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649A -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649A
KR20090057649A KR1020070124323A KR20070124323A KR20090057649A KR 20090057649 A KR20090057649 A KR 20090057649A KR 1020070124323 A KR1020070124323 A KR 1020070124323A KR 20070124323 A KR20070124323 A KR 20070124323A KR 20090057649 A KR20090057649 A KR 20090057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orage unit
stored
unit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빈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7649A/ko
Publication of KR2009005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a)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으로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 (a)단계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에서 저장 공간이 확보된 상기 저장부에 상기 (a)단계의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저장부에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저장된 영상 중에서 화질이 좋지 않은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중요한 순간의 영상을 포착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24323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화상 평가, 영상 삭제

Description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leting an image automatically and the method of com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부에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충분하지않은 경우에 불필요한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을 확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중요한 순간에 영상을 포착하기 위해 셔터-릴리즈 버튼을 눌렀을 때 메모리 카드의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중요한 순간을 포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 카드를 교체하거나 영상을 삭제하기 위해 재생 모드로 변환하여 필요로 하지 않는 영상을 삭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삭제하는 경우 이미 포착하고자 한 중요한 순간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에는 대용량 메모리 카드가 개발되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사용됨에 따라 삭제할 영상이 많아지므로 삭제할 영상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썸네일 영상에서 지우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불필요한 영상을 삭제하는데에는 일정 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영상의 크기가 작아서 사용자가 제공된 영상의 화질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화질이 좋은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영상을 지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싱글 모드를 통하여 영상을 한 장씩 제공하는 경우에는 영상을 삭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불필요한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a)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으로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 (a)단계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에서 저장 공간이 확보된 상기 저장부에 상기 (a)단계의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상기 (a)단계의 영상의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 (b2)상기 저장부에 남아 있는 저장 할 수 있는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b3)상기 (b1)단계에서 판단한 용량 및 상기 (b2)단계에서 판단한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2)상기 (a)단계의 영상이 저장될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c1)단계의 영상들 중 저장된 시기를 기준으로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 른 영상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2)상기 (a)단계의 영상이 저장될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c1)단계의 영상들 중 화상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화상 평가 점수가 가장 낮은 영상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2)상기 (a)단계의 영상이 저장될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c1)단계의 영상들로서 화상 평가 점수가 일정한 점수 이하인 영상들 중 저장된 시기를 기준으로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른 영상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상기 (a)단계의 영상에 대하여 화상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d2)상기 (a)단계의 영상과 그에 대한 화상 평가 점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으로 영상을 포착하는 영상 포착부, 상기 포착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 포착부에 의해 포착된 영상의 용량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가능한 용량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알고리즘, 상기 영상 포착부에 의해 포착된 영상에 대하여 화상 평가를 실행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알고리즘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그에 부여된 화상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삭제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제어부,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영상 포착부에 포착된 영상 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화상 평가를 실행하는 알고리즘은 초점, 노출, 노이즈 및 화이트 밸런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불필요한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포착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포착하고자 하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포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재생 모드에서 직접 영상을 검색하여 삭제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전면 및 상면에는 셔터-릴리즈 버튼(110), 전원 버튼(120), 플래시(130), 보조광(140) 및 렌즈부(150)가 있다.
셔터-릴리즈 버튼(110)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0)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70)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0)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0)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20)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30)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40)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5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상기 렌즈부(150)는 영상 포착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뒤쪽에는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60w), 망원(telephoto)-줌 버튼(160t), 모드 버튼(161), 특 수효과 버튼(162), 기능버튼(163), 재생버튼(164) 및 디스플레이부(170)가 있다.
광각-줌 버튼(160w) 또는 망원-줌 버튼(160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160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60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모드 버튼(161)은 PMP(Portable Media Player) 모드 또는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효과 버튼(162)은 디지털 카메라의 다양한 부가 기능의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기능버튼들(163)은 상향버튼, 하향 버튼, 좌향버튼, 우향버튼 및 메뉴/OK버튼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기능버튼들(163)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들은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
재생 버튼(164)은 재생 모드와 프리뷰(preview) 모드의 상호 전환 또는 프린터로의 직접 출력을 위하여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피사체, 사용자에 의한 기능버튼들(163)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및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일반적으로 LCD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치 패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카메라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카메라가 아닌 캠코더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카메라라고 할지라도,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거나 SLR(single lens reflex) 카메라와 같은 렌즈교환식 카메라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영상 포착부, 저장부, 제어부, 사용자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영상 포착부는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및 CDS-ADC 소자(20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상기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160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160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0)가 구동부(218)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 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0)를 통하여 구동부(208)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CDS-ADC 소자(2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0)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지시용 램프들이 포함된다.
