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873A - Sparc 유래의 암 거절항원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 - Google Patents

Sparc 유래의 암 거절항원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873A
KR20090038873A KR20097000778A KR20097000778A KR20090038873A KR 20090038873 A KR20090038873 A KR 20090038873A KR 20097000778 A KR20097000778 A KR 20097000778A KR 20097000778 A KR20097000778 A KR 20097000778A KR 20090038873 A KR20090038873 A KR 2009003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ells
cancer
cell
sp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0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173B1 (ko
Inventor
야스하루 니시무라
요시아키 이쿠타
슈이치 나카쯔루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 유니버시티
온코세라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 유니버시티, 온코세라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마모토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09003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5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2Antigen presenting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4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e.g. dendritic cells or macr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양에 반응성을 나타내는 인간 세포상해성(killer)-T 세포 및 헬퍼(helper)-T 세포를 유도할 수 있는 SPARC 단백질 유래의 펩티드를 동정하고, SPARC를 고발현하는 다양한 암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양의 면역요법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가 제공된다: (A)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 및, (B)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킬러-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
SPARC 단백질, 종양의 면역요법

Description

SPARC 유래의 암 거절항원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SPARC-derived Cancer Rejection Antigen 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암, 췌장암 및 악성 흑색종(멜라노머) 등의 SPARC를 고발현하는 암의 암백신으로서 유효한 신규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종양의 치료 및/또는 예방약에 관한 것이다.
위암은 구미와 비교하여 일본이나 중국 등의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위암은 건강진단의 보급이나 소화기 내시경기구나 검사기술의 진보에 의해 조기 발견이 가능해져 환자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일본인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의 사망원인의 제 2위를 점하고 있으며, 아직 사망원인을 점하는 비율은 높다. 위암 중에서도 만성(경성, scirrhous) 위암은 다른 위암(선암, adenocarcinoma)과 비교하여 젊은 층에 발생하고, 암의 진전, 전이, 복막파종(peritoneal metastasis)의 경향이 강하며 예후(prognosis)가 불량하다. 경성 위암은 진단시에 이미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비록 절제 가능하다 할지라도 치료 후 재발의 예가 많으므로, 새로운 치료법을 확립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일본에 있어서의 췌장암의 사망자수는 증가하는 경향에 있으며, 2003년에는 21,148명이 췌장암으로 사망하였다. 췌장암은 현재 일본의 암에 의한 사망원인의 6.8%를 점하고 있으며,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에 이어 제 5위이다. 세계 인구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령 구성이 다른 집단의 사망률을 비교할 때 이용되는 연령조정 사망율(age-adjusted mortality rate)을 산출해 보면, 2000년에는 100,000명당 남성은 일본 8.6명에 대해서 미국 7.3명, 영국 6.3~7.0명, 여성은 일본 4.9명에 대해서 미국 5.3명, 영국 4.8~5.1명으로 구미와 동일 수준이다.
2000년의 연령조정율(age-adjusted rate, 세계인구에 의한 100,000명당)로 보면, 남성은 일본 8.6명에 비해서 미국 7.3, 영국 6.3~7.0, 여성은 일본 4.9에 비해서 미국 5.3, 영국 4,8~5.1로 구미와 동일 수준이다. 화상진단(diagnostic imaging)이 진보된 현재에 있어서도 일본인 환자 전체의 약 4할이 원격 전이(distant metastasis)를 가지는 진행예이며,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예의 상태로 발견되는 환자도 많다. 1996년 진단예에 있어서의 췌장암 환자 전체의 5년 상대생존율(relative survival rate)은 4.3%로, 종래의 2~3%보다 증가 경향에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낮다. 췌장암의 발생 원인에 관해서는 흡연, 비만, 식사, 음주, 커피 등의 생활습관 이외에, 만성 췌장염이나 당뇨병, 유전 요인 등 각종 인자의 관여가 시사되고 있다.
췌장암에 특이적인 증상은 없으며,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이미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환자 전체의 5년 생존율은 5% 이하로, 진단 후의 예후가 극히 불량하다. 진단의 곤란성으로 인하여, 특히 선진국에서는 점차 암사망의 원인 질환으로서의 빈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현재 외과적 절제를 중심으로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등에 의한 집학적 치료(multidisciplinary therapy)가 행해지고 있는데, 극적인 치료효과의 개선은 없어 새로운 치료전략의 확립은 급선무이다.
멜라노머(melanoma)란 악성 흑색종이라 불리는 피부암의 일종으로, 침윤 및 전이경향이 대단히 강하고, 악성도가 높은 암으로서 대단히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 있다.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에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세포가 있으며, 이를 색소세포(멜라노사이트, melanocyte)라 부르는데, 이 세포가 암화된 것이 멜라노머이다. 또한, 멜라노머는 환경파괴에 의한 대기 중의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자외선에의 노출의 증가에 의해, 특히 백인에게 있어 발생빈도가 증가 일로에 있다.
일본에 있어서의 멜라노머의 발생수는 인구 10만명당 1.5 내지 2명 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연간 1500명 내지 2000명 정도 발생하고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 구미에서는 인구 10만명당 10수명 이상 발생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인구 10만명당 20수명 이상의 발생으로 세계 제 1의 발생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만큼 구미나 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은 멜라노머에 관심을 가지고 멜라노머의 발생에 주의하고 있다. 또한, 놀랍게도 외국에서도 일본에서도 멜라노머의 발생은 해마다 증가 경향이 인정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는 일본에 있어서의 이러한 병 에 의한 연간 사망자수는 450명 전후이다. 멜라노머는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40세 이상이 되면 발생이 많아지고, 60세~70세 연령대가 가장 많아지고 있다. 소아 발생은 대단히 낮지만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없으며, 최근 20~30세 연령대의 젊은층의 발생이 많아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성별로는 특별히 어느 쪽이 많다는 경향이 없이, 남녀 어느 쪽이나 발생한다. 일본인의 멜라노머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는 족저(sole, 발의 안쪽)가 가장 많고, 약 3할 정도를 점하고 있다. 발이나 손가락 끝부분에도 많이 생기는 것이 일본인의 특징이다. 이외에 구미인과 마찬가지로 몸, 손, 발, 얼굴, 머리 등 피부 어디에나 발생한다.
