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701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701A
KR20090072701A KR1020070140895A KR20070140895A KR20090072701A KR 20090072701 A KR20090072701 A KR 20090072701A KR 1020070140895 A KR1020070140895 A KR 1020070140895A KR 20070140895 A KR20070140895 A KR 20070140895A KR 20090072701 A KR20090072701 A KR 2009007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flective sheet
fixing
protrusion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905B1 (ko
Inventor
유병천
황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905B1/ko
Priority to US12/255,261 priority patent/US7819574B2/en
Publication of KR2009007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을 생성하는 램프 유닛과, 램프 유닛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반사 시트를 백라이트 어셈블리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백라이트, 광원, 반사시트, 수납 프레임, 오목부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사 수납 프레임을 통해 반사 시트를 고정하여 반사 시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 중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단위 픽셀의 액정 배열을 변화시켜 광 투과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목표로 하는 화상을 표시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과 광원의 광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중의 하나가 반사 시트이다. 반사 시트는 광원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반사 시트는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즉, 광원의 하측 영 역으로)으로 조사된 광원의 광을 표시 패널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를 통해 광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 시트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제작을 위한 조립 공정시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구조물에 접착되었다. 즉, 종래의 경우 얇은 반사시트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시킨 다음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반사 시트를 하부 구조물에 부착하였다. 하지만, 반사시트가 얇아 잘 휘어지기 때문에 반사시트를 하부 구조물의 해당 영역에 부착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반사 시트의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이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반사 시트와 하부 구조물은 열팽창/수축 계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열팽창/수축 계수가 서로 다른 소개가 접착되어 있을 경우 열적 변형에 의해 접착 영역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을 갖는 반사 수납 프레임의 오목홈에 반사 시트를 인입시켜 별도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사 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 시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소음 불량을 개선 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 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상측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내측벽면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반사 시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시트 인입 공간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 프레임에 결합 되고, 상기 광원을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결합된 상기 수납 프레임과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사 시트가 인입되는 오목부를 갖는 수납 프레임을 설치하여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도 반사 시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 공정시 반사 시트를 수납 프레임의 오목부 내측으로 인입시켜 반사 시트가 들뜨거나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사 시트의 조립을 단순화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 시트가 오목부의 시트 인입 공간 내에서 인입되기 때문에 열에 의해 반사 시트가 확장 또는 수축하는 경우 충분한 유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오목홈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구동 회로부(200)와, 패널 지지 부재(300)와 상부 수납 부재(40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100)은 컬러 필터와 공통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110)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rm transistor; TFT)와 화소 전극이 형성된 하부 기판(1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는 액정층이 마련된다.
상부 기판(110) 상에는 차광 패턴과,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 G, B 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차광 패턴과 컬러 필터 상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위치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차광 패턴과 컬러 필터가 하부 기판(1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기판(12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복수의 화소 전극에 각기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에 턴온 전압을 인가하면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된다. 이때, 데이터 라인을 통해 화상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데이터 라인의 화상 신호가 화소 전극에 차징 된다. 이로인해 하부 기판(120)의 화소 전극과 상부 기판(110)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계에 의해 두 기판 사이에 마련된 액정의 배열이 변화된다. 액정은 그 배열의 변화에 따라 광투과율이 변경된다. 이를 통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10)의 상측면과 하부 기판(120)의 하측면에는 편광시트(13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회로부(200)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동 회로부(200)는 콘트롤 IC(integrated circuit)를 탑재하고 하부 기판(120)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210)을 구비한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2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 전압 생성을 위한 전압 생성부와,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생성부와, 화상 신호를 데이터 라인 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턴온 전압을 게이트 라인에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 기판(1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 회로 기판(210)에는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마련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220)을 통해 하부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IC 칩 형태로 제작되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물론 IC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부가 연성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210)에 실장된 각부는 필요에 따라 하부 기판(120)에 실장될 수도 있다.
