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167A - 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y - Google Patents

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167A
KR20090018167A KR1020087031704A KR20087031704A KR20090018167A KR 20090018167 A KR20090018167 A KR 20090018167A KR 1020087031704 A KR1020087031704 A KR 1020087031704A KR 20087031704 A KR20087031704 A KR 20087031704A KR 20090018167 A KR20090018167 A KR 2009001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inclusions
mns
aci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쯔히로 사사이
와따루 오오하시
겐이찌 야마모또
가오루 가와사끼
히로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3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1346B2/en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1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A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ies. The steel sheet contains 0.03-0.20% C, 0.08-1.5% Si, 1.0-3.0% Mn, up to 0.05% P, at least 0.0005% S, 0.0005-0.01% N, up to 0.01% acid-soluble Al, less than 0.008% acid-soluble Ti, and 0.0005-0.04% at least either of Ce and La, the remainder being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steel sheet contains stretched inclusions which have a diameter, in terms of equivalent-circle diameter, of 1 mum or larger and in which the ratio of the major-axis length to the minor-axis length is 5 or higher, in a proportion of 20% or higher by number.

Description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Y}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ies {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Y}

본 발명은 자동차용 주변 부재의 소재로서 적합한,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ich is suitable as a raw material for automobile peripheral members.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과 환경 보전으로 연결되는 연비 향상의 관점에서 자동차용 열연 강판의 고강도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용 부품 중에서도 특히 주변계라고 불리는 프레임류나 아암류 등의 중량은 차체 전체의 중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부위에 사용되는 소재를 고강도화하는 것에 의해 박육화함으로써, 그 경량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주변계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행 중인 진동에 대한 내구성의 관점에서 높은 피로 특성이 요구된다.The demand for high strength and light weight of automotive hot rolled sheet is increasing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fuel efficiency, which leads to improved safety of vehicl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mong the automobile parts, in particular, the weight of frames, arms, etc., called the peripheral system, has a high proportion of the weight of the entire vehicle body. Therefore, the weight reduction can be realized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used for such sites, thereby realizing the weight reduction. . In addition, the material used for this peripheral system requires high fatigue characteristics in view of durability against vibrations in running.

그러나, 고강도화, 내피로성에 수반하여 구멍 확장성은 연성과 마찬가지로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복잡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자동차의 주변계 등으로의 고강도 강판의 적용에 있어서는, 그 구멍 확장성이 중요한 검토 과제가 된다.However, with high strength and fatigue resistance, hole expandability tends to be lowered similarly to ductility, and the hole expandability becomes an important examination subject in the application of high strength steel sheet to a peripheral system of a vehicle having a complicated shape. .

이로 인해, 기계적 강도 특성과, 피로 특성과 구멍 확장성(가공성)을 양립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몇개의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 11-199973호 공보에는 페라이트상과 마텐자이트상의 복합 조직 강판 중에 미세한 Cu의 석출 또는 고용체를 분산시킨 강판(일반적으로 DP 강판이라고 함)이 제안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평11-199973호 공보에 나타내는 개시 기술에 있어서는, 고용되어 있는 Cu 혹은 Cu 단독으로 구성되는 입자 사이즈가 2 ㎚ 이하인 Cu 석출물이 피로 특성 향상에 매우 유효하고, 또한 가공성도 손상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각종 성분의 조성비를 한정하고 있다.For this reason, some steel sheets for the purpose of making both mechanical strength characteristics, fatigue characteristics, and hole expandability (processability) compatible are propos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99973 proposes a steel sheet (generally referred to as a DP steel sheet) in which fine Cu precipitates or solid solutions are dispersed in a ferritic and martensite phase composite steel sheet. In the disclosed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99973, Cu precipitates having a particle size of 2 nm or less composed of solid solution of Cu or Cu alone are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fatigue properties, and workability is not impaired. It is discovered that the composition ratio of various components is limited.

이러한 DP 강판은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나 피로 특성은 우수하나, 구멍 확장 시험에서 평가되는 연신 플랜지성은 여전히 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DP 강판은 연질인 페라이트상과 경질인 마텐자이트상의 복합체이기 때문에, 구멍 확장 가공 시에 양 상의 경계부가 변형에 추종할 수 없어 파단의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t is known that such a DP steel sheet has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ductility and fatigue properties, but is still inferior in stretch flangeability evaluated in the hole expansion test.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DP steel sheet is a composite of a soft ferrite phase and a hard martensite phase, and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boundary portions of both phases cannot easily follow the deformation during hole expansion processing, and thus tend to be a starting point of breakage.

이에 대해 피로 특성뿐만 아니라, 최근의 휠이나 주변 부재의 재료에 요구되는 엄격한 연신 플랜지성의 요구를 충족시킨 고강도 열연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00331호 공보 참조). 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00331호 공보의 개시 기술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저C화함으로써 주상을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하는 동시에, 고용 강화 또는 석출 강화한 페라이트 조직을 적절한 체적 비율로 함유시켜, 이들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경도차를 작게 하고, 또한 조대한 탄화물의 생성을 회피하는 것 등을 요지로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which satisfies not only the fatigue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stringent stretch flangeability required for the materials of recent wheels and peripheral members has been proposed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00331). ).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00331, as low as possible, the columnar phase is made of bainite structure, and the ferrite structure in whic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or precipitation strengthening is contained at an appropriate volume ratio, The main purpose is to reduce the hardness difference of bainite and to avoid the formation of coarse carbides.

상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003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강판 조직을 베이나이트상 주체로 하여, 조대한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한 고강도 열연 강판은 확실히 우수한 연신 플랜지성을 나타내지만, Cu를 함유한 DP 강판에 비해 그 피로 특성은 반드시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조대한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한 것만으로는 엄격한 구멍 확장 가공을 행한 경우에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원인은 강판 중의 MnS를 주체로 하는 연신된 황화물계 개재물의 존재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복 변형을 받으면 표층 또는 그 근방에 존재하는 연신된 조대한 MnS계 개재물의 주변에 내부 결함이 발생하여, 균열로서 전파됨으로써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는 동시에, 마찬가지로 연신된 조대한 MnS계 개재물은 구멍 확장 가공 시의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강 중의 MnS계 개재물을 가능한 한 연신시키지 않고 미세 구형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coarse carbides using the steel sheet structu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00331 as a bainite-like main body exhibits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but contains Cu. Compared with the DP steel sheet, the fatigue characteristics are not necessarily superior. Moreover, only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coarse carbides does not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case of strict hole expans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studies of the present inventors, it was found that the cause of these was in the presence of elongated sulfide-based inclusions mainly composed of MnS in the steel sheet. Repeated deformation causes internal defects in the vicinity of the stretched coarse MnS inclusions present in or near the surface layer, propagating as cracks, deteriorating fatigue characteristics, and similarly extending the coarse MnS inclusions in the hole expansion process.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breakage of poetry.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make it spherical-shaped, without extending | stretching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in steel as much as possible.

그러나, Mn은 C나 Si와 함께 재료의 고강도화에 유효하게 기여하는 원소이므로, 고강도 강판에서는 강도 확보를 위해 Mn의 농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2차 정련 공정에서 탈S의 중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S 농도도 50 ppm 이상은 포함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주조편 중에는 MnS가 존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주조편이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되면, MnS는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연신된 MnS계 개재물이 되고, 이것이 피로 특성과 연신 플랜지성(구멍 확장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MnS의 석출ㆍ변형 제어의 시점에서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을 제안한 예는 보이지 않는다.However, since Mn is an element that effectively contributes to the high strength of the material together with C and Si, it is common to set a high concentration of Mn in order to secure strength in high strength steel sheets, and also to perform heavy treatment of de-S in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If not implemented, S concentration will also contain 50 ppm or more.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for MnS to exist in a casting piece. When the cast piece is hot-rolled and cold-rolled, MnS tends to deform, and thus becomes a stretched MnS-based inclusion, which causes a decrease in fatigue characteristics and stretch flangeability (hole expansion workability). However, no example has been proposed of a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precipitation and deformation control of MnS.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주조편 중에 미세한 MnS로서 석출시키고, 또한 압연 시에 변형을 받지 않고,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어려운 미세 구형상 개재물로서 강판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을 향상시킨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deposit as fine MnS in a cast piece, and to receive it as a fine spherical inclusion that is hardly deformed during rolling and becomes a starting point of cracking. It is providing the high strength steel plate excellent in the stretch flange property and fatigue property which extended | stretched the stretch flange proper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 by disperse | distributing in a steel plat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주조편 중에 미세한 MnS로서 석출시키고, 또한 압연 시에 변형을 받지 않고,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어려운 미세 구형상 개재물로서 강판 중에 분산시키는 방법 및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첨가 원소의 해명을 중심으로 예의 연구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 Ce, La의 첨가에 의한 탈산에 의해 생성된 미세하고 경질인 Ce 산화물, La 산화물, 세륨옥시설파이드, 란탄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되어, 압연 시에도 이 석출된 MnS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강판 중에는 연신된 조대한 MnS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반복 변형 시나 구멍 확장 가공 시에 있어서, 이들 MnS계 개재물이 깨짐 발생의 기점이나 균열 전파의 경로가 되기 어려워져, 이것이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로성 등의 향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해명하였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mentioned above, this inventor precipitates as a fine MnS in a cast piece, and it does not receive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t the time of rolling, and disperse | distributes in a steel plate as a fine spherical inclusion which is hard to become a starting point of a crack generation, and fatigue The earnest research was carried out mainly on the clarification of additional elements that do not deteriorat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MnS is precipitated on the fine and hard Ce oxide, La oxide, cerium oxysulfide, and lanthanum oxysulfide formed by deoxidation by the addition of Ce and La, and deformation of the precipitated MnS occurs even during rolling. Because of the difficulty, the stretched coarse MnS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eel sheet, and these MnS inclusions are less likely to be a starting point of crack generation or a path of crack propagation at the time of repeated deformation or hole expansion processing. Likewise, it was explained that the connection to the improvement of fatigue resistance and the like.

