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608A -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 Google Patents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608A
KR20090040608A KR1020070106043A KR20070106043A KR20090040608A KR 20090040608 A KR20090040608 A KR 20090040608A KR 1020070106043 A KR1020070106043 A KR 1020070106043A KR 20070106043 A KR20070106043 A KR 20070106043A KR 20090040608 A KR20090040608 A KR 2009004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y
base platform
connecting bridge
land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9145B1 (en
Inventor
마현호
김병우
하문근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45B1/en
Publication of KR2009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6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floating containers, barges or othe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 floating quay wall which is movable and controls location is provided to perform connection task of the floating quay wall efficiently through one or more thruster. A floating quay wall which is apart from a land quay wall(200) and is located in the sea comprises: a base platform(102) which is formed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land quay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e or more connecting bridge parts(105) connecting the base platform on the land quay wall; and one or more thruster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form. The thruster is rotatably mounted in order that the base platform moves or is position in a forward direction. The connecting bridge part comprises: a first connecting bridge(110) connected between the land quay wall and the base platform; and a second connecting bridge(120) connected between the base platform and the first connecting bridge.

Description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본 발명은 육상 안벽으로의 연결을 위해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안벽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이용하여 육상의 안벽 상으로 자가 이동한 후, 육상 안벽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상에 용이하게 연결 가능한 부유식 안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quay that can be moved and positioned for connection to a land quay, and after moving to a quay of the land using one or more thrusters, the site of the sea wall It relates to a floating quay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대부분의 항만은 직선식 육상 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육상 안벽 상에만 편중된 각종 크레인의 배치 구조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및 나아가 선박 건조와 관련된 제반 작업을 편 측으로 치우쳐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Most of the ports are composed of straight land quay, and due to the arrangement of various cranes, which are biased only on the land quay, they have no choice but to carry out various tasks related to container loading or unloading and even ship construction.

따라서, 최근 육상 안벽에 대응하여 각종 크레인 작업을 양측에서 수행할 수 있는 부유식 안벽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floating quay that can perform various crane work on both sides in response to the land quay recent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66881호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부선(10)과, 상기 부선(10)을 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 충수탱크(21) 및 펌핑부(22)를 포함하는 부선고정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부선(10)은 예인선(미도시, 통상 이를 '터그보트(Tugboat)'라 한다)에 의해 항만의 안벽(50)으로 이동된다. 항만의 안벽(50) 상에서 상기 부선(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펌핑부(22)가 가동되고, 이후 상기 펌핑부(22)에 의해서 해수가 충수탱크(21) 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충수탱크(21) 내에 공급된 해수에 의해 부선(10)의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충수탱크(21)의 저면이 해저에 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선(10)의 보다 견고한 착지 및 안정된 지지력 발휘를 위하여, 상기 부선(10)이 고정될 해저 상에는 사전 지반처리 후 평탄한 사력층(60) 형성이 요구된다.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466881 discloses a conventional floating quay wall shown in Figure 1, this conventional floating quay wall is provided with a buoy 10, to fix the buoy 10 in place. Consists of a buoyancy fixing part 20 including the filling tank 21 and the pumping part 22. The barge 10 is moved to the harbor wall 50 by a tugboat (not shown, commonly referred to as 'tugboat'). The pumping unit 22 is operated to fix the bar 10 on the inner wall 50 of the harbor, and then the seawater is supplied into the water filling tank 21 by the pumping unit 22. When the load of the barge 10 is increased by the seawater supplied in the filling tank 21,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ling tank 21 lands on the sea bottom. In this case, in order to more firmly land and exhibit a stable supporting force of the barge 10, it is required to form a flat sand layer 60 after the pre-ground treatment on the seabed to be fix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이동 시 다수의 예인선이 요구됨은 물론, 이동된 부선(10)을 정 위치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해저 지반처리 후 사력층(60) 형성 작업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floating quay requires a number of tugboats when moving, as well as in order to firmly fix the moved barge 10 in place, a large cost and cost for forming the sand layer 60 after the seabed ground treatment There was a time-consuming problem.

