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350U -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350U
KR20090005350U KR2020070019201U KR20070019201U KR20090005350U KR 20090005350 U KR20090005350 U KR 20090005350U KR 2020070019201 U KR2020070019201 U KR 2020070019201U KR 20070019201 U KR20070019201 U KR 20070019201U KR 20090005350 U KR20090005350 U KR 20090005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output
signal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2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오걸
최상권
Original Assignee
이오걸
최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걸, 최상권 filed Critical 이오걸
Priority to KR2020070019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350U/en
Publication of KR20090005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5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명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을 온/오프 또는 조도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리모콘, 상기 리모콘의 출력을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연산결과의 제어신호를 증폭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부하, 상기 출력부를 초기화시키는 리셋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를 통하여 행과 열로 구성된 부하의 특정 행과열을 온/오프 또는 조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remote control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or illuminating the light, a receiving unit for sensing an output of the remote control, and an output of the receiving unit. A first control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a second control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program, an output unit amplifying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result, a load driven by the output unit, and initializing the output unit.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reset unit,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on / off or illuminance of a specific row overcolumn of a load composed of rows and columns through a terminal.

상기와 같은 무선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그룹제어와 개별제어를 하는 장치로 무선 리모콘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부하를 제어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By using the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s described above,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ads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and a computer as a device for group control and individual control can be implemented.

리모콘, 수신부, 제어부, 출력부, 부하 Remote controller, receiver, controller, output, load

Description

무선조명 제어장치{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본 고안은 무선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내 조명의 온,오프함에 있어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를 리모콘 또는 단말기에 의해서 제어하여 조명의 온,오프 또는 조도조정을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and off the lighting in the building, and to control the control unit by a remote control or a terminal to adjust the lighting on, off or dimming.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등의 원격제어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가전기기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송신호를 보내는 송신부와 이 송신부로부터 전송신호를 받아서 그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전기기 내에 내장되어 있는 수신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remote control device used as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home appliance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for a desired home appliance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by a user's hand, and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ransmitter for a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And a receiving unit built in the home appliance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이러한 리모콘 장치의 송신부는 적외선 LED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 가전기기의 제조회사마다 거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는 전용IC칩을 사용하여 32KHz의 변조주파수를 1:2 혹은 1:3 주기로 단속하는 직렬 전송방법을 사용하고 있다.The transmitt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uses infrared LEDs, and the modulation frequency of 32KHz is 1: 2 or 1: 3 period using a dedicated IC chip that contains a microprocessor having almost the same function for each home appliance manufacturer. A serial transmission method is used.

그러나, 이 경우 각 가전기기 마다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코드와 제어코드를 약간 달리하여 가전기기들 사이의 혼선을 방지하고 있다.However, in this case, in order to maintain independence for each home appliance, the user code and the control code are slightly different to prevent crosstalk between home appliances.

따라서, 이러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제조회사마다 또한 각 제품마다 여러가지 다른 별도의 전용 리모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는 각 가전기기 마다의 리모콘 장치를 관리하여야 하는 새로운 문제도 대두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preventing such confusion, various separate dedicated remote control devices are required for each manufacturer and each product, and a new problem that the user must manage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each home appliance is also required. It has emerged.

이러한 각 가전기기 마다 전용 리모콘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을 주게되는 바, 하나의 리모콘 장치로 다양한 메이커의 다양한 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통합 리모콘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아작까지는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수용하고 있지 못한 현실이다.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a dedicated remote control for each of these home appliances, so a separate integrated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products of various makers with a single remote control device has been proposed. This is not a reality.

또한, TV나 VTR 및 오디오 시스템 등과같이 다기능을 가지며, 자주 사용하게 되는 가전기기에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술한 리모콘 장치가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다기능을 갖고있지 않고, 사용횟수가 빈번하지 않은 가전제품에는 상술한 송신부와 수신부를 갖는 리모콘 장치가 적용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home appliances that are multifunctional, such as TVs, VTRs, and audio systems, are frequently used and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 devices to provide convenience and efficiency to users. The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the above-mentioned transmitter and receiver is not applied to home appliances which are not frequently used.

