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14A -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714A
KR20090010714A KR1020070074048A KR20070074048A KR20090010714A KR 20090010714 A KR20090010714 A KR 20090010714A KR 1020070074048 A KR1020070074048 A KR 1020070074048A KR 20070074048 A KR20070074048 A KR 20070074048A KR 20090010714 A KR20090010714 A KR 2009001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ain
sub
chan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주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714A/ko
Priority to US12/016,561 priority patent/US20090031349A1/en
Priority to EP08103113A priority patent/EP2020815A1/en
Publication of KR2009001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화면 뿐만 아니라 부화면에 대한 채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채널 리스트를 통해 부화면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 영상표시장치는 선택된 채널이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부화면을 자동으로 온시킨다. 이로 인해, 리모콘에 부화면 관련 선택을 위한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아도 부화면으로 원하는 채널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
PIP, 주화면, 부화면, 채널리스트, 선택

Description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Method for selecting channel of main and sub display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주/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채널을 선택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두 개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PIP 기능이란 큰 화면을 구현하는 주화면에 작은 화면을 구현하는 부화면을 오버랩하여 동시에 표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으로써,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한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도중, PIP 기능이 선택되어 다른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영상신호는 주화면에 구현되며 다른 영상신호는 부화면에 구 현된다.
그런데,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부화면을 보기 위해 리모콘에 별도로 구비된 PIP 버튼 또는 부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부화면을 켜고, 부화면 채널 업/다운 버튼으로 채널을 이동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리모콘에는 부화면을 켜기 위한 부화면 버튼 및 주화면 채널 업/다운 버튼 외에 부화면 채널의 업/다운을 위한 채널 업/다운 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었다. 사용자는 주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부화면으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에, 부화면 버튼을 이용하여 부화면을 켰다.
그리고, 부화면에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해 부화면 채널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수신되는 채널을 일일이 검색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떤 채널에 어떤 방송 프로그램이 수신되는지를 모두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부화면에 원하는 채널이 바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없었다. 또한, 부화면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에는, 한번에 복수개의 부화면 채널 선택이 어려웠다. 즉, 각각의 부화면에 원하는 채널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부화면을 선택하여 원하는 채널을 일일이 검색하여 선택하고, 다음 부화면을 선택하여 원하는 채널을 또 일일이 검색하여 선택해야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가능한 모든 채널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부화면 채널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화면이 복수 개일 경우에, 복수 개의 부화면에 대한 채널을 한번에 선택할 수 있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콘에 부화면 디스플레이 및 부화면 채널 선택을 위한 별도의 키를 구비할 필요없이 부화면 디스플레이 및 부화면 채널 선택이 가능한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은,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부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을 켜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주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을 상기 채널 리스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채널 리스트 및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 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서브 튜너부 및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부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을 켜도록 상기 서브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서브 튜너부 및 상기 서브 신호처리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튜너부 및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주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메인 튜너부 및 상기 메인 신호처리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을 상기 채널 리스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은,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의 특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좌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우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좌측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측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채널 리스트 및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의 특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 를 좌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우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좌측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측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부화면이 모두 선택 가능하고, 채널 리스트에서 선택된 부화면 채널이 바로 실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복수 개의 부화면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 횟수가 줄어들게 되어, 효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영상표시장치는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화면 뿐만 아니라 부화면에 대한 채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채널 리스트를 통해 부화면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 영상표시장치는 선택된 채널이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부화면을 자동으로 온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는 메인 튜너부(110), 메인처리부(120), 서브 튜너부(120), 서브처리부(140), 합성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리모콘(170), 수신부(175), 제어부(180), 및 OSD 생성부(190)를 포함한다.
메인 튜너부(110)는 주화면에 대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메인처리부(120)는 메인 튜너부(110)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주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HD(High Definition)급 영상신호인 경우, 제1신호처리부(120)는 하나의 영상신호를 더 처리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SD급인 경우 둘 이상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튜너부(110)는 주화면에 대한 영상 이외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서브 튜너부(130)는 부화면에 대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방송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서브처리부(140)는 서브 튜너부(13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부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서브처리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에 대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할 수 있다.