또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62048호에는 또 다른 방식의 부유식 안벽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부유식 안벽은 해저 바닥면에 소정의 깊이로 설치되는 파일을 기초로 본체(70)의 일 측 상에 연결 설치된 계류파일(90)과, 상기 본체(70)의 타측 상에 형성된 가동수단(80) 및 상기 본체(70)를 육상의 안벽(50) 일 측에 연결하는 연결로(72)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floating quay, Korean Patent No. 10-662048 discloses another floating quay, which is as shown in FIG. The floating quay wall is a mooring pile 9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70 based on a pil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 and movable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70 ( 80) and the main body 70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assage 72 for connecting to the side wall 50 of the land.

이러한 부유식 안벽의 본체(70)는 계류파일(90)을 기준으로 상기 가동수단(80)에 의해 육상의 안벽(50) 상에 연결 되도록 회동 가능한 구성을 갖는데, 상 기 가동수단(80)으로는 본체(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본체(70)의 양 끝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윈치(81, Winch)와, 이러한 윈치(81)에 그 일 측 끝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다수의 와이어(83)와, 상기 와이어(83)의 타 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7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83)가 서로 엇갈리게 연장되는 위치의 해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석션파일(Suction Pile)앵커(8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윈치(81), 와이어(83) 및 석션파일앵커(85)는 각각 짝을 이루어 상기 본체(70)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The main body 70 of the floating quay wall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rota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nshore wall 50 by the movable means 80 on the basis of the mooring pile 90, the movable means 80 Is a plurality of winches (81, Winch)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in body 70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70, and one end of the winch 81 is fixed and wound up And a plurality of wires 8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83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 bottom in a position where the wires 83 alternately exte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70. Suction pile (Auction Pile) is made of an anchor (85). The winch 81, the wire 83, and the suction pile anchor 85 are pair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inches 81, wires 83, and suction pile anchors 85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70.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다수의 계류파일(90)을 비롯하여 다수의 석션파일앵커(85)의 설치를 요구하며, 윈치(81)를 이용한 와이어(83) 권양을 통해 본체(70)를 육상의 안벽(50) 상에 연결 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많은 사전 작업 시간 낭비는 물론, 많은 비용 및 작업 인원이 필요하고, 아울러 와이어(83)의 복잡한 배치로 인하여 작업자 안전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loating quay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mooring piles 90, including a plurality of suction pile anchors 85, and lands the main body 70 through the winding of the wire 83 using the winch 81. Because it can be connected on the quay wall 50, waste of a lot of pre-work time required, as well as a lot of cost and personnel required, and also due to the complicated arrangement of the wire 83 has difficulty in securing worker safety There is thi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부유식 안벽의 육상 안벽 연결에 있어서, 다수 예인선을 이용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이동 및 위치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 부유식 안벽의 육상 안벽 연결 시, 별도의 사전 해저 지반 공사가 요구되지 않는 편리하고 경제성 높은 부유식 안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land quay of the floating quay, it is possible to move and position itself without using a number of tugs, as well as a separate pre-seabed when connecting the sea quay of the floating quay The technical challenge is to provide a convenient and economical floating quay that does not require ground construc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육상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부유식 안벽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 되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부; 및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하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이동 또는 전 방향 위치 조정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loating quay wall located in the sea spaced apart from the land quay, the base platform (Base Platform)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and qu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or more connecting bridges formed to connect the base platform on the land quay; And at least one thruster (Thruster)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form and rotatably mounted such that the base platform is moved or moved forward or backward. To provide.

이때, 상기 연결교량부는 일 단은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연결교량; 및 일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 1 연결교량에 연결 고정되도록 대응 형성된 제 2 연결교량;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ridge portion is a first connection bridge formed in on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and quay wal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form; And a second connection bridg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platform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ly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bridge.

이때, 상기 제 1 연결교량은 상기 육상 안벽에 제 1 힌지(Hinge)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1 댐퍼(Damper)에 의해 좌우 완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bridg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land quay by a first hinge (Hinge), and is buffered left and right by a first damper (Damper)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bridge.

