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751A -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751A
KR20090079751A KR1020080005956A KR20080005956A KR20090079751A KR 20090079751 A KR20090079751 A KR 20090079751A KR 1020080005956 A KR1020080005956 A KR 1020080005956A KR 20080005956 A KR20080005956 A KR 20080005956A KR 20090079751 A KR20090079751 A KR 2009007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
backward
lighting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강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환 filed Critical 강두환
Priority to KR102008000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751A/ko
Publication of KR2009007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의 집광도 및 조명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가 장착된 조명장치에 대한 건으로 종래의 조명장치로부터 새로운 개념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조명 조절용 조리개가 장착된 것으로써 반사판의 외경과 반사구의 체적을 사용목적에 따라 크고 작게 조절되도록 발명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조리개를 펼침과 접힘 동작으로 전환하여 광원에 의한 조명이 크게 확산되기도 하고 작게 집중 조명되게 함으로써 조명의 집광도 및 조명 크기의 대소에 따라 조명의 강·약 조절로 원거리·근거리 조명효과가 가능하도록 하고 인테리어 조명의 미적 효과를 이루게 하는 조명장치이다
조명, 조리개, 집광도, 원근 효과, 모터, 엘이디, 광원, 반사구

Description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WITH SHUTTER}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인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조명장치에 장착된 조리개가 펼쳐지고 접힘에 따라 조명의 집광도와 조명의 크기가 조절 가능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한 직선 운동으로 조리개가 펼쳐지고 접힘으로써 반사판의 외경크기와 반사구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조명이 확산 또는 집중되기도 하고 조명크기가 크고 작게 조절될 수 있어 조명의 강·약과 원근 조명 효과나 인테리어 조명의 미적 효과를 이루게 하는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용 방법에 따라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장치의 기능의 목적을 집광도와 조명크기에 따른 원근 조명와 인테리어적 조명효과를 꾀할 수 있는 조리개가 구비된 조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있어 조명의 역할이 단순 조명으로부터 점차 다양하게 확산됨에 따라 용도가 실내조명, 조경용 인테리어 조명, 영업용 기능성 조명 그리고 사회 기반 시설용 안전 및 경고 조명등 다방면에서 새로운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원도 텅스텐 재질의 백열전등, 수은등으로부터 엘이디 그리고 태양열에 의한 태양광 등 새로운 광원에 대한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용용도 및 광원 종류에 따라 디자인과 함께 특성 및 기능이 더욱 전문화됨에 따라 구조도 복잡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양한 제품에 대하여 휘도와 같은 성능이 뛰어나고 경제적으로 절전율이 뛰어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그리고 특히 환경문제에 관하여도 친화적인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차별화된 기능을 조명시장에서 요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광원으로써 엘이디가 채택된 조명장치의 경우 다양한 칼라전환과 조명 강·약 조절이 용이하고 휘도와 내구성이 좋고 열 발생율이 낮아 앞으로도 다양한 조명등으로 채택될 전망이다.
이러한 다양한 시장의 요구와 추세에 맞추어 본 발명으로 조리개가 장착된 조명장치를 새롭게 고안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반사경의 크기에 따라 조명 대상 면적이 정해져 있고 원근 조명 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히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광원의 점멸을 통해서 그 기능을 대체해왔다.
그러나 반사경의 크기나 반사구의 공간 체적을 조절하는 구조는 복잡하기 때문에 상용화하는 자체가 시도되지 않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조명장치를 살펴보면 등록 실용신안 공보 20-0263727(등록일자 : 2002년 1월 28일) '탁자용 복합 인테리어 조명기기'에서 엘이디(LED)나 이엘(EL)은 기존의 일반 형광등이나 삼파장 형광등에 비해 밝기는 다소 떨어지지만, 다양한 색을 낼 수 있고, 색의 순도도 좋을 뿐 아니라, 시 자극도 적고 수명이 훨씬 길면서도 소비전력은 적고, 발광시 열이 없어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분위기를 선택적으로 하기위해 여러개의 버튼으로 된 복합 조명기기에 대한 것이다. 즉 버튼 조작에 의해 다양한 기능 동작을 하는 고안사항으로 주 제어회로에 의해 엘이디(LED)나 이엘(EL)을 점등시키는 인테리어적 조명기기로 본 발명의 취지나 목적과는 어느 곳도 상치되지 않는다.
