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911U -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911U
KR20090009911U KR2020080004035U KR20080004035U KR20090009911U KR 20090009911 U KR20090009911 U KR 20090009911U KR 2020080004035 U KR2020080004035 U KR 2020080004035U KR 20080004035 U KR20080004035 U KR 20080004035U KR 20090009911 U KR20090009911 U KR 200900099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member
wall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088Y1 (ko
Inventor
윤관용
권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윤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윤관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2020080004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8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은 벽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부착되고, 가로축의 양단부에서 벽면의 전방을 향해 각각 돌출된 제 1고정부, 및 중앙부에서 수용홈을 제공하면서 벽면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제 2고정부를 갖고 있다. 프레임은 평평한 벽면 또는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 가능하게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프레임의 전방에는 커버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커버부재는 프레임의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에 결합한다. 프레임의 수용홈에는 높이 조절용 부재가 삽입되는데, 높이 조절용 부재에는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높이 조절용 부재에는 브래킷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데, 브래킷은 걸쇠 및 받침편을 갖고 있다. 프레임과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캡이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을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프레임의 외측에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고, 프레임과 커버부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STRUCTURE FOR COVERING FRAME OF FITTINGS}
본 고안은 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벽면에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프레임의 외측에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며, 프레임과 커버부재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각종 물건을 진열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 벽면에 부착하는 조립식 선반이나 붙박이장 등을 사용하고 있다. 즉,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 조립체를 수직으로 부착하고,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다단으로 복수개의 브래킷을 각각 조립하여 수평으로 배치한 다음, 브래킷에 선반의 양단을 얹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붙박이장 등의 선반 구조물은 여러 종류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반 구조물은, 각형의 수직 구조물(1)에 설치요홈(1-1)을 형성하고, 설치요홈(1-1)에 나사공과 걸림장공(2-1)을 구비한 고정브래킷(2)을 삽입 설치하며, 고정브래킷(2)의 양측으로는 외장부재(3)를 설치하고, 고정브래킷(2)의 걸림장공(2-1)에는 선반(4)이 얹어지도록 형성된 수평 지지부재(5)의 걸림단(5-1)을 삽입하여 걸리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하여, 수평 지지부재(5)를 고정브래킷(2)의 전방부로부터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 구조물은 수평 지지부재(5)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브래킷(2)의 양측에 반드시 외장부재(3)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2)의 전방부가 상기 수직 구조물(1)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관계로 그 돌출부위를 커버하기 위하여 외장부재(3)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선반 구조물은, 전방부에 나사공(6-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설치부(6-2)가 각각 형성되며 각 외장부재(9)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 프레임(6)과, 수직 프레임(6)의 설치부(6-2)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삽입 설치되고 끼움장공(7-1)이 연이어 형성된 고정부재(7)와, 각 고정부재(7)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부재(8)와, 수직 프레임(6)의 전면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6-3)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선반 구조물에 따르면, 하나의 수직 프레임(6)에 각각 다른 방향의 수평 지지부재(8)를 설치할 수 있고, 외장부재(9)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반 구조물은 벽체에 접촉되는 부위와 외장부재(7)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위에 단차가 형성되므로 외장부재(7)가 없을 경우에 벽체와 단턱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커버부재(6-3)는 수직 프레임(6)의 전방부만을 커버하므로 수평 지지부재(8)가 설치되는 측면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에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프레임과 커버부재의 조립 및 분해, 높이 조절이 용이한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는,
