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44U -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 Google Patents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44U
KR20090006144U KR2020070020260U KR20070020260U KR20090006144U KR 20090006144 U KR20090006144 U KR 20090006144U KR 2020070020260 U KR2020070020260 U KR 2020070020260U KR 20070020260 U KR20070020260 U KR 20070020260U KR 20090006144 U KR20090006144 U KR 20090006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knot
shaped portion
ti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도
Original Assignee
정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도 filed Critical 정성도
Priority to KR2020070020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144U/ko
Publication of KR20090006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4Means for forming and holdin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매듭형상으로 성형된 매듭형상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넥타이를 쉽게 부착하고, 와이셔츠의 단추에 걸림구를 끼움결합하여 거울 없이도 간편하게 착용하며, 사용자의 취향과 그날의 분위기에 적절하도록 다양하고 세련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와이셔츠의 목부에 걸쳐지게 걸림구가 구비된 매듭형상부와, 상기 매듭형상부에 결합되어 노출타이부를 연결하는 결속구로 구성된 조립식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상단에 일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타측단부가 상기 매듭형상부(10)의 하측방향으로 비탈지게 형성된 형성편(20)과, 상기 매듭형상부(10)의 양측면에 끼움결합되게 돌출구(35)가 형성된 회동편(30)과, 상기 회동편(30)의 일측단부에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40)과, 상기 회동편(30)의 타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손잡이(50)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구(60)는 상기 형성편(20)의 상부면에 밀착결합된 한 쌍의 밀착편(61)과, 상기 밀착편(61)의 일측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편(63)과, 상기 연장편(63)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형성편(20)의 하측을 향하여 개구부(67)가 형성된 체결편(6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듭형상부, 형성편, 회동편, 돌출편, 회동손잡이, 연장편