저장부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 및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 부착된 메모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RAM(2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저장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포착된 영상이 저장될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을 확보할 때까지 상기 포착된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등에 상기 DRAM(204)등의 임시 저장부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EEPROM(205)에는 제어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착된 영상의 용량과 저장부의 저장가능한 용량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알고리즘, 상기 포착된 영상의 화상 평가를 실행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알고리즘 및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그에 부여된 화상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삭제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상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기준은 초점, 노출, 노이즈 및 화이트 밸런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요소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 부착된 메모리 카드에는 포착된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부여된 화상 평가 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반드시 상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 착탈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10), 전원 버튼(120), 광각-줌 버튼(160w), 망원-줌 버튼(160t), 모드 버튼(161), 특수효과 버튼(162), 기능 버튼들(163) 및 재생 버튼(164)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EEPROM(205)에 저장된 알고리즘들을 호출하여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해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7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 RS232C 인터페이스와 그 접속부 또는 비디오 필터 및 비디오 출력부 등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I/F, 180)를 통하여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1)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70) 및 스피커(SP)는 재생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에게 피사체의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7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210)는 플래시-광량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209)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30)를 구동한다.
상기 영상 포착부, 저장부, 제어부, 사용자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의하여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불필요한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포착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포착하고자 하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포착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구성요소는 상기 설명한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포착하고자 하는 장면이 있는 경우에 셔터-릴리즈 버튼을 눌러서 영상이 포착되게 된다(300단계). 상기 포착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되기 전에 우선 DRAM(204) 등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장소에 저장된다.
제어부는 영상이 포착되면 포착된 영상을 용량을 판단하게 된다(301단계). 이 때 포착된 영상의 용량은 영상 이미지뿐만 아니라 Exif 정보 등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 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포착된 영상의 용량을 판단한 후에는 저장부에 남아 있는 저장할 수 있는 공 간의 용량을 판단하게 된다(302단계).
상기 포착된 영상의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부에 남아 있는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에 의하여 판단된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포착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303단계).
상기 판단에 의하여 저장부에 상기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영상을 삭제하여 저장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게 된다(304단계). 상기 삭제하게 되는 영상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영상이 될 수 있으며, 사전에 우선적으로 삭제하기 위하여 분류하여 둔 삭제 후보 영상이 될 수도 있다.
불필요한 영상을 삭제하기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의 검색을 마친 후에는 검색된 영상들 중에서 어느 영상부터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삭제 기준을 판단하게 된다(305단계). 상기 삭제 기준은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준에 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경우에는 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삭제 기준은 시간, 화상 평가 점수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삭제 기준으로 시간, 화상 평가 점수 또한 시간 및 화상 평가 점수를 혼합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을 삭제하는 기준이 시간인 경우에 제어부는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른 영상을 삭제하게 된다(306단계).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영상을 포착한 후 일정한 시 간이 경과한 후에는 포착된 영상을 컴퓨터 등의 저장매체에 옮겨서 관리한다. 따라서 저장된 시기가 오래된 영상을 삭제하는 것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영상을 삭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른 영상을 검색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영상 파일에 함께 저장되어 있는 Exif 정보를 사용한다. Exif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정보를 영상에 기록하는 표준 규칙이다. 상기 Exif 정보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렌즈의 모델명, 조리개 및 셔터 설정, 화이트밸런스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시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착 시간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카메라 제조사는 메이커 노트(Makernote)를 추가로 만들어 Exif 정보로는 부족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영상을 삭제하는 기준이 화상 평가 점수인 경우에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영상들 중에서 화상 평가 점수가 가장 낮은 영상을 삭제하게 된다(307단계). 상기 화상 평가 점수는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때에 화상을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언급한 메이커 노트에 추가되어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Exif 정보에 포함된 메이커 노트를 검색하여 화상 평가 점수가 가장 낮은 화상을 찾아낼 수 있다. 화상 평가 점수가 낮은 영상을 삭제함으로 인하여 빛에 지나치게 노출되거나 흔들림이 심한 영상들을 우선적으로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불필요하다고 느끼는 영상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영상을 삭제하는 기준이 시간 및 화상 평가 점수 두 가지를 혼합한 경우에 제어부는 우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검색된 전체 영상들 중에서 화상 평가 점수가 일정한 점수 이하인 영상들을 분류하게 된다(308단계). 상기 일정한 점수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법에 의할 수도 있으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가 초기값으로 정해놓은 점수일 수도 있다.
상기 단계에 의하여 화상 평가 점수가 일정한 점수 이하인 영상들을 별도로 분류한 다음에는 분류된 영상들 중에서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른 영상을 삭제하도록 한다(309단계).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이 삭제된 후에는 포착된 영상이 저장될 공간이 충분한지 저장부에 남아 있는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용량을 판단한다(310단계).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포착된 영상의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301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삭제한 후에 저장부에 남아 있는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310)에서 판단한 용량을 비교하여 포착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311단계). 이 경우 아직 저장부에 포착된 영상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다시 영상을 삭제하기 위한 단계로 돌아가서 영상을 삭제하는 기능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저장부에 포착된 영상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 되었다고 판단되면 포착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단계로 진행한다.