벽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장축이 연직방향으로 부착되고 가로방향의 중앙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수용홈이 제공된 프레임에, 수용홈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커버부재를 구비하되,
프레임의 가로방향의 양단부에는 벽면의 전방을 향해 각각 훅 형태의 제 1고정부가 돌출 제공되고,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수용홈을 둘러싸는 벽의 단부에 훅 형태의 두 개의 제 2고정부가 돌출 제공되고,
커버부재의 일단의 체결부는 프레임의 제 1고정부에 걸리도록 훅 형태로 제공되고, 커버부재의 타단의 체결부는 프레임의 제 2고정부에 걸리도록 훅 형태로 제공되어, 커버부재의 일단의 체결부가 프레임의 제 1고정부에 맞물려서 회전하여 커버부재의 타단의 체결부가 프레임의 제 2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는,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중앙부가 떨어져 양측부가 양쪽 벽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수용홈이 제공된 프레임에, 수용홈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커버부재를 구비하되,
프레임의 양측부의 양단부에는 훅 형태의 제 1고정부가 각각 구부러져 제공되고,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수용홈을 둘러싸는 벽의 단부에 원호형태의 수용홈으로 두 개의 제 2고정부가 제공되고,
커버부재의 일단의 체결부는 프레임의 제 1고정부에 걸리도록 훅 형태로 제공되고, 커버부재의 타단의 체결부는 프레임의 제 2고정부에 수용되도록 원호형태의 돌기로 제공되어, 커버부재의 타단의 체결부가 프레임의 제 2고정부에 삽입되면서 회전하여 커버부재의 일단의 체결부가 프레임의 제 1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는 프레임과 커버부재가 결합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끼워지는 캡을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수용홈에 삽입되고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멍이 제공된 높이 조절용 부재, 및 높이 조절용 부재의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걸쇠를 갖는 측벽부와 선반을 받쳐주는 받침편을 갖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을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프레임의 외측에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고, 프레임과 커버부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에 선반을 올려놓은 상태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 및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프레임 112, 213 : 제 1고정부
114, 214 : 제 2고정부 116, 216 : 수용홈
120, 220 : 커버부재 122, 222 : 몸체부
124, 126, 224, 226 : 체결부 130, 170 :높이 조절용 부재
140 : 브래킷 142 : 측벽부
144 : 걸쇠 146 : 받침편
150 : 체결부재 160 : 선반
180, 230 : 캡 182, 232 : 돌출편
211 : 중앙부 212 : 양측부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가 나타나 있으며,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가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110), 커버부재(120), 높이 조절용 부재(130), 및 브래킷(14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110)과 커버부재(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끼워지는 캡(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180)에는 돌출편(182)이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110)은 평평한 벽면(300)에 연직방향으로 체결부재(150)에 의해 부착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10)의 가로방향의 양단부에는 제 1고정부(112)가 벽면(30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110)의 중앙부에는 두 개의 제 2고정부(114)가 벽면(30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두 개의 제 2고정부(114) 사이에는 수용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탈착 가능한 두 개의 커버부재(120)가 제공되어 있다. 커버부재(120)의 양단의 체결부(124,126)는 각각 프레임(110)의 제 1고정부(112) 및 제 2고정부(114)에 결합된다. 여기서, 프레임(110)의 제 1고정부(112)와 제 2고정부(114)는 훅 형태로 제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부재(120)의 양단에도 체결부(124,126)가 훅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커버부재(120)의 몸체부(122)는 단면상 물결무늬를 갖는 굴곡면으로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110)의 수용홈(116)에는 높이 조절용 부재(130)가 삽입되어 있다. 높이 조절용 부재(130)에는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멍(132)이 제공되어 있다. 높이 조절용 부재(130)에는 브래킷(140)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브래킷(140)은 걸쇠(144)를 갖는 측벽부(142) 및 체결공(148)이 형성된 받침편(146)을 포함하고 있으며, 걸쇠(144)가 높이 조절용 부재(130)의 구멍(132)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받침편(146)이 선반(160, 도 3참조)을 받쳐주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에 선반(160)이 올려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프레임(110)의 수용홈(116)에 끼워진 높이 조절용 부재(130)에 브래킷(140)이 조립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140)의 위에 선반(160)이 올려져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에 커버부재(1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커버부재(120)의 일단의 체결부(124)를 프레임(110)의 제 1고정부(112)에 맞물리게 결합한 다음, 이 제 1고정부(112)를 지지점으로 하여 커버부재(120)의 타단의 체결부(126)를 프레임(110)의 제 2고정부(114)에 걸리도록 결합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가 나타나 있는데, 이 프레임 조립체는 모퉁이 벽면(300)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다.
