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634A -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 Google Patents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634A
KR20090059634A KR1020070126591A KR20070126591A KR20090059634A KR 20090059634 A KR20090059634 A KR 20090059634A KR 1020070126591 A KR1020070126591 A KR 1020070126591A KR 20070126591 A KR20070126591 A KR 20070126591A KR 20090059634 A KR20090059634 A KR 2009005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ding
small nozzle
pressure vessel
welding
welding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719B1 (ko
Inventor
정연진
조진만
박형두
이병우
Original Assignee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7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3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three-dimensional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새들 플레이트(saddle plate); 상기 새들 플레이트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칼럼; 상기 칼럼의 상부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구비된 것으로서, X 슬라이더, Y 슬라이더 및 Z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상기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3 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Z 슬라이더에 설치된 용접 헤드; 상기 용접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 토치;를 구비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가 제공된다.
클래딩, 압력 용기, 소형 노즐

Description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 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Cladding machine for Inner Surface of Small Nozzle, Clad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Bonding Structure of Small Nozzle}
본 발명은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용기에 소형 노즐을 용접하는 공정에서 압력 용기의 내표면과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동시에 클래딩을 수행할 수 있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압력 용기의 제작 공정에서는 압력 용기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형 노즐을 용접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소형 노즐이 용접되는 경우에는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형 노즐에 형성된 구멍(hole)의 내표면과 압력 용기에 형성된 구멍의 내표면에 동시에 클래딩 용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작업을 소위 세트-인(set-in)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세트-인 방식의 클래딩 용접은, 압력 용기에 소형 노즐(small-sized nozzle)을 용접하기 이전에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클래딩을 우선 형성하고, 소형 노즐과 압력 용기를 상호 용접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는 압력 용기의 두께를 관통하는 구멍을 천공하되, 상기 압력 용기의 관통 구멍에 소형 노즐의 외측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선 각을 만들게 되며, 압력 용기의 두께 전체를 통해 소형 노즐을 삽입하여 압력 용기의 구멍과 소형 노즐의 외표면 사이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서 이용되는 세트-인 방식의 소형 노즐 용접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력 용기(11)의 두께를 관통하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구멍에 소형 노즐(12)이 삽입되어 용접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소형 노즐(12)을 수용하기 위하여 압력 용기(11)에 형성된 구멍은 소형 노즐(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된다. 압력 용기(11)와 소형 노즐(12) 사이에 용접 부위(13)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12)의 내표면에 형성된 클래딩(14)은 압력 용기(11)에 소형 노즐(12)을 삽입하기 이전에 미리 형성된 것이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세트-인 방식은 압력 용기가 후판(厚板)으로 제작되어 압력 용기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용접 작업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압력 용기의 내부에서 용접을 수행할 때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용접시에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작업자가 중독될 가능성이 있고, 압력 용기 내부의 잔존 가스에 의하여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대한 클래딩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클래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클래딩을 수행할 수 있는 클래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개선된 클래딩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클래딩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소형 노즐과 압력 용기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새들 플레이트(saddle plate); 상기 새들 플레이트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칼럼; 상기 칼럼의 상부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구비된 것으로서, X 슬라이더, Y 슬라이더 및 