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692A -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692A
KR20090007692A KR1020087024278A KR20087024278A KR20090007692A KR 20090007692 A KR20090007692 A KR 20090007692A KR 1020087024278 A KR1020087024278 A KR 1020087024278A KR 20087024278 A KR20087024278 A KR 20087024278A KR 20090007692 A KR20090007692 A KR 2009000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ter
microplate
pack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우에마츠
사토코 도쿠나가
지로 다케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12M25/04Membranes; Filters in combination with well or multiwell plates, i.e. culture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for parallel transport of multiple samples
    • B01L3/50255Multi-well fil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7/00Detai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 (50) 를 갖는 상방 용기 (41) 와, 필터 (46) 를 유지하고 있는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과, 상기 상방 용기 (41) 와 끼워맞춤하는 중간 용기 (42) 로서, 필터 (46) 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 (63) 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 (41) 와의 사이에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중간 용기 (42) 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80) 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 (43) 로서, 중간 용기 (42)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 (43) 로 이루어지고, 중간 용기 (42) 가 개구부 (63) 로부터 수하하여 하단부에 하방 개구부 (65) 를 구비한 안내벽 (64) 을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 (43) 가 가지고 있는 저장부 (80) 가 상기 안내벽 (64) 을 수용하고, 그 저장부 (80) 가 안내벽 (64) 의 하방 개구부 (65) 로부터 필터 (46) 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검사 시료를 수용하고 있고, 또한 그 하방 용기 (43) 가 그 상방의 직경 확대 사면 (92) 에 저장부 (80) 의 외부에 통하는 통기부 (90) 를 가지고 있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FILTER-CARRYING MICRO PLATE}
본원 발명은,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 물질을 필터에 통과시켜, 필터링한 검사 시료를 저장부에 수집하고, 이 저장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필터를 내장한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세포 조직 배양 또는 생체 배양 조직 검사 그 밖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피검사 물질로부터 검출 감도상 방해가 되는 성분을 미리 필터에 의해 분리, 즉 필터링하고, 원하는 배양 목적 또는 검사에 유용한 성분만을 꺼내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불필요한 성분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래 의도하지 않은 피크가 너무 과잉으로 나와 목적하는 피크 포인트가 특정되기 어려워지거나 혹은 본래 의도한 피크 포인트가 적정하게 반응하지 않기도 한다는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터링에 의해 분리된 유효 성분만을 다음 공정에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필터에 의해 분리된 유효 성분이 수용되어 있는 저장부, 혹은 이 저장부를 가지고 있는 용기만을, 그 후의 성분 내용에 물성 변동이 발현하기 전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당해 마이크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저장부를 가지고 있는 용기만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마이크로 플레이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추가로 또,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요소가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또한 신속 확실하게 조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세포를 염색하거나 형광 표식하거나 하기 위한 여분의 단계 및 비용을 없애기 위해서, 상하의 시험조와 필터와 센서를 포함하는 다층 오목 형상체 조립 장치로서, 그 센서가 필터를 개재하여 하부 시험조에 집적된 대상물을 표지 프리한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알려져 있다.
또한, 액체 배지를 수용한 셀 내로 필터를 개재하여 특정 균체가 공급되고, 그 배지 내에서의 배양을 촉진하기 위해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진동시켰을 때, 그 액체 배지가 비산하여 다른 셀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당해 비산 방지를 위한 점착제를 도포한 지지판을 형성한 필터를 제공한 마이크로 플레이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관점에 주목하여, 필터에 의해 분리된 유효 성분만을 수용한 저장부를 가지는 용기 부분을, 용이하게 마이크로 플레이트로부터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6-505278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5877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공지된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요소가 신속히 또한 청결한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공지된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특히 필터의 개발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의 신속하고 또한 위생적인 장착이 곤란하였다. 또,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는 매우 얇아 쉽게 깨지기 쉬운 필터를 사용하고 있고, 그 때문에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이동 중에 자주 이 필터가 위치 변동을 일으켜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피검사 물질을 필터링하는 경우에, 검사 내용에 따라서는 필터의 메시를 매우 촘촘하게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피검사 물질이 그곳을 통과하는 데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과제도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많은 검체를 검사하기 위해서 많은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많은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적층한다는 것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검사 흡인시에 저장부 내의 시료가, 이것에 인접하는 저장부 내의 시료와 서로 섞일 가능성이 있다는 과제, 또한 검사 흡인시에 큰 부압을 부여했을 때 등에 시료가 역류할 위험이나, 당해 흡인시에 시료가 저장부의 외부로 유출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은,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로서,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상방 용기와, 필터를 유지하고 있는 상측 패킹 및 하측 패킹과, 상기 상방 용기와 끼워맞춤하는 연결 부재로서, 필터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와의 사이에 상측 패킹 및 하측 패킹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연결 부재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로서, 연결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로 이루어지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은,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로서,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상방 용기와 필터를 유지 하고 있는 상측 패킹 및 하측 패킹과, 상기 상방 용기와 끼워맞춤하는 중간 용기로서 필터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 사이에 패킹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중간 용기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로서, 중간 용기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로 이루어지고, 중간 용기가 개구부로부터 수하 (垂下) 하여 하단부에 하방 개구부를 구비한 안내벽을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가 가지고 있는 저장부가 상기 안내벽을 수용하고, 그 저장부가 안내벽의 하방 개구부로부터 필터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검사 시료를 수용하고 있고, 추가로 그 하방 용기가 그 상방의 직경 확대 사면에 저장부의 외부로 통하는 통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는, 이하의 (1) ∼ (23) 에 나타내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1)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로서,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 (120) 를 갖는 상방 용기 (111) 와, 필터 (115) 를 유지하고 있는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과, 상기 상방 용기 (111) 와 끼워맞춤하는 연결 부재 (112) 로서, 필터 (115) 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 (140) 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 (111) 와의 사이에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연결 부재 (112) 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160) 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 (116) 로서, 연결 부재 (112)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 (116) 로 이루어지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2) 상방 용기 (111) 가 외주 부분에 수직 하방으로 신장되는 외측 수직벽 (124) 을 가지고 있고, 이 외측 수직벽 (124) 이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125) 를 가지고 있고, 연결 부재 (112) 가 외주 부분에 수직 상방으로 신장되는 기립벽 (135) 을 가지고 있고, 이 기립벽이 내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136) 를 가지고 있고, 이들 돌기 (125, 136) 가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와 연결 부재의 끼워맞춤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3) 상방 용기 (111) 가, 상방 부분 (129) 과 하방 부분 (130) 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구멍 (128) 을 가지고 있고, 상방 부분이 직경 확대 구멍을 가지고, 하방 부분이 직경 축소 구멍을 가지고, 상방 부분과 하방 부분 사이에 단부 (131) 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 부재 (112) 가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중공 형상의 로크 핀 (143) 을 가지고 있고, 그 로크 핀이 상부에 직경 확대 부분 (144) 을 가지고, 이 직경 확대 부분이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그 로크 핀 (143) 을 상방 용기 (111) 의 하방 부분 (130) 으로부터 끼워맞춤 구멍 (128) 에 압입함으로써 그 로크 핀의 직경 확대 부분 (144) 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직경 축소되고, 더욱 압입함으로써 로크 핀 (143) 이 상방 부분 (129) 에 도달하고, 그 직경 확대 부분 (144) 이 상방 용기 (111) 의 단부 (131) 에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의 끼워맞춤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및 (2)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4) 연결 부재 (112) 가, 하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유지벽부 (137) 및 위치 결정 핀 (145) 을 가지고, 그 유지벽부 (137) 는 외면 (138) 과 경사 내면 (139) 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연결 부재 (112) 를 포위하도록 외주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위치 결정 핀 (145) 은 원추 형상을 가지고 연결 부재 (112) 의 내방 부분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하방 용기 (116) 가, 외주 부분에 경사부 (162) 와 단차 형상부 (163) 로 이루어지는 외주 리브 (161) 와, 원추 형상을 이루는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를 가지고, 하방 용기 (116) 는 연결 부재 (112) 에 대해 경사부 (162) 를 경사 내면 (139) 에 대해 압접함으로써 기밀 상태에서 접하고 있지만, 위치 결정 핀 (145) 과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유있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3)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5) 필터 (115) 가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복수의 균일 치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중심부와, 그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외주부가 중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4)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6) 연결 부재 (112) 의 경사 내면 (139) 혹은 하방 용기 (116) 경사부 (162) 의 일방에 O 링 등의 기밀함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끼워맞추어 장착되어 있고, 이로써 양자가 기밀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5)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7) 연결 부재 (112) 와 하방 용기 (116) 는, 각각 경사 내면 (139) 과 경사부 (162) 에 있어서 기밀 끼워맞춤되어 있지만,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는 여유를 두고 끼워맞춤되어 있고,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의 하나에 감압 (減壓) 수단을 접속함으로써, 필터의 하방을 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필터링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8) 상측 패킹 (113) 과 하측 패킹 (114) 을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수를 저감시키고 또한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한 (1) ∼ (7)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9) 필터 (115) 또는 그 필터가 맞닿는 부재에 조립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마크가 부여되어 있어, 이로써 양자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지고, 이로써 조립 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며, 나아가서는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는 (1) ∼ (8)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0)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40a) 로서,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 (50, 50A) 를 갖는 상방 용기 (41, 41A) 와, 필터 (46, 46A) 를 유지하고 있는 상측 패킹 (44, 44A) 및 하측 패킹 (45, 45A) 과, 상기 상방 용기 (41, 41A) 와 끼워맞춤하는 중간 용기 (42, 42A) 로서, 필터 (46, 46A) 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 (63) 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 (41, 41A) 사이에 상측 패킹 (44, 44A) 및 하측 패킹 (45, 45A) 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중간 용기 (42, 42A) 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80, 80A) 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 (43, 43A) 로서, 중간 용기 (42, 42A)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 (43, 43A) 로 이루어지고, 중간 용기 (42, 42A) 가 개구부 (63) 로부터 수하하여 하단부에 하방 개구부 (65) 를 구비한 안내벽 (64, 64A) 을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 (43, 43A) 가 가지고 있는 저장부 (80, 80A) 가 상기 안내벽 (64, 64A) 를 수용하고, 그 저장부 (80, 80A) 가 안내벽 (64, 64A) 의 하방 개구부 (65) 로부터 필터 (46, 46A) 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검사 시료를 수용하고 있고, 또한 그 하방 용기 (43, 43A) 가 그 상방의 직경 확대 사면 (92) 에 저장부 (80, 80A) 의 외부로 통하는 통기부 (90)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1) 통기부 (90) 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2) 통기부 (90) 가 2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3) 안내벽 (64, 64A) 의 하단부가 저장부 (80, 80A) 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깊이까지 수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4) 중간 용기 (42, 42A) 와 하방 용기 (43, 43A) 사이에 보조 패킹 (47, 47A) 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5) 보조 패킹 (47, 47A) 이 하방 용기 (43, 43A) 에 대해 미리 이(異) 재질 성형 혹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6) 상방 용기 (41, 41A) 가 외주부에 수직 하방으로 신장되는 외측 수직벽 (52, 52A) 을 가지고 있고, 이 외측 수직벽 (52, 52A) 이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53) 를 가지고 있고, 중간 용기 (42, 42A) 가 외주부에 수직 상방으로 신장되는 기립벽 (60, 60A) 을 가지고 있고, 이 기립벽 (60, 60A) 이 내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61) 를 가지고 있고, 이들 돌기 (53, 61) 가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41, 41A) 와 중간 용기 (42, 42A) 의 끼워맞춤을 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7) 상방 용기 (41, 41A) 가, 상방 부분 (57) 과 하방 부분 (58) 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구멍 (56) 을 가지고 있고, 상방 부분 (57) 이 직경 확대 구멍을 가지고, 하방 부분 (58) 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감에 따라 직경 축소되는 구멍을 구성하고 있고, 상방 부분 (57) 과 하방 부분 (58) 사이에 단부 (59) 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용기 (42, 42A) 가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로크 핀 (67) 을 가지고 있고, 그 로크 핀 (67) 이 상부에 직경 확대 부분 (69) 을 가지고 이 직경 확대 부분 (69) 이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간격 (48) 을 가지고, 그 로크 핀 (67) 을 상방 용기 (41, 41A) 의 하방 부분 (58) 으로부터 끼워맞춤 구멍 (56) 에 압입함으로써 그 로크 핀 (67) 의 직경 확대 부분 (69) 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직경 축소되고, 더욱 압입함으로써 로크 핀 (67) 이 상방 부분 (57) 에 도달하고, 그 직경 확대 부분 (69) 이 상방 용기 (41, 41A) 의 단부 (59) 에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41, 41A) 와 중간 용기 (42, 42A) 의 끼워맞춤이 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8) 필터 (46, 46A) 가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복수의 균일 치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중심부와, 그 중심부로부터 경사부를 개재하여 신장되어 있는 그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외주부가 중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19) 각 구성 요소가 투명한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20) 상방 용기 (41A) 가, 그 외주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플랜지 기립부 (86) 와, 더욱 개구부 (50A) 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으로 신장되는 개구 기립부 (87) 를 가지고 있고, 이들 플랜지 기립부 (86) 와 개구 기립부 (87) 가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높이까지 