패널 지지부재(300)는 액정 표시 패널(100)을 지지한다. 패널 지지부(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재(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프레임 몸체부(310)와,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측벽 하부 영역에서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부 빈 공간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돌출부(320)는 액정 표시 패널(100)을 지지한다. 즉, 액정 표시 패널(100)은 돌출부(320) 상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320)가 형성되지 않은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측벽(돌출부 상측의 내측벽)은 액정 표시 패널(100)을 고정시킨다. 즉,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측벽은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쌓아 액정 표시 패널이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잡아 준다. 상기 프레임 몸체부(310)와 돌출부(320)는 단일 몸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널 지지부재(300)는 프레스 공정 또는 몰드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재(3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재(300)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수납한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에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평면부(410)와, 평면부(41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장된 측벽부(420)를 갖는다. 평면부(410)와 측벽부(420) 내측 공간에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재(300)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수납한다. 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상기 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한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강도가 우수하고, 가벼우며, 변형이 적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 유닛(즉, 광원; 500)과, 램프 유닛(500)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600)와,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80)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램프 유닛(500)을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800)과, 램프 유닛(500) 상에 마련된 광학 플레이트(예를 들어 열 차단판(900))과 광학 필름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플레이트는 광의 확산 기능 및/또는 열 차단 기능을 갖는 투광성 물질의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플레이트로 열 차단판(9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과 램프 고정 프레임(800)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바닥판(1300)을 더 구비한다. 이를 통해 수납 프레임(700), 램프 고정 프레임(800) 및 바닥판(1300)에 의해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이 수납 공간에 램프 유닛(500), 반사 시트(600) 등이 수납될 수 있 다. 여기서, 반사 시트(600)와 바닥판(1300) 사이에 열 확산판(1100)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열 확산판(1100)은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램프 유닛(500), 반사 시트(600), 수납 프레임(700), 램프 고정 프레임(800), 열 차단판(900) 및 광학 필름부(1000)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부재(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수납 부재(1200)는 생략이 가능하다.
램프 유닛(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510)와, 복수의 램프(510)를 각기 지지하는 램프 홀더(520)를 포함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유닛(500)은 일측에 마련된 램프와, 램프의 광을 광학 필름부(1000)에 제공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램프 유닛(500) 즉, 광원은 복수의 광원들이 부착된 프레임에서 부분적으로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510)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램프의 길이 방향이 하부 수납 부재(1200)의 장축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램프 몸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장축 방향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개수의 램프(51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램프(510)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510)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램프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 판을 구비한다.
상기의 램프 홀더(520)는 램프(510)의 양 끝단 영역 즉, 전극 단자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램프 홀더(520)를 램프 고정 프레임(800)으로 고정시켜 램프(510)를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램프 홀더(520)는 복수의 램프(510)의 양 끝단 영역을 지지하도록 바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램프(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U자 형상, N자 형성, M자 형상 및 사행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 유닛(500)은 램프(5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별도의 콘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램프 유닛(500)을 하부 수납 부재(120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램프 유닛(5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81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상측벽(801)과, 외측벽(802) 그리고, 내측벽(803)을 구비한다. 외측벽(802)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내측벽(803)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와 같이 내측벽(803)에 소정의 기울기를 주어 내측벽(803) 방향으로 조사된 광을 광학 필름부(1000)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열 차단판(900)이 내측벽(80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측벽(803)에는 열 차단판(900)이 위치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측벽(802)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측벽에 밀착된다. 물론 하부 수납 부재(1200)가 측벽이 없을 경우 외측벽(802)이 수납 부재의 측벽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램프 유닛(5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810)이 내측벽(803)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홈(8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803)의 하측 영역의 일부가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고정홈(810)은 램프(5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고정홈(810)으로 램프 유닛(500)의 램프 홀더(520)가 인입되어 램프 유닛(50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510)의 양 끝단 영역에 각기 램프 고정 프레임(800)이 마련된다. 여기서, 램프 고정 프레임(800)의 연장 길이는 하부 수납 부재(1200)의 장축 방향과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평면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부 수납 부재(12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바 형상(소정 두께를 갖는 직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두 장변 영역에 위치한다. 