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098A -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 Google Patents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098A
KR20090057098A KR1020097007198A KR20097007198A KR20090057098A KR 20090057098 A KR20090057098 A KR 20090057098A KR 1020097007198 A KR1020097007198 A KR 1020097007198A KR 20097007198 A KR20097007198 A KR 20097007198A KR 20090057098 A KR20090057098 A KR 20090057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float valve
cradle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035B1 (ko
Inventor
랜달 스콧 피어스
울프강 리터
Original Assignee
스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6904984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6904984A0/en
Application filed by 스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5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 예컨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되는 탈부착가능한 물통과,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은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유체 소통을 할 수 있는 물 유입구와, 사용시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플로트 밸브는 사용시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플로트 밸브, 크래들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A Water Transfer Regulating Means For A Water Dispenser}
본 국제특허출원은 호주 가출원 제20069049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도꼭지를 통한 식수의 분배를 위해 지지된 탈부착식 물통을 갖는 워터 디스펜서와 같이 물공급의 흐름이 조절되지 않는 타입의 워터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는 가열 또는 냉각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탈부착식 물통은 주로 사용을 위해 뒤집힌 강체 병이다. 본 발명은 특히 디스펜서로 물공급의 조절되지 않는 흐름으로 인해 이송된 물의 조절에 사용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그린(Biogreen) A/S 명으로 국제특허출원 PCT/NO00/00069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서용으로 종래의 단단한 병모양의 용기와는 다른 용기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러한 워터 디스펜서의 통상적인 동작을 기술하고 있으며, 물이 강체 병모양의 용기를 나갈 때 공기가 대체되고, 이 대체로 인해 마주치는 여러가지 어려움과 문제들을 논의하고 있다.
바이오 그린 A/S 특허출원은 액체가 수도꼭지에서 나옴에 따라 내부 용기가 함몰되도록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내부의 유연한 용기를 갖는 적당한 강도의 외부 용기 형태를 한 용기의 사용을 제안한 대체 물통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함몰 경향은 강체 용기를 비강체 용기로 대체하는데 있어 이전에는 디자인적인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는 주로 이러한 비강체 용기는 종래 워터 디스펜서에 대해 일단 뒤집어져 내부 용기와 유체적으로 흐르게 되어 내용물이 자체적으로 (중력 적용으로 인해) 즉각 비워지는 경향으로 인해서 였다. 이러한 타입의 비강체 용기는 물론 "백-인-박스(bag-in-box)" 용기 또는 "백-인-박스" 패키징으로 알려져 있다.
백-인-박스 패키징은 현제 그 경제성, 편의성 및 저장능력으로 인해 다양한 상품용으로 일상적이다. 이런 식으로 경제적으로 포장되는 상품의 예로는 요리유 및 식용유, 및 토마토 소스(케찹)과 같은 더 많은 다양한 제품들과 함께 우유, 물, 주스 및 와인이 있다. 호주에서, 아마도 이러한 포장 타입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와인통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포장은 상품의 수용을 위한 유연한 백과 채워진 백의 수용을 위한 보드상자로 구성된다. 백에는 통상적으로 백이 채워질 수 있고 내용물이 연이어 분배되는 관형 분출구가 설비되어 있다. 박스에는 상기 박스내 분출구의 위치 부근에 구멍이 난 탭이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의 편리한 중력 분배를 위해 (주로 바닥 부근에) 박스의 벽에 있는 분출구에 접근, 제거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박스가 상기 제안한 방식으로 워터 디스펜서에 배치되었다면 필요할 수 있는 박스의 바닥 벽에 분출구(및 이에 따른 적절한 구멍이 난 탭)를 위치시키는 것이 쉽게 달 성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강체병을 이용한 판매시장에서 매우 많은 워터 디스펜서들을 생각하면, 임의의 다른 형태의 용기들이 용기의 적용에 의해 그리고 기존의 워터 디스펜서와 어떻게 결합되는지 또는 기존의 용기(또는 단지 약간 변형된 용기)가 기존의 워터 디스펜서와 결합하게 하는 방식의 사용에 의해 소정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기존의 워터 디스펜서에 임의의 변경을 하지 않고도 쉽게 강체 병을 대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임의의 이러한 매개수단은 용기가 뒤집힌 경우 그리고 워터 디스펜서의 용기와 유체 소통되는 경우 물통이 즉각 비워지게 하지 않도록 또한 작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정확하게 상기 요구로 개발되었다. 실제로,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물통이 아니라 흐름이 (예컨대 밸브에 의해) 규제되지 않게 물이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사용을 또한 발견한다. 이 상황에서, 물통으로 밸브를 수직하게 잇기 보다는 물통으로부터 디스펜서로 물 이송을 규제하는 적절한 중간 수단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요약에 들어가기 전에, 종래 기술의 상기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배경으로서 제공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인용된 자료 중 어느 것도 공개 또는 공지된 것으로 또는 호주나 그 밖의 다른 곳에서 통상적인 일반지식의 일부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