현재 멜라노머의 치료법으로서 외과요법,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치료법의 적응 외의 전이암이나 난치성 암에 대한 완화적인 치료법으로서 암환자의 암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함으로써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면역요법이 주목받으며, 실제로 일부 환자에서는 실효를 거두고 있다.
한편 근년의 분자생물학 및 종양면역학의 발전에 따라 세포상해성(킬러)-T 세포 및 헬퍼-T 세포가 암세포 혹은 항원제시세포의 표면에 HLA분자를 통해 제시되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고발현하는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긴 펩티드를 인식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해졌다. 그리고, 이러한 암을 공격하는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종양항원 단백질 및 그들에 유래하는 펩티드가 다수 동정되었으며, 항원 특이적인 종양면역요법의 임상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HLA 클래스 I분자는 신체의 모든 유핵세포의 표면에 발현되고 있으며, 세포질이나 핵에서 생산된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분해되어 생긴 펩티드를 결합하여 세 포 표면에 발현된다. 정상적인 세포의 표면에는 정상적인 자기의 단백질에 유래하는 펩티드가 HLA 클래스 I분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면역계의 T 세포가 식별하여 파괴하는 일은 없다. 한편, 암세포는 암이 되는 과정에서 정상세포에는 거의 발현되지 않고 있거나, 혹은 극히 조금밖에 발현되어 있지 않은 단백질을 대량으로 발현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고발현하는 단백질이 세포질 내에서 분해되어 생긴 펩티드가 HLA 클래스 I분자에 결합하여 암세포의 표면에 발현하면 킬러-T 세포가 이를 인식하여 암세포만을 파괴한다. 또한, 이러한 암 특이항원이나 펩티드를 개체로 투여함으로써, 정상세포에는 위하여를 가하지 않고 암세포를 파괴하여 암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암 특이항원을 이용한 암면역요법(cancer immunotherapy)이라 부른다. 또한, HLA 클래스 II분자는 주로 항원제시세포의 표면에 발현되고 있으며, 항원제시세포가 세포외로부터 도입하여 세포내에서 분해되어 생긴 암 특이항원 유래의 펩티드를 결합하여 세포 표면에 발현한다. 이를 인식한 헬퍼-T 세포는 활성화되어 다른 면역담당 세포(immunocompetent cell)를 활성화하는 각종 사이토카인을 생산함으로써,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 혹은 증강한다.
따라서, 이들 암에 특이적으로 고발현되는 항원을 표적으로 한 면역요법을 개발할 수 있다면, 자기의 정상 장기에 유해하지 않고 암만을 유효하게 배제하는 치료법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치료를 행할 수 없는 어떤 말기 암환자에게나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아울러, 미리 이러한 암을 발생할 위험성이 큰 사람에 대해서 암 특이항원 및 펩티드를 백신으로서 투여함 으로써, 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위암조직 및 정상조직에 있어서의 게놈와이드(genome-wide)의 23,040종의 유전자 발현을 c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광범위 침윤성 위암의 환자 20예중 11예로 정상 위점막과 비교하여 위암조직에 있어서 5배 이상(평균 13만배) 고발현하는 유전자로서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SPARC)을 동정하였다(도 1). SPARC 유전자는 정상의 지방조직, 유선, 난소, 척수, 정자, 자궁, 태반 등에 경도의 발현이 인정되었으나, 정상 위점막과 비교하여 어느 것이나 5배 이하의 낮은 발현을 나타내었다(도 2).
SPARC는 광범위 침윤성 위암에 고발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췌장암이나 멜라노머에도 고발현하는 것이 다른 연구자에 의해 이미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멜라노머 환자의 혈청 중에는 SPARC가 분비되어 있으며, 특히 멜라노머의 조기발견에 유용한 종양 마커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참조: 특원 2004-303688 및 Clinical Cancer Research, 11:8079-8088, 2005).
