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709A -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709A
KR20090022709A KR1020070088299A KR20070088299A KR20090022709A KR 20090022709 A KR20090022709 A KR 20090022709A KR 1020070088299 A KR1020070088299 A KR 1020070088299A KR 20070088299 A KR20070088299 A KR 20070088299A KR 20090022709 A KR20090022709 A KR 2009002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noring
nose
wire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승
박동선
Original Assignee
신상승
박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승, 박동선 filed Critical 신상승
Priority to KR102007008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709A/ko
Publication of KR2009002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2/00Surgery: splint, brace, or bandage
    • Y10S602/902Antisnoring or mouth clos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을 거쳐 비인강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도관(3); 상기 도관(3)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원위단이 상기 도관(3)의 원위단에 고정된 와이어(6); 상기 도관(3)의 원위단으로부터 근위부 쪽으로 소정 길이 만큼의 부분이 도관(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닥들로 분리되어 형성된 팽창부(4); 상기 도관(3)의 근위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관이 사람의 콧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코 앞부분에 걸려짐으로써 도관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위치고정부(2);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4)가 사람의 비인강 안에서 연구개 뒤에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6)를 도관의 근위부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팽창부(4)의 도관가닥들(40)이 궁형(弓形)으로 굴곡되어 팽창부(4)가 방사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연구개를 지지하여 인두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은 신개념의 치료기구로서, 특히 기존의 수술적 요법의 단점을 피할 수 있으며, 비강을 통한 착용이 쉬울 뿐만 아니라 일단 착용한 뒤에는 기존의 구강내 장착용 보조기와 달리 잘못하여 빠질 우려도 없고 타액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없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코골이, 코골이 치료, 코골이 방지, 비강, 비인강, 연구개, 후두개, 인두, 하인두, 후인두, 수술, CPAP, 와이어, 도관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Prosthesis for preventing snoring and the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가는 도관을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인강까지 삽입한 다음 도관의 원위부를 팽창시켜 연구개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에 연하운동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구개 및 인두점막이 폐쇄되지 않도록 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란 사람이 자는 동안 숨쉬는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咽喉部)가 좁아져서 호흡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아 호흡기관 자체가 떨림판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소음을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사람이 숨을 쉴 때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과 같이 유연한 구조물을 지나게 되는데,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기 때문에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막지 않는다. 그러나, 잠자는 동안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 시켜 코고는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다. 코골이는 선천적 원인(구조적 기형) 또는 후천적 원인(잘못된 수면 습관)에 의해 발생하는데, 대략 성인의 30~50%가 코골이 증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또한 외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만성적인 심한 코골이 환자는 남자의 24%, 여자의 13.8%에 이르며, 60~65세의 고령인구의 경우 남자의 60%, 여자의 40% 가 코를 곤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코골이 증상의 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골이는 수면 중 심한 소음을 발생시켜 가족 등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을 준다는 점뿐만 아니라, 잠자는 동안 공기 통로가 막혀 숨을 못 쉬게 되는 수면무호흡 증상과 같은 수면장애를 수반한다는 점에 보다 큰 문제가 있다. 수면무호흡 증상은 수면 중 인후부가 막혀 정상적으로 숨을 쉬지 못함으로써 뇌의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리고 자주 잠을 깨게 하여 깊은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수면무호흡 증상 등의 수면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잠을 자고 나도 피로가 풀리지 않아 신체적인 피해가 심하고 정신집중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심한 경우 운전 중 졸음에 빠져 사고를 일으키기도 하고, 더 나아가 만성적인 수면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고혈압, 당뇨 등의 심각한 질병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학계에서는 만성적으로 코를 골거나, 주간에 항상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은 수면장애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코골이의 해부학적 원인을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사람의 코, 입 및 목구멍 부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머리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1은 정상인의 머리 구조도 혹은 코골이 환자의 깨어 있는 상태의 머리 구조도이 고, 도2는 코골이 환자의 수면 중 연구개가 늘어져 인두를 좁게 만듦으로써 코골이가 발생하는 상태의 머리 구조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사람의 머리 안에는 코(10)를 통한 공기통로와 구강(15)을 통한 공기통로가 인두(咽頭, 19)에서 만나 기관(23)으로 이어지고 있다. 입으로도 숨을 쉴 수는 있지만, 입으로 쉬는 숨은 부차적이며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원칙이다. 왜냐하면 코에는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정화기능(필터기능)과 찬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가온 가습하는 기능이 있어서 숨을 쉬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진 기관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1을 참고하면, 사람의 코(10)는 콧구멍(10a) 안쪽으로 비강(14)이 위치하며, 비강(14)안에는 상비갑개(11), 중비갑개(12) 및 하비갑개(13)라고 하는 점막으로 뒤덮인 3개의 주름들이 코의 양쪽으로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비갑개(11)와 중비갑개(12)의 사이에 있는 공기통로를 상비도(11a)라 하고, 중비갑개(121)와 하비갑개(13)의 사이에 있는 공기통로를 중비도(12a)라고 하며, 하비갑개(13)와 경구개(17a)의 사이에 있는 공간을 하비도(13a)라고 한다. 숨은 위 3개의 공기통로들, 즉 상비도(11a), 중비도(12a) 및 하비도(13a)를 거쳐서 통과하는데, 이 중 하비도(13a)의 공간이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강(15)안의 입 천정에 있는 단단한 뼈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은 경구개(17a)이며, 경구개(17a)의 끝부분에는 부드러운 근육으로 된 연구개(17b)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경구개(17a)와 연구개(17b)가 구개(17)를 구성한다.
