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233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233A
KR20090032233A KR1020070097258A KR20070097258A KR20090032233A KR 20090032233 A KR20090032233 A KR 20090032233A KR 1020070097258 A KR1020070097258 A KR 1020070097258A KR 20070097258 A KR20070097258 A KR 20070097258A KR 20090032233 A KR20090032233 A KR 2009003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steam generator
heat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3616B1 (en
Inventor
윤주한
배상훈
허선일
최연식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16B1/en
Priority to EP08007970A priority patent/EP1985742B1/en
Priority to US12/149,017 priority patent/US20080276659A1/en
Priority to AT08007970T priority patent/ATE482309T1/en
Priority to DE602008002626T priority patent/DE602008002626D1/en
Priority to CN2008102147217A priority patent/CN101338510B/en
Publication of KR2009003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A cloth managing device and a steam generating device equipped in the same is provided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a water level sensor due to scale generated in the water level sensor. A cloth managing device comprises: a drum accommodating laundry; housing(500) having an inlet port(501); a water pipe connected with the inlet port; a steam generating device(200); a pumping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through the inlet port or collecting; and a water level sensor(520) for sensing the inside water level of the housing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물을 회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a steam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water inside a steam generating apparatus generating steam and a steam generating provid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Relates to a device.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건조, 리프레쉬와 같은 행정을 통해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예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와 같은 장치가 있다.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processing the clothes through the stroke, such as washing, drying, refreshing the clothes. Examples of such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e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refresher.

특히, 세탁기는 물을 사용하여 의류를 세탁하게 되는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되고, 구김이 발생된 세탁물은 건조기에서 건조수행이 완료되더라도 세탁물의 구김은 제거되지 않게 된다.In particular, the washing machine washes clothes using water.In the principle of washing water, wrinkles are generated in the laundry after the water washing is completed, and the laundry in which the wrinkles are generated is not removed even if the drying is completed in the dryer. Will not.

따라서, 최근에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가 보급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a steam generator and enabl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removing wrinkles, removing odors, static electricity, and the like of clothing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발생시킨 후 소 정시간 동안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하지 않아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물이 남아있게 되면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부패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when the steam generator generates steam and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does not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ater remains inside the steam generator, the water remaining in the steam generator decays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be used.

또한, 스팀발생장치 내부에는 보통 수위 센서가 설치되는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물이 남아있게 되면 이와 같은 수위 센서에 스케일이 발생하여 수위 센서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is usually install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when water remains inside the steam generator, such a scale occurs in the water level sensor, causing a malfunc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또한,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팀발생장치가 갑자기 동작되면 히터가 과열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team generator is suddenly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no water is supplied into the steam generator, the heater is overheated and dama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의 동작 완료 후에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물을 회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recover the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after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또한,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히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nd provides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hea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급수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급수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수관을 가지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급수구를 통해 물을 급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펌핑수단; 을 포함한다.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rum for receiving laundry; A steam generating device having a housing having a water supply port, and a water pipe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other end lower than the water supply port; Pumping means for supplying or recovering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It includes.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수위 센서의 하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am generat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sensor.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히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히터의 상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heater,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eater.

상기 수관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급수구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water pip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or is extend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and bent downward.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물을 공급 및 상 기 하우징으로부터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하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umping means is a pump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o supply water to the housing and recover water from the housing.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워터 컨테이너를 더 구비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container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is stored.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히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housing in which the water inlet is formed, and a lower housing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The lower housing preferably includes a main part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and an extension part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main part and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eater.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다림질 없이도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or eliminate the formation of wrinkles or wrinkles in the dried product to dry without ironing.

둘째, 수위 센서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물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수위 센서에 스케일이 발생함으로써 수위 센서의 오작동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water can be recover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senso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by generating a scale in the water level sensor.

셋째, 히터보다 높은 위치까지 물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스팀발생장치의 갑작스러운 동작시에도 히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ird, since the water can be recover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ater, the heater can be protected even during sudden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team gener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의류처리장치로는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 등이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건조기를 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건조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세탁기 또는 리프레셔와 같은 다른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a refresher, and the like, and hereinafter, a dry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dryer, but may be applied to other clothes treating apparatus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refresher.

도 1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를 구비한다.As can be seen through Figure 1 and 2,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10 constituting the appearance, the drum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10, the drum A motor 70 and a belt 68 for driving 20 are provided.