또한,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 본 명세서를 통해, 분배되는 액체는 "물"로서 표기되어 있고 디스펜서는 "워터 디스펜서"로 표기되어 있다. 물은 확실히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해 고안된 액체이나, 물만을 인용한 것은 명확성과 참조문헌 전체에 걸쳐 용이한 인용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용기내(또는 물통에 의해 제공되는) 액체 타입과 이에 따른 분배되는 액체타입은 물일 필요가 없고 또 다른 액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는 분배되는 액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나 그럴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디스펜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분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물 공급기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으로서, 물 공급기의 유출구로부터 유체 소통을 할 수 있는 물 유입구와, 사용시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사용시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으로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유체 소통을 할 수 있는 물 유입구와, 사용시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사용시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디와, 물 공급기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로서, 물 공급기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하는 물 유입구와,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 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로서, 물 공급기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하는 물 유입구와,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 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물이송 제어수단과 워터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하도록 형성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으로서, 상기 탈부착가능한 물통은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디스펜서는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 디스펜서는 또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하는 물 유입구와,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탈부착가능한 물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더 요약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반적 타입의 워터 디스펜서의 다양한 태양의 공간적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 몇가지 용어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는 종래 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또한 본 발명의 적절한 이해를위해 유용하다. 이에 대해, 본 명세서 전체에 거걸쳐 공간적 참조는 일반적으로 워터 디스펜서에 대한 통상적인 사용 및 정지에, 즉, 몇몇 타입의 물통이 서로 유체적으로 소통하게 디스펜서의 바디에 지탱되는 경우를 기초로 한다. 상기 기반과 같은 환경에서, 몇몇 부분은 "상부" 및 "하부"와 또한 "수직"에 대해 허용하며 "수평"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그리고 사용 환경이 아닌데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몇몇 태양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해서 기술하고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하기의 설명은 이와 같은 사용환경에서 (예컨대, 물통이 배치되어 있고 물이 있는) 본 발명과 실시예를 기술한다.
물론, 본 발명을 정의하기 위한 이러한 설명의 이용과 이러한 공간적 관계의 이용은 제한으로 보아서는 안되며 확실히 사용 환경에만 제한되는 것으로 보아서도 안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설명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태양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상술한 플로트 밸브는 크래들내에 수직이동을 위해 크래들내에 구속되지 않으며, 이 수직이동은 예컨대 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물 유입구를 막을 수 있고, 용기에 물이 가득 차지 않을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플로트 밸브의 상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물 유입구를 막기 위해 상기 물 유입구에 대응 형성된 오목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위로 돌출한 볼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크래들내에서 수위가 오르내리며 왕복하는 플로트 밸브의 수직이동은 물이 분배될 때 워터 디스펜서의 바디내 저수용기를 다시 채우지만 저수용기를 넘치게 하지 않도록 물 유입구를 개폐하며 볼록부와 오목부를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작용을 한다.
