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309A -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309A
KR20090055309A KR1020070122160A KR20070122160A KR20090055309A KR 20090055309 A KR20090055309 A KR 20090055309A KR 1020070122160 A KR1020070122160 A KR 1020070122160A KR 20070122160 A KR20070122160 A KR 20070122160A KR 20090055309 A KR20090055309 A KR 2009005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오하
박종상
Original Assignee
박오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오하 filed Critical 박오하
Priority to KR102007012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5309A/ko
Publication of KR2009005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죽초액,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천궁추출물, 쟈스민추출물, 오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박하추출물, 목련꽃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대추추출물, 고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미백효과 등이 우수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침착을 개선하고, 피부에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죽초액, 홍삼, 황금, 토마토, 천궁, 쟈스민, 오이, 솔잎, 버드나무, 박하, 목련꽃, 라벤더, 대추, 고삼, 감초, 미백, 화장료, 주름개선, 콜라겐

Description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treating wrinkles}
본 발명은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죽초액,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천궁추출물, 쟈스민추출물, 오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박하추출물, 목련꽃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대추추출물, 고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미백효과 등이 우수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침착을 개선하고, 피부에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 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세포 외부로부터 가해진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자외선, 환경오염물질, 급격한 기온의 변화 등과 같은 세포손상자극 들은 세포내의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하여 세포 손상 반응을 일으킨다. 이 중 피부의 노화는 부분적으로는 이런 외부적 스트레스들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손상 반응의 결과 나타나는 피부의 생리학적 기능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즉, 피부세포의 세포막이 활성산소나 다른 라디칼에 의해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게 되면 단백질이나 지질단백질(lipoprotein)의 가교(cross-linkage)가 증가하거나 또는 분해가 되며, 과산화 지질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세포와 세포막이 손상되면,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화하여 세포 내의 이온 균형이 깨지게 되고, 이런 변화는 세포내 대사물의 배출을 막고, 이 대사물을 제독하는 세포의 기능을 감퇴시킨다. 이와 같은 세포 수준의 변화가 지속되면, 피부 조직의 구조(tissue structure)가 규칙성을 잃게 된다. 그리고, 진피(dermis)에 국소적인 상흔이 나타나고,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나 탄력섬유(elastic fiber)의 감소로 진피 두께가 줄어든다. 콜라겐 섬유끼리의 가교도 증가하며 탄력섬유의 미세한 구조도 손상되어 전체적으로 피부의 탄력 저하가 나타난다.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과산화수소(H2O2),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수산화라디칼(hydroxy radical) 등이 있으며, 이런 유해 활성 산소종들은 진피의 탄력을 저하함과 동시에 피부의 흑화에도 관여한다. 다시 말해 외부 자극원에 의한 피부 세포의 산화적 손상은 궁극적으로 피부의 노화 및 흑화를 촉진하게 된다.
결국 피부 외관에 기미, 주근깨, 잡티,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등의 피 부 문제와 노화현상을 촉진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및 유기합성 등에 의해 얻은 생리 활성 물질들이 함유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물질로는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있는데, 이 중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 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코지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전하므로 화장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 또한,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에 문제가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한편, 요즘 빈번하게 사용되는 태반 추출물 등은 피부에 자극이 없지만 미백 효과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천연 추출물을 중심으로 미백활성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활성화되었고, 상백피(일본공개특허 소 55-44375, 소 64-26507, 소 64-83009, 평 1-25687, 평 5-139950 및 한국공개특허 92-002109, 97-021273), 감초(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1, 소 60-214728, 소 63-23809, 소 64-63506, 평 1-149706 및 한국공개특허 92-002109, 97-025601), 작약(일본공개특허 소 61-246109 및 한국공개특허 92-002111), 계피(일본공개특허 소 63-30403, 평 5-139954), 고삼(일본공개특허 소 64-26507 및 한국공개특허 92-002110), 갈근(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7, 소 64-16709), 당귀(일본공개특허 소 56-92211, 평 4-26610), 목단피(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1, 소 61-50915, 소 61-246109), 반하(일본공개특허 평 2-207028, 한국공개특허 96-033442), 알로에(일본공개특허 소52-44375, 평 2-207030, 평 5-139950)등 다수의 식물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들 역시 안전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 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그 효과 역시 미비할 뿐이다.