또 등록 실용 신안 공보 20-0271741(등록일자: 2002년 3월 29일) '조명의 방향과 밝기조절장치'에서는 조명의 방향을 원격적으로 조절하고, 조명의 밝기를 원격적으로 모터구동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장치와 이에 대한 콘트롤보드의 시스템 구성에 관한 것이나 이 고안은 모터구동에 의해 좌우,상하로 방향이 조절되는 구동장치이며 밝기도 콘트롤보드의 시스템으로 조절되는 것에 착안한 바 본 발명과는 상치되는 것이 없었다.
또 등록 실용신안 공보 20-0350749(등록일자: 2004년 5월 6일) '조명장치의 조명구조'에서는 조명장치의 반사판의 배치구조와 일종의 집광을 확대할 수 있는 조명구조이나 본 발명의 조리개가 장착된 조명장치와는 기본적으로 다른 구조 및 시스템이다
즉 반사판의 형태를 호선형으로 이루도록 하여 형광등의 광량이 소진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명효과를 향상시키고 빛이 소진되는 것을 억제하는 조명장치로 본 발명의 집광도와 조명크기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원근조명효과와 조명면적에 대한 조절이 되는 조리개를 확대·축소하는 기능과는 상이한 구조와 시스템이었다.
또 등록특허공보(등록일자 2007년 05월 08일) 10-0717994 '램프커버 회전형 직간접 조명기구'를 살펴보면 빛을 좌·우 방향으로 멀리 보낼 수 있는 반사면이 좌·우로 경사져 있는 루버형 램프커버에 관한 발명으로 램프커버가 회동가능 하도록 구조를 강구함으로써 조명등 기구가 설치된 장소, 사용 용도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직접, 또는 간접조명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방향으로 선택적인 조명이 가능한 것으로 금번 출원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조리개의 펼침과 접힘에 의한 조명 집광도 및 대·소 조명 효과를 조절하는 구조와는 상이한 발명사항이었다.
상기에 언급한 발명 및 실용신안이 본 발명의 취지와 가장 유사한 것을 발췌한 것이나 위에서 언급한 바 서로 상치되는 것이 없고 조리개를 조명장치에 사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상용화가 시도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조리개가 펼치고 접힘에 반사판의 외경크기와 반사구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의 집광도와 조명크기 조절에 따른 원근 조명효과, 그리고 인테리어 조명효과를 하는 곳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원근조명효과로 안전기능을 요하거나 광고나 홍보용등 노출 목적을 꾀하는 곳에 적합한 발명이다. 그리고 다양한 조명연출로 디자인과 인테리어 효과로 고급스러운 장착용 실내·외 장식용으로도 적합하다
종래의 단순광원의 세기조절이나 점멸에 의한 조명효과로는 상기의 원근조명효과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
즉 횡단보도 신호등, 급거브 표시동, 분리대 표시등 인명의 안전과 직결되는 안정 경고등이나 주간조명등 특수용도나 목적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실내의 인테리어나 실외 조경등으로 사용이 되면 더욱 고급스럽고 화려한 조명 효과에 의한 아름답고 색다른 연출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면 전시장이나 백화점의 고급 매장에 예술적 감각의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자리 및 일의 자리수, 또는 십의자리, 일의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도1, 도2, 도3, 도5, 도6에 도시된 진동 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 장치와 도4, 도7에 도시된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그 구동 메카니즘은 대동소이하며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와 관련하여 구동장치는 크게 차이가 없는 부분들은 도1, 도2, 도3에 도시된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참조 기호를 생략한다.
도1 내지 도2, 도3에서와 같이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크게 조리개부(10), 전·후진 구동을 펼침과 접힘 기능으로 전환시키는 조리개 구동부재(20), 모터부(30),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진 운동으로 구동시키는 전·후진 구동수단(40), 모터의 회전·정지 및 조명등의 점등·소등과 칼라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50), 조명부(60), 조명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부재나 기타 부속품(7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조리개부(10)은 날개(11)와 구동날개(12)가 다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고정하여 펼침과 접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개 베이스(13)과 날개 고정판(14)로 구성되어 있다.
날개(11)의 형상과 재질은 사용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날개의 크기와 숫자도 조리개의 기능 및 상품성에 문제가 없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설계·디자인 할 수 있다.
이에 투명·반투명·불투명 재질과 반사코팅 유무에 따라 조명등의 효과를 여러 형태로 만들 수가 있다.
