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568A -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568A
KR20090025568A KR1020070090524A KR20070090524A KR20090025568A KR 20090025568 A KR20090025568 A KR 20090025568A KR 1020070090524 A KR1020070090524 A KR 1020070090524A KR 20070090524 A KR20070090524 A KR 20070090524A KR 20090025568 A KR20090025568 A KR 20090025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key
keyboard
variable keyboar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정
욱 장
박준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568A/en
Publication of KR2009002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5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variable keyboard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use an application program even without a separate pointing device. A variable keyboard(10) comprises a plurality of keys which can be displayed, and can convert inputted key signals into a series of menu images. The variable keyboard is displayed on a screen. A controller(20) extracts a menu structure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when it is executed, and then re-locates at least one or more menu images on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The controller changes the code value of a key into a menu identifier matched to at least one image. A storage unit(30)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menu imag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menu structur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가변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Electronic device having a variable keyboard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keyboar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최근 산업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전자제품의 성능은 향상되고 크기는 소형화되고 있다. 특히 제품의 휴대성과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제품에 부여하는 모바일 장치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는 노트북 컴퓨터뿐만 아니라 UMPC(Ultra mobil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폰 등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products is improved and the size is reduced. In particular, it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that provide the portability and various functions of a product. Such mobile devices are not only notebook computers but also various types such as UMPC (Ultra mobile PC),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mobile phones.

이러한 모바일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다니며 한 손에 쥐고 쓸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간편화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중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 개인정보 관리, 문서작성, 팩스전송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Such mobile devices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mpact and simple enough to be carried by a user and held in one hand. The mobile device allows the user to use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ocument preparation, and fax transmission, including the Internet, while traveling.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조작을 위해 입력장치인 키보드와 함께 마우스를 포함한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전자장치를 휴대할 경우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기 힘든 환경에서는 그 조작을 원활히 수행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면 책상 등과 같은 지지대 없이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마우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가 어려우므로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보행 중과 같은 상황에서 마우스를 원활히 사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In general, a user uses a pointing device including a mouse together with a keyboard as an input device for manipulating an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use these functions. However, when carrying an electronic device,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operation smoothly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pointing device is difficult to use. 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bile device is used without a support such as a desk, it is difficult to stably fix a mouse, so that a user may feel uncomfortable. In particular, it is almost impossible to use the mouse smoothly in situations such as walking.

한편, 기존의 전자장치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따로 분리되어 있다. 즉 입력 장치인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출력 장치인 모니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모니터를 번갈아 바라보며 작업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분산되기 쉽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장치의 배열이나 사용 방법에 대해 익숙하지 않을 경우 그 불편함은 더 클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separated. That is, a keyboard or mouse as an input device and a monitor as an output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a result, when users use the application, they work alternately between the keyboard or the mouse and the monitor, and the user's attention is easily distracted. In particular, the inconvenience may be greater when the user is not familiar with the arrangement or use of the input device.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패드, 트랙볼, 포인팅 스틱과 같은 입력 장치가 제시되었다. 이 때 사용자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데스크톱 컴퓨터의 마우스만큼 조작을 원활히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인팅의 정밀성이 매우 떨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역시 입력 장치와 출력장치는 분리되어 있어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pad, a trackball, and a pointing stick have been proposed.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a mouse. However, these input devices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as much as a mouse of a desktop computer.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pointing is very poor. In this case, too,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separated, so it may be inconvenient to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포인팅 장치 없이도 응용 프로그램 사용이 가능하여 휴대시 이용하기 편리한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bile device that is easy to use when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used without a separate point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the purpose of

나아가 입력공간 및 출력공간을 일치시켜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bile device which can be used more easily without distracting a user's eyes by matching an input space and an output spa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가변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variable keyboard having a display func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가변 키보드 및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를 추출하고 추출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때 가변 키보드는 키 입력시 일련의 메뉴 이미지로 변환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t least one menu based on a variable keyboard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able keys and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tracted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a controller for rearranging an image according to a space of a variable keyboard and changing a code value of a key with a menu identifier matching at least one menu image. At this time, the variable keyboard can be converted into a series of menu images when a key is pressed.

나아가 전자장치의 가변 키보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키보드 자체에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가변 키보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경우 반투명 형태일 수 있고 가압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통해 키 입력받을 수 있다.Furthermore, the variabl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or provide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ogether on the keyboard itself. In this case, when the variabl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variable keyboard may be translucent and may receive a key input through a touch sensor that senses pressure or contact.

또한 가변 키보드는 추가로 설정된 특수키가 마련되어 특수키가 활성화되면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를 추출하고 추출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고, 비활성화되면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ariable keyboard has additionally set special keys, and when a special key is activated,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an application is extracted, and at least one menu image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switch to the keyboard layout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부는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키 입력시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서브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가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ad a submenu structure according to a menu selected when a key is input in an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executed to update a menu image displayed on a variable keyboar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를 입력받으면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메뉴 구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가변 키보드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조작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to extract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when receiving a special key additionally provided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and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at least one menu image Relocating the key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and changing the code value of the key with a menu identifier matching the at least one menu image, wherein the variable key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able keys. It is also achieved by a device operation method.