따라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노화방지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기능성 화장료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생합성 효과, 미백효과 등이 뛰어난 피부외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죽초액,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천궁추출물, 쟈스민추출물, 오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박하추출물, 목련꽃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대추추출물, 고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2∼7 중량부의 죽초액, 2∼7 중량부의 홍삼추출물, 2∼7 중량부의 황금추출물, 2∼7 중량부의 토마토추출물, 2∼7 중량부의 천궁추출물, 2∼7 중량부의 쟈스민추출물, 2∼7 중량부의 오이추출물, 2∼7 중량부의 솔잎추출물, 2∼7 중량부의 버드나무추출물, 0.1∼1 중량부의 박하추출물, 2∼7 중량부의 목련꽃추출물, 2∼7 중량부의 라벤더추출물, 2∼7 중량부의 대추추출물, 2∼7 중량부의 고삼추출물 및 1∼3 중량부의 감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및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은 죽초액,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천궁추출물, 쟈스민추출물, 오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박하추출물, 목련꽃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대추추출물, 고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미백효과 등이 우수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침착을 개선하고, 피부에 안전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입증되어 있는 황금, 토마토, 오이, 대추, 감초 등의 추출물들과 죽초액, 홍삼, 천궁 등의 추출물들을 동시에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였을 때 상승적인(synergic)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효과가 월등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피부세포의 증식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가 뛰어나 주름개선효과를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죽초액,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천궁추출물, 쟈스민추출물, 오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박하추출물, 목련꽃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대추추출물, 고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2∼7 중량부의 죽초액, 2∼7 중량부의 홍삼추출물, 2∼7 중량부의 황금추출물, 2∼7 중량부의 토마토추출물, 2∼7 중량부의 천궁추출물, 2∼7 중량부의 쟈스민추출물, 2∼7 중량부의 오이추출물, 2∼7 중량부의 솔잎추출물, 2∼7 중량부의 버드나무추출물, 0.1∼1 중량부의 박하추출물, 2∼7 중량부의 목련꽃추출물, 2∼7 중량부의 라벤더추출물, 2∼7 중량부의 대추추출물, 2∼7 중량부의 고삼추출물 및 1∼3 중량부의 감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죽초액을 포함한 각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주름개선, 콜라겐 생합성 촉진, 미백 등의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제1공정: 홍삼, 황금, 토마토, 천궁, 쟈스민, 오이, 솔잎, 버드나무, 박하, 목련꽃, 라벤더, 대추, 고삼 및 감초를 각각 세척하고, 이를 건조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50 메쉬 이상의 분말상태로 분쇄하거나, 용매추출한다.
제2공정: 제1공정에서 얻어진 식물들과 죽초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일정량의 물과 함께 항아리에 넣고 30∼40℃의 온도 하에서 1일 기준으로 3∼5회 정도 골고루 교반하면서 자연 대기상에서 1주일 정도 숙성시킨다.
