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894A -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894A
KR20090000894A KR1020070064785A KR20070064785A KR20090000894A KR 20090000894 A KR20090000894 A KR 20090000894A KR 1020070064785 A KR1020070064785 A KR 1020070064785A KR 20070064785 A KR20070064785 A KR 20070064785A KR 20090000894 A KR20090000894 A KR 2009000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rconia
apatite
sintered
composite material
hydroxyapat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정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정관
Priority to KR102007006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894A/ko
Publication of KR2009000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47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phosphates, e.g. hydroxy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n inorganic matrix
    • A61L27/42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n inorganic matrix of phosphorus containing material, e.g. apa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04B35/645Pressure sintering
    • C04B35/6455Hot isostatic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은 공석출법으로 형성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고온 가압소결(HIP)시켜 소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은 공석출 공법에 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 형성할 수 있으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고온 가압소결시킴으로써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의 강도, 탄성율, 경도, 파괴인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도, 탄성율, 경도, 파괴인성이 향상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의료용 복합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zirconia-hydroxyapatite composit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원료용액의 형성방법을 각각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 대한 XRD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 대한 TEM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 대한 TEM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 대한 굽힘강도 시험 후의 파면에 대한 SEM 촬상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 대한 마이크로 비커스 인덴테이션 (Micro Vickers Indentation)에 의한 압흔(indent)을 촬상한 사진.
본 발명은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하게 혼합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고온 가압성형(Hot Isostatic Pressing: HIP)법을 이용하여 강도, 파괴인성을 향상시킨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산화아파타이트 (Hydroxyapatite: HAp)는 인체의 골과 치아를 구성하는 주요 무기질로서 골에는 약 40~70%, 치아에는 약 60~90%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수산화아파타이트는 인체적합성으로 인하여 인공골, 인공치아뿐만 아니라 골시멘트의 주성분으로 응용되기 위해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산화아파타이트는 자체적인 기계적 성질, 즉 강도 및 파괴인성이 낮아 주로 티타늄 금속표면에 코팅되어 이용되거나 이소골 등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 또는 골시멘트에 응용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수산화아파타이트의 생체적합성 및 생체반응성을 이용하고 이의 기계적 성질을 높이기 위하여 이에 이종의 고강도 성분을 첨가한 복합재료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르코니아가 첨가된 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는 지르코니아의 생체안정성 및 고 강도, 고 파괴인성으로 인하여 가장 촉망 받는 의료용 소재이다.
현재까지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는 마이크로 급의 지르코니아 분말과 수산화아파타이트 분말을 혼합하여 이를 성형 및 소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급의 분말 사용으로 소결밀도가 높지 않아 기계적 성질의 향상이 어려우며 또한, 분말입자의 엉김에 의한 불균일한 분말혼합으로 인하여 수산화아파타이트 기지에 지르코니아 상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이용하여 수산화아파타이트 기지에 지르코니아 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고 밀도, 고 강도, 고 파괴인성의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은 공석출법으로 형성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고온 가압소결(HIP)시켜 소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결체의 총중량부 100에 대한 상기 지르코니아 중량부가 5-40w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결체는 상기 지르코니아에 포함된 이트리아의 무게비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결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압소결의 압력이 10-3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소결의 온도는 1000 oC 내지 1200 o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소결의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은 원료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용액을 저어주어 혼합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에이징, 필터링, 세척, 건조하는 공정을 복수번 반복하여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젤을 1000oC에서 1시간 동안 하소시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소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 분말을 볼밀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분말은 칼슘 니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Ca(NO3)2 4H2O), 암모니엄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NH4) H2PO4), 이리늄 니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Y(NO3)34H2O), 지르코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ZrO(NO3)2xH2O)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은 상기 원료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저어주어 이온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용액을 암모니아로 ph 10.4를 유지시켜 이리늄- 지르코니아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분말은 이트늄 니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Y(NO3)34H2O), 지르코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ZrO(NO3)2xH2O)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은 상기 원료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저어주어 이온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용액을 암모니아로 ph 10.4를 유지시켜 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료분말은 칼슘 니트레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Ca(NO3)24H2O), 암모니엄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NH4)H2PO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 결체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하기 위해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마련한다. (S110)
