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510A -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510A
KR20080114510A KR1020080051496A KR20080051496A KR20080114510A KR 20080114510 A KR20080114510 A KR 20080114510A KR 1020080051496 A KR1020080051496 A KR 1020080051496A KR 20080051496 A KR20080051496 A KR 20080051496A KR 20080114510 A KR20080114510 A KR 20080114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rear wheel
front wheel
torsion spring
wheel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키 이시바시
요시오 스이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66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004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6674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08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08011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4Stunt-cars, e.g. lifting front wheels, roll-over or invertible c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Landscapes

  • Toy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완구를 제공한다.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 사이에, 전륜(20, 20)과 후륜(30, 30)을 접지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43)이 설치된다.
전륜용 차축, 전륜용 섀시, 후륜용 차축, 후륜용 섀시, 회전축, 전륜, 후륜, 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무선 컨트롤러, 수신장치, 구동 장치, 제어부.

Description

자동차 완구{AUTOMOBILE TOY}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무선으로 조작하는 자동차 완구는, 요철 노면을 주행할 때 전륜을 통하여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현가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현가 장치는, 섀시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전륜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륜을 각각 1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섀시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행시에 있어서 전륜을 통하여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완화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동차 완구에서, 전륜 차축 및 후륜 차축을 지지하는 섀시의 하면은 평평하며, 이러한 평평한 섀시에 차체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4-32937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04-329372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현가 장치로서, 섀시에 좌우의 차륜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켜, 각각의 차륜을 1개의 압축 스프링으로 섀시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구조이므로, 현가 장치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륜용 차축을 지지하는 전륜용 섀시, 및 후륜용 차축을 지지하는 후륜용 섀시를 구비한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 사이에, 전륜과 후륜을 접지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의 연결부의 섀시 측면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1개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는, 회전에 의해, 전륜 및 후륜을 상기 전륜용 섀시 및 상기 후륜용 섀시의 하면 측에서 근접시키는 굴곡 상태, 및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을 상기 전륜용 섀시 및 상기 후륜용 섀시의 하면 측에서 이격시키는 신장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 사이에 설치되고, 통상적인 상태에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전륜용 섀시에 래칭되며, 타단은 상기 후륜용 섀시에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는 차폭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 완구로서,
무선 컨트롤러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차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륜용 섀시와 후륜용 섀시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전륜용 섀시와 후륜용 섀시 사이에, 전륜과 후륜을 접지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스프링이 완충기로서 작용하고, 주행시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이로써, 차륜 또는 차축 각각의 현가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므로, 완충기로서의 상기 스프링은 1개만으로도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비틀림 스프링은, 전륜용 섀시와 후륜용 섀시의 연결부의 섀시 측면 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이, 스티어링 기구나 모터 등을 설치하는 섀시 내의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 자체의 장착이 용이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비틀림 스프링은 1개의 위치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현가 장치를 복수 개의 위치에 구비한 것에 비해 섀시 내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또 비틀림 스프링 자체의 장착이 더 용이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륜용 섀시와 후륜용 섀시는, 회전에 의해 굴곡 상태와 신장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프링은, 통상적인 상태에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므로, 상기 