톡시 퀘르세틴 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및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온주밀감, 미성숙과, 비만

Description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ment or treat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 8-메톡시 퀘르세틴 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및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감귤나무의 열매인 감귤은 관상용, 식용, 약용 및 향신료 등에 널리 이용되는데, 열매 껍질을 귤피, 진피, 청귤피, 청피 및 등자피라고 하고 씨앗을 귤핵이라고 하여 예로부터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감귤은 주로 순환계 질환과 각종 체증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에는 감귤 껍질이 음식을 소화시키고 속을 좋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향약대사전에는 소화를 시키고 식중독인 경우에는 이를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감귤은 비타민(vitamin) B1, B2, C 및 각종 유기산(organic acid)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항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리모노이드(limonoid) 및 혈관 강화와 간의 해독 작용, 항암, 항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헤스페리딘(hesperidine)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 1993 Aug; 22(2):225-30).
대한민국 제주도는 아열대 기후대로 기후가 온난하여 한반도에 비하여 채소 및 과일류가 사시사철 생산되는 지역이다. 감귤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만이 생산할 수 있는 작물이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재래 귤로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많은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이런 제주산 감귤의 재배 면적 및 수확량은 많은 증가를 보였으며, 이런 감귤의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감귤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감귤 가공제품은 완숙된 감귤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었다.
한편, 비만이란 에너지 섭취와 소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며 대사 이상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보며,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이 30.0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고지방, 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을 개선하는 방법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는데, 그러한 방법으로서 음식물의 섭취량을 억제하는 식이요법, 운동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운동요법, 체지방을 제거하기 위한 지방 흡입술과 같은 수술요법, 기타 에너지 대사 촉진제, 식욕억제제, 소화 흡수 억제제 등을 이용한 약물요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상기의 방법들은 그 방법들을 중단하였을 때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인체의 요요현상이 나타나거나 영양의 불충분한 공급에 따른 면역력 저하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지닌다. 특히 식욕 억제제 등을 이용한 약물 요법의 경우 우울증, 불면증, 소화 장애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비만치료 약물은 2가지 뿐으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시부트라민(sibutramine; Reductil)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리파제(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오르리스타트(orlistat; Xenical)이 있다(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그러나 이 두 가지 약물 모두 몇 가지 제한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시부트라민(Sibutramine)의 경우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고 심혈관질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박혜순. Sibutramine.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70-3.). 오르리스타트(Orlistat)의 경우에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지방섭취가 서양인에 비해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또한 두 가지 약물 모두 아직까지는 장기간 사용시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만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들의 한계점으로 인해 비만 억제 효과는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므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주도에서 많이 생산되는 감귤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미성숙 감귤 추출물이 비만 억제에 효과적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 8-메톡시 퀘르세틴 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및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을 생체 내에 투여하여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미성숙 감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의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 화학식 2의 8-메톡시 퀘르세틴 3- 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화학식 3의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및 화학식 4의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성숙 감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감귤의 미성숙과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말한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감귤”은 천연, 잡종 또는 변종 감귤속 식물(Citrus)의 과실을 말한다. 