예를 들면, 하루 중 조작횟수가 많지 않으나, 매일 적어도 1~2회는 조작하게 되는 조명등, 환풍기, 보일러, 가습기 등은 현재의 리모콘 기능을 장착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같이, 별도의 리모콘 장치를 가지고 그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리모콘 장치의 기본 단가면에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리모콘 장치의 관리부담을 주게된다.For example,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during the day is not much, but at least one or two times a day, such as a lamp, a fan, a boiler, a humidifier, etc. may be equipped with the current remote control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remote control device In case of perform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 with the remote control unit, it is not only economical in terms of the basic unit cost of the remote control unit, but also burdens the user with the management burden of the remote control unit.

그래서, 각 가전제품 메이커에 의해서 결정되는 사용자코드의 설정을 사용자에게 오픈시켜 놓음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자체코드를 인지시켜 그 인지된 코드에 의해 동작되는 무선제어 스위칭장치가 개시되었다.Thus, a wireless control switching device is disclosed in which a user code is recognized by a user by opening a setting of a user code determined by each home appliance manufacturer and operated by the recognized code.

또한 이러한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326271호(2002년02월15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such an example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0326271 (February 15, 2002) and the like.

즉, 상기 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기능선택기(50)에서 새신호 생성모드를 선택하지 않을 때에는, 수광다이오드(LED1)에서 기존의 어느 하나의 리모콘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적외선 펄스가 감지되고, 그 경우 수광다이오드(LED1)로부터 감지된 적외선 펄스는 센서부(20)에서 소정의 주파수영역의 적외선 펄스만이 감지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로 공급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new signal generation mode in the function selector 50, the infrared pulse supplied from one of the existing remote control transmitters is received from the light-emitting diode LED1. In this case, the infrared pulse detected from the light-emitting diode LED1 is supplied to the microprocessor 30 by detecting only an infrared pulse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in the sensor unit 20.

여기서, 상기 수광다이오드(LED1)에 접속된 저항들(R10,R12)은 전압분배저항이다.Here, the resistors R10 and R12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diode LED1 are voltage divider resistors.

이렇게 감지된 적외선 펄스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감지된 적외선 펄스신호의 코드값이 메모리(40)에 저장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비교판단한다.The detected infrared pulse signal is compared with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40 in the microprocessor 30 to determine whether the code value of the detected infrared pulse signal is the same a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40.

그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그 코드값들이 서로 동일하면, 그 펄스의 입력횟수를 카운팅하여 각 펄스입력 횟수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펄스를 온오프스위치(10)로 출력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Next, when the code values are the same, the microprocessor 30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the pulses and outputs a control pulse to the on / off switch 10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the pulses. Presenting.

여기서, 도면부호 60은 AC/DC 변환기이고, 도면부호 70은 전기기기이다.Here,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n AC / DC converter, and reference numeral 70 denotes an electric device.

그러나, 상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326271호(2002년02월15일)는 사용하고자하는 부하(가전기기, 램프 등)를 온,오프 제어함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 소정의 작은 갯수의 부하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수개의 부하는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0326271 (February 15, 2002) is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by employing a microprocessor in the on-off control of the load (appliance, lamp, etc.) to be used, Only a small number of loads can be controlled, and a number of loads have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in controlling.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명 등의 제어에 있어서, 그룹제어와 개별제어를 하는 장치로 무선 리모콘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부하를 제어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of the lighting, such as a group control and individual control device for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ads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and a computer To provide.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명 제어장치에 의하면, 그룹제어와 개별제어를 하는 장치로 무선 리모콘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부하를 제어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ads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and a computer as a device for group control and individual contro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명 제어장치는 조명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을 온/오프 또는 조도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리모콘, 상기 리모콘의 출력을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 는 제2 제어부, 상기 연산결과의 제어신호를 증폭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부하, 상기 출력부를 초기화시키는 리셋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를 통하여 행과 열로 구성된 부하의 특정 행과열을 온/오프 또는 조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ireless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the remote control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n / off or illumination, a receiving unit for sensing the output of the remote control, the A first control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output of a receiver, a second control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program, an output unit amplifying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result, a load driven by the output unit, And a reset unit for initializing the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on / off or illuminance of a specific row overcolumn of a load composed of rows and columns through a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the object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여기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조명제어장치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의 제어신호에 따른 부하의 파형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diagram of a loa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2. It is a waveform diagram.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명제어장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리모콘(100), 상기 리모콘(100)의 적외선 펄스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120), 상기 수신부(120)의 출력신호에 따른 소정의 저장, 비교, 연산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130), 상기 제어부(1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 오프동작을 하고 부하(160)에 증폭된 전류를 공급하는 출력부(150), 상기 출력부(150)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하는 부하(160), 상기 제어부(130)의 출력을 초기화 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부(140), 상기 수신부(120)를 포함한 무선 조명제어장치의 각 구성블록에 필요한 DC전원을 공급하는 DC전원(11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1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infrared pulse signal, a receiver 120 for detecting an infrared pulse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predetermined storage, comparison, and calcu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receiver 120, and outputs the result, and performs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and loads 160. Output unit 150 for supplying the amplified current to the load, the load 160 for the on-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unit 150, the rese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initializing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130 140, the DC power supply 110 for supplying the DC power required for each component block of the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receiver 120.