스프링은 전륜 및 후륜이 접지하는 방향으로 양쪽 섀시를 가압하여, 기복이 큰 노면을 달리는 경우에도 전륜 및 후륜의 강한 접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 한, 차체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며, 일단이 전륜용 섀시에 래칭되고, 타단이 후륜용 섀시에 래칭되도록 회전축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완충기로서의 상기 스프링은, 1개만으로 충분히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섀시 내측에 다른 부품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륜용 섀시와 후륜용 섀시가 차폭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쪽 섀시가 이러한 연결 부분에서 서로 비틀리는 것을 억제하고, 회전축의 회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예에서의 도로가 아닌 곳에서 사용하기 위한 리모콘 완구(1)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리모콘 완구(1)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완구(2), 및 이러한 자동차 완구(2)를 무선으로 조작하는 리모콘(3)으로 이루어지고, 평지뿐 아니라 자갈이나 흙 등의 비포장 노면에서 자동차 완구(2)를 주행시키면서 놀 수 있는 완구이다.
도 2 및 도 3에, 자동차 완구(2)로부터 차체(11)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자동차 완구(2)는, 좌우의 전륜(20, 20)을 연결하는 전륜용 차축(21)이 축지지되는 전륜용 섀시(22), 및 좌우의 후륜(30, 30)을 연결하는 후륜용 차축(31)이 축지지되는 후륜용 섀시(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는, 양쪽 측면의 2개의 위치에 설치된 연결부(40)에 의해 양쪽 차축의 중간부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양쪽 차축의 중간부」는, 섀시의 전후방향에서 전륜용 차축(21)과 후륜용 차축(31) 사이의 위치를 의미한다.
전륜용 섀시(22)는, 전륜용 차축(21)과 연결부(40) 사이에 수납 공간을 가지고, 이러한 수납 공간에, 리모콘(3)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50), 수신한 무선 신호에 의해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1), 및 제어부(51)으로부터의 지령으로 전륜을 조타하는 스티어링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51)와 수납 공간 저면 사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된다. 이러한 전륜용 섀시(22)에 차체(11)가 래칭된다.
후륜용 섀시(32)는, 후륜용 차축(31)을 통하여 후륜(30, 30)을 구동하는 모터(53)를 구비한다. 모터(53)는, 전륜용 섀시(22)에 설치된 제어부(51) 및 도시하지 않은 전지로부터, 연결부(40)를 통하여 구동 지령 및 전력을 공급받는다.
2개의 위치에 있는 연결부(40, 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연결된다. 이러한 2개의 위치에 있는 연결부(40, 40)는 서로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양쪽 섀시가 이러한 연결부(40, 40)에서 비틀리는 것이 억제되어, 회전축(44)의 회전을 안정시킨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부(40)에서의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의 회전 범위는 A 스톱퍼면(41, 41) 및 B 스톱퍼면(42, 42)에 의해 규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40)의 하부 근처의 전륜용 섀시(22) 측과 후륜용 섀시(32) 측에 각각 A 스톱퍼면(41, 41)이 형성된다. 이러한 A 스톱퍼 면(41, 41)은,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연결부(40)가 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연결부(40)의 상부 근처의 전륜용 섀시(22) 측과 후륜용 섀시(32) 측에, 각각 B 스톱퍼면(42, 42)이 형성된다. 이러한 B 스톱퍼면(42, 42)은,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연결부(40)가 노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한다.
A 스톱퍼면(41, 41)의 접촉 위치는, 양쪽 섀시의 경사가 도로가 아닌 곳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로서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고, B 스톱퍼면(42, 42)의 접촉 위치는, 섀시 저면이 노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연결부(40)의 한쪽(도 2에서 아래쪽, 도 3에서 앞쪽)에, 비틀림 스프링(43)이 설치된다.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43)은 섀시의 한쪽에서 회전축(44)에 감길 수 있고, 그 일단은 전륜용 섀시(22)에 래칭되고, 타단은 후륜용 섀시(32)에 래칭된다.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43)은 섀시의 측면의 1개의 위치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섀시의 측면의 1개의 위치에만 비틀림 스프링(43)을 설치하면, 섀시 내측에 다른 부품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43) 자체의 장착도 용이하다.
비틀림 스프링(43)은, 통상적인 상태에서, 연결부(40, 40)가 수평 노면 상에서 양쪽 차축에 대하여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 즉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섀시가 굴곡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전륜용 섀시(22) 및 후륜용 섀시(32)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43)은, 자동차 완구(2)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기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자 동차 완구(2)는 복잡한 현가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43)은 통상적인 상태에서, 양쪽 섀시가 굴곡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양쪽 섀시를 가압하므로, 자동차 완구(2)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43)은 전륜용 섀시(22) 및 후륜용 섀시(32)에 대하여, 전륜(20, 20)과 후륜(30, 30)을 접지시키는 방향, 즉 양쪽 섀시를 굴곡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면 되고, 통상적 상태에서 양쪽 섀시를 굴곡 상태로 하거나,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40)는, 차체(11)가 전륜용 섀시(22)에 고정되므로, 상기 차체(11)의 회전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차체(11)를 전륜용 차체와 후륜용 차체로 분할하여, 섀시와 마찬가지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두고, 이러한 전륜용 차체와 후륜용 차체를, 연결부(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에 각각 고정해도 된다.