플로트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사용동안 적절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공의 밀봉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이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있고, 상술한 볼록부가 상기 플로트 밸브 바디의 상부면의 중심으로부터 위로 돌출해 있다. 이 돌출부 및 이에 따른 물 유입구에 대응하게 형성된 오목부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후술될 것이다.
크래들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람직한 수직이동을 허용하면서 플로트 밸브를 가까이 둘러싸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는 일반적으로 원반 형태로, 크래들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이며, 직경은 플로트 밸브의 원반형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크래들은 플로트 밸브에 대해 완전하게 둘러쌀 필요는 없고, 따라서 상술한 바람직한 수직 이동을 허용하면서 플로트 밸브가 구속되는 일련의 암 또는 가이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 크래들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개구들이 있는 플로트 밸브에 대한 하우징이며, 상기 플로트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워터 디스펜서의 저수용기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어, (크래들의 개구를 통해) 물 유입구와 저수용기 간에 유체 소통이 될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다시, 크래들의 개구를 통해) 플로트 밸브를 가로질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물이송 제어수단에는 워터 디스펜서의 바디와 (그리고 이에 따라 저수용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물통과 일체로(또는 물통용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장 가능한 형태는 워터 디스펜서와 바람직한 형태로 물통 모두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물이송 제어수단을 알게 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한 형태로, 물이송 제어수단은 별개이고 탈부착가능하며, 저수용기내 크래들과 밀봉 결합하도록 워터 디스펜서의 저수용기의 상부와 크래들이 결합하게 하는 씰링 어댑터가 상기 크래들 주위에 제공된다. 씰링 어댑터는 이상적으로는 탈부착가능하고 크래들의 외부형태와 구성에 무관하게 상기 크래들 주위에 끼워지고 그리고 또한 저수용기의 내부형태와 구성에 무관하게 상기 저수용기내 크래들을 밀봉하도록 형성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크래들과 저수용기는 모두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씰링 어댑터는 주로 상기 어댑터를 크래들 주위에 끼우는데 적절한 내직경과 상기 저수용기와 밀봉 결합을 제공하는데 적절한 외직경을 갖는 환형으로 된다.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로 제공될 수 있는 이러한 씰링 어댑터의 사용은 크기가 다른 크래들과 플로트 밸브가 있어야 할 필요없이 크기와 스타일이 다른 워터 디스펜서로 다양한 다른 크기의 저수용기를 갖는 본 발명의 물이송 제어수단의 사용을 허용하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크래들에서의 개구는 상술한 유체적 소통을 허용하는 임의의 크기와 형태로 될 수 있다. 크래들이 하우징이고 상술한 전반적인 원통형으로 되는 경우, 개구는 전체적으로 크래들의 측벽에 형성되나, 바람직하게는 측벽 주위로부터 크래들의 바닥벽으로 뻗어 있다. 이는 저수용기가 비워질 때(예컨대, 물통이 또한 비워지고 아마도 변형될 때), 물이 크래들의 바닥벽에 괴여 정체될 기회가 없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물이송 제어수단의 물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크래들 커버에 포함되고, 상기 크래들 커버는 사용시 저수용기 커버로서 기능을 한다. 물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크래들 커버 아래로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술한 오목부를 포함하며, 이는 플로트 밸브의 위로 돌출한 볼록부를 밀봉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이 위로 돌출한 볼록부는 단지 물 유입구에 대응하게 형성된 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플러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로, 플로트 밸브가 사용시 상승함에 따라, 볼록부가 물 유입구를 막아 물통으로부터 (크래들을 통해) 저수용기로 물이 흐르지 않게 방지한다. 반대로, 플로트 밸브가 사용시 하강함에 따라(즉, 물이 분배되고 저수용기내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볼록부가 제거되고 따라서 물이 물통으로부터 물 유입구를 통해 (크래들을 거쳐) 저수용기로 흐르게 한다.