그리고,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heater 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t air heater') for heating the air to generate a high temperature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t ai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binet 10, generated by the hot air heater 90 A hot air supply duct 44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drum 20 is installed.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In addition, an exhaust duct 80 for discharging the humid air heat-exchanged with the dry object in the drum 20 to the outside, a blower unit 60 for sucking the humid air, and the like are also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의 건조기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의 건조기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ndirect drive type dryer for rotating the drum 20 using the motor 70 and the belt 68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for convenie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direct drive type dryer for directly rotating the drum 20 by directly connecting the motor to the rear of the drum 20 is also possible.

다음으로 상기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캐비닛(10)은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가 설치되지 않은 베이스(12)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 론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커버들(16,18)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binet 10 constitutes an exterior of the dryer, and includes a base 12 forming a bottom surface, a pair of side covers 14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ase 12, and the side covers 14. Front cover 16 and rear cover 18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12 is not installed, including the top cover 17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vers (16, 18) It is composed.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콘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론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 패널(19)이 프론트 커버(16)에 위치하는 것을 보였다.The control panel 19 having an operation switch or the like is normally located on the top cover 17 or the front cover 16, but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nel 19 is shown to be located on the front cover 16.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홀(184)이 형성된다. 또한,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며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리프터(2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rear cover 18 is formed with a suction part 182 formed to allow the outside air to enter, and an exhaust hole 184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drum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ifter 22 is installed inside the drum 20 to invert the object to be dried and to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object.

드럼(20)과 캐비닛(10)(프론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론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rear supporter 40 are provided between the drum 20 and the cabinet 10 (front cover 16 and rear cover 18).

프론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20)을 지지하며, 상기 프론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rear supporter 40 support the drum 20 so that the drum 20 is rotatable, and leaks between 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rear supporter 40 and the drum 20, respectively. A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preventing is installed.

즉, 프론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면서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rear supporter 40 serve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rum 20 while forming a drying chamber by block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rum 20.

프론트 커버(16)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62)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론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An opening 162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16 to communicate the drum 20 with the outside of the dryer, and the opening 162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64. In addition, the front supporter 30 is connected to the lint duct 50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drum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lint duct 50 is provided with a lint filter 52.

이때,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blower unit 60 is connected to the lint duct 50, the other side of the blower unit 6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80, and the exhaust duct 80 is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8.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hole 184 is provided.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Therefore, when the blower unit 60 is operated, the air in the drum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nt duct 50, the exhaust duct 80, and the exhaust hole 184. At this time, foreign matter such as lint is filtered in the lint filter 52.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2)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blower unit 60 includes a blower 62 and a blower housing 64, and the blower 62 is generally connected to and driven by a motor 70 for driving the drum 20.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개구부(42)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The rear supporter 4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42 which is usually formed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hot air supply duct 44 is connected to the opening 42. The hot air supply duct 44 communicates with the drum 20 to serve as a passag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drum 20. Therefore, a hot air heater (not show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t air supply duct 44.

한편,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20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generator 200 for generating steam and supplying the inside of the drum 2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binet 10.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수도가 직결되는 방식이 아닌 물이 수용되는 워터 컨테이너(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보였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it was shown that the water container 300 that receives the water is detachably installed, not the way that the water is directly connected to supply the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이와 같이 워터 컨테이너(300)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공급하 는 이유는 물을 사용하는 세탁행정이 없는 건조기에 세탁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인 수도 직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급수호스, 제어부 등의 부대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비용 등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such, the reas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using the water container 300 is that when a water direct connection method is used, which is generally used in a washing machine in a dryer without a washing stroke using water, This is because installation costs such as a water supply hose and a control unit need to be installed, and so on.

건조기의 내부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캐비닛(1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한 물 공급원인 워터 컨테이너(300)와, 상기 워터 컨테이너(300)로부터 스팀발생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210)가 설치된다.The interior of the dryer is a water container 300 which is a removable water supply source in front of the cabinet 10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and from the water container 300 to the steam generator 200 A water supply passage 210 for supplying water is installed.

워터 컨테이너(300)에는 소정의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물이 급수유로(210)로 유출되는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구는 상기 급수유로(210)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water container 30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predetermined water, and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is formed at one side. At this time, the outlet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또한, 워터 컨테이너(300)는 건조기의 프론트 커버(16) 전면에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드로워(32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30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drawer 320 to be able to pull in and out from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16 of the dryer.

이때, 상기 드로워(320)를 급수유로(210)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30)가 건조기의 내측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guide unit 330 for guiding the drawer 320 toward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is installed inside the dryer.