제3공정: 상기 제2공정을 통해 숙성이 완료된 혼합물질로부터 액체(원액) 및 숙성 분말을 별도로 분리한다. 이때, 숙성된 혼합물질로부터 분리되는 액체와 분말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유압압착방식, 자연분리방식, 회전탈수방식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4공정: 상기 제3공정을 통해 얻어진 숙성 분말을 증류기(蒸溜器)에 넣고 200∼300℃ 이상의 고온에서 서서히 증류액으로 최종 추출해 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추출물은 각각의 식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거나, 분쇄기로 분쇄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추출하거나 개개 성분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및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4의 알코올류, 또는 정제수와 알코올류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 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일반적인 성상 및 약리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죽초액은 주성분이 초산으로서 대나무 또는 참나무의 숯을 굽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냉각장치로 응축하여 추출해 만든 정제액이다. 죽초액의 성분은 전체의 80∼90%를 수분이 차지하고 있는데 이를 제외한 죽초액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생체조직 내에서 여러 가지 물질을 녹여내는 작용을 하는 유기산류로 초산, 개미산, 프로피온산, 젖산, 이소젖산, 발레인산, 크로톤산, 치그린산 등의 수많은 종이 포함되었고, 동·식물의 조직내 침투성 및 흡수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페놀류로는 페놀, 크레졸, 구아이아콜의 수종이 포함되었으며 그 밖에도 카드보닐 화합물과 알코올류, 중성성분, 염기성성분 등의 2백여 종의 미량성분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천연물질로 그 이용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죽초액은 강한 취기를 발산하며 살균제 또는 훈연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기중에서는 단시간에 증발되고, 상기의 죽초액은 용도도 매우 다양하여 죽초액은 의약, 농약, 식품, 가공용 첨가제, 사료 첨가제, 향료, 공업, 화학 원료 등 농축산, 의약, 비료 및 식품 첨가제 등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죽초액은 대나무를 탄화(열분해)하여 죽탄(竹炭)을 만드는 숯가마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되어 떨어지는 것을 채취한 것으로, pH가 2.8∼3.1의 산성용액이며, 함수율은 대략 80∼90wt% 이고, 숯가마 굴뚝의 온도가 85∼120℃가 되었을 때 연기를 채취하여, 가능한 함수율이 60∼9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70wt%의 죽초액을 6개월 이상 정제 숙성하여 상부에 부상된 경유질과 하부에 침전된 타르(Tar)성분을 제거한 정제된 것을 사용한다.
홍삼(Panax ginseng)은 인삼을 9, 10월에 채취하여 씻은 후 선별 과정을 거쳐 증숙, 건조시키고 가는 뿌리를 제거한 후 중량을 달고, 압축 포장을 위해 약간의 증기를 가하여 압착, 건조, 검사, 포장의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여기서 증숙, 건조과정이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 홍삼의 가치를 결정하게 된다. 홍삼에는 노화억제성분(Maltol), 암세포 증식 억제 성분, 항종양성분(Ginsenoside Rg2), 암세포 전이 억제성분(Ginsenoside Rg3)이 들어 있다. 또한 홍삼에는 다른 어떤 인삼보다 가장 많은 종류의 사포닌이 들어 있다. 사포닌 약리작용으로는 항종양작용, 항피로작용, 정신안정작용, 항염증작용, 노화억제작용 등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홍삼은 제조과정에서 인삼 조직 중의 전분 입자가 졸(sol) 상태에서 겔(gel)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인삼보다 소화흡수가 잘 된다. 또한, 홍삼은 제조과정에서 증숙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조직 중의 전분 입자가 호화되어 건조 후에 조직이 견고해지고, 증숙공정을 거치는 동안 각종 효소들이 불활성화되어 자가 소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품질안전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보관해도 내용성분 의 변화가 없다.