또한,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제 2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2 댐퍼에 의해 좌우 완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base platform by a second hinge, and is buffered left and right by a second damper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는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1 로드셀이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bridge or the second hing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ase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land quay, the thruster is finely oper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base platform. A first load cell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first hinge or the second hinge may be mou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osture displac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는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2 로드셀이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bridge or the second damper may allow the thruster to operate finel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base platform when the base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land quay wall to the first damper or the second damper. A second load cell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first damper or the second damper may be mou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osture displac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이때, 상기 제 1 연결교량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상에서 연결 고정 가능하도록, 서로에게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장탈결합수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bridge and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has a long decoupling means of the concave-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connected and fixed on the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에 따르면, 육상 안벽에 연결되는 부유식 안벽에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를 장착하여 이용함으로써, 종래 부유식 안벽의 이동에 터그보트(Tug Boat)를 이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부유식 안벽의 연결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아울러 용이하게 고정 장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부유식 안벽의 고정에 석션파일(Suction Pile)을 이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부유식 안벽의 고정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movable and position-adjustable floating quay, when one or more thrusters are mounted on the floating quay connected to the land quay, the conventional tug boat is used to move the floating qua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floating pil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and by using one or more connection bridges that can be easily fixed and detach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suction pile (Suction Pile) for fixing a conventional floating quay The fixing work of the edible wall can be carried out more quickly, which has the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러스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In the drawings, FIG. 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floating qua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thrust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4를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4, it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ating and adjustable adjustable qua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실시예(100)는 베이스플랫폼(102, Base Platform)과, 육상 안벽(200) 상에 설치된 제 1 연결교량(110)과,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플랫폼(102) 상에 설치된 제 2 연결교량(120) 및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일 측 하부 상에 각각 이격 장착된 스러스터(150, Thruster)를 포함한다. Embodiment 100 of the movable and position-adjustable floating qua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tform (102, Base Platform),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installed on the land quay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120 installed on the base platform 102 and the thruster 150,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base platform 102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bridge 11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clude.

육상 안벽(200)은 바다와 접하는 육지의 끝자락에 다수 개의 방괴 블록을 축조하여 형성한 구조물로서, 통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land quay 200 is a structure formed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anti-destructive blocks at the edge of the land in contact with the sea, is usual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본 실시예의 베이스플렛폼(102)은 상기 육상 안벽(200)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하부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150, Thruster)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설치 축으로부터 360도 전 방향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추진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15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은 이동 및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The base platform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and quay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thruster (150, Thruster)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form 102, which is composed of a propeller propeller that can be rotated 360 degrees from the installation axis. The thruster 150 allows the base platform 102 to be moved and positioned.

육상 안벽(200)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된 내 홈이 다수 형성되며, 이러한 내 홈 내측에 제 1 연결교량(110)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inner grooves formed inward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on the land quay wall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is formed inside the inner groove.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은 일 단이 상기 육상 안벽(200)의 내 홈 내측에서 제 1 힌지(114)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러한 제 1 힌지(114)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 결교량(110)은 해양의 조석간만의 차 등에 따른 해수면의 수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육상 안벽(20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의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is connected by the first hinge 114 inside the inner groove of the land quay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 by the first hinge 114 110 is activ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water level of the sea level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e of the ocean,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in a state connected on the land quay 200.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ase platform 102.

또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은 상기 육상 안벽(200)의 내 홈 양측 벽면에 이격 장착된 복수 개의 제 1 댐퍼(116)에 의해 좌우로 완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댐퍼(116)로는 고무 휀더(Fend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may be buffer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plurality of first dampers 116 spaced apart from both side walls of the inner groove of the land quay wall (200). A rubber fend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first damper 116.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연결교량(110)은 상기 육상 안벽(200) 상의 내 홈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힌지(114)와 상기 제 1 댐퍼(116) 에 각각 제 1 로드셀(미도시, Load Cell)과 제 2 로드셀(미도시)을 적용하여, 제 1 연결교량(110)에 작용하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plural on the inner groove on the land quay wall 200, and each of the first load cell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rst hinge 114 and the first damper 116. In this case, a load acting on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may be detected by applying a load cell and a second load cell (not shown).

