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390A -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 Google Patents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390A
KR20090073390A KR1020070141318A KR20070141318A KR20090073390A KR 20090073390 A KR20090073390 A KR 20090073390A KR 1020070141318 A KR1020070141318 A KR 1020070141318A KR 20070141318 A KR20070141318 A KR 20070141318A KR 20090073390 A KR20090073390 A KR 20090073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um
feed shaft
drying furnace
dischar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390A/ko
Publication of KR2009007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1Discharging by opening a gate, e.g. using discharge p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드럼 부,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배출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드럼 부 내부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가 제공된다.
Figure P1020070141318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 드럼 부, 투입구, 배출구, 갈고리 모양, 교반스크류, 회전날개, 분쇄날, 분쇄판, 히터 부재, 도어캡, 도어캡 이송부재, 도어캡 이송축, 배출기어

Description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A Drier of Food Treatment System having Door Exha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로 내부의 물이 외부로 세지 않도록 도어가 구비되고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구비된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땅속으로 매립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국내 총 가구수는 1천만 가구를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오염과 관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책 및 결과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그 주된 원인으로는 가정주부들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부족일 것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싱크대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탈수, 절단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줄여 그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에 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면서 절단하여 잘게 잘라주는 탈수/절단부,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모터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에 의해서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뒤집고 분산시키면서 고열에 의해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로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배출함을 갖추어 구성된다.
한편, 건조로의 내부에서 고열에 의해서 잔류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로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전량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전량 배출된 건조로에는 탈수/절단부에서 탈수 및 절단된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가 연속하여 다시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작업이 재차 이루어진다.
이때 건조 과정 중 건조로에 구비된 배출구를 통하여 미처 처리되지 못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배출함으로 이동된 물에 의해서 음식물이 부패할 수도 있으며 수분 배출을 막기 위해 건조로가 경사지도록 설치된 경우 음식물 처리기가 안정적으로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건조로 내부의 물이 외부로 세지 않도록 도어가 구비되고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드럼 부; 상기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상기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 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상기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상기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상기 배출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부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 부와 상기 교반스크류가 연결된 상기 드럼 부의 내부 벽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분쇄 날이 비스듬히 구비된 원형의 분쇄판과 상기 분쇄 판의 상부에 구비된 아치형의 분쇄판 지지대로 구성된 분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판 지지대는 상기 분쇄판을 둘러싸도록 구비된 원형의 판 부재와 상기 판 부재의 바깥면에 반경 방향으로 구비된 리브(rib)부재로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회전 날개는 갈고리 모양이고 그 끝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날개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 상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좋다.
상기 도어 배출 장치는 상기 배출구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 돌기에 일부 면이 고정되고 상기 배출구와 배출구 하단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ㄷ"형상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 부의 지지 브라켓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접하여 구비된 배출기어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하는 봉 형상의 제 1 도어부 이송축;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 부의 지지 브라켓에 타단이 고정되어 구비되는 봉 형상의 제 2 도어부 이송축;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과 상기 제 2 도어부 이송축이 삽입 관통되도록 제 1 이송축 끼움구멍과 제 2 이송축 끼움구멍이 양 측단에 구비된 직각 형상의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배출기어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은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과 제 2 도어부 이송축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부의 제 1 이송축 끼움구멍과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 사이에는 상기 도어부의 왕복 운동 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도록 끼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도어가 구비된 음식물 배출구조를 갖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의하면 건조로 내부의 물이 외부로 세는 것을 막아 음식물의 부패를 막을 수 있고, 건조로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건조로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도어 배출장치(180)에서 도어부(187)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도어 배출장치(180)에서 도어부(187)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배출 장치(180)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12)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4)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드럼 부(110), 드럼 부(1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 부(11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123)와 회전날개(123)가 구비된 회전축(125)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120), 드럼 부(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교반스크류(120)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130), 드럼 부(110)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140), 배출구(114)의 전면에 설치되어 드럼 부(110) 내부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배출구(114)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 배출 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는 건조 공간의 바닥면에 완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부 잔류시키고 이를 연속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하여 건조 공간 내부의 전체 음식물 쓰레기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드럼 부(110)는 몸체 외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투입구(112)와 몸체 외부의 측면 밑부분에 형성된 배출구(114)를 각각 구비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대략적인 중공 원통형 수용 부재이다.
투입구(112)는 미 도시된 싱크대와 연결된 호퍼를 거쳐 탈수,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드럼 부(110)의 몸체 상부 면에 일정 크기로 개구 형성된다.
배출구(114)는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고원의 열원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되어 완전히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드럼 부(110) 몸체 외부의 측면 밑부분에 구비된다.