아래의 대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제공되어 있으며, 물이송 제어수단과 사용을 위한 물 공급기는 (물 공급의 제어되지 않는 흐름에 반대로서) 물통이다.
물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위로 돌출한 볼록 프로브(male probe)를 포함하며, 상부 단부에 물통 커플링이 물통의 적절한 형태의 유출구와 결합할 수 있다. 볼록부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방식으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저수용기로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이다.
물통 커플링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통 유출구로부터 볼록 프로브의 제거로 인해 물통 유출구 다시 밀봉되게 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바람직한 형태로, 커플링과 유출구는 모두 네델란드 이츠삭 엔.비.(Itsac N.V.) 명인 국제특허출원 PCT/NL/98/00385(WO99/05446) 및 PCT/NL01/00704(WO02/26585)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것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타입이며, 상기 참조문헌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다. 국제특허출원 PCT/NL01/00704(WO02/26585)은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와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물이송 제어수단은 기존의 워터 디스펜서를 변형하고, 다른 타입의 물통, 특히, 상술한 백-인-박스 용기와 같은 비강체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단단한 플라스틱 물통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정괼 수 있다는 점에서 어댑터로 유용하다. 물이송 제어수단은 어떠한 변경을 할 필요없이 이들 워터 디스펜서의 종래 저수용기와 동작한다.
또한, 밸브 동작으로 인해 물이송 제어수단은 물이 용기를 나갈 때 자체적으로 함몰되는 경향이 있는 비강체 용기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비워질 때 이러한 함몰 경향으로 인해 (예컨대 본 발명의 장치와 같은) 몇몇 종류의 중간장치가 물통으로부터 저수용기로 물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위치되어 있지 않다면 워터 디스펜서의 용기와 유체적으로 소통하게 될 때 비강체 물통의 내용물이 거의 즉시적으로 완전히 비워지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반적인 개념을 간략히 기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이송 제어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된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상기 설명의 일반성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하기의 설명은 물이송 제어수단과 사용을 위한 물 공급기는 (물공급의 제어되지 않는 흐름에 반대로) 물통인 바람직한 상황인 것을 알게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사용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이송 제어수단을 도시한 워터 디스펜서의 일부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이송 제어수단을 아래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물이송 제어수단의 다른 도면으로, 이번에는 용기에 대한 상승 및 하강방식과 함께 탈부착가능한 물통과 함께 사용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물이송 제어수단의 횡단면도로, 도 4a의 도면은 개방된 물 유입구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폐쇄된 물 유입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시 도 2의 물이송 제어수단을 도시한 것이나 상승 및 하강수단이 다른 타입의 용기를 도시한 다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물통 상승 및 하강 수단을 바로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물통 상승 및 하강 수단의 위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바디(12)와 상기 바디(12)상에 지지되는(또는 지지될 예정인) 탈부착가능한 물통(18)의 유출구(16)로부터 이송된 물을 받을 수 있는 바디 내 저수용기(14)를 포함하는 표준 워터 디스펜서(10)의 상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물통을 오르내리는 방식이 도 1에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방식의 형태는 도 3a, 3b, 7a, 7b에 도시되어 있고, 또 다른 형태가 도 5a, 도 5b,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워터 디스펜서(10)는 물론 본채(12)내에 저수용기(14)와 유체적으로 통하며 저수용기(14)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배탭(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이점은 워터 디스펜서(10)와 특히 저수용기(14)가 종래 형태로 될 수 있고, 따라서, 저수용기(14)가 설명될 예정인 물이송 제어수단없이도 종래의 단단한 플라스틱 물통과 결합하여 통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용기와 동일한 모양 및 형태인 것임을 알아야 한다.