상기 홍삼의 주요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로 명명되는 사포닌은 트리터르페노이드(triterpenoid)의 담마란(dammarane) 골격을 가진 글리코시드의 구조를 갖는데, 유기산과 결합하면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진세노사이드 Rg2 또는 Rg3가 많이 생성된다. 이러한 유기산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죽초액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죽초액의 유기산과 홍삼의 진세노사이드의 결합을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科 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열을 내리고 해독의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약재로서 뿌리를 채취하여 뿌리 껍질을 벗겨보면 황금(黃金)과 같이 노란 색깔을 띠며, 몸에 열독이 오르거나 오한 등이 잦을 때, 주로 폐에 열로 인한 증상에 다용(多用)되고, 열로 인한 갈증과 황달, 이질, 설사, 소화불량, 황련과 마찬가지로 몸에 있는 종기나 종양, 더욱 더 심해져서 생기는 등창 등을 치료한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MILL.)는 그 열매에 90% 정도가 수분이며 비타민 A, B, C, E, K 등과 칼륨, 칼슘, 미네랄, 카로틴 및 리코펜 등이 많이 들어 있다. 토마토에 들어있는 베타카로틴과 리코펜이 암예방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변비를 해소시켜 탄력있고 고운 피부를 가꾸는 데 한몫을 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고, 체내의 수분의 양을 조정해 과식을 억제해주고, 소화를 촉진시켜 위장, 췌장, 간장 등의 작용을 활발하게 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장의 작용을 좋게 해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비만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토마토를 장시간 섭취하면 피부가 깨끗해지고 탄력있게 된다. 토마토는 야채 중에서 특히 비타민C의 함유량이 많고 노화를 막고 골다공증이나 노인성치매를 예방하는 데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비타민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몸을 젊게 해주고, 골다공증을 예방시켜 주며, 토마토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는 다른 과일이나 채소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 보다 강력하게 발암물질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요의 양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간염 등의 열성병(熱性病)에도 좋다. 게다가 풍습성(風濕性) 피부병에는 토마토 뿌리, 줄기, 잎을 삶은 물을 조금씩 마시고, 이 물로 수시로 몸을 씻고, 이물을 조금씩 마시면 효력이 있다는 것이 동의보감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토마토추출물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준비된 토마토를 물리적으로 분쇄하고, 분쇄된 토마토를 1,3-부틸렌 글리콜 및 올리브 오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때, 혼합용매는 1,3-부틸렌 글리콜 및 올리브 오일이 중량비로 약 1:1로 혼합된 용매에서 토마토의 추출이 가장 잘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중량비는 반드시 1:1이라는 의미는 아니고 약간의 오차를 가진 중량비로 된 혼합용매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천궁 (Cnidium officinale)의 뿌리는 한방에서 보혈, 강장, 진정 및 진통 등을 목표로 냉증, 빈혈 및 월경 장애 등 각종 부인병 질환에 쓰이고 있다. 특히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의 활성을 저해하며, 이러한 특성은 결과적으로 티로시나아제의 생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색소 침착을 방지하며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천궁은 천궁의 다양한 기관, 조직(예: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천궁의 뿌리로부터 얻는다.
오이(Cucumis sativus)는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식물로서, 오이에는 95% 이상의 수분이 있으며 각종 비타민, 무기질이 약간씩 들어 있고 아스코르비나아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뇨 효과와 위장병, 부종 등에 효능이 있으며, 오이 줄기를 잘라서 나오는 물을 땀띠에 바르면 효과가 있는데, 이 물은 피부를 곱게 하므로 화장수로도 쓰인다. 또한, 오이에 많은 엽록소와 비타민 C는 피부를 희고, 투명하게 하는 미백효과와 함께 피부에 수분을 보충해주는 보습효과도 가져온다.
솔잎(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의 주요성분은 아스코르브산, 카로틴, 비타민 K, B, 쓴맛물질,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수지, 타닌직 등이 있고, 뿌리의 정유에는 p-메타놀, 송진과 꽃가루에는 콜린, 쿠에르세틴이 있고, 씨에는 시킴산이 있으며, 생송진과 테레빈유는 살균작용, 항염증작용이 있고, 피부를 통하여 잘 흡수되므로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바르면 아픔이 멎고 염증이 치유되며, 꽃가 루는 지혈작용을 하며, 송화가루는 동맥경화 치료에 사용하고, 강력한 항산화효과와 자외선 차단효과로 피부재생효과가 있다.
상기 솔잎추출물은 천연에서 자생하는 것이나, 인공재배된 것 중 어느 솔잎이나 사용될 수 있다.
