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40U -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40U
KR20090006140U KR2020070020256U KR20070020256U KR20090006140U KR 20090006140 U KR20090006140 U KR 20090006140U KR 2020070020256 U KR2020070020256 U KR 2020070020256U KR 20070020256 U KR20070020256 U KR 20070020256U KR 20090006140 U KR20090006140 U KR 20090006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ower strip
remote contro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창
이기주
김현종
손상혁
허준영
서강래
Original Assignee
이원창
허준영
이기주
김현종
손상혁
서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창, 허준영, 이기주, 김현종, 손상혁, 서강래 filed Critical 이원창
Priority to KR2020070020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140U/en
Publication of KR20090006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4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흔히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사용되는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그 개폐상태(켜짐/꺼짐)를 일반 컴퓨터에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와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위함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무선 리모컨으로 멀티탭의 각 콘센트를 근거리에서 개별로 제어할 수가 있으며, 실외나 실내의 일반 컴퓨터에서 웹서비스를 통하여 무선으로 제어할 수도 있으며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리모컨을 사용하는 여러 가전제품들이 있고 형광등까지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정도 있으나, 그 범위가 좁고 경제적인 사유로 인해 일부 부유층에만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 컨트롤러(MCU)와 최신 무선 기술인 지그비, 그리고 웹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낮은 단가로 일반 가정에 도입하여 홈네트워크 형식의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게 하고, 각 전자제품의 주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그리고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의 개폐에 사용되는 SSR(Solid State Relay)은 기계식이 아닌 전자식 개폐기로 정격전류이상의 전류를 흘릴 수 없어, 멀티탭의 안전도를 향상시킨다. 현대 사회의 최대관점인 홈 네트워크 기술에 한걸음 더 가까워지는 고안으로 외출중에도 가정의 각 전자제품들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efficient power management by wirelessly controlling each outlet terminal of the power strip that is commonly used in homes or businesses, and confirming the open / closed state (on / off) to a general computer. The user can individually control each outlet of the power strip individually by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can control the status wirelessly through a web service from a general computer in an outdoor or indoor environment. Currently, there are several home appliances that use a remote control, and there are homes that can control a fluorescent lamp with a remote control, but the scope is limited to only a few rich people due to economic reasons. However, using microcontroller (MCU), the latest wireless technology, Zigbee, and web servic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 home network type network at a low cost and to control the main power of each electronic product. have. In addition, the SSR (Solid State Relay), which is used to open and close each outlet terminal of the power strip, is a non-mechanical electronic switch that cannot flow more than the rated current,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ower strip. Designed to bring it closer to home network technology, which is the biggest point of modern societ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and check the status of each home electronics product while going out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멀티탭, 무선 제어, 지그비, 홈 네트워크, 플러그, 상태 표시, 802.15.4  Multi-tap, Wireless Control, Zigbee, Home Network, Plug, Status Indicator, 802.15.4

Description

무선제어 멀티탭과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The controlled remote 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이나 회사 등, 여러 곳에서 흔히 사용되는 멀티탭의 효율적 관리와 각 콘센트 단자개폐의 편리를 위하여 IEEE 802.15.4 기반의 지그비 무선통신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근거리 제어 및 웹서비스를 이용한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제어 멀티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multi-taps commonly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homes and businesses, and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utlet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me network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IEEE 802.15.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ntrol multi-tap system that enables remote control and checks the state.

종래의 유선 제어식 멀티탭은 책상 밑이나 텔리비젼 거치대 뒤와 같은 구석진 곳에 두고 사용하였기 때문에 콘센트를 꼽을 때나 뽑을 때, 또는 멀티탭 자체를 끌 때에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는 등의 번거로운 점이 있었고 멀티탭에 꼽혀있는 콘센트가 어느 기기의 전원인지 하나씩 확인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원격제어를 사용하는 멀티탭은 RF통신을 이용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였고 각 콘센트 단자의 개폐를 확인하기 위해 감지센서와 A/D 변환기를 두어 단가의 상승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있는 고가의 아파트나 고가의 장비( PLC:Power Line Communication, PDA 등)가 있어야만 실외에서 각 가전제품의 전원상태를 알 수 있었다.Conventional wired controlled power strips are used at the corners, such as under a desk or behind a television holder, so users have to lean back when plugging in or unplugging them or turning off the power strip itself. There was a disadvantage to check the power of the device one by one. In addition, the multi-tap using 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large amount of data packets using RF communication, and induces an increase in the unit price by using a sensor and an A / D converter to confi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utlet terminal. In addition, only the expensive apartments and expensive equipment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PDA, etc.) composed of a home network could know the power status of each home appliance outdoors.