SPARC는 28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43KD의 산성의 분비단백질로, 시스테인이 풍부하고 세포분열기에는 핵으로 이행한다. 또한, SPARC는 세포외 기질단백과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조절함으로써, 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것에도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골아세포나 혈소판, 창상부위 등에도 발현하고 있음으로써 조직의 수복과 재구축에 관여하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멜라노머나 골육종 등의 암 및 종양의 간질세포에도 고발현하는 것, 및 SPARC의 발현이 종양의 예후, 침윤 혹은 전이와 상관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Ikuta Y 등, Clinical Cancer Research, 11:8079-8088, 2005
[특허문헌 1] 특원 2004-303688
본 발명은 광범위 침윤성 위암(diffuse infiltrative stomach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및 멜라노머(melanomer) 등 SPARC를 고발현하는 종양의 치료법으로서 시술되고 있는 외과요법(surgical therapy), 화학요법(chemotherapy) 및 방사선요법(radiotherapy)으로는 치료가 곤란한 전이암(metastatic cancer)이나 난치성 암(intractable cancer)에 대한 완화적인 치료법으로서, 암환자의 암에 대한 면역력을 증강함으로써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면역요법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암환자에게 유해사상(harmful phenomenon)을 동반하지 않고, 상기 암에 대한 강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암 특이적으로 고발현하는 SPARC 단백질 유래의 펩티드를 동정하여, 당해 펩티드를 종양의 면역요법에 응용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종양에 반응성을 나타내는 인간 킬러(killer)-T 세포, 및 헬퍼(helper)-T 세포를 유도할 수 있는 SPARC 단백질 유래의 펩티드를 동정하여, SPARC를 고발현하는 다양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양의 면역요법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범위 침윤성 위암의 cDNA 마이크로어레이 해석에 의해 광범위 침윤성 위암에 고발현하는 유전자 SPARC를 동정하였다. SPARC의 발현은 일부 정상조직에도 관찰되는데, 암부위와 비교하면 현저히 낮다. SPARC 특이적인 킬러-T 세포에 의한 항종양면역의 유도의 유무를 검토하기 위하여, 결합하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관한 특징이 일본인에게서 가장 빈도가 높은 HLA-A24와 동일한 마우스 Kd분자를 발현하는 BALB/c마우스를 이용하였다. 즉, 95%의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과 마우스의 SPAR에 대해서, 양자에서 아미노산 서열이 공통되어 있는 펩티드로 인간의 HLA-A24 및 마우스 Kd에 공통된 결합모티브를 가지는 것을 합성하였다.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을 부하한 골수유리 수상세포(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를 BALB/c 마우스(Kd발현)에 면역함으로써, 펩티드 특이적이면서 SPARC 발현 암세포를 파괴하는 킬러-T 세포가 유도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마찬가지의 면역요법에 의한 전처리를 받은 마우스에 있어서, 이식한 마우스 SPARC 발현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고, 생존기간이 연장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펩티드를 면역한 마우스에 자기면역현상의 발생에 따라 관찰되는 유해사상이 출현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는 SPARC 발현 암세포를 파괴하는 킬러-T 세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들 펩티드를 면역한 마우스에 있어서는 이식한 마우스 SPARC 발현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며 생존기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따라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
(A)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 및,
(B)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킬러-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
(2) (1)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암에 대한 면역유도제.
(3) (1)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종양의 치료 및/또는 예방약.
(4) (1)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종양반응성 T 세포의 유도능이 높은 항원제시세포 유도제.
(5) (1)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종양반응성 T 세포 유도제.
(6)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종양반응성 T 세포의 유도능이 높은 항원제시세포 유도제:
(A)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 및,
(B)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포함하며, 킬러-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
(7) (1)에 기재된 펩티드에 대한 항체.
(8) (1)에 기재된 펩티드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
(9) HLA분자와 (1)에 기재된 펩티드와의 복합체를 제시하는 항원제시세포.
(10) (4) 또는 (6)에 기재된 약제에 의해 유도되는 (9)에 기재된 항원제시세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1) 본 발명의 펩티드 및 그를 포함하는 암에 대한 면역유도제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이다:
(A)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 및,
(B)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킬러-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
본 명세서에서, "세포상해성 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peptide having ability to induce cytotoxic T cell)"란 킬러-T 세포를 자극하는 T 세포 유도활성을 가지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입수·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학합성 펩티드나, 유전자 재조합기술에 의해 작제된 재조합 펩티드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화학합성 펩티드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Fmoc법(플로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법), tBoc법(t-부틸옥시카르보닐법) 등의 화학합성법에 따라,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시판되는 펩티드 합성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합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재조합 단백질로서 생산하기 위하여서는, 이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가지는 DNA 또는 그 변이체 또는 상동체를 입수하여, 이를 바람직한 발현시스템에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펩티드를 제조할 수 있다.
발현벡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숙주세포에 있어서 자립복제하거나(autonomously replicating), 혹은 숙주세포의 염색체 중에 도입(incorporation)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며,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는 위치에 프로모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가지는 형질전환체는 상기 발현벡터를 숙주에 도입함으로써 작제할 수 있다. 숙주는 세균, 효모, 동물세포, 곤충세포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숙주에의 발현벡터의 도입은 각 숙주에 따른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작제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하고, 배양물 중에 본 발명의 펩티드를 생성 축적시키며, 이 배양물로부터 본 발명의 펩티드를 수득함으로써 재조합 펩티드를 단리할 수 있다.
