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979A - 관이음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이음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979A
KR20090035979A KR1020070101051A KR20070101051A KR20090035979A KR 20090035979 A KR20090035979 A KR 20090035979A KR 1020070101051 A KR1020070101051 A KR 1020070101051A KR 20070101051 A KR20070101051 A KR 20070101051A KR 20090035979 A KR20090035979 A KR 2009003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clamp
grip r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배승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to KR102007010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979A/ko
Publication of KR2009003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연결되는 일측의 관에 연결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일단부에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이음관과; 연결되는 타측 관의 외측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내로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에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내부에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어 클램프 내부로 삽입된 관에 접함으로써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그립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결되는 양편의 관이 이음관과 클램프로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연결부위의 수밀성이 향상되고, 이음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시공기간의 단축 등으로 인한 시공비가 절감된다.
관, 상,하수도, 조인트, 이음관, 클램프, 플랜지, 그립링

Description

관이음용 조인트{joint for pipe}
본 발명은 관이음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관이음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은 지반에 묻혀 식수나 오폐수 등의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이루는 배관으로서, 일정 길이를 이루는 단위 상,하수도관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하수도관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각종의 상,하수도관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 상,하수도관의 연결부위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시공상의 하자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상,하수도관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상,하수도관 연결구들이 개발되어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 상,하수도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연결구 중 하나의 방법으로는, 일측 관의 단부를 확장시켜 타측 관의 단부를 확장된 일측 관의 단부로 삽입시킨 후, 용접 등의 수단으로 연결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협소한 현장의 작업 공간으로 인해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용접시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있었으며, 특히 관의 연결부위인 용접부위가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쉽게 변형되므로 인해 유체의 누수가 자주 발생되었고, 이를 수시로 보수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용접수단은 상,하수도관이 스틸재인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하수도관의 재질을 국한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는, 유연성이 좋은 합성수지 시이트의 외면에 체결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에 와이어를 권회시켜 결속하는 전기식 융착 연결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는 합성수지 시이트로 만들어져 비교적 간편하게 상,하수도관의 연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하수도관의 연결구는, 현장에서 상,하수도관 배관 작업 시에 별도의 전기장비를 연결부위마다 이동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와이어의 결속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상,하수도관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지 못해 연결부위의 견고한 수밀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연결부위가 침수되거나 우천 시 등과 같은 습한 환경하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음관과 클램프 및 그립링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로서 양편의 상,하수도관을 각각 연결하여 줌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연결부위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수밀성이 향상되고,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되는 관이음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연결되는 일측의 관에 연결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일단부에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이음관과; 연결되는 타측 관의 외측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내로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에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내부에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어 클램프 내부로 삽입된 관에 접함으로써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그립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관이음용 조인트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의 관부에는 관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관이 열융착으로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은, 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양단부에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이음관과;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관의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내로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일단부에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에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내부에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어 클램프 내부로 삽입된 관에 접함으로써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그립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관이음용 조인트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이음관의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클램프를 매개로 수도관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자재의 운반이나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그립링은, 클램프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구형돌출부와; 상기 구형돌출부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클램프내로 삽입된 관에 접하여 지지되는 쐐기부와; 상기 구형돌출부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클램프의 내면에 접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링은, 쐐기부측의 직경이 지지부측의 직경보다 작아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의 직경은 수도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그립링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슬릿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그립링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내면에는 그립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그립링의 구형돌출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힌지홈부의 일단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립링의 지지부가 접하는 지지홈부가 형성된 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은 그 내경이 그립링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는 관이 삽입되는 제 1 내경부와, 관의 외측면에 구비된 클램프의 관부가 삽입되는 제 2 내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경부와 클램프의 관부 사이에는 O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관이음용 조인트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는 양편의 관이 이음관과 클램프 및 그립링으로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연결부위의 수밀성이 향상되고, 그립링을 클램프내의 삽입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음관과 클램프를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하여 연결함으로써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시공기간의 단축 등으로 인한 시공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그립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a는 그립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그립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 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이음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이음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J)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이하 "수도관" 이라 함)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100)과 클램프(200)로 구성된다.
