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110A -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110A
KR20090037110A KR1020070102566A KR20070102566A KR20090037110A KR 20090037110 A KR20090037110 A KR 20090037110A KR 1020070102566 A KR1020070102566 A KR 1020070102566A KR 20070102566 A KR20070102566 A KR 20070102566A KR 20090037110 A KR20090037110 A KR 2009003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crushing
dewate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에코스마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에코스마트(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070102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7110A/en
Publication of KR200900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A food garbage disposer is provided to preven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reducing volume of food waste and a hitch and to maintain a clean state of environment. A food garbage disposer(100) includes a hopper part(110), a crushing part(120), a dehydration part(130), and a discharge part(140). The dehydration part includes a housing, a screw, a drainage net, and a fixing door. A drain(137) is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housing. The screw combined with the housing moves waste into the discharge part. The food garbage disposer includes a washing part and a supply control part(150). The supply control part includes a shaft(152), a plurality of shaft arms(154), and a fixing arm(156).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Food processor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or.

음식물은 인간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식음료의 총칭이며, 이러한 음식물에는 밥, 국, 반찬을 비롯하여 육류와 채소류 및 생선류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의 경우 제공되는 양 만큼 완전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으나, 많은 양을 남기게 되고, 기간이 경과하여 섭취할 수 없게 되는 음식물이 많이 있어 이러한 부분들이 쓰레기로 처리된다.Food is a general term for all food and drink that humans can consume, and there are various kinds of food such as rice, soup, side dishes, meat, vegetables, and fish. In the case of such foods, the food waste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as much as it is provided, but a large amount of food is left behind, and there are many foods that cannot be consumed after a period of time.

종래에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일정량을 수집한 후 가축의 먹이로 사용되거나 일반쓰레기로 처리되거나, 하수구를 통하여 무단 방류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Conventionally, these food wastes are collected in a certain amount without a separate treatment and used as food for livestock, disposed of as general waste, or discharged through the sewers in many cases.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각종의 양념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방치 또는 방류할 경우에는 양념을 희석하는 데 상당한 양의 물이 소모됨으로써 결국에는 수자원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food waste contains various seasonings, when left untreated or discharged, a considerable amount of water is consumed to dilute the seasonings, resulting in contaminating water resources.

특히,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로 방류될 경우에는 쉽게 배수 되지 못하고 한 곳에 집중되어 장기간 방치됨으로써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파리 나 모기와 같은 유해충이 모여들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when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discharged to sewage at once, it is not easily drained and concentrated in one place for a long time, resulting in severe odor and polluting surrounding environment by gathering harmful insects such as flies and mosquitoes. Are happening.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여러 종류의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처리기들이 음식물을 조리하는 싱크대의 저면에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켜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 악취를 제거하는 형태의 것이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적은 가정에서 주로 적합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kinds of garbage disposal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recent years, but most of them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ink for cooking food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food waste and to dry it to minimize the odor while minimizing the volume. Because it is in the form of removing the food waste is mainly suitable for families with a small amount of food waste.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이 많기 때문에 가정에 사용하는 처리기로는 대처하기 어려워 대부분의 업소에서 일반쓰레기와 같이 폐기처리 하는 경향이 있어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어려운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amount of food waste is larg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household waste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garbage that is thrown away, and most businesses tend to dispose of it like general garbag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there wa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고장 없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rocessor that can reduce the volume of food wast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maintain a clean state without failu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이 투입되는 호퍼(hopper)부와, 호퍼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을 파쇄하는 파쇄부와, 파쇄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파쇄부에서 파쇄되는 음식물을 탈수하며,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탈수부와, 탈수부에 결합되어 탈수부에서 탈수되는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 출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pper portion into which food is introduced, a crushing portion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portion, and a crushing portion of the food supplied from the hopper portion, and a crushing portion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food processor having a dehydration unit which is dehydrated and the food is to be decomposed, and a discharge unit coupled to the dehydration unit to discharge the food dehydrated from the dehydration unit.

탈수부는,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쇄된 음식물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스크류(screw)와, 스크류의 외부를 둘러싸며, 일단부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망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망의 일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 도어(door)를 구비할 수 있고, 배출부는 배수망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dewatering par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drain hol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a screw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move the crushed food to the discharge part,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screw, and one end of the dewatering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It may have a drainage network to be coupled, and a fixe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fix one end of the drainage network to the housing, the discharge portion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inage network.