그리고, 급수유로(210)는 워터 컨테이너(300)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스팀발생장치(200)에 공급하는 유로로서 워터 컨테이너(300)와 스팀발생장치(20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급수유로(210) 상에는 워터 컨테이너(300)의 물을 스팀발생장치(200)에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도록 펌프(34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is installed between the water container 30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as a flow path for supplying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water container 300 to the steam generator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mp 340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so as to smoothly supply the water of the water container 300 to the steam generator 200.

물론, 워터 컨테이너(300)로부터 스팀발생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워터 컨테이너(300)와 스팀발생장치(200)의 높이 차에 위해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으 로 공간이 협소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으면 물의 높이차를 이용한 급수는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급수유로(210) 상에 소형의 펌프(3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300 to the steam generator 200,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water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r 30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various parts of the dryer The back is a standard product and is designed to be compact, so the space is structurally narrow. Accordingly, since the water supply using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water is virtually impossible unless the size of the parts is changed, a small pump 340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so that wat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It is desirable to.

또한, 정역 회전가능한 펌프(340)를 설치하면 워터 컨테이너(300)로부터 스팀발생장치(200)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팀발생장치(200)로부터 워터 탱크(300)로 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sta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able pump 340 not only can smoothly supply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300 to the steam generator 200, but also water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to the water tank 3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covered.

스팀발생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장치(200)에 남아있는 물이 부패하여 건조기 내부로 다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steam generator 200 is not used, the reason for recovering water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is that water remaining in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decayed and supplied again into the dryer.

한편, 상기 급수유로(210)는 워터 컨테이너(300)의 유출구에 대응하도록 가이드부(330)에 설치된 접속구(211)와, 펌프(340)와 스팀발생장치(200) 사이에 연결된 급수관(213)과, 펌프(400)와 접속구(211) 사이에 연결된 연결관(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is a connection port 211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330 to correspond to the outlet of the water container 300, and the water supply pipe 213 connected between the pump 340 and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ipe 212 connected between the pump 400 and the connection port 211.

다음으로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200)는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가진다.Steam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shape as a whole.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420)가 설치되는 워터 챔버(410)를 가지는 하부 하우 징(400)과, 상기 워터 챔버(4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이 수용되는 스팀 챔버(510)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물론, 스팀발생장치(200)의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400)과 상부 하우징(500)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지 않고 일체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eam generator 200 includes a lower housing 400 having a water chamber 410 in which water is received and a heater 420 is installed to heat the water, and the water chamber ( It is formed on the top of the 410, and includes an upper housing 500 having a steam chamber 510 is accommodated for the steam generated by heating the water. Of course, the housing of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instead of being separated into the lower housing 400 and the upper housing 500.

하부 하우징(400)은 히터(420)가 장착되며 수직 길이가 수평 길이 보다 긴 부분(이하 편의상 "메인부(401)"라 함)과, 상기 메인부(401)의 상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부(401)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부 하우징(500)에 결합되는 부분(이하 편의상 "확장부(402)"라 함)으로 구성된다. 워터 챔버(410)의 메인부(401)에는 히터(420)가 설치되므로 상기 메인부(401)에는 적은 양의 물이 수용되며, 확장부(402) 및 상부 하우징(500)에 많은 양의 물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확장부(402)는 중앙부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부(402)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연결부(402)에 석회와 같은 이물질이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 센서(520)의 전극에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400 is mounted with a heater 420 and has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a horizontal leng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 part 401” for convenience), and extends to both sides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part 401. It is composed of a portion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portion 401 and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5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pansion portion 402" for convenience). Since the heater 420 is installed in the main part 401 of the water chamber 410, a small amount of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main part 401, and a large amount of water is provided in the expansion part 402 and the upper housing 500. Is accepted. 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portion 402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As such, by forming the connection part 402 to be inclined, foreign matters such as lim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eposited on the electrode of the water level sensor 520 install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200 in the connection part 402.

또한, 하부 하우징(400)에는 상기 워터 챔버(4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430)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부(430)에는 상기 드레인부(43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31)가 구비된다. 개폐부재(431)를 개방하면 워터 챔버(4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발생장치(200)를 계속 사용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200)에 석회 등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된다. 상기 드레인부(430)를 개방하여 워터 챔버(4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면 이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므로 스팀 발생장치(200)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400 is provided with a drain portion 430 for discharging the water in the water chamber 410 to the outsid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3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ortion 430 in the drain portion 430 ) Is provided.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31 may discharge the water in the water chamber 410 to the outside. In general, when the steam generator 200 continues to be us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me accumulate in the steam generator 200. When the water in the water chamber 4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ning the drain 430,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steam generator 200.