양쪽 콧구멍(10a)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통로들은 비강(14) 및 상비 도(11a), 중비도(12a), 하비도(13a)를 거친 다음 비인강(18)에서 서로 만난다. 상기 비인강(18)의 앞쪽으로는 연구개(17b)가 위치하며, 비인강(18)의 아래쪽에는 구인두(19)가 위치하고, 구인두(19)의 아래쪽에는 하인두(21)가 위치하는데, 상기 구인두(19)와 하인두(21)는 모두 주름진 점막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인두(21)의 아래 부분은 식도(24)와 기관(23)으로 분리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23)과 하인두(21)의 사이에는 후두(22)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구강(15)안의 아래쪽에는 혀(16)가 위치하며, 혀의 안쪽 깊은 곳에는 설근부(16a)가 있고, 설근부(16a)의 안쪽으로 후두개(20)가 위치한다.
도1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A1은 비강(14) 안의 가장 높은 위치를 가리키며, A2는 경구개(17a)의 구개골의 위치를 가리키고, A3은 후두개(20) 상연의 위치를 가리키며, A4는 성대(25)의 위치를 가리킨다. 도1에서 A1-A2의 사이에는 비강(14)과 비인강(18)이 위치하고, A2-A3의 사이에는 인두 혹은 구인두(19)가 위치하며, A3-A4의 사이에는 하인두(21)가 위치한다. 의학적으로는 A1-A4까지의 공간 안에 존재하는 공기통로를 상기도(上氣道, B1)이라고 하며, A4아래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통로를 하기도(下氣道, B2)라고 하고, 위 상기도(B1)와 하기도(B2)를 합쳐 일반적으로 기도(氣道)라고 한다.
도1에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콧구멍(10a)을 통해 비강(14) 안으로 들어간 공기는 비인강(18)과 하인두(21)를 거쳐 기관(23)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연구개(17b)와 설근부(16a) 그리고 구인두(19)와 하인두(21)의 점막들이 진동함으로써 코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연구개(17b)는 경구개(17a)의 끝에 결합된 부드러운 근육 조직으로서 마치 비행기의 날개처럼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펄럭이는 특성이 있는데, 사람이 깨어 있을 때는 목과 입 안의 근육들에 의해 연구개(17b)가 지지되어 펄럭이지 않지만 잠든 동안에는 연구개(17b)를 지지하는 근육들이 이완되기 때문에 사람이 똑바로 누워서 잘 경우 머리뼈 쪽으로 늘어져서 인두(19)를 막게 된다(도2 참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17b)가 늘어져 인두(19)를 좁게 만든 상태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연구개(17b)가 숨을 들이쉬고 내쉼에 따라 펄럭이게 되고, 이에 따라 코고는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설근부(16a)와 구인두(19) 및 하인두(21)의 점막들도 마찬가지로 사람이 잠든 동안에 이완되어 구인두(19)와 하인두(21)를 막게 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증상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코골이의 원인으로는 알레르기성 비염 등 만성 비후성 비염, 잘못된 수면습관으로 인한 목 근육의 압박으로 인한 기도 막힘, 턱 구조의 기형 또는 주변 근육의 경직, 지방 과다로 인한 기도 협착, 코, 비강의 구조적 문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 어떤 요인에 의해서 상기도의 공기흐름에 문제가 발생하면 코골이가 나타나게 된다.
지금까지 제안된 코골이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는 생활습관 상의 개선에 의한 요법, 연구개 등을 제거하는 수술적 요법 및 구강장착용 보조기와 같은 보조기를 착용하는 방법들이 있는데, 이 중 생활습관 상의 개선에 의한 요법은 체중감량, 금연, 올바른 베개의 선택 또는 옆으로 자기 등과 같은 생활습관의 변화를 통해 가능 한 한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수술적 요법은 만성 코골이 환자의 기도 후면조직이나 목젖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여 공기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처치하는 방법인데, 코골이를 치료하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수술에 따른 고통이 따르고 연구개가 절단되는 경우 음식물이 코로 나오는 등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며, 특히 한번 수술하고 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는 점에서 영구적인 변형을 가하는 비가역적(非可逆的)이고 침습적(侵襲的)인 방법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면 중 호흡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기도를 통해 강제로 공기를 밀어 넣는 지속적 기도양압술(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e, CPAP)이 있는데, 이 방법은 수면 중에 연속적으로 기도를 통해 강제로 공기를 밀어 넣는 기계를 착용하고 수면을 취하는 것이다. 미국 수면학회에서는 이 지속적 기도양압술(氣道陽壓術)이 코골이 증상의 개선 및 수면무호흡 증상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지속적 기도양압 장치가 고가이고, 수면 중 마스크를 입과 코에 대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장치를 잠자리마다 갖고 다녀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구강내 장착용 보조기와 같은 치과적 치료 기구들은 잠잘 때 입안에 물고 잠으로써 턱을 앞쪽으로 빼준다든지 혀를 눌러 주어 인두가 되도록 막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기구들을 입에 물고 자는 것은 큰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침을 흘리는 등의 부작용도 있어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면중의 코골이 현상은 현대의 산업사회, 특히 밀집화된 주거 환경 속에서 본인과 주변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저해하고, 야간에 정상적인 숙면을 취하지 못함으로써 주간 기면 현상과 이로 인한 생산력 감소와 사고증대를 유발한다. 이러한 코골이 현상의 감소를 위해 종래의 수술적 요법과 구강내 장착용 보조기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수술적 요법은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수술 및 마취에 따른 통증 및 위험이 항상 공존하고, 비가역적이어서 그 효용성에 대해서는 현재 논란이 많다. 