도1, 도2, 도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제품구성 및 부품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날개(12)는 날개의 형태가 날개(11)와 동일하지만 날개(11)를 펼침과 접힘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조리개 구동부재(20)로부터 전·후진 운동을 전달받아 구동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동날개(12)의 구동부의 구조는 단순하면서도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견고한 형태로 되어 있어야 한다.
조리개 베이스(13)는 다수의 날개(11)과 구동날개(12)를 조립 및 고정시켜 주고 또한 펼침과 접힘의 기능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고 조명등이 있는 조명부(60) 가 장착되어지며 형태에 따라서는 반사판의 오목·볼록 모양등 다양하게 이룰 수 있다.
날개 고정판(14)는 날개(11)과 구동날개(12)가 조리개 베이스(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조리개 베이스(13)에 고정시키는 고정 판넬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조리개 구동부재(20)는 전·후진 구동수단(40)으로부터 힘을 받아 조리개부(10)가 펼침과 접힘기능을 할 수 있도록 운동을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조리개 구동부재(20)은 전진이나 후진의 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힘을 다수의 구동날개(12)로 힘을 분배하면서 전달하는 구동부재(21)와 전·후진 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힘을 연결해 주는 구동링크(22), 그리고 구동날개(12)와 구동링크(22)를 고정하는 날개 회전핀(23), 구동부재(21)와 구동링크(22)를 고정하는 구동부 회전핀(24)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부(30)는 전원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31)가 주요부품이며 필요에 따라 회전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32)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회전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진 구동수단(40)은 모터부(30)으로부터 일정한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이를 전·후진 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전·후진 구동수단(40)으로부터 작동되는 전·후진 운동은 조리개 구동부재(20)으로부터 전달되어 다수의 구동날개(12)로 하여금 날개(11)가 펼침·접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전·후진 구동수단(40)은 원통형의 내부 중심에 나사 가공 되어 있는 전·후진 너트(41)와 베벨 기어(46)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전·후진 스크류(44), 전·후진 너트(41)의 이동에 따라 전·후진 힘을 전달해 주는 장착부재(42), 장착부재와 구동부재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나사(47), 구동케이스(45), 그리고 베벨기어(46)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지지해 주는 회전구(43), 전·후진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후진 멈춤 스위치(48), 전진 멈춤 스위치(49)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장치부(50)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조명등의 점등·소등을 작동시키는 기능으로써 메인제어부(51)와 제어부 고정장치(52)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부(60)는 일반적인 조명기능을 하는 장치로써 다양한 조명등을 취사 선택할 수 있지만 사용용도 및 기능 특성을 제고하면 본 발명에 적합한 조명등으로 소비전력이 적고 가능한 발열량이 적으면서 내구성이 뛰어난 엘이디(LED)나 태양열에 의한 태양광등을 사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특히 다양한 색상의 연출이 필요로 하는 곳에 상기 엘이디(LED) 선택이 가장 바람직 할 수 있다.
조명부(60)는 조명판넬(또는 조명등)(61)과 조명 고정구(62)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외관부재 및 기타 부속품(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5 및 도6, 도7에 실시예를 도시한 것처럼 조명장치의 사용용도 및 기능, 그리고 설치장소와 인테리어적 요소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장착 조리개 수량에 따라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와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등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상기 구조 및 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것으로 단수 조리개부(10)의 구성은 동작 방식은 동일하나 각 조리개의 크기와 수량만을 달리하여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여러겹(대형, 중형, 소형)의 조리개를 하나의 조리개 베이스(13)에 장착한 것이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와 차이점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모터부(30)와 전·후진 구동수단(40)은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로 대체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조리개부(10)의 펼침·접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리부 구동부재(20)를 전·후진시키면 가능하기때문에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전동모터에 의한 전·후진 수단을 제시한 바 전·후진 구동 수단이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에 의한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작동원리 및 동작은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도2에서는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보면 전원이 바로 인가되지 않은 소등상태에서는 조리개부(10)가 접혀 있으며 모터부(30)와 전·후진 구동수단(40)은 정지되어 있다.