여기서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은 공석출방법으로 균일하게 혼합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얻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참조)
게다가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은 공석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면서 나노 형상(사이즈)의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가압소결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S120)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소정의 형상 및 소결하기 위해서
고온 가압소결(hot isostatic press: HIP)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소결 단계는 1000 oC 내지 1200 oC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50 oC 내지 1150 oC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압소결 단계는 30분 내지 2시간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시간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소결 단계는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물에 10 내지 30 MPa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압소결 단계는 이론밀도에 가까운 치밀한 소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은 표면에너지가 높은 나노 형상(사이즈)이기 때문에 응집하려는 나노분말로 인해 소결체의 치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소결은 혼합물질의 소결온도를 200 oC 내지 300 oC 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물은 1300 oC 내지 1400 oC 에서 소결되는 특징이 있는데 상기 온도에서는 β-TCP 상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β-TCP상은 생체불안정상으로 체내에 매식될 경우 급속하게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에서 β-TCP 상의 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원료용액의 형성방법을 각각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이트륨-지르코니아 용액을 형성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원료분말로 칼슘 니트레이트 디하이드로레이트(Ca(NO3)2 .4H2O)와 암모니엄 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NH4)H2PO4)를 각각 마련한다. (S210)
상기 각 원료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저어주어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저어주어 각 원료분말을 이온화시켜 각각 칼슘(Ca2+)이온용액과 인(P5+)이온용액을 형성한다.(S220)
다음으로 상기 각 이온용액에 암모니아를 혼합시켜 페하 10.4를 유지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S230)
이와 같이, 상기 이온용액들이 서로 반응시켜 Ca-P를 석출시켜 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도 2a에서 설명한 공정으로 원료분말을 이트리아 니트레이트(Y(NO3)2.4H2O)와 지르코늄 옥사이드 리트레이트(Zr(NO3)2xH2O)를 혼합하여 이트리아 지르코늄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르코니아에 포함된 이트리아의 무게비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하 기 위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2개의 원료용액을 마련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S310)
상기 원료용액을 저어주어 혼합하여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S320) 여기서 상기 저어주어 혼합시키는 공정을 1시간동안 실시한다.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을 숙성(ageing)시키는 공정을 17시간동안 실시하게 되면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에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분말이 용액에 침전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정 후에 필터링, 세척 다수번 반복 실시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실시하여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겔을 형성하게 된다. (S330)
상기 건조공정으로 겔 형상의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겔을 1000oC에서 1시간 동안 하소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하소공정으로 응집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를 지르코니아 볼로 밀링공정을 실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균일하면서 나노형상의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르코니아 입자는 이트리아 성분을 10% 포함하고 있으며 15-30 nm 크기이다.
반면에 수산화아파타이트 입자는 50-70 nm 크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 대한 XRD 그래 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XRD(X-ray diffraction: Rigaku Ulitma 2000)을 사용하여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의 상(phase)특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XRD의 타겟은 구리타겟을 사용하였으며, 35KV 30mA으로 2θ 스캔은 0.05도로 20도 에서 55도 까지 스캔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a)는 수산화아파타이트를 특성을 조사한 것이고 (b)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a)에서는 TCP상이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b)의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서는 수산화아파타이트 결정상과 지르코니아 결정상이 주된 결정상으로 분석되었으며 미량의 β-TCP 상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 대한 TEM 사진이다.
상기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JEM40101, JEOL)을 사용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서 지르코니아 입자는 이트리아 성분을 10% 포함하고 있으며 15-30 nm 크기이다.
반면에 수산화아파타이트 입자는 50-70 nm 크기이다.
상대적으로 커다란 수산화아파타이트 나노입자 표면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지르코니아 입자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 5에 삽입된 이미지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물의 결정성을 나타내는 선택영역전자회절(SAED: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사진이다.
상기한 삽입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은 결정성이 높은 지르코니아와 수산화아파타이트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 대한 TEM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 가압 및 1100oC 온도를 제공하는 가압소결을 실시하여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는 20-40 nm 크기의 지르코니아 결정상과 50-80 nm 크기의 수산화아파타이트 결정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 대한 굽힘강도 시험 후의 파면에 대한 SEM 촬상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에 가압 및 1100 oC 온도를 제공하는 가압소결을 실시하여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의 낮은 기공률은 소결밀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파면에 나타나는 기복은 파괴인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에 대한 마 이크로 비커스 인덴테이션 (Micro Vickers Indentation)에 의한 압흔(indent)을 촬상한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는 피라미드 형상의 압흔 모서리에서 발생한 반경 크랙(radial crack)의 크기가 작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지르코니아 첨가로 수산화아파타이트의 파괴인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의 물성과 수산화아파타이트 물성특성을 비교한 데이터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와 종래의 수산화아파타이트를 공석출법을 이용하여 동일 조건에서 가압소결 하였다.