본 발명에 관한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The summary of the high strength steel plate which is excellent in the stretch flange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1)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긴 직경/짧은 직경이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remainder be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present in the steel sheet It is an inclusion of 1 micrometer or more of circular equivalent diameters, and the number ratio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s whose long diameter / short diameter is 5 or more is 20% or le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2)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을 개수 비율로 10 %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and the remainder is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10% or more of inclusions in which MnS precipitated on the oxide or oxiso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La in number ratio.

(3)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긴 직경/짧은 직경이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4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3)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remainder be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present in the steel shee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volume equivalent density of 1 μm or more in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and a stretched inclusion in which the long diameter / short diameter is 5 or more is 1.0 × 10 4 pieces / s or less.

(4)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4)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and the remainder is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inclusions in which MnS is deposited on an oxide or an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La is characterized by being 1.0 × 10 3 / dl or more.

(5)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긴 직경/짧은 직경이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5)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remainder be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present in the steel sheet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the inclusion having a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1 µm or more and an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tretch inclusion having a long diameter / short diameter of 5 or more being 10 µm or less.

(6)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이 존재하고, 상기 개재물 중에 평균 조성으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를 0.5 내지 5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6)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and the remainder is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Inclusions in which MnS is precipitated on an oxide or oxiso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La, and containing 0.5 to 50% by mass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in an average composition in the inclusions. A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7) 질량%로, C : 0.03 내지 0.20 %, Si : 0.08 내지 1.5 %, Mn : 1.0 내지 3.0 %, P : 0.05 % 이하, S : 0.0005 % 이상, N : 0.0005 내지 0.01 %, 산가용 Al : 0.01 % 이하, 산가용 Ti : 0.008 % 미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Ce + La)/S비가 0.1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7) In mass%, C: 0.03 to 0.20%, Si: 0.08 to 1.5%, Mn: 1.0 to 3.0%, P: 0.05% or less, S: 0.0005% or more, N: 0.0005 to 0.01%, acid value Al : 0.01% or less, acid value Ti: less than 0.008%,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in total, the remainder being iron and inevitable impurities, (Ce + La) High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 S ratio is 0.1 to 70.

(8) 질량%로, Nb : 0.01 내지 0.10 %, V : 0.01 내지 0.05 %, Cr : 0.01 내지 0.6 %, Mo : 0.01 내지 0.4 %, B : 0.0003 내지 0.03 %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8) In mass%, any one or two or more of Nb: 0.01 to 0.10%, V: 0.01 to 0.05%, Cr: 0.01 to 0.6%, Mo: 0.01 to 0.4%, B: 0.0003 to 0.03%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ies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balance is a steel sheet comprising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도1은 Ce + La(%)와 S(%)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 + La (%) and S (%).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이하, 조성에 있어서의 질량%는 단순히 %로 기재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s an optimal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the high strength steel plate excellent in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is demonstrated in detail. Hereinafter, the mass% in a composition is described simply as%.

우선,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른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experiment to complete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본 발명자는 C : 0.07 %, Si : 0.2 %, Mn : 1.2 %, P : 0.01 % 이하, S : 0.005 %, N : 0.003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인 용강에 대해 다양한 원소를 사용하여 탈산을 행하여 강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강괴를 열간 압연하여 3 ㎜의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이들 제조된 열연 강판을 구멍 확장 시험 및 피로 시험에 제공하는 동시에, 강판 중의 개재물 개수 밀도, 형태 및 평균 조성을 조사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deoxidized using various elements for molten steel containing C: 0.07%, Si: 0.2%, Mn: 1.2%, P: 0.01% or less, S: 0.005%, N: 0.003%, and the balance is Fe. To produce a steel ingot. The obtained steel ingot was hot rolled to obtain a 3 mm hot rolled steel sheet. These prepared hot rolled steel sheets were used for hole expansion tests and fatigue tests, and the number of densities, forms, and average compositions of inclusions in the steel sheets were examined.

그 결과, Al에 의해 거의 탈산하지 않고, Si를 첨가한 후, 적어도 Ce, La를 첨가하여 탈산한 강판이 가장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Ce, La의 첨가에 의한 탈산에 의해 생성된 미세하고 경질인 Ce 산화물, La 산화물, 세륨옥시설파이드, 란탄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되어, 압연 시에도 이 석출된 MnS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강판 중에는 연신된 조대한 MnS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그 결과, 반복 변형 시나 구멍 확장 가공 시에 있어서, 이들 MnS계 개재물이 깨짐 발생의 기점이나 균열 전파의 경로가 되기 어려워져, 이것이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로성 등의 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eel sheet hardly deoxidized by Al, and after the addition of Si, was deoxidized by adding at least Ce and La, had the bes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The reason is that MnS is precipitated on the fine and hard Ce oxide, La oxide, cerium oxysulfide, and lanthanum oxysulfide formed by the deoxidation by the addition of Ce and La, which causes deformation of the precipitated MnS even during rolling. Since it is difficult, elongated coarse MnS decreases remarkably in a steel plate. As a result, these MnS inclusions are less likely to be a starting point of crack generation or a path of crack propagation at the time of repeated deformation or hole expansion, which leads to improvement in fatigue resistance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또한, Ce 산화물, La 산화물, 세륨옥시설파이드 및 란탄옥시설파이드가 미세화되는 이유는 최초에 Si 탈산으로 생성한 SiO2계 개재물을 나중에 첨가한 Ce, La가 환원 분해되어 미세한 Ce 산화물, La 산화물, 세륨옥시설파이드 및 란탄옥시설파이드를 형성하는 것, 또한 생성된 Ce 산화물, La 산화물, 세륨옥시설파이드 및 란탄옥시설파이드 자체와 용강의 계면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생성 후의 응집 합체도 억제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Ce oxide, La oxide, cerium oxysulfide, and lanthanum oxysulfide are miniaturized because Ce and La, which are later added with SiO 2 inclusions, which are initially produced by Si deoxidation, are reduced and decomposed to fine Ce oxides, La oxides, and cerium. This is because the formation of oxysulphide and lanthanum sulphide is also suppressed, and the agglomeration after production is also suppressed because the interfacial energy between the produced Ce oxide, La oxide, cerium oxysulphide, and lanthanum sulphide itself and molten steel is low.

이들 실험적 검토로부터 얻어진 지견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강판의 화학 성분 조건의 검토를 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Based on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al studies, the present inventors studied the chemical composition conditions of the steel sheet as described below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성분을 한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reason which limited the chemical component i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C는 강의 켄칭성과 강도를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소로, 켄칭 경화층의 경도 및 깊이를 높여 피로 강도의 향상에 대해 유효하게 기여한다. 즉, 이 C는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고, 고강도 강판을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3 %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C가 과잉으로 포함되면, 종래와 같이 Ti 탄화물 생성에 의해 C를 고정하거나, 냉각 조건을 구사해도, 시멘타이트상이 생성되어 버린다. 이 시멘타이트상은 강판의 가공 경화를 유기하여, 연신 플랜지 특성의 향상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C의 농도를 0.20 % 이하로 한다.C is the most basic element that controls the hardenability and strength of steel, and contributes effectively to the improvement of fatigue strength by increasing the hardness and depth of the hardened hardened layer. That is, this C is an essential element in order to ensure the strength of a steel plate, and at least 0.03% is required in order to obtain a high strength steel plate. However, when this C is contained excessively, cementite phas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even if C is fixed by Ti carbide production or the cooling conditions are used conventionally. This cementite phase induces work hardening of the steel sheet and is not preferable for improving the stretch flange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C is made into 0.20% or less from a viewpoint of improving workability.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Si는 본 발명과 같이 Al이나 Ti를 최대한 첨가하지 않은 용강에 있어서 주요한 탈산 원소가 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Si는 켄칭 가열 시에 오스테나이트의 핵생성 사이트수를 증가시켜,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성장을 억제하는 동시에, 켄칭 경화층의 입경을 미세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Si는 탄화물 생성을 억제하여, 탄화물에 의한 입계 강도의 저하를 억제한다. 또한, 이 Si는 베이나이트 조직의 생성에 대해서도 유효하고, 재료 전체의 강도 확보의 관점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용강 중의 용존 산소 농도를 저하시켜, 일단 SiO2계 개재물을 생성시키기 위해서는(이 SiO2계 개재물을 나중에 첨가하는 Ce, La로 환원함으로써 개재물을 미세화시키기 위해서는), Si를 0.08 %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Si의 하한을 0.08 %로 하였다. 이에 대해, Si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개재물 중의 SiO2 농도가 높아져 대형 개재물이 생성되기 쉬워지고, 또한 인성과 연성이 극단적으로 나빠져, 표면 탈탄이나 표면 손상이 증가하므로 피로 특성이 오히려 나빠진다. 이에 덧붙여서, Si를 과잉으로 첨가하면 용접성이나 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Si의 상한을 1.5 %로 하였다.Since Si becomes a major deoxidation element in molten steel which does not add Al or Ti to the maximum like this invention, it is very important in this invention. In addition, Si increases the number of nucleation sites of austenite at the time of quenching heating, suppresses grain growth of austenite, and plays a function of miniaturizing the particle size of the hardened layer. This Si suppresses the formation of carbides and suppresses the decrease in grain boundary strength due to carbides. In addition, this Si is effective also in the generation of bainite structur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securing the strength of the entire material. In order to lower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 molten steel and to produce SiO 2 inclusions once (in order to refine the inclusions by reducing the SiO 2 inclusions later with Ce and La added later), it is necessary to add 0.08% or more of Si. have.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the minimum of Si was made into 0.08%.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Si is too high, increases the SiO 2 concentration in the inclusion becomes easily large inclusions are generated, and also deteriorates the toughness and ductility extreme, increasing the surface decarburization and surface damage, because the fatigue characteristics fall more or. In addition, excessive addition of Si adversely affects weldability and ductility.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the upper limit of Si was made in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Mn은 제강 단계에서의 탈산에 유용한 원소이고, C, Si와 함께 강판의 고강도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 Mn을 1.0 % 이상은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Mn을, 3.0 %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Mn의 편석이나 고용 강화의 증대에 의해 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용접성이나 모재 인성도 열화되므로 이 Mn의 상한을 3.0 %로 한다.Mn is an element useful for deoxidation in the steelmaking step, and is an element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together with C and Si. In order to acquire such an effect, it is necessary to contain 1.0% or more of this Mn. However, when Mn is contained exceeding 3.0%, ductility falls by segregation of Mn and increase of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Moreover, since weldability and base material toughness also deteriorate, the upper limit of this Mn is made in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P는 Fe 원자보다도 작은 치환형 고용 강화 원소로서 작용하는 점에 있어서 유효하지만, 오스테나이트의 입계에 편석하여 입계 강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비틀림 피로 강도를 저하시켜, 가공성의 열화가 우려되므로 0.05 % 이하로 한다. 또한, 고용 강화의 필요가 없으면 P를 첨가할 필요는 없고, P의 하한값은 0 %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P is effective in acting as a substitutional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smaller than Fe atoms, but segregates at the grain boundaries of austenite and lowers grain boundary strength, thereby reducing torsional fatigue strength and deteriorating workability. do. In addition, if there is no need of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it is not necessary to add P and the lower limit of P shall contain 0%.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S는 불순물로서 편석하고, S는 MnS의 조대한 연신 개재물을 형성하여 연신 플랜지성을 열화시키므로, 최대한 저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연신 플랜지성을 확보하기 위해, S의 농도를 0.0005 % 미만까지 극저황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미세하고 경질인 Ce 산화물, La 산화물, 세륨옥시설파이드, 란탄옥시설파이드 상에 MnS를 석출시켜, 압연 시에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 개재물의 연신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S의 농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다.Since S segregates as impurities and S forms coarse stretched inclusions of MnS and degrades stretch flange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entration be as low as possible. Conventionally, in order to ensure stretch flangeability, it was necessary to make the concentration of S extremely low to less than 0.0005%.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MnS is deposited on fine and hard Ce oxides, La oxides, cerium oxysulfides, and lanthanum oxysulfides, and deformation is unlikely to occur during rolling, thereby preventing the stretching of inclusions.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e concentration of S is Not particularly specified