이때 약 상태의 조명세기로 점등을 하면 조리개부(10)가 계속 접혀 있기 때문에 조명등은 약한 조명세기로 상부의 반사판으로 은은하게 점등이 되어 실내는 간접조명 및 적은 조명면적의 직접조명을 받게 된다
그리고 현재 약 상태의 조명세기를 강으로 스위치를 조작을 하면 제어장치부(50)으로 신호가 전달되어 조명등(61)이 서서히 강해지면서 모터부(30)의 모터(31)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 회전은 감속기(32)를 통해 적절한 회전속도로 운전하게 된다
이 회전력은 도1a에 도시한 전·후진 구동수단(40)의 베벨기어(46)으로 전달된다
베벨기어(46)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전·후진 스크류(44)를 회전시키게 된다. 전·후진 스크류(44)가 회전하면 이 힘은 전·후진 너트로 전달되는데 전·후진 너트(41)는 내부 중심에 나선 가공이 되어 있어 전·후진 스크류(44)가 회전함에 따라 전진·후진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전·후진 너트(41)의 한쪽 끝단면에 장착부재(42)가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구동부재(21)와 고정나사(47)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재(21)를 전·후진 동작시키게 된다. 전·후진 거리는 강·약 조절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곧 조리개부(10)의 펼침과 접힘량이 정해지게 된다
즉 완전히 강 상태로 스위치가 조작되면 도1b에서 도시된 것처럼 전·후진 너트(41)의 전진거리가 가장 크게 되면서 조리개부(10)가 완전히 펼침상태가 된다.
도2a에서 조리개부(10)의 날개 동작 메카니즘에 대한 상세 구조도에 도시된 바 전·후진 너트(41)의 전진거리가 커지면서 조리개 구동부재(20)를 조명등(61) 방향으로 밀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조리개 구동부재(20)의 구동링크(22)는 조리개부(10)의 구동날개(12)를 밀게 된다. 구동날개(12)는 밀리면서 구동링크(22)를 전진과 회전을 동시에 동작시킨다.
구동링크(22)의 회전력은 다시 구동날개(12)를 펼침과 같은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결국 구동링크(22)는 날개 회전핀(23)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구동날개(12)에 연결되어 있는 날개 회전핀(23)이 점차 안으로 움직여 지는 힘은 구동링크(22)로 전달되어 구동부 회전핀(24)를 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결국 전·후진 너트(41)의 전진 이동은 구동부재(21)으로 전달되고 한 축으로 전달된 힘을 구동부재(21)는 다수의 구동날개(12)로 분배하여 전진방향으로 전달시키고 이 힘이 구동링크(22)와 구동날개(12)를 전진 및 회전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구동날개(12)는 조리개 베이스(13)의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는데 구동날개(12)에 겹쳐져 있는 날개(11)은 동시에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펼침 상태 동작에 대하여는 도[2b]에서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1c]와 [2c]에서는 반대로 조리개부(10)가 접히는 동작을 도시하였다.
조명세기가 강 상태에서 약으로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장치부(50)의 메인제어부(51)가 신호를 받아 모터부(30)의 모터(31)가 반대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모터(31)의 회전은 감속기(32)를 통해 제어가능하기 적절한 속도로 감속되어 베벨기어(46)을 통해 전·후진 너트(41)가 후진되도록 한다. 즉 전·후진 스크류(44)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너트(41)가 후진하게 된다.
도[2c]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 너트(41)에 부착된 장착부재(42)는 구동부재(21)에 고정나사(47)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부재(21)가 후진하면서 구동날개(12)를 잡아 당기게 된다.
구동날개(12)에 겹쳐져 있던 날개(11)들이 동시에 접히게 된다. 점차 구동부재(21)가 후진됨에 따라 구동날개(12)는 조리개 베이스(13)의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이 회전력은 구동링크(22)로 전해져 구동링크(22)가 날개 회전핀(23)을 축으로 후진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구동링크(22)는 구동부 회전핀(2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부재(21)에 따라 후진하게 된다.
구동부재(21)는 후진 멈춤 스위치가 동작할 때까지 후진하고 제어장치부(50)의 메인제어부(51)에 신호가 전해져 모터(31)가 회전을 멈추게 되면서 구동부재(21)의 후진도 멈추게 된다.
이때 날개(11)는 완전히 접혀지게 되고 조명등(61)이 약 상태의 조명세기로 전환되면서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또 하나의 특성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조리개를 펼침과 접힘을 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구동부재(21)가 모터(31)의 정회전, 역회전에 따라 전·후진 운동을 하면서 다수의 날개(11)들이 구동날개(12)와 함께 펼침과 접힘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접힐 때에는 조명등의 조명세기가 강 상태에서 약으로 펼쳐질 때에는 약 상태에서 강으로 자동으로 절환을 반복하게 된다.