[문헌1] 등록특허 10-0667280 멀티탭 원격제어시스템 2007.01.10[Patent 1] Patent Registration 10-0667280 Multi-tap Remote Control System 2007.01.10

7쪽, 도면3P. 7, drawing 3

[문헌2] (주)이비뉴스 "디지털 컨버전스의 상징, 홈네트워크" 2004.8.14[Document 2] Ebinews Co., Ltd. "Symbol of Digital Convergence, Home Network" 2004.8.14

기존의 멀티탭의 대부분은 가정 및 사무실의 책상 뒤편 혹은 아래에 있어서 접근의 용이하지 못하고 제어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멀티탭의 각 단자의 전원 개폐를 위해 책상 아래로 들어가거나 혹은 커다란 가구를 옮기고 멀티탭의 단자를 조절하여야 했고, 각 단자가 어느 전자제품의 것인지 확인해야 했다. 본 고안은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위하여, 멀티탭의 각 콘센트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그 상태(켜짐/꺼짐)를 일반 컴퓨터에 모니터링하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외에서도 제어가능하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고가의 홈 네트워크기술을 접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함을 추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Most of the existing power strips are not easy to access and inconvenient to control behind or under desks of homes and offices. They had to go under the desk or move a large piece of furniture and adjust the terminals of the power strip to switch the power to each terminal on the power strip.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se inconveniences and efficiently manages each outlet of the power strip wirelessly, monitors the status (on / off) on a regular computer, and can be controlled outdoors using a web service. Its purpose is to allow you to access expensive home network technology in your office or office.

기존의 멀티탭의 각 단자에 기계식 스위치 대신 5개의 전기식 스위치인 SSR을 각 콘센트 단자에 설치하고 전체 5개의 콘센트 단자를 전체 통괄하는 고 전력용 SSR 1개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5구 1세트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별, 또는 전체를 전기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이들 각 단자는 접지 선을 이용하여 가정의 커넥터로 연결되기 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하였다. 기존의 멀티탭에 저가의 SSR 6기를 결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각 멀티탭 단자 및 전체 전원을 전기적으로 통제할수 있게 되었다. Instead of a mechanical switch on each terminal of the existing power strip, five electrical switches, SSRs, were installed at each outlet terminal, and a single high-power SSR was used to control all five outlet terminals. This makes it possible to electrically open and close each outlet terminal of the 5-prong 1-set power strip. Each of these terminals is connected to a home connector using a ground wire to ensure safety. By combining a low cost SSR 6 unit with an existing power strip, each power strip terminal and the entire power supply can be electrically controlled at a low price.

각 6기의 SSR을 통제하는 선은 MCU를 구성한 회로와 연결되어 하나의 MCU가 각 6기의 SSR을 통괄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MCU는 지그비 모듈을 통해 외부 로부터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SSR을 제어하게 된다. 저전력의 지그비 모듈과 1기의 MCU를 통해 6개의 SSR을 통제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무선을 통해 얻은 신호를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대부분 가구 뒤나 책상 밑에 장착된 멀티탭의 각 단자 및 전체 전원을 무선으로 통제 가능하게 하였다.The wire that controls each of the six SSRs is connected to the circuits that make up the MCU so that one MCU can control each of the six SSRs. The MCU used here controls each SSR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Zigbee module. The low-power ZigBee module and one MCU control six SSRs, allowing the use of wireless signals from the outside. This allows wireless control of each terminal and the entire power source of the power strip, most of which are behind furniture or under a desk.