워터 디스펜서(10)는 또한 (도 2, 도 4a 및 도 4b에 별도로 더 자세히 도시된) 물이송 제어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탈부착가능한 물통(18)의 유출구(16)와 유체적으로 소통하는 물 유입구(22)를 포함한다. 크래들(cradle)(26)이 일반적인 형태의 하우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물 유입구(22)와 용기(14) 간의 유체 소통을 허용하고 저수용기(14)내 물이 플로트 밸브(24)에 접근하게 하는 개구(28)가 있다. 플로트 밸브(2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저수용기(14)가 물이 가득 찬 경우 물 유입구(22)를 막을 수 있고, 저수용기(14)가 물이 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22)를 개방할 수 있다.
플로트 밸브(14)는 크래들(26)내에서 수직이동을 위해 상기 크래들(26)에 구속되도록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수직이동은 예컨대 저수용기(14)가 이 가득 찬 경우 물 유입구(22)를 막을 수 있고, 저수용기(14)가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2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플로트 밸브(24)의 상부면(29)는 사용시 물 유입구(22)에 대응하게 형성된 오목부(32)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30)를 포함한다.
크래들(26)내에서 물수위의 오르내림에 따라 플로트 밸브(24)의 수직이동으로 볼록부(30)와 오목부(32)가 결합 및 결합해제되고, 물 유입구(22)가 개폐되어 물이 이로부터 분배될 때 저수용기(14)를 다시 채우게 하나 저수용기(14)를 과도하게 채우지 않도록 한다.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30)는 물 유입구(22)에 대응하게 형성된 출구(오목부(32))를 밀봉할 수 있는 플러그(34)를 포함한다. 이런 형태로, 플로트 밸브(24)가 사용시 위로 올라감에 따라(도 4b에 도시됨), 볼록부(30)가 물 유입구(22)를 막아 물통(18)으로부터 (크래들(26)의 개구(28)를 통해) 저수용기(14)로 더 이상의 물이 흐름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24)는 사용시 내려감에 따라(즉, 물이 분배되고 저수용기(14)내 수위가 크래들(26)의 최하위부분 아래로 감소함에 따라), 볼록부(30)가 물 유입구(22)에서 뽑아져 물이 물통(18)에서 물유출구(16)를 통해 물 유입구(22)를 거쳐 (크래들(26)내 개구(28)를 통해) 저수용기(14)로 흐르게 한다.
플로트 밸브(24)의 이러한 제어동작은 물통(18)으로부터 물이 즉각적으로 완전히 비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물통(18)은 유연하고 백-인-박스 타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백-인-박스 용기의 유연한 속성은 뒤집힌 경우 용기가 비워질 때 용기가 자체적으로 함몰되는 경향이 있고, (또는, 오히려, 유연한 백부가 자체적으로 함몰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물통(18)은 오로지 중력의 영향하에 완전히 비워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물이송 제어수단(20)의 제어된 동작이 없다면 저수용기를 채우고 가득차게 한다.
플로트 밸브(24)는 사용동안 적절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공의 밀봉된 바디(34)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34)는 일반적으로 원반형이다. 따라서 상기 바디(34)는 상부면(29)과 하부면(31)이 있고, 상술한 볼록부(30)가 상기 바디(34)의 상부면(29)의 중심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있다.
크래들(26)은 상술한 바람직한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플로트 밸브(24)를 근접하게 둘러싸게 하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24)가 전체적으로 원반형인 이러한 형태에서, 크래들(26)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이며, 직경은 플로트 밸브(24)의 원반형 바디(34)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도 1에서, 크래들(26)과 플로트 밸브(24)는 워터 디스펜서(10)의 저수용기(14)내에 전적으로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물 유입구(22)와 저수용기(14) 간의 유체소통 타입을 허용하고 저수용기(14)내 물이 (또 다시, 크래들(26)의 개구(28)를 통해) 플로트 밸브(24)에 접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물이송 제어수단(20)은 크래들(26)이 저수용기(14)의 상부(42)와 맞물리게 하여 상기 저수용기(14)내에 크래들(26)과 밀봉 결합하도록 크래들(26) 주위로 씰링 어댑터(40)를 포함한다.
