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190A -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190A
KR20090062190A KR1020070129305A KR20070129305A KR20090062190A KR 20090062190 A KR20090062190 A KR 20090062190A KR 1020070129305 A KR1020070129305 A KR 1020070129305A KR 20070129305 A KR20070129305 A KR 20070129305A KR 20090062190 A KR20090062190 A KR 2009006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unit
terminal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혜
이종림
김기욱
김철진
임준혁
박철현
김새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190A/ko
Priority to CN200880116959A priority patent/CN101868776A/zh
Priority to PCT/KR2008/007264 priority patent/WO2009075502A2/en
Priority to US12/333,430 priority patent/US20090153368A1/en
Publication of KR2009006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2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30/00 – H10N35/00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감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출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입력단과 상기 단위 출력단이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어레이를 이루도록 설치하되, 입력셀과 상기 출력셀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셀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각 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노이즈를 줄임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신호의 센싱이 가능하다.
촉감, 입력단, 출력단, 입력셀, 출력셀, 가변 저항, 압전 물질, 센서

Description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INPUT/OUTPUT DEVICE FOR TACTILE SENSATION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촉감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에 따른 다양한 촉감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기기는 데이터 출력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초 흑백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에서 시작하여 수십만에서 수백만 화소를 갖는 고화질 컬러 엘씨디 모듈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점차 소형 경박화되어감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한 반영이라 하겠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문자, 숫자 등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스틸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키버튼 등과 같은 별도의 데이터 입력 수단이 필요치 않으며, 출력 과 입력 기능이 동시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데이터 입력시 일반 기계식(메탈돔 방식) 데이터 입력용 키버튼에 비해 사용자에게 터치감의 제공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최근에는 소정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용 구동기를 갖는 촉감 출력 데이터 입출력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가 소망 화면을 터치하게 되면 이에 대하여 약간의 진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평면의 터치에 대한 일말의 거부감을 제거하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진동촉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촉각 마우스, 휴대전화의 진동모드 등과 같이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장치의 몸체 전체를 진동시키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촉각 피드백 시스템의 경우 촉각 입력부와 촉감 출력부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거나 입력 확인을 위한 단순한 피드백을 표현한 방법만이 있어 왔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대한 촉각 입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촉각 센서 입력단(10)과 출력단(20)이 완전히 분리되고 독립되어 있다. 역시 촉각 센서 입력단(10)의 단위 입력셀(11)과 출력단(20)의 단위 출력셀(21)이 겹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상호 간섭에 따른 오동작 및 노이즈 발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역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진동 촉각 마우스, 휴대전화의 진동모드 등과 같이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장치의 몸체 전체를 진동시키는 방식은 사용자가 손끝에서 느낄 수 있는 촉감의 표현이 제한되어 있고 효과도 적다. 또한, 진동 모터에 입력 센서를 부착시킨 형태의 촉감 입출력 장치는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과 출력을 분리하지 않고 같은 어레이 주소를 쓰는 경우 제어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센서의 어레이를 확장할수록 연산량이 많아짐으로써 회로가 복잡해진다. 역시, 기존의 센싱 기술은 X,Y의 조합으로 단순히 입력의 온/오프(on/off)스위치 정보만을 제어하기 때문에 다양한 입출력 방식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입력에 따른 다양한 방식의 촉감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단과 촉감 출력단을 분리시켜 적용시킴으로써 각 단위셀간의 상호 간섭에 의해 노이즈 발생 및 오동작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현되는 촉각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X, Y 구조에서 탈피하여 X축만의 전압값의 범위를 좌표에 매칭시키고 중심값에 해당하는 X값과 압력값에 해당하는 Z값을 추출하여 동일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여 Y축 값에 해당하는 연산량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되는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촉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출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입력단과 상기 단위 출력단이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어레이를 이루도록 설치하되, 입력셀과 상기 출력셀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촉감 입출력 장치를 위한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과 상기 단위 출력단이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어레이를 이루도록 설치하되, 상기 입력셀과 상기 출력셀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촉감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신호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 신호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은 입력셀로써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압전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압전 물질을 가변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압전 물질의 전압차에 따라 가변 저항의 변화를 독취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력 신호가 검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단의 단위 입력셀과 촉감 출력단의 단위 출력셀을 분리하여 