또한 구강내 장착용 보조기는 매우 제한적인 경우의 코골이에만 사용가능하며,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수면 중 타액의 유출등 단점이 많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수술적 요법이나 구강내 보조기와는 다른 효과적이고 비수술적인 신개념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개발할 필요를 절감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는데, 본 발명은 상기도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개선함으로써 코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가는 도관을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인강까지 삽입한 다음 도관의 원위부(遠位部, distal end)를 팽창시켜 연구개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에 연구개가 인두를 막지 않도록 하여 비수술적 방법으로 코골이 방지효과를 거둘 수 있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을 거쳐 비인강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도관(導管); 상기 도관(3)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원위단이 상기 도관(3)의 원위단에 고정된 와이어(6); 상기 도관(3)의 원위단으로부터 근위부 쪽으로 소정 길이 만큼의 부분이 도관(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닥들로 분리되어 형성된 팽창부(4); 상기 도관(3)의 근위단(近位端)에 결합되며 상기 도관이 사람의 콧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코 앞부분에 걸려짐으로써 도관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위치고정부(2);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4)가 사람의 비인강 안에서 연구개 뒤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6)를 도관의 근위부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상기 팽창부(4)의 도관가닥들(40)이 궁형(弓形)으로 굴곡되어 상기 팽창부(4)가 방사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연구개를 지지하여 인두(咽頭)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코골이 방지 방법은,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을 거쳐 비인강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도관을 사람의 콧구멍 안으로 삽입하여 도관의 원위단을 비인강 안의 연구개 뒤에 위치시키는 제1단계; 상기 도관 안에 설치되고 도관의 원위단에 고정된 와이어를 도관의 근위부 방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도관의 원위부를 팽창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끌어당겨진 와이어의 근위부를 상기 도관의 근위부에 결합된 위치고정부에 의해 고정시켜 상기 도관의 원위부를 팽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수면 중 연구개가 인두를 막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기존의 코골이 치료 방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치료기구로서, 특히 기존의 수술적 요법의 단점, 즉 출혈, 통증 및 비가역성 등의 문제들을 피할 수 있으며, 비강을 통한 착용이 쉬울 뿐만 아니라 일단 착용한 뒤에는 기존의 구강내 장착용 보조기와 달리 잘못하여 빠질 우려도 없고 타액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없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장착과 제거가 용이하여 코골이 환자가 처음에 의사로부터 사용법을 배운 후에는 환자 스스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수술적 방법에 의해 코골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므로 안전하고 비침습적(non-invasive)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가장 큰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사시도들로서, 도3은 도관(3)의 원위부(遠位部, distal end)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4는 도관(3)의 원위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원위부라 함은 도관이나 와이어의 양쪽 끝 중 인체 안으로 삽입되는 쪽의 끝 부분을 말하며, 근위부(近位部)라 함은 그 반대쪽의 끝 부분, 즉 인체 밖으로 노출되는 쪽의 끝 부분을 말한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는 크게 코골이 환자의 코 밖에 노출되는 위치고정부(2)와 콧속으로 삽입되는 도관(3)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관(3)은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을 거쳐 비인강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도관(3)의 내부에는 도관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스틸 와이어(steel wire, 6)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6)의 원위부(遠位部, distal end), 즉 사람의 콧속으로 삽입되는 끝 부분은 도관(3)의 원위단(5)에 결합된다.
상기 도관(3)은 어느 정도 강성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는 튜브(tube)의 구조를 가지며, 코골이 환자의 콧속의 구조에 맞게 적당히 굴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3)을 어떤 형태로 그리고 얼마만큼의 각도로 굴절하는가는, 도13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처치하는 의사가 환자의 콧속 구조를 검사한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관(3)의 직경은 환자의 숨쉬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콧구멍의 크기와 비강의 크기를 고려할 때, 도관(3)의 직경은 0.1~10mm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1~3mm의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관(3)은 인체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면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하므로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 및 생체 내구성(bio-indurability)과 생체 안전성(bio-safety)을 만족하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현재의 의공학기술로서는 주로 티타늄을 이용한 튜브 형태로 도관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향후 티타늄 보다 더 향상된 의공학소재가 개발될 경우 그러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도관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람의 코 안에는 비강을 비롯하여 충분한 공간이 있으므로 대략 3mm 이하의 직경으로 도관을 제작하면, 비강을 통해 도관을 밀어넣는 것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도관(3)의 원위부(遠位部)에는 도10,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17b)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도의 길이 만큼 팽창부(4)가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4)에서는 도관(3)의 재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닥들(40)로 분리되어 있어서, 도관(3)의 안의 와이어(6)를 근위부 쪽으로 끌어당기게 되면 도4와 같이 상기 팽창부(4)의 도관가닥들(40)이 궁형(弓形)으로 굴곡되어 도관의 방사방향으로 펼쳐진다.
