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281A -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 Google Patents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281A
KR20090002281A KR20070062873A KR20070062873A KR20090002281A KR 20090002281 A KR20090002281 A KR 20090002281A KR 20070062873 A KR20070062873 A KR 20070062873A KR 20070062873 A KR20070062873 A KR 20070062873A KR 20090002281 A KR20090002281 A KR 2009000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ceramic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6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603B1 (ko
Inventor
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스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스트로 filed Critical (주)아스트로
Priority to KR2007006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로 구성된 제 1 층; 방열 부재가 탑재된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로 구성된 제 2 층;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 상에 적층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PCB 패턴이 골드 와이어(gold wir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이 충전되어 있는 제 3 층; 및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로 구성된 제 4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은 형광체의 침전으로 인한 빛의 확산성 및 밝기의 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의 빛을 최대화하고, 이로써 고휘도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칩 아래에서 1차적으로 방열시키고 메탈 PCB 아래에서 2차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LED 수명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트 싱크(heat sink)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열 기능, 조명용 LED 모듈, 메탈 PCB, LED 소자, Ag/세라믹/에폭시, PCB 패턴, 골드 와이어(gold wire), 히트 싱크(heat sink),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 실리콘, 형광체, 고휘도.

Description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WITH ENHANCED HEAT RELEASE FOR LUMIN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관 사출물 2, 7: 메탈 PCB
3: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 4: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
5: 골드 와이어(gold wire) 6: PCB 패턴
8: LED 소자 9, 10: Ag/세라믹/에폭시
본 발명은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 및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형광체의 침전으로 인한 빛의 확산성 및 밝기의 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의 빛을 최대화하고,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 폭시)을 사용하여 LED 칩 아래에서 1차적으로 방열시키고 메탈 PCB 아래에서 2차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LED 수명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트 싱크(heat sink)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 갭(band 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발출하는 일종의 광전자 소자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정보·통신 기기를 비롯한 전자 장치의 표시·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1990년대 중반 이후에 청색 LED가 개발되면서 총천연색 디스플레이(display)가 가능하게 되었다.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은 열손실이 작은 광원으로서 백열구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매우 작아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며, 수명 및 유지 보수 면에서도 우수한 특징을 나타내고, 무(無)수은으로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LED)는 일반 조명등, 건물 장식등, 무드(mood)등, 차량등, 교통 신호등, 실내 및 실외 전광판, 유도등, 경고등, 각종 보안장비용 광원, 살균 또는 소독용 광원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은 형광체의 침전으로 인한 빛의 확산성 및 밝기의 저하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휘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52636호에는 'LED 패키지의 기부(基部)를 열전도성 중합체로 성형함으로써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671240호에는 'LED로부터 발생하는 고열이 열전 모듈 및 열전도체를 통해 알루미늄 방열체로 신속하게 전도되게 하고, 전도된 열은 방열체 자체의 방열은 물론 열전도체로부터 집중된 고열을 방열팬과 방열핀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646198호에는 '메탈 슬러그(metal slug) 위에 열발산 벽면체 또는 방열 흠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전력 LED 칩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670918호에는 '순동(pure Cu)으로 이루어진 넓은 면적의 리드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리드프레임의 저면에 순동으로 이루어진 방열판(heat sink)을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융착하여 줌으로써, LED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 대용량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발생되는 열로 인한 LED 소자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특허문헌들에는 LED 칩의 아래에서의 방열(放熱)과 메탈 PCB 아래에서의 방열(放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에 대한 언급이나 시사하는 바가 전혀 없다.
한편, 대용량의 LED 모듈은 대부분 방열판 내지 히트 싱크(heat sink)가 크고, 방열판 내지 히트 싱크(heat sink)에서의 열적 안정성 개선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LED 칩에 열충격을 주어 광도 저하 현상이 발생하고 궁극적으로는 LED 모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Ag/에폭시는 LED 칩을 고정시키고 LED 칩의 열적 안정성에 기여하지만, 방열 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 및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형광체의 침전으로 인한 빛의 확산성 및 밝기의 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의 빛을 최대화하고,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을 사용하여 LED 칩 아래에서 1차적으로 방열시키고 메탈 PCB 아래에서 2차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LED 수명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트 싱크(heat sink)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로 구성된 제 1 층; 방열 부재가 탑재된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로 구성된 제 2 층;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 상에 적층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PCB 패턴이 골드 와이어(gold wir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이 충전되어 있는 제 3 층; 및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로 구성된 제 4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을 제공한다.
제 1 층 및 제 3 층의 Ag/세라믹/에폭시에 있어서, 은(Ag) 입자의 평균 직경 은 20∼400 nm이고, 상기 세라믹 입자의 평균 직경은 30∼25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입자는 예컨대 알루미나(Al2O3), 탄화규소(SiC) 및 질화알루미늄(Al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열전도성 세라믹 입자이다. 제 1 층의 Ag/세라믹/에폭시는 열전도 계수(K)가 3∼5 W/(m·K)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는 일반적인 PCB에 비하여 방열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LED 칩의 고밀도 집적화, LED 모듈의 소경량화 등의 경향으로 인하여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열을 방열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발광시 수반되는 열로 인한 LED 소자의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메탈 PCB는 방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에 있어서, 제 2 층은 방열 부재가 탑재된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을 구성하는 제 3 층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 상에 적층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PCB 패턴은 골드 와이어(gold wire)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Ag/세라믹/에폭시는 도전성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Ag(은) 입자는 전기전도도와 열 변형 온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에폭시 수지의 변성을 방지시킬 수 있다. Ag/세라믹/에폭시 상에 적층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PCB 패턴이 골드 와이어(gold wir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개별 LED 칩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3 층의 나머지 부분은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로 충전되는데, 이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은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 상에 평탄하고 균질하게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형광체의 침전으로 인한 빛의 확산성 및 밝기의 저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을 구성하는 제 4 층은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비는 0.1:9.9∼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은 백색 광원을 구현함에 있어서 예컨대 질화인듐갈륨(InGaN)계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예컨대 YAG(yttrium aluminium garnet,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계 황색 발광체를 여기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에서 적색(R)/녹색(G)/청색(B) 형광체를 여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각종 형광체의 조합으로 백색광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발광색을 내는 것이 가능하여 조명으로서의 응용 범위가 넓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 상에 LED 소자를 적층한 후 리플로우(reflow) 작업을 하고, 골드 와이어(gold wire) 본딩에 의해 PCB 패턴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개별 LED 칩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시키고,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을 LED 소자 상에 평탄하고 균질하게 도포한 후 열풍 건조한다. 이렇게 형성된 층이 제 3 층이다. 이어서, 제 3 층 상에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열풍 건조하여 제 4 층을 적층시킨다. 이어서, 방열 부재가 탑재된 메탈 PCB(제 2 층)를 셋팅한 후, 그 위에 상기 제 3 층과 제 4 층을 적층하여 일체화한다. 이어서, 메탈 PCB(제 2 층) 아래에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을 도포한다. 그 후, 바니쉬(vanish) 공정, 조립 공정, 성능 테스트 공정, 포장 공정 등을 거쳐 출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은 형광체의 침전으로 인한 빛의 확산성 및 밝기의 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의 빛을 최대화하고, 이로써 고휘도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칩 아래에서 1차적으로 방열시키고 메탈 PCB 아래에서 2차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LED 수명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트 싱크(heat sink)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로 구성된 제 1 층;
    방열 부재가 탑재된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로 구성된 제 2 층;
    에폭시 수지 60∼70 중량%와 은(Ag) 입자 20∼25 중량%와 세락믹 입자 10∼15 중량%의 혼합물(Ag/세라믹/에폭시) 상에 적층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PCB 패턴이 골드 와이어(gold wir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이 충전되어 있는 제 3 층; 및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물로 구성된 제 4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Ag) 입자의 평균 직경은 20∼400 nm이고, 상기 세라믹 입자의 평균 직경은 30∼2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입자는 알루미나(Al2O3), 탄화규소(SiC) 및 질화알루미늄(Al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열전도성 세라믹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Ag/세라믹/에폭시는 열전도 계수(K)가 3∼5 W/(m·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젤 타입의 실리콘계 물질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에 균질하게 도포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과 형광체의 배합비는 0.1:9.9∼2.0:8.0이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이거나 또는 자외선(UV)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KR20070062873A 2007-06-26 2007-06-26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KR10088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2873A KR100889603B1 (ko) 2007-06-26 2007-06-26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2873A KR100889603B1 (ko) 2007-06-26 2007-06-26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281A true KR20090002281A (ko) 2009-01-09
KR100889603B1 KR100889603B1 (ko) 2009-03-20