신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21) 중간 용기 (42A) 가 외주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기립벽 (60A) 과 그 기립벽 (60A) 의 소정 거리를 둔 내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내측 기립벽 (88) 을 가지고 있고, 이들 기립벽 (60A) 과 내측 기립벽 (88) 사이에 구획되는 공간에 상방 용기 (41A) 로부터 수하하는 외측 수직벽 (52A) 이 끼워맞추어 넣어져 있고, 내측 기립벽 (88) 의 높이가 기립벽 (60A) 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22) 내측 기립벽 (88) 이 상측 패킹 (44A) 및 하측 패킹 (45A) 의 외주 가장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 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23) 중간 용기 (42A) 가 보조 패킹 (47A) 에 접하는 면에 볼록부 (89)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의 상기 (1)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매우 단순화된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신속히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또한 파괴되기 쉬운 필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 변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 본원 발명의 상기 (2)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필터링 후의 검사 시료를 마이크로 플레이트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그 때문에 이들 작업에 숙련을 필요로 한다는 과제를 해소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 상기 (3)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연결 부재와 상방 용기의 연결이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 본원 발명의 상기 (4)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안정적인 상태로 정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 상기 (5)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얇고 취약한 필터를 파괴하지 않고 세팅할 수 있고, 항상 적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6), (7)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필터링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한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게다가, 상기 (8), (9)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구성 부품이 적고, 또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상기 (10)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매우 단순화된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신속히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게다가 파괴되기 쉬운 필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 변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 저장부에 인접한 위치에 통기부를 형성하고, 이 통기부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시료를 저장부 내에 흡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감압 흡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속하고 또한 확실한 필터링 작업이 가능해져, 초기의 배양 또는 검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상기 (11), (12)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통기부를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필터링 작업을 시료에 최적인 시간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시료가 공기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변화를 최저한으로 제한할 수 있고, 이로써 매우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13)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안내벽의 하단부인 하방 개구부가 저장부의 절반보다 하방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으므로, 그 하방 개구부로부터 공급되는 시료가 예기치 않은 공역 (空域) 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필터를 통과한 시료 모두를, 분석 등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상기 (14), (15)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보조 패킹이 중간 용기와 하방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저장부의 상방 부분에 형성한 통기부를 통하여 공기를 항상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 보증되어 있다. 또, 이 보조 패킹은 매우 용이하고 확실한 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상기 (16), (17)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상방 용기와 중간 용기가 단순한 압입 작업에 의해 간단하게 단시간에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18)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얇고 무른 필터를 파괴하지 않고 세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필터를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필터를 항상 적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 (19)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투명한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저장부 내에 수용되는 시료의 공급을 안내벽의 하방 개구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확실하게 멈출 수 있고, 그 결과, 항상 저장부 내부의 공기 제거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료가 감압 장치 내부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상기 (20)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상방 용기 (41A) 의 외주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플랜지 기립부 (86) 와, 또한 개구부 (50A) 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으로 신장되는 개구 기립부 (87)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까지 신장되어 있고, 이 때문에 시료를 제공하는 개구부가 넓어지고, 또한 마이크로 플레이트 전체의 높이가 높아져, 그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21) 및 (22)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내측 기립벽 (88) 이 기립벽 (60A) 과 협동하여 상방 용기 (41A) 를 강력하게 끼워맞춤 유지하고, 또한 내측 기립벽 (88) 이 상측 패킹 (44A) 및 하측 패킹 (45A) 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된 강고한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상기 (23) 기재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의하면, 시료를 저장부 (80A) 내에 흡인한 후, 하방 용기 (43A) 를 중간 용기 (42A) 로부터 떼어낼 때에 보조 패킹 (47A) 이 항상 하방 용기 (43A) 에 붙어 오는 볼록부 (89) 를 형성하고, 이로써 보조 패킹 (47A) 이 저장부 (80A) 내의 시료를 갑자기 오염시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X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C-C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Y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2-2 단면도이고, 사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8 의 원 (3) 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은 도 7 의 4-4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원 (5) 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 는 도 7 의 6-6 단면 확대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상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8-8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원 (9) 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 은 도 13 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원 (11) 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 은 도 16 의 원 (12) 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9 는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중간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내는 중간 용기의 이면도이다.
도 21 은 도 19 의 15-15 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2 는 도 19 의 16-16 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2 의 원 (17) 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4a 는 도 22 에 나타내는 로크 핀의 확대도로서, 단면도이다.
도 24b 는 도 22 에 나타내는 로크 핀의 확대도로서, 상면도이다.
도 25 는 도 19 의 19-19 단면도이다.
도 26 은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하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에 나타내는 하방 용기의 이면도이다.
도 28 은 도 26 의 22-22 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9 는 도 26 의 23-23 단면도이다.
도 30 은 도 29 의 원 (24) 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1 은 도 26 의 25-25 단면 확대도이다.
도 32 는 도 26 의 26-26 단면도이다.
도 33 은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패킹의 평면도이다.
도 34 는 도 33 에 나타내는 상측 패킹의 이면도이다.
도 35 는 도 33 의 29-29 단면도이다.
도 36 은 도 35 의 원 (30) 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7 은 도 33 및 도 34 의 인출선 (31) 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38 은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하측 패킹의 평면도이다.
도 39 는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보조 패킹의 평면도이다.
도 40a 는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5 개의 상이한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각각의 상면도 (a∼e) 이다.
도 40b 는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5 개의 상이한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A∼E) 이다.
도 41 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3 을 나타내는 도 9 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42 는 본원 발명의 각 개구부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기호가 부여된 하부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 은 본원 발명의 하방 용기 리브 및 하방 용기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하방 용기 리브 35 : 하방 용기 가이드
41, 41A : 상방 용기 42, 42A : 중간 용기
43, 43A : 하방 용기 44, 44A : 상측 패킹
45, 45A : 하측 패킹 46, 46A : 필터
47, 47A : 보조 패킹 48 : 간격
49 : 경사부 50, 50A : 개구부
51, 51A : 원추 형상 벽 52, 52A : 외측 수직벽
53 : 돌기 54, 54A : 플랜지
55 : 접촉 링 56 : 끼워맞춤 구멍
57 : 상방 부분 58 : 하방 부분
59 : 단부 60, 60A : 기립벽
61 : 돌기 62, 62A : 유지벽부
63 : 개구부 64, 64A : 안내벽
65 : 하방 개구부 66 : 접촉 링
67 : 로크 핀 68 : 기립편 (立上片)
69 : 직경 확대 부분 70, 70A : 접촉 링
71 : 개구부 72 : 단부
73 : 개구 74 : 오목 구멍
75 : 개구부 76 : 개구
77 : 볼록 테두리부 80, 80A : 저장부
81 : 외주 리브 82 : 제 1 수하부
83 : 제 2 수하부 84 : 제 3 수하부
85 : 스택 리브 86 : 플랜지 기립부
87 : 개구 기립부 88 : 내측 기립벽
89 : 볼록부 90 : 통기부
91 : 상면 92 : 직경 확대 사면
93 : 곡선 94 : 개구부
95 : 곡선 96 : 외접원
97 : 외접원
98 : 저장부의 길이 방향 축선
99 : 안내벽의 길이 방향 축선
L1 ∼ L7 : 치수
110 :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1 : 상방 용기 112 : 연결 부재
113 : 상측 패킹 114 : 하측 패킹
115 : 필터 116 : 하방 용기
120 : 개구부 121 : 소정 치수
122 : 원추 형상 벽 123 : 소정 치수
124 : 외측 수직벽 125 : 돌기
126 : 플랜지 127 : 접촉 링
128 : 끼워맞춤 구멍 129 : 상방 부분
130 : 하방 부분 131 : 단부
135 : 기립벽 136 : 돌기
137 : 유지벽부 138 : 외면
139 : 경사 내면 140 : 개구부
141 : 안내벽 142 : 접촉 링
143 : 로크 핀 144 : 직경 확대 부분
145 : 위치 결정 핀 146 : 대좌 (臺座)
150 : 개구부 151 : 단부
155 : 개구부 160 : 저장부
161 : 외주 리브 162 : 경사부
163 : 단차 형상부 164 :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6 : 정지면 170 : 간격
171 : 통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서술한다.
[실시예 1]
도 1 은, 본원 발명의 장치의 일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의 평면도이다. 이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체가, 예를 들어 장변 (120 ∼ 150mm) × 단변 (80 ∼ 100mm) × 두께 (10 ∼ 20mm) 정도의 직육면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치수 및 형상은, 용도 그 밖의 요구에 의해 변동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는, 표면 형상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상 그 밖의 직사각형 형상 이외에,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는, 표면측 즉 상측 전체면에 다수 (도 1 의 예에서는 12×8 로 합계 96 개) 의 개구부 (120)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개구부 (120) 를 통하여 배양액 (예를 들어 채결한 혈액 등의 피검사 물질) 이 마이크로 플레이트 내에 공급된다.
본원 발명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의 구조는,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 (120) 가 형성되어 있는 상방 용기 (111) 와, 그 용기 (111) 에 끼워맞춤과 걸어맞춤되어 있는 연결 부재 (112) 와,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과, 상방 용기 (111)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측 패킹 (113) 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 (115) 와, 상기 연결 부재 (112) 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하방 용기 (116) 에 의해 구성된다.
도 2 ∼ 도 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는 동일한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 (116) 만이 이들 상방 용기 (111) 및 연결 부재 (112) 보다는 약간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또, 패킹 (113, 114) 은 상방 용기 (111) 내에 포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패킹 (113) 내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 (115) 는, 상기 개구부 (120) 의 면적보다 약간 큰 면적을 가지고 있고, 도 2 ∼ 도 5 의 예에서는, 개구부 (120) 에 대해 1 대 1 로 대응하여 합계로 96 개의 필터 (115) 가 개구부 (120) 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와 하방 용기 (116) 는, 일반적으로, 모두 화학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다소 탄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패킹 (113, 114) 은 동일하게 화학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 (115) 는, 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패킹 (113, 114) 을 2 개의 별체의 파트로서 기재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터 유지 형태를 바꿈으로써, 이들 패킹을 일체 성형에 의해 단체로서 형성하여 부품 점수의 감소화 및 장착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바이다.
상방 용기 (111) 에는,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체면에 걸쳐 소정의 동일 면적을 가지고 있는 원형의 개구부 (120) 가 거의 균등하게 배치 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 (120) 는 상방 용기 (111) 의 표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치수 (121) 만큼 움푹 들어가 있는 원추 형상 벽 (122)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방 용기 (111) 표면의 외주위 전체로부터는, 그 표면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하방을 향하여 소정 치수 (123) 만큼 성장하고 있는 외측 수직벽 (124) 이 일체적으로 움푹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측 수직벽 (124) 의 소정 치수 (123) 는 원추 형상 벽 (122) 의 치수 (121) 보다 약간 크다. 이 치수 차에 의해 외측 수직벽 (124) 은 상기 패킹 (113, 114) 을 당해 수직벽 (124) 이 구획하는 영역 내에 포위하고 있다. 또, 그 외측 수직벽 (124) 의 외측면에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외향 돌기 (125) 가 형성된다. 이 돌기 (125) 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측 수직벽 (124) 의 외측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그 상방 용기 (111) 의 외측 수직벽 (124) 의 외측에는 플랜지 (126) 가 반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 (126) 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 (112) 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원추형 형상 벽 (122) 의 하면부로서 상측 패킹 (113) 에 접하는 면에는 대략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 (도 4 의 예에서는 2 개) 의 접촉 링 (127)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링 (127) 은, 패킹 (113) 을 가압하여 당해 패킹이 위치 변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방 용기 (111) 에는, 또한 도 1,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 구부 (120) 사이의 공역 내에 복수의 끼워맞춤 구멍 (128)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끼워맞춤 구멍 (128) 은 오른쪽에서 세로 방향으로 2 열째와 3 열째 사이, 4 열째와 5 열째 사이, 6 열째와 7 열째 사이, 8 열째와 9 열째 사이 및 10 열째와 11 열째 사이로서, 위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2 열째와 3 열째 사이, 4 열째와 5 열째 사이, 6 열째와 7 열째 사이의 공역에 합계로 15 개만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보다 많아도 되고 적어도 된다.
이 끼워맞춤 구멍 (128) 은, 제 6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111) 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수하하고 있는 원형 단면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멍은 상기 개구부 (120) 의 직경보다는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는 상방 부분 (129) 과, 또한 그 상방 부분보다 감축된 직경을 가지고 있는 하방 부분 (130) 으로 구성된다. 상방 부분 (129) 과 하방 부분 (130) 사이에는 단부 (131) 가 형성된다.
또한, 그 상방 용기 (111) 의 표면 외주 가장자리 및 개구부 (120) 의 주위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보강을 위한 약간의 볼록 테두리부가 형성된다. 이 돌기는 모든 끼워맞춤 구멍 (128) 의 하방 부분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4 열째와 5 열째 사이, 8 열째와 9 열째 사이로서, 위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2 열째와 3 열째 사이, 6 열째와 7 열째 사이의 공역에 합계 4 개로 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것보다 많아도 되고 적어도 된다.