그리고,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복수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반사 시트(600)는 램프 유닛(500)의 하측 영역과 측면 영역의 일부에 마련된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600)는 램프 유닛(500)에서 발광된 광 중, 상측 방향(즉, 광학 필름부(1000) 방향) 이외의 방향(예를 들어, 하측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상측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유닛(500)의 하측에 마련된 수평면(610)과, 수평면(610)의 끝단에서 램프 유닛(50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620)과, 경사면(620)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면(630)을 포함한다. 이때, 수평면(61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인접 배치된다. 경사면(620)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 고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고정면(630)의 일부가 수납 프레임(700)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수납 프레임(7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수납 프레임(700)의 일측에는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80)가 마련된다. 오목부(780) 내측으로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수납 프레임(7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710), 내측벽(720), 상측벽(730) 및 하측벽(740)을 구비한다. 즉, 수납 프레임(700)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 형성된 외측벽(710) 및 내측벽(720) 그리고, 외측벽(710)과 내측벽(720)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측벽(740) 및 외측벽(710)과 내측벽(7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측벽(7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은 내측벽(720)의 일부에서 연장된 제 1 지지부(750)와, 상측벽(730)의 일부에서 연장된 제 2 지지부(76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은 내측벽(720)의 하측 영역에서 연장된 제 3 지지부(7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벽(720)에 오목부(780)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오목부(7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720)의 일부가 수납 프레임(700)의 내부 공간으로 리세스된 오목홈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80)는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S)(즉, 오목홈의 홈)을 포함한다. 시트 인입 공간(S)의 개구는 상기 내측벽(720)에 마련된다. 그리고, 시트 인입 공간(S)의 개구 하측 영역에 제 1 지지 부(750)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평면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부 수납 부재(12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수납 프레임(700)은 대략 바 형상(소정 두께를 갖는 직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수납 프레임(70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두 단변 영역에 위치한다. 즉, 외측벽(71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벽면에 밀착되고, 하측면(74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외측벽(710)이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벽면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벽(730) 상에는 광학 필름부(1000)가 안치된다. 그리고, 상측벽(730) 상부 영역으로 돌출된 제 2 지지부(760)는 광학 필름부(1000)를 고정시킨다. 제 2 지지부(760)는 상측벽(730)과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연장부와, 수직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측벽과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 연장부는 광학 필름(1000)의 들뜸을 방지한다. 제 2 지지부(760) 상에는 패널 지지부재(300)가 안착된다. 제 2 지지부(760)와 패널 지지부(300) 사이에는 이둘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재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720)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영역들이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벽(720)에는 제 1 지지부(750), 제 3 지지부(770) 및 오목부(780)가 형성된다.
제 3 지지부(770)는 내측벽(720)의 하부 영역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제 3 지지부(770)에는 계단형 단차가 마련된다. 상기 계단형 단차 상에 열 확산판(1100) 이 안치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3 지지부(770)는 생략이 가능하다. 즉, 열 확산판(1100)이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직접 안치될 경우 제 3 지지부(770)를 생략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750)는 내측벽(7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51)와, 돌출부(751)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부(7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돌출부(751)에는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 일부가 밀착된다. 또한, 돌출부(751) 상에는 열 차단판(900)이 위치한다. 돌출부(751)는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과 열 차단판(900)을 지지한다. 돌출부(751) 상에 반사 시트(600)과 열 차단판(9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반사 시트(6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돌출부(751) 상의 열 차단판(900)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을 눌러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사부(752)에는 반사시트(600)의 경사면(752) 일부가 밀착된다. 경사부(752)의 기울기에 따라 반사 시트(600)의 경사면(752)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752)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경사면(752)의 상측 영역과 밀착 되도록 연장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부(752)의 연장 길이는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750)는 제 3 지지부(770)의 상측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지지부(750)는 반사 시트(600)를 지지하고, 제 3 지지부(770)는 반사 시트(600) 하부에 마련된 열 확산판(1100)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이때, 제 1 지지부(750)의 형성위치는 램프(510)의 크기와, 반시 시트(600)와 열 차단판(9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벽(720)의 전체 높이를 1로 할 경우, 제 1 지지부(750)는 내측벽(720)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0.6 내지 0.9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부(750)의 인접 영역에는 오목부(780)가 형성된다. 여기서,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의 개구 하측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750)의 돌출부(751)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은 그 단면이 직선 형상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은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 상기 고정면(630)에 의해 반사 시트(600)는 별도의 접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 프레임(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에 반사 시트(600)의 일부가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시트(6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오목부(780)의 인접 영역 즉, 제 1 지지부(750) 영역에서 반사 시트(600)를 열 차단판(900)이 누르고 있기 때문에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 공정시 오목부(780) 내측으로 반사 시트(600)의 일부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반사 시트(600)가 들뜨거나 떨어져 나가는 것을 잡아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6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시트(600)는 시트 인입 공간(S)내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유닛(500)의 열에 의해 반사 시트가 확장 또는 수축하는 경우 충분한 유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시트 인입 공간(S)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직선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시트(6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의 단면 형상은 곡선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선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하측 방향으로 굽어진 곡선 형상의 시트 인입 공간(S)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 인입 공간(S)은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곡선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가 뒤집힌 V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S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이 꺽여 형성되는 경우 시트 인입 공간(S)으로 들어간 반사 시트(600)가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고, 움직임이 더욱 제한된다. 