개폐부재(431)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기사에 의하여 수동으로 개폐가능한 드레인캡이 될 수 있으나, 자동으로 개폐 동작이 행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431)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는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31 may be a drain cap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by a user or a service technician, but it is possible to use a thing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may be us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31.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made using the siphon principle.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팀발생장치(200)가 T자 형태를 가짐으로써 동일한 용량의 물을 수용하면서도 스팀발생장치(200)의 수평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드럼(20)과 스팀발생장치(200) 사이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와 동일한 양의 스팀을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200)를 사용하면 물의 양 및 스팀 발생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team generator 200 has a T-shap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team generator 200 can be reduced while accommodating water having the same capacity, so that the drum 2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Can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same amount of steam as the conventional steam generator, using the steam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water and steam generation tim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스팀 챔버(510)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pper housing 500 in which the steam chamber 510 is form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상부 하우징(500)의 일측에는 급수구(501) 및 스팀 배출구(502)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500)의 일부분을 상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돌출 부분에 급수구(501) 및 배출구(5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구(501)에는 급수관(213)이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고, 스팀 배출구(502)에는 스팀호스(215)가 연결되어 스팀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부 하우징(500)에 급수관(213)이 연결되는 급수구(501) 및 스팀호스(215)가 연결되는 스팀 배출구(502)가 형성됨으로써 스팀공급장치가 건조기 내부에 설치될 때 급수관(213) 및 스팀호스(215)가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500, the water inlet 501 and the steam outlet 502 is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500 protrudes upward, and a water supply port 501 and an outlet 502 ar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The water supply port 50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213 to supply water, and the steam outlet 502 is connected to the steam hose 215 is supplied with steam. As such, the water supply port 501 to which the water supply pipe 213 is connected and the steam outlet 502 to which the steam hose 215 is connected ar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500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213 when the steam supply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dryer. ) And the steam hose 215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other members installed inside the dryer.

또한, 상부 하우징(500)에는 수위 센서(520) 및 온도 센서(53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50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520 and a temperature sensor 530.

수위 센서(520)는 급수구(501)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급수구(501)에서 물이 급수되는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급수구(501)에서 배출되는 물이 튀어 수위 센서(5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위 센서(52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water level sensor 520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inlet 5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water level sensor 5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inlet 501. This is to prevent the water level sensor 520 from malfunctioning by prevent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501 to splash and contact the water level sensor 520.

또한, 수위 센서(520)는 상부 하우징(500)의 내벽에 인접하여, 하부 하우징(400)의 메인부(401) 상부보다는 확장부(4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수위 센서(520)는 워터 챔버(410)를 형성하는 메인부(401)의 내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520 is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upper housing 500, it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the expansion portion 402 ra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ortion 401 of the lower housing 400. In another aspect, the water level sensor 52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main portion 401 forming the water chamber 410.

이렇게 하면, 메인부(401)에 장착된 히터(420)의 가열 초기에 비산되는 물 또는 기포가 수위 센서(520)로 튀어 수위 센서(520)가 오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ater or bubbles scattered at the initial stage of the heating of the heater 420 mounted on the main part 401 may splash out to the water level sensor 520 to effectively prevent the water level sensor 520 from malfunction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200)는 상기 수위 센서(520)를 보호하는 수용부(52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수용부(526)는 수위 센서의 전극부(521,522,523) 주위를 감싸며, 하부가 개구된 구조를 가지면 된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526 to protect the water level sensor 520. Basically, the accommodating part 526 may wrap around the electrode parts 521, 522, and 523 of the water level sensor,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수위 센서(520)는 공통전극(521), 저수위 전극(522) 및 고수위 전극(523)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521)과 고수위 전극(523)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521)과 저수위 전극(522)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하게 된다.The level sensor 520 is composed of a common electrode 521, a low level electrode 522, and a high level electrode 523 so that the common electrode 521 and the high level electrode 523 are energized or the common electrode 521 and the low level electrode 522. ) Will detect the high and low water levels.

또한, 상부 하우징(500)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구(502)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502)와 인접하여 스팀이 실제로 외부로 토출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과 분리하는 세퍼레이터(5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50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502 for discharging steam. A separator 54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outlet 502 to separate an area where steam is act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another area.