합성부(150)는 메인처리부(120)와 서브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주화면 및 부화면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한다.
리모콘(170)에는 채널 리스트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기 위한 키, 채널 및 주,부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키가 구비된다. 수신부(175)는 리모콘(17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수신부(175)를 통해 채널 리스트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면,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OSD 생성부(190)를 제어한다.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OSD 생성부(190)를 제어한다.
이때, 주/부화면 선택 메뉴는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도록 제공되는 메뉴이다.
제어부(180)는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주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메인 튜너부(110) 및 메인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80)는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부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서브 튜너부(130) 및 서브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부화면 채널 선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OSD 생성부(19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된 채널 리스트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채널 리스트에는 선택가능한 채널 번호, 채널 방송국명, 및 해당 채널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리모콘(170)에 구비된 상하좌우 이동키 및 선택키를 이용해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선택하면, OSD 생성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주/부화면 선택 메뉴(200)를 선택된 채널 위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8번 채널이 선택되면, 8번 채널 위에 주/부화면 선택 메뉴(20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부화면 선택 메뉴(200)에서 상하좌우 이동키 및 선택키를 이용해 선택한 채널로 수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이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주/부화면 선택 메뉴(200)에는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을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면, 채널 리스트 상에는 어느 채널이 어느 화면으로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설정 사항(210)이 표시된다. 일 예로, 6번 채널에 표시된 설정 사항(210)은 6번 채널이 주화면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채널 리스트에서 설정이 완료되면, 주화면에는 6번 채널의 프리즌 브레이크가 디스플레이되며, 부화면에는 8번 채널의 인기가요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부화면 채널 선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화면이 복수 개일 경우의 주/부화면 선택 메뉴(300)를 나타낸다. 일 예로, 주/부화면 선택 메뉴(300)에는 주화면 및 3 개의 부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항목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9번 채널로 수신되는 홈쇼핑을 3 개의 부화면 중 어느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의 위치가 달라진다. 일 예로, 부화면 2로 설정되면, 홈쇼핑을 디스플레이하는 부화면은 주화면의 우측단 중앙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부화면이 복수 개일 경우에는 서브 튜너부(130)에는 부화면의 개수와 동일한 튜너가 구비된다. 즉, 부화면이 3개일 경우에 는 서브 튜너부(130)에 3개의 튜너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어떤 채널에 어떤 방송 프로그램이 수신되는지를 기억하지 않아도 채널 리스트를 통해 이를 알 수 있으며, 채널 리스트를 이용해 주,부화면 채널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부화면이 복수 개일 경우에도, 복수 개의 부화면에 대한 채널을 한번에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OSD 생성부(190)를 제어한다(S41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80)는 수신부(175)를 통해 채널 리스트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수신부(175)를 통해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채널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채널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 위에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OSD 생성부(190)를 제어한다(S430). 그리고, 제어부(180)는 주/부화면 선택 메뉴에서 주화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주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을 튜닝하도록 메인 튜너부(110)를 제어한다(S445). 즉,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메인 튜너부(110)가 선택된 채널 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주화면이 선택되지 않은 것 즉, 부화면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부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 이때, 제어부(180)는 서브 튜너부(130) 및 서브처리부(140)가 동작되지 않고 있으면, 부화면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부화면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부화면이 켜지도록 서브처리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S460). 즉, 사용자가 리모콘(170)에 별도로 구비된 부화면 버튼을 이용해 직접 부화면을 켜지 않아도, 채널 리스트에서 부화면 채널이 선택되면, 부화면이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을 튜닝하도록 서브 튜너부(130)를 제어한다(S465). 즉, 제어부(180)는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서브 튜너부(130)가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에 설정 사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OSD 생성부(190)를 제어한다(S470). 이는, 사용자가 주,부화면 채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에서 '나가기'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80). '나가기'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주/부화면 채널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나가기'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각각 선택된 채널을 주/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및 서브처리부(120, 140), 합성부(150)를 제어한다(S490).
반면, '나가기'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S420 단계 내지 S470 단계의 반복에 의해 복수 개의 부화면에 대한 채널 선택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70)에 부화면 디스플레이 및 부화면 채널 선택을 위한 별도의 키를 구비할 필요없이 채널 리스트를 이용해 부화면 디스플레이 및 부화면 채널 선택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리모콘(170)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부화면 채널을 선택할 경우보다 조작 회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주/부화면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다른 예로는, 디스플레이를 크기가 동일한 좌/우화면 및 상/하화면, 크기가 다른 좌/우화면 및 상/하화면, 기타 다른 기준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장치에도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선택한 채널에 대한 화면 종류를 선택하도록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부화면 채널 선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채널 리스트 상에서 주/부화면 채널 선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메인 튜너부 120 : 메인처리부
130 : 서브 튜너부 140 : 서브처리부
150 : 합성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리모콘 175 : 수신부
180 : 제어부 190 : OSD 생성부