Description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THE ASSEMBLY NECKTIE WHOSE WEARING IS SIMPLE}
본 고안은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편의 간편한 동작으로 기존의 넥타이를 간단히 결합하여 노출타이부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넥타이를 사용할 때마다 매듭을 만들 필요 없이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정장차림의 드레스 셔츠에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정장차림뿐만 아니라 캐주얼한 평상복에도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해 널리 착용되고 있다.
이러한 넥타이는 양쪽의 폭이 다른 긴 띠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착용하는 방법은 개인의 취향이나 습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매듭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매듭 형성 과정은 양손을 사용하면서 앞쪽의 길이가 너부 길거나 짧아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매듭모양도 항상 다르게 된다.
따라서, 형성된 매듭모양이 미려하지 못하거나 넥타이 길이가 잘못 조절된 경우 몇 번씩 반복하여 매듭을 형성해야하므로 귀중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넥타이를 착용할 경우에는 항상 특정한 매듭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솜씨있게 묶여야 되지만,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오랜 시간과 경험이 필요하며 항상 동일하고 특정한 모양의 매듭을 형성하기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에, 미리 특정한 매듭의 모양이 성형되도록 고정시킨 넥타이의 내측에 고리나 단추등의 고정수단으로 와이셔츠에 고정시켜 축용할 수 있는 넥타이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42606호(고안의 명칭: 걸고리를 형성한 넥타이), 등록실용신안 제0321649호(고안의 명칭: 착용이 간편한 넥타이)와, 등록실용신안 제0323299호(고안의 명칭: 넥타이 매듭)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42606호나 제0321649호에서 개시된 넥타이는 와이셔츠에 클립 또는 고리형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323299호에 개시된 넥타이 매듭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매우 많이 소요되고, 다양한 넥타이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넥타이를 세탁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매듭을 신속하며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매듭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치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퍼가 마련된 넥타이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넥타이는 매듭의 형태 및 색깔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식상하게 되고 지퍼 고장 시 수리가 어려워 전체 넥타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특정한 매듭형상으로 성형된 매듭형상부에 다양한 형상의 넥타이를 손쉽게 부착할 뿐 아니라, 기존의 넥타이를 노출타이부로 사용할 수 있어 매듭형상부와 노출타이부의 색상이나 형상을 다소 다르게 연출하여 더욱 세련되고 멋진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걸림구를 구비하여 와이셔츠의 깃에 간편하게 착용하도록 하여 직장인들의 출근시간에 넥타이를 착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로 줄여 직장인의 출근시간을 더욱 여유롭게 하며, 넥타이를 착용하였음에도 목을 조이는 현상이 없어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의 목의 피로를 덜어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머리를 맑게 해주고, 사용자의 취향과 그날의 분위기에 적절하도록 다양하고 세련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와이셔츠의 목부에 걸쳐지게 걸림구가 구비된 매듭형상부와, 상기 매듭형상부에 결합되어 노출타이부를 연결하는 결속구로 구성된 조립식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상단에 일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타측단부가 상기 매듭형상부(10)의 하측방향으로 비탈지게 형성된 형성편(20)과, 상기 매듭형상부(10)의 양측면에 끼움결합되게 돌출구(35)가 형성된 회동편(30)과, 상기 회동편(30)의 일측단부에 상 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40)과, 상기 회동편(30)의 타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손잡이(50)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구(60)는 상기 형성편(20)의 상부면에 밀착결합된 한 쌍의 밀착편(61)과, 상기 밀착편(61)의 일측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편(63)과, 상기 연장편(63)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형성편(20)의 하측을 향하여 개구부(67)가 형성된 체결편(6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매듭형상부(10)와 회동편(30)의 사이에 기존의 넥타이를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자는 그날의 분위기와 취향에 맞도록 다양하고 세련된 연출이 가능하며, 와이셔츠의 깃에 걸림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탈/부착함으로써 거울이 필요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기존의 넥타이를 노출타이부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대폭부와 소폭부가 구비된 넥타이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매듭형상부에 형성된 결속구와 걸림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 고, 도 4는 본 고안의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단면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매듭형상부와 회동편에 의해 노출타이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를 와이셔츠의 단추에 착용하는 상태를 분리하여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는 와이셔츠의 목부에 걸쳐지게 걸림구가 구비된 매듭형상부와, 상기 매듭형상부에 결합되어 노출타이부를 연결하는 결속구로 구성된다.
매듭형상부(1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역삼각형 형상으로 전면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만곡되게 “V”형상을 하고 있다.
결속구는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상단에 일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타측단부가 상기 매듭형상부(10)의 하측방향으로 비탈지게 형성된 형성편(20)과, 상기 매듭형상부(10)의 양측면에 끼움결합되게 돌출구(35)가 형성된 회동편(30)과, 상기 회동편(30)의 일측단부에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40)과, 상기 회동편(30)의 타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손잡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40)은 노출타이부(70)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해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30)은 상기 형성편(20)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매듭형상부(10)의 양측에 형성된 결속공(15)에 돌출구(35)가 끼움결합되어 회동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62)는 상기 형성편(20)의 상부면에 밀착결합된 한 쌍의 밀착편(61)과, 상기 밀착편(61)의 일측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편(63)과, 상기 연장편(63)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형성편(20)의 하측을 향하여 개구부(67)가 형성된 체결편(6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편(61)은 상기 형성편(20)에 접착제에 의해 밀착결합되고, 상기 연장편(63)은 와이셔츠 단추의 두께보다 다소 높게 돌출되고, 상기 체결편(66)에 형성된 개구부(67)는 와이셔츠 단추(80)의 폭보다는 작게 절개되어 상기 단추(80)가 상기 개구부(67)로 끼워졌을 경우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우선 착용자는 그날의 분위기나 취향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넥타이를 선택한다.
그런 후,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넥타이를 본 고안의 노출타이부(70)로 사용하기 위해 착용자는 넥타이의 대폭부(1)와 소폭부(5)를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접는다.
이후, 상기 노출타이부(70)를 상기 매듭형상부(10)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돌출구(35)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동편(30)을 회동시키면,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40)이 상기 매듭형상부(10)와 평행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회동편(30)과 매듭형상부(10)이 사이에 다소 넓은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넓혀진 공간으로 상기 노출타이부(70)의 일측을 끼워 넣은 후 다시 상기 회동편(30)를 회동시켜 상기 노출타이부(70)를 안정되게 결합한다.
즉, 상기 회동편(30)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편(40)이 상기 매듭형상부(10)와수직이 되면서 상기 노출타이부(70)를 안정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그런 후, 와이셔츠의 단추(80)에 상기 체결편(66)에 형성된 개구부(67)를 끼워넣어 거울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니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대폭부와 소폭부가 구비된 넥타이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매듭형상부에 형성된 결속구와 걸림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단면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매듭형상부와 회동편에 의해 노출타이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를 와이셔츠의 단추에 착용하는 상태를 분리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대폭부 5: 소폭부
10: 매듭형상부 15: 결속공
20: 형성편 30: 회동편
35: 돌출구 40: 돌출편
50: 회동손잡이 60: 걸림구
61: 밀착편 63: 돌출편
66: 체결편 67: 개구부
70: 노출타이부 80: 단추