씰링 어댑터(40)는 크래들(26) 주위로 어댑터(40)를 끼우는데 적합한 내부직경과 저수용기(14)의 내부와 밀봉결합을 형성하도록 적합한 외부 직경내에서 환형이다. 이러한 씰링 어댑터(40)의 사용으로 다른 크기의 크래들(26)과 플로트 밸브(24)를 가져야 할 필요 없이 워터 디스펜서(10)의 스타일과 크기가 다른 다양한 다른 크기의 저수용기(14)들로 본 발명의 물이송 제어수단(20)을 이용하게 한다.
크래들(26)내에 개구(28)는 상술한 유체 소통을 허용하는 임의의 크기와 형태로 될 수 있다. 도시된 특별한 크래들(26)로, 상기 크래들(26)은 전반적으로 상술한 원통형이며, 개구(28)는 크래들(26)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측벽 주위로부터 크래들(26)의 바닥벽으로 뻗어 있다. 이는 저수용기(14)가 비워지거나(예컨대 물통이 또한 비워지고 아마도 변형되는 경우이거나) 저수용기(14)내 수위가 크래들(26)의 바닥벽 아래로 떨어질 때, 물이 크래들(26)의 바닥에 고여 정체되는 기회가 없도록 보장한다.
물이송 제어수단(20)의 물 유입구(22)가 크래들 커버(44)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크래들 커버(44)는 또한 사용시 저수용기(14) 커버로서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 유입구(22)는 (아랫방향으로 크래들 커버(44) 아래로 개방된) 오목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플로트 밸브(24)의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30)를 밀봉하게 수용할 수 있다. 크래들 커버(44)는 워터 디스펜서 또는 탈부착가능한 물통 중 어느 하나와 유효하게 결합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유닛이거나, 도 3a 및 도 3b에 (실제로 도 4a, 도 4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중간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72로 표시된) 오르내리는 수단의 베이스(70)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명시된 다른 요소들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물 유입구(22)는 위로 뻗어 있는 볼록 프로브(46)를 포함하고, 물통 커플링(48)이 상부 자유단에서 물통(18)의 적절히 형성된 유출구(16)와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46)는 물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이 물통(18)의 유출구(16)로부터 저수용 기(16)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중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통 커플링(48)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으로 될 수 있으나, 이상적으로는 물통 유출구(16)로부터 돌출 프로브(46)의 탈부착이 상기 유출구(16)를 재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46)와 유출구(16)는 네델란드의 이츠삭 엔.브이(Itsac N.V.) 명의 PCT/NL01/00704(WO02/26585)에 기술된 타입과 동일한 일반적인 타입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크래들 커버(44)에 형성된 통기구(90)가 또한 도 4a 및 도 4b에(실제로 다양한 다른 도면에서도) 명백하다. 통기구(90)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에 통상적으로 형성된 요소이며 원래는 물 저수용기(14)내에서 수위가 오름에 따라 수위 위로 어떤 팽창된 따뜻한 가스를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대해 간략히 상술한 장치(72)와는 다르고, 도 7a 및 도 7b에 대해 또한 후술되는 이하 용기 상승장치(50)이라고 하는 물통을 오르내리는 수단의 또 다른 형태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물통(18)의 상승 및 하강은 바람직하게는 물통(18)의 유출구(16)가 볼록 프로브(46)와 커플링 결합을 하거나 해제되도록 발생한다. 용기 상승장치(50)는 용기 지지체(5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주요 피봇포인트(60)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용기 지지체(54)를 올리기 위해 캠 표면(cam surface)(5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캠 부재(cam member)(58)를 포함하는 핸들(52)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5b에 도시된 위치로 핸들(52)을 내림 으로써, 이는 차례로 물통(18)을 위로 올리고 유출구(16)로부터 볼록 프로브(46)를 결합해제시킨다. 그런 후, 물통(18)은 필요에 따라 대체될 수 있고, 물통(18)의 유출구(16)와 볼록 프로브(46)를 수동으로 정렬하는 것을 염려할 필요없이 새 물통이 쉽게 볼록 프로브(46)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다른 용기 상승장치(72)가 유사하게 작동하나 레버(76)에 의해 동작되는 캠 브릿지 부재(cammed bridge member)(74)를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부재(74)는 장착 및 정렬판(80)상에 장착된 (도 7a 및 도 7b에 미도시된) 물통의 무게에 대하여 엽상 스프링(leaf spring)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지고, 이점적으로는 판(80)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물통의 무게를 지지한다. 일단 전체 물통이 장착 및 정렬판(80)에 위치되고, 레버(76)가 브릿지 부재(74)를 스프링(78)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승된 후, 물통의 유출구(16)가 볼록 프로브(46)와 결합할 때까지 (적절하게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내려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성에 대한 다른 변경과 변형들이 있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됨.

