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514U - 휴대용 차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514U
KR20090005514U KR2020070019405U KR20070019405U KR20090005514U KR 20090005514 U KR20090005514 U KR 20090005514U KR 2020070019405 U KR2020070019405 U KR 2020070019405U KR 20070019405 U KR20070019405 U KR 20070019405U KR 20090005514 U KR20090005514 U KR 20090005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ontainer
container body
inner cov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첨단엔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첨단엔프라 filed Critical (주)첨단엔프라
Priority to KR2020070019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514U/ko
Publication of KR20090005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47G19/145Drip catchers for 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차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차 용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용홀을 구비하는 내측덮개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덮개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로 길이가 연장구성되는 연결스틱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스틱의 타측 끝단에 티백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구비한다.
연결스틱, 수납부재, 내측덮개, 용기본체

Description

휴대용 차 용기{A portable drinking receptacle for tea}
본 고안은 휴대용 차(茶)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티백형태의 차를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차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차잎이나 홍차잎 등의 여러가지 차 재료에 뜨거운 물을 부어 찻물을 우려내는 방식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찻잎 자체를 포장하여 찻물을 우려낸 후에 찻잎은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는 곧, 티백(Tea bag)을 이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것이다. 둘째로 용기 자체에 찻물은 흘러나오게 하고 찻잎은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대표적인 것은 푸쉬로드(Push load)를 도입한 용기인데, 용기의 상부에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체가 결합되어 있고, 뚜껑체의 중앙은 관통되어져 푸쉬로드가 끼워지고, 푸쉬로드에는 여과수단이 장착되어 푸쉬로드의 상하 작동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차를 걸러내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은 용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노출됨에 따라 용기 내부에 차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휴대나 보관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고, 푸쉬로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 내 실용신안등록 제 353860호에서 "차 음료용 용기(Bottle for drinking tea)"라는 이름으로 감선희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 음료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거름부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차 음료용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11), 내측에 거름부 지지부(13)가 형성된 용기본체(10), 거름망(22)이 형성되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거름부(20) 및 상기 용기본체(10)와 연결부(33)로 연결된 뚜껑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차 음료용 용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용기본체(10)에 일정 온도의 물을 채워넣고 거름부(20)에 티백 형태나 잎 형태의 녹차, 홍차, 허브 등의 내용물을 넣은 후 상기 용기본체(10) 내에 상기 거름부(20)를 결합한다. 이후, 뚜껑부(30)를 결합시킨 후 흔들거나 뒤집어 상기 내용물과 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차를 우려내고, 이렇게 우려낸 찻물을 필요시에 상기 뚜껑부(30)를 개방하여 음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 음료용 용기는 상기와 같이 뚜껑을 개방하고 거름부를 제거한 후에 음용해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롭다. 또한, 상기 차 음료용 용기가 기립한 상태에서 상기 거름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휴대하여 이동 중에는 차를 우려내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본체 내에 물이 적게 채워져 있는 경우 차를 우려내기 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 로서, 용기본체의 하단부에 티백의 수납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연결스틱를 구성하여, 차 용기를 휴대하여 이동 중인 경우에도 차를 적절히 우려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차(茶) 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휴대용 차 용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용홀을 구비하는 내측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덮개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로 길이가 연장구성되는 연결스틱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스틱의 타측 끝단에 티백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면그릴체와 하면그릴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면그릴체와 상기 하면그릴체는 티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수납부재 일측에 장착된 힌지(Hinge)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면그릴체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하면그릴체에 형성된 돌기홈의 결합으로 상기 수납부재에서 티백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부측에서 이어진 고정체와 유동체로 분할 구성된고,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유동체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기 수용부재에서 티백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휴대용 차 용기는 용기몸체 내측의 하단으로 이어진 연결스틱 말단에 수납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수납부재에 티백을 넣어 찻물을 우려낼 수 있는 바, 상기 휴대용 차 용기를 휴대하고 이동 중에도 계속해서 찻물을 우려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를 기립상태에서 찻물을 울낼 수 있어 상기 용기몸체를 뒤집을 필요가 없고, 상기 용기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양에 관계없이 계속하여 찻물을 우려낼 수 있어 간편하게 찻물을 음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휴대용 차 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휴대용 차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휴대용 차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수납부재가 티백을 수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구부(210)가 형성된 용기본체(200), 내측덮개(250) 및 마개부(100)를 포함하는 휴대용 차 용기를 구성하되, 상기 내측덮개(250)에 연결된 연결스틱(300) 및 상기 연결스틱(300)의 말단에 수납부재(350)가 부착된 휴대용 차 용기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연결스틱(300)은 상기 내측덮개(250)에 일측이 연결되고, 충분히 길어 상기 용기본체(200)의 바닥부로 길이가 연장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스틱(300)의 타측 끝단에 부착된 상기 수납부재(350)는 상기 용기본체(200)가 기립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20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결국, 상기 용기본체(200)를 채우는 물의 양이 적더라도 찻물을 우려낼 수 있다.