도관(3)의 두께(직경)는 처음부터 끝까지 균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착용상의 편의와 코골이 방지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3)의 제일 끝에 형성된 팽창부(4)를 도관(3)의 다른 부분들보다 약간 더 굵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팽창부(4)의 직경을 가장 크게 만들고, 코 지지대(2c)로부터 팽창부(4)까지 이어지는 도관(3)의 나머지 부분을 그보다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팽창부(4)가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충분히 부풀어오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팽창부(4)의 표면 둘레를 최대한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고, 반면 도관(3)이 비강 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능한 한 숨쉬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강 안에 끼워져 있는 도관(3)의 두께를 최대한 가늘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사용상의 편의라는 목적과 코골이 방지의 실효성 확보라는 목적에 관한 2가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비강 안에 걸쳐지는 대부분의 도관(3) 부분은 최대한 가늘게 하고, 도관(3)의 맨 끝에 있는 팽창부(4)만 그 팽창되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약간 굵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2)는 도관(3)이 사람의 코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람의 코 앞부분에 걸쳐짐으로서 도관(3)이 제 위치에 머물러 있도록 지지하고, 아울러 도관(3)안의 와이어(6)를 잡아당긴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도관(3)의 팽창부(4)가 팽창된 상태로 계속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3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고정부(2)는, 사람의 코 앞부분에 걸려지는 코 지지대(2c), 상기 코 지지대(2c) 위에 형성된 하우징(2b) 및 상기 하우징(2b)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 릴(reel, 2a)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코 지지대(2c)는 도관(3)과 결합된 채로 사람의 코 앞쪽 부분에 걸쳐져서 도관(3)의 현재 장착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코 지지대(2c)에 의해 도관(3)이 코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혹은 코 안쪽으로 더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코 지지대(2c)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수면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코 앞쪽 피부에 접촉되어야 하므로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피부와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생체이물반응 및 마찰력이 적은 소재로는 현재 실리콘이 활용되고 있으므로, 실리콘을 이용하여 코 지지대(2c)를 제작하되, 사람의 코 앞쪽 부분과 접촉하는 면은 되도록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를 착용할 코골이 환자의 실제 코 앞쪽 부분의 형상에 맞춰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는 코골이 환자의 양쪽 콧구멍에 각각 넣을 수 있도록 2개의 도관들(3)을 구비하고 있으며, 2개의 도관들(3)은 코 지지대(2c)의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2)는 사람의 양쪽 콧구멍 사이의 연골을 둘러싼 살 부분에 걸쳐져서 위치하게 되므로, 콧구멍을 막지 않도록 가능한 한 작은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는 도관(3)을 1개로 할 수도 있고, 2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는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17b)가 인두(18)를 막지 않도록 연구개(17b)를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1개의 도관(3)의 끝을 팽창시킴에 의해서도 연구개(17b)를 지탱할 수 있다. 즉, 1개의 도관(3)을 양쪽 콧구멍 중 한쪽의 콧구멍에 넣고 팽창시켜 연구개를 지탱하는 것만으로도 인두를 개방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가 1개의 도관(3)만을 구비할 경우에는, 그 도관(3)의 근위부를 위치고정부(2)의 코 지지대의 일측에 치우쳐 결합시키고, 사람의 코 앞쪽 부분에 걸쳐지는 코 지지대의 표면 부분을 적당히 굴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코 지지대가 코 앞쪽 부분에 효과적으로 걸쳐지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위치고정부(2)가 코 앞쪽 부분에 보다 안정적으로 걸쳐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도관들(3)의 사이에 코 지지대(2c)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콧속으로 하나씩 도관(3)을 삽입하고 도관들(3)의 사이에 있는 코 지지대(2c)가 양쪽 코 사이의 살 부분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편이 수면시간 동안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착용하는데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보다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3에서 도관(3)과 그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6)는 코 안의 비강을 통해 비인강(鼻咽腔)까지 굽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어느 정도 탄력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당히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관(3)은 생체적합성과 생체내구성 및 생체안전성이 우수한 티타늄으로 제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6)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와이어(6)의 재질은 반드시 스테인레스 스틸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기타 금속제 혹은 합성수지제 등의 적당한 소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3에서 도관들(3)의 내부에 장착된 와이어들(6)은 도관들(3)의 근위부에 결합된 코 지지대(2c)를 관통하여 하우징(2b)안의 소위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된다(도7 및 도8 참조). 하우징 안의 "권취장치"는 조절 릴(2a)과 결합되어서, 코골이 환자는 조절 릴(2a)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도4와 같이 팽창부(4)를 팽창시킬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도3과 같이 원래대로 팽창부(4)를 수축시킬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조절 릴(2a)을 회전시키면 와이어(6)가 하우징(2b)안의 권 취 장치에 의해서 감겨짐으로써 도관(3)의 원위단(5)이 끌어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갈라진 도관가닥들(40)이 팽창하면서 팽창부(4')가 방사방향으로 큰 직경을 갖게 된다.
도4에서 도관의 팽창부(4')의 팽창된 크기는 직경 1~30mm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골이 환자 개인의 상황에 맞춰 그 팽창되는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팽창부(4')의 팽창된 크기를 5~15mm 정도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4')의 팽창강도는, 수면 중 연구개(17b)가 자연적으로 늘어져 구인두(19)의 점막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에 족할 정도로만 할 필요가 있다. 사람은 주기적으로 침 삼키는 동작(연하운동)을 하며, 수면 중에도 자율신경의 작용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침 삼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침을 삼킬 때에는 자연적으로 연구개(17b)가 구인두(19)를 막아 침이 코 쪽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는다. 그런데, 팽창부(4')의 팽창된 상태에서의 강도가 너무 세게 되면, 침 삼키는 동작을 하는 경우에도 연구개(17b)가 팽창부(4')를 압축시킬 수 없게 되어 구인두(19)가 폐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팽창부(4')는 연구개(17b)가 수면 중 자연적으로 늘어져 처지는 것을 떠받칠 정도의 팽창력만을 갖도록 하고, 만약 침 삼키는 동작에 의해 연구개(17b)가 구인두(19)를 막아야 할 경우에는 연구개(17b)의 누르는 힘에 팽창부(4')가 압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11b 참조).
이를 위하여, 상기 팽창부(4,4')의 도관가닥들(40)은 한편으로는 침을 삼킬 때 연구개(17b)에 의해 더 강한 힘이 가해지면 탄력적으로 수축될 수 있을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면서도 평상시의 수면상태에서는 연구개(17b)의 자연적인 처짐을 방지하기에 족한 정도의 힘만을 발휘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 및 도6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단면도들로서, 도5는 도관(3)의 원위부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6은 도관(3)의 원위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5 및 도6을 참고하면, 도관(3)이 팽창부(4)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L1의 길이를 가지며(도5 참조), 팽창된 후에는 L2의 길이를 가진다(도6 참조). 팽창부(4,4')를 구성하는 도관가닥들(40)이 와이어(6)의 수축에 의해 활모양(弓形)으로 굽어져 팽창되므로, 팽창된 후의 팽창부(4')의 길이 L2는 팽창되기 전의 팽창부(4)의 길이 L1 보다 작게 된다.
도7은 도2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위치고정부(2)를 중심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8은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위치고정부(2)를 구성하는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다. 위치고정부(2)의 코 지지대(2c)는 밑면의 양쪽에 도관들(3)의 근위부들이 결합되며, 와이어(6)는 코 지지대(2c)에 관통 형성된 와이어 통과공(205)을 통하여 하우징(2b)의 안으로 이어진다.