연결 부재 (112) 는, 상방 용기 (111) 에 대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 용기와 협동하여 패킹 (113, 114) 을 협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방 용기 (111) 와 하방 용기 (116) 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연결 부재 (112) 는 그 외주변으로부터 상방 용기 쪽을 향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기립하고 있는 기립벽 (135) 을 갖는다. 이 기립벽 (135)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방 용기 (111) 의 외측 수직벽 (124) 의 외측면을 포위하는 위치로 기립하고 있다. 이 기립벽 (135) 의 내측면에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 내향의 돌기 (136)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돌기 (136) 는, 상방 용기 (111) 의 외측 수직벽 (124) 에 형성한 돌기 (125) 와 그 상방 용기 (111) 의 플랜지 (126) 사이에 있어서 그 돌기 (125) 에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로써, 상방 용기 (111) 의 돌기 (125) 와 연결 부재 (112) 의 돌기 (136) 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양자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돌기 (136) 는 바람직하게는 그 기립벽 (135) 의 내측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끼워맞춤 상대인 상방 용기 (111) 의 돌기 (125) 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한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끼워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 재료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기립벽 (135) 은, 당해 돌기 (136) 의 위치에서 상방까지 또한 상방 용기 (111) 의 플랜지 (126) 에 접하지 않을 정도까지 신장되어 있다. 이로써, 그 기립벽 (135) 을 보강하고, 또한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의 끼워맞춤 상태를 안정적인 것으로 한다.
또한, 연결 부재 (112) 의 외주 부근에는, 기립벽 (135) 과는 반대 방향으로 그곳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하하고 있는 유지벽부 (137)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벽부 (137) 는 바람직하게는 당해 연결 부재 (112) 의 외주위 전체를 포위하도록 수하하고 있다. 이 유지벽부 (137) 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 (112) 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수하하는 외면 (138) 과 그 하단부에서 내방을 향하여 경사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는 경사 내면 (139) 에 의해 구성되는 대략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 연결 부재 (112) 에는, 그 연결 부재 (112) 를 상방 용기 (111) 에 장착했을 때에 당해 상방 용기 (111) 에 형성된 개구부 (1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개구부 (120) 의 수와 동일수 (도 4 의 예에서는 96 개) 의 원형 단면의 개구부 (140) 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 (14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120) 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이 개구부 (140) 는, 연결 부재 (112) 로부터 그 개구부 (140) 의 중심 방향 하방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수하하고 있는 얇은 밸브 상태의 안내벽 (141) 에 의해 구성된다. 이 개구부 (140) 의 중심 방향 하방을 향하여 수하하고 있는 안내벽 (141) 의 하방 말단부가 원형의 개구부 (140) 를 구성하고 있다. 이 안내벽 (141) 의 말단부는 후술하는 하방 용기 (116) 가 저장부 (160) 의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제공된 배양액 등의 피검체물을 확실하게 저장부 (160) 까지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연결 부재 (112) 의 상면으로서 안내벽 (141) 이 형성되는 부분에 는, 주변에 이 안내벽 (141) 과 대략 동심원을 이루도록 복수 (도 4 의 예에서는 2 개) 의 접촉 링 (142) 이 형성된다. 이들 링 (142) 은 하측 패킹 (114) 에 접촉하고, 당해 패킹 (114) 을 가압하여 그 패킹이 위치 변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 부재 (112) 에는, 또한, 도 1,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방 용기 (111) 의 끼워맞춤 구멍 (128) 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연결 부재 (112) 의 상면으로부터 복수 (이들 도면의 예에서는 15 개) 의 로크 핀 (143) 이 기립하여 그 위치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로크 핀 (143) 은, 바람직하게는 중공 형상을 가지고 있다. 로크 핀 (143) 의 상부는 직경 확대 치수를 갖는 직경 확대 부분 (144) 으로 되어 있고, 이 직경 확대 부분 (144) 의 꼭대기부는 대략 주판 알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주판 알 형상의 꼭대기부에서 중공 형상의 기립 부분에 걸쳐, 예를 들어 90 도 간격으로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홈부가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당해 주판 알 형상의 꼭대기부에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특성을 발생한다.
홈부를 형성하는 각도는, 60 도 간격이어도 되고, 120 도 간격이어도 되며, 그 이외의 어떤 각도이어도 된다. 예컨대 등각도로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특성에 편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로크 핀 (143) 은, 이 핀을 상방 용기 (111) 에 장착했을 때에 당해 상방 용기 (111) 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것은, 본원 발명의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했을 때에,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얻기 위함이다. 도 6 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크 핀 (143) 이 끼워맞춤 구멍 (128) 에 대해 이른바 붙박이 상태로 끼워맞춤함으로써 분리 불능으로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장착 후에 필터에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등에, 당해 불량 필터를 꺼내어 이것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로크 핀 (143) 이, 필요에 따라 끼워맞춤 구멍 (128)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직경 확대 부분 (144) 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 방향 홈부의 폭 치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연결 부재 (112) 의 로크 핀 (143) 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연결 부재 (112) 의 하면으로부터 복수 (도 6 의 예에서는 15 개) 의 위치 결정 핀 (145) 이 바람직하게는 일체적으로 수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핀 (145) 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 가늘어지는 대략 원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위치 결정 핀 (145) 은 후술하는 하방 용기 (116) 의 장착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위치 결정 핀 (145) 의 동심원 상에는 대좌 (146) 가,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대좌 (146) 는 연결 부재 (112) 와 하방 용기 (116)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구획하기 위한 간격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사이에는 2 개의 패킹 부재가 협지된다. 상방 용기 (111) 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상측 패킹 (113) 과, 연결 부재 (112) 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하측 패킹 (114) 이다. 이들 패킹은, 모두 거의 동일한 표면적 및 거의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연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가 각각 패킹 (113, 114) 을 가압 유지했을 때에,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에 각각 형성한 각 접촉 링 (127, 142) 이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당해 패킹에 박혀 들어가고, 이로써 패킹 (113, 114) 의 위치 변동을 저지하고, 동시에 패킹끼리의 위치 변동도 저지하고 있다. 이들 패킹은 그 외주변 가장자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 용기 (111) 의 외측 수직벽 (124) 의 내측면에 접촉 유지되고 그곳에 위치가 부여된다.
상측 패킹 (113) 에는, 상기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각각 원형의 개구부 (150) 가 복수개 (도 1 의 예에서는 96 개) 만큼 형성된다. 또한, 이들 개구부 (150) 의 주변부로서 그 패킹 (113) 의 하측면에는 단부 (15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단부 (151) 의 형상 및 깊이는, 필터 (115) 의 형상 및 두께 치수에 일치한다. 또한, 개구부 (150) 의 직경은, 상기 상방 용기 (111) 에 형성되어 있는 원추 형상 벽 (122) 의 하단부가 구획하는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하측 패킹 (114) 에도, 상기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동일하게 각각 원형의 개구부 (155) 가 복수개 (도 1 의 예에서는 96 개) 만큼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 (155) 의 직경도 상기 상방 용기 (111) 에 형성되어 있는 원추 형상 벽 (122) 의 하단부가 구획하는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측 패킹 (114) 은 상측 패킹 (113) 과 거의 동일한 치수 및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상측 패킹 (113) 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 (151) 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이 하측 패킹 (114) 은 상측 패킹 (113) 과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 의 예에서는 필터 (115) 를 유지하기 위한 단부 (151) 가 장착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상측 패킹 (113) 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단부 (151) 를 하측 패킹 (114) 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터 (115) 외주부 두께의 절반 정도의 치수를 갖는 단부를 각각 상측 패킹과 하측 패킹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방 용기 (116) 에는 상기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하방 용기 (116) 의 표면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수하하고 있는 복수개 (도 1의 예에서는 96 개) 의 저장부 (16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참조). 이 저장부 (160) 는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을 필터 (115) 에 의해 필터링한 후, 그 필터링된 검사 시료만을 받아들여 수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저장부 (160) 는 필요한 검사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방 용기 (116) 의 외주부에는 그 저장부 (160) 보다 하방까지 신장되어 있는 외주 리브 (16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 리브 (161) 는, 하방 용기 (116) 의 표면으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는 경사부 (162) 와, 그 경사부 (162) 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단 형상으로 하방 또한 외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단 형상부 (163) 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외주 리브 (161) 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를 복수개 스태킹했을 때에 안정적인 상태에서 스태킹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외주 리브 (161) 의 하단부는 저장부 (160)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사부 (162) 는, 실질적으로 연결 부재 (112) 의 경사 내면 (139) 에 밀접 상태에서 접촉하는 경사 각도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하방 용기 (116) 와 연결 부재 (112) 가 밀착된 상태에서 접합할 수 있다.
또, 그 하방 용기 (116) 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도시하는 예에서는 15 개) 의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가, 바람직하게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는 원추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내면에는 상기 연결 부재 (112) 의 위치 결정 핀 (145) 이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수용된다. 이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의 하단부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필터 (115) 는,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로부터 필요한 요소만을 선별하여 하방 용기 (116) 의 저장부 (160) 로 보내는 작용을 가지고, 통상적으로는, 목적으로 하는 특정의 물질을 양호한 정밀도로 채집하기 위해, 균일한 관통 구멍을 형성한 여과 소재이다. 일반적으로는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함으로써 성형된다. 필터 (115) 의 구멍 직경은, 필요로 하는 특정 물질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또, 필터링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 필터 (115) 의 두께는 매우 얇고 박막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취급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대해 세팅되는 부분에서는, 상측 패킹 (113) 의 단부 (151) 에 수용되는 부분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막 (厚膜) 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필터 (115) 는 단부 (151) 에 수용되는 두께의 주변 부분에서 중앙의 박막 부분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의 예에 있어서는, 이 필터 (115) 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 패킹 (113) 의 단부 (151) 도 동일하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터 (115) 및 단부 (151) 는 원형이어도 되고 타원형이어도 되며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장착할 때에는, 처음에 상방 용기 (111) 를 뒤집은 상태로 배치한다. 이어서 이 뒤집은 상태의 상방 용기 (111) 에 상측 패킹 (113) 을 설치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상측 패킹 (113) 의 단부 (151) 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이 상측 패킹 (113) 의 단부 (151) 에 필터 (115) 를 세트한다. 이 때, 필터 (115) 는 작동시와는 반대 상태 (뒤집은 상태) 로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 그 상측 패킹 (113) 및 필터 (115) 의 상면에 하측 패킹 (114) 을 배치한다. 만약 필터 (115) 를 유지하기 위한 단부가 하측 패킹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 패킹을 설치한 후에 그 상측 패킹에 대해, 미리 당해 단부에 필터 (115) 를 세트한 하측 패킹을 탑재한다. 여기에서,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은 모두 상방 용기 (114) 의 외측 수직벽 (124) 의 내측에 적절히 배치된다.
이어서, 하측 패킹 (114) 의 상면에 연결 부재 (112) 를 설치한다. 이 때, 그 연결 부재 (112) 는 돌기 (136) 를 갖는 기립벽 (135) 을 하향으로 하여 하측 패킹 (114) 에 씌우도록 하여 위치 부여하고, 그 연결 부재 (112) 의 돌기 (136) 가, 상방 용기 (111) 의 외측 수직벽 (124) 에 형성한 돌기 (125) 에 완전하게 갑합될 때까지 연결 부재 (112) 를 상방 용기 (111) 측으로 압입하고, 연결 부재 (112) 와 상방 용기 (111) 가 외주변 영역에서 확실하게 끼워맞춤한 것을 확인 한다. 그 후, 연결 부재 (112) 에 형성한 115 개의 로크 핀 (143) 을 상방 용기 (111) 의 끼워맞춤 구멍 (128) 에 끼워넣는다. 로크 핀 (143) 의 직경 치수는, 끼워맞춤 구멍 (128) 의 하방 부분 (130) 의 직경 치수보다 크다. 그러나, 당해 하방 부분 (130) 에 로크 핀 (143) 을 강제적으로 압입함으로써 그 로크 핀 (143) 의 주판 알 형상을 갖는 꼭대기부가 홈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치우쳐 직경 축소되므로, 로크 핀 (143) 은 그 하방 부분 (130) 에 용이하게 끼워맞추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로크 핀 (143) 을 끼워맞춤 구멍 (128) 내에 압입하면, 로크 핀 (143) 은 직경 확대 치수를 갖는 상방 부분 (130) 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그때까지 직경 축소 상태에 있던 로크 핀 (143) 의 꼭대기부가 통상적인 직경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그 로크 핀 (143) 은 끼워맞춤 구멍 (128) 의 단부 (131) 에 지지되어 그곳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로크 핀 (143) 이 단부 (131) 에 확실하게 걸어맞춤된 것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로크 핀을 축선 방향으로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고, 로크 핀이 단부에 끼워맞춤했을 때의 소리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연결 부재 (112) 의 외주변에 있는 기립벽 (135) 에 형성한 돌기 (136) 및 로크 핀 (143) 의 적정 위치에 대한 장착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와, 상측 패킹 (113) 과, 하측 패킹 (114) 과, 필터 (115) 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측 패킹 (113) 에 대해서는 상방 용기 (111) 의 원추 형상 벽 (122) 의 하면에 형성한 접촉 링 (127) 이, 또 하방 패킹 (114) 에 대해 연결 부재 (112) 의 개구부 주변에 형성한 접촉 링 (142) 이 밀접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패킹 (113, 114) 은, 모두 실리콘 등의 연질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서로 압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필터 (115) 의 위치 어긋남이 완전하게 저지된다. 또,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는, 각각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한 돌기 (125, 136) 에 의한 언더 컷 끼워맞춤과, 끼워맞춤 구멍 (128) 과 로크 핀 (143) 에 의한 고정 끼워맞춤에 의해 확실하게 밀접 끼워맞춤이 도모된다.