상기 내측덮개(250)에는 단차부(26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덮개(250)는 상기 용기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200)의 개구부(210) 상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덮개(250)의 단차부가 상기 용기본체(200)의 단차에 맞물리도록 상기 내측덮개(250)를 상기 용기본체(200)의 개구부(210)에 끼움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덮개(250)에는 상기 용기본체(200)에서 우려낸 찻물을 마실 수 있게 하는 음용홀(26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용기본체(200)의 외부면에는 내용물의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230)가 결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30)는 상기 용기본체(200)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칭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기본체(200)에 뜨거운 물을 부어 찻물을 우려내는데, 상기 용기본체(200)를 잡은 손에 열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단열부재(230)를 손잡이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200)의 측면은 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본체(200)의 측면은 여덟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용기본체(200)의 평면절단도의 모양은 정팔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내측덮개(250)는 음용홀(265)을 구비하고, 에어홀(2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용홀(265)은 찻물을 음용하기 편리하도록 상기 내측덮개(250) 상부면 상에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270)은 상기 내측덮개(250)를 관통하고, 상기 음용홀(265)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찻 물을 음용시에 상기 음용홀(265)에서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찻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내측덮개(250)의 상기 단차부(267)에 상기 용기본체(200)의 단차가 맞물리도록 상기 내측덮개(250)를 상기 용기본체(200)의 개구부(210)에 끼움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100)는 외주면이 상기 용기본체(200)의 개구부(210)보다 넓게 형성된 마개(110)와 상기 마개(110)의 분실방지를 위해 상기 마개(110)와 일체로 연장된 연결부(120) 및 상기 연결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링(125)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본체(200)의 개구부(210)에 상기 고정링(125)을 결합하여 상기 마개(110)의 분실을 방지하게 할 수 있고, 용기 세척시에는 상기 마개부(100)를 이탈시켜 세척함으로써 간편하고 청결한 세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200)의 상단 및 상기 마개(110)의 내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탈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개(110)의 내측에 패킹결합홈(269)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결합홈(269)에 패킹(280)을 끼워넣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200)의 개구부(210)를 상기 마개(110)로 꼭 잠그면 상기 패킹(280)은 상기 내측덮개(250) 테두리의 상부면을 밀착시켜 차 용기를 흔들거나 이동시에도 찻물이 누수될 염려가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스틱(300) 끝단에 수납부재(350)가 부착된다. 상기 수납부재(350)에 우려내고자 하는 차를 티백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찻물을 우려낸 후 음용하고자 할 때, 상기 용기본체(200) 내의 티백을 제거하지 않고 바로 마실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350)는 상면그릴체(356) 및 하면그릴체(358)로 분할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면그릴체(356)와 상기 하면그릴체(358)는 티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수납부재(350) 일측에 장착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그릴체(356)는 돌기(352)를 구비하고, 상기 하면그릴체(358)에 돌기홈(354)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352)와 상기 돌기홈(354)의 결합으로 상기 수납부재(350)에서 티백(35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스틱(300)과 상기 수납부재(35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분리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스틱(300) 끝단에 수납부재(360)가 부착된다. 상기 수납부재(360)에 우려내고자 하는 차를 티백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의 상기 수납부재(360)는 도 5에서의 수납부재(35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지만, 그 형태와 티백을 수납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기 수납부재(360)는 상부측에서 이어진 고정체(362)와 유동체(364)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고정체(362)와 상기 유동체(364) 사이에서 티백을 그립하여 상기 수납부재(360)에 티백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362)에 형성된 걸림턱(366)에 상기 유동체(364)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기 수용부재(360)에서 티백(36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체(364)에 도 6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으로 텐션(Tension)을 가할 경우, 상기 유동체(364)의 끝단이 상기 걸림턱(366)에 안착되어 티백(36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 음료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거름부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휴대용 차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휴대용 차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휴대용 차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수납부재가 티백을 수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수납부재가 티백을 수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마개부 110; 마개
200; 용기본체 210; 개구부
230; 단열부재 250; 내측덮개
265; 음용홀 280; 패킹
300; 연결스틱 350; 수납부재