도3에서는 접힘 상태와 펼침상태에 있어서 조명등 배치 구조에 따른 직·간접 조명 및 반사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조리개부(10)가 반사판과 반사구로써 역할 할 때의 조명등(61)의 빛의 조명상태와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도3의 [3a]는 접힘 상태에서 직접 조명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조명등(61)이 약한 경우에는 조리개(10)가 접혀 있기 때문에 적은 면적의 약한 조명효과만 나타내지만 조명등(61)이 강한 경우에는 조리개(10)가 반사구의 역할을 하여 반사판으로 인하여 원거리의 강력한 조명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조경등으로써 부분 조명을 강하게 그리고 집중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도3의 [3b]는 펼침 상태에서 직접 조명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조명등(61)이 약한 경우 넓은 면적의 조명효과로 근거리 조명이 가능하여 가시 피로도를 줄여 줄 수가 있다. 조명등의 조명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넓은 면적의 강한 조명등으로 일반적인 조명등용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실내 조명등으로 많이 활용될 수 있는 구조가 도3의 [3c]와 같은 펼침상태에서의 간접 조명의 경우이다.
[3c]의 경우 조리개(10)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조명등(61)이 강한 경우 간접조명으로 넓은 면적을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도를 작게 하고 조명효과가 크기 때문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조리개(10)의 날개(11)의 재질을 반투명의 플라스틱제로 제작하는 경우 조리개(10)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3d]의 경우에는 조리개(10)가 접힌 상태에서 조명등이 약한 경우 조리개(10)의 형상이 은은하게 비치면서 실내의 부분 조명이 가능해 진다.
특히 조명등의 색깔과 조리개의 재질 선택에 따라 독창적이면서도 다양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리개(10)가 접힌 상태에서 조명등이 강한 경우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일정한 조명세기 대비 집중조명을 얻을 수 있어 부분 조명을 하거나 장거리 노출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도3에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조리개(10)를 장착함으로써 조명등(61)의 조명 집광도와 조명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배치 구조 및 반사판의 위치에 따라 직·간접 조명 효과를 더욱 배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도4에서는 도1, 도2, 도3에서 도시한 구조로 대형날개(11A)의 조리개(10A)와 중형날개(11B)의 조리개(10B) 그리고 소형날개(11C)의 조리개(10C)를 조합한 것으로 다원의 조리개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입체 조명 효과를 이용한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를 도시하였다
대형 조리개부(10A)를 대형 조리개 베이스(13A)에 설치하고 중형 조리개부(10B)를 중형 조리개 베이스(13B)에, 소형 조리개부(10C)를 소형 조리개 베이스(13C)에 중첩하여 설치하면 각각의 대형 구동날개(12A), 중형 구동날개(12B), 소형 구동날개(12C)는 모터부(30)의 모터(31)의 정회전, 역회전에 따라 대형 구동부재(21A), 중형 구동부재(21B), 소형 구동부재(21C)의 전·후진 운동에 의하여 펼침·접힘 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날개에 겹쳐져 있던 대형날개(11A), 중형날개(11B), 소형날개(11C)도 동시에 펼침·접힘 운동을 하게 된다
각각의 베이스에 조립되어 있는 대형 조명등(61A)과 중형 조명등(61B) 그리고 소형 조명등(61C)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점멸을 다양하게 조작하는 경우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조명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외형적으로 하나의 조리개(10)가 장착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나팔꽃 형상을 이룬다고 하면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국화꽃 형상의 조명장치가 될 것이다
즉 하나의 전·후진 구동수단(40)에 의한 전·후진 운동에 따라 대형 조리개부(10A), 중형 조리개부(10B), 소형 조리개부(10C)가 동시에 펼침·접힘 동작으로 전환된다
또 하나의 특성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조리개(10A, 10B, 10C)들을 동시에 펼침과 접힘을 할 수 있는 자동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21)가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운동을 하면서 대형 조리개부(10A), 중형 조리개부(10B) 그리고 소형 조리개부(10C)가 함께 펼침과 접힘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접힐 때에는 조명등의 조명세기가 강 상태에서 약으로, 펼쳐질 때에 는 약 상태에서 강으로 자동으로 동작이 절환을 반복하게 된다
도5는 단수 조리개로 구성된 간접 조명에 의한 탁상용 조명등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5a]는 조리개부(10)의 접힘 상태에서 [5b]는 조리개부(10)의 펼침 상태에서의 동작 상태에 대한 도시이다.