스크류 및 배수망은, 배출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콘(corn) 형상일 수 있다. The screw and the drain net may be in the shape of a cone narrowing toward the outlet.

배출부는,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수망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may be screwed to one end of the drainage net so that a thread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탈수부에 결합되어, 탈수부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t may be coupled to the dehydration unit, and further provided with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dehydration unit.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 도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세척부는, 탈수부에 탈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관과, 관에 형성되어 탈수부의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may include a pipe coupled to the dewatering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watering unit, and a nozzle formed in the tube to inject fluid into the dewatering unit.

파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파쇄부에 호퍼부로부터 음식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급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jacent to the upper part of the crushing unit, the cru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adjusting unit for preventing the food from being excessively supplied from the hopper unit.

공급 조절부는, 호퍼부의 내벽을 관통하여 호퍼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과, 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축 암(arm)과, 축의 회동으로 인하여 축 암의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호퍼부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 암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ly adjustment part is located in an area partitioned by an axis extending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part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opper part, a plurality of axis arms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axis, and an axis line extending due to the rotation of the axis. The fixing arm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portion.

파쇄부와 탈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파쇄부에서 파쇄되는 음식물을 추가적으로 파쇄하는 추가 파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n additional crush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crushing unit and the dehyd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rushing unit that additionally crushes the food to be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 없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volume of food waste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 state without failure.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Let's do it.

이하, 회동이라 함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운동을 하거나, 소정의 평면 상에서 병진 운동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회동 운동과 병진 운동을 함께 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otation is us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translational movement as well as the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predetermined axis or the translational movement on the predetermined plane.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is not only a case of physically direct contact between each component, but also a concept encompassing a case in which a different configuration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 1 의 B-B'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호퍼부(110), 고정 호스(112), 파쇄부(120), 탈수부(130), 스크류(screw, 132), 고정판(133), 배수망(134), 고정 너트(135), 하우징(housing, 136), 배수구(137), 고정 도어(138), 개방 도어(139), 배출부(140), 공급 조절부(150), 축(152), 축 암(154), 고정 암(156), 세척부(160), 관(162), 노즐(nozzle, 164), 유동 호스(172), 걸림 후크(174), 걸림 고리(176), 모터(180), 체인(182), 추가 파쇄부(190)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the hopper part 110, the fixing hose 112, the crushing part 120, the dewatering part 130, the screw 132, the fixing plate 133, and the drainage net 134. , Fixing nut 135, housing 136, drain 137, fixing door 138, opening door 139, outlet 140, feed regulator 150, shaft 152, shaft Arm 154, fixed arm 156, washing unit 160, pipe 162, nozzle (nozzle, 164), flow hose 172, hook hook 174, hook hook 176, motor 180 ), Chain 182, and additional shreds 190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압축하며 탈수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키되, 탈수부(130)를, 세척 시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음식물 처리기(100)를 장시간 사용하여 배수망(134)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 청소가 용이하고, 탈수부(130)를 세척하는 세척부(160)를 형성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100)가 제시된다.The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duces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by crushing, compressing, and dehydrating the food waste, but the dehydration unit 130 is assembled by disassembly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dismantled. When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drainage net 134 by using for a long time is easy to clean, by forming the washing unit 160 for washing the dehydration unit 130, the food processor 100 that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is presented do.

또한, 공급 조절부(150)를 형성함으로써, 일시에 과도한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부(12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한 쌍의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진 추가 파쇄부(190)를 형성함으로써, 파쇄부에서 파쇄되지 못한 음식물까지 파쇄하여 음식물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100)가 제시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upply control unit 150, by preventing excessive food waste from being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at one time to prevent failure, by forming an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consisting of a pair of helical gear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processor 100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od processing by crushing even food that is not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호퍼부(110)는,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적재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인 기능 수행을 위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는 구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파쇄부(120)까지 연장되어 파쇄부(120)가 호퍼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pper unit 110 may be fed with food and may be loaded with food waste. In order to perform a more efficient function, it may be formed to have a downwardly inclined section, and extended to the crushing unit 120 so that the crushing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hopper unit.