마지막으로 하방 용기 (116) 를 장착한다. 뒤집힌 상태에 있고 유지벽부 (137) 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연결 부재 (112) 에 대해 하방 용기 (116) 를 동일하게 뒤집은 상태에서 탑재한다. 이 때 하방 용기 (116) 의 경사부 (162) 가 연결 부재 (112) 의 경사 내면 (139) 에 밀착하도록 배치한다. 성형 상의 각도나 사용하는 재료 등에 따라서는, 연결 부재 (112) 의 경사 내면 (139) 에, 혹은 하방 용기 (116) 의 경사부 (162) 에 대해 O 링 홈 등을 형성하고, 그곳에 O 링 등의 기밀함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그 후, 그 부분을 통하여 공기가 유출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하방 용기 (116) 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어서, 하방 용기 (116) 의 각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를 연결 부재 (112) 의 각 로크 핀 (143) 의 위치에 위치 부여하여 압입한다. 하방 용기 (116) 의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는 연결 부재 (112) 의 위치 결정 핀 (145) 의 외주에 좁은 원추 형상의 간격 (170) 을 두고 배치된다. 이 때, 하방 용기 (116) 의 저장부 (160) 는 연결 부재 (112) 의 안내벽 (141) 이 형성하는 개구부 (140) 에 정합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용기 (116) 와 연결 부재 (112)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것이 통로 (171) 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 (112) 와 하방 용기 (116) 는 각각의 외주에 형성한 경사 내면 (139) 및 경사부 (162) 에서의 마찰에 의해, 또는 O 링 등의 도움에 의해 기밀 상태로 끼워맞춤되어 있는데, 경사면 이외의 양자 간에는 약간의 간격 (170) 및 통로 (171) 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통로 (171) 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부재 (112) 에는 대좌 (146)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대좌 (146) 가 하방 용기 (116) 에 접촉함으로써 통로 (171) 가 막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으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의 조립을 완료한다.
조립을 완료한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상 위치로 되돌리고, 순차적으로 스택하여 보관한다. 스택했을 경우, 하방의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상방 용기 (111) 에 형성한 플랜지 (126) 가, 상방의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단 형상부 (163) 의 내측 스택 리브 (85) 에 대해 세트되어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그 때문에, 각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순차적으로 안정적인 자세로 스택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립 기계가 각 부품의 위치 및 각 부품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의 참조할 수 있도록, 각 부품에 위치 결정 마크를 부여할 수 있다. 그로써 조립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원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상방 용기 (111) 에 대한 파괴되기 쉬운 필터 (115) 의 위치 결정 작업이 조립 작업상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당해 필터 (115) 의 적절한 위치 부여를 할 수 있도록, 필터 (115) 자체의 코너 부분에, 또는 당해 필터를 수용하는 부재 (예를 들어, 패킹의 코너 부분) 에, 장착 위치를 특정하는 마크를 부여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1 개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어서 피검사 물질을 피펫 등의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여 상방 용기 (111) 의 개구부 (120) 에 공급한다. 여기에 나타낸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에서는 개구부 (120) 의 수 즉 96 개의 검체를 동시에 검사 시료로서 채취할 수 있다. 개구부 (120) 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는 도 4 를 참조하면서 서술하면, 상방 용기 (111) 의 원추 형상 벽 (122) 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 (120) 내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은 상측 패킹 (113) 의 단부 (151) 에 유지되어 하측 패킹 (114) 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필터 (115) 중앙의 얇은 여과면으로 적하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특성을 갖는 검사 시료만이 당해 필터 (115) 를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선별된 검사 시료는 연결 부재 (112) 의 안내벽 (141) 에 의해 안내되어 하방 용기 (116) 의 저장부 (160) 에 수용된다.
일정량의 검사 시료가 수용된 후에,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의 하방 용기 (116) 만을 조심스럽게 연결 부재 (112) 로부터 분리한다. 이 분리 작업은, 하방 용기 (116) 의 외주 리브 (161) 와 연결 부재 (112) 의 유지벽부 (137) 를 잡아, 상하 방향으로 떼어 놓음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분리된 하방 용기의 저장부 (16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검사 시료를 넘치게 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당해 검사 시료를 다음 공정의 소정의 검사대까지 옮기고, 그곳에서 시료의 상세한 검사를 개시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필터 (115) 의 메시 치수에 따라서는 피검사 물질이 필터 (115) 를 통과하기 어려워, 그 사이에 피검사 물질이 물성 변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에 있어서는, 피검사 물질에 대해 가능한 한 신속히 필터링 작업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구부 (120) 에 수용된 피검사 물질이 신속히 필터 (115) 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방 용기 (116) 가 저장부 (160) 에 부압을 제공하여, 피검사 물질을 강제적으로 필터를 개재하여 이동시키는 수단을 형성한다.
즉,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하방 용기 (116) 의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의 하단부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고, 여기에 연통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흡인부에 감압 수단을 기밀 상태로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당해 감압 수단을 기동하여 감압을 개시한다. 그 결과, 필터 (115) 의 하방이 저장부 (160) 내의 공기가 연결 부재 (112) 와 하방 용기 (116) 사이에 구획되어 있는 통로 (171), 간격 (170) 을 개재하여 배기된다. 그리고, 저장부 (160) 의 압력이 부압으로 되고, 피검사 물질이 필터 (115) 를 개재하여 저장부 (160) 의 내방에 강제적으로 흡인된다. 이 때문에, 피검사 물질 내의 소정의 물질이 신속히 필터 (115) 를 개재하여 저장부 (160) 내에 수용된다. 또한, 이 때, 필터 (115) 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상기 통로 내에 흡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 (112) 에 안내벽 (141) 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안내벽 (141) 은, 필터 (115) 를 통과한 검사 시료를 저장부 (160) 에 안내함과 함께, 그 검사 시료가 통로 내에 흡인되지 않도록 당해 검사 시료에 대한 공기 유동의 영향을 적게 하는 작용을 한다.
[실시예 2]
도 7 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의 평면도이다. 이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는, 표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체가, 예를 들어 장변 (120 ∼ 150mm) × 단변 (80 ∼ 100mm) × 두께 (10 ∼ 30mm) 정도의 직육면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치수 및 형상은, 용도 그 밖의 요구에 의해 변동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는, 표면 형상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상, 그 밖의 직사각형 형상 이외에,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된다. 그러나,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하여 서술한다. 이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에 있어서는, 표면측, 즉 상측의 전체면에 다수 (도 7 의 예에서는 12 × 8 로 합계 96 개) 의 개구부 (50)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개구부 (50) 를 개재하여 배양액 (예를 들어 채결한 혈액 등의 피검사 물질) 이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내에 공급된다.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의 구조를 도 8 ∼ 도 12 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검토한다. 특히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는, 상기 개구부 (50) 가 형성되는 상방 용기 (41) 와, 그 상방 용기 (41) 에 주변부에서 끼워맞춤과 걸어맞춤되어 있는 중간 용기 (42) 와, 그 중간 용기 (42) 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방 용기 (43) 와,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사이에 협지되는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과 상방 용기 (41)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측 패킹 (44) 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 (46) 와, 상기 중간 용기 (42) 와 하방 용기 (43)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패킹 (47) 에 의해 구성된다.
도 8 및 도 10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는 거의 동일한 정도의 단면적을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 (43) 만이 이들 용기보다는 약간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도 9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은, 상방 용기 (41) 내에 포위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측 패킹 (44) 내에 배치되는 필터 (46) 는, 상기 개구부 (50) 의 단면적과 거의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고 있고, 도면의 예에서는, 개구부 (50) 에 대해 1 대 1 로 대응하여 합계로 96 개의 필터 (46) 가 개구부 (50) 의 하방부에 배치된다. 또한, 보조 패킹 (47) 은, 중간 용기 (42) 내에 포위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와 하방 용기 (43) 는, 모두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가지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 의해 형성된다.
또, 패킹 (44, 45, 47) 은 동일하게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들 모든 용기 및 패킹은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 (46) 는, 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패킹 (44, 45, 47) 을 3 개의 별체의 파트로서 기재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보조 패킹 (47) 을 하방 용기 (43) 의 천판 부분에 미리 이(異) 재질 성형, 혹은 인서트 성형 등으로 접착할 수도 있어, 이로써 장착 작업성을 개선한다. 또, 필터 유지 형태를 바꿈으로써, 패킹 (44, 45) 을 일체 성형에 의해 단일체로서 형성하고, 부품 점수의 감소화 및 장착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한다.
이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를 형성하고 있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3 ∼ 도 18 에 나타내는 상방 용기 (41) 에는, 그 전체면에 걸쳐 원하는 동일 단면적을 가지고 있는 원형의 개구부 (50) 가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7 ∼ 도 9, 도 12 ∼ 도 14). 이들 개구부 (50) 는, 도 6 및 도 12 에 명확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의 표면 부분에서 이면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수직 하방에 대해 소정 치수 (L1 ; 도 9) 만큼 움푹 들어가 있는 원추 형상 벽 (51)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 도 10, 도 14,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방 용기 (41) 의 표면의 외주위 전체로부터는, 그 표면 수직으로 하방을 향하여 소정 치수 (L2 ; 도 9) 만큼 신장되어 있는 외측 수직벽 (52 ; 도 9, 도 18) 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외측 수직벽 (52) 의 외측면에는 예를 들어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외향 돌기 (53) 가 형성된다 (도 9, 도 18). 이 돌기 (53) 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측 수직벽 (52) 의 외측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측면의 전체 둘레에 간헐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 그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의 외측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54) 가 반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 (54) 는 중간 용기 (42) 의 단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원추 형상 벽 (51) 의 하면부로서 상측 패킹 (44) 에 접하는 면에는 대략 동심원 상에 복수 (도면의 예에서는 2 개) 의 하향의 접촉 링 (55 ; 도 9 및 도 15) 이 형성된다. 이들 접촉 링 (55) 은 상측 패킹 (44) 의 상면에 접촉하고, 당해 상측 패킹을 가압하여, 당해 패킹이 위치 변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방 용기 (41) 에는, 도 13,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50) 간의 공역 내에 복수의 끼워맞춤 구멍 (56) 이 형성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끼워맞춤 구멍 (56) 은 오른쪽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2 열째와 3 열째 사이, 4 열째와 5 열째 사이, 6 열째와 7 열째 사이, 8 열째와 9 열째 사이 및 10 열째와 11 열째 사이로서, 위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2 단째와 3 단째 사이, 4 단째와 5 단째 사이, 6 단째와 7 단째 사이의 공역에 합계로 15 개만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보다 많아도 되고 적어도 된다. 이 끼워맞춤 구멍 (56) 은, 특히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수하하고 있는 원형 단면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멍은 상기 개구부 (50) 의 직경보다는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는 상방 부분 (57) 과, 그 상방 부분보다 감축된 직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직경 확대되고 있는 하방 부분 (58) 과, 상방 부분 (57) 과 하방 부분 (58) 사이에 있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단부 (59) 에 의해 구성된다. 하방 부분 (58) 이 하방으로 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직경 확대되고 있는 것은, 끼워맞춤 구멍 (56) 에 대한 로크 핀 (67) 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그 상방 용기 (41) 의 표면 외주 가장자리 및 개구부 (50) 의 주위에는 도 9, 도 13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보강을 위한 약간의 볼록 테두리부 (77) 가 형성된다.
도 19 ∼ 도 25 에 나타내는 중간 용기 (42) 는, 상방 용기 (41) 의 하측에 대치하여 배치되고, 도 8 ∼ 도 12 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와 협동하여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을 협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 용기 (42) 는, 상방 용기 (41) 와 하방 용기 (43) 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도 갖는다. 중간 용기 (42) 는, 도 9, 도 22 및 도 25 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변으로부터 상방 용기 (41) 쪽을 향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기립하고 있는 기립벽 (60) 을 갖는다. 이 기립벽 (60)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의 외측면을 포위하는 위치로 기립하고 있다. 이 기립벽 (60) 의 내측면에는 예를 들어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같은 내향의 돌기 (61)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내향의 돌기 (61) 는,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에 형성한 외향 돌기 (53) 와, 그 상방 용기 (41) 의 플랜지 (54) 사이에 있어서 그 외향 돌기 (53) 의 상방 부분에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상방 용기 (41) 의 외향 돌기 (53) 와 중간 용기 (42) 의 내향 돌기 (61) 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양 용기의 밀착 끼워맞춤 (密嵌) 걸어맞춤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돌기 (61) 는 바람직하게는 그 기립벽 (60) 의 내측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끼워맞춤 상대인 상방 용기 (41) 의 돌기 (53) 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한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의 끼워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 재료의 경제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기립벽 (60) 은, 당해 돌기 (61) 의 위치에서 상방까지 또한 상방 용기 (41) 의 플랜지 (54) 에 접하지 않을 정도까지 신장한다. 이로써, 그 기립벽 (60) 을 보강하고 또한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의 끼워맞춤 상태를 안정적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용기 (42) 의 외주위 부근에는, 기립벽 (60) 과는 반대의 방향에 그곳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하하고 있는 유지벽부 (62)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벽부 (62) 는 바람직하게는 당해 중간 용기 (42) 의 외주위 전체를 포위하도록 수하하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신장되는 이 유지벽부 (62) 는 상방으로 신장되는 기립 벽 (60) 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중간 용기 (42) 의 기능적인 요청이라기 보다 성형 상의 요청이다. 또, 중간 용기 (42) 에는, 그 중간 용기 (42) 를 상방 용기 (41) 에 장착할 때에 당해 상방 용기 (41) 에 형성된 개구부 (5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개구부 (50) 의 수와 동일 수 (도면의 예에서는 96 개) 의 원형 단면의 개구부 (63) 가 형성된다 (도 9, 도 19 및 도 23).