형질전환체가 대장균 등의 원핵생물, 효모균 등의 진핵생물인 경우, 이들 미생물을 배양하는 배지는 이 미생물을 자화(assimilation)할 수 있는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등을 함유하며, 형질전환체의 배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배지라면 천연배지, 합성배지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배양조건도 이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통상 이용되는 조건으로 행하면 된다. 배양 후 형질전환체의 배양물로부터 본 발명의 펩티드를 단리 정제하기 위하여서는, 통상의 펩티드의 단리,정제법을 이용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one or several amino acids)"이라 함은 일반적으로는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8개의 아미노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5개의 아미노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예를 들어,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또한,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는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정보에 따라 당업자라면 적절히 제조 또는 입수할 수 있다. 즉,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세포상해성 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는 상기 화학합성, 유전공학적 방법 또는 돌연변이 유발 등의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작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전공학적 방법의 하나인 부위 특이적 변이유발법은 특정 위치에 특정 변이를 도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용하며,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89(이하에서는, "몰레큘라 클로닝 제 2판"이라 약함),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Supplement 1-38, John Wiley & Sons(1987-1997)(이하에서는, "커런트·프로토콜·인·몰레큘라 바이올로지"라고 약함)등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에 대한 면역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암에 대한 면역유도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암에 대한 면역유도제는 실험실 조건(in vitro), 생체외(ex vivo) 또는 생체내 조건(in vivo), 바람직하게는, 생체외 조건을 이용함으로써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암에 대한 면역을 부여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항체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펩티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피토프(항원)으로서 인식하는 항체, 및 상기 펩티드를 이용하여 생체외 조건 또는 실험실 조건 자극에 의해 유도된 킬러-T 세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킬러-T 세포 쪽이 항체보다도 강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클론 항체 또는 단클론 항체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그의 작제는 정해진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클론 항체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항원으로 하여 포유동물 또는 조류를 면역 감작하고, 이 포유동물 또는 조류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항체를 분리·정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햄스터, 몰모트, 닭, 쥐, 토끼, 개, 염소, 양, 소, 말 등의 포유동물 또는 조류를 면역할 수 있다. 면역감작(immunization)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항원을 7 내지 30일 간격으로 2 내지 3회 투여하면 된다. 1회 투여량은 예를 들어, 항원 약 0.05 내지 2mg정도를 투여할 수 있다. 투여경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피하 투여, 피내 투여, 복막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항원은 적당한 어쥬번트를 포함하는 완충액, 예를 들어, 완전 프로인트 어쥬번트 혹은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통상 이용되는 어쥬번트를 함유하는 적당한 완충액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면역감작한 포유동물 또는 조류를 일정기간 사육한 후 항체가가 상승되면, 예를 들어, 100μg 내지 1000μg의 항원을 이용하여 추가면역을 행할 수 있다. 마지막 면역으로부터 1 내지 2개월 후에 면역감작한 포유동물 또는 조류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이 혈액(다클론 항혈청)을 예를 들어, 원심분리, 황산암모늄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한 침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분리·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인식하는 다클론 항체를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단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드마를 조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생산 세포와 미엘로마 세포주와의 세포융합에 의해 하이브리드마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마는 다음과 같은 세포융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항체생산 세포로서는 면역된 동물로부터의 비장세포(spleen cell), 임파절 세포(lymph node cell), B 임파구(B lymphocyte) 등을 사용한다. 항원으로서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사용한다. 면역동물로서는 마우스, 랫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동물에의 항원의 투여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한다. 예를 들어, 완전 프로인트 어쥬번트, 불완전 프로인트 어쥬번트 등의 어쥬번트와 항원인 본 발명의 펩티드와의 현탁액(suspension) 혹은 유화액(emulsified liquid)을 동물의 피하, 피내, 복강내 등에 수회 투여함으로써 동물을 면역화한다. 면역화한 동물로부터 항체생산 세포로서, 예를 들어, 비장세포를 취득하고, 이것과 미엘로마 세포를 공지된 방법(참조: G.Kohler et al., Nature, 256 495(1975))에 의해 융합하여 하이브리드마를 작제할 수 있다.
세포융합에 사용하는 미엘로마 세포주로서는 예를 들어, 마우스에서는 P3X63Ag8, P3U1주, Sp2/0주 등을 들 수 있다. 세포융합을 행할 때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센다이 바이러스 등의 융합촉진제(fusion promoter)를 이용하고, 세포융합후의 하이브리드마의 선택에는 히포크산틴 아미노프테린 티미딘(hypoxanthine aminopterin thymidine, HAT) 배지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사용한다. 세포융합에 의해 얻어지는 하이브리드마는 한계희석법(limiting dilution method) 등에 의해 클로닝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이용한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해 스크리닝함으로써, 본 발명의 펩티드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하이브리드마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를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통상의 세포배양법(cell culture method)이나 복수형성법(ascites formation method)에 의해 하이브리드마를 배양하고, 배양상등액 혹은 복수로부터 이 단클론 항체를 정제하면 된다. 배양상등액 또는 복수로부터의 단클론 항체의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안(ammonium sulfate) 분획, 겔여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체의 단편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항체의 단편의 예로서는, F(ab')2 단편, Fab' 단편 등을 들 수 있다.
(3)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이용하여 실험실 조건 자극에 의해 유도된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말초혈 임파구(peripheral blood lymphocyte)나 종양침윤 임파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를, 본 발명의 펩티드로 실험실 조건에서 자극하면 종양반응성을 나타내는 활성화 T 세포가 유도되고, 이 활성화된 T 세포는 암의 양자면역요법(adoptive immunotherapy)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를 강력한 항원제시세포인 수상세포에 생체내 조건 혹은 실험실 조건으로 발현시켜 그 항원펩티드 발현 수상세포를 투여함으로써,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와 면역자극제(immunostimulator)를 이용하여 생체외 조건 또는 실험실 조건 자극에 의해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면역자극제의 예로서는, 세포증식인자 또는 사이토카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되는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을 체내에 이입함으로써 종양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종양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을 작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양반응성 T 세포와 본 발명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세포배양액(cell culture solution)가 제공된다. 이 세포배양액을 이용함으로써 종양을 억제할 수 있는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을 작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포배양액, 및 세포배양 용기(cell culture vessel)를 포함하는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을 작제하기 위한 세포배양 키트(cell culture kit)도 제공된다.