호퍼부(110)의 상부에는 고정 호스(112)가 매설될 수 있다. 고정 호스(112)를 통하여 호퍼부(110)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호퍼부(110)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세척할 수 있다.The fixing hose 112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pper 110.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hopper unit 110 through the fixing hose 112 to wash food waste that may remain in the hopper unit 110.

파쇄부(120)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여러 개의 파쇄날이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호퍼부(110)의 하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호퍼부(1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소정의 경로를 통해 파쇄부(120)로 공급되고, 모터(18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파쇄부(120)의 파쇄날에 의해 잘게 분쇄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120 may be formed by staggering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finely crush the food waste, it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110. The food waste put into the hopper 110 may be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and finely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 of the crushing unit 12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180.

한편, 일시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부(120)에 공급되는 경우, 파쇄날이 파괴되거나, 파쇄부(120)를 구동하는 모터(180)가 고장 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호퍼부(110)와 파쇄부(120) 사이에는 공급 조절부(150)가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at one time, the crushing blade is destroyed, or the motor 180 driving the crushing unit 120 may be broke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upply adjusting unit 1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opper unit 110 and the crushing un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다음으로,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을 탈수하는 탈수부, 탈수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탈수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dehydration unit for dehydrating the food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th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dehydrated food and the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dewatering unit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 4의 C-C'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hydration portion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and FIG. 5 is a cutaway view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탈수부(130), 스크류(132), 고정판(133), 배수 망(134), 고정 너트(135), 하우징(136), 배수구(137), 고정 도어(138), 개방 도어(139), 배출부(140), 세척부(160), 관(162), 노즐(164)이 도시되어 있다.4 and 5, the dewatering part 130, the screw 132, the fixing plate 133, the drain net 134, the fixing nut 135, the housing 136, the drain 137, and the fixing door ( 138, open door 139, outlet 140, cleaning 160, tube 162, nozzle 164 are shown.

탈수부(130)는 하우징(136), 스크류(132), 배수망(134), 고정 도어(138), 개방 도어(139)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6)의 하부에는 배수구(137)가 형성되어, 탈수부(130)를 거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된 수분은 배수구(13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dewatering unit 130 may include a housing 136, a screw 132, a drainage net 134, a fixed door 138, and an open door 139. In addition, the drain 137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36,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through the dehydration unit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137.

스크류(132)는, 하우징(136)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쇄부(120)에서 파쇄된 음식물을 배출부(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류(132)는 모터(180)로부터 기어 및 체인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으며,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부(140) 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크류(132)는 배출부(140)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콘(cor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crew 1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36 to move the food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120 to the discharge unit 140. The screw 132 may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180 through gears and chains, and move the dehydrated food waste toward the discharge unit 140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erform dehydration more effectively, the screw ( 132 may be formed in a cone (corn)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140).

배수망(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32)의 외부를 둘러싸며, 일단부가 하우징(13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배수망(134)의 일단부에는 고정판(133)이 결합되고, 이 고정판(133)을 통해 배수망(134)의 일단부가 하우징(136)의 배출부(140) 쪽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36)에서 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배수망(134)을 세척할 수 있다.The drain net 134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screw 132, as shown in FIG. 2, and one end thereof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36. That is, the fixing plate 13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in net 134, and one end of the drain net 13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let 140 side opening of the housing 136 through the fixing plate 133. It can be combined to separate it from the housing 136, so that the drainage net 134 can be cleaned more easily.

배수망(14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탈수부(130) 작동 시, 배수망(134)에는 음식물 찌꺼기가 엉겨 붙어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By detachably coupling the drainage network 140, when the dehydration unit 130 is operated, food waste is entangled in the drainage network 134,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r failure.

또한, 배수망(134)은, 스크류(132)를 감싸고 있어, 스크류(132)와 상응하도록 배출부(140)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 형상의 스크류(132)를 통해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net 134 surrounds the screw 132 and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narrowing toward the discharge part 140 to correspond to the screw 132. Accordingly, moisture can be mor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food waste moved through the cone-shaped screw 132.

고정 도어(138)는, 일측이 하우징(1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망(134)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수부(130)의 작동 시에 배수망(134)을 하우징(136)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탈수부(130)의 세척 시에는 고정 도어(138)를 열어 배수망(134)을 분리할 수 있다.The fixed door 138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36 to fix the drainage net 134. Accordingly, the drainage net 134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36 when the dewatering unit 130 is operated, and when the dewatering unit 130 is cleaned, the fixing door 138 is opened to open the drainage net 134. Can be separated.