상기 감귤속(Citrus)은 온주밀감(C. unshiu)을 비롯 하여 홍귤나무(C. deliciosa), 왕귤나무(C. grandis), 유자나무(C. junos), 여름귤나무(C. natsudaidai), 시트론(C. medica), 라임(C. aurantifolia), 레몬(C. limon), 천지향(C. sinensis), 그레이프프루트(C. paradisi), 향귤(C. aurantium), 러프 멜론(C. jambhiri), 밤호박(C. maxima), 지각(C. aurantium), 편귤(C. tangerina), 빈귤(C. leiocarpa), 사두감(C. pseudogalgul TANAKA), 편귤(C. tangerrina TANAKA), 빈귤(C. leocarpa), 홍귤(C. tachibana TANAKA), 감자(C. benokoji TANAKA), 병귤(C. nippokoreana TANAKA), 동정귤(C. erythrosa TANAKA), 호랑이깡(C. sulcata HORT. Ex. Tan), 나스(C. natsudaidai HAY), 당유자(C. grandis OSBECK) 및 팔삭(C.hassaku HORT. Ex Y.Tan)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귤속 식물 중에서도 특히 미성숙 온주밀감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사용하는 온주밀감(Citrus unshiu)은 운향과(Rutaceae) 감귤속 (Citrus)에 속하는 다년성 상록관목이다. 밀감속 식물을 대별하여 초생감귤아속과 후생감귤아속으로 나누어지며 종(種) 수준에서는 학자에 따라 분류기준을 달리하고 있다. 한편 원예적 분류로는 조생종, 중생종 및 만생종 혹은 온주밀감과 잡감류로 나누기도 한다. 감귤류의 명칭에 있어서 귤(橘), 감귤(柑橘), 밀감(蜜柑), 오렌지(Orange) 등으로 호칭되고 있는데 귤이라 함은 재래감귤을 상징하는 것으로 우리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품질 생식용의 완숙된 감귤을 얻기 위해 매년 적과를 실시한다. 적과는 감귤의 안정적 착과와 해거리 방지 및 최상품의 감귤 완숙과를 얻기 위해 감귤 나 뭇가지로부터 일부의 미성숙 감귤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제거된 감귤 미성숙과는 제품으로 사용하기에 폐기 처분해 왔다. 또한 감귤 재배면적이 점차 확장되면서 수확량 또한 점차 많아져 이에 따른 많은 미성숙 감귤이 발생되고 폐기된다. 7월에서 8월 사이에 수확되는 미성숙 감귤 및 9월에서 10월 사이에 수확되는 미성숙 감귤은 감귤 완숙과 비교하여 성분에서도 큰 차이가 있다. 즉, 미성숙 감귤은 감귤 완숙과에 비해 당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나 감귤의 주요 성분인 나린진(naringin)과 헤스페리딘(hesperid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미성숙 감귤은 상기 나린진(naringin)과 헤스페리딘(hesperidine)을 포함한 폴리페놀이 성숙 감귤에 비하여 다량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은 상기와 같이 폐기 처분되고 있는 미성숙 감귤, 특히 7월과 8월 사이에 수확되는 미성숙 감귤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미성숙 감귤은 편의상 감귤 미성숙과라고 지칭하기도 하며, 상기 미성숙 감귤 또는 감귤 미성숙과는 7월과 8월 사이에 수확되는 미성숙 감귤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성숙 감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 엑기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성숙 감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노말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미성숙 감귤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미성숙 감귤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액의 농축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가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켜 비극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노말헥산, 에테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하도록 하고,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은 건조된 감귤 미성숙과를 세절하여 중량(kg)의 3배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25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용매로;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추출 온도에서;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8일간; 냉침,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 및 농축함으로써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1회 내지 5회 추출한 뒤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 특히 온주밀감의 미성숙과 추출물은 다른 감귤류 및 완숙과(또는 성숙과) 추출물에 비하여 중성지방 함량에서 상당한 정도로 개선하였고, 동물실험에서도 가장 적은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은 비만에 대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만(obesity)”은 에너지 불균형에 의하여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condition) 또는 질환(diseas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몸무게를 감량할 수 있고, 혈중 내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1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2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3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천연물질, 바람직하게는 식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감귤속(Citrus) 식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온주밀감, 가장 바람직하게는 온주밀감의 미성숙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 뿌리, 줄기, 잎, 과실, 꽃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을 추출하여 분리가능하다. 또한, 당 분야의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 합성이 가능하다.