Claims (1)

  1. 와이셔츠의 목부에 걸쳐지게 걸림구가 구비된 매듭형상부와, 상기 매듭형상부에 결합되어 노출타이부를 연결하는 결속구로 구성된 조립식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상단에 일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타측단부가 상기 매듭형상부(10)의 하측방향으로 비탈지게 형성된 형성편(20)과, 상기 매듭형상부(10)의 양측면에 끼움결합되게 돌출구(35)가 형성된 회동편(30)과, 상기 회동편(30)의 일측단부에 상기 매듭형상부(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40)과, 상기 회동편(30)의 타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손잡이(50)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구(60)는 상기 형성편(20)의 상부면에 밀착결합된 한 쌍의 밀착편(61)과, 상기 밀착편(61)의 일측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편(63)과, 상기 연장편(63)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형성편(20)의 하측을 향하여 개구부(67)가 형성된 체결편(6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KR2020070020260U 2007-12-17 2007-12-17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KR200900061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60U KR20090006144U (ko) 2007-12-17 2007-12-17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60U KR20090006144U (ko) 2007-12-17 2007-12-17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44U true KR20090006144U (ko) 2009-06-22

Family

ID=4129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60U KR20090006144U (ko) 2007-12-17 2007-12-17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1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93Y1 (ko) * 2012-01-18 2012-05-09 최수빈 원터치 넥타이 매듭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93Y1 (ko) * 2012-01-18 2012-05-09 최수빈 원터치 넥타이 매듭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4975A (en) Necktie with a knot-forming core
WO2005023033A1 (ja) ネクタイ、シャツ、ボタン及びナプキン
KR20090006144U (ko) 착용이 간편한 조립식 넥타이
KR20090006147U (ko) 착용이 용이한 조립식 넥타이
US20040187187A1 (en) Reversible no-tie necktie
WO2012173475A1 (en) System comprising a button, an attaching member and a decorative element, as well as a button or a decorative element as part of this system and a garment provided with such a button
KR20130081693A (ko) 부착식 넥타이
KR20090065056A (ko) 조립 및 착용이 간편한 넥타이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US10321741B2 (en) Necktie retaining clip
US3336601A (en) Necktie knot forming and support device
US3426361A (en) Ready-made necktie form
KR20100069185A (ko) 착의와 탈의가 편리한 드레스셔츠
KR102051951B1 (ko) 악세서리 부착형 넥타이
KR200323299Y1 (ko) 넥타이 매듭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JP3098652U (ja) ネクタイ
KR200358790Y1 (ko) 지퍼 넥타이용 매듭 성형구
KR200254557Y1 (ko) 조립 넥타이의 매듭부
KR960003600B1 (ko) 코어를 이용하여 매듭을 짓도록 한 넥타이
JP3141253U (ja) シャツ襟袖の安定具
JP3097927U (ja) 日焼け防止用ショール
KR200348543Y1 (ko) 넥타이 착용구
KR200291900Y1 (ko) 장식용 옷핀
KR100385753B1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