버드나무(Salix koreensis)는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옻독을 푸는 데 약으로 쓸 수 있다. 버드나무 껍질에는 탄닌,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 배당체, 살리찐 등이 들어 있다. 살리찐은 열을 내리고 뼈마디의 통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다. 버드나무 껍질을 달인 물은 폐렴, 감기, 열병, 기침, 두통,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등에 효과가 있으며, 균을 죽이고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고, 상당히 센 방부작용이 있다. 버드나무 속껍질은 열을 내라고 통증을 멎게 하는 데, 류마티스 관절염, 감기, 학질 등에 쓴다. 꽃은 황달, 창이나 칼에 다친 데, 습기로 인해 몸이 굳어지고 마비된 데, 부스럼, 화상, 열독, 이빨이나 잇몸이 아픈 데 등에 쓴다.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로서, 주요성분이 알파-피넨(alpha-pinene(+, -)), 아니스알데히드(anisaldehyde), 다우코스테롤(Daucosterol), 유제놀(Eugenol), 리날롤(Linalool), 멘톤(Menthone), (+)-네오멘톨((+)-Neomenthol) 등이고, 피부의 점막과 혈관을 수축하는 작용, 신경말초를 마비시키는 작용,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 소양감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피부에 특유의 청량감을 주어 피부병을 개선 하고 피부진정작용과 항산화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이다.
목련(Magnolia denudata Desrousseaux)은 꽃봉오리(신이, 辛荑)를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며, 소독 및 통증 완화, 가려움증, 항바이러스, 항균작용, 살균작용의 효과가 있어, 혈압을 낮추고, 축농증, 두통, 치통, 비염, 항염 등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신이의 성분으로는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테르피넨-4-올(Terpinen-4-ol), 네오리그난 드누다틴(Neolignan Denudatin), 부켈린(Burchellin), 유데스민(Euduesmin), 필로게닌(phylllogenin), 시트랄(Citral), 유제놀(Eugenol), 1,8-시네올 라누기노신(1,8-cineole Lanuginosine), 옥소우신서닌(Oxoushinsunine) 등이 있다.
허브는 민간요법의 약초나 차, 방향제 등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방충 및 방부제, 식품참가제로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허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향장료(향수나 화장품 등)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허브는 생육장소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고 맛, 향, 구성성분의 차이가 크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허브식물로 로즈마리, 라벤더, 타임, 세이지, 스피아민트, 레몬그라스, 로즈힙, 에키나세아, 자크로, 스위트펜넬, 마테, 유카리, 진저, 캐모마일, 스테비아, 쟈스민, 라일락, 오렌지플라워, 아이브라이트, 오키드, 모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료에 사용되는 2종류 이 상의 허브식물을 임의로 조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특히, 쟈스민과 라벤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추(Ziziphus jujuba)는 달고 조금 따뜻한 성질이 있으며, 작용부위는 비, 위, 심, 간에 작용한다. 단백질, 당류, 유기산 점액질과 비타민(A, B2, C) 등이 들어 있다. 혈청 총 단백질과 알부민(Albumin)을 증가시키며 간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고삼(Sophorae Radix)의 뿌리에는 알카로이드류인 d-마트린, d-옥시마트린, d-소포라놀, l-메틸 시티신, l-밥티폴린 및 l-소포카르핀이 함유되어 있고, 플라보노이드류의 잔토휴몰, 이소잔토휴몰 및 캠프페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주요 효능으로는 이뇨 작용 및 항균 효과 등이 있다. 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한다.
감초(Glycyrrhizae Radix)의 주성분은 트리터페노이드사포닌(triterpenoid saponin)인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을 3.63∼13.06% 함유하며 그 외 여러 종류의 플라본 화합물이 있다. 보기약(補氣藥)으로 폐(肺)와 비(碑)의 기를 보하여 외부의 탁한 기운으로 인하여 얼굴의 혈액순환이 장애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습(濕)을 제거하여 안과 밖으로 피부를 건강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 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황금 뿌리, 천궁 뿌리, 쟈스민의 잎, 줄기 및 꽃, 오이, 솔잎, 버드나무의 잎과 1년생 줄기, 박하의 잎과 줄기, 목련꽃봉오리, 라벤더의 잎, 줄기 및 꽃, 대추, 고삼 뿌리 및 감초 각각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50 메쉬 이상의 분말상태로 분쇄하였다.