여기서, 도 6에서와 같이 뒤집힌 V자 형상의 시트 인입 공간(S)의 상측 꼭지점 영역을 곡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반사 시트(600)의 인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은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곡된 직선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직선, 사선 및 곡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을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제작하여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를 절곡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오목부(780)의 내측에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돌기 형태의 고정부(78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782)는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을 형성하는 내벽들의 일부에서 돌출된다. 이때, 고정 부(782)가 형성된 영역의 시트 인입 공간(S)의 높이는 반사 시트(600)의 높이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높이는 반사 시트(6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반사 시트(600) 두께보다 약 1 내지 30%정도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시트 인입 공간(S) 내의 고정부(782)가 반사 시트(600)를 누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782)가 도시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782)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오목부내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폭의 최소 두께는 반사 시트(60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트 인입 공간(S)으로 반사 시트(600)를 밀어 넣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시트(600)는 시트 인입 공간(S)을 형성하는 내벽들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600)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이는 것을 고정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780)에 얇은 두께(약 1mm 이하)의 반사 시트가 인입 고정된다. 따라서, 오목부(780) 개구의 직경을 작게 제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오목부(780)을 제작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 프레임(700)을 압출 공정을 통해 제작한다. 이는, 압출 공정이 프레스 공정 및 몰드 공정에 비하여 미세 패턴의 설계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오목부(780)를 갖는 수납 프레 임(700)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수납 프레임으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수납 프레임(700)의 제 1 지지부(750)의 경사부(752)가 연장되어 하측의 제 3 지지부(77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지지부(750)의 돌출부(751) 하부에 연장된 내측벽(720) 영역이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제 1 지지부(750)가 내측벽(720) 역할을 수행하고, 제 3 지지부(770)가 하측벽(740)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을 감싸는 벽면과 제 1 지지부(750)가 내측벽(72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열 확산판(1100)은 램프 유닛(500) 하측 영역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확산판(1100)은 반사 시트(600)의 수평면(610) 하측 영역에 마련된다. 이때, 열 확산판(1100)은 램프 유닛(500)의 열을 확산시켜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열 확산판(1100)으로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하여, 램프 유닛(500)의 열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바르게 방출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열 차단판(900)은 램프 유닛(500) 상측 영역에 위치한다. 열 차단판(900)은 램프 유닛(500)의 열이 광학 필름부(1000)와, 디스플레이 에셈블리(10)(즉, 액정 표시 패널(100))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통해 램프 유닛(500)의 열에 의해 광학 필름부(10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름부(1000)는 열 차단판(900) 상측 영역에 위치한다. 광학 필름부(1000)는 휘도 향상 시트(1010) 및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1020)를 구비한다. 휘도 향상 시트(1010)는 자신의 투과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방향의 광은 반사 시킨다. 확산 시트(1020)는 램프 유닛(5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광을 확산시킨다. 이때, 광학 필름부(1000)는 확산 시트(102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확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필름부(1000)는 필요에 따라 광의 특성을 변경시키는 다양한 광학 시트 또는 광학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하부 수납 부재(1200)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하부 수납 부재(1200)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제작된다. 하부 수납 부재(1200)는 램프 유닛(500), 램프 고정 프레임(800), 반사 시트(600), 수납 프레임(700) 및 광학 필름부(1000)를 수납 공간에 수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요소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요소들이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에,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사 시트(600)와,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는 수납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수납 프레임(7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710), 내측벽(720), 상측벽(730) 및 하측벽(7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은 내측벽(720)의 일부에서 연장된 제 1 지지부(750)와, 내측벽(720)의 하측 영역에서 연장된 제 3 지지부(7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750) 상에는 반시 시트(600)와 열 차단판(900)이 놓여진다. 제 3 지지부(770) 상에는 열 확산판(1100)이 놓여진다. 상기 상측벽(730) 상에는 광학 필름부(1000)가 놓어지게 된다. 이때, 광학 필름부(1000)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지지부(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측벽(730)과 접하는 패널 지지부(300) 면에 계단형의 단차를 형성하고, 단차 영역에 광학 필름부(1000)가 놓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750)가 형성된 내측벽(720)에는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홈 형상의 복수의 오목부(780)가 형성된다. 복수의 오목부(780)는 각기 복수의 시트 인입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 인입 공간으로 반사 시트(600)의 일부(즉, 끝단 영역)가 인입되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복수의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으로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끝단 영역 일부가 인입된다. 