이 때 소정의 키가 활성화되면 키 입력시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서브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가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갱신하는 단계 및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를 재입력 받으면 가변 키보드를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a predetermined key is activated, the sub-menu structure is read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at the time of key input to update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and when the additional special key is input again, the variable keyboard is initialized. 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switching to a mo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포인팅 장치 없이도 응용 프로그램 조작이 가능하여 휴대시 사용하기 편리한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 방법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bile device which is operable to carry out application programs without a separate pointing device and is convenient to carr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가변 키보드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가능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메뉴 이미지를 화면 또는 키보드 자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키보드만으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입력 또는 링크 선택을 쉽게 할 수 효과가 있다. 특히 이동중이거나 작업공간이 넓지 않은 경우에 정확한 포인터 이동 또는 선택을 위한 노력 없이 간단한 키 입력만으로도 응용 프로그램 사용이 가능하다. That is, the variabl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 display function so that a menu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keyboard itself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menu image displayed upon key input can be updated. Therefore, a user can easily enter a menu or select a link of an application program using only a keyboard without using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In particular, when moving or when the workspace is not large, the application can be used with a simple keystroke without the need for accurate pointer movement or selection.

나아가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에 따라 메뉴 구조의 재배치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유연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menu structure can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space, and thus, the user can flexibly manipulate the application program.

즉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이미지들을 고정적으로 가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또는 자체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메뉴 이미지를 재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메뉴들을 유연하고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enu images may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displayed screen or the own keyboard instead of displaying the menu imag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variable keyboa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play menus flexibly and variously, so that a user can operate an application program more conveniently.

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 구조는 모바일 사용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이에 따라 크기가 점점 최소화되는 전자장치 특히 모 바일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가변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nu structure provid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can be modified into a form suitable for mobile us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use the variable keyboard even in an electronic device, especially a mobile device, which is gradually minimized in siz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키보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입력공간 및 출력공간이 일치되는 전자장치 및 그 조작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사용자는 입력장치인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출력장치인 모니터를 번갈아 바라보게 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쉽게 전자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which an input space and an output space are matched when a keyboard is displayed on a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have to alternate between looking at the input device, the keyboard or mouse, and the output device, the monito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manipulate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distracting the user's eye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보드는 주어진 환경에 따라 그 환경에 적합한 모드로 전환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유연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vari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witched to a mod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a given environment, the user can flexibly use the application program.

즉 키 입력시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메뉴일 경우 가변 키보드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선택이 요구되는 메뉴일 경우 방향키 입력을 통해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아이템 선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변 키보드 사용중 불편함 없이 작업 전환을 더욱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menu requiring character input when a key is input, the variable keyboard may be switched to the character input mo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enu requiring item selection, an item selection mode capable of item selection may be switched through input of a direction key.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witch between tasks without inconvenience while using the variable keyboar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특수키가 추가로 마련되어 간단하게 조작 가능한 가변 키보드를 제공한다. Furthermor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variable keyboard in which a special key is additionally operated.

즉 특수키가 활성화되면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비활성화되면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나의 키 입력만으로도 응용 프로그램의 조작이 가능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when a special key is activated, a menu image according to an application is displayed, and when deactivated, it can be switched to the initial keyboard layout mod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the mod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with only one key inpu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보드(1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 including a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가변 키보드(10), 제어부(20) 및 저장부(30)를 포함한다. 나아가 가변 키보드(10)는 특수키(100) 및 입력키(102)를 포함한다.According to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 includes a variable keyboard 10, a controller 20, and a storage 30. Further, the variable keyboard 10 includes a special key 100 and an input key 102.

이 때 전자장치(1)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즉 전자장치(1)는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소형화되고 휴대하기 간편한 노트북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폰 등을 포함한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 is a device including a keyboard.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 may be not only a desktop computer but also a mobile device including a miniaturized and portable laptop computer, a UMPC (Ultra mobile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obile phone, and the like.

특히 사용자는 이러한 모바일 장치를 휴대하여 이동중에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 문서 작성, 통신, 사진 작업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은 워드 프로세서, 인터넷 브라우저, 모바일 메신저, 사진 뷰어 및 음악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user can carry such a mobile device and use functions such as the Internet, document creation, communication, and photo work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n the go. Applications available at this time include word processors, Internet browsers, mobile messengers, photo viewers and music players.

가변 키보드(10)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가변 키보드(10)는 복수의 키 스킨을 다른 이미지로 재생할 수 있다.The variable keyboard 1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able keys. Accordingly,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reproduce the plurality of key skins as different images.

