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30A -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30A
KR20090004230A KR1020070068276A KR20070068276A KR20090004230A KR 20090004230 A KR20090004230 A KR 20090004230A KR 1020070068276 A KR1020070068276 A KR 1020070068276A KR 20070068276 A KR20070068276 A KR 20070068276A KR 20090004230 A KR20090004230 A KR 2009000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rame
display unit
user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정
이소라
김진경
송호철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6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30A/en
Publication of KR2009000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editing of image data is provided to modify and edit a plurality of image data through an each frame of a template. A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editing of image data comprises a user terminal(200) and a service server(300). The user terminal which is usable in system includes not only a personal computer and a cellular phone but also all digital devices including PDA and PMP which are possible for internet connection through wireless and wire. The service server creates, searches and modifies the contents. The service server includes an interface offer part(310), a contents producing part(320), a contents inquiry part(330), a controller(340) and a communication part(350).

Description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editing image data included in user-generated content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화상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고 다채롭게 배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포함될 화상 데이터의 표시 상태 및 화상 데이터 간의 공간적 배치 상태에 대한 편집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easily and colorfully arranging image data, such as an image or a video, constituting a content in a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on a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be included in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editing function for a display state of image data and a spatial arrangement state between the image dat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enerate various contents using the function.

근래에 들어, 인터넷 사용이 점점 더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 등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가 배포하는 컨텐츠의 양이 증가일로에 있다. 또한, 사용자들 간에는, 단지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로부터의 수동적인 정보 획득에만 초점을 둔 인터넷 사용보다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컨텐츠를 작성, 제공하는 능동적인 양태의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의해서만 주로 제공되던 인터넷 상의 웹 문서, 뉴스 기사,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정보 등의 컨텐츠가 근래에는 사용자 개개인에 의해서도 적극적으로 생산, 배포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근래 들어 보편화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UCC: User Created Contents) 문화의 활성화와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그 또는 홈페이지 사이트의 활성화로 인하여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the Internet becomes more and more common, the amount of content distributed by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such as Internet portal sites and Internet service companies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re is a rapid increase among users among active users who create and provide contents themselves, rather than just using the Internet, which focuses only on passive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In other words, contents such as web documents, news articles, images, videos, media information, etc., which were mainly provided by Internet portal sites in the past, have been actively produced and distributed by individual users in recent years. This aspect is further deepen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popular User Created Contents (UCC) culture and the activation of blogs or homepage site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that allow users to create content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t is becoming.

이러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 또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의 블로그 또는 홈페이지 사이트 등이 제공하는 컨텐츠 편집 기능은 화상 데이터의 확대나 축소, 화상 데이터의 단순한 나열 등과 같이 몹시 제한적인 기능만이 포함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컨텐츠를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하는 컨텐츠를 보다 다채롭게 구성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에 더욱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Such user-generated content is generally configured to include not only data in the form of text written by a user, but also image data such as an image or a video present on a user's terminal device or a network. It is true that the content editing function provided includes only very limited functions such as enlargement or reduction of image data and simple arrangement of image data. This is generally more unsatisfactory in view of the fact that a user who wants to generate content tends to make the content that the user creates more colorfully.

종래부터,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다채롭게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도록 몇 가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everal user interfaces have been proposed so that a user can easily and colorfully configure content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템플릿의 각 영역에 배치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A and 1B illustrate a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by arranging image data in each area of a template in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도 1a는 본 발명의 출원인인 주식회사 엔에이치엔의 웹 서비스인 블로그에서 제공되는 "레이아웃 만들기" 탭을 이용해 화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을 도시하며, 도 1b는 도 1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추가한 상태의 화면을 도시한다.In detail, FIG. 1A illustrates an initial screen of a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content by adding image data using a "Create Layout" tab provided in a blog, which is a web service of an applicant, NHN. FIG. 1B The screen in the state which added some image data using the user interface of FIG. 1A is shown.

도 1a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 템플릿 유형 선택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a는 템플릿 유형 선택부(103)에 나열된 복수의 템플릿 중 특정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에 상기 특정 템플릿이 표시되는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A, the UI may include an image data list display 101,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102, and a template type selector 103. For reference, FIG. 1A illustrates an initial screen in which the specific template is displayed on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when a specific template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templates listed in the template type selector 103.

