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528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528A
KR20090063528A KR1020070130919A KR20070130919A KR20090063528A KR 20090063528 A KR20090063528 A KR 20090063528A KR 1020070130919 A KR1020070130919 A KR 1020070130919A KR 20070130919 A KR20070130919 A KR 20070130919A KR 20090063528 A KR20090063528 A KR 20090063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ultimedia data
playback time
specific
specific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528A/ko
Priority to US12/264,151 priority patent/US20090158154A1/en
Priority to EP08170312A priority patent/EP2071577A1/en
Priority to CN2008101867437A priority patent/CN101459900B/zh
Publication of KR2009006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특정 신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재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정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ALYING BACK DATA THEREIN}
본 발명은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재생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재생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데이터 재생 시에 특정 재생 시점에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정 신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재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정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재생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재생 중에 출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중에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 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 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재생되는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재생되는 데이터라 함은 재생 시간이 존재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음악 파일(예를 들어, MP3 파일), 모바일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있다.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재생 시점마다 출력되는 컨텐츠(contents)가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재생되는 데이터의 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특정 재생 시점(예를 들어, 재생 15초 지점),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해 작성된 특정 코멘트(commment),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경우 특정 웹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8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 물론, 제어 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의 예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해 작성된 특정 코멘트(commment)가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경우, 특정 장면에 대한 코멘트(편의상, '장면 코멘트'라 부름)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시점 정보일 수도 있고,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구간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15초부터 3분까지의 재생 구간과 관련하여 작성된 장면 코멘트가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입력된 순서대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재생 시점은 복수 개가 될 수 있고,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정렬할 수 있다. 그 일례로, 제어부(180)는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재생 시간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 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중 상기 특정 시점 빠른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중 일부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선정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 추출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S30, S40).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선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일부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웹사이트 상에서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일부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가 상기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많이 조회된 일부 코멘트만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문자에 의해 많이 추천된 일부 코멘트가 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에 상기 선정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영상이고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영상 재 생 화면 하단에 작성된 장면 코멘트를 자막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코멘트를 특정 재생 시점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점이 15초인 지점에 대한 코멘트가 "멋지다"이고, 재생 시점이 2분인 지점에 대한 코멘트가 "감동입니다"일 경우, 상기 동영상 재생중에 재생 시간이 15초인 지점에서는 자막으로 "멋지다"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되고, 재생 시간이 2분이 지점에서는 자막으로 "감동입니다"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는 코멘트가 자막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악 파일이고,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작성된 코멘트와 매칭되는 특정 재생 시점에 상기 코멘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음악 파일 재생 중 특정 재생 시점에 상기 코멘트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선정 단계가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에 정렬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S50).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에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이미 설명했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전술한 선정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에 함께 출력하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도시된 화면은 동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시청 중에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15초인 지점에서 멋진 경관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다. 재생 시간이 15초인 지점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재생 시점의 시간 정보(603)가 상기 코멘트 위에 표시된다. 특정 재생 시점의 시간 정보(603)는 특정 재생 시점에 상기 코멘트 입력을 위해 입력 창(601)이 선택되거나, 재생 진행 경과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의 특정 지점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점 선택을 위한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특정 재생 시점의 시간 정보(603)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의 시간 정보(603) 표시를 위한 기능은 "메뉴" 항목의 진입을 통해서도 활성화할 수 있다.
