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415A -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415A
KR20080104415A KR1020070029051A KR20070029051A KR20080104415A KR 20080104415 A KR20080104415 A KR 20080104415A KR 1020070029051 A KR1020070029051 A KR 1020070029051A KR 20070029051 A KR20070029051 A KR 20070029051A KR 20080104415 A KR20080104415 A KR 2008010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data
icon
video
origi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환
Original Assignee
이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환 filed Critical 이병환
Priority to KR102007002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4415A/ko
Publication of KR2008010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사용자가 간단하게 동영상 편집을 수행하도록 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저장하고,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고,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에, 일시 정지한 시간을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고, 템플릿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식별하여 기록하는 단계,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에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기록된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웹에서 동영상을 빠르고 쉽게 편집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 합성

Description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OF EDITING MOVING PICTUR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THE METHOD EMBODIE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매니저(Layer Manager)에서 처리되는 레이어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 표시되는 원본 동영상과 템플릿(Templat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원본 동영상에 템플릿을 마우스 드래그(Mouse Drag)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사용자가 간단하게 동영상 편집을 수행하도 록 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동영상 편집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캠코더 등과 같은 동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톱(Desktop)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 동영상을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가 동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캡쳐(Capture)하여 동영상 파일을 만든다. 이때, DV(Digital Video) 코덱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압축한 것을 AVI(Audio Video Interleaving)라는 동영상 파일 포맷으로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캡쳐된 동영상 파일을 적당한 시간적 길이로 잘라 다수 개의 영상 클립(Clip)을 만든다. 여기서, 영상 클립은 동영상 파일을 임의의 시간적 길이로 자른 각각의 동영상 구간을 의미한다.
그런 후에, 각 영상 클립을 붙이거나, 삭제하거나, 이동시켜 순서를 섞는 등과 같은 단순 편집을 수행하는데, 단순 편집 방식에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크게 타임-라인(Time-line) 방식과 썸네일(Thumbnail) 방식이 있다. 타임라인 방식은 동영상을 시간 축으로 하여 가로축으로 막대 형태로 놓고, 중첩되는 영상들은 세로축으로 겹쳐 놓는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 썸네일 방식은 영상 클립을 하나의 썸네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시간 순서대로 늘어놓은 형태를 취하는데, 카메라 필름을 연상케 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영상 클립의 일부 혹은 전체 구간에 대해 글씨를 삽입하거나, 특수한 영상 효과를 첨가하는 특수 효과 적용을 수행한다. 특수 효과 적용은 자막, 필터 장면 효과의 세 가지 특수 효과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다르게는, 영상 클립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음향 믹싱 기능을 통해 배경 음악, 음향 혹은 음성을 첨가한다. 이때, 음향 믹싱 기능은 타임라인 방식을 따르며, 음향이라는 콘텐츠의 특성과 타임라인 방식의 특성 때문에 영상 편집보다도 훨씬 어렵고 시간이 많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가공된 동영상 파일로 출력해 주는 렌더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렌더링은 특정한 용도에 맞는 적절한 영상 코덱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동영상의 화면 크기(해상도), 화질의 정보, 파일의 예상 용량, 동영상의 활용용도 등 수많은 변수들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며, 활용의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코덱을 사용하고 코덱에 맞는 따른 설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동영상 편집 과정은 업무적 특성상으로 사용자가 동영상 편집에 대한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므로,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을 갖추고 있거나, 전문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들은 각각의 단계별 기능의 이해는 물론이고 전반적인 활용의 단계를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기존의 동영상 편집 기술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매뉴얼을 완전히 습득해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든 사용자가 간단하게 동영상 편 집을 수행하도록 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웹에서 디지털 비디오를 빠르고 쉽게 편집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웹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캡처링(Capturing)에서부터 편집, 최종 프로젝트 출력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비디오 편집 과정 등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며, 일반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자신의 디지털 비디오를 쉽게 편집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원본을 가져오기(Import)를 수행하여 모션이나 필터, 전환 효과를 적용시켜 디지털 비디오 원본을 색다르게 연출하며, 가져오기로 높은 대역폭의 스트리밍 비디오를 제작하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등으로 재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에, 일시 정지한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식별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식된 위치에 상기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록된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원본 동영상 상의 마우스 드래그된 위치를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영상 편집 방법은,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업그레이드 요청 시에, 템플릿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상기 리스트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상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상기 다스플레이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키는 디코더, 상기 로우 데이터를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 별로 정의된 리스트에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원본 동영상의 일시 정지, 템플릿 아이콘의 선택,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을 인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인식된 일시 정지의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인식된 선택 템플릿 아이콘을 기록하고, 상기 인식된 이동 위치에 상기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기, 그리고 상기 템플릿 아이콘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합성기에서 합성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뷰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기는, 상기 인식된 일시 정지의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인식된 선택 템플릿 아이콘을 기록하고, 상기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레이어로 처리하는 레이어 매니저, 그리고 상기 인식된 이동 위치에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레이어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레이어를 압축 합성시키는 압축 매니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는 기능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기능,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에, 일시 정지한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는 기능, 상기 템플릿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식별하여 기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는 기능, 그리고 상기 인식된 위치에 상기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록된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는 기능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 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사용자가 동영상 편집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모션이나 필터, 전환, 자막 넣기, 아이콘 넣기, 저장하기, 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손수 제작하여 저장해 둔 별도의 메모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판독하거나 캠코더 등과 같은 동영상 입력 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동영상 자료에 아이콘, 동영상, 자막, 플래쉬 등과 같은 모든 템플릿(Template)을 추가하고, 사용자가 마우스 드래그(Mouse Drag)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원하는 위치나 시간에 삽입, 삭제, 편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시스템은, 디코더(Decoder)(110), 메모리(120),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3), 합성기(Synthesizer)(140), 뷰어 컨트롤러(View Controller)(150),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한다.