사용자는 도 1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에 포함될 화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선택된 순서대로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 및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에 동시에 표시된다(도 1b 참조). The user can add image data to be included in the cont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1A, and the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in the selected order. (See FIG. 1B).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로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각각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 및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의 각 프레임에 할당된 고유 번호 중 동일한 숫자인 1, 2, 3 이라고 쓰여진 프레임에 삽입되어 표시되는 형식이다. For examp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lected image data by the user are uniquely assigned to each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A. It is inserted and displayed in the frame written with the same number 1, 2, 3 among the numbers.

도 1b는 상기와 같은 프로시져에 의해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 및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에 각각 7개의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다.FIG. 1B shows a case where seven image data are added to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by the above procedure.

하지만, 도 1b와 같이 사용자가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화상 데이터를 상당 부분 채운 후에 템플릿 내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가 마음에 안 들거나 다른 화상 데 이터로 대체하고자 할 때,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삽입되는 화상 데이터의 배치 위치가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에 나열된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종속되므로,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 내의 화상 데이터의 배치 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에 나열된 화상 데이터의 순서를 원하는대로 바꿔야 하는데, 사용자가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에 나열된 화상 데이터들의 순서를 바꾸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이미 선택한 상당 수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의 리스트에서 삭제한 후 다시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의 리스트에 추가해야 하는 등, 사용자 입장에서 번거롭기 그지 없었다. However, when the user does not like the position of the image data in the template or replaces it with other image data after the user fills a large portion of the image data in each frame of the template as shown in FIG. 1B, it is displayed on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Sinc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mage data to be inserted into each frame of the template to be made depends on the order of the image data listed in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in order to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mage data in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the image data li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order of the image data listed in the display unit 101 as desired. In order to change the order of the image data listed in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a large number of image data already selected in some cases may be selected. After deleting from the list in (101), select the desired image data again. It was not troublesome for the user, such as adding to the list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정렬형 또는 나열형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by adding image data using templates of alignment or arrangement in the prior art.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출원인인 주식회사 엔에이치엔의 웹 서비스인 "네이버 모자이크"에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며, 이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템플릿 선택 영역(201), 프레임 수 선택 영역(202), 템플릿 표시부(203)를 포함한다. 2A and 2B illustrate a process for generating content in "NAVER MOSAIC", a web service of NHN,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template selection area 201 and a frame number selection area 202. ), The template display unit 203 is included.

템플릿 선택 영역(201)은 흐트러지게 배열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모양인 나열형, 정돈되게 배열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모양인 정렬형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콤보 박스를 제공하는데, 도 2a는 정렬형을 선택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도 2b는 나열형을 선택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The template selection area 201 provides a combo box that can select a matrix type including a distorted frame, a matrix type including an orderly arranged frame, and the like. 2B shows an example of selecting an enumeration type.

도 2a를 참조하면, 정렬형의 5x5 매트릭스 모양의 템플릿이 템플릿 표시 부(203)에 표시되고 있으며, 그 일측에 프레임 변동부(204)가 있다. 이러한 프레임 변동부(204)는 템플릿 표시부(203)에 표시되어 있는 템플릿의 프레임 중 이웃하는 4개의 프레임을 합치거나 합쳤던 프레임을 다시 분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프레임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컨텐츠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A, an alignment type 5 × 5 matrix template is displayed on the template display unit 203, and a frame shifter 204 is located on one side thereof. The frame shifter 204 provides a function of joining or re-isolating four neighboring frames among the frames of the template displayed on the template display unit 203. By using such a function, the user can vary the size of the frame and accordingly, various contents can be realized.

프레임 변동부(204)를 통해 템플릿 내의 프레임의 크기를 다양화한 후 화상 데이터를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하나씩 추가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게 되는데, 생성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는 프레임의 병합된 모양 등이 마음에 안 들어 이를 바꾸고자 할 수도 있을 것이다.After varying the size of the frame in the template through the frame shifter 204, the image data is added to each frame of the template to generate content. During the process, the user may like the merged shape of the frames. You may not want to change it.