상기 이음관(100)과 클램프(200)는 각각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과 스틸재로 형성되지만, 이음관(100)과 클램프(200) 모두가 폴리에틸렌 또는 스틸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음관(100)은,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수도관(P) 중 일측의 수도관(P)과 연결되는 관부(120)와, 상기 관부(120)의 일단에 내.외경이 모두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이음관(100)의 관부(120)는 유체의 안정적인 흐름을 위해 그 내경이 수도관(P)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100)의 관부(12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측의 수도관(P)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일측의 수도관(P)이 이음관(100)의 관부(120) 단부에 열융착된 융착부(130)로서 고정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는 그 내부가 관부(120)의 내경보다 더 크 게 확대되게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110)의 내경은 후술될 클램프(200)가 설치된 수도관(P)이 삽입되는 제 1 내경부(111)와, 상기 제 1 내경부(111)보다 더 크게 확대되어 상기 수도관(P)의 외경에 구비된 클램프(200)의 관부(210)가 삽입되는 제 2 내경부(112)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에는 클램프(200)의 플랜지부(220)와 볼트(400)와 너트(410)로서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를 도 7에서와 같이 이음관(100)의 타단에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음관(100)의 양단부에 플랜지부(110)(110')가 각각 형성된 경우에는 이음관(100) 양단부의 플랜지부(110)(110')에 후술될 클램프(200)를 매개로 각각의 수도관(P)이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200)는, 이음관(100)에 연결된 일측의 수도관(P)에 타측의 수도관(P)을 연결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 타측의 수도관(P) 외측면에 끼워져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00)는 타측의 수도관(P) 외측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내로 삽입되는 관부(210)와, 상기 관부(210)의 단부에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에 볼트(400)와 너트(410)로서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200)의 관부(210)는 상기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 된 제 2 내경부(112)에 대응한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경부(112)와 관부(210) 사이에는 연결된 수도관(P)의 수밀유지를 위한 O링(30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0)의 플랜지부(220)에는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대응한 다수의 결합공(22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200)의 내면에는 그립링(240)이 경사진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삽입되어 클램프(200) 내부로 삽입된 수도관(P)의 빠짐 즉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그립링(2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0)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구형돌출부(241)와, 상기 구형돌출부(241)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클램프(200)내로 삽입된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쐐기부(242)와, 상기 구형돌출부(241)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클램프(200)의 내면에 접하는 지지부(24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그립링(240)은, 스틸재로 이루어진 띠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될 클램프(200)내의 삽입홈(230)에 끼워져 삽입됨으로써 원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그립링(240)은 도 3a에서와 같이, 쐐기부(242)측의 직경이 지지부(243)측의 직경보다 작아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242)의 직경은 수도관(P)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도관(P)의 삽입 시는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그립링(P)이 벌어져 수도관(P)의 삽 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그립링(240)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축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슬릿부(244)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부(244)에 의해 그립링(240)이 원활하게 밴딩됨으로써 그립링(24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200)의 내면에는 그립링(240)이 회전될 수 있게 삽입되는 삽입홈(230)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3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링(240)의 구형돌출부(241)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구형의 힌지홈부(231)와, 상기 힌지홈부(231)의 일단 즉 후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립링(240)의 지지부(243)가 접하는 지지홈부(232)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230)은 그립링(2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링(240)은 도 4a에 도시된 우측 그립링과 같이 삽입홈(230)에 이격되게 삽입되어 있다가 삽입되는 수도관(P)에 의해 도 4a에 도시된 좌측 그립링과 같이 확장되어 삽입홈(230)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즉, 상기 그립링(240)이 삽입되어 있는 클램프(200)내로 수도관(P)이 삽입될 때는, 삽입되는 수도관(P)에 의해 클램프(200)의 삽입홈(230)에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던 그립링(240)이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쐐기부(242)에 의해서 도 4a와 같이 확장되어 삽입홈(230)의 내면에 면밀착된 상태로 접하여 수도관(P)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도 4b와 같이 상기 수도관(P)이 삽입된 후에는 삽입홈(230)에 내 접한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도관(P)에 수압 등에 의한 압력(수도관(P)을 클램프(200)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면,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쐐기부(242)에 의해 그립링(240)에 역회전력이 발생되고, 이 역회전력에 의해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더 견고하게 박히게 됨으로써 수도관(P)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그립링(240)이 구비된 클램프(200)는, 수도관(P)의 외측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내로 삽입되되, 도 7에서와 같이 이음관(100)의 양단부에 플랜지부(110)(110')가 형성된 경우에는 양 플랜지부(110)(110')에 클램프(200)와 수도관(P)을 각각 삽입함으로써 양 플랜지부(110)(110')에 결합된 클램프(200) 및 수도관(P)의 결합구조는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이음용 조인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일단에 플랜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이음관(100)의 관부(120)에 일측의 수도관(P)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열융착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클램프(200)에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타측의 수도관(P)을 끼워 구비한다.
이때, 클램프(200)내로 수도관(P)이 삽입될 때는 도 4a에서와 같이, 삽입되 는 수도관(P)에 의해 클램프(200)의 삽입홈(230)에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던 그립링(240)이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쐐기부(242)에 의해서 도 4a와 같이 확장되어 삽입홈(230)의 내면에 면밀착된 상태로 접하여 수도관(P)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수도관(P)이 도 4b와 같이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삽입홈(230)에 내접한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도관(P)에 수압 등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여 수도관(P)을 클램프(200)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면, 수도관(P)의 외측면에 접한 쐐기부(242)에 의해 그립링(240)에 역회전력이 발생되고, 이 역회전력에 의해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더 견고하게 박히게 되며, 이때 그립링(240) 후단부의 지지부(243)는 지지홈부(232)에 접하여 수도관(P)의 외측면에 박힌 쐐기부(242)의 회전을 방지한 상태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수도관(P)이 클램프(200)에 견고하면서도 긴밀하게 결합되어 수도관(P)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그립링(240)의 작용으로 인해 수도관(P)은 클램프(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클램프(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수도관(P)의 단부에 O링(300)을 끼워 결합시킨 상태로 클램프(200)의 관부(210)와 수도관(P)을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클램프(200)를 관통한 수도관(P)은 이음관 플랜지부(110)의 제 1 내 경부(111)로 삽입되고, 클램프(200)의 관부(210)는 플랜지부(110)의 제 2 내경부(112)로 O링(300)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프(200)의 플랜지부(220)와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를 서로 일치된 결합공(113)(221)을 통해 볼트(400)와 너트(410)로서 체결하면, 이동되는 클램프(200)에 의해 클램프(200)와 이음관(10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클램프(200) 내부의 그립링(240)에 전술한 역회전력이 발생되어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박히면서 수도관(P)의 연결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결된 수도관(P)은 이음관(100)과 클램프(200)에 의해 긴밀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O링(300)에 의해 수밀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연결된 수도관(P) 중 클램프(200)에 의해 클램핑된 수도관(P)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링(240)의 쐐기부(242)가 수도관(P)의 외측면에 박혀 있기 때문에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수도관(P)의 교체 등으로 인해 클램프(200)에 결합된 수도관(P)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클램프(200)를 이음관(100)에서 분리시킨 후 클램프(200)에 결합된 수도관(P)을 클램프(200)에 삽입하였던 방향으로 계속해서 삽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된 그립링(240)에 의해 수도관(P)이 클램프(2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110')가 도 7과 같이 이음관(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경우에는, 클램프(200)와 그립링(240) 및 O링(300)을 연결하고 자 하는 양 수도관(P)의 외측면에 각각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음관(100)의 플랜지부(110)(110')내로 각각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양 수도관(P)이 이음관(100)과 클램프(200)로 이루어진 조인트(J)를 매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이때의 조인트(J)는 이음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그립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a는 그립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그립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a는 조인트의 클램프에 관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클램프와 관의 이탈방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이음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이음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조인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관 J : 조인트
100 : 이음관 110,110' : 플랜지부
111,112 : 제1,2내경부 113 : 결합공
120 : 관부 130 : 융착부
200 : 클램프 210 : 관부
220 : 플랜지부 221 : 결합공
230 : 삽입홈 231 : 힌지홈부
232 : 지지홈부 240 : 그립링
241 : 구형돌출부 242 : 쐐기부
243 : 지지부 244 : 슬릿부
300 : O링 400 : 볼트
410 : 너트