(4) 본 발명의 종양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암백신)
본 발명의 펩티드는 암세포 특이적 킬러-T 세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암의 치료, 예방제로서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적당한 벡터로 도입하고, 이 재조합 DNA로 형질전환된 BCG균의 세균, 또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DNA를 게놈에 도입된 백시니아 바이러스(vaccinia virus) 등의 바이러스는 인간 암의 치료·예방용 생백신(live vaccine)으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암백신의 투여량 및 투여법은 통상의 종두나 BCG 백신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DNA(그대로 혹은 발현벡터에 도입한 플라스미드 DNA의 형태), 상기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또는 재조합 미생물은 그대로 혹은 어쥬번트에 분산한 상태로 암백신으로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도 마찬가지로 어쥬번트와 분산된 상태로 암백신으로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어쥬번트의 예로서는, 프로인트의 불완전 어쥬번트, BCG, 트레할로스 다이마이콜레이트(trehalose dimycolate, TDM), 리포다당(lipopolysaccharide, LPS), 명반 어쥬번트(alum adjuvant), 실리카 어쥬번트(silica adjuvant) 등을 들 수 있는데, 항체 유도능 등의 관점에서 프로인트의 불완전 어쥬번트(IF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암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위암, 대장암, 식도암, 췌장암, 간암, 담낭암, 담관암, 폐암, 유방암, 갑상선암, 멜라노머(악성 흑색종), 피부암, 골육종, 갈색세포종, 두경부암, 뇌종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 임파종,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정소암, 자궁암, 난소암, 또는 연부조직육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위암(특히, 광범위 침윤성 위암), 췌장암, 또는 멜라노머(악성 흑색종)등과 같은 SPARC를 고발현하는 암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T 세포 에피토프로서 암세포에 특이적인 킬러-T 세포, 또는 헬퍼-T 세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인간 암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도 암항원인 SPARC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인간 암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실제 사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펩티드 혹은 항체를 그대로,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필요에 따라 이하의 보조제도 추가하여 주사제로서 투여할 수도 있으며, 분무 등의 방법으로 점막으로부터의 경피흡수 등으로 투여해도 된다. 이때, "담체(carrier)"라 함은, 예를 들어, 인간혈청 알부민이며, 또한, 희석제로서는 예를 들어, PBS, 증류수 등을 들 수 있다.
투여량은 성인 1인당 본 발명의 펩티드 혹은 항체를 예를 들어, 1회당 0.01mg 내지 100mg의 범위가 되도록 투여할 수 있으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의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동결건조된 것이나, 당 등의 부형제를 부가하여 과립으로 만든 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약제에 첨가할 수 있는 종양반응성 T 세포 유도활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제로서는, 무라밀 디펩티드(muramyl dipeptide, MDP) 이외의 BCG균 등의 균체성분, [Nature, vol, 344, p873(1990)]에 기재된 ISCOM, [J. Immunol, vol. 148, p1438(1992)]에 기재된 사포닌계의 QS-21, 리포솜, 수산화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렌티난(lenthinan), 쉬조필란(schizophyllan), 피시바닐(picibanil) 등의 면역자극제를 보조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IL-2, IL-4, IL-12, IL1, IL-6, TNF 등의 T 세포의 증식, 분화를 증강하는 사이토카인 등, 및 NKT 세포를 활성화하는 α 갈락토실세라미드(galactosylceramide)나 Toll-like 수용체에 결합하여 자연면역계를 활성화하는 CpG, 리포다당(LPS) 등도 보조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HLA-A24 양성환자로부터 수득한 세포 또는 HLA-A24 양성의 타인 유래의 세포에 시험관 내에서 당해 항원 펩티드를 부가하고, 항원제시시킨 후, 환자의 혈관 내에 투여하여 환자의 체내에서 효과적으로 킬러-T 세포를 유도할 수도 있다. 아울러, 환자 말초혈 임파구에 당해 펩티드를 부가하여 시험관 내에서 배양함으로써, 시험관 내에서 킬러-T 세포를 유도한 후에 환자 혈관 내로 되돌릴 수도 있다. 이러한 세포이입(cell transfer)에 의한 치료는 이미 치료요법으로서 실시되어 있으며, 당업자 사이에서는 잘 알려진 방법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체내에 주입함으로써 종양반응성 T 세포를 유도하고, 그 결과 항종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임파구를 생체외 혹은 실험실 조건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로 자극하면 활성화 T 세포가 유도되고, 이 활성화된 T 세포를 환부에 주입함에 따른 양자면역요법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광범위 침윤성 위암(diffuse infiltrative stomach cancer)의 환자 20예의 cDNA 마이크로어레이 해석에 의해 동정된 정상 위점막과 비교하여 위암 조직에 있어서 고발현하는 최고 15개 유전자에 대해서, 개개의 병례에 있어서의 발현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결과 및 이하에 제시하는 정상조직의 cDNA 마이크로어레이 해석결과를 함께 고려하여, 암부위에 특이적으로 고발현하는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SPARC)을 광범위 침윤성 위암에 있어서의 가장 이상적인 암 특이항원으로서 선정하였다.
도 2는 c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25종류의 성인의 주요 장기 및 4종류의 태생기의 장기(embryonal organ)에 있어서의 SPRAC의 발현을 분석한 것이다. SPARC 유전자의 발현은 일부의 정상조직에도 관찰되는데, 암부위와 비교하면 발현의 정도는 현저히 낮았다.
도 3은 BALB/c마우스에 있어서, 마우스 Kd구속성(restricted) SPARC Kd-1, Kd-3, 혹은 Kd-4 에피토프 펩티드를 이용하여 유도한 CTL에 의한 SPARC 양성 종양세포의 상해를 나타낸다.