이들 개구부 (63)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에 형성한 개구부 (50) 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이 개구부 (63) 는, 중간 용기 (42) 로부터 그 개구부 (63) 의 중심 방향 하방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수하하고 있는 얇은 밸브상의 안내벽 (64) 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안내벽 (64) 의 하방 말단부가 원형의 하방 개구부 (65) 를 제공한다. 이 안내벽 (64) 의 말단부는 후술하는 하방 용기 (43) 의 저장부 (80) 의 방향으로, 적어도 그 저장부 (80) 의 중간부에서 하방의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고,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제공된 배양액 등의 피검체물을 확실하게 저장부 (80) 까지 안내함과 함께 그 저장부 (80) 의 상방의 벽면에 대한 비산을 방지하고, 또한 당해 저장부 (80) 내에 수용된 피검체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중간 용기 (42) 의 상면으로서 각 개구부 (63) 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 부분에는, 각 개구부 (63) 와 대략 동심원을 이루도록 복수 (도면의 예에서는 2 개) 의 상향의 접촉 링 (66 ; 도 23) 이 형성된다. 이들 접촉 링 (66) 은 하측 패킹 (45) 의 하면에 접촉하고, 당해 패킹 (45) 을 가압하여 그 패킹 (45) 이 위치 변동 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중간 용기 (42) 에는, 추가로 도 11, 도 22, 도 24a, 도 24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방 용기 (41) 의 끼워맞춤 구멍 (56 ; 도 1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중간 용기 (42) 의 상면으로부터 복수 (도면의 예에서는 15 개) 의 로크 핀 (67) 이 기립하고 그 위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들 각 로크 핀 (67) 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분할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도 2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의 일정한 간격 (48) 을 가지고 기립하고 있는 1 쌍의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기립편 (68) 에 의해 구성된다. 각 기립편 (68) 의 상부에는 직경 확대 치수를 갖는 직경 확대 부분 (69)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기립편 (68) 의 꼭대기부는 대략 주판 알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당해 주판 알 형상의 꼭대기부에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특성을 발생한다.
도 24a 및 도 24b 의 예에 있어서는 그 기립편 (68) 은, 2 분할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90 도로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홈부가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 나아가서는 홈부를 형성하는 각도는 60 간격이어도 되고, 120 도 간격이어도 되며 그 이외의 어떠한 각도이어도 된다. 예컨대 등각도로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특성에 편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 핀 (67) 은, 이들의 로크 핀을 상방 용기 (41) 의 끼워맞춤 구멍 (56 ; 도 11 및 도 17) 에 장착했을 때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상방 용기 (41)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없을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상방 용기 (41) 의 끼워맞춤 구멍 (56) 에 대한 로크 핀 (67)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끼워맞춤 구멍 (56) 의 하방 부분 (58) 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로써 로크 핀 (67) 을 끼워맞춤 구멍 (56) 에 압입하면 로크 핀 (67) 의 직경 확대 부분 (69) 이 탄성적으로 점차 직경 축소되여 끼워맞춤 구멍 (56) 에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다.
또, 그 로크 핀 (67) 의 직경 확대 부분 (69) 이 끼워맞춤 구멍 (56) 의 단부 (59) 에 도달하면, 직경 확대 부분 (69) 이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직경 확대되어, 그 단부 (59) 에 용이하게 걸어맞춤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7 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크 핀 (67) 이 끼워맞춤 구멍 (56) 에 대해 이른바 붙박이 상태에서 끼워맞춤함으로써 분리 불능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장착 후에 필터 (1) 에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등에, 당해 불량 필터를 꺼내어 이것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로크 핀 (67) 이, 필요에 따라 끼워맞춤 구멍 (56)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직경 확대 부분 (69) 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 방향 홈부의 폭 치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 용기 (42) 로부터 수하하고 있는 각 안내벽 (64) 의 주위에는, 이들 안내벽 (64) 을 포위하도록 복수 (도 9 의 예에서는 네 겹) 의 대략 타원형의 접촉 링 (70) 이 하향에 성형된다. 접촉 링 (70) 의 배열 상황은 도 9, 도 23 및 중간 용기 (42) 의 이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 20 에 나타난다. 이들 접촉 링 (70) 은 후술하는 보조 패킹 (47) 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보조 패킹 (47) 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보조 패킹 (47) 을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부여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 접촉 링 (70) 의 배치가 대략 타원형을 갖고 있는 것은, 그 보조 패킹 (47) 의 개구부 (94) 가 동일하게 대략 타원형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 복수의 접촉 링 (70) 은 네 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상기 서술한 접촉 링 (55, 66) 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사이에는 2 개의 패킹 부재가 협지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에 의해 상면을 유지하는 상측 패킹 (44) 과, 중간 용기 (42) 에 의해 이면을 유지하는 하측 패킹 (45) 이다. 이들 패킹은, 모두 거의 동일한 표면적, 두께 및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연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가 각각 패킹 (44, 45) 을 가압 유지했을 때에,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에 각각 형성한 각 접촉 링 (55, 66) 이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당해 패킹에 박혀 들어가고, 이로써 패킹 (44, 45) 의 위치 변동을 저지하고, 동시에 패킹끼리의 위치 변동도 저지하고 있다. 이들 패킹 (44, 45) 은 그 외주변 가장자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의 내측면에 접촉 유지되어 그곳에 위치 부여된다.
다음으로 이들 패킹 (44, 45)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 ∼ 도 37 에 나타내는 상측 패킹 (44) 에는, 상기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각각 원형의 개구부 (71) 가, 복수개 (도면의 예에서는 96 개) 형성된다 (도 33). 이들 개구부 (71) 는 패킹 (44) 자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들 개구부 (71) 의 주변부로서 그 패킹 (44) 의 이면 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부 (7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4 및 도 36). 그 단부 (72) 의 형상 및 깊이는, 후에 서술하는 필터 (46) 의 형상 및 두께 치수에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필터를 상정했으므로 단부 (72) 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만약, 원형 형상의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부 (72) 는 개구부 (71) 보다 직경 확대의 원형 형상이 된다. 또한, 개구부 (71) 의 직경은 상기 상방 용기 (41) 에 형성되어 있는 원추 형상 벽 (51) 의 하단부가 구획하는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피검사 물질 등의 누설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검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당해 패킹 (44) 의 개구부 (50) 사이에는 그 개구부 (50) 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가지고 있는 복수개 (도면의 예에서는 15 개) 의 개구 (73) 가 그 패킹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개구 (73) 는, 상방 용기 (41) 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맞춤 구멍 (56) 의 하방 부분 (58 ; 도 17) 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상측 패킹 (44) 의 모서리부에는, 위치 결정용 오목 구멍 (7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 구멍 (74) 은 소정의 위치에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얕은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도면의 예에서는 패킹 (44) 의 상면 (도 33) 및 이면 (도 34) 의 상이한 모서리부에 1 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면 및 하면의 4 개의 모서리부에 1 개씩 전부 8 개 형성해도 되고, 편면에만 1 개 형성해도 된다. 왜냐하면, 이들의 오목 구멍 (74) 은, 당해 패킹 (44) 의 개구부 (71) 에 필터 (46) 를 탑재할 때의 기준점을 특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필터 탑재 기구에 의해 여러 기준점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도 38 에 나타내는 하측 패킹 (45) 에도, 상측 패킹 (44) 과 동일하게, 상기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각각 원형의 개구부 (75) 가 복수개 (도면의 예에서는 96 개)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 (75) 의 직경도 상기 상방 용기 (41) 에 형성되어 있는 원추 형상 벽 (51) 의 하단부가 구획하는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하측 패킹 (45) 의 개구부 (75) 사이에도 그 개구부 (75) 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가지고 있는 복수개 (도면의 예에서는 15 개) 의 개구 (76) 가 그 패킹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개구 (76) 는, 상방 용기 (41) 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구멍 (56) 의 하방 부분 (58 ; 도 17) 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하측 패킹 (45) 은 상측 패킹 (44) 과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지만, 상측 패킹 (44) 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 (72) 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개구부 (75) 및 개구 (76) 가 상면으로부터 이면까지 관통한 상태에 있고, 따라서 하측 패킹 (45) 은 상면과 이면에서는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이 하측 패킹 (45) 은 상측 패킹 (44) 과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필터 (46) 를 유지하기 위한 단부 (72) 가 장착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상측 패킹 (44) 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단부를 하측 패킹 (45) 에 형성하고, 그곳에 필터 (46) 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필터 (46) 의 외주부 두께의 약 절반 정도의 치수를 갖는 단부를 각각 상측 패킹과 하측 패킹에 형성하고, 쌍방의 패킹에 의해 필터 (46) 를 협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 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6 ∼ 도 32 를 참조하면서, 하방 용기 (43) 에 대해 설명한다. 하방 용기 (43) 에는 상기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하방 용기 (43) 의 표면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일체적으로 수하하는 복수개 (도면의 예에서는 96 개) 의 저장부 (80) 가 형성된다 (도 9, 도 12, 도 29). 이들 저장부 (80) 는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을 필터 (46) 에 의해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검사 시료만을 받아들여 수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저장부 (80) 는 필요량의 검사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확보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방 용기 (43) 의 외주부에는 그 저장부 (80) 보다 하방까지 신장되어 있는 외주 리브 (81)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 리브 (81) 는, 하방 용기 (43) 의 표면에서 외방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1 수하부 (82) 와, 그 제 1 수하부 (82) 의 하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확장되는 단부를 개재하여 더욱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2 수하부 (83) 와, 그 제 2 수하부 (83) 의 하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확장되는 단부를 개재하여 더욱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3 수하부 (84) 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외주 리브 (81) 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를 복수개 스태킹 즉, 적층하려고 했을 때에 안정적인 상태에서 스태킹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수하부 (84) 의 가로 방향 내측 치수 (L3) 및 세로 방향 내측 치수 (L4) 가, 각각 도 13 에 나타내는 상방 용기 (41) 의 가로 방향 치수 (L5) 및 세로 방향 치수 (L5) 에 거의 동일하게 성형되어 있고, 또한, 안정적인 스태킹을 보증하기 위해,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수하부 (84) 의 내측 벽면에는 복수의 스택 리브 (85 ; 도면의 예에서는 10 개)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들 스택 리브 (85) 는, 스태킹시에 상방 용기 (41) 의 외주변에 걸어맞춤되어 스태킹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한다. 또, 제 1 수하부 (82) 의 외형 치수는 중간 용기 (42) 의 유지벽부 (62) 의 내측 치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양자는 밀착 끼워맞춤 끼워맞춤 가능한 관계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 용기 (43) 에는 복수가 저장부 (80)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들 저장부 (80) 를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저장부 (80) 의 직경 방향에 대치하여 1 쌍의 통기부 (90) 가 형성된다. 이들의 통기부 (90) 는,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부 (80) 의 수부 (首部) 가 하방 용기 (43) 의 상면 (91) 에 도달하는 직경 확대 사면 (92) 에 있어서, 그 상면 (91) 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통기부 (90) 의 상방 개구 단부는 직경 확대 사면 (92) 에 연통하여 그곳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장부 (80) 의 외부에 부압을 부여함으로써, 저장부 (80) 의 내부를, 곡선 (9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부 (80) 의 상부로부터 통기부 (90) 를 통하여 감압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1 은, 직경 확대 사면 (92) 및 그곳에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기부 (90) 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2 는, 통기부 (90) 가 저장부 (80) 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방 용기 (43) 를 하방에서 본 도면을 도 27 에 나타낸 다.
여기에서 저장부 (80) 가 도 26 에 나타내는 저장부 (80) 보다 크게 나타나 있는 것은, 도 27 은 저장부 (80) 의 외경부를 나타내는 것에 대해, 도 26 은 내경부를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27 에 있어서, 저장부 (80) 의 외경부로부터 직경 방향에 대치하여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은, 직경 확대 사면 (92) 과 그곳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부 (90) 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0 과 도 31 에서는 저장부 (80) 의 형상이 약간 상이하다. 즉, 도 30 에서는 저장부가 전체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고, 한편, 도 31 에서는 저장부가 도 24 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26 에 있어서 그 단면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도 30 에서는 1 쌍의 통기부를 결합하는 방향을 따라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저장부가 직경 확대 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 당해 경사면 방향으로 압입된 상태에서 나타나 있고, 이에 대하여 도 31 에서는 1 쌍의 통기부를 결합하는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는 방향을 따라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어, 저장부를 형성하고 있는 직경 확대 사면의 영향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 관계는 도 12 와 도 9 에 있어서의 경우도 동일하다.