본 고안은 건물 내의 조명을 온,오프하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원하는 시간 에 필요한 조명량을 무선 리모콘으로 켜고 끌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감시제어 또는 그룹제어와 개별제어하는 장치로 제어방법은 원격감시 제어프로그램인 사이먼(CIMON)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본 장치는 기존의 기 개발된 제품과는 가격면에서 80%이상 저감되면서도 전력 소비량은 오히려 20%이상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The present invention breaks the stereotype of turning on and off the lighting in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required amount of lighting can be turned on and off wit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t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using the program Simon (CIM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ice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more than 20% while reducing the price by more than 80%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그리고 사무실이나 아파트의 오디오실에서 사용되는 조명제어제품은 거의 1:1제어기기이며, 하나의 제어기로 최대 4채널까지 생산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할 경우 회로수를 얼마든지 늘릴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하나의 A/V실에는 약20회로에서 30회로이면 충분하므로 최대 30회로까지 제어가 가능하도록한다.And the lighting control product used in the audio room of the office or apartment is almost 1: 1 control device, and up to 4 channels are produced with one controller,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number of circuits by using a computer. However, in general, about 20 to 30 circuits are sufficient in one A / V room, so that up to 30 circuits can be controlled.

건물 내 조명시설은 스위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스위치 배관에 의한 건축물의 강도에도 문제가 되며, 시설비도 그만큼 많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무선화 함으로써 사용하는데 있어서 편리함과 내부벽면 디자인에도 많은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도 있어서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아주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e lighting system inside the building removes the problem of having to install the switch, which is also a problem in the strength of the building by the switch piping, and the cost of the facility is also added to that much. It is also expected to bring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dustrial aspect as well.

또한, 프로그램 스위치에 의해 동작시간을 지정하여 조작하거나 전화를 이용한 제어와 회의실, 교육실 등의 A/V시스템과 연계하여 조명환경을 연출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있으나 이는 아주 고가이어서 일반주택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제품이며, 본 고안은 아파트의 오디오실 등의 조명을 제어하는 장치이다.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functions such as operation by designating operation time by program switch or controlling using telephone and A / V system such as conference room and education room, etc. It is a difficult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audio room of the apartment.

즉, 본 고안은 아파트나 사무실 내부의 조명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원 격감시제어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적외선 리모콘에 의한 신호수신 회로장치 개발 및 음악에 따른 조명제어와 부하를 임의선정 관리하는 장치로, 원격감시 제어설계용 사이먼을 이용하여 조명 그룹제어와 개별제어 기능을 설계하며,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C언어를 이용한 PIC IC를 이용하며 구동용 파워장치는 SSR을 이용하여 출력신호를 구동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였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software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lighting inside an apartment or an office by a microprocessor, to develop a signal receiving circuit device using an infrared remote controller, and to control and control the lighting control and load according to music. As a device, designing lighting group control and individual control function using Simon for remote monitoring control design, control interface device uses PIC IC using C language, and driving power device drives output signal using SSR. The system was applied.

DC전원(110)은 수신부(120)를 포함한 각 구성블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정전압I를 이용하여 직류5V를 공급하고, 수신부(120)는 내부에 구비된 포토트랜지스터에 의해서 리모콘(100)의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The DC power supply 110 supplies DC 5V using a constant voltage I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each component block including the receiving unit 120, and the receiving unit 120 is controlled by the phototransistor provided therein. Will be detected.

제2 제어부(210)는 출력부(150)의 출력을 "0"으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을 하는 리셋부(140)의 신호를 수신부(120)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신호에 따른 수신부(12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초기화된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transmits a signal of the reset unit 140, which generates a signal for initializing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150 to "0", to the receiving unit 120, and receives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 Is initialized by the output signal of 120).