즉, 상기 제 1 힌지(114)에는 제 1 로드셀(미도시)을 적용하여 제 1 연결교량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댐퍼(116)에는 제 2 로드셀(미도시)을 적용하여 제 1 연결교량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That is, a first load cell (not shown) may be applied to the first hinge 114 to detect a load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bridge, and a second load cell (not shown) may be applied to the first damper 116.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ng bridge can be detected.

이렇게 검출된 하중은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스러스터(150)의 제어에 이용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은 연결 부위 정 위치 미세 조정이 가능해 진다. The detected load is used to control the thruster 150 through a controller (not shown), which allows the base platform 102 to finely adjust the connection position.

이러한 제 1 연결교량(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스플랫폼(102)에는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대응된 제 2 연결교량(120)이 형성된다. A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is formed on the base platform 102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은 일 단이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내 홈 내측에 서 제 2 힌지(124)에 의해 연결되는데, 여기서의 제 2 힌지(124)는 전술된 제 1 힌지(114)의 역할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is connected by a second hinge 124 inside the inner groove of the base platform 102, where the second hinge 124 is the first hinge ( I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role as that of 114).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의 타 단은 육상 안벽(200)에 형성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연결되도록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 2 연결교량(120)은 본 실시예의 육상 안벽(200) 연결 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의 설치 위치, 설치 간격, 설치 개수 및 끝 단 형상은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대응 형성된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120 is protrud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formed on the land quay 200,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and quay 200 is connected, it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Ther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installation interval, the number of installation and the end shape of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이러한 제 2 연결교량(120)은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내 홈 양측 벽면에 이격 장착된 복수 개의 제 2 댐퍼(126)에 의해 좌우 완충 가능한 데, 여기서 상기 제 2 댐퍼(126)는 전술된 제 1 댐퍼(116)와 동일하게 고무 휀더(Fend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bridge 120 may be left and right buffered by a plurality of second dampers 12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of both sides of the base platform 102, wherein the second damper 126 is described above. Like the first damper 116, a rubber fender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의 제 2 힌지(124)와 제 2 댐퍼(126)에는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 1 로드셀과 제 2 로드셀이 적용된다. 이러한 제 1 로드셀 및 제 2 로드셀은 제 1 연결교량(11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연결교량(120)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한다. In addition, a first load cell and a second load cell are applied to the second hinge 124 and the second damper 126 of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as in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respectively. The first load cell and the second load cell detect a load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제 1 연결교량(110)과 제 2 연결교량(120)의 연결 방향 끝 단은 서로 맞물려 연결 고정되도록, 각각 서로에게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장탈결합수단(140a, 140b)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서로에게 대응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140a)과 돌부(140b)가 격순으로 배치 형성된다.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120 in the connection direction end is engaged with each other, the desorption coupling means (140a, 140b) of the uneven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formed, this embodiment In the example, the grooves 140a and the protrusions 140b are arranged in a sequential order so as to be fit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 연결교량(110)과 제 2 연결교량(120)을 연결하여 본 실시예(100)를 육 상 안벽(200)에 연결할 경우, 상기 제 1 연결교량(110)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에서는 조석 간만의 차에 따른 서로 간의 높이 차를 비롯한 각종 컨디션에 따라 예기치 못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힌지(114) 또는 상기 제 2 힌지(124)에 장착된 제 1 로드셀은 이러한 하중을 검출하여, 사전에 지정된 한계 하중과 비교하는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제 1 로드셀에서 검출된 하중이 한계 하중보다 더 크면, 스러스터(150)를 적정 가동시켜, 베이스플랫폼(102)의 위치를 미세 조정한다. When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is connec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100 to the land quay 200,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 120, an unexpected load may occur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height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according to tidal difference. Accordingly, the first load cell mounted on the first hinge 114 or the second hinge 124 detects this load and compares it with a predetermined limit load, in which case the load detected in the first load cell When larger than this limit load, the thruster 150 is properly operated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ase platform 102.