배출구(114)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 배출 장치(180)는 배출구(114)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 돌기(197)에 일부 면이 고정되고 배출구(114)와 배출구(114) 하단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170)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ㄷ"형상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의 고정 프레임(181), 고정 프레임(181)의 일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드럼 부(110)의 지지 브라켓(170)에 타단이 고정되며 고정 프레임(181)에 접하여 구비된 배출기어(18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하는 봉 형상의 제 1 도어부 이송축(183), 제 1 도어부 이송축(183)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고정 프레임(181)의 타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드럼 부(110)의 지지 브라켓(170)에 타단이 고정되어 구비되는 봉 형상의 제 2 도어부 이송축(184), 제 1 도어부 이송축(183)과 제 2 도어부 이송축(184)이 삽입 관통되도록 제 1 이송축 끼움구멍(185)과 제 2 이송축 끼움구멍(186)이 양 측단에 구비된 직각 형상의 도어부(187)를 포함한다.
도어부(187)는 배출기어(182)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은 제 1 도어부 이송축(183)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 1 도어부 이송축(183)과 제 2 도어부 이송축(184) 상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어부(187)의 제 1 이송축 끼움구멍(185)과 제 1 도어부 이송축(183) 사이에는 도어부(187)의 왕복 운동 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도록 끼움부재(188)가 구비된다.
도어 배출장치(180)의 작동을 살펴보면,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 내부에서 음식물 처리기가 건조 처리된 경우 제어부에 의해 도어 배출장치(180)가 작동된다. 배출기어(182)의 작동으로 제 1 도어부 이송축(183)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부(187)가 앞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114)가 개방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배출된 후 배출기어(182)는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제 1 도어부 이송축(18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187)가 드럼 부(110)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114)는 패쇄된다.
이로써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세는 것을 막아 음식물의 부패를 막을 수 있고, 건조로(100)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187)는 제 1 도어부 이송축(183)의 회전에 따라 제 1 도어부 이송축(183)과 제 2 도어부 이송축(184)을 따라 수평이동 한다.
드럼 부(110)는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것이다.
교반스크류(120)는 투입구(112)를 통해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될 수 있도록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교반스크류(120)는 복수 또는 단수의 회전 날개(123)가 봉 형태의 회전 축(125)의 외부 면에 장착되는 회전 부재이고, 회전 축(125)의 일 단은 전방 캡(150)에 구비된 모터부(130)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끝 단은 후방 캡(155)의 축공(미도시)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드럼 부(110)의 내부 면과 교반스크류(120)의 회전 날개(123)의 외 측단 사이에는 회전 날개(123)가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일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된다.
회전날개(123)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끝 부분이 구부러져 있고 드럼 부(1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 부(11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된다. 회전날개(123)는 회전축(125)에 구비된다.
다수의 회전날개(123)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날 개(123) 갈고리 모양의 끝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격된 공간은 회전날개(123)가 하나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회전날개(123)의 끝 부분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회전날개(123)는 회전축(125)의 원주 상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날개(123)가 파손되거나 구부러진다면, 회전날개(123)를 교체하여 교반스크류(12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날개(123)가 구비된 교반스크류(120)를 사용한다면 회전날개(123)의 회전 시 음식물 쓰레기의 적체를 방지할 수 있고, 모터부(13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날개(123) 사이로 음식물의 일부가 빠져나가게 되어 적체가 되지 않고, 회전날개(123)의 갈고리 모양의 끝 부분에 의하여 음식물이 건조로 내부로 끌려 움직이게 되며, 이로써 모터부(130)에 과부하가 걸릴 위험이 적어지게 된다.
모터부(130)는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교반스크류(1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역할을 한다.
후방캡(155)의 하측에는 후방캡(155)의 밑단을 둘러싸고 건조로 전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70)이 구비된다. 건조로(100)를 음식물 처리기 본체 내부에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브라켓(170)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구멍에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교반스크류(120)의 끝단에는 교반스크류(120)에 의해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160)가 설치된다. 교반스크류(120)가 역방향으로 회전 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부(160)를 향하여 이송되고, 교반스크류(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114)를 향하여 이송된다.
히터 부재(140)는 드럼 부(110)의 외부 면에 구비되어 전원인가시 드럼부(110)의 내부공간인 건조공간으로 높은 열을 제공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이를 완전히 건조시킨다.
이러한 히터부재(140)는 드럼 부(110)의 외부 면에 부착되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전열판으로 구비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 부재(140)로써 씨즈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 하단에는 배출구(114)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배출함(미도시)이 구비될 것이다.
드럼 부(110)의 투입구(112)를 통하여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후 히터 부재(140)에서 제공되는 열원에 의해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스크류(120)에 의해서 교반되고 분쇄되면서 배출구(114)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배출구(114)를 통하여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함(미도시)으로 배출되지만, 미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나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는 드럼부(110)의 내부 면에 부착되어 잔류하게 된다. 특히 교반스크류(1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부(160)에 의해 분쇄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가 분쇄부(160) 주변에 부착되어 고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교반스크류(120)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130)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분쇄부(160)의 구조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분쇄부(16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160)는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분쇄하는 분쇄판(162)과 이를 지지하는 분쇄판 지지대(165)로 구성된다.
모터부(130)와 교반스크류(120)가 연결된 드럼 부(110)의 내부 벽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분쇄 날(161)이 비스듬히 구비된 원형의 분쇄판(162)이 설치되고, 분쇄판(162)의 상부에는 아치형의 분쇄판 지지대(165)가 설치된다.
교반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원형의 분쇄판(162)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분쇄될 것이다.
분쇄판 지지대(165)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교반스크류(120)가 회전하는 경우 교반스크류(120)의 회전 날개(123)의 외 측단과 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분쇄판 지지대(165)는 분쇄판(162)을 둘러싸도록 구비된 원형의 판 부재(163)와 판 부재(163)의 바깥면에 반경 방향으로 구비된 리브(rib)부재(164)로 구성된다.
리브(rib)부재(164)가 반경 방향으로 판 부재(163)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고착되어 밀리더라도 판 부재(163)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분쇄판 지지대(165)를 구비함으로써 분쇄판(162)으로 향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서 분쇄부(160) 또는 교반스크류(120)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분쇄부(160)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모터부(130)의 과부하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도어 배출장치(180)에서 도어부(187)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도어 배출장치(180)에서 도어부(187)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분쇄부(1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110 : 드럼 부
112 : 투입구 114 : 배출구
120 : 교반스크류 123 : 회전날개
125 : 회전축 130 : 모터부
140 : 히터부재 142 : 전원공급부
150 : 전방캡 155 : 후방캡
160 : 분쇄부 161 : 분쇄날
162 : 분쇄판 163 : 판부재
164 : 리브 부재 165 : 분쇄판 지지대
170 : 지지브라켓 180 : 도어 배출장치
181 : 고정프레임 182 : 배출기어
183 : 제 1 도어부 이송축 184 : 제 2 도어부 이송축
185 : 제 1 이송축 끼움구멍 186 : 제 2 이송축 끼움구멍
187 : 도어부 188 : 끼움부재