하지만, 도 2a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이미 화상 데이터의 상당 수가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병합된 모양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시 도 2a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병합이나 분리를 행한 후에 또 다시 화상 데이터를 새로운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이 필요로 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큰 불편함이라 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2A, when a large number of image data has already been inserted into each frame of the template, in order to change the merged shape of the frames, the merge or split of the frames is performed again using the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Since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mage data into a new frame again aft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is required, it is a great inconvenience for the user to generate various contents.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나열형의 5x5 매트릭스 모양의 템플릿이 템플릿 표시부(203)에 표시되고 있으며, 그 일측에 각도 변동부(205)가 있다. 이러한 각도 변동부(205)는 템플릿 표시부(203)에 표시되어 있는 템플릿의 각 프레임의 흐트러진 정도를 변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느낌의 컨텐츠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B, a template of a 5 × 5 matrix in the form of an array is displayed on the template display unit 203, and there is an angle shift unit 205 on one side thereof. The angle shifting unit 205 provides a function of changing the level of disturbance of each frame of the template displayed on the template display unit 203. By using such a function, the user can implement various kinds of contents.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하나씩 추가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게 되는데, 생성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는 매트릭스의 행 수 또는 열 수가 마음에 안 들어 이를 바꾸고자 할 수도 있을 것이다.Content is generated by adding image data to each frame of the template one by one through the user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generation process, the user may not like the number of rows or columns of the matrix and may want to change it.

하지만, 도 2b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이미 화상 데이터의 상당 수가 삽입된 상태에서 매트릭스 모양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시 도 2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매트릭스의 행 및 열에 대해 정하여야 할 것이며, 그 이후 또 다시 화상 데이터를 새로운 매트릭스에 삽입하는 과정이 필요로 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큰 불편함을 야기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2B, in order to change the matrix shape in a state where a large number of image data has already been inserted into each frame of the template, the rows and columns of the matrix must be determined again using the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2B. Since there is a need for a process of inserting image data into a new matrix thereafter, it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for a user to generate various contents.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고 다채롭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simple user interfac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create content more easily and colorfully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 비해 진일보한 기술적 구성을 채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화상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고 다채롭게 배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interface for easily and colorfully arranging image data such as an image and a video constituting a content in a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on a network by adopting an advanced technical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y. By providing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t is to enable the user to create more diverse and new conten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프레임에 표시하도록 하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를 단말 장치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과 연동 관계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를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or modifying content including image data to a user, the method comprising: (a) the image data in an order selected by the user; Displaying an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in each fram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erminal device; and (b) a content including a template comprising a frame hav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with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on one sid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wherein the position of the image data inserted into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can be mov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복수 프레임이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되는 템플릿을 표시하는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를 단말 장치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되는 단계, 및 (c) 상기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 프레임이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or modifying content including image data to a user, the method comprising: (a) displaying a tem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provided in a matrix form; Displaying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erminal device, (b) adding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frame, and (c) a frame to which the image data is added by the pointing device. Zooming in or ou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표시하는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를 단말 장치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되는 단계, 및 (c)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된 상태에서도 상기 매트릭스의 행 수 및 열 수를 수정할 수 있는 매트릭스 변동부를 상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or modifying content including image data to a user. Displaying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erminal device; (b) adding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frame; and (c) even when the image data is added to the frame. And displaying a matrix variation part capable of modifying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of the matrix on one side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들이 템플릿의 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방식을 용이하고 다채롭게 수정 및 편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 및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and colorfully modify and edit the manner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ata is displayed through each frame of the templat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in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user.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reate and utilize a variety of content can be achieved.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전체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various contents using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포함된다. 가장 보편적인 단말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 휴대폰뿐만 아니라, PDA, PMP 등 유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디지털 기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200 usable in the system of FIG. 3 includes various digital devices. Not only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phones, which are the most common terminal devices, but also digital devices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wired and wireless devices such as PDAs and PMPs may correspond thereto.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생성, 조회, 수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30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컨텐츠 생성부(320), 컨텐츠 조회부(330), 제어부(340), 및 통신부(3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may generate, inquire, and modify content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300. For this purpose, the service server 300 may include an interface providing unit 310 and a content generating unit (see FIG. 3). 320, the content inquiry unit 330, the controller 340, the communication unit 350,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컨텐츠 생성부(320), 컨텐츠 조회부(330), 제어부(340), 및 통신부(3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서비스 서버(300)에 포함되거나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다만, 도 3에서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컨텐츠 생성부, 컨텐츠 조회부, 제어부, 및 통신부가 모두 서비스 서버(3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비스 서버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여러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0,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20, the content retrieving unit 330, the control unit 3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server 300. It may be program modules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300 (However, FIG. 3 illustrates that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the content generating unit, the content inquiry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re all included in the service server 300. ).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server in the form of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 modules,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also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Such program modules may also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service server. Such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execute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 여 컨텐츠를 생성, 조회, 및 수정 등의 행위를 수행하기 원하는 경우에, 단말 장치(200)에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GUI)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0 is a user interface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200) suitable for the terminal device 200 when the user wants to access the service server 300 to perform an action such as generating, inquiring, and modifying content. For example, the GUI provides a function. A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생성부(320)는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생성부(320)는 화상 데이터 저장부(321), 화상 데이터 변환부(322), 표시정보 관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when the user wants to generate the content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300,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text data and the image data input by the user to generate the content. Do this. In detail,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20 may include an image data storage unit 321, an image data conversion unit 322, and a displa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3.