아울러, 제 1 연결교량(110)과 제 2 연결교량(120)을 연결하여 본 실시예(100)를 육상 안벽(200)에 연결할 경우, 상기 제 1 연결교량(110)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에서는 또 다른 예기치 못한 환경외력에 의해 좌우로 편중된 하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본 실시예(100)에서는 상기 제 1 댐퍼(116) 또는 상기 제 2 댐퍼(126)에 장착된 제 2 로드셀을 이용하여 좌우 완충 역할은 물론 발생된 하중을 검출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is connec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100 to the land quay 200,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At 120, a load biased from side to side may be generated by another unexpected external force. In this case, the present embodiment 100 detects the generated load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buffering role by using the second load cell mounted on the first damper 116 or the second damper 126.

이때, 제 2 로드셀에서 검출된 하중이 사전에 지정된 한계 하중에 비해 더 크면, 스러스터(150)를 적정 가동시켜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위치를 미세 조정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육상 안벽(200)에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load detected in the second load cel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limit load, the thruster 150 is properly operated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ase platform 102. As such,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ecurely connected to the land quay 200.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ating and adjustable adjustable qua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육상 안벽(200)으로부터 해상의 베이스플랫폼(102) 측으로 제 1 연결교량(110) 2개가 적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랫폼(102) 상에 는 육상 안벽(200)의 제 1 연결교량(110)에 대응된 간격으로 제 2 연결교량(120) 2개가 이격 형성된다. 베이스플랫폼(102)이 육상 안벽(200)으로부터 원 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하부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150)를 가동시켜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을 육상 안벽(200) 가까이로 이동시킨다. Two first connecting bridges 110 are formed at appropriate intervals from the land quay 200 to the base platform 102 on the sea, and the first connection bridges of the land quay 200 are formed on the base platform 102. Two second connection bridges 120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110. When the base platform 102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land quay 200, the base platform 102 may be operated by operating one or more thrusters 150 mounted below the base platform 102. Move closer.

제 1 연결교량(110)에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제 2 연결교량(120)이 근접된 시점에서, 상기 스러스터(150)를 적정 가동시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의 연결 방향 끝 단 부위와 상기 2 연결교량(120)의 연결 방향 끝 단 부위를 연결 고정시킨다. When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120 of the base platform 102 is close to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the thruster 150 is properly operated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0 to the connecting direction. The end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two connecting bridges 120 is fixed.

이러한 연결 고정 작업 중에 상기 제 1 연결교량(110)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에 발생되는 하중은 제 1 힌지(114) 및 제 2 힌지(124) 상에 장착된 제 1 로드셀(미도시) 또는 제 1 댐퍼(116) 및 제 2 댐퍼(126) 상에 장착된 제 2 로드셀(미도시)을 통해 검출할 수 있는데, 이렇게 검출된 하중을 토대로 상기 스러스터(150)를 미세 가동하여 연결 정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다. The load generated on the first connection bridg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idge 120 during the connection fixing operation is a first load cell (not shown) mounted on the first hinge 114 and the second hinge 124. Or through a second load cell (not shown) mounted on the first damper 116 and the second damper 126. The thruster 150 is micro-connected based on the detected load. You can adjust the exact posi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 부유식 안벽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floating quay wall.

도 2는 종래 부유식 안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floating quay wal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loating quay wall 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러스터(Thruster)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ruster (Thrust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시예 102: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100: Example 102: Base Platform

105: 연결교량부 110: 제 1 연결교량105: connecting bridge portion 110: the first connecting bridge

114: 제 1 힌지(Hinge) 116: 제 1 댐퍼(Damper)114: first hinge 116: first damper

120: 제 2 연결교량 124: 제 2 힌지120: second connecting bridge 124: second hinge

126: 제 2 댐퍼 140a: 요홈126: second damper 140a: groove

140b: 돌부 150: 스러스터(Thruster)140b: protrusion 150: thruster (Thruster)

200: 육상 안벽200: land quay

Claims (7)