출력부(150)는 트랜지스터부와 SSR증폭부를 구비하여 제어부(130)의 신호를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증폭시킨 후 SSR증폭부에서 부하(160)별 10A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증폭한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 transistor unit and an SSR amplifier unit to amplify a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by a transistor or the like, and then amplify the SSR amplifier unit to use up to 10A for each load 160.

상기 부하(160)는 전기기기로 조명 또는 램프 등을 포함한다.The load 160 may include lighting or a lamp as an electric device.

상기 리모콘(100)은 적외선LED 송신방식의 IR리모콘으로 가정에서 TV, VCR 등에 흔히 사용되는 리모콘으로, 빛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동하며, 수신부(120)는 포토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빛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remote control 100 is an IR remote control of the infrared LED transmission method is a remote control commonly used in homes, TVs, VCRs, etc., and is driven in a manner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y light, and the receiver 120 detects light using a phototransistor. It is supposed to.

일반적으로 수신부(120)는 리모콘(100)에서 보내는 파형을 그대로 재생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이것을 분석해서 적절한 신호로 바꾸기 위해서는 마이컴을 써 서 프로그램을 짜주어야 한다.In general, since the receiver 120 is configured to reproduce the waveform sen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as it is, it is necessary to program a program using a microcomputer to analyze this and convert the waveform into an appropriate signal.

수신부(120)는 마이컴을 내장시켜, 수신코드를 RS232C나 병렬 데이터로 바꾸어 주고, 상기 출력부(150)는 공지된 PWM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부하(램프)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ceiver 120 includes a microcomputer and converts the reception code into RS232C or parallel data, and the output unit 150 may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load (lamp) by using a known technique such as PWM.

교류전원(170)은 출력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부하를 구동 또는 온 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C power source 170 supplies power to the output unit 150 to drive or turn on the load.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16F874를 채용한 제1 제어부(200),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를 이용한 제2 제어부(210), 상기 제2 제어부(210)에 접속되어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말기(2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200 employing 16F874, a second control unit 210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 (PLC),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nd a terminal 220 connected to 210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상기 제1 제어부(200)는 수신부(120)의 출력신호에 따른 처리결과를 출력부(150)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제어부(110)는 단말기(220)의 프로그램(CIMON)을 이용하여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연산된 결과신호를 출력부(150)에 출력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00 outputs the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receiving unit 120 to the output unit 150, the second control unit 110 by using the program (CIMON) of the terminal 220 The result signal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utput to the output unit 150.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단말기(220)의 프로그램(CIMON)을 이용하여 행과 열로 구성된 부하에 있어서, 특정위치의 부하를 온,오프 및 조도제어를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may perform on, off and illuminance control of a load at a specific position in a load composed of rows and columns using a program (CIMON) of the terminal 220.

부하(160)는 리모콘(100) 및/또는 단말기(220)에 의해서 제어가 가능하다.The load 160 may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00 and / or the terminal 220.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상기 단말기(220)의 제어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IMON제어부(미도시), 상기 CIMON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부하의 열과행을 정하는 PLC입력제어회로(미도시), 상기 PLC입 력제어회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후단에 전송하는 PLC출력제어회로(미도시)로 구성된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receives a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terminal 22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IMON control unit (not shown), the heat and row of the load on, off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IMON control unit PLC input control circuit (not shown) for determining a, and a PLC output control circuit (not shown)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PLC input control circuit and transmitted to the rear stage.

수신부(120)는 포토트랜지스터에 의해 신호를 검출하고, PLC입력제어회로는 출력을 "0"으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을 하는 리셋부(140)의 신호를 받아 PLC출력제어회로에 전달한다.The receiver 120 detects a signal by the phototransistor, and the PLC input control circu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reset unit 140 that generates a signal for initializing the output to "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PLC output control circuit.

PLC출력제어회로는 상기 신호를 TR에의해 증폭시킨 후 출력부(150)로 전송하고, 출력부(150)는 부하별 10A 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증폭한다.The PLC output control circuit amplifies the signal by TR and then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utput unit 150. The output unit 150 amplifies the load to be used up to 10A for each load.

그리고, CIMON제어부는 부하를 바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단말기(220)로 부터 전송받아 RS232포트를 통하여 제어가 되도록 PLC입력제어회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IMON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capable of directly controlling the load from the terminal 220 and outputs the PLC input control circuit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RS232 port.