화상 데이터 저장부(321)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300)는 화상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화상정보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생성을 완료하는 시점에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되는 최종적인 화상 데이터에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으나,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되는 임시적인 화상 데이터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생성 과정에서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image data storage unit 321 stores the image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in the service server 300. To this end, the service server 300 stores the image data information.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360 may be included. Although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360 in the final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0 when the user completes the generation of the content, the service server 300 before the genera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emporary image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to may be stored, and in some cases, text data input by a user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may be stored.

화상 데이터 변환부(322)는 사용자가 컨텐츠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수정 요청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mage data converter 322 performs a function of updating image data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correction request when the user requests correction of imag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표시정보 관리부(323)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컨텐츠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 방식이나 화상 데이터 간의 공간적 배치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 상기 컨텐츠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의해 조회될 때,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가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에 적절하게 표시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정보 관리부(323)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하고자 할 때, 보다 용이하게 화상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도록 화상 데이터가 배치될 위치를 미리 지정하여 놓은 템플릿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주제, 목적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다양한 템플릿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information manager 323 stores information such as a display method of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or spatial arrangement between the image data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ent by the user, and the content is later stored by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When it is inquired,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can be proper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00.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generate content, the displa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3 may provide a function of providing the user with template data which has previously designated a position where the image data is to be arranged so that the image data can be easily arranged. For this,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mplate database (not shown) that stores various template data to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ubject, purpose, and the like of the content to be created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컨텐츠 조회부(330)는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content inquiry unit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user's inquiry request about the content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4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컨텐츠 생성부(320), 컨텐츠 조회부(330) 및 통신부(3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40)는, 통신부(35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수신되거나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컨텐츠 생성부(320), 및 컨텐츠 조회부(330)에서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0, the content generating unit 320, the content inquiry unit 3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50. That is, the control unit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or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50,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0, the content generating unit ( 320, and the content inquiry unit 330 controls to perform each unique func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50)는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 등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담당한다.Finally, the communication unit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the service server 300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정보 데이터베이스(360) 및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는 각각 화상 데이터 및 템플릿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소정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log)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360 and the template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atabases storing image data and template data, respectively, and include a predetermine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database refers not only to the negotiated database, but also to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file system-based data record, and the like, if a simple set of logs can be retrieved to extract data. It is included in the talking database.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서비스 서버(300)에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를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300)의 화상 데이터 저장부(321)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00)의 화상정보 데이터베이스(360) 또는 서비스 서버(300)의 기억 장치의 특정 위치에 저장하도록 한다. 즉, 화상 데이터의 추가 시점에 이미 화상 데이터가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되어 저장되어 추후의 편집 작업이 서비스 서버(300)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의 편집을 위해 단말 장치(200)에 ActiveX 등과 같은 추가적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컨텐츠의 편집 과정이 단말 장치(200)의 시스템 환경에 독립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image data using the terminal device 200 to upload the content including the image data to the service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selected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0. The image data storage unit 321 of the service server 300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data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360 of the service server 300 or the storage device of the service server 300. . That is, the image data is already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t the time of addition of the image data, so that a later edi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ervice server 300, so that the user can edit the content in the terminal device 200. The burden of installing an additional program such as an ActiveX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diting process of the content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terminal device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템플릿의 각 프레임에 배치된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해 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for easily changing a position of image data disposed in each frame of a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401),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402), 템플릿 유형 선택부(403)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종래 기술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비해 진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도 4에 도시된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402), 템플릿 유형 선택부(403)의 기능 및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 템플릿 유형 선택부(103)와 대체로 유사함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FIG. 4,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n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401,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402, and a template type selection unit 403. For reference, the user interface of FIG. 4 is to provide an advanced user interface compared to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1, which is a prior art,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402 and the template type selector 403 shown in FIG. 4. Note that the function and configuration of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and template type selection unit 103 shown in FIG.

