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072A -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 Google Patents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072A
KR20090008072A KR1020070071380A KR20070071380A KR20090008072A KR 20090008072 A KR20090008072 A KR 20090008072A KR 1020070071380 A KR1020070071380 A KR 1020070071380A KR 20070071380 A KR20070071380 A KR 20070071380A KR 20090008072 A KR20090008072 A KR 2009000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concrete filled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엽
백승덕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072A/ko
Publication of KR2009000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교각용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된 교각으로서,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에는 강봉 삽입구가 형성됨으로써, 건설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이 신속하면서도 내하력이 크고, 내진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조립식 교각을 건설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본 발명은 조립식 교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용 세그먼트를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교각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에 관한 것이다.
교량을 건설하기 위한 핵심부재인 교각은 시멘트의 발명 이후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오랫동안 건설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시공되는 교각의 높이와 내하력이 증대됨에 따라 토목분야에서는 중공(H: Hollow) 교각이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최소단면의 기둥을 필요로 하는 건축분야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CFT: Concrete-Filled steel Tube) 기둥의 사용이 증대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이들 2가지의 기술을 혼합한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H-CFT) 기둥도 토목에서는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H-CFT) 기둥은 지진에 의한 횡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 중공 내부의 콘크리트가 쉽게 파괴됨으로 해서 내진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충전 기둥 내부의 중공에도 콘크리트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강관을 삽입한 내부가 구속된(IC: Internally Confined)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이용한 기둥 또는 교각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ICH-CFT: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은 기존의 다른 형식의 기둥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내하력이 큰 동시에 뛰어난 내진 성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교량은 현재 실험실에서 그 성능을 평가하고 있는 상태의 기술로서 아직 기술개발 초기 단계의 기술이다.
현재, 기둥이나 교각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등의 모든 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현장시공법은 품질관리의 어려움과 인건비의 상승 및 공사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교각을 PC화하여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 조립하는 조립식 교각 공법이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C 세그먼트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식 공법은 운반과 조립시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중공형 교각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세그먼트간의 결합에는 강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건축에서 사용되는 기둥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둥의 단면적이 최소화되고, 용접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보와 기둥의 연결이 손쉽게 해결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의 경우도 강관의 조립이나 콘크리트의 충전 작업이 모두 현장에서 이 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토목분야의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교각은 현장에서 모든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고, 야외 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중공형 철근 콘크리트 교각은 철근 배근이 매우 복잡하고, 내진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교각에는 사용된 예가 거의 없고, 내부 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교각에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내부 강관이 부식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식이 발생되었을 때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교각용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각의 연결부와 취약부를 보강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내하력과 내진성능을 증대시키고 강관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은,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된 교각으로서,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에는 강봉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세그먼트 단위로 분절된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ICH-CFT)을 이용하여 교각을 형성시킴으로써, 건설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이 신속하면서도, 연결부의 내하력이 크고, 내진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조립식 교각을 건설할 수 있게 된다.
강관을 이용한 세그먼트 연결부의 보강 방법과 세그먼트에 기둥 받침부를 일체화시키는 변단면 공법 및 내부 강관의 내부식성 재료로의 대체 방법은 여타 모든 기둥공법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각의 조립식 시공법은 공사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에 따른 사고 발생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현장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교각으로서, 세그먼트 간의 연결부를 보강하고, 세그먼트와 연결 부재와의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은 기초부(10)와 코핑부(20)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된 내부구속 중공(中空)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세 개로 하였으나, 그 수는 가감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원통형으로 하였으나 사각 또는 그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둥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전단키(3)가 끼워지는 전단홈(10a)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단홈(10a)에는 강봉(18)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너트(22)가 설치된다.