그리고 서버컴퓨터와 리모콘 수신부 그리고 멀티탭이 폴링방식으로 상태를 전송하여 리모컨 수신부의 LCD 및 컴퓨터에 표시를 한다. 이로 인해 멀티탭 자체에 A/D 변환기와 센서가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rver computer, the remote control receiver, and the multi-tap transmit the status in a polling manner and display the LCD and the computer of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 D converters and sensors on the power strip itself.

또한 본 고안의 제품을 사용하면 가정 및 사무실 내에서뿐만 아니라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가정 및 사무실 내부의 멀티탭에 연결된 제품들의 전원을 개폐할 수 있고 그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외부에서 가정 및 사무실의 멀티탭을 관리함으로써 많은 편리함을 얻고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power of the products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inside the home and the office and monitor the status not only in the home and office but also using the web service. By managing the power strips in the home and office from the outside, you get a lot of convenience and efficient power management.

우선 본 고안의 이용은 원격 전원 관리라는 측면을 가장 크게 볼 수 있다. 집안 및 사무실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외부의 어느 곳에서도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집안의 서버를 제외한 모든 전자제품전원의 개폐가 가능하고 집안 내부에서도 손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의 멀티탭 단자를 리모컨 형식의 단말기를 통해 제어가능하다. First of all,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in terms of remote power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all electronic products except the server in the house by using the web service not only in the home and office, but also in the outside, and control the multi-tap terminal in the area that is difficult to use easily in the house through the remote control type terminal. Do.

흔히 고가의 기반에서만 가능한 홈 네트워크를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한 예라 할 수 있다. 이 제품을 이용하면 집안 및 사무실의 별도의 전기공사 없이도 많은 수의 전자제품전원을 개폐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종 기기의 전원을 뽑 아둠으로써 얻게 되는 전원 절감의 효과 또한 이 고안의 이용과 더불어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It is often an example of a simple implementation of a home network, which is only possible on expensive foundations. Using this product,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power supplies without separate electrical work in the home and office. In this way, the power savings gained from unplugging various devices can be further increased with this design.

본 고안에 대한 동작 원리는 아래의 첨부된 도면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peration principle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먼저 각 요소들의 구성을 도면을 통해 알아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리모컨(600), 리모컨 수신부(200), 멀티탭부(100), 서버 컴퓨터(400)와 RS-232부(300), 클라이언트 컴퓨터(500)로 구성된다. 도3은 본 고안의 핵심으로써, 기존의 멀티탭에 통신을 위한 지그비모듈(160)과 제어연산을 위한 MCU(110)를 장착하고,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의 개폐를 위한 SSR(130~135), 멀티탭 전체의 전원관리를 위한 SSR(140)을 장착한 멀티탭(100)의 구조도다. 도4는 리모컨 수신부(200)의 구조도로 무선통신을 위한 지그비모듈(260)과 연산제어를 위한 MCU(210), 리모컨으로부터 IR신호를 받기 위한 리모컨 수신모듈(220),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50), 멀티탭의 개폐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240), 그리고 멀티탭의 콘센트 단자들을 직접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들(231~236)과 멀티탭 주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30)가 있다. 도5는 RS-232부의 구조도로 지그비모듈(340)에서 받은 신호를 서버 컴퓨터(400)로 보낼 신호로 변환시킬 MAX-232모듈(310)과 변환된 신호를 서버 컴퓨터(400)로 보내는 시리얼 연결선(330), 그리고 전원을 위하여 서버 컴퓨터(400)와 연결되는 USB 연결선(320)으로 구성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each element through the drawings, 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the remote control 600, remote control receiver 200, multi-tap 100, server computer 400 and RS-232 unit 300, a client computer 500. 3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ZigBee module 160 for communication and the MCU 110 for the control operation to the multi-tap, SSR (130 ~ 135) for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utlet terminal of the multi-tap, The structure of the power strip 100 equipped with the SSR 140 for power management of the power strip as a whole. 4 is a ZigBee module 260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CU 210 for operation control, a remote control receiving module 220 for receiving an IR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and a battery for power supply. 250, an LCD 240 for display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wer strip, switches 231 to 236 for direct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terminals of the power strip, and a switch 230 for controlling the power main power supply.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S-232 unit, and a serial connect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Zigbee module 340 to the server computer 400 and the MAX-232 module 310 for converting the signal to the server computer 400. 330, and a USB connection line 320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for power.