하지만, 도 4의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401)는 도 1의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와는 달리 나열된 화상 데이터들을 드래그앤드랍(Drag & Drop)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이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402)에 디스플레이되는 템플릿의 프레임에 할당된 고유 번호와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401)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에 할당된 고유 번호가 연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되면 사용자에게 큰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of FIG. 1,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401 of FIG. 4 may move the listed image data to a desired position by drag and drop. When the unique number assigned to the frame of the template displayed on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402 and the unique number assigned to the frame displayed on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401 are combined with the user interface to be linked, great convenience will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예를 들면, 도 1b와 같이 배열된 7개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1번 프레임에 배열된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바로 1번 프레임에 삽입하고자 사진추가 버튼을 눌러도,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 및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의 1번 프레임으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7번 프레임으로 삽입되게 된다(프레임 번호는 도 1a을 참조). 따라서, 도 1a 및 도 1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1번 프레임에 삽입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에 나열되어 있는 모든 화상 데이터를 삭제한 후에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 터를 추가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For example, even if the picture addition button is pressed to delete the image data arranged in frame 1 and insert the new image data directly into frame 1, among the seven image data arranged as shown in FIG. Instead of being inserted into frame 1 of the list display unit 101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the list display unit 101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are inserted into frame 7 (see FIG. 1A for the frame number).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content by inserting the new image data desired by the user into frame 1 using the user interface of FIGS. 1A and 1B, all image data listed in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is deleted. There is a need to add the new image data later.

하지만,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의 7번 프레임으로 삽입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마우스, 키패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드래그앤드랍하여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의 1번 프레임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키는 행위만으로도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101)의 각 프레임과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의 각 프레임이 고유 번호별로 연동되어 있으므로)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102)의 1번 프레임으로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이와 같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느낌의 컨텐츠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using the user interface of FIG. 4, the new image data inserted into frame 7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is dragged and dropped by a mouse, a keypad or a pointing device having a similar function to display the image data list. By simply moving to frame 1 of the display unit 101 (since each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101 and each frame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are linked by a unique number),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102 The desired image data can be moved to the first frame of. In other words, the user can easily implement various kinds of contents using such a convenient user interface.

한편, 이와 같이 드래그앤드랍 방식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기법은 FLASH 프로그래밍 및/또는 AJAX 프로그래밍 기법과 같은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명세서 상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어도 이와 동일한 취지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technique that can be freely moved in a drag and drop manner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ming technique such as FLASH programming and / or AJAX programming technique, and the same subject matter may be applied without special m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f course it ca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템플릿의 특정 프레임에 추가한 후에도 손쉽게 상기 특정 프레임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easily change the size of a specific frame even after adding image data to a specific frame of a tem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501),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502), 매트릭스 조정부(503), 탭 선택부(5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n image data list display 501,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502, a matrix adjuster 503, a tab selector 504, and the like.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501) 및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502)의 연동 관계는 도 4의 그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501)를 통해 추가되는 화상 데이터들은 그대로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502)에 추가된다.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501 and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502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FIG. 4, so that the image data added through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501 is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502 as it is. Is added to).