또한, S 농도를 종래 통상의 0.0005 % 미만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2차 정련에서 탈황 처리를 상당히 강화할 필요가 있어, 그 농도를 실현시키기 위한 탈황 처리 비용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또한 MnS를 형태 제어한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워지므로 S 농도의 하한값은 0.0005 %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S concentration to less than the conventional 0.0005%, it is necessary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in the secondary refining, and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cost for realizing the concentration becomes excessively high, and the effect of form control of the MnS is Since it becomes difficult to express, the lower limit of S concentration shall be 0.0005%.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N은 용강 처리 중에 공기 중의 질소가 혼입되므로, 강 중에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원소이다. N은 Al, Ti 등과 질화물을 형성하여 모재 조직의 세립화를 촉진한다. 그러나, 이 N을 지나치게 첨가하면, 미량 Al이나 미량 Ti라도 조대한 석출물을 생성하여, 연신 플랜지성을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N의 농도의 상한을 0.01 %로 한다. 한편, N의 농도를 0.0005 % 미만으로 하기 위 해서는 비용이 높아지므로 0.0005 %를 하한으로 한다.N is an element that is inevitably mixed in the steel because nitrogen in the air is mixed during the molten steel treatment. N forms nitrides such as Al, Ti and the like to promote fine grain formation of the base metal structure. However, when this N is added too much, even coarse precipitates will be produced even in trace amounts Al and trace amounts Ti,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stretch flangeability.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the upper limit of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N is made into 0.01%.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N concentration less than 0.0005%, since cost becomes high, let 0.0005% be a lower limit.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Al은 그 산화물이 클러스터화되어 조대되기 쉬워,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비적인 탈산재로서 0.01 %까지는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는, 산가용 Al 농도가 0.01 % 초과가 되면, 개재물 중의 Al2O3 함유율이 50 %를 초과하여 개재물의 클러스터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클러스터화 방지의 관점에서 산가용 Al 농도는 낮은 쪽이 좋고, 하한값은 0 %를 포함한다. 또한, 산가용 Al 농도라 함은, 산에 용해된 Al의 농도를 측정한 것으로, 용존 Al은 산에 용해되고, Al2O3는 산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이용한 분석 방법이다. 여기서, 산이라 함은, 예를 들어 염산 1, 질산 1, 물 2의 비율(질량비)로 혼합한 혼합산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을 사용하여, 산에 가용한 Al과, 산에 용해되지 않는 Al2O3로 분별할 수 있어, 산가용 Al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restrain acid value Al as much as the oxide clusters and it is easy to coarse, and deteriorates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acceptable to use it as 0.01% as a preliminary deoxidizer. This is because when the acid value Al concentration exceeds 0.01%, the Al 2 O 3 content in the inclusions exceeds 50% and clustering of inclusions occurs.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lustering, the acid value Al concentration is preferably lower, and the lower limit contains 0%. In addition, the acid-soluble Al concentration is a measure of the concentration of Al dissolved in an acid, and is an analysis method using dissolved Al dissolved in an acid and Al 2 O 3 not dissolved in an acid. Here, an acid can illustrate the mixed acid mixed with the ratio (mass ratio) of hydrochloric acid 1, nitric acid 1, and water 2, for example. Using such an aci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l soluble in an acid and Al 2 O 3 which is not soluble in an acid, and the acid value Al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산가용 Ti도 그 산화물이 클러스터화되어 조대해지기 쉽고, 강 중의 N과 연결되어 조대한 TiN의 개재물을 생성하기 쉬우므로, 산가용 Ti는 0.008 % 미만으로 하고, 하한값은 0 %를 포함한다. 또한, 산가용 Ti 농도라 함은, 산에 용해된 Ti의 농도를 측정한 것으로, 용존 Ti는 산에 용해되고, Ti 산화물은 산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이용한 분석 방법이다. 여기서, 산이라 함은, 예를 들어 염산 1, 질산 1, 물 2의 비율(질량비)로 혼합한 혼합산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을 사용하여, 산에 가용한 Ti와, 산에 용해되지 않는 Ti 산화물로 분별할 수 있어, 산가용 Ti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acid value Ti also tends to be coarse and coarse in oxides, and easily forms coarse TiN inclusions in connection with N in the steel, so that the acid value Ti is less than 0.008% and the lower limit contains 0%. In addition, the acid value Ti concentration measured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Ti melt | dissolved in the acid, and is an analysis method using dissolved Ti dissolving in an acid and Ti oxide not dissolving in an acid. Here, an acid can illustrate the mixed acid mixed with the ratio (mass ratio) of hydrochloric acid 1, nitric acid 1, and water 2, for example. Using such an aci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i soluble in acid and Ti oxide insoluble in the acid, and the acid value Ti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Total of 1 or 2 types of Ce or La: 0.0005 to 0.04%

Ce, La는 Si 탈산에 의해 생성된 SiO2를 환원하여, MnS의 석출 사이트가 되기 쉽고, 또한 경질이고, 미세하여 압연 시에 변형되기 어려운 Ce 산화물(예를 들어, Ce2O3, CeO2), 세륨옥시설파이드(예를 들어, Ce2O2S), La 산화물(예를 들어, La2O3, LaO2), 란탄옥시설파이드(예를 들어, La2O2S), Ce 산화물-La 산화물, 혹은 세륨옥시설파이드-란탄옥시설파이드를 주상(50 % 이상을 목표로 함)으로 하는 개재물을 형성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Ce and La reduce SiO 2 produced by Si deoxidation, and are Ce oxides which are easy to become precipitation sites of MnS and are hard and fine and difficult to deform during rolling (for example, Ce 2 O 3 , CeO 2). ), Cerium oxysulfide (e.g. Ce 2 O 2 S), La oxide (e.g. La 2 O 3 , LaO 2 ), lanthanum oxysulfide (e.g. La 2 O 2 S), Ce oxide -La oxide or cerium oxysulfide-lanthanum oxysulfide has the effect of forming an inclusion having a main phase (targeting 50% or more).

여기서, 상기 개재물 중에는 탈산 조건에 의해 MnO, SiO2, 혹은 Al2O3를 일부 함유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상이 상기 산화물이면 MnS의 석출 사이트로서 충분히 기능하고, 또한 개재물의 미세ㆍ경질화의 효과도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개재물을 얻기 위해서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농도를 0.0005 % 이상 0.04 %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농도가 0.0005 % 미만에서는 SiO2 개재물을 환원할 수 없고, 0.04 % 초과에서는 세륨옥시설파이드, 란탄옥시설파이드가 다량으로 생성되어, 조대한 개재물이 되어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킨다.The inclusions may contain a part of MnO, SiO 2 , or Al 2 O 3 under deoxidation conditions. However, if the main phase is the oxide, the inclusions function sufficiently as precipitation sites of MnS, and the effect of micro-hardening of inclusions is also included. There is no damage. In order to obtain such inclusions, the total concentration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needs to be 0.0005% or more and 0.04% or less. When the total concentration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is less than 0.0005%, SiO 2 inclusions cannot be reduced, and when the total concentration of Ce or La is less than 0.0005%, a large amount of cerium oxysulfide and lanthanum oxysulfide are generated, resulting in coarse inclusions. Deteriorates the intellect or fatigue properties.

Nb : 0.01 내지 0.10 %Nb: 0.01% to 0.10%

Nb는 C 혹은 N과 탄화물, 질화물,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모재 조직의 세립화를 촉진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 %가 필요하다. 그러나, 0.10 %를 초과하여 다량으로 함유해도 효과가 포화되어, 비용이 높아지므로 0.10 %를 상한으로 한다.Nb forms carbides, nitrides, and carbonitrides with C or N to promote granulation of the matrix tissue. In order to acquire this effect, at least 0.01% is required. However, even if it contains in large quantities exceeding 0.10%, since an effect will be saturated and a cost will become high, 0.10% shall be an upper limit.

V : 0.01 내지 0.05 %V: 0.01 to 0.05%

V는 C 혹은 N과 탄화물, 질화물,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모재 조직의 세립화를 촉진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 %가 필요하다. 그러나, 0.05 %를 초과하여 다량으로 함유해도 효과가 포화되어, 비용이 높아지므로 0.05 %를 상한으로 한다.V forms carbides, nitrides, and carbonitrides with C or N to promote granulation of the matrix tissue. In order to acquire this effect, at least 0.01% is required. However, even if it contains in large quantities exceeding 0.05%, since an effect becomes saturated and a cost becomes high, it makes 0.05% an upper limit.