중간 용기 (42) 와 하방 용기 (43) 사이에는,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조 패킹 (47) 이 탑재되어 있다. 보조 패킹 (47) 은,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과 거의 동일한 소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 두께 및 면적도 그들 패킹과 거의 동일하고, 또 그곳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 (94) 의 수도 동일하다. 단, 개구부 (94) 의 형상은, 중간 용기 (42) 의 이면에 형성한 접촉 링 (70) 의 배치 형상과 동일한 대략 타원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크기는 접촉 링 (70) 보다는 약간 작다. 이것은, 도 9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접촉 링 (70) 의 위치보다 내측에 그 개구부 (94) 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 당해 개구부 (94) 가 대략 타원형을 갖는 것은, 중간 용기 (42) 에 형성한 저장부 (80) 의 주위에 형성한 통기부 (90) 를 막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개구부 (94) 는 상면에서 이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보조 패킹 (47) 의 상면과 이면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필터 (46 ; 도 9) 는,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로부터 필요한 요소만을 선별하여 하방 용기 (43) 의 저장부 (80) 에 보내는 작용을 가지고, 통상적으로는, 목적으로 하는 특정의 물질을 양호한 정밀도로 채집하기 위한 균일한 관통 구멍을 형성한 여과 소재이다. 일반적으로는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함으로써 성형된다. 필터의 구멍 직경은, 필요로 하는 특정 물질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또, 필터링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 필터 (46) 는 매우 얇은 박막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매우 손상되기 쉬우므로, 취급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 때문에,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대해 세팅되는 부분, 즉 도면의 예에서는, 도 36 의 상측 패킹 (44) 에 형성한 단부 (72) 에 수용되는 부분은, 도 9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막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 (46) 는, 단부 (72) 에 수용되는 두꺼운 주변 부분에서 중앙의 박막 부분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경사되어 있는 경사부 (49) 를 갖는다. 또한, 도면 의 예에 있어서는, 이 필터 (46) 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이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 패킹 (44) 의 단부 (72) 도 동일하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장착할 때에는, 처음에, 상방 용기 (41) 를 뒤집은 도치(倒置) 상태로 배치한다. 이어서 이 도치 상태의 상방 용기 (41) 에 상측 패킹 (44) 을 설치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상측 패킹 (44) 의 단부 (72) 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이 상측 패킹 (44) 의 단부 (72) 에 필터 (46) 를 세트한다. 이 때, 필터 (46) 는 작동시와는 반대 상태 (도치 상태) 로 배치한다. 또한, 필터 (46) 는 전체적으로 매우 얇고 특히 도 34 의 개구부 (71) 에 배치되는 원형을 이루는 중앙 부분이 매우 취약하므로 취급에는 최대한의 주의가 요구된다. 필터 (46) 는 그 개구부 (71) 에 위치하는 중앙의 얇은 부분으로부터 단부 (72) 에 수용되는 약간 두꺼운 주변 부분에 이를 때까지의 부분이 경사부 (49) 에 의해 연결된다. 그 후, 그 상측 패킹 (44) 및 필터 (46) 의 상면에 하측 패킹 (45) 을 배치한다. 만약 필터 (46) 를 유지하기 위한 단부가 하측 패킹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 패킹을 설치한 후에 그 상측 패킹에 대해, 미리 당해 단부에 필터 (46) 를 세트한 하측 패킹을 탑재한다. 여기에서, 상측 패킹 (44) 및 하측 패킹 (45) 은, 모두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의 내측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순서로서, 미리 상측 패킹 (44) 에 필터 (46) 를 탑재한 후에, 이 필터 부착 상측 패킹 (44) 을 도치 상태로 되어 있는 상방 용기 (41) 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이 때문에, 상측 패킹 (44) 에는 당해 상측 패킹 (44) 의 위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오목 구멍 (74) 이 그 패킹 (44) 의 상면 및 하면의 상이한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필터 탑재 기구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터 (46) 를 상측 패킹 (44) 의 적절한 위치에 배열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그 패킹 (44) 의 기준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그 오목 구멍 (74) 에 인디게이터 등의 적당한 위치 제어 기구를 작용시킴으로써, 항상 상측 패킹 (44) 의 적정 위치에 필터 (46) 를 배치할 수 있다. 필터 부착 상측 패킹을 상방 용기 (41) 에 설치한 후에, 하측 패킹 (45) 을 탑재하여, 필터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어서, 하측 패킹 (45) 의 상면에 중간 용기 (42) 를 설치한다. 이 때, 그 중간 용기 (42) 는 돌기 (61) 를 갖는 기립벽 (60) 을 하향으로 하여 하측 패킹 (45) 에 씌우도록 하여 위치 부여하고, 그 중간 용기 (42) 의 돌기 (61) 가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에 형성한 돌기 (53) 에 완전히 끼워맞춤될 때까지 중간 용기 (42) 를 상방 용기 (41) 측에 압입하고, 중간 용기 (42) 와 상방 용기 (41) 가 외주변 영역에서 확실하게 끼워맞춤된 것을 확인한다. 그 후, 중간 용기 (42) 에 형성한 15 개의 로크 핀 (67) 을 상방 용기 (41) 의 끼워맞춤 구멍 (56) 에 끼워 넣는다. 로크 핀 (67) 의 직경 치수는, 끼워맞춤 구멍 (56) 의 하방 부분 (58) 의 직경 치수보다 크다. 그러나, 점차 직경 축소되는 당해 하방 부분 (58) 에 로크 핀 (67) 을 강제적으로 압입함으로써 그 로크 핀 (67) 의 주판 알 형상을 갖는 꼭대기부가 간격 (48) 을 갖는 공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치우 쳐 직경 축소되므로, 로크 핀 (67) 은 그 하방 부분 (58) 에 용이하게 끼워맞추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로크 핀 (67) 을 끼워맞춤 구멍 (56) 내에 압입하면, 로크 핀 (67) 은 직경 확대 치수를 갖는 상방 부분 (57) 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그때까지 직경 축소 상태에 있던 로크 핀 (67) 의 꼭대기부가 통상적인 직경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그 로크 핀 (67) 은 끼워맞춤 구멍 (56) 의 단부 (59) 에 지지되어, 그곳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로크 핀 (67) 이 단부 (59) 에 확실하게 걸어맞춤된 것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로크 핀을 축선 방향으로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 나아가서는 로크 핀이 단부에 끼워맞춤했을 때의 소리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중간 용기 (42) 의 외주변에 있는 기립벽 (60) 에 형성한 돌기 (61) 및 로크 핀 (67) 의 적정 위치로의 장착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와 상측 패킹 (44) 과 하측 패킹 (45) 과 필터 (46) 의 조립이 완료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측 패킹 (44) 에 대해 상방 용기 (41) 의 원추 형상 벽 (51) 의 하면에 형성한 접촉 링 (55) 이, 또 하측 패킹 (45) 에 대해서는 중간 용기 (42) 의 개구부 주변에 형성한 접촉 링 (66) 이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들 패킹 (44, 45) 은 모두 실리콘 등의 연질 재료에 의해 구성되므로 서로 압접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필터 (46) 의 위치 어긋남이 완전하게 저지된다. 또, 상방 용기 (41) 와 중간 용기 (42) 는, 각각 돌기 (53, 61) 에 의한 언더 컷 끼워맞춤과, 끼워맞춤 구멍 (56) 과 로크 핀 (67) 에 의한 고정 끼워맞춤에 의해 확실하게 밀접 끼워맞춤이 도모된다.
그 후, 도치 상태에 있는 중간 용기 (42) 의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유지벽부 (62) 에 의해 구획되는 공역에 보조 패킹 (47) 을 적절히 장착한다. 이 때 보조 패킹 (47) 은 중간 용기 (42) 의 개구부 (63) 주변에 (도면의 예에서는 네 겹으로) 형성한 접촉 링 (70) 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하방 용기 (43) 를 장착한다. 중간 용기 (42) 가 도치 상태에 있고 유지벽부 (62) 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그 중간 용기 (42) 에 대해 하방 용기 (43) 를 동일하게 뒤집은 도치 상태로 하여 탑재한다. 이 때 하방 용기 (43)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하부 (82) 의 외면이 중간 용기 (42) 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벽부 (62) 의 내면에 밀접하도록 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 작업은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조립 작업이 완료된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용 위치로 되돌린다.
이 때, 하방 용기 (43) 의 저장부 (80) 내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용기 (42) 에 형성되어 있는 깔때기 형상의 안내벽 (64) 이 여유를 두고 끼워맞춤하도록 배치된다. 조립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는 순차적으로 스택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이 시점에서는, 스택했을 경우, 하방의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상방 용기 (41) 에 형성한 플랜지 (54) 가 바로 위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제 3 수하부 (84) 의 내측 스택 리브 (85) 에 대해 세트되어,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순차적으로 안정적인 자세로 다단 상태에 스택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대량 생산 가능하게 하기 위해, 조립 기계가 각 부품의 위치 및 각 부품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참조할 수 있도록, 각 부품에 위치 결정 마크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에 의해 조립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원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상방 용기 (41) 에 대한 손상 파괴되기 쉬운 필터 (46) 의 위치 결정 작업이 조립 작업상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당해 필터 (46) 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용의 단부 (72) 를 갖는 상측 패킹 (44) 의 적절한 위치 부여가 가능하도록, 상측 패킹 (44) 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위치 조정을 위한 오목 구멍 (74) 을 부여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예 2 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의 사용 방법에 대해 말한다. 1 개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어서 피검사 물질을 피펫 등의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여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공급한다. 여기에 나타낸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에서는 개구부 (50) 의 수 즉 96 의 검체를 동시에 검사 시료로서 채취할 수 있다. 개구부 (50) 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는 도 9 를 참조하면서 서술하면, 상방 용기 (41) 의 원추 형상 벽 (51) 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개구부 (50) 내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은 상측 패킹 (44) 의 단부 (72) 에 유지되어, 하측 패킹 (45) 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46) 중앙의 얇은 여과면에 적하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특성을 갖는 검사 시료만이 당해 필터 (46) 를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선별된 검사 시료는 중간 용기 (42) 의 깔때기 형상의 안내벽 (64) 에 의해 안내되어, 하방 용기 (43) 의 저장부 (80) 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저장부 (80) 내에 수용되는 검사 시료의 양은, 저장부 (80) 의 바닥 부분부터 안내벽 (64) 하단의 하방 개구부 (65) 에 도달할 때까지의 치수 (L7) 로 나타내는 공역 내에 포함되는 양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시료의 양은, 최대이어도 약 30 입방 밀리미터 정도이다.
일정량의 검사 시료가 저장부 (80) 내에 수용된 후에,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의 하방 용기 (43) 만을 조심스럽게 중간 용기 (42) 로부터 분리한다. 이 분리 작업은, 하방 용기 (43) 의 제 2 수하부 (83) 와 중간 용기 (42) 의 기립벽 (60) 을 잡아 상하향으로 떼어냄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분리된 하방 용기가 저장부 (8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검사 시료를 흘리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당해 검사 시료를 소정의 검사대까지 옮겨, 거기에서 시료의 상세한 검사를 개시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필터 (46) 의 메시 치수의 관계상, 피검사 물질이 필터 (46) 를 통과하기 어려워, 그 사이에 피검사 물질이 예를 들어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물성 변화를 일으키는 위험이 예측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원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에 있어서는, 피검사 물질에 대해 가능한 한 신속히 필터링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 개구부 (50) 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이 신속히 필터 (46) 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방 용기 (43) 의 저장부 (80) 에 부압을 제공하고, 피검사 물질을 강제적으로 필터를 개재하여 저장부 (80) 내에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한다. 즉, 본원 발명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가 저장부 (80) 의 주위를 펌프 등의 공지된 감압 수단에 의해 감압한다. 그 결 과, 도 30 에 있어서 부호 9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부 (80) 내부의 공기가 1 쌍의 통기부 (90) 를 통하여 저장부 (80) 의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부 (80) 의 압력이 감소된다. 이렇게 하여 저장부 (80) 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므로, 도 9 에 있어서 부호 95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46) 의 바로 하측에 있는 중간 용기 (42) 의 개구부 (63) 내의 공기가 저장부 (80) 의 외방에 흡인되어 당해 개구부 (63) 가 부압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 상방 용기 (41) 의 개구부 (50) 에 공급된 피검사 물질은 신속히 필터 (46) 를 개재하여 하방에 흡인된다. 이 결과, 피검사 물질은 필터 (46) 를 개재하여 강제적으로 저장부 (80) 내에 이동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 (80) 내에 수용되는 물질의 액면이 치수 (L7)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시료의 액면과 안내벽 (64) 의 하방 개구부 (65)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당해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당해 액체가 직접 감압 장치 내에 흡인되어 초기의 목적 달성이 도모되지 않게 된다.