한편 가변 키보드(1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 및 도 2b에서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variable keyboard 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제어부(2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마련된 메뉴 이미지들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한다. 이 때 메뉴 식별자로 변경된 키의 코드값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해 메뉴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The controller 20 displays menu images prepa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variable keyboard 10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It also changes the code value of the key to a menu identifier that matches the displayed menu image. At this time, the code value of the key changed to the menu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o execute the menu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한편 저장부(30)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이미지에 대한 정보 및 메뉴 구조를 저장한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30 stores information on the menu image and the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이 때 저장부(30)는 메뉴 이미지, 키 식별자 및 메뉴 식별자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제어부(20)가 메뉴마다 할당된 메뉴 이미지와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읽어들여 각 키에 대응하는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30 matches and stores a menu image, a key identifier, and a menu identifier. This causes the control unit 20 to read a menu image assigned to each menu and a key identifier corresponding to each menu, to display the menu image corresponding to each key on the variable keyboard 10, and to change the code value of the key with the menu identifier. To do this.

또한 저장부(30)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를 저장한다. 이 때 저장부(30)는 모바일 사용에 적합하도록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 구조를 변형하여 저장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0 stores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30 may modify and store a menu structure provid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so as to be suitable for mobile use.

즉 모바일 장치는 크기의 제한 때문에 일반 데스크톱 컴퓨터만큼 다양하고 복잡한 설정 메뉴 구조를 갖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저장부(30)는 사용 빈도가 높은 중요 기능에 대한 메뉴들을 중심으로 메뉴 구조를 재구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응용 프로그램이 워드 프로세서일 경우 워드 프로세서의 핵심 메뉴인 파일, 편집, 보기, 삽입, 서식 등의 주요 요소들에 해당되는 메뉴 구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0)에 저장되는 메뉴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In other words, due to size limitations, it is difficult for mobile devices to provide applications with various and complicated setting menu structures as general desktop computers. Therefore, the storage unit 30 preferably reconfigures and stores the menu structure around the menus for important functions that are frequently used. For example, if your application is a word processor, you can store menu structures that correspond to key elements of the word processor's main menus: File, Edit, View, Insert, Format. 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nu structu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가변 키보드의 실시예이다.2A and 2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variable keyboard of FIG. 1.

도 2a 및 도 2b에 따르면 가변 키보드(1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키보드 자체에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FIGS. 2A and 2B,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or provide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ogether on the keyboard itself.

본 발명의 일시예로 도 2a와 같이 가변 키보드(1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동일하게 된다. 즉 가변 키보드(10)가 터치나 압력을 감지하는 패널 등이 장착되어 입력장치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출력장치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쉽게 모바일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riable keyboard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A,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the same. That is, the variable keyboard 10 is equipped with a panel for sensing touch or pressure to provide a function as an input device, and at the same ti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 provide a function as an output devi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manipulate the mobile device without distracting the user's eyes.

나아가 가변 키보드(10)는 반투명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형화되어 가는 모바일 장치의 출력 화면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가변 키보드(1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ranslucent form.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ariable keyboard 10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without covering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outpu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o be miniaturiz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2b와 같이 가변 키보드(10)가 키보드 자체에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B,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provide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o the keyboard itself.

이 경우 키들은 플라스틱 대신 OLED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OLED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가변 키보드(10)는 액정에 표시되는 문자나 그림을 이용해 자판의 배열을 필요에 따라 바꿔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일실시예에 따른 OLED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keys are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OLED instead of plastic. OLED refers to a self-luminous organic material that emits light by using electroluminescence which emits ligh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As implemented in the OLED form,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display the keyboard layout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keyboard as necessary using characters or picture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LED form, and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이 때 가변 키보드(10)가 키보드 자체에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6. 3. 31자로 출원되어 2006. 10. 12일자 공개된 특허 제 2006-29812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와 관련된 부분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 여기서 편입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variable keyboard 10 provides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ogether on the keyboard itself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2006-29812 filed on March 31, 2006, filed on October 12, 2006,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described in detail. Parts related thereto in this specif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as part of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도 1의 제어부(20)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unit 20 of FIG. 1.

도 3에 따르면 전자장치(1)의 제어부(20)는 메뉴 추출부(200), 메뉴 배치부(201), 출력 처리부(202) 및 입력 처리부(204)를 포함한다.According to FIG. 3, the controller 20 of the electronic device 1 includes a menu extractor 200, a menu arrangement unit 201, an output processor 202, and an input processor 204.

메뉴 추출부(20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저장부(30)로부터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를 추출한다. 또한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키 입력시 선택된 메뉴에 따라 저장부(30)로부터 서브메뉴 구조를 읽어들인다.The menu extracting unit 200 reads the menu structure from the storage unit 30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and extracts the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submenu structure is read from the storage unit 30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when a key is input in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이 때 메뉴 배치부(201)는 메뉴 추출부(200)에서 추출한 메뉴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키보드 자체 또는 화면의 공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재배치한다. 메뉴 배치부(201)의 메뉴를 배치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도 6 및 도 7에서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rearranges at least one menu image according to the keyboard itself or the screen space based on the menu structu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menu extraction unit 200.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arranging the menu of the menu arranging unit 20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6, and 7.