프레임(210)은 모퉁이 벽면(300)에 연직방향으로 체결부재(150)에 의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210)은 중앙부(211)가 벽면(300)과 벽면(300)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양측부(212)가 양쪽 벽면(300)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10)의 가로방향의 양단부에는 제 1고정부(213)가 벽면(30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210)의 중앙부(211)에는 두 개의 제 2고정부(214)가 벽면(30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제공되어 있다. 두 개의 제 2고정부(214) 사이에는 수용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210)과 커버부재(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끼워지는 캡(230, 도 9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전방에는 탈착 가능한 두 개의 커버부재(220)가 제공되어 있다. 커버부재(220)의 양단의 체결부(224,226)는 각각 프레임(210)의 제 1고정부(213) 및 제 2고정부(214)에 결합된다. 여기서, 프레임(210)의 제 1고정부(213)는 훅 형태로 제공되고, 제 2고정부(214)는 원호형태의 수용홈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 1고정부(213)와 결합하는 커버부재(220)의 체결부(224)는 훅 형태로 제공되고, 제 2고정부(214)와 결합하는 커버부재(220)의 체결부(226)는 원호형태의 돌기로 제공되어 있다. 커버부재(220)의 몸체부(222)는 단면상 물결무늬를 갖는 굴곡면으로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210)의 수용홈(216)에는 높이 조절용 부재(170)가 삽입되어 있다. 높이 조절용 부재(17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이 높이 조절용 부재(17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높이 조절용 부재(130)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높이 조절용 부재(170)에는 브래킷(140)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브래킷(14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210)에 커버부재(2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커버부재(220)의 일단의 체결부(226)를 프레임(210)의 제 2고정부(214)에 삽입한 다음, 이 제 2고정부(214)를 회전축으로 하여 커버부재(220)의 타단의 체결부(224)를 프레임(210)의 제 1고정부(213)에 걸리도록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커버부재(220)의 일단의 체결부(226)는 프레임(210)의 제 2고정부(214)에 더욱 깊이 삽입되어 수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캡(230)에도 돌출편(232)이 제공되어 있어서, 프레임(210)과 커버부재(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나사나 못 등의 체결부재(150)로 벽면(300)에 연직방향으로 프레임(110,210)을 각각 고정하고, 도 4 및 도 5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210)에 커버부재(120,220)를 씌운다. 그 다음, 프레임(110,210)의 수용홈(116,216)에 높이 조절용 부재(130,170)를 끼우고, 원하는 높이에 브래킷(140)을 걸어 고정한다. 그리고, 두 브래킷(140)의 각 받침편(146) 사이에 선반(16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브래킷(140)과 선반(160)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프레임(110,210)과 커버부재(120,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캡(180,230)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110,210)을 체결부재(150)에 의해 벽면(300)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프레임(110,210)의 외측에 커버부재(120,220)를 결합합하며, 프레임(110,210)과 커버부재(120,220)를 결합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캡(180,230)을 결합하므로 체결부재(150)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평평한 벽면이나 벽면의 모퉁이에 각각 설치할 수 있는 두 가지 프레임(110,210)과 커버부재(120,220)가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프레임(110,210)과 커버부재(120,22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4)

  1. 벽면(300)에 체결부재(150)에 의해 장축이 연직방향으로 부착되고 가로방향의 중앙부에는 선반(16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수용홈(116)이 제공된 프레임(110)에, 상기 수용홈(116)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커버부재(120)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110)의 가로방향의 양단부에는 벽면(300)의 전방을 향해 각각 훅 형태의 제 1고정부(112)가 돌출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부에는 수용홈(116)을 둘러싸는 벽의 단부에 훅 형태의 두 개의 제 2고정부(114)가 돌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재(120)의 일단의 체결부(124)는 상기 프레임(110)의 제 1고정부(112)에 걸리도록 훅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재(120)의 타단의 체결부(126)는 상기 프레임(110)의 제 2고정부(114)에 걸리도록 훅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커버부재(120)의 일단의 체결부(124)가 상기 프레임(110)의 제 1고정부(112)에 맞물려서 이를 회전축으로 상기 커버부재(120)의 타단의 체결부(126)가 상기 프레임(110)의 제 2고정부(11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2. 