디코더(110)는 편집용 템플릿의 모든 자료(즉, 정지영상(Image), 동영상, 텍스트, 플래쉬 등의 템플릿 데이터)를 각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을 각각 수행하여 로우 데이터(Raw Data)로 생성시켜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이때, 디코더(110)는 편집용 템플릿이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16)의 화면 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편집용 템플릿의 아이콘 정보를 뷰어 컨트롤러(150)로 전달한다. 여기서, 템플릿 데이터는, 각 데이터의 종류(즉, 아이콘(정지영상(Image)), 동영상, 자막, 플래쉬 등)별로 디스플레이(160) 상에 편집용 템플릿으로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템플릿의 아이콘 정보, 각 템플릿의 컨텐츠(Contents) 내용(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플래쉬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템플릿 서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받는다.
메모리(120)는 디코더(110)로부터 입력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각 데이터의 종류 별로 정의된 리스트에 저장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설명의 편의 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키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정보(즉,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다르게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이나 마우스 드래그된 재생경과 표시 바 상의 위치에 해당되는 시간을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정보(즉, 사용자의 일시정지 시간)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템플릿을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정보(즉, 선택된 템플릿)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템플릿의 이동 위치(예를 들어, 마우스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의 드래그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정보(즉, 합성 위치)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합성기(14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을 감지하여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에 해당되는 편집 시작 시간을 별도의 내부 메모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며,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선택된 템플릿을 감지하여 선택된 템플릿을 별도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 그런 후 합성기(14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인가되는 선택된 템플릿의 이동 위치(즉, 합성 위치)를 감지하여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기록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레이어로 처리하여 합성하며, 합성된 동영상 데이터를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또한, 합성기(140)는 레이어 매니저(Layer Manager)(141), 압축 매니저(142)를 포 함한다.
여기서, 레이어 매니저(141)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또는, 일시정지 시간)을 감지하여 원본 동영상의 식별 정보 및 편집 시작 시간을 별도의 내부 메모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며,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선택된 템플릿을 감지하여 합성하고자 하는 템플릿(즉, 선택된 템플릿)을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 그런 후 레이어 매니저(141)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인가되는 선택된 템플릿의 이동 위치(즉, 합성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기본적인 레이어(즉, 레이어 1)로 처리함과 동시에, 기록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를 하위 레이어(예를 들어, 레이어 2, 레이어 3, 레이어 4)로 처리하여 처리된 각 레이어들을 압축 매니저(142)에게 전달한다. 또한, 레이어 매니저(141)는 처리된 각 레이어들의 타입, 삽입 시간과 삭제 시간, 각 레이어들 간의 우선순위(Priority) 관계, 효과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압축 매니저(142)는 레이어 매니저(142)에서 처리된 각 레이어들을 하나의 출력으로 압축시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뷰어 컨트롤러(150)는 디코더(110)로부터 전달되는 템플릿의 아이콘 정보를 각 데이터의 종류 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60)의 화면 창에 표시해 준다.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원하는 장면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시시켜 준다. 다르게는,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시간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원하는 시간에 일시 정지된 원본 동영상을 표시해 준다. 또한,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선택된 템플릿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선택된 템플릿을 표시해 준다. 또한,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인가되는 선택된 템플릿의 이동 위치(예를 들어, 드래그 위치)를 확인하고 합성기(140)로부터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합성 동영상을 표시해 준다.
디스플레이(160)는 뷰어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템플릿의 아이콘, 원본 동영상, 합성 동영상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방법에 대해서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을 통해 템플릿 서버에 접속한 후에, 템플릿 서버로부터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플래쉬 등의 템플릿 데이터(즉, 템플릿의 아이콘 정보와 컨텐츠 내용)를 수신받는다(S311).