탁상용 조명등은 각종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바디(77)와 조명등을 포함한 조명 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상부 바디(75), 이를 연결해 주는 스탠드(76) 조명등의 빛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간접 조명효과를 이루는 반사판(72)과 반사판 케이스(71), 조명장치의 조리개부(10)을 보호해 주는 유리 케이스(73), 그리고 반사판(72), 반사판 케이스(71), 유리 케이스(73)을 상부 바디(75)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대(7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a]에서 도시한 것처럼 조명장치를 소등한 경우에는 조리개부(10)가 접힘 상태에 있다. 즉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거나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를 약 조명으로 설정한 경우 조리개부가 접힘 상태로 설계하였다면 [5a]에 도시도와 같게 된다.
그러나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를 강 조명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5b]에 도시한 것처럼 조리개부(10)가 펼침 상태로 된다. 이 때 하부 바디(77)에 있는 조정 스위치를 누르면 [5a]의 약 조명은 [5b]의 강 조명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조리개부(10)는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되고 반대로 [5b]의 강 조명 상태에 있던 경우에는 약 조명 상태로, 그리고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바디(77)에 있는 무드 또는 자동 스위치를 누르면 조명세기는 강·약으로, 조리개부(10)는 펼침과 접힘을 반복 절환하게 된다.
도5는 단수 조리개로 구성되어 있고 조명등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조리개부(10)가 펼침과 접힘 동작에 따라 인테리어적으로 반사판(72)에 다양한 미적 조명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6은 단수 조리개로 구성된 직접 조명에 의한 조경등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6a]는 조리개부(10)가 접힘 상태로써 소등 및 약 조명시 동작 상태이며 [6b]는 조리개부(10)가 펼침 상태로써 강 조명시 동작 상태에 대한 도시이다.
조경등은 각 종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콘트롤부(80)와 바닥 또는 벽, 천정에 부착할 수 있는 하부 바디(77), 조명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상부 바디(75), 이를 연결해 주는 지지대(74) 조명등의 빛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직접 조명 효과를 이루는 반사판(72), 조명장치의 조리개부(10)을 보호해 주는 유리 케이스(73) 그리고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고정해 주는 바디 고정구(78)과 회전 고정구(7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6a]에서 도시한 것처럼 조명장치를 소등한 경우에는 조리개부(10)가 접힘 상태에 있다. 즉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소등 상태이거나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에서 조리개부(10)를 접힘 상태로 강 조명이 되도록 설계한 경우에는 [6a]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집광도가 높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집중 조명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6b]에 도시한 것처럼 조리개부(10)가 펼침 상태로 강 조명이 되는 경우에는 집광도가 낮고 조명크기가 넓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확산되는 분산조명에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콘트롤부(80)의 집광도를 나타내는 강·약 조절 스위치를 동작하면 스위치 위치에 따라 조명등의 집광도와 조리개부(10)의 펼침·접힘 상태가 조절되어 선택되어진다. 강·약 조절 스위치의 위치가 중간에 있는 경우 조명등의 집광도는 강약의 중간 세기로 동작되며 조리개부도 반만 펼쳐지게 된다.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에서 강·약 조절 스위치가 놓여 있는 위치에 따라 조명의 세기와 조리개부의 펼침과 접힘의 상태와 조건이 연동되도록 설계되어진다.
그리고 콘트롤부(80)에 있는 무드 또는 자동 스위치를 누르면 조명의 집광도는 집중과 확산으로, 조명 세기는 강과 약으로 조리개부의 펼침과 접힘과 연동하여 반복적으로 절환하게 된다.