상기 코핑부(20)에는 다수 개의 거더(미도시)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코핑부(20)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8)의 전단홈(17)에 끼워지는 전단키(미도시)가 형성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는 상기 기초부(10)와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및 상기 코핑부(20)와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8)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또는 정확한 결합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핑부(20)의 상면에는 전단홈(20a)이 형성되고, 그 전단홈(20a)에는 강봉 삽입구(미도시)가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는 대직경의 외부 강관(12a, 14a, 16a)과 그 외부 강관(12a, 14a, 16a)내에 삽입된 소직경의 내부 강관(12b, 14b, 16b) 사이에 콘크리트(12c, 14c, 16c)를 충전시킨 구조로서, 그 콘크리트(12c, 14c, 16c)가 충전된 부위의 상면에는 전단홈(13, 15, 17)이 형성되고, 그 전단홈(13, 15, 17)내에는 다수개의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물론, 그 전단홈(13, 15, 17)의 외부에 강봉 삽입구(12d, 14d, 16d)를 형성시켜도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12c, 14c, 16c)가 충전된 부위의 하면에는 전단키(3, 5, 7)가 형성된다.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는 상기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를 관통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전단홈(13, 15, 17)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강봉 삽입구(12d, 14d, 16d)의 설치형태에 따라 상기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를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강관(12b, 14b, 16b)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비부식성 재질로 된 관 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부식에 강한 재질로 된 관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는 주문에 따라 공장 또는 현장 주변에서 미리 제조된 후에 건설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서,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형성되는 부위는 네 군데로 하였는데, 그 강봉 삽입구(12d, 14d, 16d)의 배치 및 위치는 변동이 가능하며,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개별적으로 단면 전체에 분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 및 저면에 설치된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는 세그먼트간의 수평하중을 전달한다. 상기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는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 및 저면에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오목과 볼록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에는 오목(凹)형상의 전단홈(13, 15, 17)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저면에는 대면되는 기초부(10)의 전단홈(10a)과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상면의 전단홈(13, 15)에 끼워지는 볼록(凸) 형상의 전단키(3, 5, 7)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전단홈(13, 15, 17)과 전단키(3, 5, 7)의 형상은 상호간에 결합만 된다면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으로 국한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물론, 상기 다수개의 전단홈(13, 15, 17)과 전단키(3, 5, 7)의 형성 위치를 반대로 하여도 된다. 즉,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에 전단키(3, 5, 7)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저면에 전단홈(13, 15, 17)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세그먼트의 상면에는 전단키와 전단홈이 복합적으로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면에는 이와 결합될 수 있는 전단홈과 전단키를 갖고 있으면 된다.
특히,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는 상기 기초부(10)에 결합되는 최하단 세그먼트로서, 수직 하중에 대해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외부 강관(12a)의 하부는 테이퍼지게 단면적이 커지도록 세그먼트를 형성하면 된다. 그로 인해, 기초부(10)와의 연결부위 단면이 확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직경만큼의 높이에서부터 테이퍼 지나 테이퍼의 높이는 변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는 상기 코핑부(20)와 결합되는 최상단 세그먼트로서, 그 코핑부(20)와의 연결부위의 내하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외부 강관(16a)의 상부는 테이퍼지게 단면적이 커지도록 세그먼트를 형성하면 된다. 그로 인해, 코핑부(20)와의 연결부위 단면이 확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을 시공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부(1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전단홈(10a)에 추후에 강봉(18-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는 너트(22)의 일부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그 기초부(10) 상면에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기초부(10) 상면의 전단홈(10a)에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저면의 전단키(3)를 끼워 맞춘다.
그 후, 순차적으로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4, 16)를 수직으로 결합시킨 후에, 코핑부(20)의 저면의 전단키(도시 생략)를 최상위에 위치한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상면의 전단홈(17)에 결합시킨다.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와 코핑부(20)와의 결합이 완성되면, 상기 코핑부(20)의 강봉 삽입구(즉, 전단홈(20a)내에 형성됨)에 기둥 높이의 강봉(18)을 삽입하여 기초부(10) 상면의 전단홈(10a)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22)에 결합시킨다. 그 후, 유압 잭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부(10)에 설치된 너트(22)와 연결된 강봉(18)을 긴장시켜 코핑부(20) 상면에서 고정시킨다. 그리하면, 최종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 교각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를 상호 연결시킬 때 상호간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가 상호 접하는 부위를 다음과 같이 변형시켜도 된다.
도 4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d는 도 4a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결합단면도이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d에서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상부 세그먼트라고 약칭함)의 참조부호를 30으로 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하부 세그먼트라고 약 칭함)의 참조부호를 40이라고 설명한다.