이때, 템플릿 서버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 중에서 컨텐츠 내용(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플래쉬 데이터 등)을 각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이에 적합한 디코더(110)를 통과하여 로우 데이터로 생성하게 된다(S312). 또한, 이렇게 생성된 로우 데이터는 각 데이터의 종류 별로 정의된 메모리(120) 내의 리스트에 저장되며(S313), 추후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합성기(140)로 보내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에 텍스트를 디코딩하기에 적합한 디코더를 사용하도록 하며, 데이터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에 동영상을 디코딩하기에 적합한 디코더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과 같이, 각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디코더를 사용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동영상, 아이콘, 자막, 플래쉬 등을 나타내는 템플릿의 아이콘 정보는, 뷰어 컨트롤러(150)에 의해서 각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된다(S314).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되는 템플릿의 아이콘(410)은, 각 데이터의 종류별로 아이콘, 동영상, 자막, 플래쉬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다르게는, 추후에 사용자가 템플릿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 데이터를 업그레이드(Upgrade)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단계 S311에서 S314까지의 과정을 유사하게 반복 수행함으로써, 메모리(120) 내에 저장된 로우 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해 줌과 동시에 다스플레이(160)상에 표시되는 템플릿의 아이콘도 업데이트해 준다.
그런 후에, 뷰어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손수 제작하여 저장해 둔 별도의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거나 캠코더 등과 같은 동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160) 상의 동영상 플레이 창(420)을 통해 재생시키고 있는 도중에(S315),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원하는 장면에서 마우스나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일시정지 명령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키를 인식하여(S316) 해당 인식된 정보(즉,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해 준다.
이에,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원하는 장면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시켜 준다(S317).
이와 동시에, 합성기(140) 내의 레이어 매니저(141)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일시정지 명령을 감지한 경우에,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시킨 시간을 확인하여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별도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S318). 즉, 합성기(140)가 어떤 원본 동영상이 어느 시간에 편집되어야 하는지를 기록함으로써, 추후에 기록된 정보(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의 식별 정보 및 편집 시작 시간)가 최종 합성 동영상을 생성할 때에 사용되도록 한다.
다르게는, 원본 동영상을 재생시키거나, 재생시키지 않거나, 일시정지 중이거나 상관없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편집하고자 원하는 원본 동영상을 선택하고 편집하고자 원하는 시간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편집하고자 원하는 원본 동영상을 선택하고 재생경과 표시 바 상에서 편집하고자 원하는 시간에 해당되는 위치로 마우스 드래그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원본 동영상과, 입력되는 시간이나 마우스 드래그된 재생경 과 표시 바 상의 위치에 해당되는 시간을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정보(즉, 원본 동영상의 식별 정보 및 일시정지 시간)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해 준다.
이에,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원본 동영상의 식별 정보 및 일시정지 시간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원하는 시간에 일시 정지된 원본 동영상을 표시해 준다. 이와 동시에, 합성기(140) 내의 레이어 매니저(141)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원본 동영상의 식별 정보 및 일시정지 시간을 감지하여 원본 동영상의 식별 정보 및 편집 시작 시간으로 별도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고 추후에 이것들이 최종 합성 동영상을 생성할 때에 사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520)과 합성하고자 하는 템플릿의 아이콘(511, 512)을 선택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템플릿을 인식하여(S319) 해당 인식된 정보(즉,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511, 512))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해 준다.
이에,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되는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511, 512)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511, 512)을 다른 템플릿 아이콘과 구별될 수 있도록 짙은 색, 점선 등과 같은 마킹(Marking)으로 표시해 준다(S320).
이와 동시에, 합성기(140) 내의 레이어 매니저(141)는 유저 인터페이스(130) 로부터 전달되는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511, 512)을 감지하여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520)과 합성하고자 하는 템플릿(즉, 선택된 템플릿)을 별도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S321). 즉, 합성기(140)는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520)과 합성하고자 하는 템플릿이 어떤 것인지를 기록하고 해당 기록된 정보가 최종 합성 동영상을 생성할 때에 사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520) 상에서 합성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여(S322) 해당 인식된 정보(즉, 합성 위치)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511, 512)을 드래그하여, 상술한 단계 S317에서 일시 정지시킨 원본 동영상(520) 상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511, 512)을 가져다 놓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되는 드래그된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정보(즉, 합성 위치)를 합성기(140) 및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해 준다.
이에, 합성기(14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인가되는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예를 들어, 드래그 위치)를 감지하여 상술한 단계 S318에서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술한 단계 S321에서 기록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레이어로 처리하고 처리된 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S323) 합성된 동영상 데이터를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합성기(140)는 상술한 단계 S318에서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별도의 메모리나 동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판독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321에서 기록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판독한 후에, 판독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템플릿 데이터 각각을 레이어로 처리하며, 처리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레이어 상의 감지된 위치에 처리된 템플릿 데이터의 레이어를 압축 합성시키며, 압축 합성된 동영상 데이터를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뷰어 컨트롤러(15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인가되는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예를 들어, 드래그 위치)를 확인하고 합성기(140)로부터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합성 동영상을 표시해 준다(S324).