Z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상기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3 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Z 슬라이더에 설치된 용접 헤드; 상기 용접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 토치;를 구비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새들 플레이트는 압력 용기의 표면에 용 접된 소형 노즐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압력 용기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칼럼에는 상기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용접 헤드에는 상기 용접 토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구동 모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는 용접 토치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압을 자동 조절하는 자동 전압 제어 장치(automatic voltage controller)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칼럼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수평 조절 볼트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 볼트를 회전시켜서 상기 칼럼의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노즐이 용접되어 있는 압력 용기의 표면에서 상기 소형 노즐에 근접하게 새들 플레이트를 용접시키는 단계; 상기 새들 플레이트의 상부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 조절 가능하게 칼럼을 설치하며, 상기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 상에 슬라이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3 축 방향으로 용접 헤드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용접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 토치를 상기 소형 노즐의 내부로 상기 압력 용기에 형성된 구멍의 가장 아랫 부분에 도달하기까지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용접 토치를 회전시키면서 클래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접 토치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클래딩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접 토치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를 이용 한 클래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 용기에는 상기 소형 노즐의 내측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 용기의 구멍과 상기 소형 노즐의 구멍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용기의 표면에 상기 소형 노즐이 용접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 용기에 형성된 구멍의 내표면과 상기 소형 노즐의 구멍의 내표면에는 연속적인 클래딩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접 토치를 회전시키면서 클래딩을 형성하고, 다음에 용접 토치를 소정 간격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용기와 상기 소형 노즐의 내부의 클래딩 상태를 모니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용기의 구멍과 정렬된 내표면을 가지며, 상기 압력 용기 표면에 용접된 소형 노즐; 및 상기 압력 용기의 구멍과 상기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클래딩;을 포함하는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클래딩 장치는 압력 용기에 용접된 소형 노즐의 내표면과 압력 용기에 형성된 구멍 내표면에 대하여 동시에 효율적으로 클래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래딩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소형 노즐을 수용하기 위 한 구멍을 압력 용기에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 사이의 용접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안전상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력 용기(36)의 표면 일측에는 소형 노즐(35)이 용접되어 있으며, 압력 용기(36)에 용접된 상기 소형 노즐(35)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클래딩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클래딩 장치는 압력 용기(36)의 표면에 배치되는 새들 플레이트(saddle plate, 32)와, 상기 새들 플레이트(32)에 볼트(31)로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대하여 수평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칼럼(28)과, 상기 칼럼(28)의 상부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50)과, 상기 테이블(50) 상에 구비된 것으로서 X 슬라이더(21), Y 슬라이더(23), Z 슬라이더(2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와, 상기 Y 슬라이더(23)상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 헤드(24)와, 상기 용접 헤드(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 토치(25)를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50)의 상부에는 용접 토치(25)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압을 자동 조절하는 자동 전압 제어 장치(automatic voltage controller, 26)가 설치된다. 또한, 테이블(50)이 지지하는 슬라이딩 장치 및 자동 전압 제어 장치(26)와의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웨이트 밸런스(27)가 테이블(50) 위에 제공된다.