식물로부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을 분쇄한 뒤 저급 알코올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으로 추출한 다음, 이를 증류수에 현탁시켜 비극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헥산, 에테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한 후,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칼럼의 종류와 전개 용매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 다(Harborne J. 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 3rd Ed. pp 6-7, 1998).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온주밀감의 미성숙 과실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이의 증류수 현탁액을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로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추출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흡착크로마토그래피, 겔 필트레이션 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온주밀감의 미성숙과로부터 화학식 1의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 화학식 2의 8-메톡시 퀘르세틴 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화학식 3의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및 화학식 4의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약리학적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및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의미한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칼리 금속, 예들 들어, 나트륨, 알칼리토금속, 예들 들어, 마그네슘,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제주도 특산물인 감귤, 특히 미성숙 온주밀감의 추출물이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밝혀내고, 이의 유효 성분을 밝히고자 미성숙 온주밀감의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흡착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획한 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그로부터 얻은 물질에 대해 자외선 분광광도 스펙트럼, 전자충격 질량 분석, 수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등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온주밀감의 미성숙과 추출물에는 다른 감귤의 성숙과 등에는 없으며 다량 존재하는 새로운 화합물, 즉 화학식 1의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 화학식 2의 8-메톡시 퀘르세틴 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화학식 3의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및 화학식 4의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 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신규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 및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 및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천연물로부터 획득한 성분이므로 안전하고, 독성, 부작용 및 내성을 초래하지 않아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실제, 마우스 급성 실험결과,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기 미성숙 감귤 추출물을 랫트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성숙 감귤 추출물은 전체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0.01 내지 50중량% 포 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전체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0.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 포함된다. 특히, 상기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전체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투여되는 개체의 1kg당 적정량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여되는 개체가 래트(Rat)인 경우 상기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50mg/kg 내지 150mg/kg, 바람직하게는 80mg/kg 내지 120mg/kg의 함량으로 투여될 수 있도록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여되는 개체가 인간인 경우 상기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0.0001 내지 500mg/kg,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mg/kg의 함량으로 투여될 수 있도록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비만이 발생될 수 있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가축에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효를 증가시키지는 않으나 약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B1, B2, B6, C, E, 니아신, 카르니친, 베타인, 엽산 판토텐산, 비오틴, 아연, 철, 칼슘, 크롬, 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무기 또는 유기 첨가물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단독 사용하거나 기존 사용되어진 비만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고 경구 또는 비경구용의 인체 또는 수의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및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 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단위-용량(1회분) 또는 다중-용량(수 회분) 용기, 예를 들면, 밀봉된 앰풀 및 바이알에 제시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멸균성 액상 담체, 예를 들면, 주사용수의 부가 만을 요구하는 동결-건조 조건 하에 저장할 수 있다. 즉석의 주사 용제 및 현탁제는 멸균성 산제, 과립제 및 정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체”는 비만 또는 이의 직, 간접적 원인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경구투여 또는 정맥투여가 바람직하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성별, 연령,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 억제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음료의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01 내지 0.4g, 바람직하게는 약 0.002 내지 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미성숙 감귤 추출물 및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혈중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체중의 증가를 감소시키므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숙성 온주밀감 추출물의 제조