부하는 교류 220V 상용전원을 바로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220)는 컴퓨터 등이 바람직하다.The load allows the AC 220V commercial power supply to be used immediately, and the terminal 220 is preferably a computer or the like.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의 제어신호에 따른 부하의 파형도는 리모콘과 부하의 파형도는 CIMON 제어부의 프로그램에 따른 입력과 출력의 파형도로 입력신호는 리모콘(100)에 의해 펄스형식으로 들어오나 부하(160)출력은 리모콘에 의해 오프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출력신호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FIG. 4 is a waveform diagram of a loa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2, and a waveform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and a load is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a program of a CIMON controller. The input signal is in the form of a pulse by the remote controller 100, but the load 160 outputs the output signal to be maintained until the off signal is input by the remote controller.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에 따른 무선 제어스위칭장치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radio control switch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조명제어장치의 구성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의 제어신호에 따른 부하의 파형도,4 is a waveform diagram of a loa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리모콘100: remote control

110 : DC전원110: DC power

120 : 수신부120: receiver

130 : 제어부130: control unit

Claims (4)

조명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상기 조명을 온/오프 또는 조도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리모콘,A remote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or illuminating the lighting; 상기 리모콘의 출력을 감지하는 수신부,Receiving unit for detecting the output of the remote control, 상기 수신부의 출력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A first controller which performs a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ceiver;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제2 제어부,A second control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program, 상기 연산결과의 제어신호를 증폭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for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result; 상기 출력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부하,A load driven by the output unit, 상기 출력부를 초기화시키는 리셋부로 구성되고, A reset unit for initializing the output unit,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를 통하여 행과 열로 구성된 부하의 특정 행과열을 온/오프 또는 조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The control unit is a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r illuminance of the specific row over-column of the load consisting of the row and column through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제어부는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단말기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The second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y wire, the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composed of a comput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제어부는 단말기의 제어명령신호에 의한 PLC입력 및 출력제어회로 의 동작에 따라 부하의 특정 행과열을 온,오프 및 조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And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on / off and illuminance of a specific row overheat of the loa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C input and output control circuits by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신호를 입력받는 CIMON제어부, 상기 CIOMON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부하의 특정 행과열을 정하고 전류를 공급하는 PLC입력 및 출력제어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명 제어장치.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a CIM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a PLC input and output control circuit for determining a specific row and column of the load and supplying cur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OMON control unit. Control unit.
KR2020070019201U 2007-11-29 2007-11-29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KR2009000535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01U KR20090005350U (en) 2007-11-29 2007-11-29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01U KR20090005350U (en) 2007-11-29 2007-11-29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50U true KR20090005350U (en) 2009-06-03

Family

ID=4129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201U KR20090005350U (en) 2007-11-29 2007-11-29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35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10B1 (en) * 2010-10-11 2011-04-01 오길식 Remote automatic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10B1 (en) * 2010-10-11 2011-04-01 오길식 Remote automatic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114B1 (en) Power saving type outlet device that allows automatic control
AU2021218008A1 (en) Power Outlet Socket Sensor Switch
CN107852791B (en) Control device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light button
KR20080114176A (en) Plug apparatus
KR20110015691A (en) Programmable user interface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al consumer
AU2023214278A1 (en) Power Outlet Socket Sensor Switch
US20030210167A1 (en) Wireless remote-control light adjuster
KR20090005350U (en) Wireless lamp control apparatus
EP3407322B1 (en) Driver system
RU2185040C1 (en) Method, system, and regulator power unit for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domestic appliances, primarily for luminosity control of lighting fixtures
TW201436640A (en) Switch system and wall switch used for the same
JP7330547B2 (en) Power 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WO1998026394A2 (en) Receiver/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KR100195788B1 (en) Wireless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mote control learning function embedded
KR101464568B1 (en) Smart power saving system using the infrared cod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964489B1 (en) Plug apparatus
KR100326271B1 (en) Wireless control switc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391034Y1 (en) Remote control digital multi-channel switch and interior illumination type fountain apparatus used the milti-channel
CN212785945U (en) Universal infrared remote control LED lamp
KR102422575B1 (en)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using powerless switch
Bonia et al. Controlling Home Appliances by IR Remote Control using Arduino Uno
KR890003633B1 (en) Home-control circuit
KR200146642Y1 (en) Lamp remote control using general remote controller
KR200358147Y1 (en) On/off control device for loads using any remote controller
JP3132019U (en)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matching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