Cr : 0.01 내지 0.6 %Cr: 0.01 to 0.6%

Cr은 강의 켄칭성을 향상시키므로,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함유할 수 있고,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 %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량의 함유는 오히려 강도-연성의 밸런스를 열화시킨다. 그로 인해, 0.6 %를 상한으로 한다.Since Cr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it can contain as needed in order to ensure the strength of a steel plate, and at least 0.01% is required in order to acquire this effect. However, a large amount of content rather deteriorates the strength-ductility balance. Therefore, 0.6% is made into an upper limit.

Mo : 0.01 내지 0.4 %Mo: 0.01% to 0.4%

Mo는 강의 켄칭성을 향상시키므로,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함유할 수 있고,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 %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량의 함유는 오히려 강도-연성의 밸런스를 열화시킨다. 그로 인해, 0.4 %를 상한으로 한다.Since Mo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it can contain as needed in order to ensure the strength of a steel plate, and at least 0.01% is required in order to acquire this effect. However, a large amount of content rather deteriorates the strength-ductility balance. Therefore, 0.4% is made into an upper limit.

B : 0.0003 내지 0.003 %B: 0.0003 to 0.003%

B는 강의 켄칭성을 향상시키고, 입계를 강화시키므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함유할 수 있고,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03 %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량의 함유는 오히려 강의 청정성을 손상시키고, 연성을 열화시킨다. 그로 인해, 0.003 %를 상한으로 한다.Since B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strengthens a grain boundary, it can contain as needed in order to improve workability, and at least 0.0003% is needed in order to acquire this effect. However, a large amount of content rather impairs the cleanliness of the steel and degrades the ductility. Therefore, 0.003% is made into an upper limit.

다음에, 본 발명의 강판 중에 있어서의 개재물의 존재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강판이라 함은, 열간 압연, 혹은 또한 냉간 압연을 경유하여 얻어진 압연 후의 판을 의미하고 있다.Next, the existence conditions of the inclusions in the steel plate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addition, the steel plate means the plate after the rolling obtained via hot rolling or cold rolling.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강판을 얻기 위해서는, 깨짐 발생의 기점이나 깨짐 전파의 경로가 되기 쉬운 연신된 조대한 MnS계 개재물을 강판 중에서 가능한 한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원상당 직경 1 ㎛ 미만의 MnS계 개재물은 깨짐 발생 기점으로서는 무해하고,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것을 실험적으로 지견하고 있고, 또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등에 의한 관찰도 용이하므로, 강판에 있어서의 원상당 직경이 1 ㎛ 이상의 개재물을 대상으로 하여, 그 형태 및 조성을 조사하여, MnS계 개재물의 분포 상태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원상당 직경이라 함은, 단면 관찰한 개재물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으로부터, (긴 직경 × 짧은 직경)0.5로서 구한 것으로 정의한다.In order to obtain a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tretched coarse MnS-based inclusions that are likely to be a starting point of crack generation or a path of crack propagation as much as possible in the steel sheet. The inventors have experimentally found that MnS-based inclusions having a circular equivalent of less than 1 µm in diameter are harmless as a starting point of cracking, and do not deteriorate stretch flangeability or fatigue characteristics. Since observation with a microscope (SEM) etc. is also easy,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circular equivalent in a steel plate of 1 micrometer or more were investigated, and the distribution state of the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was evaluated. Here, circle equivalent diameter is defined as what was calculated | required as (long diameter x short diameter) 0.5 from the long diameter and the short diameter of the interference | inclusion observed with cross section.

또한, MnS계 개재물의 원상당 직경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 만, 현실적으로는 1 ㎜ 정도의 MnS계 개재물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equivalent circular diameter of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is not specifically prescribed,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of about 1 mm may be observed in reality.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은 SEM을 사용하여 랜덤하게 선택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복수개(예를 들어, 50개 정도)의 개재물을 조성 분석하는 동시에, 개재물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을 SEM상으로부터 측정한다. 여기서 연신 개재물을, 긴 직경/짧은 직경(연신 비율)이 5 이상인 개재물로 할 때, 검출한 상기 연신 개재물의 개수를, 조사한 전체 개재물 개수(상술한 예로 말하면 50개 정도)로 나눔으로써, 상기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을 구할 수 있다.The number ratio of stretched inclusions is analyzed by SEM using a plurality of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more (for example, about 50) or more randomly selected using a SEM, and the long and short diameters of the inclusions are measured from the SEM image. . Here, when the stretch inclusions are inclusions having a long diameter / short diameter (stretch ratio) of 5 or more, the stretching is divided by dividing the number of the stretch inclusions detected by the total number of inclusions (about 50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clusions can be obtained.

또한, 개재물의 연신 비율을 5 이상으로 한 이유는 Ce, La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 강판 중의 연신 비율 5 이상의 개재물은 거의 MnS계 개재물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MnS계 개재물의 연신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는 연신 비율 50 정도의 MnS계 개재물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The reason why the stretching ratio of inclusions is 5 or more is that inclusions of stretching ratio 5 or more in the comparative steel sheet without adding Ce and La were almost MnS inclusions. 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ratio of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is not specifically prescribed | regulated,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of about 50 or more of stretching ratios may be observed in reality.

그 결과,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20 % 이하로 형태 제어된 강판에서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20 %를 초과하면,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쉬운 MnS계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은 20 % 이하로 한다. 또한,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은 연신된 MnS계 개재물이 적을수록 양호하므로, 그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의 하한값은 0 %를 포함한다.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in the steel sheet in which the number ratio of the stretch inclusions having the stretching ratio of 5 or more was 20% or less. That is, when the number ratio of the stretched inclusions having a stretch ratio of 5 or more exceeds 20%, the number ratio of the MnS-based stretched inclusions which tends to be a starting point of cracking becomes too large, and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are lowered. , The number ratio of the stretching inclusions having a stretching ratio of 5 or more is 20% or less. Moreover, since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a fatigue characteristic are so good that there are few stretched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s, the lower limit of the number ratio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s whose extension ratio is 5 or more contains 0%.

여기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 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의 하한값이 0 %인 것이 의미하는 바는, 원상당 직경이 1 ㎛ 이상의 개재물이지만 연신 비율 5 이상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연신 비율 5 이상의 연신 개재물이라도, 원상당 직경이 모두 1 ㎛ 미만이라고 하는 경우이다.Here, the lower limit of the number ratio of the number of stretch inclusions with a circular equivalent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the draw ratio of 5 or more in diameter is 0%, but the thing with an elongation ratio of 5 or more in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does not exist. When it does not, or even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 of draw ratio 5 or more, it is a case where all the original equivalent diameters are less than 1 micrometer.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20 % 이하로 형태 제어된 강판에서는 이것에 대응하여,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개재물의 형태로서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되어 있으면 되며,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를 핵으로 하여 그 주위에 MnS가 석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Moreover, in the steel plate by which the number ratio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terference | inclusion with the extending | stretching ratio 5 or more is 20% or less, correspondingly,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up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 As the form of this inclusion, MnS should just be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ysulf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an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prescribe, the oxide or oxysulf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s mentioned. MnS is often precipitated around as a nucleus.

또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은 압연 시에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강판 중에서도 연신되어 있지 않은 형상, 즉 대략 구형상 개재물로 되어 있다.Incidentally, the inclusions in which MnS precipitates in oxides or oxysulfides consisting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re hardly deformed even during rolling, and thus are not drawn in steel sheets, that is, substantially spherical inclusions. .

여기서, 연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구형상 개재물이라 함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강판 중의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개재물이다. 이는, 압연 전의 주조편 단계에 있어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에 있어서의 연신 비율이 3 이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구형상 개재물은 완전히 구형상이면 연신 비율이 1이 되므로, 연신 비율의 하한은 1이다.Here, spherical inclusions judged not to be stretched are not particularly defined, but are inclusions having an elongation ratio of 3 or less in the steel sheet, preferably inclusions of 2 or less. This is because the elongation ratio in the inclusion type in which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iso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n the casting piece stage before rolling was 3 or less. In addition, since the extending | stretching ratio becomes 1 if the spherical inclusions judged not extending | stretching are completely spherical, the minimum of a extending | stretching ratio is 1.

이와 같은 개재물의 개수 비율의 조사를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 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10 % 이상으로 석출 제어된 강판에서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10 % 미만이 되면, 이것에 대응하여 MnS계의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개수 비율은 10 % 이상으로 한다. 또한,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은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를 다수 석출시킨 쪽이 양호하므로, 그 개수 비율의 상한값은 100 %를 포함한다.Investigation of the number ratio of such inclusions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number ratio investigation of the drawn inclusion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steel sheet in which the number ratio of inclusions in which MnS is precipitated in oxides or oxalides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is precipitated and controlled to be 10% or more,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It became. When the number ratio of inclusions in the form of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ysulfide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becomes less than 10%, the number ratio of the MnS-based stretch inclusions becomes excessively corresponding to this. Stretched flange properties and fatigue properties are lowered. For this reason,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clusions of the form which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ysulf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shall be 10% or more. Moreover, since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a fatigue characteristic are more preferable to precipitate many MnS in the oxide or oxysulf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ratio contains 100%.

또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은 압연 시에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그 원상당 직경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고, 1 ㎛ 이상이라도 좋다. 단, 지나치게 크면 깨짐 발생 기점으로 될 것이 우려되므로, 상한은 50 ㎛ 정도가 바람직하다.Incidentally, the inclusions in which MnS is precipitated in oxides or oxysulfides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re hardly deformed even during rolling. good. However, since it is feared that it will become a starting point of a crack when it is too big | large, about 50 micrometers is preferable for an upper limit.

한편, 이 개재물은 압연 시에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운데다가, 원상당 직경이 1 ㎛ 미만인 경우에는 깨짐 발생 기점으로 되지 않으므로, 원상당 직경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is inclusion is hardly deformed even when rolling, and when the original equivalent diameter is less than 1 µm, it is not a starting point of cracking, so the lower limit of the original equivalent diameter is not particularly defined.