본 실시예로 설명한 조경등에 있어서 바디 고정구(78)과 회전 고정구(79)는 조명등의 빛의 조명위치를 맞추는데 사용되어진다 바디 고정구(78)는 좌·우의 각도를, 회전 고정구(79)는 상·하 각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의 조경등은 영업장에서 광고용 인테리어 조명등으로도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다. 조명등의 색상과 조명세기, 조리개의 재질 선택 및 색상 배합에 따라 조리개부의 펼침과 접힘 동작을 연동하면 보다 고급스럽고 화려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7은 복수 조리개로 구성된 다원 입체 조명 효과를 이용한 조명등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복수 조리개가 동시에 펼침과 접힘 동작을 할 수 있는 조명등으로써 입체적인 조명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조명등은 각 종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 된 콘트롤부(80)와 벽·천정에 부착할 수 있는 하부 바디(77), 조명등을 포함한 조명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상부 바디(75), 이를 연결해 주는 스탠드(76)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부속품은 단수 조리개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기능의 같은 명칭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7에 있어서 콘트롤부(80)에 전원을 넣으면 소등 상태에 있던 약 조명 상태와 복수의 조리개들의 접힘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조명등을 강 조명으로 하기 위해 강 스위치를 누르면 조명세기는 점차 강으로 전환되고 복수 조리개들은 점차로 동시에 펼침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적정한 위치에서 스위치 작동을 멈추면 조명세기 정도와 펼침 정도가 정해지면서 조명장치의 동작이 멈추어진다.
반대로 약 조명으로 하기 위해 약 스위치를 누르면 조명세기는 점차로 약으로 전환되고 복수 조리개들은 점차로 동시에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적정한 위치에서 스위치 동작을 멈추면 조명세기 정도와 접힘 정도가 정해지면서 조명장치의 동작이 멈추어진다.
그리고 자동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조명세기는 강·약으로, 복수의 조리개들은 펼침과 접힘의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해서 절환하게 된다.
이때 조명등의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하면 입체적인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 다.
전원을 끄게 되면 조명등은 소등이 되고 복수의 조리개들은 모두 접힘의 위치로 전환되고 모든 동작이 멈추어진다.
본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는 가장 고급스럽고 화려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복수의 조리개들이 상호 간섭없이 동시에 펼침과 접힘 동작을 함으로써 가장 자연의 꽃의 형태를 연상시키며 조명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복수 조리개의 다양한 재질 선택과 함께 조리개에 대한 후처리를 투명·반투명·불투명하게 코팅함으로써 입체적 조명효과가 조명등의 조명색상과 복합적으로 어울어져 복수 조리개가 장착된 구조의 조명장치에서만 연출 가능 하도록 한 장치이다.
도1에 있어서 [1a]는 본 발명에 있어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1b]는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펼침 상태 동작'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1c]는 '전동모터에 의한 단수 조리개 접힘 상태 동작'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2에 있어서 [2a]는 본 발명에 있어 '날개 동작 메카니즘에 대한 상세 구조도이다.
[2b]는 펼침 상태 동작에 대한 사시도이고 [2c]는 접힘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3은 조명등 배치 및 구조에 따른 직접 또는 간접 조명 및 반사에 대한 것으로 [3a]는 직접조명에 있어서 접힘상태 동작에 대한 도시이고 [3b]는 직접조명에 있어서 펼침상태 동작에 대한 도시이다
[3c]는 간접조명에 있어서 접힘 상태 동작에 대한 도시이고 [3d]는 간접조명에 있어서 펼침상태 동작에 대한 도시이다.
도4는 다원 입체 조명 효과를 이용한 복수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4a]는 복수 조리개 날개 동작 메카니즘에 대한 상세 구조도이고 [4b]는 [4a]를 전면에서 본 구조도이고 [4c]는 복수 조리개 장착 구조에 대한 구동장착부재에 대한 조립 구조도이다.
도5는 단수 조리개로 구성된 간접조명에 대한 탁상용 조명등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5a]는 이에 대한 접힘상태에 대한 도시이고 [5b]는 이에 대한 펼침 상태에 대한 도시이다.
도6은 단수 조리개로 구성된 직접조명에 대한 조경등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6a]는 이에 대한 접힘상태에 대한 도시이고 [6b]는 이에 대한 펼침상태에 대한 도시이다.