즉, 고정 도어(138)는 일측이 하우징(1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판재이므로, 고정 도어(138)를 닫고 고정 너트(135)를 이용하여 이를 고정시킴으로써, 배수망(134)의 일단부에 결합된 고정판(133)의 외주연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xed door 138 is a plat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36 and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by closing the fixed door 138 and fixing it by using the fixing nut 135, the drainage network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plate 133 coupled to one end of 134 may be fixed so as not to move.

또한, 탈수부(130)를 세척할 시에는 고정 너트(135)를 풀고 고정 도어(138)를 열어 배수망(134)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배수망(134)을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washing the dewatering unit 130, the user can easily and effectively wash the drainage net 134, because the user can loosen the fixing nut 135 and open the fixed door 138 to separate the drainage net 134. Can be.

배출부(140)는, 탈수부(130)에 결합되어, 탈수부(130)에서 탈수되는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기(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출부(140)는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수망(134)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스크류 결합되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탈수부(130)의 세척 시, 배출부(140)를 배수망(134)에서 분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배수망(134)을 세척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coupled to the dehydration unit 130 to discharge the food dehydrated from the dehydration unit 130 to the outside of the food processor 100. That is, since the discharge portion 140 may be formed of a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and detachably screwed to one end of the drainage network 134, the discharge portion 140 may be discharged when the dewatering portion 130 is washed. Separating the 140 from the drainage net 134 may more effectively wash the drainage net 134.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망(134)의 일단부에는 고정판(133)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 고정판(133)에 형성된 나사산과 배출부(1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스크류 결합을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배수망(134)에 배출부(1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late 133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in net 134,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fixing plate 133 and the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unit 140 are screw-coupl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age net 134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한편, 탈수부(130)의 작동 시, 스크류(132)에도 음식물 찌꺼기가 엉겨 붙게 된다. 이 때, 배수망(134)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스크류(132) 및 하우징(136)의 내부도 탈수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세척부(160)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hydration unit 130, food waste is also tangled to the screw 132. At this time, since the drain net 134 may be separated, the inside of the screw 132 and the housing 136 may also be more efficiently cleaned using the washing unit 160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hydrating unit 130. Can be.

또한, 하우징(136)의 상단에는 개방 도어(139)가 하우징(1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세척부(160)와 더불어 세척 세트(도1의 170)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하우징(136)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n door 139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36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6, by using the cleaning set (170 in FIG. 1) in addition to the cleaning unit 160,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36 can be cleaned effectively.

세척부(160)는, 탈수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관(162) 및 관(162)에 형성되어 탈수부(130)의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1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64)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는 물, 증기, 압축공기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The washing unit 160 may include a nozzle 164 formed in the tube 162 and the tube 162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watering unit 130 to inject fluid into the dewatering unit 130. have. For example,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nozzle 164 may be any one of water, steam, and compressed air, or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탈수부(130)를 고르게 세척하기 위하여, 관(162)은 탈수부(130)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164)은 복수개 형성되고, 관(162)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evenly wash the dewatering unit 130, the tube 16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dewatering unit 130. In addition, a plurality of nozzles 164 may be formed, and the nozzles 16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pipe 162.

노즐(164)을 통한 물 분사는, 스크류(132)가 작동하는 동안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크류(132)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 해, 배수망(134) 또는 스크류(132)는 세척되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ater injection through the nozzle 164 may be made while the screw 132 is in operation, or may be made while the screw 132 is inactive. Through this method, the drain net 134 or screw 132 can be cleaned to maintain a clean state.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에는 호퍼부(110) 내벽 또는 그 외의 임의의 부위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 세트(170)가 개재될 수 있다. 세척 세트(17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곳을 세척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는 유동 호스(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set 170 to clean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unit 110 or any other portion. The washing set 170 is a means for washing any pla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thus may be composed of a flow hose 172 that can be freely flowed.