다음에,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강판 중에 있어서의 개재물의 존재 조건으로서, 개재물의 단위 체적당의 개수 밀도로 규정하는 것으로 하였다.Next, as the existence conditions of the inclusions in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number density per unit volume of the inclusions was defined.

개재물의 입경 분포는 스피드법에 의한 전해면의 SEM 평가로 실시하였다. 스피드법에 의한 전해면의 SEM 평가라 함은, 시료편의 표면을 연마한 후, 스피드법에 의한 전해를 행하여, 시료면을 직접 SEM 관찰함으로써 개재물의 크기나 개수 밀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스피드법이라 함은, 10 % 아세틸아세톤-1 % 테트라메틸암모늄크롤라이드-메탄올을 사용하여 시료 표면을 전해하여, 개재물을 추출하는 방법인데, 전해량으로서는 시료 표면의 면적 1 ㎠당 1C를 전해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전해한 표면의 SEM상을 화상 처리하여, 원상당 직경에 대한 빈도(개수) 분포를 구하였다. 이 입경의 빈도 분포로부터 평균 원상당 직경을 산출하는 동시에, 관찰한 시야의 면적과, 전해량으로부터 구한 깊이로 빈도를 나눔으로써 개재물의 체적당의 개수 밀도도 산출하였다.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n inclusion was performed by SEM evaluation of the electrolytic surface by the speed method. SEM evaluation of the electrolytic surface by the speed method means that the size and number density of inclusions are evaluated by performing electrolysis by the speed method after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sample piece, and directly observing the sample surface by SEM. The speed method is a method of electrolyzing a sample surface using 10% acetylacetone-1% tetramethylammonium chloride-methanol and extracting inclusions. The electrolytic amount is 1C per 1 cm 2 of sample surface area. Delivered. Thus, the SEM image of the surface electrolyzed was image-processed, and the frequency (number)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was calculated | required.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was calculated from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particle diameters, and the number density per volume of the inclusions was also calculated by dividing the frequency by the area of the observed visual field and the depth obtained from the electrolytic amount.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어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 연신 비율 5 이상의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를 평가한 결과, 1.0 × 104개/㎣ 이하이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4개/㎣를 초과하면,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쉬운 MnS계 연신 개재물의 개수 밀도가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되므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를 1.0 × 104개/㎣ 이하로 한다. 또한,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은 연신된 MnS계 개재물이 적을수록 양호하므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의 하한값은 0 %를 포함한다.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more and an elongation ratio of 5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origin of cracking and deteriorating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ere 1.0 × 10 4 pieces / ㎣ or less. This proved to be improved. If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drawn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more and a draw ratio of 5 or more exceeds 1.0 × 10 4 / dl, the number density of the MnS-based drawn inclusions, which tends to be a starting point of cracking, becomes too large. Since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a fatigue characteristic fall,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 of 1 micrometer or more of circular equivalent diameters, and extending | stretching ratio 5 or more shall be 1.0 * 10 <4> / Pa or less. In addition, since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property are so good that there are few MnS inclusions extended | stretched, the lower limit of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extension inclusions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extending | stretching ratio 5 or more contains 0%.

여기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의 하한값이 0 %인 것이 의미하는 바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Here, it is the same as the above that the lower limit of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 of 1 micrometer or more of circular equivalent diameters, and extending | stretching ratio 5 or more is 0%.

또한,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를 1.0 × 104개/㎣ 이하로 형태 제어된 강판에서는, 이것에 대응하여, 연신되어 있지 않은 MnS계 개재물은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로 되고, 그 형상은 거의 구형상 개재물로 되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steel plate in which the number-of-volume density of the stretched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µm or more and an elongation of 5 or more is controlled to 1.0 × 10 4 / dl or less, the MnS-based inclusions that are not stretched correspond to Ce or La.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ysulfide of 1 type, or 2 types of, and the shape was almost spherical inclusions.

이 개재물의 형태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되어 있으면 되며,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를 핵으로 하여 그 주위에 MnS가 석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As the form of this inclusion, MnS should just be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al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similarly to the above, an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prescribe, the ox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s mentioned. Alternatively, MnS is often precipitated around the oxysulfide nucleus.

또한, 구형상 개재물이라 함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강판 중의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개재물로 한다. 여기서, 완전히 구형상이면, 연신 비율이 1이 되므로, 연신 비율의 하한은 1이다.In addition, spherical inclusions are not specifically defined, but the inclusions having an elongation ratio of 3 or less in the steel sheet, and preferably inclusions of 2 or less. Here, since a draw ratio will be 1 if it is completely spherical, the minimum of a draw ratio is 1.

이와 같은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를 조사한 결과,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를 핵으로 하여 그 주위에 MnS가 석 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3개/㎣ 이상으로 석출 제어된 강판에서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3개/㎣ 미만이 되면, 이것에 대응하여 MnS계의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되므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는 1.0 × 103개/㎣ 이상으로 규정한다. 또한,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강도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를 핵으로 하여 MnS를 다수 석출시킨 쪽이 양호하므로, 그 체적 개수 밀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such inclusions,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inclusions in the form of MnS precipitated around the oxide or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s nuclei was 1.0 × 10 3 . It has been found that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in the steel sheets that are precipitated and controlled at more than / ㎣. When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inclusions in the form of MnS precipitated in one or two oxides or oxides of Ce or La is less than 1.0 × 10 3 / 개, correspondingly, the number of stretched inclusions of the MnS system Since the ratio becomes too large and the stretching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inclusions in the form of MnS precipitated in one or two oxides or oxalides of Ce or La is 1.0 × 10 3 pieces / ㎣ It is prescribed as above.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strength are preferably those in which a large amount of MnS is precipitated using an oxide or an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s nuclei, and the upper limit of the volume number density is not particularly defined. .

또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원상당 직경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고, 1 ㎛ 이상이라도 좋다. 단, 이 원상당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깨짐 발생 기점으로 될 것이 우려되므로, 상한은 50 ㎛ 정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interference | inclusion of the form which precipitated MnS in the oxide or oxysulf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s not specifically defined like the above, and 1 micrometer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However, when this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is too large, it will become a starting point of a crack generation, and therefore an upper limit is preferable about 50 micrometers.

한편, 이 개재물의 원상당 직경이 1 ㎛ 미만인 경우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equivalent circular diameter of this inclusion is less than 1 micrometer, there is no minimum in particular.

다음에,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강판 중에 있어서의 연신 개재물의 존재 조건으로서 원상당 직경의 상한값으로 규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어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의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을 평가한 결과, 이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10 ㎛ 이하이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커지는 것에 착안하여,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을 지표로서 규정한 것이다. 이는, 용강 중의 Mn이나 S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생성되는 MnS의 개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생성되는 MnS의 크기도 조대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Next, it was prescribed | regulated as the upper limit of a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as a presence condition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 in the steel plate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Specifically, when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inclusion equivalent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the extension ratio 5 or more which deteriorates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characteristic as a starting point of a crack generation is evaluated, the average original equivalent of this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 is evaluated. When the diameter was 10 µm or less, it was found that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Th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tretched inclusions increases as the number ratio of the stretched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more and a stretch ratio of 5 or more increases, and defines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tretched inclusions as an index. It is. It is estimated that as the amount of Mn or S in molten steel increases, the number of MnS produced increases and the magnitude | size of MnS produced also coarsens.

그래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의 연신 개재물이 10 ㎛를 초과하여 커지면, 이것에 따라서 이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20 %를 초과하므로,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쉬운 조대한 MnS계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되므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을 10 ㎛ 이하로 한다.Therefore, when the stretch inclusion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extending | stretching ratio 5 or more becomes larger than 10 micrometers, since the number ratio of this stretch inclusion exceeds 20% by this, the coarse which tends to be a starting point of a crack generate | occur | produces Since the number ratio of MnS system extending | stretching interference | inclusion increases too much, and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property fall,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 of 1 micrometer or more of circular equivalents, and 5 or more of draw ratios shall be 10 micrometers or less.

또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을 10 ㎛ 이하로 하는 규정은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 강판 중에 존재하는 경우인 것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원상당 직경의 하한값은 1 ㎛가 된다.In addition, the provision which sets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tretch inclusion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the elongation ratio of 5 or more to 10 micrometers or less means that the inclusions of 1 micrometer or more of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exist in a steel plate, The lower limit of the equivalent diameter is 1 μm.

한편,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강판 중에 있어서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존재 조건으로서, MnS가 석출된 개재물 중의 Ce 혹은 La의 평균 조성의 함유량으로 규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ee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e in the inclusions in which MnS precipitates as an existence condition of inclusions in which MnS precipitates in an oxide or an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is present. It defined by content of the average composition of La.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를 석출시켜 MnS의 연신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rove the stretching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precipitate MnS in an oxide or an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to prevent stretching of MnS.

이 개재물의 형태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되어 있으면 되며,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를 핵으로 하여 그 주위에 MnS가 석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As the form of this inclusion, MnS should just be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al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similarly to the above, an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prescribe, the ox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s mentioned. Alternatively, MnS is often precipitated around the oxysulfide nucleus.

또한, 구형상 개재물이라 함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강판 중의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개재물이다. 여기서, 완전히 구형상이면, 연신 비율이 1이기 때문에, 연신 비율의 하한은 1이다.In addition, spherical inclusions are not specifically defined, but are inclusions of 3 or less of draw ratios in a steel plate, Preferably they are 2 or less inclusions. Here, if it is completely spherical, since a draw ratio is 1, the minimum of a draw ratio is 1.

그래서, MnS계 개재물의 연신 억제에 유효한 조성을 명백하게 하기 위해,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the composition effective for suppressing the stretching of the MnS-based inclusions, the 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clusions in which MnS was precipitated in oxides or oxisolides consisting of one or two of Ce or La was conducted.

단, 이 개재물의 원상당 직경이 1 ㎛ 이상이면 관찰이 용이하므로, 편의적으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 관찰이 가능하면, 원상당 직경이 1 ㎛ 미만인 개재물도 포함시켜도 좋다.However, since the observation is easy if th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is inclusion is 1 micrometer or more, it aimed at 1 micrometer or more of circular equivalent diameters conveniently. However, if observation is possible, you may also include the inclusion whos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is less than 1 micrometer.