Figure 112007047485447-PAT00001
여기서 각 샘플과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의 샘플이 순수 수산화아파타이트 샘플에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의 강도, 탄성율, 경도, 파괴인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은 공석출 공법에 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 형성할 수 있으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가압소결시킴으로써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의 강도, 탄성율, 경도, 파괴인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도, 탄성율, 경도, 파괴인성이 향상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를 의료용 복합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공석출법으로 형성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고온 가압소결(HIP)시켜 소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의 총중량부 100에 대한 상기 지르코니아 중량부가 5-40w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는 상기 지르코니아에 포함된 이트리아의 무게비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압소결의 압력이 10-3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소결의 온도는 1000 oC 내지 1200 o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소결의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은
    원료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용액을 저어주어 혼합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에이징, 필터링, 세척, 건조하는 공정을 복수번 반복하여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젤을 800 oC 내지 1000 oC에서 1시간 동안 하소시켜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소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혼합분말을 볼밀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분말은 칼슘 니트레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Ca(NO3)24H2O), 암모니엄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NH4)H2PO4), 이트륨 니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Y(NO3)34H2O), 지르코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ZrO(NO3)2xH2O)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은
    상기 원료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저어주어 이온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용액을 암모니아로 ph 10.4를 유지시켜 이트륨- 지르코니아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분말은 이트륨 니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Y(NO3)34H2O), 지르코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ZrO(NO3)2xH2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은
    상기 원료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저어주어 이온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용액을 암모니아로 ph 10.4를 유지시켜 수산화아파타이트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분말은 칼슘 니트레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Ca(NO3)24H2O), 암모니엄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NH4)H2P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제조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KR1020070064785A 2007-06-28 2007-06-28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KR20090000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85A KR20090000894A (ko) 2007-06-28 2007-06-28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85A KR20090000894A (ko) 2007-06-28 2007-06-28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894A true KR20090000894A (ko) 2009-01-08

Family

ID=4048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785A KR20090000894A (ko) 2007-06-28 2007-06-28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1390A1 (de) 2012-07-01 2014-0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nthetisches knochenersatz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1390A1 (de) 2012-07-01 2014-0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nthetisches knochenersatz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2682137A2 (de) 2012-07-01 2014-01-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nthetisches Knochenersatz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douri et al. Thermal behavior, sintering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multiple ion-substituted hydroxyapatite bioceramics
EP2058014A1 (en) Composite artificial bone
CN110114309B (zh) 含有针状羟基磷灰石的复合材料成型体的制造方法和复合材料成型体
Poinern et al.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 porous ceramic derived from a 30 nm sized particle based powder of hydroxyapatite for potential hard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Qian et al. Fabrication of Ti/HA composite and functionally graded implant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Inthong et al. Physical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nanocrystalline hydroxyapatite synthesized by a co-precipitation route
Somers et al. Fabrication of doped β-tricalcium phosphate bioceramics by Direct Ink Writing for bone repair applications
Nayak et al. Pressureless sintering of dense hydroxyapatite–zirconia composites
Balbuena et al. Sintering parameters study of a biphasic calcium phosphate bioceramic synthesized by alcoholic sol-gel technique
Pazarlıoglu et al. Sintering effect on the microstructural, mechanical, and in vitro bioactivity properties of a commercially synthetic hydroxyapatite
Somers et al. Mg2+, Sr2+, Ag+, and Cu2+ co‐doped β‐tricalcium phosphate: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Sarkar et al. Preparation of ex-situ mixed sinter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ceramics from its Co-precipitated precursors and their characterization
KR20090000894A (ko) 지르코니아-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재료 소결체 및 그제조방법
Li et al. Preparation of hydroxyapatite ceramics by hydrothermal hot-pressing method at 300 C
KR100501674B1 (ko) 공석출법을 이용한 수산화아파타이트 복합나노분말의제조방법
RU274191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совместимой пористой керамики на основе диоксида циркония для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я
Inthong et al. Phase, mechanical and bioactivity properties of hydroxyapatite-calcium titanate composite
Marahat et al. Effect of magnesium ion (Mg2+) substitution and calcination to the properties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Jain Processing of hydroxyapatite by biomimetic process
CN105174960A (zh) 碳纳米管/氟代羟基磷灰石生物复合陶瓷材料的制备方法
CN106904954B (zh) 一种具有生物活性的陶瓷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SPǍTARU et al. Rheology of tricalcium phosphate (β-tcp) suspensions
Alymov et al. Specific features of the densification of hydroxyapatite nanopowders upon pressing
Gunawan et al. Development of triphasic calcium phosphate–carbon nanotubes (HA/TCP-CNT) composite: A preliminary study
KR100875197B1 (ko) 치아를 이용한 인산칼슘계 생체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