제주산 감귤류 온주밀감(Citrus unshiu) 2종(궁천, 흥진)을 7월 및 9월에 각각 채집하여 수세하고, 분쇄기로 갈아 미세분말로 만든 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를 70% 에탄올로 실온에서 1주일간 교반기로 침출하고, 잔사를 제거한 여액은 감압 및 진공건조를 거쳐 농축시켰다. 이 농축액을 다시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용매를 제거한 후 분말시료를 얻어내어 본 실시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비교 추추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감류 감귤류 7종(한라봉, 하귤, 유자, 당유자, 대삼도, 홍팔삭, 스타치), 궁천 완숙과 과피(peel), 감귤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미숙성 온주밀감 등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비교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1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미숙성 온주밀감 추출물이 감귤박 및 완숙과 과피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특히, 하귤 미숙과, 홍팔삭 미숙과에서 최고 110mg/g까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숙성 온주밀감 2종(궁천, 흥진)은 각각 83mg/g, 80mg/g을 함유하고 있어 총 조추출물에서 8% 내외를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료 건조량 추출물(수율) 폴리페놀함량(mg/g)
미숙과 200g 40.1g (20.1%) 85.9
감귤박 200g 81.1g (40.6%) 7.55
완숙과(과피) 200g 90.5g 18.55
실시예 4: 미숙성 온주밀감 추출물의 HPLC 양상 비교
실시예 1의 미숙성 온주밀감 추출물을 HPLC를 이용하여 UV-detector로 분석되는 양상을 비교한 결과, 대표적인 폴리페놀 화합물인 나리루틴(narirutin) 함량에 있어서 9월에 수확한 미숙성 온주밀감이 7월에 수확한 미숙성 온주밀감보다 약 2.5배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도 2 참조). 따라서, 감귤은 성숙함에 따라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미숙성 온주밀감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제조 및 분석
실시예 1의 미숙성 온주밀감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분별 깔때기를 이용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사용하여 용매 분획한 뒤 여과, 감압 농축하여 각각 4층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들 분획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분획물에서 도 3 및 4의 피크(1번 내지 11번)에 나타난 물질을 더 세분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전개 용매 조건을 잡은 후 순상 실리카 오픈 컬럼(Normal phase column chromatography) 또는 역상 실리카 오픈 컬럼(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오픈 컬럼을 통과한 분획물(fraction)을 더욱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Water Delta Prep-LC(U.S.A)를 이용하였다. 상기 Prep-LC는 SunfileTM Prep-LC ODS 5μm 19× 150mm 컬럼을 장착하였으며, 이동상 용매는 H2O 및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사용하여 기울기 용리로 흘려주었다. 순수하게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NMR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주농업시험장에 기구축된 LC-MS/MS(QuattroMicro v2 tripleMsS/ACQ, Waters)를 이용하여 분리된 화합물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 중 분획층 5번이 하기 화학식 1의 리모시트린-3-글루코즈(limocitrin-3-glucose)이며(도 5 참조), 분획층 6번이 하기 화학식 2의 8-메톡시 퀘르세틴 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8-Methoxy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이며(도 6 참조), 분획층 7번이 하기 화학식 3의 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 (Quercetin 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도 7 참조)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의 NMR 스펙트럼 및 HSQC 스펙트럼 등을 하기 표 2 내지 4와 도 5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또한, 클로로포름을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 중 분획층 4번이 하기 화학식 4의 5,6,7,8,3',4'-헥사메톡시퀘르세틴3-오-[6”-(3”’-하이드록시-글루타로일)-베타-디-글루코피라노시드](5,6,7,8,3',4'-HexaMethoxyQuercetin3-O-[6”-(3”’-hydroxy-3”’-methyl-glutaroyl)-β-D-glucopyranoside])임을 밝혔고, 이의 NMR 스펙트럼을 하기 표 5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5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6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7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8
실시예 6: 동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반복 경구투여시의 비만 억제 효과 검증
건강한 SD rat 50마리 (6주령)를 주)오리엔트 바이오동물센터로부터 분양받은 후 1주일 동안 정상식이를 급여하였고, 1주일 후부터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6 처리구(정상식이, 10% 지방(Fat) 식이, 온주밀감 7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9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성숙과 과피 추출물, 온주밀감 미성숙과 발효 추출물)를 구성하였다. 급여방법은 자유식이를 하였으며, 섭취량을 매일 측정하여 섭취량을 조사하면서 1주일마다 몸무게를 계산하였고, 총 6주 동안 몸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사육기간 종료 후 12시간 공복을 실시한 후 케타민(ketamin)을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 혈액채취 하여 혈장 내 지질농도, GOT, GPT, LDL, HDL 등을 각각의 측정용 키트(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용 키트는 아산제약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각 투여군의 마우스는 방혈한 후 간 조직을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여 조직검사를 하였다. 조직검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포매 절편을 만들어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200X에서 관찰 및 촬영하였다.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6주 동안의 급여 및 식이에서 마우스의 체중변화는 고칼로리(10% Fat 식이) 급여에서 정상식이보다 약 26g 증가하였으나, 온주밀감 7월 미성숙과 추출물 급여에서는 정상식이보다 약 13g 정도의 체중 증가로 가장 적은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다(도 9). 또한, 각 투여군의 마우스를 해부한 사진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투여량(100 mg/Kg)
정상식이 342.6
고칼로리 368.2 (+26g)
고칼로리 + 7월 미숙과 추출물 투여 355.8(+13g)
고칼로리+ 9월 미숙과 추출물 391.3(+69g)
고칼로리+ 완숙과 과피(peel) 382.8(+40g)
고칼로리+ 미숙과 발효추출물 371.2(+29g)
혈장 콜레스테롤 측정결과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식이(75± 11 mb) 및 고칼로리식이(63±12mb)는 오차범위에 속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처리구에서 콜레스테롤 함량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중성지방(TG) 함량은 정상식이 (80±15mb)에 비해 고칼로리식이(192±15mb)에서 약 2.5배 증가 하였으나, 저농도 7월 미숙과 추출물 투여(83±7mb)에서는 현저한 TG 개선 효과를 보였다(도 11 참조).
간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GOT 및 GPT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상구와 처리구 모두 오차범위에 있어 독성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2).