실제 동작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he actual operation is as follows.

먼저 리모컨 수신부(200)를 사용하여 멀티탭(100)을 제어할 시의 예이다. First,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multi-tap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우선 리모컨 수신부(200)의 전원을 켜면 LCD(240)에 해당 멀티탭의 주전원 개폐상태와 각 콘센트 단자의 개폐상태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멀티탭(100)의 전체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230)를 누르면 MCU(210)에서 리모컨 수신부로 보낼 데이터를 만들어 지그비모듈(260)로 보낸다. 데이터를 받은 지그비모듈(260)은 해당 멀티탭(100)의 지그비모듈(160)로 신호를 전송한다. 그 신호를 해당 멀티탭(100)의 MCU(110)에서 받아, 주전원 SSR(140)을 켜고 주전원 LED(150)를 켠다. 그러면 리모컨 수신부(200)의 LCD(240)에 해당 멀티탭이 켜졌다고 표시되는데,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전원 SSR(140)을 켜고 난 뒤 MCU(110)에서 지그비모듈(16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상태를 전송한다. 상태를 전송받은 서버 컴퓨터(40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500)를 통해 현재상태를 확인할 사용자를 위하여 서버 컴퓨터(400)의 멀티탭 개폐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 컴퓨터(400)는 RS-232부(300)를 통해 리모컨 수신부(200)로 멀티탭(100)의 주전원이 켜졌다는 것을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리모컨 수신부(200)는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해당 멀티탭(100)이 켜졌다는 것을 LCD(240)에 표시하게 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해당 멀티탭(100)의 주전원을 켠다. First, when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is turned on, the LCD 240 displays the main power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power strip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each outlet terminal.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230 that controls the entire power of the power strip 100, the MCU 210 creates data to be sent to the remote control receiver and sends it to the Zigbee module 260. The Zigbee module 260 receiving the data transmits a signal to the Zigbee module 160 of the corresponding power strip 100.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CU 110 of the corresponding power strip 100, the main power SSR 140 is turned on, and the main power LED 150 is turned on. Then, the corresponding power strip is displayed on the LCD 240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This process is as follows. After turning on the main power SSR 140, the MCU 110 transmits the status to the server computer 400 through the Zigbee module 160. The server computer 400 receiving the status modifies the multi-tap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server computer 400 for the user to check the current status through the client computer 500. The server computer 400 transmits that the main power of the power strip 100 is turned on to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through the RS-232 unit 300. Finally,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displays on the LCD 240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trip 100 is turned on through the received information.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main power of the power strip 100 is turned on.

이 후 해당 멀티탭(100)의 각 콘센트 단자(120~125)를 제어하기 위하여 리모컨 수신부(200)의 스위치(235~236)를 누르면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각 콘센트 단자(120~125)가 개폐되고 각 SSR(130~135)에는 상태에 따라 LED(130~135)가 점멸된며 서버 컴퓨터(400)의 데이터가 수정된다.After pressing the switch (235 ~ 236)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in order to control each outlet terminal (120 ~ 125) of the corresponding power strip 100, each outlet terminal (120 ~ 125) through a series of steps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SRs 130 to 135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LEDs 130 to 135 flash according to the state, and data of the server computer 400 is modified.