다만, 세척 세트(17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유동 호스(172)에 걸림 후크(174)를 결합하고, 호퍼부(110)의 외측 면에 걸림 후크(174)에 대응하는 걸림 고리(176)를 결합하여, 서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걸림 고리(176)가 결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걸림 후크(174) 및 걸림 고리(176)를 이용한 고정 방법 이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세척 세트(170)를 고정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However, when the washing set 170 is not used, in order to fix it, the locking hook 174 is coupled to the flow hose 172, and the locking hook 174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pper part 110 corresponds to the locking hook 174. By engaging the engaging ring 176, i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engaging ring 176 is coupled. Furthermore, of course, the washing set 170 may be fixed by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fixing method using the hook 174 and the hook 176.

이를 통해, 고정된 호스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a more efficient cleaning than fixed hoses.

다음으로, 호퍼부로부터 음식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급 조절부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upply control unit for preventing the food from being excessively supplied from the hopper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공급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control unit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급 조절부(150), 축(152), 축 암(154), 고정 암(156)가 도시되어 있다.6 and 7, a feed adjuster 150, a shaft 152, a shaft arm 154, and a stationary arm 156 are shown.

공급 조절부(150)는, 파쇄부(도 1의 120)의 상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일시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부(도 1의 12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사전에 대략적으로 분쇄하여 파쇄부(도 1의 120)를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pply control part 150 is formed adjacent to the upper part of the crushing part (120 of FIG. 1), and prevents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from being supplied to the crushing part (120 of FIG. 1)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Large food waste may be roughly ground in advance to assist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1).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부(1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호퍼부(110)의 내부를 향하는 축(152)와, 축으로부터 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축 암(154) 및 호퍼부(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 암(156)으로 이루어지는 공급 조절부(150)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152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portion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hopper portion 110 and two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haft. The supply control part 150 which consists of the axial arm 154 and the fixed arm 156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part 110 was shown. The specific structure is as shown in FIGS. 6 and 7.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축(152)이 모터(도 1의 18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2개의 축 암(154) 역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암(156)은 축 암(154)의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6 and 7, when the shaft 152 is rotated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180 of FIG. 1), the two shaft arms 154 can also rotate together. In this case, the fixing arm 156 may be positioned in an area partitioned by an extension line of the shaft arm 154.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배추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가 호퍼부(110)에 공급된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상당량은 파쇄부(도 1의 120)에 직접 공급되지 못하고, 축 암(154) 또는 고정 암(156)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Through this structure, when food waste, such as Chinese cabbage, is supplied to the hopper portion 110, a considerable amount of food waste cannot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rushing portion (120 of FIG. 1), the shaft arm 154 or the fixed arm 156 Will be stacked on top of the).

이러한 상황에서 축(152) 및 축 암(154)이 회전하게 되면, 축 암(154)에 의해 축 암(154) 또는 고정 암(156)의 상부에 쌓여 있던 음식물이 조금씩 축 암의 하부에 개재된 파쇄부(도 1의 12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일시에 다량의 음식물이 파쇄부(도 1의 12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situation, when the shaft 152 and the shaft arm 154 rotate, food accumul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arm 154 or the fixed arm 156 by the shaft arm 154 is gradually inter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arm. To the crushed portion (120 of FIG. 1).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food to be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in FIG. 1) at one time.

아울러, 고정 암(156)과 회전하는 축 암(154)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전단력이 가해지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대략적으로 분쇄될 수 있어, 파쇄부(도 1의 120)의 부담을 더욱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earing force is applied to the food waste by the fixed arm 156 and the rotating shaft arm 154, so that the food waste may be roughly crushed,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burden of the crushing part (120 in FIG. 1). have.

공급 조절부(150)는, 일시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부(도 1의 12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파쇄부(도 1의 120)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는 기능을 굳이 수행할 필요는 없다. 다만, 파쇄부(도 1의 120)에 비해 크고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대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강도가 높은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축 암(154) 및 고정 암(156)의 폭 및 너비는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계할 수 있다.Since the supply control unit 150 is for preventing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from being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1) at one time, the supply control unit 150 has a function of finely crushing the food waste like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1). You don't have to. However, since the operation is made for a larger and larger number of food wastes than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1),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r structure having high strength.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shaft arm 154 and the fixed arm 156 may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food waste to be treated.

이러한 구조의 공급 조절부(15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식물이 호퍼부(도 1의 110)의 일 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급 조절부(150) 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ly control unit 150 of this structure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order to prevent food from being driven to one side of the hopper unit (110 of FIG. 1), each supply control unit 15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Can be.