도 4는 SPARC Kd-1, Kd-3 및 Kd-4 펩티드를 혼합하여 부하한 골수 수상세포(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 BM-DC)의 BALB/c마우스에 전투여(pre-administration)에 의한 피하이식된 Meth A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생존기간의 연장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cDNA 마이크로어레이 해석
적출한 광범위 침윤성 위암환자의 암부(cancerous tissue)와 비암부(non-cancerous tissue) 조직을 레이져 포획 미세해부(laser capture microdissection)에 의해 분별하여 잘라내고, 각 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이들 RNA로부터 역전사반응에 의해 cDNA를 합성할 때, 암부 cDNA를 Cy5로, 비암부 cDNA를 Cy3으로 형광표지한 후에 혼합하여 표적 DNA로 하였다. 프로브 cDNA를 정렬한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서 혼성화를 행한 후 비특이적인 결합을 세정하여 절제하고, CCD 카메라 혹은 형광스캐너를 이용하여 혼성화 이후의 형광화상(fluorescence imaging)을 얻고, 의사 색상(false color)(Cy5: 적, Cy3: 녹)를 부여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각각의 형광강도(fluorescence intensity)의 비(R/G)를 계산하여, 유전자발현 프로파일로서 표시하였다. 그리고, 광범위 침윤성 위암환자 20예의 암부와 비암부에 있어서의 23,040종류의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많은 병례에서 암부/비암부의 발현의 비가 5이상의 유전자를 15종류 선별하였다(도 1).
이어, 각 유전자에 대해서 29장기(태생기의 4장기를 포함)의 정상조직에 있어서의 23,040종류의 유전자의 발현 프로파일을 해석하여 정상 장기에서는 발현이 낮은 유전자를 선별해 내었다. 금번 발명자들이 종양 항원으로서 선정한 SPARC는 광범위 침윤성 위암환자 20예 중 11예로 암부/비암부의 발현의 비가 5이상(평균 133,359배)이며, 일부의 정상조직에도 발현하고 있으나, 암부와 비교하면 그 발현은 현저히 낮았다(도 2).
실시예 2:
(2)인간 HLA-A24 및 마우스 Kd구속성 SPARC 펩티드 레퍼토리의 선택
95%의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과 마우스의 SPARC에 있어서, 아미노산 서열이 공통되어 있는 펩티드 부분 중에서 이하의 펩티드를 선택하였다. 인간 HLA-A24 및 마우스 Kd분자에 모두 강하게 결합하는 펩티드에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관한 공지된 정보를 기초로 SPARC 분자의 전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탐색하고, 양 분자에 결합친화성이 높다고 추정되는 펩티드의 레퍼토리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택하였다. 그 결과 후보 펩티드로서 4종류를 결정하였다(표 1).
인간 HLA-A24 및 마우스 Kd분자에 공통적으로 결합성을 나타낸다고 추정되는 SPARC 유래의 펩티드
펩티드 서열 시작부위 결합 스코어
A24 Kd
SPARC-Kd-1 DYIGPCKYI 143 75 400
SPARC-Kd-2 HIFFATKCTL 123 20 1382
SPARC-Kd-3 EFPLRMRDWL 161 30 960
SPARC-Kd-4 MYIFPVHWQF 225 210 120
http://bimas.dcrt.nih.gov/cgi-bin/molbio/ken_parker_comboform에 의하여 예측
SPARC Kd-1: 서열번호 1
SPARC Kd-3: 서열번호 2
SPARC Kd-4: 서열번호 3
(3) 수상세포(dendritic cell, DC) 백신
BALB/c 골수유래의 골수세포로부터 GM-CSF를 이용하여 골수세포 유래의 수상세포(BM-DC)를 보고된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하였다(참조: Nakatsura, T 등, Clin. Cancer Res., 10, 8630-8640, 2004). 이렇게 얻어진 BM-DC에 상기에서 결정한 펩티드 4종류의 혼합물과 10μM의 농도로 2시간 배양한 후, 1마리당 5 x 105의 개수를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1주간의 간격을 두고 2회 마찬가지로 투여하여 마우스를 면역한 후,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회수하여 킬러-T 세포의 검출에 이용하였다. CD8+T 세포 유래의 킬러-T 세포의 유도를 엄밀하게 검토하기 위하여, 비장의 채취 후에 비장세포로부터 MACS 비즈를 이용하여 CD4+T 세포를 제거한 것을 이용하였다.
킬러-T 세포가 인식하는 SPARC 펩티드의 결정에 이용한 프로토콜을 이하에 나타낸다(면역 마우스로부터의 비장세포 회수일을 Day 0으로 한다)
Day-21 (1) BALB/c마우스의 골수세포에 GM-CSF를 부가하여, 골수유래의 수상세포(이하에서는, "BM-DC"라 함)의 유도를 개시한다.
Day-14 (2) 유도한 BM-DC에 4종류의 SPARC 펩티드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2시간 후에 1마리당 5 x 105개를 복강 내에 투여한다.
(1),(2)를 1주마다 2회 반복한다.
Day-0 면역한 BALB/c마우스의 비장세포를 회수하고 재차 BM-DC에 각각의 SPARC 펩티드를 첨가하여 2시간 지난 것과 공배양한 후에 6일간 배양하였다.
Day-6 SPARC 펩티드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킬러-T 세포를 검출하기 위하여 Cr 방출시험을 행하였다. 킬러-T 세포에 의해 상해된 표적 종양세포로서 T2Kd세포, RL male 1 세포주, Meth A 세포주 및 BALB/3TS 세포주를 설정하였다.