이때, 복수의 오목부(7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직선 선상(즉, 내측벽(720)과 제 1 지지부(750)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오목부(780)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에는 이격된 오목부(780)에 대응하는 요철 패턴(631)이 형성된다. 즉, 고정면(630)의 돌출 영역이 오목부(780)에 인입된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가장자리 영역에 요철 패턴(631)이 형성되고, 요철 패턴(631)의 철부 영역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됨으로 인해 고정면(630)이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잡아 줄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도고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 패턴(631)의 철부 영역을 복수의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으로 밀어 넣음으로 인해 반사 시트(60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780)는 단일의 시트 인입 공간을 갖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과 연통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내측벽(720)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시켜 단일의 시트 인입 공간과 개구를 갖는 오목홈 형태의 오복부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개구 영역에 개구의 일부를 막는 복수의 커버 패턴을 함께 형성한다. 이를 통해 단일의 시트 인입 공간과 복수의 개구를 갖는 오목부(78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오목부(780)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오목부(780)와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시 시트(600)를 고정하는 수납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700)은 외측벽(710), 내측벽(720), 상측벽(730) 및 하측벽(740)을 구비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내측벽(720)에는 내측벽(7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지지부(750)와,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78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지지부(750)는 내측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51)와, 돌출부(751)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부(752)와, 돌출부(751) 상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753)를 구비한다. 오목부(780)는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반사 시트(600)는 상기 고정 돌기(753)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632)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는 제 1 지지부(750)의 돌출부(751)인접 영역에 형성된다. 시트 인입 공간에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일부 영역이 인입될 경우 고정면(630)의 다른 일부 영역은 제 1 지지부(750) 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고정 돌기(753)가 반사 시트(600)의 홀(632)과 결합하게 된다. 즉, 홀(632)이 고정 돌기(753)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일부 영역이 오목부(780)에 인입되고, 반사 시트(600)에 형성된 홀(632)이 고정 돌기(753)에 인입됨으로 인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51) 상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차단판(900)이 놓여지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열 차단판(900)도 돌출부(751) 상에 형성된 고정 돌기(75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열 차단판(90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고정 돌기(753)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돌기(753)는 상기 제 1 지지부(750)와 단일 몸체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돌기(753)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 다음 상기 제 1 지지부(750)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4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수납 프레임(700)은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는 오목부(780)와, 오목부(780) 내측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를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 부재(790)를 구비한다. 오목부(780)는 시트 인입 공간을 갖는다. 시트 인입 공간 내측으로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일부가 인입된다. 시트 고정 부재(790)는 적어도 그 일부가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되어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를 고정시킨다.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는 반사 시트(600)가 시트 인입 공간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반사 시트(600)의 두께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 영역으로 시트 고정 부재(790)를 삽입한다. 시트 고정 부재(790)에 의해 개구 영역의 반사 시트(600)를 눌러 줌으로 인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시트 고정 부재(790)는 반사 시트(600)가 인입된 후에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 영역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그 단면의 최소폭이 상기 개구 영역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고정 부재(790) 단면의 최소폭은 반사 시트(600)가 인입된 후의 개구영역의 폭보다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고정 부재(790)의 단면을 살펴보면, 시트 고정 부재(790)는 일 끝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고 타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폭이 점차로 증대되고, 이후, 동일한 폭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시트 고정 부재(790)의 단면 형상이 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 부재(790)를 시트 인입 공간으로 삽입하는 경우, 시트 고정부재(790)에 의해 개구 영역의 반사 시트(600)가 눌리게 된다. 따라서, 반사 시트의 보호를 위해 시트 고정 부재(79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갖는 물질로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바 형태의 단일의 시트 고정 부재(790)가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 음이 도시되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 고정 부재(790)는 복수 개로 분리 제작되어,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오목홈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0 : 백라이트 어셈블리
100 : 액정 표시 패널 200 : 구동회로부
300 : 패널 지지 부재 400 : 상부 수납 부재
500 : 램프 유닛 600 : 반사 시트
700 : 수납 프레임 720 : 내측벽
750 : 지지부 780 : 오목부
790 : 시트 고정 부재 800 : 램프 고정 프레임
900 : 열 차단판 1000 : 광학 필름부
1100 : 열 확산판 1200 : 하부 수납부재

Claims (20)

  1.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상측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내측벽면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반사 시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시트 인입 공간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에 결합 되고, 상기 광원을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상기 수납 프레임과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된 액정 표시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0140895A 2007-12-28 2007-12-2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4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95A KR101448905B1 (ko) 2007-12-28 2007-12-2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2/255,261 US7819574B2 (en) 2007-12-28 2008-10-21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95A KR101448905B1 (ko) 2007-12-28 2007-12-2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01A true KR20090072701A (ko) 2009-07-02