리모컨(600)을 이용한 예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200)를 사용한 예를 통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using the remote control 600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using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리모컨(600)을 이용할 때에는 리모컨(600)에 있는 스위치가 리모컨 수신부(200)에 있는 스위치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단지 다른 것은 리모컨(600)의 스위치를 눌렸을 때 리모컨 수신부(200)의 리모컨 수신모듈로 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받은 신호를 MCU(210)에서 가공하여 지그비모듈(260)로 보낸다. 그리고 그 후의 동작은 상기 리모콘 수신부(200)의 예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When using the remote control 600, the switch in the remote control 600 may be regarded as a switch in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The only difference is that when a switch of the remote control 600 is presse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odule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and the received signal is processed by the MCU 210 and sent to the Zigbee module 260. And the subsequent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example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리모컨 수신부(200)는 리모컨의 역할뿐만 아니라 상태표시를 하는 중앙 패널의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많은 편의를 준다. 리모컨 수신부(200)는 리모컨(600)처럼 이동형 제어장치면서 동시에 고정형 표시장치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2와 같이 리모컨(600), 리모컨 수신부(200), 해당 멀티탭(100)으로 1세트가 될 수 있고 도1과 같이 지그비 네트워크의 1:N 구성으로 리모컨(600), 리모컨 수신부(200), 다수의 멀티탭(100)들로 1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멀티탭의 수는 리모컨 수신부(200)의 지그비모듈(260)의 성능에 따라 13개에서 16개까지 확장 가능하다. 지그비모듈은 칩콘사의 CC2420, CC2430 시리즈와 맥스스트림사의 Xbee시리즈가 가장 상용화되어있지만 가격과 모듈의 사용용이성, 제작 편리 및 지그비 네트워크의 가공을 생각하면 맥스스트림사의 Xbee 시리즈가 더 적합하며, 그 전송거리는 실내에서 30m2~100m2 를 지원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provides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by acting as a central panel for displaying a status as well as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may serve as a mobile display device and a fixed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as the remote control 600. As shown in FIG. 2, the remote controller 600,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and the multi-tap 100 may be one set. The remote controller 600 and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00 are configured in a 1: N configuration of a Zigbee network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one set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multi-taps 100. At this time, the number of power strips can be extended from 13 to 16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Zigbee module 260 of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The Zigbee module is the most commercially available chipcon CC2420, CC2430 series and Maxstream Xbee series, but considering the price and ease of use, ease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the Zigbee network, Maxstream Xbee series is more suitable, the transmission The distance supports 30m 2 ~ 100m 2 indoors.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 컴퓨터(500)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nally, an example of using the client computer 500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실외에서 웹서비스가 가능한 컴퓨터(500)로 웹서비스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에 ID와 PASSWORD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그리고 이미 서버 컴퓨터(400)에 저장되어있는 실내의 멀티탭(100)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컴퓨터(50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은 서버 컴퓨터(400)는 리모컨 수신부(200)명령을 보내고, 이후 상기의 예에 설명되어있는 바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The user connects to the computer 500 capable of web service outdoors using the ID and PASSWORD to the server computer 400 through the web service. And it is possible to check and control the status of the indoor power strip 100 that is already stored in the server computer (400). The server computer 400 that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client computer 500 sends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command and then operates as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