상부 세그먼트(30)의 외부 강관(32)과 내부 강관(34)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36)의 하단부는 소정치 돌출되고, 그 콘크리트 돌출부위의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접착제 충진홈(38)이 세로로 형성되며, 그 콘크리트 돌출부위의 저면에는 전단키(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40)의 외부 강관(42)과 내부 강관(44) 사이에 콘크리트(46)가 충전되는데, 상기 상부 세그먼트(30)의 콘크리트 돌출부위의 길이만큼 제외하고 충전된다. 그리고, 충전된 콘크리트(46)의 상면에는 상기 전단키(31)가 끼워지는 전단홈(41)이 형성된다. 만약, 그 전단키(31)가 없다면 상기 전단홈(41) 역시 없어도 무방하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는 접착제 충진홈(38)을 상부 세그먼트(30)의 콘크리트 돌출부위에 형성시켰으나, 하부 세그먼트(40)의 외부 강관(42)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시켜도 된다.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구성된 상부 세그먼트(30)와 하부 세그먼트(40)는 도 4d에서와 같이 그 상부 세그먼트(30)의 콘크리트 돌출부위가 하부 세그먼트(40)의 상부 수납부위에 결합되기 전에 하부 세그먼트(40)의 내부에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바른 후 상부 세그먼트(30)와 하부 세그먼트(40)를 결합시키면 여분의 에폭시가 에폭시 충진홈으로 누출되도록 하여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의 결합이 완벽하게 될 수 있으며,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사이의 상하면과 측벽면에 에폭시가 충진됨으로 해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상부 세그먼트(50)의 외부 강관(52)과 내부 강관(54) 사이에는 콘크리트(56)가 완전히 충전되고, 그 충전된 콘크리트(56)의 저면에 전단키(51)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강관(52)의 외부면 하부에 다수의 접착제 충진홈(58)이 세로로 형성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내부 강관(54)의 내부면 하부에도 접착제 충진홈(58)을 세로로 형성시켜도 된다. 그리고, 하부 세그먼트(60)의 외부 강관(62)과 내부 강관(64) 사이에 콘크리트(66)가 완전히 충전되고, 그 충전된 콘크리트(66)의 상면에는 그 전단키(51)가 끼워지는 전단홈(61)이 형성된다. 만약, 그 전단키(51)가 없다면 상기 전단홈(61) 역시 없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60)의 외부 강관(62)의 외부면 상부 및 내부 강관(64)의 내주면 상부에는 보조 강관(70)이 용접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 충진홈(58)의 길이와 상기 보조 강관(70)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정도 차이가 있어도 무방하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접착제 충진홈(58)을 상부 세그먼트(50)의 외부 강관(52)의 외부면 하부에 형성시켰으나, 보조 강관(70)의 내부면 상부에 형성시켜도 마찬가지 효과가 있다.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구성된 상부 세그먼트(50)와 하부 세그먼트(60)는 도 5d에서와 같이 그 상부 세그먼트(50)의 하부를 하부 세그먼트(60)의 보조 강관(70)내로 결합되기 전에 하부 세그먼트(60)의 내부에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바른 후 상부 세그먼트(50)와 하부 세그먼트(60)를 결합시키면 여분의 에폭시가 접착제 충진홈(58)으로 누출되도록 하여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의 결합이 완벽하게 될 수 있으며,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사이의 상하면과 측벽면에 에폭시가 충진됨으로 해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기초부(10)와 최하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비교하여 볼 때 차이가 나는 점은 기초부(10)의 상면에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하부가 소정치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8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하부는 그 삽입부(8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었다는 점이 차이난다.
도 6과 같이 구성시키게 되면 도 1의 구성보다는 기초부(10)와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간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코핑부(20)와 최상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비교하여 볼 때 차이가 나는 점은 코핑부(20)의 저면에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상부가 소정치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9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상부는 그 삽입부(9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었다는 점이 차이난다.