예를 들어, 매트릭스 조정부(503)에서 가로 5칸, 세로 4칸의 매트릭스를 선택하고 탭 선택부(504)에서 "레이아웃" 탭을 선택하면, 동일한 크기의 프레임이 가지런히 배열된 정렬형의 5x4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이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502)에 제공되며, 이와 같은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에 포함된 각 프레임에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다. 이 때, 사용자는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 상태로 복수의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병합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select a matrix of 5 columns and 4 columns in the matrix adjuster 503 and select the "Layout" tab in the tap selector 504, an aligned 5x4 frame in which the same size frames are arranged neatly. The matrix type template is provided to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502, and image data is added to each frame included in the matrix type template.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to merge a plurality of frames into one frame or divide one frame into a plurality of frames with image data added to the frame.

즉,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임의 병합 및 분할 과정에서, 해당 프레임에 위치한 화상 데이터의 크기는 병합 또는 분할되는 프레임의 크기에 적합하게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의 병합의 일 예로서,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레임을 병합하여 하나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프레임의 병합이 반드시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데이터가 이미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 외의 다양한 다각형 형태로의 병합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in the merging and dividing fram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image data located in the fram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suit the size of the merged or divided frames. As an example of merging the frames, one may consider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ranged in a square or a rectangle are merged to generate one square or rectangular frame. However, merging of frame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quare or rectangular frames, and when image data is composed of images, merging into various other polygonal shapes may also be assumed.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 기술인 도 2a에서와는 달리 가지런히 배열된 정렬형의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에 화상 데이터를 추가한 후에도 프레임의 사이즈를 자유자재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느낌의 컨텐츠를 생성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unlike in the related art of FIG. 2A, the user can freely enlarge or reduce the size of a frame even after adding image data to a template of a matrix form arranged in an orderly manner, to easily create various contents desired by the user. It becomes possible.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나열형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에 추가한 후에도 손쉽게 나열형 매트릭스의 행 수와 열 수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easily change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of an enumerated matrix even after adding image data to a template of an enumerated matri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601),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602), 매트릭스 조정부(603), 탭 선택부(6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6A and 6B,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n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601,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602, a matrix adjuster 603, a tab selector 604, and the like.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601)는 도 4 및 도 5의 그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을 줄인다.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601 reduces the detailed description as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FIGS. 4 and 5.

또한,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601)를 통해 추가되는 화상 데이터들은 그대로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602)의 프레임에 동시에 추가된다는 것에 대해서도 앞서 언급된 바 있다.In addition, it has been mentioned above that the image data added through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601 is simultaneously added to the frame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602 as it is.

한편, 매트릭스 조정부(603)에서 가로 5행, 세로 4열의 매트릭스를 선택하고, 탭 선택부(604)에서 "나열" 탭을 선택하면 5x4로 흐트러지게 배열된 나열형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이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602)에 제공되며, 이와 같은 나열형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에 포함된 각 프레임에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다. 이 때, 사용자는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조정부(603)에 포함된 행 수 및 열 수 선택 버튼을 원하는대로 선택함으로써(예를 들면 도 6b에서와 같이 3x2로 클릭함으로써), 프레임에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른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화상 데이터의 배열을 재편할 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trix adjustment unit 603 selects a matrix of 5 rows and 4 columns, and selects the “rows” tab in the tab selector 604, a template of a matrix form arranged in a distorted manner by 5 × 4 is displayed. Provided at 602, image data is added to each frame included in the template in the form of such a matrix. 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selection buttons included in the matrix adjusting unit 603 using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as desired (e.g., clicks 3x2 as shown in FIG. 6B) to the frame. Although the image data is ad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rangement of the image data can be rearranged in a matrix of completely different rows and columns.