입력 창(601)에 작성된 코멘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코멘트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하단에 표시된 "등록"관련 키를 선택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재생 시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정보는 메모 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작성된 코멘트가 포함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과 동시에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은 하지 않고 전송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재생 시간 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작성된 순서로 정렬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화면에는 특정 재생 시점에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가 표시된 팝업 창(70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팝업 창 옆에는 특정 코멘트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703)가 마련되어져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작성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코멘트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재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진입을 통해, 특정 재생 시점이 빠른 것부터 정렬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정렬된 예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도 7a 또는 도 7b에서 체크박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코멘트만을 재정렬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된 화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코멘트만 분류되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 생 시에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에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동영상은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일 수도 있고, 타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화면에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자막으로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응되게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된 코멘트 중 일부 코멘트만 선택된 경우, 선택된 코멘트만 재생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특정 재생 시점에 정보와 함께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0이 그와 같은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a에 도시된 화면 상태에서 "메뉴" 진입을 통해 "파일생성"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자막으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는 팝업 창(1001)을 다. 상기 팝업 창(1001)을 통해 장면 코멘트가 포함된 새로운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 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분리하여,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특정 재생 시점 정보에 대한 파일은 무선 통신부(110)를 타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파일의 전송은 이메일(E-mail),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IM(Instant Message),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파일은 특정 웹사이트에 업로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재생 시간 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단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웹사이트의 URL이 표시된다. 도시된 화면은 상기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동영상 시청 중에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15초인 지점에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다. 입력 창(1101)에 작성된 코멘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코멘트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 창(1101) 옆에 위치한 "등록" 메뉴를 선택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재생 시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정보는 상기 웹사이트 상에서 등록된 상태로 저장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웹사이트 방문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한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 방문자가 작성한 코멘트(1103)는 "장면 코멘트"란 항목 하단에 디스플레이 된다. 코멘트(1103)에는 작성자의 아이디(ID)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아이디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웹사이트 상에서 사용자 자신이 작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된 코멘트 또는 웹사이트의 다른 방문자가 작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된 코멘트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재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 코멘트 옆에 디스플레이된 "시간순정렬" 항목을 선택하여, 재생 시점이 빠른 장면 코멘트부터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진입을 통해 재생 시점이 빠른 장면 코멘트부터 정렬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정렬된 예가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장면 코멘트 옆에는 상기 장면 코멘트 선택을 위한 체크박스(1105)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a 또는 도 11b에서 체크박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코멘트만을 재정렬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웹사이트의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코멘트만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가 상기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많이 조회된 일부 코멘트만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문자에 의해 많이 추천된 일부 코멘트가 선정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화면에는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3개의 장면 코멘트(도면에 "장면 코멘트 BSET3"로 표시됨)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웹사이트 상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 파일로 다운받을 수도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리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 별로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a에 도시된 화면은 동영상 파일과 분리하여 장면 코멘트만을 다운로드 받는 화면을 나타낸다. 즉, 제어부(180)는 "메뉴" 진입을 통해 또는 "단축키" 입력을 통해 장면 코멘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팝업 창(12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웹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이 이미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다운로드 받은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 재생 화면에 다운로드 받은 장면 코멘트 가 자막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파일을 이메일(E-mail),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IM(Instant Message),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웹사이트 상의 존재하는 사용자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 순서로 정렬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DB에 저장할 수도 있고,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DB에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DB에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작성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DB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DB에 저장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DB에 저장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웹사이트의 방문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 DB는 상기 웹사이트 접속을 위한 아이디와 대응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웹사이트 상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중에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의 제어를 직접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은 제어가 웹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특정의 명령신호를 웹사이트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3b는 특정 재생 시점에 정보와 함께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사이트의 마련된 "파일생성"과 관련된 항목(미도시)을 선택한 경우, 자막으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팝업 창(1303)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팝업 창(1303)을 통해 장면 코멘트가 포함된 새로운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동영상 파일은 이동 단말기(100)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동영상 파일을 타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웹사이트 상에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동영상은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일 수도 있고, 웹사이트이 다른 방문자가 제작한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화면에 특정 재생 시점과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자막으로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응되게 상기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성된 코멘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일부 코멘트만 재생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를(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특정 재생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재생 시간이 15초인 지점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을 복수 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15초인 지점, 재생 시간이 2분인 지점, 재생 신간이 2분 35초인 지점 모두를 특정 재생 시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의 개수와 대응되게 상기 제어 신호도 복수 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추출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특정의 프레임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특정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프레임과 매칭되는 재생 시점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화면에는 추출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프레임(1501)이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프레임(1401) 중 어느 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프레임에 해당하는 특정 재생 시점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게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터치에 의해 두 번째 프레임이 선택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80)는 재생 시간이 10초인 지점부터 재생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의해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고,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특정 재생 시점 정보와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 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디코딩 능력이 서로 다르거나 저장 용량이 서로 다른 전자 기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에 저장된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노트북에서 다운로드 받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물론 노트북에 저장된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폰에서 다운로드 받아 서로 공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백업(backup)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7)