(4) Cr-방출시험(Cr-release assay)에 의한 SPARC 특이적 킬러-T 세포에 의한 종양세포 상해의 검토
유도한 SPARC 특이적 킬러-T 세포의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상해 활성을 이하와 같이 하여 검토하였다. T2Kd세포는 TAP유전자의 발현을 결손하는 마우스 T2세포주에 Kd유전자를 도입한 세포주이다. TAP결손에 의해 외부로부터 첨가한 펩티드가 MHC클래스 I분자에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는 경우에만, 당해 MHC 클래스 I분자와 펩티드의 복합체가 세포 표면에 발현한다. RA male 1 세포주는 BALB/c 마우스 유래의 T 세포성 백혈병 세균이다. 양 세포 모두 SPARC를 발현하고 있지 않다. 한편, Meth A 및 BALB/3TS 세포주는 BALB/c 마우스 유래의 섬유육종 세포주(fibrosarcoma cell line) 및 섬유아세포 세포주(fibroblast cell line)로서, 각각 SPARC를 발현한다. 이들 세포주를 방사성 크롬(Cr)으로 표지한 후에 상기 킬러-T 세포와 4시간 배양한 후에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여 사멸한 세포로부터 방출된 방사성 Cr의 양을 정량하여 세포상해 활성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SPARC를 발현하지 않은 T2Kd세포 및 RL male 1에 대한 세포상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SPARC Kd펩티드 1, 3 및 4를 부하함으로써, 세포 표면에 당해 SPARC Kd펩티드와 Kd분자의 복합체를 발현한 T2Kd세포, SPARC를 자연 발현하고 있는 Meth A 및 BALB/3T3에 대해서는, 특이적으로 세포상해 활성이 관찰되었다(도 3).
실시예 3:
(5) SPARC 펩티드의 면역에 의한 BALB/c 마우스에서의 항종양 면역유도
(방법)
BM-DC를 10μM의 SPARC Kd-1,3,4 혼합 펩티드와 2시간 배양한 후에 1마리당 5 x 105개를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1주일 간격을 두고 마찬가지로 펩티드 부하 BM-DC를 투여하여 마우스를 합계 2회 면역한 7일 후에, 마우스 SPARC를 고발현하는 마우스 섬유육종 포주 Meth A(1 x 106)을 피하에 이식하여 종양의 증식과 마우스의 생존기간을 검토하였다.
(결과)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SPARC 펩티드 펄스 BM-DC의 예방적 투여(preventive administration)는 피하이식한 Meth A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 및 마우스의 생존기간의 연장을 유도할 수 있었다.
HLA-A24(A*2402)는 일본인의 약 60%가 소유하는 가장 빈도가 높은 HLA 클래스 I 대립 유전자이다. HLA 클래스 I분자에 대응하는 BALB/c 마우스의 Kd분자에 결합하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의 HLA-A24에 결합하는 펩티드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하다. 따라서, BALB/c 마우스에 펩티드를 면역하였을 때 펩티드가 Kd분자에 결합하여 킬러-T 세포를 유도하고, 이것이 당해 펩티드와 Kd분자의 복합체를 발현하는 암세포를 파괴할 경우에는 당해 펩티드는 HLA-A24에 결합하여 마찬가지로 암세포를 파괴하는 인간 킬러-T 세포를 유도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펩티드는 HLA-A24를 가지는 광범위 침윤성 위암, 췌장암 및 멜라노머 환자의 면역요법에 응용할 수 있으며, 이들 암의 증식이나 진전을 억제함으로써, 환자의 QOL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Kumamoto University <120> SPARC-derived cancer rejection antigenics peptide and a medicament comprising the same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Asp Tyr Ile Gly Pro Cys Lys Tyr Ile 1 5 <210> 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 Glu Phe Pro Leu Arg Met Arg Asp Trp Leu 1 5 10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 Met Tyr Ile Phe Pro Val His Trp Gln Phe 1 5 10

Claims (10)

  1.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
    (A)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 및,
    (B)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킬러-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
  2.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암에 대한 면역유도제.
  3.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종양 치료 및/또는 예방약.
  4.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종양반응성 T 세포의 유도능이 높은 항원제시세포 유도제.
  5.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종양반응성 T 세포 유도제.
  6.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종양반응성 T 세포의 유도능이 높은 항원제시세포 유도제:
    (A)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 및,
    (B) 서열번호 1 내지 3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티드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킬러-T 세포의 유도능을 가지는 펩티드.
  7.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에 대한 항체.
  8.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킬러-T 세포, 헬퍼-T 세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면역세포 집단(immunocyte population).
  9. HLA분자와 제 1항에 기재된 펩티드와의 복합체를 제시하는 항원제시세포.
  10. 제 4항 또는 제 6항에 기재된 약제에 의해 유도되는, 제 9항에 기재된 항원제시세포
KR1020097000778A 2006-06-16 2007-06-15 Sparc 유래의 암 거절항원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 KR101408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7724 2006-06-16
JPJP-P-2006-167724 2006-06-16
PCT/JP2007/062117 WO2007145318A1 (ja) 2006-06-16 2007-06-15 Sparc由来の癌拒絶抗原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医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73A true KR20090038873A (ko) 2009-04-21
KR101408173B1 KR101408173B1 (ko) 2014-06-16

Family

ID=3883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778A KR101408173B1 (ko) 2006-06-16 2007-06-15 Sparc 유래의 암 거절항원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8053557B2 (ko)
EP (1) EP2030984B1 (ko)
JP (1) JP5150849B2 (ko)
KR (1) KR101408173B1 (ko)
CN (3) CN105418751B (ko)
AT (1) ATE509096T1 (ko)
AU (1) AU2007259667B2 (ko)
BR (1) BRPI0713731B8 (ko)
CA (1) CA2655361C (ko)
ES (1) ES2365077T3 (ko)
HK (1) HK1128924A1 (ko)
IL (1) IL195831A (ko)
MX (1) MX2008015939A (ko)
RU (1) RU2451521C2 (ko)
WO (1) WO2007145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2428B (zh) 2005-08-09 2015-04-15 肿瘤疗法.科学股份有限公司 用于hla-a2阳性人群的来自磷脂酰肌醇蛋白聚糖-3 (gpc3)的癌症排斥抗原肽以及含有该肽的药物
CA2655361C (en) 2006-06-16 2014-10-07 Kumamoto University Sparc-derived tumor rejection antigenic peptides and medicaments comprising the same
TWI610939B (zh) * 2007-02-21 2018-01-11 腫瘤療法 科學股份有限公司 表現腫瘤相關抗原之癌症的胜肽疫苗
TWI580431B (zh) * 2008-08-19 2017-05-01 腫瘤療法 科學股份有限公司 Hig2與urlc10抗原決定位胜肽以及含此胜肽之疫苗
MX2011005967A (es) * 2008-12-05 2011-06-30 Abraxis Bioscience Llc Peptidos enlazados a sparc y usos de los mismos.