즉, 사용자는 컨텐츠를 구성할 화상 데이터가 6개 밖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도 6a와 같이 많은 수의 프레임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을 선택하여 화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간단히 매트릭스 조정부(603)를 이용하여 도 6b에서와 같이 6개의 화상 데이터에 꼭 맞는 행과 열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로 손쉽게 컨텐츠의 형태를 바꿀 수 있으며, 이는 FLASH 프로그래밍 및/또는 AJAX 프로그래밍 기법과 같은 공지의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나열형 매트릭스 형태뿐만아니라 정렬형 매트릭스 형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겠으며, 나열형 매트릭스의 경우에는 프레임의 기울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프레임에 대해서만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하겠다.That is, if the user is generating content by adding image data by selecting a template having a large number of frames as shown in FIG. 6A even though there are only six image data to compose the content, the user may simply The adjustment unit 603 can easily change the content of the content into a matrix form having rows and columns that fit six image data as shown in FIG. 6B, which is known programming such as FLASH programming and / or AJAX programming technique. It may be implemented by a technique. Meanwhile, the user interface of FIG. 6 may be applied to not only an enumerated matrix type but also an ordered matrix type. In the case of the enumerated matrix,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may be set differently or the inclination may be changed only for a specific frame selected by the user. Of course, it can be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may be.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 기술인 도 2b에서와는 달리 매트릭스 형태의 템플릿에 화상 데이터를 추가한 후에도 다양한 행과 열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로 손쉽게 변환시켜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느낌의 컨텐츠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unlike in the related art of FIG. 2B, even after adding image data to a matrix type template, the user can easily convert the content into a matrix shape having various rows and columns to easily generate contents of various feelings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 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템플릿의 각 영역에 배치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A and 1B illustrate a process of generating content by arranging image data in each area of a template in the prior art.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정렬형 또는 나열형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A and FIG.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for generating content using an ordered or arranged template in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쉽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makes it easy to create content by adding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템플릿의 각 영역에 배치된 화상 데이터의 배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easily change the arrangement of image data arranged in each area of the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템플릿의 특정 영역에 추가한 후에도 손쉽게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easily change the size of a specific area even after adding image data to a specific area of a tem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매트릭스형으로 배열한 후에도 손쉽게 매트릭스의 행 수 및 열 수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easily change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of a matrix even after image data is arranged in a matri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user terminal device

300: 서비스 서버300: service server

310: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interface provider

320: 컨텐츠 생성부320: content generation unit

321: 화상 데이터 저장부321: image data storage unit

322: 화상 데이터 변환부322: image data conversion unit

323: 표시정보 관리부323: displa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컨텐츠 조회부330: content inquiry unit