홍삼은 양질의 원료를 선별하여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70% 이상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70℃에서 11시간씩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용매의 양을 투입량의 6배수로 하고 100㎛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액을 얻은 후, 60℃에서 600㎜Hg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액을 80℃에서 2시간 살균하여 세척멸균된 용기에 정량식 충진하여 홍삼 추출물을 얻었다.
토마토는 일반적인 분쇄기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분쇄물 50g을 만든 다음, 1,3-부틸렌 글리콜과 올리브 오일이 중량비로 약 1:1(각각 25g)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48시간 동안 추출하고 100 메쉬로 여과하였다.
죽초액은 대나무 1,000kg을 가마솥에 넣어 80℃로 유지하면서 간접 가열하고, 연돌의 연기 속에 함유된 수액 증기를 90℃의 온도에서 포집하여 냉각 및 응축시키고, 생성된 함수율이 70%인 조죽초액을 약 30℃에서 6개월 숙성 및 분리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죽초액을 기공의 크기가 5.0㎛인 필터로 1회 여과하고, 타르 성분을 제거한 정제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황금 50g, 천궁 50g, 쟈스민 50g, 오이 50g, 솔잎 50g, 버드나무 50g, 박하 5g, 목련꽃봉오리 50g, 라벤더 50g, 대추 50g, 고삼 50g 및 감초 20g 분말, 홍삼 추출물 50g, 토마토 추출물 50g 및 죽초액 50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2배 부피의 정제수를 넣고 항아리에서 35℃의 온도 하에서 1일 기준으로 4회 정도 골고루 교반하면서 자연 대기상에서 1주일 정도 숙성시켰다.
숙성이 완료된 혼합물질로부터 유압압착방식을 이용하여 액체 및 숙성 분말을 별도로 분리하였다.
상기 숙성 분말을 증류기(蒸溜器)에 넣고 250℃의 고온에서 서서히 증류액으로 최종 추출해 낸 것을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주름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주름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 세포(skin cell) 증식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각 추출물별로 최종 농도 250㎕/mL이 되도록 조정한 씨럼(Serum)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3-(4,5-디메틸리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5mg/mL) 10㎕씩 첨가하고 4시간 방치한 후, 배지 부분은 버렸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설폭시드(DMSO: Dimethyl sulfoxide)용액을 가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7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여 하기식으로부터 세포증식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세포증식효과(%)={(시료처리시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세포증식효과
시료(500㎍/mL)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
본 발명의 조성물 90.7
죽초액 75.1
홍삼 51.2
황금 50.0
토마토 61.3
천궁 73.0
쟈스민 52.3
오이 33.7
솔잎 32.5
버드나무 44.3
박하 53.6
목련꽃 42.6
라벤더 53.6
대추 53.5
고삼 45.9
감초 32.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증식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콜라겐 생합성 효과
콜라겐은 피부의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체물질로서 피부의 탄력과 관계가 있으며 노화와 더불어 그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콜라겐의 생합성 양을 증가시키면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in vitro 방법으로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mal Fibroblast)를 24-웰에 웰당 1×105개씩 씨딩(seeding)하여 90% 정도까지 발전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PBS로 한번 씻어낸 후, 상기의 후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각 추출물별(1×10-6로 희석하여 사용함)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CP)양을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 여부를 보았다. 합성능은 대조군(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시료(500㎍/mL) 콜라겐 합성능(%)
대조군 100
본 발명의 조성물 190
죽초액 121
홍삼 145
황금 150
토마토 162
천궁 154
쟈스민 160
오이 135
솔잎 110
버드나무 136
박하 125
목련꽃 156
라벤더 155
대추 160
고삼 120
감초 11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 보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 측정
효소 티로시나제는 인체 티로시나제를 사용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L-DOPA의 갈변 생성물인 DOPA 크롬이 생성되는 정도를 475nm에서 측정하였다. 50mM Tris-HCl 완충용액(pH 7.5) 760㎕을 시험관에 넣어 37℃를 유지시키고 20mM LDOPA 190㎕와 효소액 50㎕, 미백활성 측정 대상 시료 40㎕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475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상 시료를 넣지 않고 측정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조군의 효소 활성을 100으로 보았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의 효소 저해 활성을 %로 표시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의 상대적인 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미백 화장료에 널리 이용되는 알부틴과의 상대적인 활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시료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 (시료 첨가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시료 저해활성(%)