즉, 호퍼부(도 1의 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고정 암(156)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축(152)은 호퍼부(도 1의 110) 내벽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여 호퍼부(도 1의 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arms 156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pper portion (110 in FIG. 1), and each shaft 152 is formed so as to face opposite surfaces of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portion (110 in FIG. 1). It may be form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hopper portion (110 of FIG. 1).

축(152)은 모터(도 1의 18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작동을 위하여, 각각의 축(152)은 서로 어긋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축(152)은 서로 같은 방향(예를 들면,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축(152)은 서로 대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축 암(15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shaft 152 may rotate forward or reverse, respectively,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180 of FIG. 1). In addition,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each axis 152 may be rotated to deviate from each other, and for this purpose each axis 152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eg, all clockwise). In this case, since each shaft 15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each shaft arm 154 may have an effect such a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다음으로,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을 추가적으로 파쇄하는 추가 파쇄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crushing unit to additionally crush the food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추가 파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추가 파쇄부(190)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ditional shredding portion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n additional shred 190 is shown.

파쇄부(도 2의 120)를 통해 파쇄된 음식물은 이하에서 설명할 추가 파쇄부(19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추가 파쇄부(190)는 파쇄부(120)의 하부에 인접하여 개재되어, 파쇄부(도 2의 120)를 통해 1차 파쇄된 음식물을 재차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od crushed through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2) may be supplied to the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may be inter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120 to perform the function of crushing the food that is primary crushed again through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2).

과일껍질, 감자 껍질과 같이 얇고 긴 것들은 복수의 칼날로 이루어진 파쇄부(도 2의 120)에서 제대로 파쇄되지 못하고 통과할 염려가 있다. 이러한 껍질류는 탈수부(도 1의 130)의 배수망(도 2의 134)을 막아 탈수 및 배수를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Thin and long ones, such as fruit peels and potato peels, may not pass through properly crushed at the crushing part (120 of FIG. 2)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ades. Such shells may be a factor that prevents dehydration and drainage by blocking the drainage network (134 of FIG. 2) of the dewatering part (130 of FIG. 1).

이러한 껍질류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에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부(도 2의 120)의 하부에 인접하여 추가 파쇄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such shells, the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8,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120 of FIG. 2). Can be.

껍질류의 특성상, 이들의 파쇄를 위해서는, 칼날과 같이 얇고 날카로운 도구보다는, 한 쌍의 헬리컬 기어와 같이 접촉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짓이길 수 있는 도구가 효율적이다. 또한, 가루에 이를 정도로 파쇄하면, 파쇄된 음식물이 탈수부(도 1의 130)의 배수망을 통해 배출되어 버릴 염려가 있음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peculiarities of shells, a tool that can crush food using a contact surface like a pair of helical gears is more efficient than a thin and sharp tool such as a blade.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crushed foo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network of the dehydration unit (130 of FIG. 1) when the crushed to reach the powder.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지는 추가 파쇄부(190)를 제시하였다. 추가 파쇄부(190)는 모터(도 1의 180)로부터 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 받아 구동될 수 있다. 추가 파쇄부(190)를 통해 재차 파쇄된 음식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부(도 2의 130)에 공급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comprehens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consisting of a pair of helical gears is presented. The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180 in FIG. 1) through a gear. The food crushed again through the additional crushing unit 190 may be supplied to the dehydrating unit (130 of FIG. 2),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호퍼부(110)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가운데 부피가 큰 것은 먼저 공급 조절부(150)에 의해 대략적으로 분쇄되고, 부피가 작은 것은 공급 조절부(150)에 의한 분쇄가 일어남이 없이 바로 파쇄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When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put into the hopper unit 110, the bulky one of the food waste is roughly crushed by the supply adjusting unit 150, and the small one of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supply adjusting unit 150. It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crushing unit 120 without this.

또한, 부피가 작은 것이라 하더라도, 부피가 큰 것과 엉겨있는 경우에는 파쇄부(120)에 곧바로 공급되지 못하고, 축 암(154)의 회전운동에 따라 점차적으로 파쇄부(120)에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olume is small, if it is tangled with the bulky, it may not be immediately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it may be gradually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arm (154).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쇄부(120)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동시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음식물 처리기(10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120, and as a result, the breakdown of the food processor 100 can be prevented.