한편 출력 처리부(202)는 메뉴 배치부(201)를 통해 재배치되는 복수의 메뉴 이미지들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키 입력시 메뉴 추출부(200) 및 메뉴 배치부(201)로부터 읽어들인 서브 메뉴 구조에 따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갱신한다. 즉 메뉴마다 할당된 서브 메뉴 이미지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읽어들여 각 키에 대응하는 메뉴 이미지로 가변 키보드(10)의 스킨을 갱신한다.Meanwhile, the output processor 202 displays the plurality of menu images rearranged through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on the variable keyboard 10. In addition, when a key is input in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is updated according to the sub-menu structure read from the menu extractor 200 and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That is, the key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ubmenu image allocated to each menu is read, and the skin of the variable keyboard 10 is updated with the menu image corresponding to each key.

입력 처리부(204)는 키 입력에 따른 키의 코드값을 변경한다. 즉 출력 처리부(202)를 통해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한다. 이 때 입력 처리부(204)는 메뉴 식별자로 변경된 키의 코드값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한다.The input processing unit 204 changes the code value of the key according to the key input. That is, the code value of the key is changed to a menu identifier that matches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through the output processor 202. At this time, the input processing unit 204 delivers the code value of the key changed to the menu identifier to the application program.

도 4는 도 1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메뉴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stored in the storage of FIG. 1.

도 4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소스 및 실행 명령과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레벨 1에 i개의 메뉴가 있을 때 i-1번째의 메뉴는 Command1(i-1)인 실행 명령과 1(i-1).jpg인 소스를 함께 매칭하여 저장한다.According to FIG. 4,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is matched with the source and the execution command and stor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re are i menus in level 1, the i-1th menu matches and executes an execution command of Command1 (i-1) and a source of 1 (i-1) .jpg.

이 때 핵심 메뉴인 메인 메뉴는 레벨 1에 해당되며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로 내려갈수록 레벨의 등급은 낮아진다. 예를 들면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넷 브라우저일 경우 레벨 1에 해당되는 메뉴 구조는 핵심 메뉴인 파일, 편집, 보기, 즐겨찾기 등의 메뉴일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뉴 중 하나인 ‘파일’의 서브 메뉴인 새로 만 들기, 열기, 저장 등의 메뉴는 레벨 2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main menu, which is the core menu, corresponds to level 1, and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the menu. For example, if the application is an Internet browser, the menu structure corresponding to level 1 may be a menu such as file, edit, view, or favorites. In addition, one of the main menus, 'File', which is a sub-menu such as Create, Open, Save, etc., corresponds to Level 2.

한편 저장부(30)는 메인 메뉴와 일련 되는 서브 메뉴 이미지와 키 식별자 및 메뉴 식별자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unit 30 stores the main menu by matching the sub-menu image, the key identifier, and the menu identifier.

예를 들면 메인 메뉴가 '파일' 메뉴일 경우 파일 메뉴 입력시 새로 만들기, 열기, 저장 등의 서브 메뉴가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고 해당되는 서브 메뉴들의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하도록 메뉴 구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키 입력시 저장부(30)로부터 선택된 메뉴에 따른 서브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 및 키의 코드값을 갱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in menu is a 'File' menu, a submenu such as New, Open, or Save is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when the file menu is inputted, and the code value of the key is changed to the menu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submenu. It is desirable to save the menu structure. Accordingly, the controller 20 may update the menu value and the code value of the key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by reading the sub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from the storage unit 30 when a key is input.

이 때 서브 메뉴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하여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의 메뉴 배치부(201)는 저장부(30)로부터 메뉴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할 메뉴들의 재배치하는 방법을 다르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ubmenus is also included and stored. Accordingly, the menu arranging unit 201 of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method of rearranging the menus to b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b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menus from the storage unit 30.

도 5는 도 3의 메뉴 배치부(201)의 메뉴 구조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arrangement of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of FIG.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뉴 추출부(200)로부터 추출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할 때 가변 키보드(10)가 키보드 자체에 디스플레이될 경우 메뉴의 배치공간은 키보드 내의 키를 기본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riable keyboard 10 is displayed on the keyboard itself when the plurality of menu images ar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based on the menu structure extracted from the menu extractor 200, The layout space is based on the keys in the keyboard.

이에 비해 가변 키보드(1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경우 메뉴의 배치공간은 도 5처럼 m*n 정렬로 배분할 수 있다. 이 때 재배치되는 메뉴 구조는 메뉴의 레벨 에 따라 기본적으로 행 단위로 정렬된다. 예를 들면 응용 프로그램의 상위 메뉴인 레벨 1의 메뉴들을 첫 행에 배치하고 그에 따른 서브메뉴는 두 번째 행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메뉴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In contrast, when the variable keyboard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layout space of the menu may be allocated in an m * n arrangement as shown in FIG. 5. In this case, the rearranged menu structure is arranged by lin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enu.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menus of level 1, which are the upper menus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first row and the submenus accordingly in the second row. At this time, the layout of the menu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도 6은 도 3의 메뉴 배치부(201)의 메뉴 수에 따른 메뉴 구조 배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nus of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of FIG. 3.

도 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하는 메뉴들의 수(N)가 가변 키보드(10)의 하나의 행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메뉴의 최대 자리수(m)보다 많을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FIG. 6, it is possible to display menus in various ways when the number N of menus to be displayed is larg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digits m of menus that can be displayed in one row of the variable keyboard 10.