Claims (16)

  1.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부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을 켜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 기 설정된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주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을 상기 채널 리스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6. 채널 리스트 및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서브 튜너부; 및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부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부화면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부화면을 켜도록 상기 서브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서브 튜너부 및 상기 서브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튜너부; 및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해 주화면이 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메인 튜너부 및 상기 메인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부화면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을 상기 채널 리스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의 특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좌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우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좌측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측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14. 채널 리스트 및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 리스트 상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 종류 선택 메뉴를 통한 설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의 특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주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종류 선택 메뉴는, 상기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좌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우측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좌측화면 선택 항목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측화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70074048A 2007-07-24 2007-07-24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KR20090010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048A KR20090010714A (ko) 2007-07-24 2007-07-24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US12/016,561 US20090031349A1 (en) 2007-07-24 2008-01-18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08103113A EP2020815A1 (en) 2007-07-24 2008-03-2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048A KR20090010714A (ko) 2007-07-24 2007-07-24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14A true KR20090010714A (ko) 2009-01-30

Family

ID=3977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048A KR20090010714A (ko) 2007-07-24 2007-07-24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31349A1 (ko)
EP (1) EP2020815A1 (ko)
KR (1) KR200900107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916B1 (ko) * 2014-04-18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305242B2 (ja) * 2014-06-25 2018-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装置
CN110989954B (zh) * 2019-11-28 2024-03-01 北京猎户星空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联动的资源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9719A (en) * 1988-12-21 1990-09-2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Picture-in-picture television receiver control
JPH0638128A (ja) 1992-06-19 1994-02-10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JP4557374B2 (ja) * 2000-06-15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040047866A1 (en) 2002-09-09 2004-03-1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mmunomodulatory methods using carbohydrate antigens
US7640564B2 (en) * 2003-05-01 2009-12-29 Microsoft Corporation Recording resources indicators
KR100510142B1 (ko) * 2003-06-24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다중 비디오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장치 및 방법
JP4124110B2 (ja) * 2003-11-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支援装置及びコンテンツ視聴支援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B0402637D0 (en) * 2004-02-06 2004-03-10 Nokia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US20060101504A1 (en) * 2004-11-09 2006-05-11 Veveo.Tv,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earches for television content and channels using a non-intrusive television interface and with reduced text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1349A1 (en) 2009-01-29
EP2020815A1 (en)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10691A (ja) テーマによってチャンネルを走査する装置及び方法
US8763040B2 (en) Method of processing transmit streams independently to display multiple broadcasts at the same time and a recei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JPH10191193A (ja)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090010714A (ko)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JP2008028602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における番組選択方法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US20070139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JP4770380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6211424A (ja) 自動プリセット機能を備えた放送受信装置
KR10059912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선호 채널 시청방법
US20030074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665058B1 (ko) 텔레비젼의 채널선국방법
KR100686176B1 (ko) 방송 수신기 및 화면 제어 방법
US8274609B2 (en) Method of tuning according to varying length of key inpu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56018B1 (ko) 피아이피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그의 채널선국방법
EP17097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KR10099815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리스트 표시방법
JP4761661B2 (ja) 映像選択装置
KR10073591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49722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20704B1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영상을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그 방법
KR100742338B1 (ko) 채널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685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20090053157A (ko) 방송수신장치와 리모컨 및 그의 채널탐색방법
KR20110031592A (ko)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