또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은 연신되어 있지 않으므로, 연신 비율은 모두 3 이하의 개재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을 대상으로 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Moreover, since the inclusion of the form which precipitated MnS in the oxide or oxiso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s not extended | stretched,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draw ratios are 3 or less inclusions. Therefore, compo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the inclusions whose diameter is 1 micrometer or more and the elongation ratio 3 or less.

그 결과,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중에 평균 조성으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를 0.5 내지 50 % 함유시키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중에 있어서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의 평균 함유율이 0.5 질량% 미만이 되면,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 개수 비율이 크게 감소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쉬운 MnS계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된다.As a result, when 1-50 micrometers of circular equivalent diameters are contained and the sum total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s contained in an average composition of 3 or less of drawing ratios,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a fatigue characteristic will improve. It turned out. When the average content rate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n the inclusion equivalent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the elongation ratio 3 or less becomes less than 0.5 mass%, it will be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Since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clusions in the form of MnS precipitated to the oxide or oxisode formed is greatly reduced, correspondingly, the ratio of the number of MnS-based stretch inclusions, which tends to be a starting point of cracking,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us the stretching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re increased. Degrades.

한편,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또한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중에 있어서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의 평균 함유율이 50 % 초과가 되면, 세륨옥시설파이드, 란탄옥시설파이드가 다량으로 생성되어, 원상당 직경이 50 ㎛ 정도 이상의 조대한 개재물이 되므로,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content rate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in the inclusion equivalent of 1 micrometer or more in diameter, and the elongation ratio 3 or less exceeds 50%, a large amount of cerium oxysulfide and lanthanum oxysulfide It is produced | generated and becomes a coarse interference | inclusion whose round equivalent diameter is about 50 micrometers or more, and deteriorates a stretch flange property and a fatigue characteristic.

또한, 본 발명의 강판 중에 있어서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의 존재 조건으로서, 강판의 화학 성분(Ce + La)/S비로 규정하였다.In addition, in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dition for inclusion of an inclusion in which MnS is precipitated in an oxide or an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the chemical composition (Ce + La) / S ratio of the steel sheet is used. Prescribed.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를 석출시켜 MnS의 연신을 방지하기 위한 화학 성분비이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in improving the stretching flangeability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it is a chemical component ratio for preventing MnS stretching by precipitating MnS on an oxide or an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

그래서, MnS계 개재물의 연신 억제에 유효한 화학 성분비를 명백하게 하기 위해, 강판의(Ce + La)/S비를 변화시켜, 개재물의 형태,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을 평가하였다(도1). 그 결과, (Ce + La)/S비가 0.1 내지 70이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Ce + La)/S비가 0.1 미만이 되면,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형태의 개재물 개수 비율이 크게 감소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쉬운 MnS계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된다.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the chemical component ratio effective for suppressing the stretching of the MnS-based inclusions, the (Ce + La) / S ratio of the steel sheet was changed to evaluate the morphology, the elongation flange properties and the fatigue properties of the inclusions (Fig. 1). As a result, when the (Ce + La) / S ratio was 0.1 to 70, it was found that the stretching flange properties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When the (Ce + La) / S ratio is less than 0.1, the proportion of inclusions in the form of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ysulfide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is greatly reduced. The ratio of the number of MnS system extending | stretching inclusions which tends to become a starting point becomes too much, and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fall.

한편, (Ce + La)/S비가 70 초과가 되면, 세륨옥시설파이드, 란탄옥시설파이드가 다량으로 생성되어, 원상당 직경이 50 ㎛ 정도 이상의 조대한 개재물이 되므로,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을 열화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e + La) / S ratio exceeds 70, cerium oxysulfide and lanthanum oxysulfide are generated in a large amount, resulting in coarse inclusions of 50 µm or more in original equivalent diameter, thereby deteriorating the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Let's do it.

다음에, 강판의 조직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steel shee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을 MnS계 개재물 제어에 의해 향상시키는 것이고, 강판의 마이크로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니틱ㆍ페라이트를 주상으로 하는 조직으로 한 강판, 페라이트상을 주상으로 하고 마텐자이트상, 베이나이트상을 제2 상으로 하는 복합 조직 강판, 그리고 페라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저온 변태상(마텐자이트 혹은 베이나이트)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조직 강판의, 어떠한 강판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우수한 연신 플랜지성을 얻기 위해서는 베이니틱ㆍ페라이트를 주상으로 하는 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베이니틱ㆍ페라이트 혹은 베이나이트상이 면적비로 최대의 상인 것이 필요하다. 강판 중의 베이니틱ㆍ페라이트상의 면적률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다. 또한, 잔부는 베이나이트상 또는 폴리고널ㆍ페라이트상을 20 % 이상 함유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property are improved by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control, and the microstructure of a steel plat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Steel plate with bainitic ferrite as main phase, composite steel sheet with ferrite phase as main phase and martensite phase, bainite phase as second phase, and ferrite, residual austenite and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martensite Alternatively,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in any steel sheet of a composite steel sheet composed of bainite, but in order to obtain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structure having bainitic ferrite as a main phase. Preferably, the bainitic ferrite or bainite phase is required to be the largest phase in area ratio. The area ratio of the bainitic ferrite phase in the steel sheet is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80%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 In addition, the remainder may contain 20% or more of the bainite phase or the polygonal ferrite phase.

다음에, 제조 조건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로에서 취련하여 탈탄하거나, 혹은 또한 진공 탈가스 장치를 사용하여 탈탄하고, C 농도를 0.03 내지 0.1 %로 한 용강 중에 Si, Mn, P 등의 합금을 첨가하여, 탈산과 성분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Al이나 Ti는 첨가하지 않거나, 혹은 산소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산가용 Al이나 산가용 Ti가 약간 남을 정도의 소량의 Al이나 Ti를 첨가하고, 그 후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을 첨가하여 성분 조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제된 용강을 연속 주조하여 주조편을 제조한다.Next, manufacturing conditions are demon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carburization is carried out in a converter, or decarburized using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and alloys such as Si, Mn, and P are added to molten steel having a C concentration of 0.03 to 0.1%, thereby deoxidation and component adjustment. At the same time, when Al or Ti is not added or when oxygen adjustment is required, a small amount of Al or Ti is added so that some of the acid value Al and the acid value Ti remain, and then one kind of Ce or La or Two kinds are added and component adjustment is performed. The molten steel thus melted is continuously cast to produce a cast piece.

연속 주조에 대해서는, 통상의 250 ㎜ 두께 정도의 슬라브 연속 주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블룸이나 비렛, 또는 슬라브 연속 주조기의 주형 두께가 통상보다 얇은, 예를 들어 150 ㎜ 이하의 박슬라브 연속 주조에 대해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For continuous casting, not only is applied to slab continuous casting of the usual 250 mm thickness, but also sufficient for thin slab continuous casting of the mold thickness of bloom, bead, or slab continuous casting machine is thinner than usual, for example, 150 mm or less. Applicable

고강도 열연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열연 조건에 대해 서술한다. 열연 전의 슬라브의 가열 온도는 강 중의 탄질화물 등을 고용시키기 위해 115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고용시켜 둠으로써, 압연 후의 냉각 과정에서 폴리고널ㆍ페라이트의 생성이 억제되어, 연신 플랜지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베이니틱ㆍ페라이트상을 주체로 하는 조직이 얻어진다. 한편, 열연 전의 슬라브의 가열 온도가 1250 ℃를 초과하면 슬라브 표면의 산화가 현저해져, 특히 입계가 선택적으로 산화되는 것에 기인하는 쐐기 형상의 표면 결함이 디스케일링 후에 남고, 그것이 압연 후의 표면 품위를 손상시키므로 상한을 12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t rolling conditions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will be describ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lab before hot rolling be 1150 degreeC or more in order to solidify carbonitride etc. in steel. By employing these solutions, the formation of polygonal ferrite is suppressed in the cooling process after rolling, and a structure mainly comprising a bainitic ferrite phase which is preferable in stretching flangeability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lab before hot rolling exceeds 1250 ° C, oxidation of the slab surface becomes remarkable, and in particular wedge-shaped surface defects due to selective oxidation of grain boundaries remain after descaling, which damages the surface quality after roll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an upper limit into 1250 degreeC.

상기한 온도 범위로 가열된 후에, 통상의 열간 압연을 행하지만, 그 공정 중에서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는 강판의 조직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중요하다.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가 Ar3점 + 30 ℃ 미만에서는 표층부의 결정 입경이 조대해지기 쉬워, 피로 특성상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Ar3점 + 200 ℃ 초과에서는 연신 플랜지성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폴리고널ㆍ페라이트상이 생성되기 쉬워지므로, 상한을 Ar3 + 2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heating to said temperature range, although normal hot rolling is performed, the finishing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important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structure of a steel plate in the process. When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Ar 3 + 30 ° C, the grain size of the surface layer portion tends to be coarse, which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fatigu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n the Ar 3 point + 200 ℃ excess stretching plan becomes easy to be preferably not poly goneol and ferrite phase generated in the non-oily,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limit is set to Ar 3 + 200 ℃.

또한, 마무리 압연 후의 강판의 평균 냉각 속도를 40 ℃/초 이상으로 하여 300 내지 500 ℃의 범위까지 냉각하는 것이, 폴리고널ㆍ페라이트상의 생성을 억제하여, 베이니틱ㆍ페라이트상을 주체로 하는 조직을 얻기 위해 유효하다.In addition, cooling to the range of 300-500 degreeC by making the average cooling rate of the steel plate after finishing rolling into 40 degreeC / sec or more suppresses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polygonal ferrite phase, and makes the structure mainly a bainitic ferrite phase. Valid to get

상기한 평균 냉각 속도가 40 ℃/초 미만에서는 폴리고널ㆍ페라이트상이 생성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조직 제어상에서는 냉각 속도에 상한을 마련한 필요는 없으나, 아주 빠른 냉각 속도는 강판의 냉각을 불균일하게 할 우려가 있고, 또한 그러한 냉각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의 제조에는 다액의 비용이 필요해져, 이로 인해 강판의 가격 상승을 초래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냉각 속도의 상한은 100 ℃/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said average cooling rate is less than 40 degree-C / sec, polygonal ferrite phase is easy to produce | generate, and it is unpreferable. On the other hand, on the structure contro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n upper limit to the cooling rate, but a very fast cooling rate may cause uneven cooling of the steel sheet, and a large amount of cost i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equipment that enables such cooling.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cause the price of steel sheet to rise. From such a viewpoint, the upper limit of the cooling rate is preferably 100 deg. C / sec.