또한, 연결부(40)에서, 통상적인 상태(도 3의 (a))에서 양쪽 섀시가 위쪽을 향해 연결되고, 전륜용 섀시(22)에 고정되는 차체(11)의 후륜 측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므로, B 스톱퍼면(42, 42)이 맞닿는 상태(도 3의 (b))에서 차체(11)의 후륜부의 펜더(fender)(12)(도 4 참조)와 후륜(30)이 접촉하지 않도록 틈새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모콘 완구(1)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리모콘 완구(1)는, 리모콘(3)을 조작함으로써 자동차 완구(2)를 마음대로 주 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리모콘(3)으로부터는 조작에 따라 무선 신호가 발신되고, 이러한 무선 신호가 자동차 완구(2)의 수신장치(50)에서 수신된다. 그 무선 신호를 받은 제어부(5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스티어링 서보(52) 또는 모터(53) 등이 조타 동작 또는 후륜(30)의 구동 동작 등을 함으로써, 자동차 완구(2)를 리모콘(3)의 조작대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요철 노면 주행시에 있어서의 자동차 완구(2)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볼록부를 가지는 노면의 주행시의 자동차 완구(2)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자동차 완구(2)가 볼록부를 가지는 노면을 주행할 때는, 먼저, 전륜(20, 20)이 볼록부를 넘는다. 이때, 양쪽 섀시가 통상적인 상태에서 굴곡 상태로 되도록 비틀림 스프링(43)에 의해 가압되므로, 전륜(20, 20)은 접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강한 접지력(grip force)으로 볼록부를 넘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완구(2)에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지만, 비틀림 스프링(43)이 완충기로서 작용하여,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완구(2)에 대한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펜더(12)와 후륜(30, 30)의 틈새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완구(2)가 상하로 진동할 때에도, 양자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가 볼록부를 넘는다. 이때,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가, 전륜 및 후륜의 차축 사이에서 노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쪽으로 굴곡되어, 즉 오목부를 형성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노면의 볼록부와 양쪽 섀시의 저면부가 접촉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륜(30, 30)이 볼록부를 넘는다. 이때, 양쪽 섀시가 통상적인 상태에서 굴곡 상태로 되도록 비틀림 스프링(43)에 의해 가압되므로 후륜(30, 30)은 접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강한 접지력으로 볼록부를 넘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완구(2)에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지만, 비틀림 스프링(43)이 완충기로서 작용하여,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완구(2)에 대한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펜더(12)와 후륜(30)의 틈새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완구(2)가 상하로 진동할 때에도, 양자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완구(1)에 의하면, 비틀림 스프링(43)이 완충기로서 작용하여, 자동차 완구(2)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므로, 차륜 또는 차축 각각의 현가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43)은 섀시 측면 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43)이, 다른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섀시 내의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고, 또한 비틀림 스프링(43) 자체의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43)은 1개의 위치에만 설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현가 장치를 복수 개의 위치에 구비한 것에 비해 섀시 내의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고, 또 비틀림 스프링(43) 자체의 장착이 더 용이하다.
또한, 전륜 및 후륜(20, 30)은, 접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기복 이 큰 노면에 대해서도 강한 접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섀시는 통상적인 상태에서 굴곡 상태로 유지되므로, 자동차 완구(2)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43)은 1개만으로도 완충기로서 차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섀시 내측에 다른 부품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륜용 섀시(22)와 후륜용 섀시(32)를 연결하는 2개의 위치에 있는 연결부(40, 40)는 서로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양쪽 섀시가 이러한 연결부(40, 40)에서 비틀리는 것이 억제되어, 회전축(44)의 회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리모콘 완구의 외관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완구로부터 차체를 분리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완구로부터 차체를 분리한 상태의 A 스토퍼 접촉 시의 측면도이며, (b)는 B 스토퍼 접촉 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완구가 볼록부가 있는 노면을 주행할 때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자동차 완구 3: 리모콘(무선 컨트롤러)
20: 전륜 21: 전륜용 차축
22: 전륜용 섀시 30: 후륜
31: 후륜용 차축 32: 후륜용 섀시
40: 연결부 43: 비틀림 스프링
44: 회전축 50: 수신장치
51: 제어부 53: 모터(구동 장치)