Claims (7)

  1.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드럼 부;
    상기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상기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상기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상기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상기 배출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부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부와 상기 교반스크류가 연결된 상기 드럼 부의 내부 벽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분쇄 날이 비스듬히 구비된 원형의 분쇄판과 상기 분쇄 판의 상부에 구비된 아치형의 분쇄판 지지대로 구성된 분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 지지대는 상기 분쇄판을 둘러싸도록 구비된 원형의 판 부재와 상기 판 부재의 바깥면에 반경 방향으로 구비된 리브(rib)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는 갈고리 모양이고 그 끝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날개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 상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배출 장치는
    상기 배출구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 돌기에 일부 면이 고정되고 상기 배출구와 배출구 하단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ㄷ"형상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 부의 지지 브라켓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접하여 구비된 배출기어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하는 봉 형상의 제 1 도어부 이송축;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 부의 지지 브라켓에 타단이 고정되어 구비되는 봉 형상의 제 2 도어부 이송축;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과 상기 제 2 도어부 이송축이 삽입 관통되도록 제 1 이송축 끼움구멍과 제 2 이송축 끼움구멍이 양 측단에 구비된 직각 형상의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배출기어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은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과 제 2 도어부 이송축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제 1 이송축 끼움구멍과 상기 제 1 도어부 이송축 사이에는 상기 도어부의 왕복 운동 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도록 끼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20070141318A 2007-12-31 2007-12-31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90073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18A KR20090073390A (ko) 2007-12-31 2007-12-31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18A KR20090073390A (ko) 2007-12-31 2007-12-31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390A true KR20090073390A (ko) 2009-07-03

Family

ID=413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18A KR20090073390A (ko) 2007-12-31 2007-12-31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3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698A1 (de) 2009-11-25 201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Speichervorrichtung mit variablem Widerstand
CN104438292A (zh) * 2014-11-25 2015-03-25 天津百利环保有限公司 一种旋转式餐厨废弃物处理机
KR102107590B1 (ko) * 2019-11-14 2020-05-28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음식물쓰레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회전드럼장치의 도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698A1 (de) 2009-11-25 201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Speichervorrichtung mit variablem Widerstand
CN104438292A (zh) * 2014-11-25 2015-03-25 天津百利环保有限公司 一种旋转式餐厨废弃物处理机
KR102107590B1 (ko) * 2019-11-14 2020-05-28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음식물쓰레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회전드럼장치의 도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55B1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0792689B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CN102500595A (zh) 一种厨房垃圾处理机及其绞碎器
KR100903745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0903744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058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KR2011013703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2010691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65781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0176399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20100036824A (ko)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425258Y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CN214645080U (zh) 一种具有高效散热结构的塑料回收用破碎机
KR20090073392A (ko)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90073391A (ko) 도어 캡 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CN211006905U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
KR20100024837A (ko) 다수의 회전날개가 구비된 교반스크류 및 상기 교반스크류를 갖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00036823A (ko)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KR1007456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
KR1007456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