도 7과 같이 구성시키게 되면 도 1의 구성보다는 코핑부(20)와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간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4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c는 도 4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d는 도 4a의 결합단면도,
도 5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5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d는 도 5a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1의 기초부와 최하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코핑부와 최상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 트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5, 7 : 전단키 10 : 기초부
12, 14, 16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13, 15, 17 : 전단홈 18 : 강봉
20 : 코핑부 22 : 너트
12a, 14a, 16a : 외부 강관 12b, 14b, 16b : 내부 강관
12c, 14c, 16c : 콘크리트 12d, 14d, 16d : 강봉 삽입구

Claims (6)

  1.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된 교각으로서,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에는 강봉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중에서 최상단 세그먼트의 상부 및 최하단 세그먼트의 하부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의 높이와 상기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 사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는 상호 차등적이고, 상기 콘크리트에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결합을 도와주는 결합 도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 삽입구는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전단홈 및 전단키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연결부위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제 충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연결부위에는 보조 강관이 덧대어지고, 상기 보조 강관이 덧대어진 부위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제 충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KR1020070071380A 2007-07-16 2007-07-16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KR20090008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80A KR20090008072A (ko) 2007-07-16 2007-07-16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80A KR20090008072A (ko) 2007-07-16 2007-07-16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72A true KR20090008072A (ko) 2009-01-21

Family

ID=4048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380A KR20090008072A (ko) 2007-07-16 2007-07-16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072A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83B1 (ko) * 2011-07-14 2012-01-16 서보산업 주식회사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KR101245197B1 (ko) * 2010-09-28 2013-03-19 주식회사 아앤시티 다주형 모듈러 교각
KR101359159B1 (ko) * 2011-06-30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구조
KR101389485B1 (ko) * 2012-05-10 2014-04-25 (주) 에센스 건축용 콘크리트 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03271B1 (ko) * 2011-12-02 2014-06-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와 이를 사용한 버팀보 및 버팀보 시공법
CN104790291A (zh) * 2015-04-22 2015-07-22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预制装配式桥墩立柱及其连接方法
CN106192729A (zh) * 2016-07-14 2016-12-07 东南大学 预制拼装桥墩芯形榫接头构造与施工方法
CN106869569A (zh) * 2017-04-09 2017-06-20 北京工业大学 一种提高地下框架结构体系抗震性能的叠层加芯柱
CN107966405A (zh) * 2017-12-25 2018-04-27 合肥工业大学 一种关于混凝土与钢护筒粘结特性的实验模型结构
CN108086140A (zh) * 2018-01-31 2018-05-29 福建工程学院 一种钢管套接的装配式桥墩构造
CN108951404A (zh) * 2018-08-10 2018-12-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节段预制墩柱交叉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109653083A (zh) * 2019-01-22 2019-04-19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外包钢板连接的预制拼装节段混凝土桥墩
CN109853364A (zh) * 2019-01-22 2019-06-07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抗剪的节段预制拼装桥墩连接结构与方法
CN110886204A (zh) * 2019-11-29 2020-03-17 重庆交通大学 一种装配式预制节段桥墩
CN108570923B (zh) * 2018-05-06 2020-11-27 北京工业大学 震后可快速修复的钢筋混凝土桥墩构造
CN112681142A (zh) * 2020-12-18 2021-04-2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预制装配式桥梁空心墩柱施工方法
CN112900227A (zh) * 2021-01-22 2021-06-04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装配式桥梁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737636A (zh) * 2021-09-18 2021-12-03 西安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装配式墩柱的钢-混组合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CN113756195A (zh) * 2021-08-31 2021-12-07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空心墩墩顶实心段施工装置及方法
CN114541252A (zh) * 2022-04-07 2022-05-27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一种带芯柱的节段预应力拼装桥墩及施工方法
CN115110406A (zh) * 2022-04-20 2022-09-27 重庆大学 一种外包约束rc的自复位钢管混凝土装配式桥墩及其施工工艺