새들 플레이트(32)는 압력 용기(36)의 표면에 용접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 플레이트(32)의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32a)의 저면과 압력 용기(36)의 외표면은 용접으로 상호 고정된다. 새들 플레이트(32)의 상부 표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0)가 볼트로 체결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칼럼(28)이 설치된다. 칼럼(28)은 수평 조절 볼트(29)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설치된다. 수평 조절 볼트(29)는 도시되지 않은 공구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으며, 수평 조절 볼트(29)의 회전에 의하여 테이블(50)의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수평 조절 볼트(29)는 칼럼(28)의 하부 플랜지와 베이스 플레이트(30) 사이에 3 개 이상 제공되며,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4 개의 수평 조절 볼트(29)가 제공됨으로써 4 개 위치에서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칼럼(28)의 내부에는 제 1 회전 구동 모터(28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회전 구동 모터(28a)의 회전축은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회전 구동 모터(28a)의 구동에 의해서 테이블(50)이 칼럼(28)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테이블(50)이 회전함으로써 용접 토치(25)가 소형 노즐(3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블(50)의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장치는 통상적인 X-Y-Z 슬라이딩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Z 슬라이더(22)를 따라서 X 슬라이더(21)가 상하로 승강될 수 있고, X 슬라이더(21)를 따라서 Y 슬라이더(23)가 수 평 이동할 수 있다. 상기 Y 슬라이더(23)의 수평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Y 슬라이더(23)를 따라서 용접 헤드(24)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라이더(21,22,23)에는 구동 모터(21a, 22a, 23a)와 볼 스크류(22a, 22b, 23b)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이송부가 구비됨으로써, 승강 운동 및 수평 이송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용접 헤드(24)에는 제 2 회전 구동 모터(28b)가 설치되며, 제 2 회전 구동 모터(28b)의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은 용접 토치(25)와 결합된다. 상기 용접 헤드(24)에 설치된 제 2 회전 구동 모터(28b)에 의해 용접 토치(25)는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토치(25)는 승강 운동과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접 토치(25)는 소형 노즐(35)의 내부 및 압력 용기(3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 및 승강 운동을 함으로써 소형 노즐(35)의 내표면과 압력 용기(36)의 구멍 내표면에 대한 클래딩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전압 제어 장치(26)는 용접 토치(25)로 클래딩 용접을 수행하는 동안 용접 전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용접면과 용접 토치(25)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웨이트 밸런스(27)는 테이블(50)상에 배치된 슬라이딩 장치 및 자동 전압 제어 장치(26)의 무게를 평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클래딩 장치를 이용하여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클래딩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것은 압력 용기의 표면에 소형 노즐이 용접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용기(36)에는 소형 노즐(35)의 내측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구멍이 압력 용기(36)의 두께를 관통해서 형성되며, 소형 노즐(35)의 구멍과 압력 용기(36)의 구멍이 상호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소형 노즐(35)은 압력 용기(36)의 표면에 용접부(37)를 통해 용접된다. 본 발명에서는 소형 노즐(35)을 압력 용기(36)에 용접하기 위해서 소형 노즐(35)의 외측 직경보다 큰 구멍을 압력 용기(36)에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마찬가지로 소형 노즐(35)이 압력 용기(3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필요는 없다. 이는 압력 용기(36)와 소형 노즐(35) 사이의 용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소형 노즐(35)의 내표면에 미리 클래딩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압력 용기(36)의 표면에 새들 플레이트(32)를 용접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새들 플레이트(32)는 압력 용기(36)의 표면에서 소형 노즐(35)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새들 플레이트(32)의 상부에는 클래딩 장치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5a 는 새들 플레이트(32)에 클래딩 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장치들을 새들 플레이트(32)상에 조립함으로써 용접 토치(25)는 소형 노즐(35)의 상부에서 소형 노즐(35)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용접 토치(25)는 용접 토치(25)를 유지하고 있는 용접 헤드(24, 도 2)를 Z 슬라이더(22)를 이용하여 상승시키고, X 슬라이더(21) 및 Y 슬라이더(23)를 이용하여 수평 운동시킴으로써 소형 노즐(35)의 상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5b 는 도 5a에서 A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시켜서 나타낸 것으로서, 수평 조절 볼트(29)가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칼럼(28)의 플랜지를 상호 체결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수평 조절 볼트(29)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칼럼(28)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 에 도시된 것은 Z 슬라이더(22)를 이용하여 X 슬라이더(21)를 하강시킴으로써 용접 토치(25)가 소형 노즐(35)의 내부로 진입한 것을 도시한다. 용접 토치(25)는 소형 노즐(35)의 전체 높이를 지나서 압력 용기(36)의 두께를 관통하는 구멍의 내부로 진입한다. 도 6b 는 도 6a 의 B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용접 토치(25)가 압력 용기(36)에 형성된 구멍의 가장 아래 부분까지 도달한 것을 나타낸다.