Claims (25)

  1.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으로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유체 소통을 할 수 있는 물 유입구와,
    사용시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사용시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크래들내에 수직이동을 위해 상기 크래들내에 구속되고, 상기 수직이동은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 유입구를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부면이 있으며, 상기 상부면은 사용시 상기 물 유입구에 대응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결합하여 상기 물 유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밸브의 수직이동으로 물이 분배될 때 물이 워터 디스펜서의 바디내 저수용기를 다시 채우도록 상기 물 유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 및 결합해제하도록 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밸브는 사용동안 적절한 부력을 제공하도록 중공의 밀봉된 바디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플로트 밸브를 근접하여 둘러싸도록 하는 크기로 구성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밸브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이고, 상기 크래들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이며, 직경이 상기 플로트 밸브의 원반형 바디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을 상기 저수용기의 상부와 결합시켜 상기 저수용기내에 상기 크래들을 밀봉 결합하도록 하는 씰링 어댑터가 상기 크래들 주위에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어댑터는 환형으로 내부직경은 상기 크래들 주위로 상기 어댑터를 끼우는데 적절하고 외부직경은 상기 저수용기와 밀봉 결합을 제공하는데 적절한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하나의 외주 측벽과 바닥벽이 있고, 복수의 개구들이 상기 크래들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의 바닥벽으로 뻗어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구는 크래들 커버에 포함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구는 상기 플로트 밸브의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밀봉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3. 제 3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물 유입구에 대응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밀봉할 수 있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구는 상부 자유단부에서 물통의 적절하게 구성된 유출구와 결합할 수 있는 물통 커플링이 있는 위쪽으로 뻗어 있는 볼록 프로브(male probe)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프로브는 물이 상기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저수용기로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인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커플링은 상기 물통 유출구로부터 볼록 프로브의 제거로 상기 유 출구가 재밀봉되도록 구성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17.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로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하는 물 유입구와,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
  18. 제 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물이송 제어수단과 워터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하도록 형성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으로서,
    상기 탈부착가능한 물통은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디스펜서는 바디와, 상기 바디상에 지지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 디스펜서는 또한
    탈부착가능한 물통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하는 물 유입구와,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탈부착가능한 물통.
  20.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21. 제 17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워터 디스펜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워터 디스펜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탈부착가능한 물통.