육상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부유식 안벽에 있어서,In the floating quay that is located offshore from the onshore quay,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 A base platform formed to connect to the land qua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부; 및One or more connecting bridges formed to connect the base platform on the land quay; And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하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이동 또는 전 방향 위치 조정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at least one thruster (Thruster)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form and rotatably mounted so that the base platform is moved or moved forward.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교량부는,The connecting bridge portion, 일 단은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연결교량; 및A first connection bridg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and quay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platform is connected; And 일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 1 연결교량에 연결 고정되도록 대응 형성된 제 2 연결교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a second connecting bridg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platform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ly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bridge.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연결교량은, The first connecting bridge, 상기 육상 안벽에 제 1 힌지(Hinge)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1 댐퍼(Damper)에 의해 좌우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t is coupled to the land quay by a first hinge (Hi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buffered by the first damper (Damper)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ng bridge,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제 2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2 댐퍼에 의해 좌우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t is coupled to the base platform by a second hi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buffered by the second damper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는,In the first hinge or the second hinge,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 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1 로드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connecting the base platform on the land quay,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ostur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bridge or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so that the thruster can be finely oper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ad cell for detecting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hinge or the second hinge,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는,In the first damper or the second damper,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2 로드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the base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land quay, the thruster may be finely operated for precis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platform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ostur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bridge or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oad cell for detecting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damper or the second damper,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연결교량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은,The first connecting bridge and the second connecting bridge, 서로 대향되는 위치상에서 연결 고정 가능하도록, 서로에게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장탈결합수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esorption coupling means of the concave-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connection and fixing is possible on the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quay, movable and position adjustable.
KR1020070106043A 2007-10-22 2007-10-22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KR100979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43A KR100979145B1 (en) 2007-10-22 2007-10-22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43A KR100979145B1 (en) 2007-10-22 2007-10-22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608A true KR20090040608A (en) 2009-04-27
KR100979145B1 KR100979145B1 (en) 2010-08-31

Family

ID=4076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043A KR100979145B1 (en) 2007-10-22 2007-10-22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14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69B1 (en) * 2009-09-29 2011-04-05 한국해양연구원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hybrid quay wall
KR101045045B1 (en) * 2009-12-14 2011-06-29 한국해양연구원 Turret mooring system for model testing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CN115140575A (en) * 2022-06-27 2022-10-04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All-weather operation wharf for large water level difference and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97B1 (en) * 1977-01-19 1981-09-28 군나르 길베르크 Ship's docking plant
JP2000226122A (en) 1999-02-04 2000-08-15 Nkk Corp Container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69B1 (en) * 2009-09-29 2011-04-05 한국해양연구원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hybrid quay wall
KR101045045B1 (en) * 2009-12-14 2011-06-29 한국해양연구원 Turret mooring system for model testing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CN115140575A (en) * 2022-06-27 2022-10-04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All-weather operation wharf for large water level difference and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145B1 (en)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0568B (en) Mooring system
EP2983977B1 (en) Water anchors
CN201268389Y (en)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platform
US20240208619A1 (en) A semi-submersible service vessel for a floating install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0979145B1 (en)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KR101315190B1 (en) Floating Doc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horestructure Using the Same
JP2001310793A (en) Ship mooring equipment
JPH09195281A (en) Method of installing caisson on sea
KR101092487B1 (en) Floating quay
KR20150008271A (en) Buoyancy apparatus
CA2306945C (en) Passive stabilizer for floating petroleum-production systems
KR2012001157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ssel
KR20130003914A (en) Method for mounting azimuth thruster for ship on land
KR101172421B1 (en) Anchoring method of mobile harbor on the see
KR102493444B1 (en) Vessel stability device and load-out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36268A (en) A offshore floating structure having outstanding quay anchorage ability against extreme environment
EP4347376A1 (en) A floating fabrica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floating structures
JP4619137B2 (en) General ship intrusion prevention guard
JP5106435B2 (en) Mooring equipment
KR20220026931A (en) Floating type quaywall moor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NO346197B1 (en) Floating construction with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KR20140025751A (en) A mooring system for barge for loading out marine topside facility
KR20140025741A (en) A mooring system for barge for loading out marine topside facility
KR20140062279A (en) A barge for loading out marine topside facility
KR20160052883A (en) Dry dock available special ship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