즉 가변 키보드(10)의 하나의 행에 디스플레이하지 못한 메뉴의 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메뉴의 최대 자리수(m)보다 2배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에 따라 복수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다르게 할 수 있다(S110).That is, the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menu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number of menus that are not displayed on one line of the variable keyboard 10 is more than twice or less than the maximum number of digits (m) of the menus that can be displayed (S110). ).

이 때 만약 2배 이상(N>2m)이면 한 행에 디스플레이하지 못한 메뉴들을 가변 키보드(10)의 다음 행에 이어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20).At this time, if more than twice (N> 2m),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menus not displayed in one row after the next row of the variable keyboard 10 (S120).

한편 2배 이하(N<2m)이면 가변 키보드(10)는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 예를 들면‘more’라는 키를 두어 ‘more’키를 디스플레이한다(S130). 이 때 "more" 키를 입력받으면(S140) 디스플레이하지 못한 나머지 메뉴들을 가변 키보드(10)에 재배치할 수 있다(S150).On the other hand, if less than 2 times (N <2m), the variable keyboard 10 displays a 'more' key by adding a special key, for example, 'more' key (S130). At this time, if the "more" key is input (S140), the remaining menus that are not displayed may be rearrang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S150).

도 7은 도 3의 메뉴 배치부(20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구조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of FIG. 3.

도 5와 같이 제어부(20)의 메뉴 배치부(201)는 기본적인 m*n 정렬 형식으로 가변 키보드(10)의 메뉴를 재배치할 수도 있지만 도 7와 같이 메뉴를 다양한 형태로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of the controller 20 may rearrange the menu of the variable keyboard 10 in a basic m * n alignment format, but may rearrange the menu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7.

한편 메뉴 배치부(201)는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개수에 따라 메뉴 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메뉴의 최대 자리수보다 적은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확장 가능하다. 이에 따라 메뉴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보다 더 선명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menu arrangement unit 201 may rearrange the menu image by varying the size of the menu im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nus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displayed menus is small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displayable menus, the size of the displayed menu image may be expanded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ly, the menu image can be provided more clearly visual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menu.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수키(100:도면에서는 메뉴키)를 포함하는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keyboard 10 including a special key 100 (menu key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따르면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의 가변 키보드(10)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는 전자장치(1)의 화면 크기 및 사양에 맞게 키 변화가 가능하다.According to FIG. 8, when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the variable keyboard 10 in the initial keyboard layout mode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key layout mode of the initial sta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and specific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

초기 상태의 가변 키보드(10)는 특수키(100)를 포함한다. 특수키(100)가 입력되면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The variable keyboard 10 in the initial state includes a special key 100. When the special key 100 is input, at least one menu image is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나아가 특수키(100)는 캡스록 키처럼 두 가지 상태만을 가지는 토글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수키(100)가 활성화되면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이미지들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하고 비활성화되면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 로 가변 키보드(10)를 전환한다.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특수키(100) 입력시 가변 키보드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한다.Furthermore, the special key 100 is preferably a toggle key having only two states, such as a caps lock key. That is, when the special key 100 is activated, the menu imag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ar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and when the special key 100 is deactivated, the variable keyboard 10 is switched to the initial keyboard layout mode. Various embodiments of the variable keyboard upon inputting the special key 100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드 프로세서 실행시의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10 when executing a wor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이 워드 프로세서일 경우 특수키(100)를 입력받으면 전자장치(1)는 저장부(30)로부터 워드 프로세서의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가변 키보드(10)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고 그에 따른 복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코드값을 변경한다. 이 때 메뉴 구조는 가변 키보드(10)의 상부 위치에 워드 프로세서의 메인 메뉴인 파일, 편집, 보기, 삽입, 서식 등의 메뉴를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FIG. 9,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a word processor, when the special key 100 is input, the electronic device 1 reads the menu structure of the word processor from the storage unit 30 and rearranges it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ly, a plurality of menu images ar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It also changes the code value to a menu identifier that matches the displayed menu image. At this time, the menu structure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upper position of the variable keyboard 10, such as a menu, such as file, edit, view, insert, format, which is the main menu of the word processor.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의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keyboard 10 when an Internet browser is execu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따르면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 특수키(100)를 입력받으면 전자장치(1)는 저장부(30)로부터 인터넷 부라우저의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가변 키보드(10)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고 그에 따른 복수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코드값을 변경한다. 이 경우 메뉴 구조는 가변 키보드(10)의 상부에 인터넷 브라우저의 메인 메뉴인 파일, 편집, 보기, 즐겨찾기, 도구 등의 메뉴를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FIG. 10, when the special key 100 is input when the Internet browser is executed, the electronic device 1 reads the menu structure of the Internet browser from the storage unit 30 and rearranges the spac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10. The menu image of is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and the code value is changed to a menu identifier that matches the menu image. In this case, the menu structure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variable keyboard 10 such as menus such as files, edits, views, favorites, tools, etc., which are the main menus of the Internet browser.

한편 인터넷 브라우저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달리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소 입력키와 같은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메뉴일 경우 키 입력시 가변 키보드(10)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applications, the Internet browser includes a menu for entering an Internet address. Therefore, in the case of a menu requiring character input such as an address input key,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be switched to a character input mode capable of inputting a character.