본 교안은 차 후 강력한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웹서비스를 이용한 멀티탭사용을 훨씬 안전하게 발전시킬 수 있으며 저가의 간단한 멀티탭 구입으로 인해 홈 네트워크 구성을 할 수 있다.In the future, this textbook will be able to develop the use of web taps with the strong encryption program much more securely, and the home network can be configured by the simple purchase of low cost tap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1:N 무선 제어 멀티탭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1: N radio control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1:1 무선 제어 멀티탭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1: 1 wireless control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MCU와 지그비모듈이 결합된 멀티탭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ulti-tap combined with the MCU and the Zigbe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MCU와 지그비모듈이 결합된 리모컨 수신부와 리모컨의 구조도.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emote control receiver and a remote control unit coupled to the MCU and the Zigbe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서버 컴퓨터용 RS-232부의 구조도.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S-232 unit for a server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상용의 멀티탭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시중에 판매되는 멀티탭은 전원플러그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전체 멀티탭의 전원이 제어되는 방식이거나 혹은 좀 더 발전한 모습으로 각각의 멀티탭 단자별로 혹은 전체 멀티탭의 전원을 플러그의 연결 여부가 아닌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체 전원 및 각 콘센트 단자별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본 고안의 무선 제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근거리부터 원거리에서 멀티탭의 전원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현재 각광받고 있는 홈 네트워킹의 일부며, 이를 통해 저가의 홈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지 않은 저가의 고속 통신을 위한 지그비모듈(160, 260, 340)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멀티탭(100)과 각종 단말기(200, 300, 400, 600)간의 통신을 구현하였다. 이로써 비교적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위치하기 쉬운 멀티탭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개개폐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각종 전원의 전원 관리 및 장시간 미사용에 따른 전력 누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조작을 가정 및 사무실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서버 컴퓨터(400)와 웹서비스를 이용한 외부의 클라이언트 컴퓨터(500)를 통해서도 가능하게 한다.Designed to use commercially available power strips more conveniently, commercially available power strips are designed to control the power of all power strips depending on whether a power plug is connected or more advanced. It was a way to control the power and the power of each outlet terminal by using a mechanical switch, not whether the power was plugged in. However, by using the wireles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witch of the power strip from a short distance to a long distance. This is part of the popular home networking, which can provide a low cost home networking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Zigbee modules 160, 260, and 340 for low-speed and high-speed communication, which are not used in the past, are used, and through thi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wer strip 100 and various terminals 200, 300, 400, and 600 is realized. .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 closing of the power strip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by a simple operation in a short distance and a long distance. . In addition, this operation is possible not only in the home and office, but also through the server computer 400 and the external client computer 500 using the web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탭(100)의 제어를 위한 리모컨(600)과 리모컨 수신기(200)가 있는 데, 리모컨(600)을 이용하여 멀티탭(100)을 제어시에는 벽, 멀티탭(100)과 가까운 곳, 등에 리모컨 수신기(200)를 고정시켜 놓고 리모컨(600)으로 멀티탭(100)의 제어가 가능하며, 리모컨(600) 부재 시에는 리모컨 수신기(200) 또한 이동이 용이하여 직접 리모컨 수신기(200)를 이동하며 스위치(230~236)를 이용하여 모든 멀티탭(100)의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re is a remote controller 600 and a remote control receiver 200 for the control of the multi-tap 100, when controlling the multi-tap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600, the remote control on the wall, close to the tap 100, etc. The receiver 200 is fixed and the multi-tap 100 can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600. In the absence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00 is also easily moved to directly move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00 and switch. The powers of all the power strips 100 may be controlled using the 230 to 236.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탭(100)의 제어를 위해 서버 컴퓨터(400)를 사용하였으며, 서버 컴퓨터(400)에서 상기 리모컨 수신부(200)를 통해 멀티탭(100)의 모든 전원을 통제 가능케 함으로써, 리모컨(600)이 없거나, 리모컨(600)과 먼 거리에서도 서버 컴퓨터(400) 또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컴퓨터(500)로 각 가정 및 사무실 내의 멀티탭(100)의 제어가 가능하다.The server computer 400 is used to control the multi-tap 100, and by allowing the server computer 400 to control all power of the multi-tap 100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the remote control 600 is absent or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600 may control the multi-tap 100 in each home and office with the server computer 400 or the external client computer 50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RS-232부(300)는 서버 컴퓨터(400)에 연결되어 있는 USB 연결선(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없이 해당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RS-232 unit 30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USB connection line 320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to solve a power problem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본 고안의 핵심이 되는 멀티탭(100) 내부에 AC-DC변환기(170) 및 전압 정류 장치(170)를 설치하여 멀티탭(100) 내부의 MCU(110) 및 지그비모듈(16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별도로 필요치 않으며 멀티탭(100)의 전원 플러그를 일반 220V 콘센트 단자에 결합함과 동시에 멀티탭(100) 내부의 각종 소자들은 그에 필요한 안정된 DC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를 통해 멀티탭(100) 내부에 별도의 전원 없이 멀티탭(100)을 상용 전원단자에 결합함으로써 모든 소자의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A power supply for the operation of the MCU 110 and the Zigbee module 160 inside the power strip 100 by installing an AC-DC converter 170 and the voltage rectifier 170 inside the power strip 100,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not required separately, and the power plug of the power strip 100 is coupled to a general 220V outlet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elements inside the power strip 100 are supplied with a stable DC power necessary for the power strip. Through this, the power supply of all devices can be supplied by combining the power strip 100 with a commercial power terminal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inside the power strip 10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리모컨 수신부(200)와 리모컨(600)간에는 저가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흔히 시중에서 사용하는 리모컨(600)과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가정에서 각종 가전제품을 다루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멀티탭(100)의 전원을 제어 가능하게 한다.By using a low-cost infrared sensor between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0 and the remote control 600 to communic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remote control 600 commonly used in the market by the user in the same way as dealing with various home appliances at home without objection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trip 100 can be controll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RS-232부(300)와 서버 컴퓨터(400) 간에는 1:1 통신의 대표적 방식이며, 케이블의 길이가 비교적 길어도 전압 강하에 의한 에러가 적으며, 구현이 쉽고, 저가이며, 거리제한을 비교적 덜 받는 RS-232C 시리얼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저가 구현 및 안정된 구현을 가능케 하였다. It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1: 1 communication between the RS-232 unit 300 and the server computer 400, and although the cable length is relatively long, there is little error due to voltage drop, and it is easy to implement, low cost, and relatively less distance limit. Using the receiving RS-232C serial communication method, low-cost and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entire system was enabl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멀티탭(100)의 각 콘센트 단자(120~125)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자로 전자식 스위치인 SSR(130~135)을 사용하여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에 비해 안정성을 높이고, 원활한 전원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전체 전원을 제어하는 고 전력용 SSR(140)을 사용함으로써 각 콘센트 단자(120~125) 외에 멀티탭(100) 전체의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하였다.As an elemen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utlet terminal 120 to 125 of the power strip 100, the electronic switch SSR (130 to 135) is used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to smoothly open and close the power supp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By using the high power SSR 140 for controlling the entire power source, the power supply of the entire power strip 100 in addition to the respective outlet terminals 120 to 125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KR2020070020256U 2007-12-17 2007-12-17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KR2009000614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6U KR20090006140U (en) 2007-12-17 2007-12-17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6U KR20090006140U (en) 2007-12-17 2007-12-17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40U true KR20090006140U (en) 2009-06-22