KR101448905B1 KR101448905B1 (ko) 2014-10-13

Family

ID=4079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95A KR101448905B1 (ko) 2007-12-28 2007-12-2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19574B2 (ko)
KR (1) KR101448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72B1 (ko) * 2011-11-16 2013-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KR20180025527A (ko) * 2016-08-31 2018-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35991A (ko) * 2016-09-29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7583U (en) * 2008-04-22 2008-12-21 Wistron Corp Shock-absorbing structure for absorbing shock of a display panel and related display device
TWI390284B (zh) * 2008-05-15 2013-03-21 Wintek Corp 背光模組
US8109647B2 (en) * 2009-07-28 2012-02-07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JP5355714B2 (ja) * 2009-12-18 2013-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I402575B (zh) * 2009-12-18 2013-07-21 Au Optronics Corp 具片狀光學元件定位效果之背光模組及顯示裝置
US8568012B2 (en) * 2010-01-18 2013-10-29 Lg Innotek Co., Ltd. Lighting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73051B (zh) * 2011-02-17 2015-02-11 Innolux Corp 顯示模組與應用其之顯示器
US8564732B2 (en) * 2011-07-26 2013-10-2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 cover of LCD, backlight module and LCD
US8696189B2 (en) * 2011-08-18 2014-04-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ght-guild-plate positioning sheet and corresponding backlight module
US9244299B2 (en) * 2011-11-22 2016-01-2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of display device
TWI432850B (zh) * 2011-12-30 2014-04-01 Au Optronics Corp 直下式背光模組及使用其之顯示裝置
TWM435617U (en) * 2012-03-02 2012-08-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Display module
US8902381B2 (en) * 2012-10-11 2014-12-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94969B1 (ko) * 2013-08-13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303414B2 (ja) * 2013-11-11 2018-04-04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TWI516717B (zh) * 2014-03-19 2016-01-1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框體結構及背光模組
CN105782765A (zh) * 2014-12-17 2016-07-20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一种led灯具装置
JP6653132B2 (ja) * 2015-03-24 2020-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CN104808379B (zh) * 2015-05-21 2018-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模组结构及显示装置
JP6568727B2 (ja) * 2015-06-22 2019-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80034774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99269B (zh) * 2019-01-02 2022-10-0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
US11067852B2 (en) * 2019-01-02 2021-07-20 Hisense Visual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21131502A (ja) * 2020-02-21 2021-09-09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3015B2 (en) * 2001-12-31 2006-12-26 Innovations In Optics, Inc. Led white light optical system
JP2004220889A (ja) * 2003-01-14 2004-08-0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面光源装置
TWI257509B (en) * 2003-08-27 2006-07-01 Au Optronics Corp Direct backlight module
JP4590283B2 (ja) * 2004-05-21 2010-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060019654A (ko) * 2004-08-28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4513759B2 (ja) * 2005-04-27 2010-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
KR20070041939A (ko) * 2005-10-17 2007-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모듈과 그의 조립방법
KR101244954B1 (ko) * 2007-01-30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72B1 (ko) * 2011-11-16 2013-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KR20180025527A (ko) * 2016-08-31 2018-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35991A (ko) * 2016-09-29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19574B2 (en) 2010-10-26
US20090168405A1 (en) 2009-07-02
KR101448905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270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0462801C (zh) 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液晶显示装置
KR101684478B1 (ko) 복수의 도광판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5154044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US862504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7973872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8002422B2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a diffuser supporting member and a lamp supporting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840420B1 (en) Lighting system
US8674929B2 (en) Optical assembly,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JP2006066359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70063667A (ko) 램프 고정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표시장치
CN104390173A (zh)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00201A (ko)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1100970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12702A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7157698A (ja) ランプ固定部材、及び、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液晶表示装置
KR2007004739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621540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00073915A1 (en) Lamp case, and backlight device and flat display device using it
US79445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1296456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06608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658145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60135208A (ko)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램프가이드 및 이를 이용하여 휘도균일성을 개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