TWI507204B (zh) * 2009-05-26 2015-11-11 Oncotherapy Science Inc Cdc45l胜肽與含此胜肽之疫苗
WO2011035274A1 (en) * 2009-09-18 2011-03-24 Abraxis Bioscience, Llc Use of the sparc microenvironment signature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2630963A1 (en) * 2010-03-11 2013-08-28 Abraxis BioScience, LLC SPARC angiogenic domain and methods of use
KR20130086546A (ko) 2010-06-03 2013-08-02 아브락시스 바이오사이언스, 엘엘씨 암 치료에 있어 sparc 미세환경 시그니처의 용도
RU2634862C2 (ru) 2011-05-19 2017-11-07 Торэй Индастриз, Инк. Агент, индуцирующий иммунитет
JP7195621B2 (ja) * 2018-01-09 2022-12-26 学校法人藤田学園 細胞殺傷剤
MY182816A (en) * 2018-02-15 2021-02-05 National Univ Corporation Asahikawa Medical Univ Cancer antigen pepti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07366T1 (de) * 1993-12-24 2001-11-15 Merck Patent Gmbh Immunokonjugate
JP2000023673A (ja) * 1998-07-13 2000-01-25 Ajinomoto Co Inc ヒト胃癌抗原遺伝子および胃癌抗原蛋白質
WO2002000677A1 (en) * 2000-06-07 2002-01-03 Human Genome Sciences, Inc. Nucleic acids, proteins, and antibodies
CA2448253A1 (en) * 2001-05-25 2002-11-28 Genset S.A. Human cdnas and proteins and uses thereof
EP1536006B1 (en) 2002-08-30 2011-08-24 Medinet Co., Ltd. Cancer antigens and utilization thereof
US20060204960A1 (en) 2002-10-25 2006-09-14 Oncotherapy Science, Inc. Method for diagnosing diffuse-type gastric cancers
JP2004303688A (ja) 2003-04-01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EP1684076B1 (en) 2003-10-29 2008-12-31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Diagnostic method for malignant melanoma
DE602005016831D1 (ko) 2004-10-19 2009-11-05 Univ Kumamoto
CN103242428B (zh) 2005-08-09 2015-04-15 肿瘤疗法.科学股份有限公司 用于hla-a2阳性人群的来自磷脂酰肌醇蛋白聚糖-3 (gpc3)的癌症排斥抗原肽以及含有该肽的药物
CA2655361C (en) 2006-06-16 2014-10-07 Kumamoto University Sparc-derived tumor rejection antigenic peptides and medicament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95831A (en) 2012-05-31
CA2655361C (en) 2014-10-07
CN101472943A (zh) 2009-07-01
IL195831A0 (en) 2011-08-01
BRPI0713731B1 (pt) 2019-09-24
US20130288363A1 (en) 2013-10-31
JP5150849B2 (ja) 2013-02-27
RU2009101191A (ru) 2010-08-10
JPWO2007145318A1 (ja) 2009-11-12
MX2008015939A (es) 2009-02-11
BRPI0713731B8 (pt) 2021-05-25
US9120842B2 (en) 2015-09-01
AU2007259667A1 (en) 2007-12-21
BRPI0713731A2 (pt) 2012-10-30
CN105418751A (zh) 2016-03-23
EP2030984B1 (en) 2011-05-11
EP2030984A1 (en) 2009-03-04
CN105418751B (zh) 2019-03-05
CA2655361A1 (en) 2007-12-21
AU2007259667B2 (en) 2012-06-14
CN101472943B (zh) 2013-07-17
CN103435683A (zh) 2013-12-11
HK1128924A1 (en) 2009-11-13
US8470968B2 (en) 2013-06-25
US20100152421A1 (en) 2010-06-17
KR101408173B1 (ko) 2014-06-16
ATE509096T1 (de) 2011-05-15
CN103435683B (zh) 2016-02-03
RU2451521C2 (ru) 2012-05-27
EP2030984A4 (en) 2009-08-26
US20120115221A1 (en) 2012-05-10
US8053557B2 (en) 2011-11-08
WO2007145318A1 (ja) 2007-12-21
ES2365077T3 (es)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73B1 (ko) Sparc 유래의 암 거절항원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
JP5299942B2 (ja) HLA−A2陽性者用glypican−3(GPC3)由来癌拒絶抗原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医薬
CN102850435B (zh) 用于表达mphosph1或depdc1多肽的癌症的肽疫苗
RU2487886C2 (ru) Пептид foxm1 и включающее его медицинское средство
JP5291641B2 (ja) 癌抗原及びその利用
ES2632123T3 (es) Péptido CDH3 y agente medicinal que comprende el mismo
JP2013047230A (ja) Hla−a2陽性者用hsp105由来癌拒絶抗原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医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