Family

ID=4129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56U KR20090006140U (en) 2007-12-17 2007-12-17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140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37B1 (en) * 2009-07-01 2009-11-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plug socket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43758B1 (en) * 2010-04-02 2012-05-11 김영빈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Inteligent Socket and Remote Controll
KR101464329B1 (en) * 2014-05-28 2014-11-26 주식회사 디지엔스 Controlling System for State Change Using Multita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37B1 (en) * 2009-07-01 2009-11-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plug socket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43758B1 (en) * 2010-04-02 2012-05-11 김영빈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Inteligent Socket and Remote Controll
KR101464329B1 (en) * 2014-05-28 2014-11-26 주식회사 디지엔스 Controlling System for State Change Using Multit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939B2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9153126B2 (en) Smart switch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67144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88779A1 (en) Smart power strip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KR101035127B1 (en) Power saving outlet device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TW201427312A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device,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nitoring power method thereof
CN205050339U (en) Intelligence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intelligence control system for house
CN102932216A (en) Smart home wireless network element management system
CN106125709A (en) A kind of smart jack and intelligent domestic system thereof
CN104898453A (en) Intelligent hous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3745876U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device
CN102748868A (en) Control device of IOT (Internet Of Things) electric water heater
CN104932283A (en) Energy-saving household control system
CN106450985A (en) Intelligent socket
CN204178210U (en) Intelligent control device and intelligent control system
CN203275957U (en) Intelligent switch and intelligent housing system applying same
CN201450515U (en) Remote control system of power-line communication network
CN204759073U (en) Intelligence house economizer system
KR20090006140U (en) The remote controled multitab and state monitoring system
CN204759072U (en) Remote control's smart home systems
CN208209981U (en) A kind of Event tourism system
CN202771605U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remote meter reading and electrical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CN202769971U (en) Internet of things electric water heater control device
CN210518368U (en) PoE power supply system
CN210629522U (en)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of power line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