또한, 냉각 정지 온도가 300 ℃보다 낮아지면 연신 플랜지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마텐자이트상이 생성되므로, 하한을 300 ℃로 한다. 따라서, 열연 코일의 권취 온도는 연신 플랜지성을 극단으로 악화시키는 마텐자이트상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3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oling stop temperature is lower than 300 ° C, a martensite phase which is not preferable for stretching flangeability is formed, so the lower limit is 300 ° C.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oiling temperature of a hot rolled coil into 300 degreeC or more in order to suppress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martensitic phase which worsens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한편, 500 ℃ 초과에서는 폴리고널ㆍ페라이트상의 생성을 억제할 수 없고, 또한 Cu를 함유하고 있는 강에서는 페라이트상 중에 Cu가 국재적(局材的)으로 석출되어 피로 특성 향상 효과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권취 온도를 5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500 ℃ 이하에서 권취함으로써, 그 후의 냉각 과정에서 탄질화물이 석출되고, 페라이트상 중의 고용 C, N량을 감소시켜, 연신 플랜지성의 향상을 초래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500 degreeC, formation of a polygonal ferrite phase cannot be suppressed, and in the steel containing Cu, Cu locally precipitates locally in a ferrite phase,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reducing the fatigue characteristic improvement effec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winding temperature into 500 degrees C or less. Therefore, by winding up at 500 degrees C or less, carbonitride will precipitate in a subsequent cooling process, and will reduce the amount of solid solution C and N in a ferrite phase, and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a comparative example.

표1에 화학 성분을 나타내는 슬라브를 표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열간 압연하여, 두께 3.2 ㎜의 열연판을 얻었다.The slab which shows a chemical component in Table 1 was hot-rolled on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nd the hot rolled sheet of thickness 3.2mm was obtained.

Figure 112008089628599-PCT00001
Figure 112008089628599-PCT00001

Figure 112008089628599-PCT00002
Figure 112008089628599-PCT00002

이 표1에 있어서는, 강 번호(이하, 강번이라고 함) 1, 3, 5, 7, 9, 11, 13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고강도 강판의 범위 내의 조성으로 구성하고, 강번 2, 4, 6, 8, 10, 12, 14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고강도 강판의 범위로부터 일탈시킨 비교강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강번 2, 4, 6에 있어서는, 산가용 Al을 0.01 % 초과 함유시킨 슬라브로 하고, 또한 강번 8, 10, 12, 14에 있어서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를 0.0005 미만까지 저감시킨 슬라브로서 구성한 것이다.In Table 1, steel numb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el numbers) 1, 3, 5, 7, 9, 11, and 13 are each composed of a composition within the range of the high 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out 6, 8, 10, 12, and 14, it is comprised as the comparative steel which deviated from the range of the high strength steel pla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steel numbers 2, 4, and 6, the slab which contained more than 0.01% of acid value Al was used, and in steel numbers 8, 10, 12, and 14, one or two types of Ce or La were reduced to less than 0.0005. It is configured as a slab.

덧붙여서 말하면, 이 표1에 있어서, 강번 1과 강번 2, 강번 3과 강번 4, 강번 5와 강번 6, 강번 7과 강번 8 사이에서 각각 비교를 할 수 있도록 서로 대략 동일한 조성으로 구성한 후에, 산가용 Al 등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강번 9와 강번 10, 강번 11과 강번 12, 강번 13과 강번 14 사이에서 각각 비교를 할 수 있도록 서로 대략 동일 조성으로 구성한 후에, Ce + La 등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Incidentally, in Table 1, after the composition of the roughly the same composition so as to be able to compare each of the numbers 1 and 2, 3 and 4, 5 and 6, and 7 and 8, respectively, Al and the lik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fter the steel sheets 9 and 10, the steel sheets 11 and 12, the steels 13 and 14 are composed of substantially the same composition so as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Ce + La and the lik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이 표2에 있어서는, 조건 A로서, 가열 온도를 1250 ℃,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를 845 ℃,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속도를 75 ℃/초, 권취 온도를 450 ℃로 하고, 조건 B로서, 가열 온도를 1200 ℃,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를 825 ℃,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속도를 45 ℃/초, 권취 온도를 450 ℃로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Table 2, as condition A, heating temperature is 1250 degreeC, finishing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845 degreeC, cooling rate after finishing rolling is 75 degreeC / sec, winding temperature is 450 degreeC, and it heats as condition B. The cooling rate after temperature of 1200 degreeC, finishing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of 825 degreeC, and finishing rolling is 45 degreeC / sec, and winding temperature is 450 degreeC.

강번 1과 강번 2에 대해서는 조건 A를, 또한 강번 3과 강번 4에 대해서는 조건 B를, 강번 5와 강번 6에 대해서는 조건 A를, 또한 강번 7과 강번 8, 강번 9와 강번 10, 강번 11과 강번 12, 강번 13과 강번 14에 대해서는 조건 B를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동일 제조 조건 하에서 화학 조성의 영향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Condition A for Steel 1 and 2, Condition B for Steel 3 and 4, Condition A for Steel 5 and Steel 6, Steel 7 and Steel 8, Steel 9 and Steel 10, Steel 11 and Conditions B are applied to steel sheets 12, 13, and 14, so that the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s can be compared under the same manufacturing conditions.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강판의 기본 특성으로서, 강도, 연성, 연신 플랜지성, 피로 한도비를 조사하였다.As the basic properties of the steel sheet thus obtained, strength, ductility,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limit ratio were examined.

또한, 강판 중의 연신 개재물의 존재 상태로서, 모두 1 ㎛ 이상의 개재물을 대상으로 하여, 연신 비율 5 이상의 개재물에 대해서는 개수 비율, 체적 개수 밀도, 평균 원상당 직경을 조사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ce state of the stretched inclusion in a steel plate, all the inclusions of 1 micrometer or more were covered, and the number ratio, the volume number density, and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were investigated about the inclusions of 5 or more of draw ratio.

또한, 강판 중의 연신되어 있지 않은 개재물의 존재 상태로서, 모두 1 ㎛ 이상의 개재물을 대상으로 하여,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의 개수 비율 및 체적 개수 밀도와,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중에 있어서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의 함유량의 평균값을 조사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ce state of the unstretched inclusions in a steel plate, the number ratio and volume of the inclusions in which MnS precipitated in the oxide or oxysulfide which consists of 1 type or 2 types of Ce or La are included in all the inclusions of 1 micrometer or more. The average value of content of the number density and content of the 1 type or 2 types of total of Ce or La in the inclusion of 3 or less of draw ratios was investigated.

또한, 1 ㎛ 이상의 개재물을 대상으로 한 것은 관찰이 용이한 것 외에, 1 ㎛ 미만의 개재물은 연신 플랜지성이나 피로 특성의 열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Incidentally, the inclusions of 1 µm or more are easy to observe, and the inclusions of less than 1 µm do not affect the deterioration of the stretch flange properties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그 결과를 강과 압연 조건의 조합마다 표3에 나타낸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or each combination of steel and rolling conditions.

Figure 112008089628599-PCT00003
Figure 112008089628599-PCT00003

강도와 압연은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채취한 JIS5호 시험편의 인장 시험에 의해 구하였다. 연신 플랜지성은 150 ㎜ × 150 ㎜의 강판의 중앙에 뚫은 직경 10 ㎜의 펀칭 구멍을 60°의 원추 펀치로 눌러 확장하고, 판 두께 관통 균열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구멍 직경(D)(㎜)을 측정하여, 구멍 확장값(λ) = (D - 10)/10으로 구한 값(λ)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피로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한 피로 한도비는 JIS Z 2275에 준거한 방법으로 구한 2 × 106회 시간 강도(σW)를 강판의 강도(σB)로 나눈 값(σW/σB)으로 평가하였다.Strength and rolling wer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tension test of the JIS5 test piece extract | collected in parallel with the rolling direction. Stretched flangeability is obtained by pressing a 10 mm diameter punching hole in the center of a 150 mm × 150 mm steel plate with a 60 ° conical punch to expand the hole diameter (D) (mm) at the time of sheet thickness through cracking. It measured and evaluated by the value ((lambda)) calculated | required by hole expansion value ((lambda)) = (D-10) / 10. In addition, the fatigue limit ratio used as an index indicating fatigue characteristics was evaluated by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trength (σW) by 2 × 10 6 times the time strength (σW) determ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JIS Z 2275 by the strength (σB) of the steel sheet (σW / σB). .

또한, 시험편은 동일 규격에 규정된 1호 시험편으로, 평행부가 25 ㎜, 곡률 반경(R)이 100 ㎜, 원판(열연판)의 양면을 동등하게 연삭한 두께 3.0 ㎜의 것을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test piece was the No. 1 test piece prescribed | regulated to the same standard, and used the thing of thickness 3.0mm which equally ground both surfaces of 25 mm of parallel parts, 100 mm of curvature radius R, and an original (hot rolled sheet).

또한, 개재물은 SEM 관찰을 행하여, 랜덤하게 선택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 50개에 대해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SEM의 정량 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랜덤하게 선택한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 50개에 대해 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사용하여 연신 비율 5 이상의 개재물의 개수 비율, 연신 비율 5 이상의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의 개수 비율, 또한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중에 있어서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개재물의 형태별 체적 개수 밀도는 스피드법에 의해 전해면의 SEM 평가에 의해 산출하였다.Incidentally, the inclusions were subjected to SEM observation, and the long and short diameters were measured for 50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more selected randomly. In addition, compo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50 inclusions of 1 micrometer in diameter or more randomly selected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function of SEM. Using these results,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clusions having an elongation ratio of 5 or more, the average equivalent equivalent diameter of the inclusions having an elongation ratio of 5 or more,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clusions having MnS precipitated in one or two oxides or oxides of Ce or La, Moreover, the average value of the 1 type or 2 types of total of Ce or La in the inclusion of 3 or less of draw ratios was calculated | required. In addition, the volume number density for each shape of the inclusions was calculated by SEM evaluation of the electrolytic surface by the speed method.