저장부 (80) 내부의 공기를 저장부 (80) 의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통기부 (90) 의 수와, 그 통기부 (90) 의 장착 위치와, 저장부 (80) 내에 있어서의 안내벽 (64) 의 위치의 관계를 도 40a 및 도 40b 에 나타낸다. 도 40a 및 도 40b 에 있어서, A(a), B(b), C(c) 는 통기부 (90) 의 수가 1 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D(d), E(e) 는 2 개의 통기부 (90) 를 직경 방향에 대치하여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당해 통기부 (90) 가 사각형 필터 (46) 의 각 각에 접하는 외접원 (96) 상에 형성한 실시예를 a, b, d 에 나타내고, 당해 외접원 (96) 의 내측에 형성한 실시예를 c, e 에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A(a) 의 실시예는, 저장부 (80) 의 길이 방향 축선 (98) 과 안내벽 (64) 의 길이 방향 축선 (99) 이 동일 축선 상에 있고, 감압시에 저장부 (80) 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이 안내벽 (64) 의 주위에서 거의 동일한 실시예이다. B(b) 의 실시예는, 안내벽 (64) 이 통기부 (90) 를 형성한 측과 반대측에 접근하고 있는 실시예이다. C(c) 의 실시예는, 1 개의 통기부 (90) 를 저장부 (80) 에 접근시켜 형성하고 또한 B(b) 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안내벽 (64) 이 통기부 (90) 를 형성한 측과 반대측에 접근하고 있는 실시예이다. D(d) 의 실시예는, A(a) 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직경 방향에 대치하는 1 쌍의 통기부 (90) 를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이다. 마지막으로 E(e) 의 실시예는, A(a) 및 D(d) 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저장부 (80) 의 길이 방향 축선 (98) 과 안내벽 (64) 의 길이 방향 축선 (99) 이 일치하고 있지만 이 직경 방향에 대치하는 1 쌍의 통기부 (90) 를 저장부 (80) 에 접근시켜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원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통기부 (90) 의 위치는 저장부 (80) 에 근접하고 있는 쪽이 감압 손실이 적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감압 강도, 저장부 (80) 내의 액체량 등에 따라 상당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도 판명되었다. 또한 도 40a 및 도 40b 의 a ∼ e 에 있어서 외접원 (96) 의 내측에 있는 원 (97) 은 필터 (46) 경사부 (49) 의 외접원 이상을 나타낸다. 또, 도 40a 및 도 40b 의 A ∼ E 에 있어서 저장부 (80) 내부의 해칭은 시료를 나타내고, 이 양은 약 30 입방 밀리미터 정도이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통기부 (90) 는 1 개인 경 우와 2 개인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보다 많은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4 개, 6 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41 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 3 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 에 나타내는 실시예 3 은, 지금까지 서술한 실시예 2 와 유사하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먼저 서술한 실시예와 상위한 지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또한, 도 41 에 있어서는, 앞의 실시예와 유사한 요소 또는 부분에는, 앞의 실시예의 부호에 A 를 붙여 기재하고 있다. 또, 도 41 에 나타내는 실시예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도 41 을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는 앞의 도면, 특히 도 9 에 개시한 요소와는 약간 상이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각 요소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당업자가 매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변경인 것에 불과하므로, 실시예 3 에 관한 각 구성 요소의 상세한 도면은 생략한다.
도 41 에 나타내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a) 에서는, 상방 용기 (41A) 의 주변부를 구성하고 있는 플랜지 (54A) 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그 상방 용기 (41A) 와 일체적으로 수직 상방을 향하여 플랜지 기립부 (86) 가 기립하고 있다. 동일하게, 각 개구부 (50A) 의 주변부로부터도, 바람직하게는 그 상방 용기 (41A) 와 일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구 기립부 (87) 가 기립하고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 기립부 (86) 의 높이와 개구 기립부 (87) 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 혹은 86 쪽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반송시 등에 복수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40a) 를 서로 적층했을 때에 그들 마이크로 플레이트 (40a) 가 서로 편의 (偏倚) 하지 않고, 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랜지 기립부 (86) 및 개구 기립부 (87) 의 설치에 의해 마이크로 플레이트 (40a) 의 세트 전체 높이가 높아져, 도 3 에 나타내는 개구부 (50) 의 높이 치수 (L1) 가 실질적으로 커지고, 그 결과, 당해 마이크로 플레이트 (40a) 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개구부 (50A) 의 면적이 확대되어, 당해 개구부 (50A) 에 대한 시료 공급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외측 수직벽 (52) 의 치수 (L2) 를 원추 형상 벽 (51) 의 치수 (L1) 보다 약간 크게 하고 있고, 이 결과, 양자의 치수 차에 의해 외측 수직벽 (52) 이 원추 형상 벽 (51) 의 하방 위치에 있어서 패킹 (44, 45) 을 당해 수직벽 (52) 이 구획하는 영역 내에 포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도 41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패킹 (44A, 45A) 의 포위는 중간 용기 (42A) 가 제공하는 내측 기립부 (88) 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원추 형상 벽 (51A) 의 하단부에는 도 9 에 있어서 부호 (55) 로 나타내는 접촉 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방 용기 (41A) 의 하측에 대치하여 배치되고, 상방 용기 (41A) 와 협동하여 상측 패킹 (44A) 및 하측 패킹 (45A) 을 협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간 용기 (42A) 는, 상방 용기 (41A) 와 하방 용기 (43A) 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중간 용기 (42A) 는,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변으로부 터 상방 용기 (41A) 를 향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기립하고 있는 기립벽 (60A) 을 가지고 있다. 이 기립벽 (60A) 은, 상기 상방 용기 (41A) 의 외측 수직벽 (52A) 의 외측면을 포위하는 위치에 기립하고 있다. 또한 중간 용기 (42A) 는 상방 용기 (41A) 의 외측 수직벽 (52A) 의 내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일체적으로 기립하고 있는 내측 기립벽 (88) 을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에 걸쳐 갖는다. 이로써 기립벽 (60A) 의 내벽면과 내측 기립벽 (88) 의 외벽면 사이에 구획되는 홈부에 상방 용기 (41A) 의 외측 수직벽 (52A) 이 밀착 끼워맞춤 끼워맞춤된다. 이로써 상방 용기 (41A) 와 중간 용기 (42A) 사이의 끼워맞춤이 보다 강력해진다. 또한, 이 내측 기립벽 (88) 은 기립벽 (60A) 의 높이보다는 낮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내측 기립벽 (88) 의 외측 상방 부분에 약간 모서리를 잘라내어, 상방 용기 (41A) 를 당해 홈부에 끼워맞춤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내측 기립벽 (88) 은 또한 상측 패킹 (44A) 및 하측 패킹 (45A) 의 외주 가장자리를 정합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그 내측 기립벽 (88) 은, 그 내측면 높이가 이들 패킹 (44A) 및 (45A) 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높이를 갖는다.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패킹 (44, 45) 의 외주 가장자리가 상방 용기 (41) 의 외측 수직벽 (52) 의 내측면에 유지되는데, 도 41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에서는 중간 용기 (42A) 의 내측 기립벽 (88) 의 내측면에 유지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결과, 상측 패킹 및 하측 패킹을 장착할 때에, 도 9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치 상태의 상방 용기 (41) 에 대해 패킹 (44, 45) 을 장착하고, 그 후로 중간 용기 (42) 를 상방 용기 (41) 에 대해 장착하고 있었지만, 도 41 의 실시예 3 에 있어서는 패킹 (44A, 45A) 을 중간 용기 (42A) 에 장착한 후에, 그 중간 용기 (42A) 를 도치 상태에 있는 상방 용기 (41A) 에 대해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 에 있어서 사용되는 패킹 (44A, 45A) 은, 실시예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패킹 (44, 45) 보다 내측 기립벽 (88) 의 두께분만큼 작게 형성된다.
중간 용기 (42A) 의 외주위 부근에는, 기립벽 (60A) 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그곳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하하고 있는 유지벽부 (62A)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벽부 (62A) 는, 중간 용기 (42A) 와 하방 용기 (43A) 를 끼워맞춤함과 함께 보조 패킹 (47A) 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중간 용기 (42A) 는, 상방 용기 (41A) 의 개구부 (50A)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개구부 (50A) 의 수와 동일 수의 안내벽 (64A) 을 일체적으로 갖는다. 안내벽 (64A) 은, 개구부 (50A) 에 공급되고 그 후 필터 (46A) 에 의해 여과된 시료를 하방 용기 (43A) 의 저장부 (80A) 에 안내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또 유지벽부 (62A) 와 안내벽 (64A) 사이에는 보조 패킹 (47A) 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접촉 링 (70A)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예 2 와 동일하다. 도 41 에 나타내는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중간 용기 (42A) 가 또한 접촉 링 (70A) 과 유지벽부 (62A) 사이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 (89) 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볼록부 (89) 는, 안내벽 (64A)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접촉 링 (70A) 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간 용기 (42A) 의 짧은 방향 및/또는 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유지벽부 (62A) 의 내측 부분에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볼록부 (89) 는, 시료를 저장부 (80A) 내에 흡인한 후에, 하방 용기 (43A) 를 중간 용기 (42A) 로부터 떼어낼 때에, 보조 패킹 (47A) 이 반드시 하방 용기 (43A) 측으로 따라 오도록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하방 용기 (43A) 를 중간 용기 (42A) 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중간 용기 (42A) 측에 부착된 보조 패킹 (47A) 이 예기치 않을 때에 중간 용기 (42A) 로부터 떨어져 저장부 (80A) 내의 시료를 오염시킨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접촉 링 (70A) 은 보조 패킹 (47A) 을 소정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선단부가 예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대하여 볼록부 (89) 는 보조 패킹 (47A) 을 중간 용기 (42A)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돕는 것이기 때문에, 그 단면부는 평면 또는 원형 성분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1 에 나타내는 실시예 3 에 관해서, 상기에서 서술한 구성 이외의 점은, 도 7 ∼ 도 40b 에 나타내는 실시예 2 에 있어서 서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추가로 사용 방법도 실시예 2 에 있어서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점에서, 이들 각 개구부의 각각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상부 용기 및/또는 하부 용기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소재지를 나타내는 기호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표면의 세로 방향으로 A, B, C 등을, 가로 방향으로 1, 2, 3 등을 붙여 각 개구부의 각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하방 용기에 있어서는,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용기 표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정확하게 A, B, C 나 1, 2, 3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하방 용기의 이측으로부터 가공하여 문자를 바로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간 용기 (42) 와 하방 용기 (43) 를 세트했을 때의 덜컥거림 방지나, 반송시 등에 복수의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서로 적층했을 때에 그들의 마이크로 플레이트가 서로 편의하지 않고, 또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인 상태에서 적층할 수 있도록,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용기 (43) 의 중간 용기 (42) 와 접하는 측면에 하방 용기 리브 (30) 를 포인트적으로 복수 설치한다. 설치되는 리브 (30) 는, 예를 들어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긴 방향으로 3 지점, 짧은 방향으로 2 지점 형성한다.