도7는 복수 조리개로 구성된 다원 입체조명효과를 이용한 조명등의 실시예에 대한 도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개부 20 : 조리개 구동부재
30 : 모터부 40 : 전·후진 구동수단
50 : 제어장치부 60 : 조명부
70 : 외관부재 및 기타 부속품
11 : 날개 12 : 구동날개
13 : 조리개 베이스 14 : 날개고정부
21 : 구동부재 22 : 구동링크
23 : 날개 회전핀 24 : 구동부 회전핀
25 : 고정링
31 : 모터 32 : 감속기
41 : 전·후진 너트 42 : 장착부재
43 : 회전구 44 : 전·후진 스크류
45 : 구동케이스 46 : 베벨기어
47 : 고정나사 48 : 후진 멈춤 스위치
49 : 전진 멈춤 스위치
51 : 메인제어부 52 : 제어부 고정장치
61 : 조명등(조명판넬) 62 : 조명고정구
71 : 반사판 케이스 72 : 반사판
73 : 유리 케이스 74 : 지지대
75 : 상부 바디 76 : 스탠드
77 : 하부 바디 78 : 바디 고정구
79 : 회전 고정구 80 : 콘트롤부

Claims (5)

  1. 적절한 속도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구동수단;
    단순 전·후진 구동을 다축의 직선 및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조리개 구동부재;
    조리개 구동부재에 의해 펼침과 접힘의 동작을 할 수 있는 날개와 구동날개를 포함한 조리개;
    등으로 이루어진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구동수단에서 전동모터에 의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동작하는 전·후진 스크류와 내부 중심축에 나선형 가공되어 있는 전·후진 너트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부착된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전·후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의 조리개 구동부재에서 구동부재는 전·후진 구동수단으로 전달받은 직선운동을 다축으로 분배하고 구동링크는 날개 회전핀과 구동부 회전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단순직선운동을 직선 및 회전운동으로 전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의 조리개에서 다수의 구동날개는 조리개 구동부재의 전·후진 운동을 조리개 베이스의 고정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다수의 날개가 펼침과 접힘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리개 구동부재에서 단수의 전·후진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직선운동을 다수의 구동부재가 다수의 조리개들로 하여금 조리개 베이스의 고정부를 중심축으로 펼침과 접힘의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KR1020080005956A 2008-01-17 2008-01-17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KR20090079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956A KR20090079751A (ko) 2008-01-17 2008-01-17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956A KR20090079751A (ko) 2008-01-17 2008-01-17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51A true KR20090079751A (ko) 2009-07-22

Family

ID=4129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956A KR20090079751A (ko) 2008-01-17 2008-01-17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7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747B1 (ko) * 2009-09-23 2011-04-14 양경호 자중회전식 조명등
WO2012099432A2 (ko) * 2011-01-21 2012-07-26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CN111260987A (zh) * 2020-03-02 2020-06-09 邵阳学院 一种沉浸式傩戏体验平台
KR102205510B1 (ko) * 2020-02-18 2021-01-20 김도훈 태양광모듈의 경사각 및 방향 조절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747B1 (ko) * 2009-09-23 2011-04-14 양경호 자중회전식 조명등
WO2012099432A2 (ko) * 2011-01-21 2012-07-26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WO2012099432A3 (ko) * 2011-01-21 2012-11-22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KR102205510B1 (ko) * 2020-02-18 2021-01-20 김도훈 태양광모듈의 경사각 및 방향 조절 장치
CN111260987A (zh) * 2020-03-02 2020-06-09 邵阳学院 一种沉浸式傩戏体验平台
CN111260987B (zh) * 2020-03-02 2021-08-24 邵阳学院 一种沉浸式傩戏体验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9055C (zh) 包含反射镜的照明方法及装置
KR101055384B1 (ko) 꽃잎형 개폐방식을 갖는 조명기구
CN107120608A (zh) 投射灯
EP2885784A1 (en) Decorative lamp with relaxing action
KR20090079751A (ko) 조리개 장착형 조명장치
CN104613370A (zh) 亮度可调的灯具
CN113188076A (zh) 智能室内灯光控制***
CN103883950A (zh) 一种星月吊顶灯
CN205014094U (zh) 便携灯具
RU2285860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освещенности поверхности
CN202868861U (zh) 具有投影功能的空调器
JP4491327B2 (ja) 照明器具
KR102099966B1 (ko) 유동형 반사갓이 내장된 엘이디 전구
KR200382687Y1 (ko) 램프가 구비된 거울
CN203147542U (zh) 旋转式灯笼
CN102047032A (zh) 双灯罩
CN215892076U (zh) 一种便于调节的陶瓷小壁灯
CN206555816U (zh) 壁画展开灯
CN105546416A (zh) 照明灯具及具有其的空调器
CN114151768B (zh) 一种多光源灯具
CN210197172U (zh) 一种亮化投光灯
CN218972448U (zh) 直观换挡的台灯结构
CN209839886U (zh) 一种利用灯罩旋转来调节照明位置的发光装置
CN210128262U (zh) 一种带有灯光动画变幻图案功能的灯具
CN221076240U (zh) 一种灯具结构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