표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강번 1, 3, 5, 7, 9, 11, 13에서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를 석출시킴으로써, 연신된 MnS계 개재물을 강판 중에서 저감시킬 수 있었다. 즉, 강판 중에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의 개수 비율을 10 % 이상, 그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를 1.0 × 103개/㎣ 이상, 강판 중에 존재하는 연신 비율 3 이하의 개재물 중의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의 평균 함유율을 0.5 % 내지 50 %로 함으로써, 원상당 직경 1 ㎛ 이상이고 연신 비율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을 20 % 이하, 그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를 1.0 × 104개/㎣ 이하, 그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을 10 ㎛ 이하로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비교강에 비해, 본 발명 강으로서의 강번 1, 3, 5, 7, 9, 11, 13에서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강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강(강번 2, 4, 6, 8, 10, 12, 14)에서는 연신된 MnS계 개재물과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에 MnS를 석출시킨 개재물의 분포 상태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분포 상태와 상이하기 때문에, 강판 가공 시에 연신된 MnS계 개재물이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어,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저하되어 있었다.As apparent from Table 3, in steel Nos. 1, 3, 5, 7, 9, 11, and 13 to whic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MnS was precipitated by depositing MnS on an oxide or an oxofide made of one or two of Ce or La. The MnS inclusions thus obtained could be reduced in the steel sheet. That is, the number ratio of inclusions in which MnS precipitates in the oxide or oxysulfide made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in the steel sheet is 10% or more, and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inclusions is 1.0 × 10 3 pieces / ㎣ or more, the steel sheet. The ratio of the number of stretch inclusions having a diameter of 1 µm or more and a draw ratio of 5 or more per circle is set to 0.5% to 50% in an average content rate of one or two sums of Ce or La in the inclusion ratio 3 or less present in the mixture. 20% or less,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inclusions was 1.0 × 10 4 pieces / dl or less, and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inclusions could be 10 μm or less.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steels, steel sheets 1, 3, 5, 7, 9, 11, and 13 as steel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ble to obtain steel sheets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However, in comparative steels (Columns 2, 4, 6, 8, 10, 12, 14), distribution of inclusions in which MnS was deposited on elongated MnS inclusions and oxides or oxides composed of one or two of Ce or La Since the state differs from the distribution state prescribed | regulated by this invention, the MnS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stretched at the time of steel plate processing became a starting point of a crack generation, and extending | stretching flange property and fatigue characteristic fell.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주조편 중에 미세한 MnS로서 석출시키고, 또한 압연 시에 변형을 받지 않아, 깨짐 발생의 기점이 되기 어려운 미세 구형상 개재물로서 강판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strength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is caused by precipitating as fine MnS in the cast piece and dispersing it in the steel sheet as a fine spherical inclusion that is not deformed during rolling and hardly becomes a starting point of crack generation. A hot rolled steel sheet can be obtained.

Claims (8)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긴 직경/짧은 직경이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개수 비율이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total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remainder be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an inclusion having a diameter equivalent to 1 µm or more, and a long diameter /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number ratio of the stretch inclusions having a short diameter of 5 or more is 20% or less.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을 개수 비율로 10 %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total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and the remainder is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and in the steel sheet, an oxide or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comprising 10% or more of inclusions in which MnS is precipitated on a number ratio.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긴 직경/짧은 직경이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4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total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remainder be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an inclusion having a diameter equivalent to 1 µm or more, and a long diameter /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the drawn inclusions having a short diameter of 5 or more is 1.0 × 10 4 pieces / ㎣ or less.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 의 체적 개수 밀도가 1.0 × 10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total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and the remainder is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and in the steel sheet, an oxide or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number density of inclusions in which MnS has been deposited on the phase is 1.0 × 10 3 / dl or more.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직경 1 ㎛ 이상의 개재물이고, 또한 긴 직경/짧은 직경 5 이상인 연신 개재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total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remainder be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an inclusion having a diameter equivalent to 1 µm or more, and a long diameter /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averag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tretched inclusion having a short diameter of 5 or more is 10 µm or less.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그 강판 중에는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또는 옥시설파이드 상에 MnS가 석출된 개재물이 존재하고, 상기 개재물 중에 평균 조성으로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를 0.5 내지 5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total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0.0005% to 0.04%, and the remainder is a steel sheet composed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and in the steel sheet, an oxide or oxysulfide composed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erein an inclusion in which MnS is precipitated is present on the phase, and 0.5 to 50 mass% of one or two kinds of Ce or La are contained in the inclusion as an average composition. 질량%로,In mass%, C : 0.03 내지 0.20 %,C: 0.03 to 0.20%, Si : 0.08 내지 1.5 %,Si: 0.08 to 1.5%, Mn : 1.0 내지 3.0 %,Mn: 1.0 to 3.0%, P : 0.05 % 이하,P: 0.05% or less, S : 0.0005 % 이상,S: 0.0005% or more, N : 0.0005 내지 0.01 %,N: 0.0005% to 0.01%, 산가용 Al : 0.01 % 이하,Acid value Al: 0.01% or less, 산가용 Ti : 0.008 % 미만,Acid value Ti: less than 0.008%, Ce 혹은 La의 1종 또는 2종의 합계 : 0.0005 내지 0.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고, (Ce + La)/S비가 0.1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Stretched flang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total of one or two types of Ce or La: 0.0005 to 0.04%, the balance being iron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having a (Ce + La) / S ratio of 0.1 to 70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performance and fatigue characteristic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로,The ma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Nb : 0.01 내지 0.10 %,Nb: 0.01% to 0.10%, V : 0.01 내지 0.05 %,V: 0.01 to 0.05%, Cr : 0.01 내지 0.6 %,Cr: 0.01 to 0.6%, Mo : 0.01 내지 0.4 %,Mo: 0.01% to 0.4%, B : 0.0003 내지 0.03 %B: 0.0003 to 0.03%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플랜지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steel sheet contains any one or two or more thereof, and the balance is iron and inevitable impurities.
KR1020087031704A 2006-07-14 2007-03-02 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y KR2009001816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93893 2006-07-14
JP2006193893A JP4901346B2 (en) 2005-11-07 2006-07-14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167A true KR20090018167A (en) 2009-02-19

Family

ID=3892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704A KR20090018167A (en) 2006-07-14 2007-03-02 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property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317285A1 (en)
EP (1) EP2048254B1 (en)
KR (1) KR20090018167A (en)
CN (1) CN101490295B (en)
AU (1) AU2007273767B2 (en)
CA (1) CA2657587C (en)
TW (1) TWI424069B (en)
WO (1) WO200800747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83B1 (en) * 2010-05-10 2014-11-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185B2 (en) 2008-06-13 2010-03-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lten steel
WO2010109778A1 (en) * 2009-03-27 2010-09-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arbo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arburization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765080B2 (en) * 2010-06-25 2015-08-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080358B (en) * 2011-02-24 2015-12-23 新日铁住金株式会社 The high tensile steel plate of stretch flangeability and has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and the melting method of molten steel thereof
CA2843180C (en) * 2011-07-29 2017-08-2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excellent in shapeability and methods of production of same
US10870901B2 (en) * 2015-09-22 2020-12-22 Tata Steel Ijmuiden B.V. Hot-rolled high-strength roll-formable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flange formabil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said steel
CN107400824A (en) * 2016-05-18 2017-11-28 鞍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igh-strength vehicle wheel-use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7519A1 (en) * 1974-10-07 1976-05-07 Kobe Steel Ltd Weldable structural steel - which is resistant to embrittlement in the heat affected zone
JP3619359B2 (en) 1998-01-19 2005-02-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mposite structur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258934B2 (en) 2000-01-17 2009-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650601B2 (en) * 2001-12-07 2005-05-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430284B2 (en) * 2002-07-23 2010-03-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Steel material with few alumina clusters
JP4050991B2 (en) * 2003-02-28 2008-02-2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105974B2 (en) * 2003-04-16 2008-06-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fatigue characteristics and stretch flangeability of punched end 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256115A (en) * 2004-03-12 2005-09-22 Nippon Steel Corp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 formability and fatigue property
JP4862266B2 (en) * 2004-03-25 2012-01-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thick-walled low yield ratio high-tensile steel sheet
JP4268559B2 (en) * 2004-04-23 2009-05-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JP4291761B2 (en) * 2004-08-31 2009-07-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83B1 (en) * 2010-05-10 2014-11-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528441B1 (en) * 2010-05-10 2015-06-12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238848B2 (en) 2010-05-10 2016-01-1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4607A (en) 2008-01-16
EP2048254B1 (en) 2020-08-19
TWI424069B (en) 2014-01-21
CA2657587A1 (en) 2008-01-17
CN101490295B (en) 2012-09-19
WO2008007477A1 (en) 2008-01-17
EP2048254A1 (en) 2009-04-15
CN101490295A (en) 2009-07-22
AU2007273767A1 (en) 2008-01-17
EP2048254A4 (en) 2012-11-07
US20090317285A1 (en) 2009-12-24
CA2657587C (en) 2013-11-26
AU2007273767B2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441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39461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molten steel for high-strength steel sheet
JP6293997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be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molten steel for the steel sheet
JP5053186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lten steel
JP5158272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be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lten steel
WO2015162928A1 (en) Spring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6148037A1 (en) Steel sheet for carburization having excellent cold workability and toughness after carburizing heat treatment
WO2015060223A1 (e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hardness after carburizing heat treatment and excellent cold workability
WO2015060311A1 (e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hardness after carburizing heat treatment and excellent drawability
CA2657587C (en) High strength steel plate superior in stretch flange form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WO2012115181A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exhibiting superior stretch-flange formability and bendability, and method of preparing ingot steel
JP5158271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be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lten steel
JP5205795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lten steel
JP4901346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JP5696359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elting the molten steel
JP5058892B2 (en) DP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157235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lten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