요약하면 도 9 및 도 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워드 프로세서나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이에 따른 메뉴 이미지들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 없이도 가변 키보드(10) 상에서 메뉴 입력 또는 링크 선택을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작업공간이 넓지 않거나 이동중인 경우에 정확한 포인터 이동 및 선택을 위한 노력 없이 간단한 키 입력만으로도 응용 프로그램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summar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menu images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such as a word processor or an internet browser ar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enter a menu or select a link on the variable keyboard 10 without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In particular, when the workspace is not large or mov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lication can be smoothly used by simple key input without effort for accurate pointer movement and selection.

나아가 가변 키보드(10)에 복수의 메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가변 키보드(10)의 공간에 따라 복수의 메뉴 이미지의 재배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데스크톱 컴퓨터의 환경처럼 유연하게 메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displaying a plurality of menu images on the variable keyboard 10, the plurality of menu images can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10,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lexibly select a menu like the environment of a desktop computer.

도 11은 도 9의 워드 프로세서 실행시 메뉴 입력에 따른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a menu input when executing the word processor of FIG. 9.

도 11에 따르면 소정의 키가 활성화되면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마다 할당된 복수의 메뉴 이미지와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읽어들여 각 키에 대응하는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키의 코드값으로 대응하는 메뉴 식별자를 할당한다. 이 때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마다 할당된 복수의 메뉴 이미지는 가변 키보드(10)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1, when a predetermined key is activated, a plurality of menu images and key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the menus of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are read and the menu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key ar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It also assigns the corresponding menu identifier as the code value of the key.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enu images allocated to each menu of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10.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워드 프로세서 실행중 '특수키'(도면에서는 메뉴키)를 입력받으면 전자장치(1)는 워드 프로세서의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메뉴 이미지들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워드 프로세서의 메인 메뉴 중 하나인 '삽입' 메뉴 키를 입력받으면 삽입 메뉴 키의 서브 메뉴에 해당되는 새 슬라이드, 슬라이드 복제, 그림, 표 등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삽입 메뉴의 서브 메뉴 중 하나인 '그림' 메뉴 키를 입력받으면 전자장치(1)는 그림 메뉴의 서브 메뉴인 내 최근 문서, 바탕 화면, 내 문서 등의 메뉴 이미지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For example, when a special key (menu key in the drawing) is input while the word processor is running as shown in FIG. 11, the electronic device 1 reads the menu structure of the word processor and displays menu images on the variable keyboard 10. have. In this case, when the 'insert' menu key, which is one of the main menus of the word processor, is input, menu images such as new slides, slide copies, pictures, and tables corresponding to the sub-menu of the insert menu key ar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Subsequently, when the 'Picture' menu key, which is one of the submenus of the Insert menu, is input, the electronic device 1 displays a menu image of My Recent Document, Desktop, and My Documents, which are the submenus of the Picture menu, on the variable keyboard 10. do.

한편 각 메뉴 키를 입력받을 때마다 전자장치(1)의 제어부(20)는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의 갱신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키의 코드값을 해당 메뉴 식별자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받은 메뉴의 식별자로 변경된 키의 코드값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해당되는 메뉴 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ever each menu key is input, the controller 20 of the electronic device 1 preferably not only updates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but also changes the code value of the corresponding key to the corresponding menu identifier. . In addition, the code value of the changed key with the input menu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menu function.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 서브메뉴 구조의 분할 예시도이다.12A and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ivision of a submenu structure when the Internet browser of FIG. 10 is executed.

도 12a 및 도 12b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넷 브라우저일 경우 서브메뉴 구조는 균등 분할하거나 프레임별로 분할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12A and 12B,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an Internet browser, the submenu structure is preferably divided into equal parts or divided into frames.

예를 들면 도 12a처럼 3*3의 균등 분할 형식으로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다. 또는 도 12b처럼 프레임 또는 테이블별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분할된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에서 포함되는 링크 아이템을 가변 키보 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A, an area may be evenly divided in a 3 * 3 equal division format.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2B, it is possible to divide an area by frame or table. Accordingly, the link item included in each area is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based on the divided areas.

이 때 순차적으로 첫 영역의 링크가 가변 키보드(10)에 먼저 디스플레이되게 설정하고 각 영역간의 이동은 탭키나 방향키 등의 이동키를 통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에서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link of the first area is sequentially set to b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first, and the movement between each area can be enabled through a moving key such as a tab key or a direction ke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도 12a 또는 도 12b의 서브메뉴 입력시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variable keyboard 10 when the submenu of FIG. 12A or 12B is input.

도 13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넷 브라우저일 경우 첫 영역의 링크가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영역을 선택받으면 가변 키보드(10)는 그 영역 내에 포함된 메뉴 이미지들을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FIG. 13, when the application is an Internet browser, when a link of the first area is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and a predetermined area is selected by the user, the variable keyboard 10 displays the menu images included in the area. 10).