워터 챔버(410)에서 물이 가열될 때 특히 가열 초기에는 물 및 기포가 심하게 비산되는데, 세퍼레이터(540)는 비산되는 물이 스팀 배출구(502)를 통하여 드럼(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이 드럼(20)으로 유입되면, 세탁물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세퍼레이터(540)에 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water is heated in the water chamber 410, especially water and bubbles are severely scattered at the beginning of the heating, and the separator 540 prevents the splashed water from entering the drum 20 through the steam outlet 502. . When water flows into the drum 20, stain may occur in the laundry, which may be prevented by the separator 540.

세퍼레이터(540)는 스팀 배출구(502)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스팀이 유입되는 구조이면 된다. 세퍼레이터(540)는 격벽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격벽에는 스팀이 유입되는 개구부(5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or 5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team is introduced while accommodating the steam outlet 502 therein. The separator 540 is preferably a partition wall, and an opening 545 through which steam flows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관(213)을 통하여 워터 챔버(410)에 물이 공급되며, 스팀 배출구(502), 스팀호스(215)와 같은 스팀 배출 라인을 통하여 스팀 챔버(510)의 스팀이 드럼(20)으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chamber 4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13, and the steam of the steam chamber 510 is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line such as the steam outlet 502 and the steam hose 215. 20).

한편, 스팀발생장치(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에서 부패한 물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의 물이 워터 탱크(30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의 물을 워터 탱크(300)로 회수할 때에는 급수유로(210) 상에 설치된 펌프(340)가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급수할 때와 반대로 회전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am generator 20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decayed water is us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the water inside the steam generator 200 is to be recovered to the water tank 300 To help. When the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recovered to the water tank 300, the pump 340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210 rotates as opposed to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급수구(501)를 통해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의 물을 워터 챔버(300)로 회수할 때, 상기 급수구(501)보다 낮은 위치까지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급수구(501)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501)보다 낮은 수관(550)을 구비한 다.When the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recovered to the water chamber 300 through the water inlet 501, one end of the water inlet 501 may be used to recover water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inlet 501. ) And the other end has a water pipe 550 lower than the water inlet 501.

도 5 및 도 6에는 상부 하우징(500)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수관(55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관(550)은 상부 하우징(500)과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and 6 illustrate a water pipe 55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upper housing 500. At this time, the water pipe 55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tegrally by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또한, 상기 수관(550)의 하단은 수위 센서(52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전극 중에서 저수위 전극(522)의 하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발생장치(522)로부터 물을 회수한 후 스팀발생장치(522) 내부에 남겨지는 물이 저수위 전극(522)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수위 전극(522)에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550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low water level electrode 522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constituting the water level sensor 520. This is to prevent the scal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low water level electrode 522 by recovering water from the steam generator 522 so that the water remaining inside the steam generating device 522 does not contact the low water level electrode 522.

저수위 전극(522)에 스케일이 발생하게 되면 공통전극(521)과 저수위 전극(522)의 통전에 의하여 저수위를 감지할 때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scale is generated in the low level electrode 522, a malfunction may be generated when the low level is sensed by the energization of the common electrode 521 and the low level electrode 522.

또한, 수관(550)의 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420)의 상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발생장치(200)로부터 물을 회수한 후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에 히터(420)가 잠길 정도의 물을 남겨두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남겨두는 이유는 스팀발생장치(200)로부터 물을 회수해야 할 상황이 아닌데 물을 회수하거나,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이 공급되기 전에 스팀발생장치(200)가 갑자기 동작하는 경우 히터(4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히터(420)가 과열되면 화재의 위험이 있거나, 과열된 히터(420)에 의해 히터(420) 또는 스팀발생장치(200) 내부에 설치된 부품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550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eater 420 as shown in FIG. This is to leave the water to the extent that the heater 420 is lock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after recovering the water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The reason for le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side the steam generator 200 as described above is not a situation in which water should be recovered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or water is recovered o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This is to prevent the heater 420 from overheating when the steam generator 200 suddenly operates before. If the heater 420 is overheated, there is a risk of fire, or the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heater 420 or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damaged by the overheated heater 420.

한편, 상기 수관(550)의 하단은 상기 히터(4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히터(420)에 의해 끓어 오르는 물이나 스팀이 급수구(501)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55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of the heater 420. This is to prevent the water or steam boiled by the heater 420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501.