파쇄부(120)에 의해 1차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부(120)의 하부에 인접하여 구비된 추가 파쇄부(190)에 공급될 수 있다. 추가 파쇄부(120)는 한 쌍의 헬리컬 기어를 통하여 감자 껍질과 같이 파쇄부(120)에서 제대로 파쇄되지 못한 음식물을 재차 파쇄하고, 재차 파쇄된 음식물을 탈수부(130)에 공급할 수 있다.The food waste first crushed by the crusher 120 may be supplied to the additional crusher 190 provid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usher 120. The additional crushing unit 120 may again crush foods that are not properly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120 such as potato peel through a pair of helical gears, and supply the crushed foods to the dehydrating unit 130 again.

탈수부(130)는 콘 형상의 스크류(132)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할 수 있다. 탈수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은 스크류(132)를 감싸는 배수망(134)을 통해 배출되고, 배수망(134)을 통해 배출된 수분은 배수구(137)를 통해 음식물 처리기(100)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The dewatering unit 130 may dehydrate the crushed food waste through the cone-shaped screw 132. Water generated by the dehydra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net 134 surrounding the screw 132,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net 134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ood processor 100 through the drain 137. Can be.

스크류(132)와 배수망(134)을 통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고형분 형태로 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Food waste dewatered through the screw 132 and the drainage network 134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in the form of solids.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는 과정에서, 스크류(132)와 배수망(134)에 찌꺼기가 엉겨 붙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탈수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관(162) 및 관(162)에 형성된 노즐(164)을 통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노즐(164)을 통한 물 분사는, 스크류(132)가 작동하는 동안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크류(132)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dehydrating the food waste, the residue tangled in the screw 132 and the drainage net 134. To remove this, water may be sprayed through the pipe 162 and the nozzle 164 formed in the pipe 162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watering unit 130. Water injection through the nozzle 164 may be made while the screw 132 is in operation, or may be made while the screw 132 is inactive.

배수망(134)은 하우징(136)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므로, 탈수부(130)의 세척 시에는 고정 너트(135)를 풀고 고정 도어(138)를 열어 배수망(134)을 하우징(136)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배수망(134), 스크류(132) 및 하우징(136)을 개별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탈수부(130)를 세척할 수 있다.Since the drain net 134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36 to be detachably detached, when the dewatering unit 130 is cleaned, the drain nut 134 is opened and the fixed door 138 is opened to open the drain net 134 in the housing ( 136, and the separated drainage net 134, the screw 132, and the housing 136 may be individually washed to more effectively clean the dewatering unit 130.

또한, 호퍼부(110) 내벽 또는 그 외의 임의의 부위를 세척하기 위하여, 유동 호스(172)를 사용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된 호스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n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unit 110 or any other portion, the flow hose 172 may be used to spray wa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a more efficient cleaning than fixed hoses.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hydration portion of the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 4의 C-C'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공급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control portion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추가 파쇄부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ditional shredding portion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음식물 처리기 110: 호퍼부100: food processor 110: hopper portion

112: 고정 호스 120: 파쇄부112: fixed hose 120: crushed portion

130: 탈수부 132: 스크류130: dewatering portion 132: screw

133: 고정판 134: 배수망133: fixing plate 134: drainage network

135: 고정 너트 136: 하우징135: fixing nut 136: housing

137: 배수구 138: 고정 도어137: drain port 138: fixed door

139: 개방 도어 140: 배출부139: open door 140: discharge part

150: 공급 조절부 152: 축150: supply control unit 152: shaft

154: 축 암 156: 고정 암154: shaft arm 156: fixed arm

160: 세척부 162: 관160: washing unit 162: tube

164: 노즐 170: 세척 세트164: nozzle 170: washing set

172: 유동 호스 174: 걸림 후크172: flow hose 174: hook hook

176: 걸림 고리 180: 모터176: hook ring 180: motor

182: 체인 190: 추가 파쇄부182: chain 190: additional shredding

Claims (9)