CN116254759A (zh) * 2023-05-11 2023-06-13 湖南大学 一种预制桥墩的连接结构及连接方法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97B1 (ko) * 2010-09-28 2013-03-19 주식회사 아앤시티 다주형 모듈러 교각
KR101359159B1 (ko) * 2011-06-30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구조
KR101105883B1 (ko) * 2011-07-14 2012-01-16 서보산업 주식회사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KR101403271B1 (ko) * 2011-12-02 2014-06-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와 이를 사용한 버팀보 및 버팀보 시공법
KR101389485B1 (ko) * 2012-05-10 2014-04-25 (주) 에센스 건축용 콘크리트 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4790291A (zh) * 2015-04-22 2015-07-22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预制装配式桥墩立柱及其连接方法
CN106192729A (zh) * 2016-07-14 2016-12-07 东南大学 预制拼装桥墩芯形榫接头构造与施工方法
CN106192729B (zh) * 2016-07-14 2017-10-20 东南大学 预制拼装桥墩芯形榫接头构造与施工方法
CN106869569A (zh) * 2017-04-09 2017-06-20 北京工业大学 一种提高地下框架结构体系抗震性能的叠层加芯柱
CN106869569B (zh) * 2017-04-09 2019-04-30 北京工业大学 一种提高地下框架结构体系抗震性能的叠层加芯柱
CN107966405A (zh) * 2017-12-25 2018-04-27 合肥工业大学 一种关于混凝土与钢护筒粘结特性的实验模型结构
CN108086140A (zh) * 2018-01-31 2018-05-29 福建工程学院 一种钢管套接的装配式桥墩构造
CN108570923B (zh) * 2018-05-06 2020-11-27 北京工业大学 震后可快速修复的钢筋混凝土桥墩构造
CN108951404A (zh) * 2018-08-10 2018-12-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节段预制墩柱交叉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108951404B (zh) * 2018-08-10 2024-06-11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节段预制墩柱交叉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109853364A (zh) * 2019-01-22 2019-06-07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抗剪的节段预制拼装桥墩连接结构与方法
CN109653083B (zh) * 2019-01-22 2024-02-23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外包钢板连接的预制拼装节段混凝土桥墩
CN109653083A (zh) * 2019-01-22 2019-04-19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外包钢板连接的预制拼装节段混凝土桥墩
CN110886204A (zh) * 2019-11-29 2020-03-17 重庆交通大学 一种装配式预制节段桥墩
CN112681142A (zh) * 2020-12-18 2021-04-2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预制装配式桥梁空心墩柱施工方法
CN112681142B (zh) * 2020-12-18 2023-05-09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预制装配式桥梁空心墩柱施工方法
CN112900227A (zh) * 2021-01-22 2021-06-04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装配式桥梁结构及其安装方法
CN112900227B (zh) * 2021-01-22 2022-02-11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装配式桥梁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756195A (zh) * 2021-08-31 2021-12-07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空心墩墩顶实心段施工装置及方法
CN113737636A (zh) * 2021-09-18 2021-12-03 西安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装配式墩柱的钢-混组合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CN114541252A (zh) * 2022-04-07 2022-05-27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一种带芯柱的节段预应力拼装桥墩及施工方法
CN115110406A (zh) * 2022-04-20 2022-09-27 重庆大学 一种外包约束rc的自复位钢管混凝土装配式桥墩及其施工工艺
CN116254759A (zh) * 2023-05-11 2023-06-13 湖南大学 一种预制桥墩的连接结构及连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072A (ko)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KR100713692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사용한 프리스트레스연결형 조립식교각 및 그 시공방법
US20080196341A1 (en) Modular Column System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lumn Uni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767677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KR100924746B1 (ko) 다단계 긴장을 적용한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시공 방법
KR101325245B1 (ko) 강관과 콘크리트 합성된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JP2018505981A (ja) Pcトラス壁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CN108867342B (zh) 一种高耐久性抗地震倒塌的多柱墩体系及施工方法
CN109667336B (zh) 一种采用frp管连接的装配式自复位框架体系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CN101245584A (zh) 利用内部约束的中空柱单元的模块化柱***及其建造方法
US8578537B2 (en) Partially prefabricated structural concrete beam
KR101065098B1 (ko) 철근 케이지 구조
KR100911148B1 (ko) 교량의 경량화된 코핑
CN115045181A (zh) 一种中高烈度区预制墩柱-承台承插式节点连接方法与构造
KR100713690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사용한 조립식교각 및그 시공방법
JP2001262774A (ja) 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部材
CN111197318B (zh) 用于风力涡轮机的塔架的地基
CN209742073U (zh) 一种采用frp管连接的装配式自复位框架体系
CN111173129A (zh) 一种预应力装配框架结构及施工方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CN110685215A (zh) 一种半装配式组合桥墩及其施工方法
CN215165648U (zh) 一种可以回收的逆作区结构竖向承重装置
CN115652798A (zh) 基于钢筋搭接的湿接缝预制装配式桥墩的制作方法及桥墩
KR20230081880A (ko) 소켓식 탄성덕트 커플러를 구비한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