340: 제어부340: control unit

350: 통신부350: communication unit

360: 화상정보 데이터베이스360: image information database

Claims (21)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or modifying content including image data to a user, (a)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프레임에 표시하도록 하는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를 단말 장치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a) displaying an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terminal device to display the image data in each frame in the order selected by the user; and (b)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과 연동 관계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를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b) displaying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including a template including a frame having a linkage relationship with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on one sid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a position of the image data inserted into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the position of each image data can be moved while the image data is arranged in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에 배치된 상태 에서 각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드래그앤드랍 방식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the position of each image data can be moved by a drag and drop method in a state where the image data is arranged in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상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의 프레임에 배치된 화상 데이터의 위치도 상기 연동 관계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When the position of each image data is moved while the image data is arranged in the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the position of the image data arranged in the frame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is also moved according to the linkage relationship. To provide a user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과 상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의 프레임에는 각각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a unique numb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and the frame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 중 특정 고유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에 특정 화상 데이터가 추가되면, 상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의 프레임 중 상기 특정 고유 번호와 동일한 고유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에도 상기 특정 화상 데이터가 동시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When specific image data is added to a frame having a specific unique number among the frames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the specific image data is simultaneously added to a frame having the same unique number as the specific unique number among the frames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 중 제1 고유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에 추가된 화상 데이터를 제2 고유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의 프레임 중 상기 제1 고유 번호와 동일한 고유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에 존재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고유 번호와 동일한 고유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When the image data added to the frame having the first unique number among the frames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is moved to the frame having the second unique number, the same unique number as the first unique number among the frames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is displayed. And moving the image data present in the frame having the same unique number as the second unique num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화상 데이터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드래그앤드랍 방식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the image data is moved by a pointing device using a drag-and-drop method or the lik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드래그앤드랍 방식은 FLASH 프로그래밍 및/또는 AJAX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The drag and drop method is implemented by a FLASH programming and / or AJAX programm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상 데이터 목록 표시부의 프레임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a thumbnail of the image data is displayed on a frame of the image data list display unit.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or modifying content including image data to a user, (a) 복수 프레임이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되는 템플릿을 표시하는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를 단말 장치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a) displaying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tem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provided in a matrix form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erminal device; (b)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되는 단계, 및(b) adding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frame, and (c) 상기 화상 데이터가 추가된 프레임이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c) enlarging or reducing the frame to which the image data is added by a point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형태는 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in which the frame is enlarged or reduced in the step (c) has a rectangular shap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c) 단계는 FLASH 프로그래밍 및/또는 AJAX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Step (c) is implemented by the FLASH programming and / or AJAX programming techniqu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c) 단계에서 포인팅 디바이스는 마우스, 키패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총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ointing device in the step (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se, keypad or the like generically.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or modifying content including image data to a user, (a)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표시하는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를 단말 장치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a) displaying a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template consisting of frames arranged in a matrix form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erminal device; (b)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되는 단계, 및(b) adding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frame, and (c)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된 상태에서도 상기 매트릭스의 행 수 및 열 수를 수정할 수 있는 매트릭스 변동부를 상기 컨텐츠 생성 과정 표시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c) displaying, on one side of the content generation process display unit, a matrix variation unit capable of modifying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of the matrix even when the image data is added to the fram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매트릭스는 가지런히 정돈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정렬형 매트릭스 및 흐트러지게 배열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나열형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wherein said matrix comprises an ordered matrix comprising neatly arranged frames and an enumerated matrix comprising unordered frames.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나열형 매트릭스에 포함된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nclination of the frames included in the enumerated matrix may vary.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기울기의 변화는 상기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전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The change in the slope is applied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frame specified by the user or all of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기울기의 변화가 상기 프레임 전부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중 일부의 프레임에 적용되는 기울기는 다른 일부의 프레임에 적용되는 기울기와 다른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when the change of the slope is applied to all of the frames, the slope applied to some of the frames has a different value from the slope applied to other frames.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매트릭스에 관련된 변경 프로세스는 FLASH 프로그래밍 및/또는 AJAX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wherein the modifying process associated with the matrix is implemented by FLASH programming and / or AJAX programming techniques.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KR1020070068276A 2007-07-06 2007-07-06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KR200900042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276A KR20090004230A (en) 2007-07-06 2007-07-06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276A KR20090004230A (en) 2007-07-06 2007-07-06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30A true KR20090004230A (en) 2009-01-12

Family

ID=4048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276A KR20090004230A (en) 2007-07-06 2007-07-06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23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078A (en) * 2011-11-01 201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thereof
KR101507866B1 (en) * 2010-10-07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same
KR102608077B1 (en) * 2022-10-05 2023-11-30 조영욱 METHOD FOR PROVIDING AI-based WEB PAGE PRODUC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VARIOUS RESOLU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6B1 (en) * 2010-10-07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same
US9715742B2 (en) 2010-10-07 2017-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same
KR20130048078A (en) * 2011-11-01 201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thereof
KR102608077B1 (en) * 2022-10-05 2023-11-30 조영욱 METHOD FOR PROVIDING AI-based WEB PAGE PRODUC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VARIOUS RESOLU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968B2 (en) Enterprise web application constructor system and method
KR1009834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on image-data edited by editing-applications
US9971749B2 (en) Editor for website and website menu
JP48379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axial navigation of a user interface
US8042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virtual tour content using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US20140177978A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storing area selected in image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image file by automatically recording image information
US201101971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information with sharable user interface
JP6223405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2009508227A (en) Browse mode designer
NZ550847A (en) A media packag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uthoring, storing or delivering a media package
US8836704B2 (en) Automatic tree restriction
KR101546725B1 (en) Responsive layouts design method
CN103207918B (en) Animation effect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the device of a kind of PowerPoint
JP2012008686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and program
JP5840722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KR20090004230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diting image-data included in user created contents
CN105095376A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browser local homepage in mobile terminal
US20130205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prise information dissemination
KR101546577B1 (en) Method for managing file in mobile phone, and thereof recording medium
KR20090005814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locking contents-editor with image-uploader
CN117519882A (en) Page layout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and processing equipment
KR20230080034A (en) Computing appartus and method for editing web page in movile environmet
KR2014014686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digital textbook
EP3981138A2 (en) User interface
KR20130123306A (en)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