예를 들면 영역 분할 방식이 도 12a처럼 3*3 균등 분할 방식일 경우 제1행 제1열에 해당되는 영역이 선택된다면 그 영역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등에 해당되는 메뉴 키를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rea division method is 3 * 3 equal division method as shown in FIG. 12A, i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is selected, the menu key corresponding to the Internet address, ID, password, login, etc. included in the area is changed. It can be displayed on the keyboard 10.

도 14는 도 10의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의 메뉴 입력에 따른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a menu input when the Internet browser of FIG. 10 is executed.

도 14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넷 브라우저일 경우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인 가변 키보드(10)는 특수키(100:도면에서는 메뉴키)를 입력받으면 인터넷 브라우저용 모드로 전환된다. 이 때 인터넷 주소 메뉴 키를 키 입력받으면 가변 키보드(10)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이어서 인터넷 주소를 입력받고 다 시 특수키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인터넷 사이트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FIG. 14,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an Internet browser, the variable keyboard 10 in the initial keyboard layout mode is switched to the Internet browser mode when a special key 100 (menu key in the drawing) is input. At this time, when the Internet address menu key is input, the variable keyboard 10 is switched to the character input mode. Subsequently, if an Internet address is input and a special key is input again, the user moves to the entered Internet site.

한편 도 1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메뉴 키를 입력받을 때마다 가변 키보드(1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의 갱신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키의 코드값을 해당 메뉴 식별자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받은 메뉴의 식별자로 변경된 키의 코드값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해당되는 메뉴 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1, whenever a corresponding menu key is received, it is preferable not only to update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10 but also to change the code value of the corresponding key to the corresponding menu identifier. In addition, the code value of the changed key with the input menu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menu func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메뉴 입력에 따른 가변 키보드(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a sub menu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따르면 가변 키보드(10)는 메뉴 이미지의 정렬 방식이나 색상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5와 같이 가변 키보드(10)의 상위 위치에 메인 메뉴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하위 위치에 메인 메뉴와 일련된 서브 메뉴의 이미지들을 아래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 가능하다.According to FIG. 15, the variable keyboard 10 may be modified in a manner of arranging a menu image, a color, or the lik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main menu images may be display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variable keyboard 10, and images of the main menu and a series of submenu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lower posi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보드(1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 조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 including the vari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를 입력(S210)받으면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메뉴 구조를 추출한다(S220). 이 때 추출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에 따라 재배치한다(S230). 또한 추출한 복수의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한다(S240). 이어서 소정의 키가 활성화(S250)되면 키 입력시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서브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가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 를 갱신한다(S260).According to FIG. 16, when receiving a special key additionally provided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S210), a menu structure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S220). At this time,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the plurality of menu image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space (S230). In addition, the code value of the key is changed to a menu identifier matching the extracted plurality of menu images (S240). Subsequently, when a predetermined key is activated (S250), the submenu structure is read according to the menu selected at the time of key input to update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S260).

한편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를 재입력하면 가변 키보드(10)는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keyboard 10 is switched to the keyboard layout mode of the initial state when the additional special key is input agai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vari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가변 키보드의 실시예,2A and 2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variable keyboard of FIG. 1;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FIG. 1;

도 4는 도 1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메뉴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stored in a storage of FIG. 1;

도 5는 도 3의 메뉴 배치부의 메뉴 구조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arrangement of the menu arrangement unit of FIG. 3;

도 6는 도 3의 메뉴 배치부의 메뉴 수에 따른 메뉴 구조 배치를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nus of the menu arrangement unit of FIG. 3;

도 7는 도 3의 메뉴 배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구조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arrangement unit of FIG. 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수키를 포함하는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keyboard includ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드 프로세서 실행시의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도,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keyboard when executing a wor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의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도,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keyboard when the Internet browser is execu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9의 워드 프로세서 실행시 메뉴 입력에 따른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도,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according to a menu input when executing the word processor of FIG. 9; FIG.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 서브메뉴 구조의 분할 예시도,12A and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ivision of a submenu structure when the Internet browser of FIG. 10 is executed;

도 13은 도 12a 또는 도 12b의 서브메뉴 입력시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 도,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when a submenu of FIG. 12A or 12B is input;

도 14는 도 10의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시의 메뉴 입력에 따른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도,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according to a menu input when an internet browser of FIG. 10 is executed;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메뉴 입력에 따른 가변 키보드를 도시한 예시도,1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keyboard according to a sub menu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조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vari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자장치 10 : 가변 키보드1: electronic device 10: variable keyboard