  1. 특정 신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재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정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에 상기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출력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간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의 재생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출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화면상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특정 웹 사이트에 저장된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출력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간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의 재생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출력은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적어도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출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화면상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파일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분리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특정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분리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 정보를 상기 웹사이트 상의 사용자의 아이디와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사이트 방문자에 의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재생 시점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복수 개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1020070130919A 2007-12-14 2007-12-1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20090063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919A KR20090063528A (ko) 2007-12-14 2007-12-1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US12/264,151 US20090158154A1 (en) 2007-12-14 2008-11-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laying data therein
EP08170312A EP2071577A1 (en) 2007-12-14 2008-11-2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laying data therein
CN2008101867437A CN101459900B (zh) 2007-12-14 2008-12-12 移动终端和在其中播放数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919A KR20090063528A (ko) 2007-12-14 2007-12-1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528A true KR20090063528A (ko) 2009-06-18

Family

ID=4037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919A KR20090063528A (ko) 2007-12-14 2007-12-1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58154A1 (ko)
EP (1) EP2071577A1 (ko)
KR (1) KR20090063528A (ko)
CN (1) CN101459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1094A1 (en) * 2009-03-27 2010-09-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ents during content rendering
US20120183271A1 (en) * 2011-01-17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Pressure-based video recording
GB2487972A (en) * 2011-02-11 2012-08-15 Nokia Corp A method of display of comments associated with an object
US9066145B2 (en) * 2011-06-30 2015-06-23 Hulu, LLC Commenting correlated to temporal point of video data
US20130145248A1 (en) * 2011-12-05 2013-06-0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mments with media
CN103377310A (zh) * 2012-04-17 2013-10-30 北京颐达合创科技有限公司 附加内容处理装置和附加内容处理方法
CN103377178A (zh) * 2012-04-17 2013-10-30 北京颐达合创科技有限公司 多媒体处理装置和多媒体处理方法
JP5977585B2 (ja) * 2012-05-31 2016-08-24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CN103517092B (zh) * 2012-06-29 2018-01-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展示的方法及装置
USD769271S1 (en) * 2013-04-05 2016-10-18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762S1 (en) * 2013-04-05 2016-05-31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239354A (zh) * 2013-06-20 2014-12-24 珠海扬智电子科技有限公司 影音内容的评价分享与播放方法以及影音分享***
KR102262721B1 (ko) *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6649400A (zh) * 2015-11-03 2017-05-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多媒体对象推荐方法、装置、***及终端、服务器
CN106815253B (zh) * 2015-12-01 2020-04-10 慧科讯业有限公司 一种基于混合数据类型数据的挖掘方法
US20180191653A1 (en) * 2016-12-30 2018-07-05 Caavo Inc Sharing of content viewed by a user
CN110764730B (zh) * 2018-07-25 2023-11-1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CN109698973B (zh) * 2018-12-29 2021-01-01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进度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3981B (ko) * 1995-07-21 1996-12-21 Philips Electronics Nv
US7111009B1 (en) * 1997-03-14 2006-09-1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playlist generation using annotations
TW463503B (en) * 1998-08-26 2001-11-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Television chat system
KR20040041082A (ko) * 2000-07-24 2004-05-13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북마크와 비디오의 가상 편집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20050160113A1 (en) * 2001-08-31 2005-07-21 Kent Ridge Digital Labs Time-based media navigation system
US7739584B2 (en) * 2002-08-08 2010-06-15 Zane Vella Electronic messaging synchronized to media presentation
KR100999768B1 (ko) * 2003-09-17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FI20041689A0 (fi) * 2004-12-30 2004-12-30 Nokia Corp Mediavirran merkintä ja/tai jakaminen solukkoverkon päätteessä
JP4085284B2 (ja) * 2005-03-24 2008-05-1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US7735101B2 (en) * 2006-03-28 2010-06-0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llowing users to embed comments at specific points in time into media presentation
US7954049B2 (en) * 2006-05-15 2011-05-31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multimedia files along a timeline
US7925244B2 (en) * 2006-05-30 2011-04-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ublishing, sharing and accessing media files
US7559017B2 (en) * 2006-12-22 2009-07-07 Google Inc. Annotation framework for video
US20080182587A1 (en) * 2007-01-29 2008-07-31 Bennett Daniel Luke Attractions network and mobile devices for use in such network
US8285121B2 (en) * 2007-10-07 2012-10-09 Fall Front Wireless Ny, Llc Digital network-based video tagging system
US20090132583A1 (en) * 2007-11-16 2009-05-21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notating, and link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1577A1 (en) 2009-06-17
CN101459900A (zh) 2009-06-17
US20090158154A1 (en) 2009-06-18
CN101459900B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52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10152696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편집 방법
KR101328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20090097461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KR200900399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090087235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387521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2009004061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20090103080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0807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 모터 제어 방법
KR1009522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KR20090104486A (ko)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1014182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KR2009006510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KR20090064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편집 방법
KR1015219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검색방법
KR2009007432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461937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090041634A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17B1 (ko) 이동 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38194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07435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웹사이트 접속 방법
KR20090075551A (ko) 자동 메시지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생성방법
KR2009003521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432591B1 (ko)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tp) 복구 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및 그 복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