상기 하우징(2b)은 코 지지대(2c)의 위에 결합되며, 하우징(2b)의 안에는 내부 원통(20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b)의 안쪽에는 조절 릴(2a)이 끼워지는데, 상기 조절 릴(2a)은 스핀들(204)과 결합된다. 상기 스핀들(204)은 아래쪽의 스핀들 단부(204a)가 위쪽 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원통(206)의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턱(206a)을 지나 아래로 끼워진 다음에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스핀들(204)의 표면에는 와이어 걸림고리들(204b)이 형성되어 이 와이어 걸림고리들(204b)에 와이어들(6)이 고정되며, 스핀들(204)의 회전에 의해서 와이어(6)가 스핀들의 표면에 감겨지거나 그로부터 풀려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2b)의 안쪽 상부면에는 내향 톱니바퀴(201)가 형성되며, 이 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 릴(2a)의 표면에는 외향 톱니바퀴(202)가 형성된다(도8 참조). 상기 하우징(2b)의 내향 톱니바퀴(201)와 조절 릴(2a)의 외향 톱니바퀴(202)가 서로 꼭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 릴(2a)을 억지로 회전시키면 상기 외향 톱니바퀴(202)가 상기 내향 톱니바퀴(201)를 밀고 지나가면서 스핀들(204)이 회전하게 되며, 스핀들(204)의 주위에 와이어(6)가 감기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조절 릴(2a)은 톱니바퀴(202)의 한 톱니만큼씩 회전할 수 있어서, 코골이 환자는 자기의 코에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장착한 후 코 앞 부분에 위치한 조절 릴(2a)을 돌려가면서 도관(3)의 팽창부(4)를 팽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면 후에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제거할 때에는 조절 릴(2a)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도관(3)의 팽창부(4)를 원래대로 수축시킨 후 도관(3)을 빼내면 된다.
도8을 참고하면 내부원통(206)의 벽면에는 와이어 구멍들(206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구멍들(206b)을 통해 와이어(6)가 내부 원통(206)안으로 들어가 스핀들(204)에 감겨진다.
바람직하게는 팽창부의 수축상태와 팽창상태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만큼만 조절 릴(2a)이 회전가능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조절 릴이 회전할 수 없도록 미리 기구적인 처리를 해 놓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코골이 환자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도관(3)의 팽창부(4)가 팽창된 상태인지 수축된 상태인지를 금방 알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팽창부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수축 방향으로 더 이상 조절 릴(2a)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팽창부(4)가 완전히 팽창된 후에는 더 이상 팽창 방향으로는 조절 릴(2a)이 회전될 수 없도록 미리 상기 내향 톱니바퀴(201) 및 외향 톱니바퀴(202)에 걸림턱을 마련해 놓으면 사용상의 편의 및 안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고정부(2)안의 와이어를 감는 장치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들로도 얼마든지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근 스키부츠, 스케이트 부츠, 골프화 등과 같은 스포츠 신발의 발 뒤꿈치 부분에 "릴핏"(reel feet)이라는 끈 조절 장치를 설치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이들 제품들의 릴핏이라는 장치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2/0095750A1(2002년 7월 25일), 2006/0156517A1(2006년 7월 20일 공개) 및 2007/0169378A1(2007년 7월 26일 공개) 등의 선행기술들에 의해 개시된 "끈을 묶을 필요가 없는 신발의 레이싱 시스템(lacing system)"을 이용한 것으로서, 한쪽 방향으로 회전노브(rotating knob)를 회전시키면 신발의 끈이 자동으로 조여지고, 회전노브를 잡아당기면 이미 조여졌던 신발끈이 한번에 풀려져서 신발을 벗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위치고정부(2)안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장치"도 위 미국 공개특허공보들에 개시된 기술내용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매우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와이어 권취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11a 및 도11b는 도관(3)의 원위부를 팽창시켜 연구개(17b)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9와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 안으로 도관(3)의 원위단(5)부터 삽입한 다음 원위단(5)이 비인강(18)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밀어 넣으면, 도10과 같이 도관(3)의 팽창부(4)가 연구개(17)의 바로 뒤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6)를 잡아당기면 도11a와 같이 팽창부(4')가 팽창하게 되며, 조절 릴(2a)을 돌려 와이어(6)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면 된다. 그러면, 팽창부(4')는 와이어에 의해서 활 모양으로 굽어진 도관가닥들(40)이 연구개(17b)와 접촉하여 비인강(18) 및 구인두(19)와 같은 공기통로를 막지 않도록 지지한다.
팽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팽창부(4')의 도관가닥들(40)은 서로 충분히 띄어져 있어서 도관가닥들(40)을 통해 공기가 충분히 자유롭게 통할 수 있다. 또한 콧구멍 및 비강의 단면적에 비해서 도관(3)의 단면적이 상당히 작으므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는 동안 도관에 의해 숨쉬는 것이 방해받지는 않는다.
도11a는 도관(3)의 원위부를 팽창시켜 수면 중 연구개(17b)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11b는 도11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침을 삼키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연구개(17b)가 팽창부(4')를 압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이 침을 삼키는 동작을 할 때에는 연구개(17b)가 구인두(19)를 막게 되며, 이때는 연구개(17b)의 누르는 힘에 의해 팽창부(4')가 작은 크기로 수축되어야 한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골이 환자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다가 도중에 침을 삼키게 되면,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17b)가 머리 위쪽 방향으로 올라가 구인두(19)를 막으면서 비인강(18)으로 통하는 길을 막게 되는데, 이때는 팽창부(4')가 연구개(17b)의 힘에 의해 압축된다. 그리고, 연구개(17b)에 가해졌던 힘이 풀리면, 팽창부(4')가 다시 도1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래의 크기로 회복되어 커져서 연구개(17b)를 떠받치게 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코골이 환자의 코 안에 삽입하여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쪽 콧구멍 사이의 살 부분에 코 지지대(2c)를 접촉하여 걸리도록 하는 것이 코 부분에 대한 마찰을 최소화해 줄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콧속에 삽입된 도관을 가장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코골이 환자가 착용함에 있어 도관의 길이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정자(30)를 도시한다.