본 발명의 조성물 89
죽초액 60
홍삼 45
황금 38
토마토 49
천궁 51
쟈스민 42
오이 48
솔잎 40
버드나무 25
박하 30
목련꽃 27
라벤더 42
대추 45
고삼 28
감초 32
비교물질 3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월등히 높은 인체 티로시나제 활성억제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4> 멜라닌 합성량 저해 효과
B-16/F10 흑색종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세포수가 2×104 가 되도록 깔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 2mm 테오필린(theophylline)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새로운 배지로 사용하고 시험 시료를 첨가하여 3일간 매일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0.25% trypsin-EDTA 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수확하고,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1N NaOH 100㎕를 넣어 세포내 멜라닌을 녹였다. 이 용액을 PBS로 희석시킨 다음 ELISA 리더로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저해율을 구하였다. 블랭크(Blank)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B-16/F10 흑색종 세포를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 = 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시료 멜라닌 생성 억제율(%)
본 발명의 조성물 70
죽초액 41
홍삼 38
황금 46
토마토 48
천궁 45
쟈스민 25
오이 38
솔잎 54
버드나무 25
박하 26
목련꽃 19
라벤더 26
대추 32
고삼 38
감초 35
비교물질(알부틴) 21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건강한 20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 팔뚝 부위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한 뒤 시험물질들을 발라서 두달 후에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들은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8/2)의 비이클에 각 각이 1%의 농도가 되게 녹여 하루에 2회씩(아침, 저녁) 매일 바르게 하였다.
피부의 명암은 'L'값으로 표현되며 0(검정)에서 100(순백색)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한국인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냄).
각 시료를 도포하면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료들 사이의 비교는 ΔL(최종 L값―시료를 도포하기 직전의 값)으로 표현하였다.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료 ΔL
본 발명의 조성물 3
죽초액 1.5
홍삼 1.6
황금 1.8
토마토 1.3
천궁 1.2
쟈스민 2.0
오이 1.9
솔잎 2.1
버드나무 1.3
박하 1.2
목련꽃 1.2
라벤더 2.5
대추 2.3
고삼 2.2
감초 2.0
비교물질 1.2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우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이미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 월등히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피부자극 효과시험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피부의 안전성 검사를 위해 통상의 패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8명의 일반인의 팔 아래의 안쪽부위에 샘플을 담은 핀체임버를 첩포한 후 24시간 후와 48시간 후에 첩포를 제거하고 피부 상태를 관찰하여 자극의 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점수를 주어 18명의 피검자의 평균값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점수)
4: 매우 자극이 심함(피부가 손상됨); 3: 자극이 심함(수포 등이 생겨남) 2: 약간의 자극이 있음(발적이 있음); 1: 거의 자극이 없음; 0: 전혀 자극이 없어 민감한 피부에 사용해도 좋음.
시료명 판정
24시간 후 48시간 후
본 발명의 조성물 1.0 0.5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어 화장품용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예를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을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및 미백효과 등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에 첨가하여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본 발명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 용해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조성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었다.
<제조예 2> 본 발명 조성물을 함유한 유액의 제조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M 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조성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해서 용해시키고,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었다.