Family

ID=4048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2873A KR100889603B1 (ko) 2007-06-26 2007-06-26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61B1 (ko) * 2010-07-23 2011-03-28 주식회사 티솔루션 가로등 및 보안등용 led 등기구의 방열구조
KR20160018199A (ko) 2014-08-08 2016-02-17 천광조명 주식회사 융착 방법을 사용한 조명용 엘이디 기판
KR102259559B1 (ko) * 2020-07-09 2021-06-03 (주) 엘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테스트 소켓용 연성회로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411B1 (ko) 2009-05-19 2010-04-0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Led 조명등
KR100963531B1 (ko) 2009-12-21 2010-06-15 (주) 젠텍 방폭용 엘이디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8596A1 (en) * 2003-01-25 2004-08-12 Nam-Young Kim Lamp module with light emitting diode
KR100583160B1 (ko) * 2004-02-16 2006-05-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61B1 (ko) * 2010-07-23 2011-03-28 주식회사 티솔루션 가로등 및 보안등용 led 등기구의 방열구조
KR20160018199A (ko) 2014-08-08 2016-02-17 천광조명 주식회사 융착 방법을 사용한 조명용 엘이디 기판
KR102259559B1 (ko) * 2020-07-09 2021-06-03 (주) 엘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테스트 소켓용 연성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603B1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5006B2 (en) Saturated yellow phosphor converted LED and blue converted red LED
US9217544B2 (en) LED based pedestal-type lighting structure
US7682048B2 (en) Lighting emitting diode lamp
US9055643B2 (en) Solid stat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US20050199899A1 (en) Package array and package unit of flip chip LED
US8783911B2 (en) LED packaging structure having improved thermal dissipation and mechanical strength
US20110175512A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source module having same
JP2009152192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WO2012027871A1 (en) Led package with contrasting face
JP2016171147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WO2005029594A1 (fr) Structure de diode electroluminescente
TWI613391B (zh) 發光二極體組件及應用此發光二極體組件的發光二極體燈泡
JP2007324547A (ja) 発光ダイオード光源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交通信号機
KR101038213B1 (ko) 고휘도 엘이디용 쾌속 방열장치
TW201324736A (zh) 發光裝置
KR100889603B1 (ko)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모듈
JP6169829B2 (ja) 照明装置
JP2008218998A (ja) 発光装置
JP2009010308A (ja) 発光装置
JP2011154844A (ja) 発光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16197957A1 (zh) 一种led灯五金支架
JP2008244468A (ja) 発光装置
KR100873458B1 (ko) 조명용 led 모듈
JP2008244469A (ja) 発光装置
KR100954858B1 (ko) 고휘도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