코골이 환자 각 개인마다 콧구멍부터 비인강까지의 길이가 다 다를 것이므로, 미리 의사가 각 코골이환자마다의 콧속 치수, 즉 비강 및 인두부 길이를 측정한 다음 그에 맞게 도관의 길이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13에 도시된 측정자(30)가 필요하며, 측정자(30)의 원위부 쪽 에 위치한 삽입단부(31)는 콧구멍 안으로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라운드 처리를 한다. 삽입부(33)에는 눈금(34)이 표시되어 있어서, 의사가 삽입체(33)를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 안으로 밀어 넣은 다음 입을 벌리게 하고, 삽입단부(31)가 연구개 뒤쪽에 위치한 것을 확인하였을 때의 콧구멍 밖에 남아 있는 삽입부(33)의 눈금(34)을 확인하면, 코 안으로 들어간 삽입부(33)의 길이 및 비강과 인두부의 각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각 코골이 환자마다의 비강 및 인두부 길이를 쉽게 실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환자 개인의 특성에 맞게 맞춤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13에서 미설명부호 32는 손잡이 쪽 단부를 의미한다.
도13에 도시된 측정자(30)는 비강 및 비인강에서 조직손상을 주지 않고 탄력적으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되, 특히 한번 형태가 만들어진 후에는 더 센 힘을 가하지 않으면 그 형태가 바뀌지 않을 정도로 어느 정도의 탄력성과 원상회복력이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사가 코골이 환자에 적합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콧구멍으로부터 비강 및 비인강을 통해 연구개에 도달하기까지의 콧속 길이와 그 콧속 통로의 굽어진 각도들을 측정해야 하는데, 상기 콧속 길이는 삽입체(33)에 표시된 눈금(34)을 보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콧속 통로의 굽어진 각도는 의사가 매번 삽입체(33)의 굽어진 정도를 약간씩 다르게 하여 삽입체(33)의 형태를 세팅한 다음 환자의 콧속에 넣어서 삽입체(33)가 부드럽게 잘 들어가는지 그리고 완전히 넣은 상태에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지 등을 살핌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도14 내지 도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a)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14는 도2에 대응되는 또 다른 코골이 환자의 수면중 머리 구조도로서, 연구개(17b)와 설근부(16a)가 늘어져서 인두를 좁게 만들어 코골이가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코골이 환자의 코골이 발생원인이 연구개(17b)의 늘어짐에 있다면 연구개(17b)만을 지탱하면 되지만,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17b)와 설근부(16a)가 모두 구인두(19)의 점막들과 협착하게 됨으로써 코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도3 내지 도12)에 설명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만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구개(17b)와 설근부(16a)를 각각 지지할 수 있는 2개의 팽창부들(41,42)을 구비한 변형된 형태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a)가 필요하게 된다(도15a 및 도15b 참조).
도15a 및 도1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a)를 도시하는데, 도15a는 상기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의 제1팽창부(41) 및 제2팽창부(42)가 팽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15b는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앞서 제1실시예(도3 내지 도12)에서는 도관(3)의 단부에 팽창부가 한 개씩만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관(3)의 단부에 2개의 팽창부들(41,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골이는 수면 중 연 구개(17b)가 구인두(19)를 막아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연구개(17b) 뿐만 아니라 혀(15)가 목 뒤쪽으로 함께 처지면서 구인두(19) 및 하인두(21)를 막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코골이의 발생 원인이 여러 가지이므로, 연구개(17b)와 설근부(16a)가 동시에 늘어져서 구인두(19) 및 하인두(21)를 막음으로써 코골이가 발생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수면 중에 연구개(17b) 뿐만 아니라 설근부(16a)도 늘어지지 않도록 지탱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구개와 설근부가 동시에 늘어져 코골이를 겪는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15a 및 도15b와 같이 도관(3)에 2개의 팽창부들(41,4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를 제시한다.
도관(3)을 콧속으로 삽입하였을 때에 연구개(17b)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팽창부(41)가 형성되며, 설근부(16a)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2팽창부(42)를 형성한다. 제1팽창부(41)와 제2팽창부(42)는 도관(3)이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잘라져 만들어진 도관가닥들(41a,42a)을 각각 가지며, 원위단(8)에 고정된 와이어(6)가 도관의 근위부 쪽으로 당겨지면 제1팽창부(41)의 도관가닥들(41a)이 활모양으로 굽어져 부풀어오르고, 이와 함께 제2팽창부(42)의 도관가닥들(42a)도 활모양으로 굽어져 부풀어오른다(도15 참조).
도15a 및 도15b에서 미설명부호 7은 제1팽창부(41)의 도관가닥들(41a)이 갈라진 부분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된 연결부를 가리키며, 도15b에서 도면부호 41' 및 42'는 제1 및 제2팽창부의 팽창된 상태를 가리킨다.
도16은 도15a 및 도15b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가 코골이 환자 의 콧속으로 삽입되어 제1팽창부(41') 및 제2팽창부(42')가 팽창됨으로써 연구개(17b)와 설근부(16a)를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2)의 구조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도7 및 도8 참조), 위치고정부(2)에서 와이어(6)를 권취하고 고정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17 및 도1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17 및 도18의 제3실시예는 위치고정부(60)의 구조를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르게 제시한 것이다.