벽면(300)과 벽면(300)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중앙부(211)가 떨어져 양측부(212)가 양쪽 벽면(300)에 체결부재(150)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중앙부(211)에는 선반(16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수용홈(216)이 제공된 프레임(210)에, 상기 수용홈(216)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10)의 전방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커버부재(220)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210)의 양측부(212)의 양단부에는 훅 형태의 제 1고정부(213)가 각각 구부러져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210)의 중앙부(211)에는 수용홈(216)을 둘러싸는 벽의 단부에 원호형태의 수용홈으로 두 개의 제 2고정부(214)가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재(220)의 일단의 체결부(224)는 상기 프레임(210)의 제 1고정부(213)에 걸리도록 훅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재(120)의 타단의 체결부(226)는 상기 프레임(210)의 제 2고정부(214)에 수용되도록 원호형태의 돌기로 제공되어, 상기 커버부재(220)의 타단의 체결부(226)가 상기 프레임(210)의 제 2고정부(214)에 삽입되면서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재(220)의 일단의 체결부(224)가 상기 프레임(210)의 제 1고정부(2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210)과 상기 커버부재(120,220)가 결합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끼워지는 캡(180,230)을 더 포함하는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210)의 수용홈(116,216)에 삽입되고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멍이 제공된 높이 조절용 부재(130,170); 및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30,170)의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걸쇠(144)를 갖는 측벽부(142), 및 상기 선반(160)을 받쳐주는 받침편(146)을 갖는 브래킷(140)을 더 포함하는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20080004035U 2008-03-27 2008-03-27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0448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035U KR200448088Y1 (ko) 2008-03-27 2008-03-27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035U KR200448088Y1 (ko) 2008-03-27 2008-03-27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11U true KR20090009911U (ko) 2009-10-01
KR200448088Y1 KR200448088Y1 (ko) 2010-03-12

Family

ID=4153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035U KR200448088Y1 (ko) 2008-03-27 2008-03-27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202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236574B1 (ko) * 2020-11-27 2021-04-07 김재관 양측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선반구조물
KR20210097913A (ko) * 2020-01-31 2021-08-10 (주)에스엔디엔지 인출 구조를 갖춘 벽부착형 찬넬식 선반
KR102614989B1 (ko) * 2023-09-12 2023-12-19 주식회사 공객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677A (ko)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83Y1 (ko)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동성사 선반 설치용 구조물
KR200369562Y1 (ko) 2004-09-23 2004-12-09 주식회사 크라텍 벽면 설치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0377368Y1 (ko) 2004-12-16 2005-03-11 주식회사 두원정밀 경량칸막이 고정가이드 겸 코너마감용 파티션덕트
KR200426565Y1 (ko) 2006-06-29 2006-09-13 (주)거창 칸막이용 측면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202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210097913A (ko) * 2020-01-31 2021-08-10 (주)에스엔디엔지 인출 구조를 갖춘 벽부착형 찬넬식 선반
KR102236574B1 (ko) * 2020-11-27 2021-04-07 김재관 양측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선반구조물
KR102614989B1 (ko) * 2023-09-12 2023-12-19 주식회사 공객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088Y1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101862992B1 (ko) 벽면 및 천장형 조명장치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US11950691B2 (en) Storage systems including back channels and walls mountable along the back channels
US5992954A (en) Dishwashing machine with supporting structure, composed o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 members, for a rinsing container
RU2466303C2 (ru) Сбор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1836149B1 (ko)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US20170030391A1 (en) T-Slot Mechanism and Assembly for Use in Furniture Constructions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20110041314A (ko) 선반 지지체
KR200417642Y1 (ko) 벽면부착형 조립식 선반
KR200485772Y1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KR200291211Y1 (ko) 책장
KR20200117133A (ko) 무지주 선반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JP5497228B2 (ja) 表示装置
KR200311710Y1 (ko) 피디피 티브이용 받침대
KR200434943Y1 (ko) 액자 연결구조
KR200285512Y1 (ko) 코너 수납장 설치 구조
JP3189823B2 (ja) 書架等の脚体装置
JP5043140B2 (ja) 間仕切りユニット
JP2006345950A (ja) 収納棚
JP4673738B2 (ja) 机と仕切パネルとの連結構造
JP3053686U (ja) ホームロ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