한편, 상기 수관(5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구(501)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수관(550)은 상부 하우징(50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급수구(50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관(550)은 녹이 발생하지 않는 동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pipe 550 may be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port 501 and bent downwar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water pipe 550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housing 500, it is preferably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501. In addition, the water pipe 550 is preferably made of a copper material does not cause rust.

이와 같이 일단은 스팀발생장치(200)의 급수구(501)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501)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수관(550)을 가짐으로써 소정량의 물만 남기고 스팀발생장치(200)에서 물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부패한 물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드럼(20)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port 501 of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other end has a water pipe 550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supply port 501,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remains, and the steam generator 200 is maintained. Since the water can be recovered from the steam generated by the decaye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drum (20).

또한, 수관(550)의 하단이 수위 센서(520)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함으로써 수위 센서(520)에 스케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550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sensor 5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al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water level sensor 520.

또한, 수관(550)의 하단이 히터(42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히터(4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55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eater 420, the heater 42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er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 컨테이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to the dryer shown in Figure 1 and a water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팀발생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팀발생장치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도 6은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상부 하우징을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housing of the steam generator upside dow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관이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am generator is installed water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캐비닛 200: 스팀발생장치10: cabinet 200: steam generator

400: 하부 하우징 420: 히터400: lower housing 420: heater

500: 상부 하우징 520: 수위 센서500: upper housing 520: water level sensor

550: 수관550: water pipe

Claims (15)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A drum for receiving laundry; 급수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급수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수관을 가지는 스팀발생장치;A steam generating device having a housing having a water supply port, and a water pipe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other end lower than the water supply port; 상기 급수구를 통해 물을 급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펌핑수단;Pumping means for supplying or recovering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수위 센서의 하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steam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senso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히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히터의 상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steam generat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er,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ea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관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pip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관은 상기 급수구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pipe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water inlet is bent downw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물을 공급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하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pumping means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mp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to rotate the water forward and reverse to recover the water from the housing and the housing.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워터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water containe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housing comprises a top housing in which the water inlet is formed, and a lower housing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lower housing has a main part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and a wider than the main par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xtension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히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of the heater. 급수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급수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구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수관을 가지는 스팀발생장치.And a housing having a water supply port, and a water pipe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other end lower than the water supply port.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수위 센서의 하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The steam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pipe is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senso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수관의 하단은 상기 히터의 상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The bottom of the water pipe is a steam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higher than the top of the heater.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수관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And the water pip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수관은 상기 급수구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pipe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water inlet is bent downward.
KR1020070097258A 2007-04-25 2007-09-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KR101443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58A KR101443616B1 (en) 2007-09-27 2007-09-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EP08007970A EP1985742B1 (en) 2007-04-25 2008-04-24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2/149,017 US20080276659A1 (en) 2007-04-25 2008-04-2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T08007970T ATE482309T1 (en) 2007-04-25 2008-04-24 CLOTHES TREATMENT APPARATUS
DE602008002626T DE602008002626D1 (en) 2007-04-25 2008-04-24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08102147217A CN101338510B (en) 2007-04-25 2008-04-25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58A KR101443616B1 (en) 2007-09-27 2007-09-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33A true KR20090032233A (en) 2009-04-01
KR101443616B1 KR101443616B1 (en) 2014-09-23

Family

ID=4075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58A KR101443616B1 (en) 2007-04-25 2007-09-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6B1 (en) * 2007-04-25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laundry dryer
KR100845872B1 (en) 2007-04-25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laundry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616B1 (en)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179B1 (en) laundry dryer
EP1985742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342367B1 (en) Steam laundry dryer
EP1932963B1 (en) Laundry machine
KR101341461B1 (en) Steam laundry dryer
KR101328920B1 (en) laundry dryer
US8984691B2 (en) Laundry machine
KR20090030901A (en) Laundry machine
EP2039824B1 (en) Laundry machine
KR20070078328A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070078327A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070078329A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101208532B1 (en) laundry dryer
KR101241897B1 (en) laundry dryer
KR2009003223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provided therein
KR101265611B1 (en) laundry dryer
KR100833866B1 (en) Steam laundry dryer
KR101265610B1 (en) laundry dryer
KR101208531B1 (en) laundry dryer
KR100983279B1 (en) laundry dryer
KR101265599B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101342366B1 (en) Steam laundry dryer
KR101008653B1 (en) laundry dryer
KR101208533B1 (en) laundry dryer
KR100833868B1 (en) Steam laundry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