도17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의 위치고정부(60)는 와이어(6)를 나사조임 방식으로 조였다 풀었다 한다. 도17의 코 지지대(61)는 제1실시예의 코 지지대(2c)와 구조가 동일하며, 코 지지대(61)위에 체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62)는 하우징(62a) 및 조임볼트부(62b)의 내부에 와이어(6)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있으며, 조임볼트부(62b)의 외부 표면은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볼트부(62b)는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고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볼트부(62b)의 위에 조임너트(63)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임너트(63)를 돌려 조임볼트부(62b)를 안쪽으로 조이면, 조임볼트부(62b)안의 와이어들(6)이 고정되게 된다.
코골이 환자가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를 콧속으로 삽입한 후 와이어 고정단(64)을 한 손으로 잡고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도관(3)의 팽창부(미도시)를 팽창시킨 후 다른 한 손으로 조임너트(63)를 조임볼트(62b)에 결합시킨 다음 조이면 쉽 게 와이어(6)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18은 도17에 도시된 와이어(6)의 근위부가 톱니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도시한다. 와이어(6)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톱니형상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일 부분(6a)에 대해서 톱니형상을 만들면 조임볼트(62b)에 의해서 보다 쉽게 파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연구개 또는 설근부가 구인두 및 하인두의 점막들과 협착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떨림으로써 코골이가 발생하는 환자들에게 특히 큰 효과가 있다. 기존의 치료방법 및 기구들은 수술에 의해 영구적인 변형을 가하거나 혹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후 간단히 자가 장착할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편하며 수술과 같은 침습적이고 비가역적인 치료방법이 아니라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사람의 코, 입 및 목구멍 부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머리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1은 정상인의 머리 구조도 혹은 코골이 환자의 깨어 있는 상태의 머리 구조도이고, 도2는 코골이 환자의 수면 중 연구개가 늘어져 인두를 좁게 만듦으로써 코골이가 발생하는 상태의 머리 구조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사시도들로서, 도3은 도관(3)의 원위부(遠位部, distal end)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4는 도관(3)의 원위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5 및 도6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단면도들로서, 도5는 도관(3)의 원위부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6은 도관(3)의 원위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7은 도2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의 위치고정부(2)를 중심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8은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11a는 도관(3)의 원위부를 팽창시켜 수면 중 연구개(17b)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11b는 도11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침을 삼키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연구개(17b)가 팽창부(4')를 압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를 코골이 환자의 코 안에 삽입하여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를 코골이 환자가 착용함에 있어 도관의 길이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정자(30)를 도시한다.
도14는 도2에 대응되는 또 다른 코골이 환자의 수면중 머리 구조도로서, 연구개(17b)와 설근부(16a)가 늘어져서 인두를 좁게 만들어 코골이가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5a 및 도1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a)를 도시하는데, 도15a는 상기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의 제1팽창부(41) 및 제2팽창부(42)가 팽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15b는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16은 도15a 및 도15b에 도시된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가 코골이 환자의 콧속으로 삽입되어 제1팽창부(41') 및 제2팽창부(42')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때 제1팽창부(41')는 연구개(17b)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제2팽창부(42')는 설근부(16a) 및 하인두(21)의 점막을 지지하여 하인두(21)가 막히지 않도록 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1b)의 사시도로서, 와이어(6)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60)가 나사조임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며, 도18은 도17에 도시된 와이어(6)의 근위부가 톱니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 2: 위치고정부
2a: 조절 릴(reel) 2b: 하우징
2c: 코 지지대 3: 도관
4,4': 팽창부 5: 원위단
6: 와이어 6a: 톱니형 와이어
7: 연결부 8: 단부
10: 코 10a: 콧구멍
11: 상비갑개 11a: 상비도
12: 중비갑개 12a: 중비도
13: 하비갑개 13a: 하비도
14: 비강 15: 구강
16: 혀 16a: 설근부
17: 구개 17a: 경구개
17b: 연구개 17c: 연구개 후단
18: 비인강 19: 인두
20: 후두개 21: 하인두
22: 후두 23: 기관
24: 식도 25: 성대
30: 측정자(ruler)
31: 삽입단부 32: 손잡이쪽 단부
33: 삽입부 34: 눈금
40,41a,42a: 팽창된 도관 가닥 41,41': 제1팽창부
42,42': 제2팽창부 60: 위치고정부
61: 코 지지대 62: 체결부
62a: 하우징 62b: 조임볼트부
63: 조임너트 64: 와이어 고정단
100: 사람얼굴 201: 내향 톱니바퀴
202: 외향 톱니바퀴 204: 스핀들
204a: 스핀들 단부 204b: 와이어 걸림고리
205: 와이어 통과공 206: 내부 원통
206a: 걸림턱 206b: 와이어 구멍
B1: 상기도(上氣道) B2: 하기도(下氣道)

Claims (14)

  1.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鼻腔)을 거쳐 비인강(鼻咽腔)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도관(導管);
    상기 도관(3)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원위단(遠位端, distal end)이 상기 도관(3)의 원위단에 고정된 와이어(6);
    상기 도관(3)의 원위단으로부터 근위부 쪽으로 소정 길이 만큼의 부분이 도관(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닥들로 분리되어 형성된 팽창부(4);
    상기 도관(3)의 근위단(近位端)에 결합되며 상기 도관이 사람의 콧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코 앞부분에 걸려짐으로써 도관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위치고정부(2);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4)가 사람의 비인강 안에서 연구개(軟口蓋) 뒤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6)를 도관의 근위부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상기 팽창부(4)의 도관가닥들(40)이 궁형(弓形)으로 굴곡되어 상기 팽창부(4)가 방사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연구개를 지지하여 인두(咽頭)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2)는,
    상기 도관(3)과 결합되며 사람의 코 앞부분에 걸려지는 코 지지대(2c);
    상기 코 지지대(2c) 위에 형성된 하우징(2b);
    상기 하우징(2b)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6)를 권취하는 스핀들(204); 및
    상기 스핀들(204)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b)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 릴(reel, 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 지지대(2c)에는 상기 도관(3)과 연결된 와이어 통과공(205)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6)의 근위부는 상기 와이어 통과공(205)을 지나 상기 스핀들(204)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또 하나의 도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관들은 사람의 좌우의 콧구멍들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도관들의 팽창부들은 연구개 뒤에 위치한 상태에서 팽창하여 연구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3)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 합금물질은 생체 적합성 및 생체 내구성이 있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3)의 직경은 0.1~10mm 이며, 상기 팽창부(4)는 팽창되었을 때의 직경이 1~3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재질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60)는,