셀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각 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노이즈를 줄임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신호의 센싱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셀과 출력셀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입력셀을 온 하기 위해서 출력셀을 오프해야 하는 반복적인 스위칭 동작을 줄임으로써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고 복잡한 제어회로를 보다 간단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입력과 출력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입력은 단순한 터치센싱만 가능하나 두 개를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압력 세기, 빛의 세기등)의 강도 및 레벨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어레이는 X,Y축을 모두 센싱한 후 그 조합으로 위치를 인식하였지만 본 발명은 X축만의 전압값의 범위를 좌표에 매칭시킴으로써 중심값에 해당하는 X값과 압력값에 해당하는 Z값을 추출하여 동일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Y축 값에 해당하는 연 산량을 줄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감 입출력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촉감 입출력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촉감 입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다. 본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으로써 다양한 키버튼이 구비되지 않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숫자, 문자, 기호 등을 터치 동작에 의해 입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촉감 입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화면에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며,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촉감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방식이 적용될 때, 약하게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약한 진동이 출력될 수 있고, 강한 터치에 따라 강한 진동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입력이 가능한데, 압력뿐만 아니라 빛의 세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역시, 다양한 방식의 출력이 가능한데, 진동뿐만 아니라 온도 발생, 마찰력, 정전기력, 자기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의 발생 등의 출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상부에는 수화부인 스피커 장치(111)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하측으로는 송화부인 마이크 장치(112)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촉감 입출력 장치는 독립된 입력단(30)과 출력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단(30)은 다수의 개별 입력셀(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단(40)은 다수의 개별 출력셀(4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단(30)과 출력단(40)을 함께 구성하더라도 각각의 개별 단위 입력셀(31)과 단위 출력셀(41)은 중첩되지 않는다. 즉, 단위 입력셀(31)은 주변 단위 출력셀(41)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단위 출력셀(41)은 주변 단위 입력셀(31)의 단위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입출력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각 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은 각각 입력 센서와 출력 센서로써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압전 소자 등으로 늘어진 긴 사다리 구조의 셀 구조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 자체의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각 입출력 셀의 다양한 배치도로써, 순차적으로 지그재그(zigzag) 배열, 사다리 배열, 교차 구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각각의 단위 입력셀과 단위 출력셀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X, Y축을 갖는 교차 구조에서 벗어나 일렬 사다리 구조로 형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완전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분리 반응을 하는 구조에서 대략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입출력 셀을 배치시킴으로써 입력에 따른 상대적으로 빠른 출력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써,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단(30)과 출력단(40)은 교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입력단(30)의 각각의 단위 입력셀(31)과 상기 출력단(40)의 각각의 단위 출력셀(41)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교차 구조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단(30)의 각 셀(31)은 예를 들어 MUX와 같은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입력 제어부(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단(40)의 각 셀(41)은 인터페이스(42)를 통해 출력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입력 제어부(33)와 출력 제어부(43)는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되고,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출력을 위한 진동 발생 장치 등과 같은 소정의 구동부(미도시됨)를 구동시켜 출력을 제어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 출력 방식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진동의 세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력 장치의 구성도로써, 종렬로 배열된 다수의 입력단(Y1, Y2, Y3...)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입력단은 다수의 단위 입력셀(51)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입력셀(51)로는 압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압력에 따른 전압차의 변화를 이용한 PZT(piezoelectric transducer)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셀(51)은 가변저항(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위 입력셀(51)은 X축으로써 좌표값에 매칭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압전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차는 저항에 의해 발생된 전압차보다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촉감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의 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선택된 위치 자체만으로 Y축은 결정되며, X축만의 전압값의 범위를 좌표에 매칭시킴으로써 중심값에 해당하는 X값과 압력값에 해당하는 Z값을 추출하여 동일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해당 압전 물질의 전압차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출력)제어부는 기 설정된 저항값에 해당하는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발생 수단(미도시됨)과 같은 출력 발생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감 입출력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각 입출력 셀의 다양한 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촉각 입력 장치의 구성도;

Claims (22)