<제조예 3> 본 발명 조성물을 함유한 미용액의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조성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

Claims (7)

  1. 죽초액,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토마토추출물, 천궁추출물, 쟈스민추출물, 오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박하추출물, 목련꽃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대추추출물, 고삼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또는 그것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2∼7 중량부의 죽초액, 2∼7 중량부의 홍삼추출물, 2∼7 중량부의 황금추출물, 2∼7 중량부의 토마토추출물, 2∼7 중량부의 천궁추출물, 2∼7 중량부의 쟈스민추출물, 2∼7 중량부의 오이추출물, 2∼7 중량부의 솔잎추출물, 2∼7 중량부의 버드나무추출물, 0.1∼1 중량부의 박하추출물, 2∼7 중량부의 목련꽃추출물, 2∼7 중량부의 라벤더추출물, 2∼7 중량부의 대추추출물, 2∼7 중량부의 고삼추출물 및 1∼3 중량부의 감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및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주름개선 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활력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피부색을 밝게 하는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22160A 2007-11-28 2007-11-28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60A KR20090055309A (ko) 2007-11-28 2007-11-28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60A KR20090055309A (ko) 2007-11-28 2007-11-28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309A true KR20090055309A (ko) 2009-06-02

Family

ID=4098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160A KR20090055309A (ko) 2007-11-28 2007-11-28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5309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94B1 (ko) * 2011-01-07 2011-03-07 최화순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041444B1 (ko) * 2009-09-30 2011-06-15 주식회사 한켐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KR20130039026A (ko) * 2011-10-11 2013-04-19 (주)아모레퍼시픽 구기자와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한 항노화용 조성물
WO2012024394A3 (en) * 2010-08-19 2013-04-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CN103893348A (zh) * 2014-04-27 2014-07-02 郑玉霞 一种治疗放射性皮肤损伤的中药药膏及制备方法
KR101445918B1 (ko) * 2012-06-13 2014-10-06 김유리 벌레 물린데, 피부 가려움 및 근육통 개선용 천연한방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9161958B2 (en) 2010-08-19 2015-10-2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of treating cellulite
US9168279B2 (en) 2010-08-19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19B2 (en) 2010-08-19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07B2 (en) 2010-08-19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73913B2 (en) 2010-08-19 2015-11-0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KR20160003918A (ko) *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9387349B2 (en) 2010-08-19 2016-07-1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CN106190662A (zh) * 2016-07-27 2016-12-07 扬中市创想驿站工业设计有限公司 祛疤香皂
CN114767598A (zh) * 2022-05-24 2022-07-22 横县瑞丰香料有限公司 一种高保湿的茉莉滋润膏及其制备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44B1 (ko) * 2009-09-30 2011-06-15 주식회사 한켐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US9387349B2 (en) 2010-08-19 2016-07-1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WO2012024394A3 (en) * 2010-08-19 2013-04-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19B2 (en) 2010-08-19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1958B2 (en) 2010-08-19 2015-10-2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of treating cellulite
US9168207B2 (en) 2010-08-19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79B2 (en) 2010-08-19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73913B2 (en) 2010-08-19 2015-11-0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KR101019094B1 (ko) * 2011-01-07 2011-03-07 최화순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869714B1 (ko) * 2011-10-11 2018-06-21 (주)아모레퍼시픽 구기자와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한 항노화용 조성물
KR20130039026A (ko) * 2011-10-11 2013-04-19 (주)아모레퍼시픽 구기자와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한 항노화용 조성물
KR101445918B1 (ko) * 2012-06-13 2014-10-06 김유리 벌레 물린데, 피부 가려움 및 근육통 개선용 천연한방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893348A (zh) * 2014-04-27 2014-07-02 郑玉霞 一种治疗放射性皮肤损伤的中药药膏及制备方法
KR20160003918A (ko) *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190662A (zh) * 2016-07-27 2016-12-07 扬中市创想驿站工业设计有限公司 祛疤香皂
CN114767598A (zh) * 2022-05-24 2022-07-22 横县瑞丰香料有限公司 一种高保湿的茉莉滋润膏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7636B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7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8572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