도 7a 에 도시된 것은 용접 토치(25)가 회전하면서 압력 용기(36)와 소형 노즐(35)의 내표면에 클래딩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용접 토치(25)는 용접 헤드(24, 도 2)에 구비된 회전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용접 토치(25)에 공급되는 전압은 자동 전압 제어 장치(26)에 의해서 조절됨으로써 용접면과 토치 사이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용접 토치(25)의 회전에 의해 클래딩이 소정의 높이 범위에 걸쳐서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용접 토치(25)의 1 회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Z 슬라이더(22)의 작용에 의해 용접 토치(25)가 소정 간격으로 상승하게 되며, 다시 용접 토치(25)가 회전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즉, 용접 토치(25)는 회전 용접 및 상승을 반복함으로써 압력 용기(36)와 소형 노즐(35)의 내표면 전체에 걸쳐서 클래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b 에 도시된 것은 도 7a에서 C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용접 토치(25)가 회전하면서 클래딩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며, 클래딩이 압력 용기(36)에 형성된 구멍의 내표면과 소형 노즐(35)의 내표면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클래딩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용접 토치(25)를 반드시 상승시키면서 클래딩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반대로 용접 토치(25)를 하강시키면서 수행해도 클래딩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도 8 에 도시된 것은 압력 용기(36)와 소형 노즐(35)의 내부에 내시경 카메라(82)를 삽입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클래딩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클래딩이 정확하게 형성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 내시경 카메라(82)를 소형 노즐(35)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모니터(81)를 통하여 클래딩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클래딩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형 노즐(35)의 저부는 압력 용기(36)의 표면상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용접이 이루어지고, 소형 노즐(35) 자체가 압력 용기(36)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용접은 소위 세트-온(set-on) 방식으로 지칭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형 노즐(35)의 내측 직경과, 압력 용기(36)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소형 노즐(35)의 내표면과 압력 용기(36)의 두께를 관통시켜서 형성한 구멍의 내표면에는 클래딩 (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래딩(39)은 압력 용기(36)의 구멍의 내표면으로부터 소형 노즐(35)의 내표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라서 용접된 압력 용기 및 소형 노즐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방법에서 소형 노즐과 압력 용기가 상호 용접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방법에서 새들 플레이트가 소형 노즐에 근접하여 용접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방법에서 소형 노즐의 상부에 용접 토치가 도달하여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5b 는 도 5a 의 A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방법에서 소형 노즐의 내부로 용접 토치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 는 도 6a 의 B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방법에서 용접 토치가 소형 노즐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클래딩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b 는 도 7a 의 C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소형 노즐의 내부로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하여 모니터로 소형 노즐의 클래딩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클래딩이 구비된 압력 용기와 소형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1. X 슬라이더 22. Z 슬라이더
23. Y 슬라이더 24. 용접 헤드
25. 용접 토치 26. 자동 전압 제어 장치
28. 칼럼 30. 베이스 플레이트
32. 새들 플레이트 50. 테이블

Claims (10)

  1. 새들 플레이트(saddle plate);
    상기 새들 플레이트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칼럼;
    상기 칼럼의 상부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구비된 것으로서, X 슬라이더, Y 슬라이더 및 Z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상기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3 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Z 슬라이더에 설치된 용접 헤드;
    상기 용접 헤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용접 토치;를 포함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플레이트는 압력 용기의 표면에 용접된 소형 노즐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압력 용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에는 상기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구동 모터가 구비 되고, 상기 용접 헤드에는 상기 용접 토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구동 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제공되고, 용접 토치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압을 자동 조절하는 자동 전압 제어 장치(automatic voltage controll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수평 조절 볼트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조절 볼트를 회전시켜서 상기 칼럼의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6. 소형 노즐이 용접되어 있는 압력 용기의 표면에서 상기 소형 노즐에 근접하게 새들 플레이트를 용접시키는 단계;
    상기 새들 플레이트의 상부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 조절 가능하게 칼럼을 설치하며, 상기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 상에 슬라이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3 축 방향으로 용접 헤드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용접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접 토치를 상기 소형 노즐의 내부로 상기 압 력 용기에 형성된 구멍의 가장 아랫 부분에 도달하기까지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용접 토치를 회전시키면서 클래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접 토치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클래딩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접 토치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를 이용한 클래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에는 상기 소형 노즐의 내측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 용기의 구멍과 상기 소형 노즐의 구멍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용기의 표면에 상기 소형 노즐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를 이용한 클래딩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에 형성된 구멍의 내표면과 상기 소형 노즐의 구멍 내표면에는 연속적인 클래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즐의 클래딩 장치를 이용한 클래딩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접 토치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동안에,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용기와 상기 소형 노즐의 내부의 클래딩 상태를 모니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즐의 클래딩 장치를 이용한 클래딩 방법.