  1. 촉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출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입력단과 상기 단위 출력단이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어레이를 이루도록 설치하되, 입력셀과 상기 출력셀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셀과 출력셀은 서로 교번하여 위치하도록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과 단위 출력단은 종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과 단위 출력단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과 단위 출력단은 같은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은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의 입력셀은 누르는 압력 정도에 따라 전압차가 가변되는 다수의 압전 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압전 물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의 변화에 의해 입력 신호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값은 상기 압전물질에 의해 발생한 전압차가 상기 저항에 의해 발생한 전압차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로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출력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발생 수단은 진동 발생 수단, 물리적인 힘(마찰력, 정전기력, 자기력) 발생 수단, 온도 발생 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12. 제 9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진동 또는 물리적인 힘(마찰력, 정전기력, 자기력) 또는 온도가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 발생 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
  13.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과 상기 단위 출력단이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어레이를 이루도록 설치하되, 상기 입력셀과 상기 출력셀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 동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은 서로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출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출력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출력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출력 발생 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발생 수단으로 진동 발생 수단, 물리적인 힘(마찰력, 정전기력, 자기력) 발생 수단, 온도 발생 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의 구동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진동 또는 물리적인 힘(마찰력, 정전기력, 자기력) 또는 온도가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 발생 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
  19.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입력단을 갖는 입력단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출력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출력단을 갖는 출력단 및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 신호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은,
    입력셀로써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압전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압전 물질을 가변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압전 물질의 전압차에 따라 가변 저항의 변화를 독취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력 신호가 검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 신호 검출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값은 상기 압전물질에 의해 발생한 전압차가 상기 저항에 의해 발생한 전압차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 신호 검출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로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 신호 검출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입력단은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도록 하여 Y축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입출력 장치의 입력 신호 검출 방법.
KR1020070129305A 2007-12-12 2007-12-12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KR2009006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05A KR20090062190A (ko) 2007-12-12 2007-12-12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CN200880116959A CN101868776A (zh) 2007-12-12 2008-12-09 触觉输入/输出设备及其驱动方法
PCT/KR2008/007264 WO2009075502A2 (en) 2007-12-12 2008-12-09 Tactile input/output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2/333,430 US20090153368A1 (en) 2007-12-12 2008-12-12 Tactile input/output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05A KR20090062190A (ko) 2007-12-12 2007-12-12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190A true KR20090062190A (ko) 2009-06-17

Family

ID=4075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05A KR20090062190A (ko) 2007-12-12 2007-12-12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53368A1 (ko)
KR (1) KR20090062190A (ko)
CN (1) CN101868776A (ko)
WO (1) WO20090755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6951B2 (en) 2009-03-18 2014-04-01 HJ Laboratories, LLC Providing an elevated and texturized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10199342A1 (en) 2010-02-16 2011-08-18 Harry Vartani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vated, indented or texturized sensations to an object near a display device or input detection using ultrasound
CN103080875B (zh) * 2010-08-27 2016-09-21 京瓷株式会社 触感提供装置
CN102402318A (zh) * 2010-09-09 2012-04-0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实现定位及力反馈的方法
KR101949737B1 (ko) * 2012-08-28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JP6183661B2 (ja) * 2012-11-30 2017-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および触感呈示方法
KR20140143646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9926B2 (ja) * 2001-11-01 2008-09-17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触知感覚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
JP3937982B2 (ja) * 2002-08-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4784041B2 (ja) * 2003-11-07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入力装置
KR100590576B1 (ko) * 2004-12-28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촉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30786B1 (ko) * 2005-09-28 2007-06-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감지 신호 처리 기능을 개선한 접촉 감지 장치
US8405618B2 (en) * 2006-03-24 2013-03-26 Northwestern University Haptic device with indirect haptic feedback
US20070236474A1 (en) * 2006-04-10 2007-10-11 Immersion Corporation Touch Panel with a Haptically Generated Reference Key
US7639234B2 (en) * 2007-01-04 2009-12-2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and absolute position mapp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5502A3 (en) 2009-09-03
WO2009075502A2 (en) 2009-06-18
US20090153368A1 (en) 2009-06-18
CN101868776A (zh)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906B1 (ko) 디스플레이 버튼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JP4672075B2 (ja) 入力装置
JP5615421B2 (ja) 電子機器
JP5738413B2 (ja) 電子機器
WO2011024460A1 (ja) 入力装置
JP5718475B2 (ja) 触感呈示装置
JP6058734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013467B1 (ko) 촉감제시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62190A (ko) 촉감 입출력 장치 및 이것의 구동방법
US9158377B2 (en) Electronic device to maintain contact position during haptic feedback
JP5787807B2 (ja) 電子機器
JP5710214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20190019723A (ko)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저장 매체
WO2011074159A1 (ja) 触感呈示装置
US9606651B2 (en) Electronic device
TWI549021B (zh) 觸感呈現裝置
JP7103782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制御装置
KR20110093553A (ko) 시촉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5143881B2 (ja) 触感呈示装置およ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WO2020110737A1 (ja) 電子機器
WO2017029717A1 (ja) 駆動制御装置、電子機器、駆動制御プログラム、及び駆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