음식물이 투입되는 호퍼(hopper)부와;A hopper unit into which food is put;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을 파쇄하는 파쇄부와;A crushing unit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unit for crushing the food supplied from the hopper unit;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되는 음식물을 탈수하며,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탈수부와;A dewatering unit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dehydrated food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and assembled to be decomposed; 상기 탈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되는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Is coupled to the dewatering portion and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food dehydrated from the dewatering portion, 상기 탈수부는,The dewatering part,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과;A housing in which a drain hol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스크류(screw)와;A screw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move food crushed in the crushing portion to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스크류의 외부를 둘러싸며,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망과;A drainage net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screw and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망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 도어(door)를 포함하고,A fixe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fix one end of the drain network to the housing;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수망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The discharge portion is a food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inage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크류 및 상기 배수망은, 상기 배출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콘(corn)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The screw and the drainage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corn) narrows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출부는,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망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The discharge portion is a food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is formed at one end is detachably screwed to one end of the dra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 도어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Food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n open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탈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부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The food processor is coupled to the dewater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dewater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세척부는,The washing unit, 상기 탈수부에 상기 탈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관과;A pipe coupled to the dewatering uni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watering unit; 상기 관에 형성되어 상기 탈수부의 내부에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nozz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And a nozzle formed in the pipe to inject fluid into the dewatering pa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상기 파쇄부에 상기 호퍼부로부터 음식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Adjacent to the top of the shredding portion, the food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 feed control unit for preventing the food from being excessively supplied from the hopper por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공급 조절부는,The supply control unit, 상기 호퍼부의 내벽을 관통하여 호퍼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과;A shaft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the hopper portion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portion; 상기 축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축 암(arm)과;A plurality of shaft arms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shaft; 상기 축의 회동으로 인하여 상기 축 암의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호퍼부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And a fixed arm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hopper portion so as to be located in a region partitioned by an extension line of the shaft arm due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쇄부와 상기 탈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되는 음식물을 추가적으로 파쇄하는 추가 파쇄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And an additional crush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crushing unit and the dehydrating unit to additionally crush the food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KR1020070102566A 2007-10-11 2007-10-11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KR200900371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66A KR20090037110A (en) 2007-10-11 2007-10-11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66A KR20090037110A (en) 2007-10-11 2007-10-11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10A true KR20090037110A (en) 2009-04-15

Family

ID=4076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566A KR20090037110A (en) 2007-10-11 2007-10-11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711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5014B (en) * 2010-10-27 2015-03-04 Voro Lt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RU2607107C1 (en) * 2014-07-01 2017-01-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Garbage chu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102564A (en) * 2019-06-13 2019-08-09 广东贝希环保科技有限公司 One kind being used for commercial food product refuse treatment pla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5014B (en) * 2010-10-27 2015-03-04 Voro Lt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US9744574B2 (en) 2010-10-27 2017-08-29 Voro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kitchen waste and a kitchen waste product
EP2632615B1 (en) * 2010-10-27 2022-05-11 Voro Limite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RU2607107C1 (en) * 2014-07-01 2017-01-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Garbage chu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82779B2 (en) 2014-07-01 2017-10-10 Lg Electronics Inc. Garbage disposer
CN110102564A (en) * 2019-06-13 2019-08-09 广东贝希环保科技有限公司 One kind being used for commercial food product refuse treatment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16077A (en) Kitchen food waste processing equipment
JP2010195590A (en) Transfer unit having rotor, an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438024B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20090037110A (en)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KR20130025936A (en) Food waste cutting and dehydrating apparatus of sink
KR102141295B1 (en) 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
KR100695414B1 (en)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KR20010028144A (en) Garbage auto breaker
KR200434434Y1 (en)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KR10029436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osing food garbage
KR100323839B1 (en) Garbage reduction apparatus
KR200157041Y1 (en) Apparatus for disposal of garbage
KR20220112919A (en) Automatic food waste disposer combined and assembled with sink
KR200209783Y1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100278778B1 (en) Food waste handler
KR200405262Y1 (en) Garbage disposer
KR20040041110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KR100249600B1 (en) Screw type food wastes compressor
KR19990062340A (en) Food waste dehydration device
KR101474291B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20160000474U (en) Food Waste Reducing Treatment Apparatus
KR200333511Y1 (en) Treatment machine for food rubbish
KR101473197B1 (en) Apparatus for food garbage disposal
KR200161568Y1 (en) Apparatus for disposal of garbage
KR20030031054A (en) Device dehydrating garbage of food for a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