Claims (10)

  1. 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연결되는 일측의 관에 연결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일단부에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이음관과;
    연결되는 타측 관의 외측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내로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에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내부에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어 클램프 내부로 삽입된 관에 접함으로써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그립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관부에는 관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관부에는 관이 열융착으로 고정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4. 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양단부에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이음관과;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관의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내로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일단부에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에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내부에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어 클램프 내부로 삽입된 관에 접함으로써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그립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링은, 클램프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구형돌출부와;
    상기 구형돌출부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클램프내로 삽입된 관에 접하여 지지되는 쐐기부와;
    상기 구형돌출부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클램프의 내면에 접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링은, 쐐기부측의 직경이 지지부측의 직경보다 작아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의 직경은 수도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링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슬릿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내면에는 그립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그립링의 구형돌출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힌지홈부의 일단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립링의 지지부가 접하는 지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그 내경이 그립링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플랜지부는 관이 삽입되는 제 1 내경부와, 관의 외측면에 구비된 클램프의 관부가 삽입되는 제 2 내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경부와 클램 프의 관부 사이에는 O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KR1020070101051A 2007-10-08 2007-10-08 관이음용 조인트 KR20090035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051A KR20090035979A (ko) 2007-10-08 2007-10-08 관이음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051A KR20090035979A (ko) 2007-10-08 2007-10-08 관이음용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79A true KR20090035979A (ko) 2009-04-13

Family

ID=4076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051A KR20090035979A (ko) 2007-10-08 2007-10-08 관이음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9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9688A (zh) * 2014-04-14 2014-07-23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玻璃钢夹砂管与钢管连接更换的输水管道
CN111853389A (zh) * 2020-08-04 2020-10-30 郭斌 一种可调节式管道密封法兰接头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9688A (zh) * 2014-04-14 2014-07-23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玻璃钢夹砂管与钢管连接更换的输水管道
CN111853389A (zh) * 2020-08-04 2020-10-30 郭斌 一种可调节式管道密封法兰接头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US10774973B2 (en) Pipe liner re-flaring system and method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JP4383414B2 (ja) 埋設管路の導通方法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JP2002310359A (ja) 波付管の端部構造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200274871Y1 (ko) 원형관 이음장치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200238350Y1 (ko) 합성수지관 융착 연결장치
KR20080001062U (ko) 관연결부 일체형 고강도관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688430B1 (ko) 끼움 결합식 배관재
KR101756925B1 (ko) 수밀강화를 위한 일체형 관로구의 보강 보조 받침판
KR200331510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436332Y1 (ko) 고압 상수관 및 하수관용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27

Effective date: 200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