저장부에 포착된 영상이 저장될 공간이 확보되면 포착된 영상의 화질이 좋은지 판단하는 화상 평가를 실행한다(312단계). 화상 평가는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기능을 자동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영상을 포착한 경우에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이트 밸런스나 초점 등을 수동으로 하여 고의로 빛의 노출을 길게 하거나 흐릿한 영상을 포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포착된 영상의 화질이 나쁘다고 하여도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영상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화상 평가는 포착된 영상의 화질을 판단하는 요소로 초점, 노출, 노이즈 및 화이트 밸런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포착된 영상의 화질을 판단하는 방법 중 초점에 의한 판단은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에 실패한 영상에 대하여 낮은 점수를 부여하고 오토 포커싱이 성공한 영상에 대하여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오토 포커싱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에 제공되고 있으며 오토 포커싱이 성공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70)에는 녹색 광이 표시되고 실패한 경우에는 적색 광이 표시되는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착된 영상의 화질을 판단하는 방법 중 노출에 의한 판단은 셔터의 속도에 의하여 영상 포착부에 외부의 빛에 얼마나 노출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는 현재 영상을 포착하고자 하는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외부의 밝기 정보로부터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밝기 정보로부터 실내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의하여 결정된 장소에서 일반적으로 영상 포착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빛의 기준량을 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량을 기준으로 하여 영상 포착부가 기준량보다 얼마나 많은 양의 빛이 노출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비율을 구하여 점수로 환산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00-│1-(실제 노출된 빛의 양)/( 기준량)│×100 와 같은 방식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노출이 많이 된 영상과 노출이 적게 된 영상에 있어서 노출이 많이 된 영상과 노출이 적게 된 영상에 대하여 평가의 비중을 달리하여 노출이 많은 영상에 대하여 더 좋은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포착된 영상의 화질을 판단하는 방법 중 화이트 밸런스에 의한 판단은 색온도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광원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색온도에 따라 포착된 영상을 각기 다른 색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기준 색온도에 대하여 포착된 영상의 색온도를 판단하고 그 차이에 대하여 점수로 환산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포착된 영상의 화질을 판단하는 방법 중 노이즈에 의한 판단은 포착된 영상이 실제 영상과 상이하게 표현되는 컬러 노이즈, 그레인 노이즈, 벤딩 노이즈 및 점 노이즈 등이 전체 영상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에 의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화상 평가를 실행한 후에는 포착된 영상에 상기 각각의 방식에 의하여 평가된 화상 평가 점수를 부여한다(313단계). 사용자는 상기 화상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단계(307단계)나 시간 및 화상 평가 점수가 혼합된 방식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단계(308단계 및 309단계)에서 화상 평가 점수의 기준을 상기 여러가지 방식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가지 방식에 의한 화상 평가 점수를 합산한 점수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화상 평가 점수가 부여된 후에 상기 포착된 영상 및 상기 화상 평가 점수를 저장부에 저장한다(314단계). 이때 상기 화상 평가 점수는 메이커 노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수동으로 조절한 경우에는 화상 평가가 실행되지 않아 점수가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포착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불필요한 영상을 자동으로 삭제하여 포착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포착하고자 하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포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재생 모드에서 직접 영상을 검색하여 삭제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8)

  1. (a)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으로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 (a)단계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에서 저장 공간이 확보된 상기 저장부에 상기 (a)단계의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상기 (a)단계의 영상의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
    (b2)상기 저장부에 남아 있는 저장 할 수 있는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b3)상기 (b1)단계에서 판단한 용량 및 상기 (b2)단계에서 판단한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2)상기 (a)단계의 영상이 저장될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c1)단계의 영상들 중 저장된 시기를 기준으로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른 영상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2)상기 (a)단계의 영상이 저장될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c1)단계의 영상들 중 화상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화상 평가 점수가 가장 낮은 영상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c2)상기 (a)단계의 영상이 저장될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c1)단계의 영상들로서 화상 평가 점수가 일정한 점수 이하인 영상들 중 저장된 시기를 기준으로 저장된 시기가 가장 빠른 영상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상기 (a)단계의 영상에 대하여 화상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d2)상기 (a)단계의 영상과 그에 대한 화상 평가 점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으로 영상을 포착하는 영상 포착부;
    상기 포착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 포착부에 의해 포착된 영상의 용량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가능한 용량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알고리즘, 상기 영상 포착부에 의해 포착된 영상에 대하여 화상 평가를 실행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알고리즘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그에 부여된 화상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삭제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제어부;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영상 포착부에 포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화상 평가를 실행하는 알고리즘은 초점, 노출, 노이즈 및 화이트 밸런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을 평가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70124323A 2007-12-03 2007-12-03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90057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23A KR20090057649A (ko) 2007-12-03 2007-12-03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23A KR20090057649A (ko) 2007-12-03 2007-12-03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49A true KR20090057649A (ko) 2009-06-08

Family

ID=4098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23A KR20090057649A (ko) 2007-12-03 2007-12-03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76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011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JP448184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559992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129382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6345402A (ja) 日付ソート機能付き画像ファイル情報表示装置、画像ファイル情報表示方法及び撮像装置
US200502547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22469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0987773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KR100627047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1113234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20090057649A (ko)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058027B1 (ko) 이미지 저장 방법
JP4776967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604313B1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KR101058023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JP2005210411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US20050083416A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files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utilizing date data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1411914B1 (ko) 포토 프레임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