Claims (3)

  1.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용홀을 구비하는 내측덮개;
    상기 내측덮개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로 길이가 연장 구성되는 연결스틱;
    상기 연결스틱의 타측 끝단에 티백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차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면그릴체와 하면그릴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면그릴체와 상기 하면그릴체는 티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수납부재 일측에 장착된 힌지(Hinge)에 의해 회전가능하되, 상기 상면그릴체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하면그릴체에 형성된 돌기홈의 결합으로 상기 수납부재에서 티백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부측에서 이어진 고정체와 유동체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유동체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기 수용부재에서 티백 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용기.
KR2020070019405U 2007-12-03 2007-12-03 휴대용 차 용기 KR200900055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05U KR20090005514U (ko) 2007-12-03 2007-12-03 휴대용 차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05U KR20090005514U (ko) 2007-12-03 2007-12-03 휴대용 차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14U true KR20090005514U (ko) 2009-06-08

Family

ID=4129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405U KR20090005514U (ko) 2007-12-03 2007-12-03 휴대용 차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514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0725A (zh) * 2012-05-04 2013-09-18 江廷雪 击锤式刺破方法袋装水饮水机
KR200471398Y1 (ko) * 2010-12-30 2014-02-20 김진란 휴대용 차(茶) 용기
USD750429S1 (en) 2014-01-29 2016-03-01 Sistema Plastics Limited Strainer for a beverage container
CN105996648A (zh) * 2016-05-20 2016-10-12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新型茶壶
KR20180037872A (ko) * 2016-10-05 2018-04-13 이강현 차 전용 텀블러
WO2019124774A1 (ko) * 2017-12-22 2019-06-27 이민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98Y1 (ko) * 2010-12-30 2014-02-20 김진란 휴대용 차(茶) 용기
CN103300725A (zh) * 2012-05-04 2013-09-18 江廷雪 击锤式刺破方法袋装水饮水机
USD750429S1 (en) 2014-01-29 2016-03-01 Sistema Plastics Limited Strainer for a beverage container
CN105996648A (zh) * 2016-05-20 2016-10-12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新型茶壶
KR20180037872A (ko) * 2016-10-05 2018-04-13 이강현 차 전용 텀블러
WO2019124774A1 (ko) * 2017-12-22 2019-06-27 이민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KR20190076286A (ko) * 2017-12-22 2019-07-02 이민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CN111511659A (zh) * 2017-12-22 2020-08-07 李慜浩 冰块可拆卸式功能性水瓶及冰块制作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5514U (ko) 휴대용 차 용기
US20120269025A1 (en) Beverage container
KR200423234Y1 (ko) 휴대용 차(茶) 용기
JP2012527379A (ja) 供給カップ
JP3185488U (ja) 携帯用飲料容器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3212760U (ja) ポット
KR200419616Y1 (ko) 차(茶) 용기
KR20110002519A (ko) 차 거름용기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US9826849B2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20070114940A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KR200478717Y1 (ko)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101574889B1 (ko) 차음료용 컵
CN212654704U (zh) 上下双盖式容器构造
JPS5940903Y2 (ja) ろ過器付き魔法びん
JP3133626U (ja) 蓋付注出容器
KR101577417B1 (ko) 휴대용 음료 용기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