그리고 각 투여군의 간 조직 검사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 Fat 식이(고칼로리)에서 지방간 형성이 진행되고 있음이 관찰되었으나, 고농도 미성숙과 투여(100mg/kg)에서는 정상식이와 같이 지방구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한 체증 증가율, 혈장 TG 함량 및 간 해부학적 소견을 종합할 때, 미성숙과 7월 감귤 추출물 투여가 비만 개선에 가장 효과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급성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 6에서 실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 및 화합물을 각각 100㎎/㎏의 용량으로 6주간 경구 투여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약품 또는 식품 등에 포함되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2의 미성숙 온주밀감 추출물을 포함한 다양한 감귤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미성숙 온주밀감의 수확 시기에 따른 추출물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7월에 수확한 미성숙 온주밀감의 추출물을 핵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한 분획물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7월에 수확한 미성숙 온주밀감의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으로 분획한 분획물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5번 피크에 해당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1H-NMR spectrum 및 13C-NMR spectrum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6번 피크에 해당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1H-NMR spectrum 및 HSQC spectrum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4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7번 피크에 해당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의 1H-NMR spectrum 및 HSQC spectrum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3의 클로로포름 분획층에서 4번 피크에 해당하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의 1H-NMR spectrum 및 13C-NMR spectrum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마우스에 6주 동안 10% Fat(고칼로리), 10% Fat(고칼로리) 식이와 함 께 온주밀감 7월 및 9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성숙과 과피 추출물 및 온주밀감 미성숙과 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6주 동안 10% Fat(고칼로리), 10% Fat(고칼로리) 식이와 함께 온주밀감 7월 및 9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성숙과 과피 추출물 및 온주밀감 미성숙과 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를 해부한 경우 체내 지방의 축적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마우스에 6주 동안 10% Fat(고칼로리), 10% Fat(고칼로리) 식이와 함께 온주밀감 7월 및 9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성숙과 과피 추출물 및 온주밀감 미성숙과 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혈중 내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마우스에 6주 동안 10% Fat(고칼로리), 10% Fat(고칼로리) 식이와 함께 온주밀감 7월 및 9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성숙과 과피 추출물 및 온주밀감 미성숙과 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GOP 및 GPT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마우스에 6주 동안 10% Fat(고칼로리), 10% Fat(고칼로리) 식이와 함께 온주밀감 7월 및 9월 미성숙과 추출물, 온주밀감 성숙과 과피 추출물 및 온주밀감 미성숙과 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을 헤마톨리신-에오신 염색 후 관찰한 것이다.

Claims (8)

  1.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5822155-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0
    화학식 3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1
    화학식 4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3
    화학식 2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6
  5.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7
  6.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8
  7.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112008005822155-PAT00019
  8. 미성숙과 감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112008005822155-PAT00020
KR1020080007278A 2008-01-23 2008-01-23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278A KR101162761B1 (ko) 2008-01-23 2008-01-23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278A KR101162761B1 (ko) 2008-01-23 2008-01-23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287A true KR20090081287A (ko) 2009-07-28
KR101162761B1 KR101162761B1 (ko) 2012-07-05

Family

ID=4129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278A KR101162761B1 (ko) 2008-01-23 2008-01-23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7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566A (ko) * 2014-11-10 2016-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염증 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126008A1 (ko) * 2015-02-02 2016-08-11 홍삼나라(주)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414787B2 (en) 2013-03-14 2019-09-17 Mars, Incorporated Flavor composition containing HMG glucosides
KR102555625B1 (ko) 2023-01-30 2023-07-18 디와이엠 주식회사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633B1 (ko) 2013-07-03 2015-11-1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515226B1 (ko) * 2019-10-28 2023-03-2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풋귤 및 검정무의 혼합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4787B2 (en) 2013-03-14 2019-09-17 Mars, Incorporated Flavor composition containing HMG glucosides
KR20160055566A (ko) * 2014-11-10 2016-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염증 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126008A1 (ko) * 2015-02-02 2016-08-11 홍삼나라(주)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5625B1 (ko) 2023-01-30 2023-07-18 디와이엠 주식회사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761B1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02423A1 (en) Remedies
US20220080018A1 (en) Method for preparing iridoid-rich noni fruit extract or fraction thereof, method for preparing immune-enhancing active material-rich noni fruit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nd use of noni fruit extract or fraction thereof
EP3017821B1 (en) Composition having a function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pain
KR101162761B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588469B1 (ko) 생강에서 분리된 쇼가올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Mahomoodally et al. Nutritional, medici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parts of the date palm and its fruit (Phoenix dactylifera L.)–A systematic review
Przybylska et al. A review on bioactive iridoids in edible fruits–from garden to food and pharmaceutical products
KR101959731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133338A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67372B1 (ko) 신규 리그난 화합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KR20210130588A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21915B1 (ko) 결명 새싹 유래 나프토파이론 유도체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642291B1 (ko)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758263B1 (ko) 신규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 및 선퇴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08908B1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62962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복분자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13526B1 (ko)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