Claims (8)

  1. 전륜용 차축을 지지하는 전륜용 섀시, 및 후륜용 차축을 지지하는 후륜용 섀시를 구비한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 사이에, 전륜과 후륜을 접지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의 연결부의 섀시 측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1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을 상기 전륜용 섀시 및 상기 후륜용 섀시의 하면 측에서 근접시키는 굴곡 상태, 및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을 상기 전륜용 섀시 및 상기 후륜용 섀시의 하면 측에서 이격시키는 신장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 사이에 설치되고, 통상적인 상태에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전륜용 섀시에 래칭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후륜용 섀시에 래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용 섀시와 상기 후륜용 섀시는 차폭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컨트롤러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차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완구.
KR1020080051496A 2007-06-25 2008-06-02 자동차 완구 KR20080114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66745 2007-06-25
JP2007166743A JP2009000441A (ja) 2007-06-25 2007-06-25 自動車玩具
JP2007166745A JP5060843B2 (ja) 2007-06-25 2007-06-25 自動車玩具
JPJP-P-2007-00166743 2007-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10A true KR20080114510A (ko) 2008-12-31

Family

ID=3971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96A KR20080114510A (ko) 2007-06-25 2008-06-02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7739B2 (ko)
EP (1) EP2008699B1 (ko)
KR (1) KR20080114510A (ko)
AT (1) ATE484325T1 (ko)
DE (1) DE602008002960D1 (ko)
TW (1) TW2009161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3088A (ja) * 2010-01-15 2011-07-28 Tomy Co Ltd 自動車玩具
US8517790B2 (en) * 2010-02-25 2013-08-27 Rehco, Llc Transforming and spinning toy vehicle and game
US8764511B2 (en) 2011-04-29 2014-07-01 Mattel, Inc. Toy vehicle
US9375649B2 (en) * 2014-08-05 2016-06-28 Mattel, Inc. Toy vehicle
US10688404B2 (en) 2017-02-15 2020-06-23 Mattel, Inc. Remotely controlled toy vehicle
USD940254S1 (en) * 2020-06-29 2022-01-04 Ruichun Lin Toy ca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0345Y1 (ko) 1965-08-10 1970-05-13
JPS4325303Y1 (ko) 1966-05-19 1968-10-23
JPH0319408Y2 (ko) * 1985-10-19 1991-04-24
US4674585A (en) 1985-12-27 1987-06-23 Gordon Barlow Design Articulated unit vehicle
US4696655A (en) * 1986-08-15 1987-09-29 Andrade Bruce M D Toy vehicle with adjustable suspension system
JP3469630B2 (ja) 1994-05-25 2003-11-25 株式会社ニッコー 走行玩具
US5676585A (en) * 1995-07-12 1997-10-14 The Smalltime Toy Company, Inc. Toy vehicle having a hinged chassis
WO1999054014A1 (fr) * 1998-04-23 1999-10-28 Nikko Co., Ltd. Jouet a roues
US6095891A (en) * 1998-11-18 2000-08-01 Bang Zoom Design, Ltd. Remote control toy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US6234866B1 (en) * 1998-12-11 2001-05-22 Eliyahu Ben-Yakar Toy vehicle
US6565412B1 (en) * 2000-10-18 2003-05-20 Craft House Corporation Hood and trunk lid lifting mechanism for model car
EP1202168A3 (en) 2000-10-30 2006-08-2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veryfying the compatibility of a user interface resource
US6394878B1 (en) * 2000-11-29 2002-05-28 Kingstar/Neo Co., Ltd.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remotely controllable toy rally car
US6620023B2 (en) * 2001-07-27 2003-09-16 Radio Shack, Corp. Model car with tilt and lift suspension
US6648722B2 (en) * 2001-10-26 2003-11-18 The Obb, Llc Three wheeled wireless controlled toy stunt vehicle
WO2003101569A1 (en) * 2002-05-31 2003-12-11 Mattel, Inc. sPRING-DRIVEN TOY VEHICLE
US6767272B2 (en) * 2002-09-23 2004-07-27 Craft House Corporation Hopping mechanism for model car
US7335084B2 (en) * 2002-12-19 2008-02-26 Nikko Co., Ltd. Traveling toy and suspension of traveling toy
US6758719B1 (en) * 2003-03-03 2004-07-06 Rudy Nava Radio controlled vehicle with a system for selectively lifting portions of the vehicle frame
US6793555B1 (en) * 2003-03-17 2004-09-21 Neil Tilbor Toy vehicle with dynamic transformation capability
JP4344535B2 (ja) 2003-05-01 2009-10-14 京商株式会社 自動車玩具の後輪側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325303B2 (ja) 2003-07-29 2009-09-02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8699B1 (en) 2010-10-13
US8267739B2 (en) 2012-09-18
TW200916174A (en) 2009-04-16
EP2008699A1 (en) 2008-12-31
DE602008002960D1 (de) 2010-11-25
ATE484325T1 (de) 2010-10-15
US20080318491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6235B2 (en) Suspension device for in-wheel motor driven wheel
KR20080114510A (ko) 자동차 완구
JP2005178410A (ja) ハイマウント型ダブルウイッシュボーン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940314B2 (ja) 自動車玩具
KR20100052876A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KR100667431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용 래터럴링크
JP2021088337A (ja) 車両用懸架装置
JP5060843B2 (ja) 自動車玩具
CN209870097U (zh) 电动汽车
JP2009000441A (ja) 自動車玩具
CN1295936A (zh) 稳定器结构
KR10095332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현가장치
JP2007099114A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の取り付け構造
KR100857361B1 (ko) 자동차의 지오메트리 제어장치
CN104015784A (zh) 车辆前轴
CN104786769B (zh) 机动车辆用车轮悬架
KR10098608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0048120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2440604B1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CN211364193U (zh) 一种车辆偏转稳定***及车辆
CN113086038B (zh) 一种避震结构及应用其的悬挂机构以及履带车辆底盘
KR101601047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091679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JP2001278165A (ja) 小型電動車の車輪取付け部構造
KR100962203B1 (ko) 스트럿형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