  10. 압력 용기의 구멍과 정렬된 내표면을 가지며 상기 압력 용기 표면에 용접된 소형 노즐; 및
    상기 압력 용기의 구멍과 상기 소형 노즐의 내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클래딩;을 포함하는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KR1020070126591A 2007-12-07 2007-12-07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KR10091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591A KR100915719B1 (ko) 2007-12-07 2007-12-07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591A KR100915719B1 (ko) 2007-12-07 2007-12-07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34A true KR20090059634A (ko) 2009-06-11
KR100915719B1 KR100915719B1 (ko) 2009-09-04

Family

ID=4098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591A KR100915719B1 (ko) 2007-12-07 2007-12-07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5006A (zh) * 2012-08-27 2012-11-21 江苏大德重工有限公司 螺旋铝管内壁焊接机械工装
CN104148782A (zh) * 2014-06-14 2014-11-19 盛时永 一种自动控制的电焊机支架
CN109302810A (zh) * 2018-09-17 2019-02-01 赖海燕 一种芯片封装结构以及芯片封装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437B1 (ko) * 2016-11-01 2017-04-17 (주)에스엠테크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KR102579891B1 (ko) * 2023-04-20 2023-09-15 김연기 탱크압력용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2466A (ja) * 1985-05-17 1986-11-20 Japan Steel Works Ltd:The 横向きオ−バ−レイ装置
KR870000994A (ko) * 1985-07-22 1987-03-10 정몽준 소구경 파이프 내면에 이질 금속을 tig 자동 육성 용접시키는 방법과 그 장치
KR200260895Y1 (ko) * 1997-06-30 2002-06-24 이구택 원통형부재의 표면 자동육성장치
KR100825308B1 (ko) * 2001-11-15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상소둔로용 컨벡터 플레이트 용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5006A (zh) * 2012-08-27 2012-11-21 江苏大德重工有限公司 螺旋铝管内壁焊接机械工装
CN104148782A (zh) * 2014-06-14 2014-11-19 盛时永 一种自动控制的电焊机支架
CN109302810A (zh) * 2018-09-17 2019-02-01 赖海燕 一种芯片封装结构以及芯片封装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719B1 (ko) 200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719B1 (ko)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KR100609940B1 (ko) 변압기용 방열기 자동용접장치
KR20090025417A (ko) 철구조물 자동용접 시스템
KR101526543B1 (ko) 플라즈마 및 산소 연료 절단기용 베벨 헤드 장치
CN109358115B (zh) 核主泵法兰螺栓在线超声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90042233A (ko) 티형 배관 용접장치
JPS61286096A (ja) 取付治具の装着方法とその装置
KR102189173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제조장치
KR101788830B1 (ko) 용접용 틸팅테이블
CN105479184A (zh) 椭球贮箱箱底法兰孔铣削、法兰盘焊接总成
KR20140060826A (ko) 강관 절단 및 용접 장치
CN108942070B (zh) 焊缝位置调整工装及具有该工装的筒体环缝焊转动装置
CN215356954U (zh) 一种焊接h型钢卧式组对***
KR101240275B1 (ko) 원자력 발전소 1차 계통 관통 노즐 정비용 자동 용접장치
JPH0825088A (ja) 溶接ロボット用ポジショナ傾動装置
JP4324493B2 (ja) 狭隘部での探傷を行う検査装置
KR101797753B1 (ko) 용접용 틸팅테이블
KR102238418B1 (ko) 오비탈 용접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을 용접하기 위한 오비탈 용접장치
KR20180022377A (ko) 파이프 용접기의 파이프 지지장치
KR20100069744A (ko) 파이프 내면 맞대기 용접장치
KR102379792B1 (ko)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CN110640368A (zh) 免点焊自动焊接机
KR101797754B1 (ko) 용접용 틸팅테이블
KR101711152B1 (ko) 자동 용접장치
CN117182423A (zh) 装配焊接设备及装配焊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