    상기 도관(3)과 결합되며 사람의 코 앞부분에 걸려지는 코 지지대(61);
    상기 코 지지대(61) 위에 형성된 관형(管形) 부재로서 내부의 구멍으로 상기 와이어(6)를 통과시키고 외부 표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부(62); 및
    내부 표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62)의 외부 표면과 결합가능한 조임너트(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 지지대(61)에는 상기 도관(3)과 연결된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6)의 근위부는 상기 와이어 통과공을 지나고 상기 체결부(62)와 상기 조임너트(63)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10.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 및 비인강을 거쳐 하인두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도관(3);
    상기 도관(3)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끝부분이 상기 도관의 원위단에 고정된 와이어(6);
    상기 도관(3)이 콧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연구개 뒤에 위치하는 도관의 일부 길이 부분이 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닥들(41a)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1팽창부(41);
    상기 제1팽창부(41)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도관의 원위단까지 연장된 부분이 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닥들(42a)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2팽창부(42); 및
    상기 도관의 근위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관이 사람의 콧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코 앞부분에 걸려짐으로써 도관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위치고정부(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팽창부(41)가 사람의 비인강 안에서 연구개 뒤에 위치하고 상기 제2팽창부(42)가 후두개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6)를 도관의 근위부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상기 제1팽창부(41) 및 제2팽창부(42)의 도관가닥들(41a,42a)이 궁형(弓形)으로 굴곡되어 상기 팽창부들이 방사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각각 연구개 및 설근부와 하인두의 점막을 지지하여 상기도(上氣道)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2)는,
    상기 도관(3)과 결합되며 사람의 코 앞부분에 걸려지는 코 지지대(2c);
    상기 코 지지대(2c) 위에 형성된 하우징(2b);
    상기 하우징(2b)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6)를 권취하는 스핀들(204); 및
    상기 스핀들(204)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b)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 릴(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또 하나의 도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관들은 사람의 좌우의 콧구멍들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도관들의 제1팽창부들 및 제2팽창부들은 각각 연구개 뒤 및 후두개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팽창하여 연구개 및 설근부와 하인두의 점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13. 사람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을 거쳐 비인강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도관을 사람의 콧구멍 안으로 삽입하여 도관의 원위단을 비인강 안의 연구개 뒤에 위치시키는 제1단계;
    상기 도관 안에 설치되고 도관의 원위단에 고정된 와이어를 도관의 근위부 방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도관의 원위부를 팽창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끌어당겨진 와이어의 근위부를 상기 도관의 근위부에 결합된 위치고정부에 의해 고정시켜 상기 도관의 원위부를 팽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수면 중 연구개가 인두를 막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골이 방지 방법.
  14. 코골이 환자의 콧구멍으로부터 비강을 거쳐 비인강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콧속으로 삽입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가늘게 형성된 삽입부(33);
    상기 삽입부(33)의 표면에 표시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부(33)가 코골이 환자의 콧속으로 삽입된 길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눈금들(33); 및
    상기 삽입부(33)에 일체로 또는 별개의 부재로 결합되어 형성된 손잡이(32);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33)는 사람의 손의 힘에 의해서 구부려질 수 있을 정도로 소성변형이 가능하며 일단 손의 힘으로 구부려진 후에는 콧속의 경로를 따라 삽입되는 도중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탄성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의 시술 준비를 위한 측정자.
KR1020070088299A 2007-08-31 2007-08-31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KR20090022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299A KR20090022709A (ko) 2007-08-31 2007-08-31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299A KR20090022709A (ko) 2007-08-31 2007-08-31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709A true KR20090022709A (ko) 2009-03-04

Family

ID=4069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299A KR20090022709A (ko) 2007-08-31 2007-08-31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7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551B1 (ko) * 2009-04-03 2012-01-30 임학규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구
WO2012127193A1 (en) * 2011-03-24 2012-09-27 Grace Christopher Alec Breathing device
US20210030584A1 (en) * 2018-06-29 2021-02-04 Xiaoniu Health Co., Ltd. Nasopharynx stent for anti-snoring
KR20240077511A (ko) 2022-11-22 2024-06-03 양호철 김 천연색소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551B1 (ko) * 2009-04-03 2012-01-30 임학규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구
WO2012127193A1 (en) * 2011-03-24 2012-09-27 Grace Christopher Alec Breathing device
US20210030584A1 (en) * 2018-06-29 2021-02-04 Xiaoniu Health Co., Ltd. Nasopharynx stent for anti-snoring
KR20240077511A (ko) 2022-11-22 2024-06-03 양호철 김 천연색소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3411B2 (ja) 睡眠時無呼吸を治療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8857439B2 (en) Variable automated tissue retention system
US8613283B2 (en)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AU715670B2 (en) Oral appliance for reducing sleep apnea and snoring
US8347890B2 (en) Automated tissue retention system
US10492932B2 (en) Device for splinting a cavity, organ duct and/or vessel
JP6899380B2 (ja) 口腔器具
JP2021519158A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
US8277477B2 (en) Mechanically deployable upper airway stent
EP2688529B1 (en) Aid for supporting of jaw angle
KR100618457B1 (ko) 수면 중 코골기 및 호흡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US966891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KR200461738Y1 (ko)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KR20090022709A (ko)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구 및 코골이 방지 방법
KR101108551B1 (ko)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구
KR20090062087A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를 위한 구개 이식편과 설이식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