20 : 제어부 30 : 저장부20: control unit 30: storage unit

100 : 특수키 102 : 입력키100: special key 102: input key

200 : 메뉴 추출부 202 : 메뉴 배치부200: menu extraction unit 202: menu arrangement unit

202 : 출력 처리부 204 : 입력 처리부202: output processing unit 204: input processing unit

Claims (17)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가변 키보드; 및A variable keyboard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able keys; And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상기 가변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Extracting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repositioning at least one menu imag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and selecting a key with a menu identifier that matches the at least one menu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a cod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 키보드는 키 입력시 일련의 메뉴 이미지로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variable keyboard may be converted into a series of menu images when a key is inp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 키보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variabl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 키보드는 키보드 자체에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variable keyboard provides an input and a display function to the keyboard itsel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는 모바일 사용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modified into a form suitable for mobile u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 키보드는 추가로 설정된 특수키가 마련되어 상기 특수키가 활성화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메뉴 구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상기 가변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고, 비활성화되면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variable keyboard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ecial key is set, when the special key is activated to extract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o rearrange at least one menu imag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The electronic device, when deactivated, switches to the initial keyboard layout m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키 입력시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서브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상기 가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update a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by reading a submenu structure according to a menu selected when the key is input by a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서브메뉴 구조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넷 브라우저일 경우 균등 분할하거나 프레임별로 분할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sub-menu structure may be divided evenly or divided by frames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an Internet brows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변 키보드는 상기 서브메뉴 구조의 메뉴를 다 포함하지 못할 경우 이동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함하지 못한 메뉴 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If the variable keyboard does not include all of the menus of the submenu structure, the variable keyboard updates the menu image that is not included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a moving ke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식별자로 변경된 키의 코드값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code value of the key changed to the menu identifier to the application program.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가변 키보드는 가압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통해 키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variable keyboard receives key input through a touch sensor that senses pressure or touch.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변 키보드는 반투명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Electronic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translucent for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 키보드는 상기 입력되는 키가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메뉴일 경우 상기 키 입력시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And the variable keyboard switches to a character input mode when the key is input when the input key is a menu requiring character inp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 키보드는 상기 입력되는 키가 파일을 포함하는 아이템 선택이 요구되는 메뉴일 경우 상기 키 입력시 방향키 입력을 통해 상기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아이템 선택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The variable keyboard is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put key is a menu that requires selection of an item including a file, the key is switched to an item selection mode in which the item can be selected through a direction key input. (a)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를 입력받으면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메뉴 구조를 추출하는 단계;(a) extracting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a running application when receiving a special key additionally provid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b) 상기 추출된 메뉴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를 상기 가변 키보드의 공간에 따라 재배치하는 단계;(b) rearranging at least one menu imag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variable keyboard based on the extracted menu structure;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이미지와 매칭되는 메뉴 식별자로 키의 코드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changing a code value of a key with a menu identifier that matches the at least one menu image, 상기 가변 키보드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조작 방법.And said variable keyboard comprises a plurality of displayable keys.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d) 소정의 키가 활성화되면 상기 키 입력시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서브 메뉴 구조를 읽어들여 상기 가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이미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조작 방법.and (d) reading a submenu structure according to a menu selected when the key is input and updating a menu image displayed on the variable keyboard when a predetermined key is activated.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e) 상기 추가로 마련된 특수키를 재입력받으면 상기 가변 키보드를 초기 상태의 자판 배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조작 방법.and (e) switching the variable keyboard to an initial keyboard layout mode upon receiving the additionally provided special key.
KR1020070090524A 2007-09-06 2007-09-06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0900255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524A KR20090025568A (en) 2007-09-06 2007-09-06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524A KR20090025568A (en) 2007-09-06 2007-09-06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568A true KR20090025568A (en) 2009-03-11

Family

ID=4069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524A KR20090025568A (en) 2007-09-06 2007-09-06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568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7147A3 (en) * 2009-04-30 2011-02-03 Qualcomm Incorporated Keyboar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20130115700A (en) * 2012-04-13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ketpad using organic emitting diodes
KR101354159B1 (en) * 2010-07-28 2014-01-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keyboard dis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168865B2 (en) 2014-04-21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symbol and method thereof
US10402065B2 (en) 2013-09-30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US10884619B2 (en) 2013-07-2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 input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7147A3 (en) * 2009-04-30 2011-02-03 Qualcomm Incorporated Keyboar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354159B1 (en) * 2010-07-28 2014-01-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keyboard dis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130115700A (en) * 2012-04-13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ketpad using organic emitting diodes
US10884619B2 (en) 2013-07-2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 input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10402065B2 (en) 2013-09-30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US10168865B2 (en) 2014-04-21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symbol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5480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and deleting pages
JP436427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4769552B2 (e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program
JP5805674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361913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70273656A1 (en) Modular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perating same
JP2005235188A (en) Data entry device
JP5266320B2 (en) Portable device for controlling command execution using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back side
KR20100117533A (en) Multi-directional extension cursor and method of practicing multi-directional extension cursor
KR20090025568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variable keyboard with display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JP2010067258A (en) Method of defining shortcut key of input device
US20160378284A1 (en) Data entry system and accompanying interface
US20080211698A1 (en) Keyboard with Variable Markings and Layouts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JP5395819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201516852A (en) Peripher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electrical system using the same
US7882451B2 (en) Screen object placement optimized for blind selection
JPH11327762A (en) Input device provided with mouse function
KR100358015B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touch panel screen and method for setting input module in the portable computer
JP2008102833A (en) Character input device
CN101097491A (en) Push-button type display screen cursor positioning and instruction point choosing module of computer device
JP73959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4310543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H10198505A (en) Personal computer device
KR100909592B1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using cur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