  24. 바디와, 물 공급기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물 공급기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물 유입구와,
    사용시,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25. 바디와, 물 공급기의 유출구로부터 이송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바디내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로부터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는 워터 디스펜서로서, 상기 워터 디스펜서는 또한
    상기 물 공급기의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물 유입구와,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저수용기 간에 유체적인 소통을 허용하고 상기 저수 용기내 물이 플로트 밸브에 접근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크래들내에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물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저수용기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 물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
KR1020097007198A 2006-09-08 2007-09-07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KR101505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6904984A AU2006904984A0 (en) 2006-09-08 A water transfer regulating means for a water dispenser
AU2006904984 2006-09-08
PCT/AU2007/001315 WO2008028240A1 (en) 2006-09-08 2007-09-07 A water transfer regulating means for a water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098A true KR20090057098A (ko) 2009-06-03
KR101505035B1 KR101505035B1 (ko) 2015-03-23

Family

ID=3915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198A KR101505035B1 (ko) 2006-09-08 2007-09-07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505035B1 (ko)
AU (1) AU2007294477B2 (ko)
BR (1) BRPI0715001A2 (ko)
NZ (1) NZ575501A (ko)
WO (1) WO2008028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093B1 (ko) * 2011-05-27 2013-05-29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KR102178771B1 (ko) * 2013-03-05 2020-11-13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워터 서버
SE542179C2 (en) 2016-03-01 2020-03-10 R Products Ab An adapter assembly for connecting a removable liquid container to a liquid dispense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n adapter assembly
WO2020237007A1 (en) 2019-05-23 2020-11-26 Ecolab Usa Inc.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802A (en) * 1974-03-05 1975-12-23 Jet Spray Cooler Inc Manual fill hot beverage dispenser
US3915341A (en) * 1974-11-27 1975-10-28 Jet Spray Cooler Inc Manual fill hot beverage dispenser
NL1006636C2 (nl) * 1997-07-21 1999-01-25 Itsac Nv Verbindingssamenstel voor een fluïdumverbinding.
JP3843585B2 (ja) * 1998-03-06 2006-11-08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弁装置
NL1016292C2 (nl) * 2000-09-28 2002-04-02 Itsac Nv Zak alsmede een afgiftesysteem omvattende een dergelijke zak en werkwijzen voor de vervaardiging en het vullen van een dergelijke zak.
KR100439432B1 (ko) * 2001-11-19 2004-07-09 주식회사 크로버 이중마개용 물통지지분배장치
CA2421801C (en) * 2003-03-13 2010-02-23 Denfred Holdings Ltd. Automatic valve assembly for a water cooler reservoir
JP2005308297A (ja) 2004-04-21 2005-11-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94477A1 (en) 2008-03-13
KR101505035B1 (ko) 2015-03-23
WO2008028240A1 (en) 2008-03-13
AU2007294477B2 (en) 2011-02-24
NZ575501A (en) 2010-11-26
BRPI0715001A2 (pt)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5332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verage, in particular beer
CA2904729C (en) Bag-in-box adapter for water dispensers
US9227828B2 (en) Bag-in-box adapter for water dispenser
US9738506B2 (en) Bag-in-box adapter for water dispenser
JP4980378B2 (ja) 液体エアレータ装置
TW528725B (en) Fluid dispensing closure
US2008022347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bottom-up filling of beverage containers
RU2430010C2 (ru) Е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а и узел в сборе из такой емкости и выда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10116544A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AU2001296840A1 (en) Fluid dispensing closure
US6827243B1 (en) Portable liquid dispensing kit
KR20090057098A (ko)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CN110573452B (zh) 将可移除液体容器连接至液体分配器的适配器和适配器组件及安装和使用适配器组件的方法
US9382106B2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US7467735B2 (en) Proportioning container
CN202244537U (zh) 封盖组件以及具有封盖组件的饮料分配器
PL205320B1 (pl) Dozownik płynu
JP3191141U (ja) 飲料サーバー用のボトル口アダプタ
CA2309568A1 (en) Fluid dispensing closure
US11390514B1 (en) Liquid dispenser
RU203802U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ой емкости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RU2327630C2 (ru) Аппарат для разлива пива
JPS596740Y2 (ja) 液体容器の注出口装置
WO2020070629A1 (en) Cap and adapter for gravity dispensing liquid from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