동일하게, 하방 용기 (43) 와 보조 패킹 (47) 을 세트했을 때의 덜컥거림 방지를 위해서,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용기 (43) 의 보조 패킹 (47) 의 외주에 접하는 부분의 천면 (天面) 전체 둘레에 걸쳐, 하방 용기 가이드 (35) 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얇고 취약한 필터를 파괴하지 않고 안전하게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플레이트 자체의 가격이 저렴하고, 필터링 후에 용이하게 검사 시료를 수용한 트레이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질량 분석 등의 다음 공정에 샘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되고,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저장부의 깊이를 깊게 구성하고, 또한 그 저장부 내에 시료를 공급하는 안내벽의 길이를 길게 구성했으므로, 검사 흡인시에 큰 부압을 부여해도 시료가 인접하는 시료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 검사 흡인시에 시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당해 시료가 저장부 밖으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속한 필터링 요구에도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점에서, 신속한 검사 흡인이 가능해지고, 지금까지보다 단시간에 대량의 시료 분석이 가능하며, 또, 세포 조직 배양 또는 생태 배양 조직 검사 그 밖의 분야에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보다 큰 부압을 사용한 필터링이 가능해지므로, 대량의 샘플의 신속하고 정확한 시료 분석의 요구에도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6)

  1.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0) 로서,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 (120) 를 갖는 상방 용기 (111) 와,
    필터 (115) 를 유지하고 있는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과,
    상기 상방 용기 (111) 와 끼워맞춤하는 연결 부재 (112) 로서, 필터 (115) 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 (140) 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 (111) 와 의 사이에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연결 부재 (112) 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160) 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 (116) 로서, 연결 부재 (112)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 (116) 로 이루어지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방 용기 (111) 가 외주 부분에 수직 하방으로 신장되는 외측 수직벽 (124) 을 가지고 있고, 이 외측 수직벽 (124) 이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125) 를 가지고 있고,
    연결 부재 (112) 가 외주 부분에 수직 상방으로 신장되는 기립벽 (135) 을 가지고 있고, 이 기립벽 (135) 이 내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136) 를 가지고 있고,
    이들 돌기 (125, 136) 가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의 끼워맞춤이 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방 용기 (111) 가, 상방 부분 (129) 과 하방 부분 (130) 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구멍 (128) 을 가지고 있고, 상방 부분 (129) 이 직경 확대 구멍을 가지고, 하방 부분 (130) 이 직경 축소 구멍을 가지고, 상방 부분 (129) 과 하방 부분 (130) 사이에 단부 (131) 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 부재 (112) 가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중공 형상의 로크 핀 (143) 을 가지고 있고, 그 로크 핀 (143) 이 상부에 직경 확대 부분 (144) 을 가져 이 직경 확대 부분 (144) 이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그 로크 핀 (143) 을 상방 용기 (111) 의 하방 부분 (130) 으로부터 끼워맞춤 구멍 (128) 에 압입함으로써 그 로크 핀 (143) 의 직경 확대 부분 (144) 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직경 축소되고, 더욱 압입함으로써 로크 핀 (143) 이 상방 부분 (129) 에 도달하고, 그 직경 확대 부분 (144) 이 상방 용기 (111) 의 단부 (131) 에 걸어맞춤되어, 이로써 상방 용기 (111) 와 연결 부재 (112) 의 끼워맞춤이 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 (112) 가, 하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유지 벽부 (137) 및 위치 결정 핀 (145) 을 가지고 있고, 그 유지 벽부 (137) 는 외면 (138) 과 경사 내면 (139) 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연결 부재 (112) 를 포위하도록 외주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위치 결정 핀 (145) 은 원추 형상을 가져 연결 부재 (112) 의 내방 부분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하방 용기 (116) 가, 외주 부분에 경사부 (162) 와 단차 형상부 (163) 로 이루어지는 외주 리브 (161) 와, 원추 형상을 이루는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를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 (116) 는 연결 부재 (112) 에 대해 경사부 (162) 를 경사 내면 (139) 에 대해 압접함으로써 기밀 상태에서 접하고 있지만, 위치 결정 핀 (145) 과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유있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115) 가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어 복수의 균일 치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중심부와, 그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외주부가 중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 (112) 의 경사 내면 (139) 혹은 하방 용기 (116) 의 경사부 (162) 의 일방에 O 링 등의 기밀함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끼워맞추어 장착되어 있고, 이로써 양자가 기밀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 (112) 와 하방 용기 (116) 는, 각각 경사 내면 (139) 과 경사부 (162) 에 있어서 기밀 끼워맞춤하고 있지만,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는 유감되어 있고, 위치 결정 핀 수용부 (164) 의 하나에 감압 수단을 접속함으로써, 필터의 하방을 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필터링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측 패킹 (113) 및 하측 패킹 (114) 이 일체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115) 또는 그 필터 (115) 가 맞닿는 부재에 조립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마크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0.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40, 40a) 로서,
    피검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 (50, 50A) 를 갖는 상방 용기 (41, 41A) 와,
    필터 (46, 46A) 를 유지하고 있는 상측 패킹 (44, 44A) 및 하측 패킹 (45, 45A) 과,
    상기 상방 용기 (41, 41A) 와 끼워맞춤하는 중간 용기 (42, 42A) 로서, 필터 (46, 46A) 를 통과한 검사 시료가 통과하는 개구부 (63) 를 가지고 있고, 그 상방 용기 (41, 41A) 사이에 상측 패킹 (44, 44A) 및 하측 패킹 (45, 45A) 을 클램핑 유지하고 있는 중간 용기 (42, 42A) 와,
    검사 시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80, 80A) 를 가지고 있는 하방 용기 (43, 43A) 로서 중간 용기 (42, 42A)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하방 용기 (43, 43A) 로 이루어지고,
    중간 용기 (42, 42A) 가 개구부 (63) 로부터 수하하여 하단부에 하방 개구부 (65) 를 구비한 안내벽 (64, 64A) 을 가지고 있고,
    하방 용기 (43, 43A) 가 가지고 있는 저장부 (80, 80A) 가 그 안내벽 (64, 64A) 을 수용하고, 그 저장부 (80, 80A) 가 안내벽 (64, 64A) 의 하방 개구부 (65) 로부터 필터 (46, 46A) 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검사 시료를 수용하고 있고, 또한 그 하방 용기 (43, 43A) 가 그 상방의 직경 확대 사면 (92) 에 저장부 (80, 80A) 의 외부에 통하는 통기부 (90)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통기부 (90) 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통기부 (90) 가 2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벽 (64, 64A) 의 하단부가 저장부 (80, 80A) 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깊이까지 수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용기 (42, 42A) 와 하방 용기 (43, 43A) 사이에 보조 패킹 (47, 47A) 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보조 패킹 (47, 47A) 이 하방 용기 (43, 43A) 에 대해 미리 이성질 성형 혹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 레이트.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방 용기 (41, 41A) 가 외주부에 수직 하방으로 신장되는 외측 수직벽 (52, 52A) 을 가지고, 이 외측 수직벽 (52, 52A) 이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53) 를 가지고 있고,
    중간 용기 (42, 42A) 가 외주부에 수직 상방으로 신장되는 기립벽 (60, 60A) 을 가지고 있고, 이 기립벽 (60, 60A) 이 내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61) 를 가지고 있고,
    이들 돌기 (53, 61) 가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41, 41A) 와 중간 용기 (42, 42A) 의 걸어맞춤이 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방 용기 (41, 41A) 가, 상방 부분 (57) 과 하방 부분 (58) 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구멍 (56) 을 가지고 있고, 상방 부분 (57) 이 직경 확대 구멍을 가지고, 하방 부분 (58) 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 직경 축소되는 구멍을 구성하고 있고, 상방 부분 (57) 과 하방 부분 (58) 사이에 단부 (59) 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용기 (42, 42A) 가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로크 핀 (67) 을 가지고 있 고, 그 로크 핀 (67) 이 상부에 직경 확대 부분 (69) 을 가져 이 직경 확대 부분 (69) 이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간격 (48) 을 가지고,
    그 로크 핀 (67) 을 상방 용기 (41, 41A) 의 하방 부분 (58) 으로부터 끼워맞춤 구멍 (56) 에 압입함으로써 그 로크 핀 (67) 의 직경 확대 부분 (69) 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직경 축소되고, 더욱 압입함으로써 로크 핀 (67) 이 상방 부분 (57) 에 도달하고, 그 직경 확대 부분 (69) 이 상방 용기 (41, 41A) 의 단부 (59) 에 걸어맞춤되고,
    이로써 상방 용기 (41, 41A) 와 중간 용기 (42, 42A) 의 끼워맞춤을 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46, 46A) 가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복수의 균일 치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중심부와, 그 중심부로부터 경사부를 개재하여 신장되어 있는 그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외주부가 중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가 투명한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0. 제 10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방 용기 (41A) 가, 그 외주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플랜지 기립부 (86) 와, 또한 개구부 (50A) 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으로 신장되는 개구 기립부 (87) 를 가지고 있고, 이들 플랜지 기립부 (86) 와 개구 기립부 (87)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까지 신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1. 제 10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용기 (42A) 가 외주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기립벽 (60A) 과 그 기립벽 (60A) 의 소정 거리를 둔 내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는 내측 기립벽 (88) 을 가지고 있고, 이들 기립벽 (60A) 과 내측 기립벽 (88) 사이에 구획되는 공간에 상방 용기 (41A) 로부터 수하하는 외측 수직벽 (52A) 이 끼워맞추어 넣어져 있고, 내측 기립벽 (88) 의 높이가 기립벽 (60A) 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2. 제 21 항에 있어서,
    내측 기립벽 (88) 이 상측 패킹 (44A) 및 하측 패킹 (45A) 의 외주 가장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3. 제 14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용기 (42A) 가 보조 패킹 (47A) 에 접하는 면에 볼록부 (89)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용기 (41) 및/또는 하부 용기 (43) 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이들 각 개구부 각각의 위치를 특정하여 표시하기 위한 기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방 용기 (43) 의 중간 용기 (42) 와 접하는 측면에, 중간 용기 (42) 와 하방 용기 (43) 를 세트할 때의 덜컥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하방 용기 리브 (30)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방 용기 (43) 의 보조 패킹 (47) 의 외주에 접하는 부분의 천면 전체 둘레에 걸쳐, 하방 용기 (43) 와 보조 패킹 (47) 을 세트했을 때의 덜컥거림 방지를 위한 하방 용기 가이드 (35)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KR1020087024278A 2006-04-20 2007-04-17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KR20090007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16668 2006-04-20
JP2006116668 2006-04-20
JP2006322067 2006-11-29
JPJP-P-2006-322067 2006-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92A true KR20090007692A (ko) 2009-01-20

Family

ID=3862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278A KR20090007692A (ko) 2006-04-20 2007-04-17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05096A1 (ko)
EP (1) EP2017624A1 (ko)
JP (1) JPWO2007123100A1 (ko)
KR (1) KR20090007692A (ko)
WO (1) WO2007123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0402B3 (de) * 2008-02-21 2009-04-09 Bruker Biospin Ag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r Vielzahl von Probengefäßen, insbesondere NMR-Probenröhrchen, und Verwendung des Systems
KR20130142999A (ko) * 2010-07-27 2013-12-30 인스페로 아게 순응형 멀티웰 플레이트
JP5974778B2 (ja) * 2012-01-20 2016-08-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処理具
WO2014041488A1 (en) * 2012-09-11 2014-03-20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Vaudois Conical multi-well filter plate
JP2014069149A (ja) * 2012-09-28 2014-04-21 Sumitomo Bakelite Co Ltd スペーサおよび処理装置
US10134053B2 (en) 2013-11-19 2018-11-20 Excalibur Ip, Llc User engagement-based contextually-dependent automated pricing for non-guaranteed delivery
JP2015188314A (ja) * 2014-03-27 2015-11-02 日立化成株式会社 細胞捕捉金属フィルタ、細胞捕捉金属フィルタシート、細胞捕捉デバイス、細胞捕捉金属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細胞捕捉金属フィルタシートの製造方法
FR3106764B1 (fr) * 2020-01-31 2022-04-29 Letat Francais Represente Par Le Mini De Linterieur Dispositif pour analyser des éléments solides biologiqu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œuvre
MX2023008669A (es) 2021-01-26 2023-08-01 Becton Dickinson France Un nido para el envasado de tapones de embolo con pasadores de apilamiento que garantiza una alineacion fiable de una pila de nidos.
WO2024057703A1 (ja) * 2022-09-12 2024-03-21 シーエステ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プレート用フィルタ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813B2 (ja) 1990-10-19 1999-05-17 株式会社丸菱バイオエンジ 菌体等培養装置に於ける蓋状除菌フイルター並びに該フイルターを用いた菌体等培養装置
JPH10257887A (ja) * 1996-09-30 1998-09-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遺伝子解析装置および方法
US5958714A (en) * 1996-10-02 1999-09-28 Safety Associates, Inc. Test kits for determining at least two specific analytes in foods and other complex matrices
JP2001520394A (ja) * 1997-10-22 2001-10-30 セーフティ アソシエイ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種々の基質中の被検体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159368A (en) * 1998-10-29 2000-12-12 The Perkin-Elmer Corporation Multi-well microfiltration apparatus
US6692596B2 (en) * 1999-12-23 2004-0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titer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440692A1 (en) * 2001-03-08 2002-09-19 Exelixis Inc. Multi-well apparatus
KR20040068467A (ko) * 2001-05-31 2004-07-31 폴 코포레이션 유체처리용 웰
US7135149B2 (en) * 2001-06-14 2006-11-14 Millipore Corporation Positioning pins for multiwell test apparatus
US20040091397A1 (en) 2002-11-07 2004-05-13 Corning Incorporated Multiwell insert device that enables label free detection of cells and other objects
CA2467131C (en) * 2003-05-13 2013-12-10 Becton, Dickinson &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iological and chemical samples
AU2004202003B8 (en) * 2003-05-13 2008-10-0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salting biological samples
US20050103703A1 (en) * 2003-09-26 2005-05-19 Stephen Young Method of assembling a filtration plate
US7282148B2 (en) * 2003-10-30 2007-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ous silicon composite structure as large filtration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7624A1 (en) 2009-01-21
JPWO2007123100A1 (ja) 2009-09-03
US20090105096A1 (en) 2009-04-23
WO2007123100A1 (ja)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692A (ko) 필터 부착 마이크로 플레이트
US5554536A (en) Biological analysis device having improved contamination prevention
US8071050B2 (en) Ergonomic pipette tip and adapters
US20030039589A1 (en) Membrane filtered pipette tip
JP6086728B2 (ja) 蓋付きディープウェルプレートシステム
EP1110613A1 (en) Improved pipette tray
BR112020003539A2 (pt) conjunto de filtração e método para teste microbiológico
CN106102914B (zh) 用于液体样品的过滤装置
US7618592B2 (en) Detachable engageable microarray plate liner
JP2002506385A (ja) マルチウェルプレートの容積アダプタ
US9829416B2 (en) Closure with septum strip
US118676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biosensors using a consumable fluid reservoir
KR101743936B1 (ko)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US20200188906A1 (en) Container for a filtration assembly
WO2023026361A1 (ja) セプタ
CN113686760B (zh) 试剂盒、poct血细胞分析仪
US20220355290A1 (en) Sample collec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EP4290215A1 (en) Kit and sample detection device
JP7461097B1 (ja) マイクロプレート用フィルタプレート
CN216747768U (zh) 试剂盒
CN216747767U (zh) 试剂盒
WO2008134748A1 (en) Screentop microplate lid and assembly
US10981119B2 (en) Gas in/outlet adapter system for a filtration device
KR20160000344A (ko) 유체 분석 시트, 이를 포함하는 유체 분석 카트리지 및 유체 분석 카트리지의 제조방법
CN117813511A (zh) 隔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