이때, 뷰어 컨트롤러(150)는 향후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MVC(Model View Controller) 구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와의 인터페이스 부분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한다. 이런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 즉 합성기(140)와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로우 데이터를 만들어 놓고 합성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인가되는 선택된 템플릿의 이동 위치(예를 들 어, 드래그 위치)를 감지한 경우에, 합성기(140) 내의 레이어 매니저(141)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기본 레이어로 처리하고 각각 다른 템플릿 데이터들을 하위 레이어로 처리하며, 합성기(140) 내의 압축 매니저(142)는 레이어 매니저(142)에서 처리된 각 레이어들을 하나의 출력으로 압축 합성시켜 합성 동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원본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클립 리스트(Clip List)(즉, 템플릿들)에서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을 마우스 드래그하여 레이어로 추가하면, 레이어 매니저(141)는 이를 감지하여 어떤 템플릿이 어느 시간에 합성되어야 하는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즉, 편집 시작 시간과 템플릿)를 최종 결과로 생성할 때에 이용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레이어 매니저(1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 S318에서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기본적인 레이어(즉, 레이어 1)로 처리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321에서 기록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를 하위 레이어(예를 들어, 레이어 2, 레이어 3, 레이어 4 등)로 처리한다.
또한, 레이어 매니저(141)는 각 레이어들의 타입뿐만 아니라, 삽입 시간과 삭제 시간, 각 레이어들 간의 우선순위 관계, 효과 등에 관한 정보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이어들 간의 우선순위를 동영상 레이어, 이미지 레이어, 텍스트 레이어 순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이미지와 텍스트가 겹쳐지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 겹쳐지는 부분은 이미지 위에 텍스트만 보이도록 레이어가 형성된다.
그런 후에, 압축 매니저(142)는 레이어 매니저(142)에서 처리된 각 레이어들을 하나의 출력으로 압축 합성시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뷰어 컨트롤러(150)에게 전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우스 드래그를 이용하여 템플릿 서버에서 제공하는 모든 템플릿 정보를 원하는 영상의 위치로 편집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동영상을 편집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마우스 드래그를 이용하여 원본 동영상 자료에 템플릿을 원하는 위치나 시간에 삽입, 삭제, 편집 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웹에서 동영상을 빠르고 쉽게 편집할 수 있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에, 일시 정지한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식별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식된 위치에 상기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록된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데이터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 별로 정의된 리스트에 저장되는 동영상 편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업그레이드 요청 시에, 템플릿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상기 리스트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상기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상기 다스플레이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원본 동영상 상의 마우스 드래그된 위치를 인식하는 동영상 편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기록된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템플릿 데이터를 레이어로 처리하는 단 계,
    상기 인식된 위치에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레이어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레이어를 압축 합성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압축 합성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기본 레이어로 처리하고 상기 템플릿 데이터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위 레이어로 처리하는 동영상 편집 방법.
  7.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키는 디코더,
    상기 로우 데이터를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 별로 정의된 리스트에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원본 동영상의 일시 정지, 템플릿 아이콘의 선택,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을 인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인식된 일시 정지의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인식된 선택 템플릿 아이콘을 기록하고, 상기 인식된 이동 위치에 상기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 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기, 그리고
    상기 템플릿 아이콘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합성기에서 합성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뷰어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업그레이드 요청 시에, 템플릿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템플릿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상기 메모리의 리스트에 업데이트하는 동영상 편집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기는,
    상기 인식된 일시 정지의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인식된 선택 템플릿 아이콘을 기록하고, 상기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레이어로 처리하는 레이어 매니저, 그리고
    상기 인식된 이동 위치에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레이어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레이어를 압축 합성시키는 압축 매니저
    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매니저는, 상기 각 레이어의 타입, 삽입 시간과 삭제 시간, 각 레이어 간의 우선순위 관계, 효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동영상 편집 시스템.
  11.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는 기능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받아 로우 데이터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기능,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아이콘을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상기 원본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에, 일시 정지한 시간을 상기 원본 동영상의 편집 시작 시간으로 기록하는 기능,
    상기 템플릿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식별하여 기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을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템플릿 아이콘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는 기능, 그리고
    상기 인식된 위치에 상기 기록된 편집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록된 템플릿 아이콘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합성하는 기능
    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29051A 2007-03-26 2007-03-26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80104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51A KR20080104415A (ko) 2007-03-26 2007-03-26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51A KR20080104415A (ko) 2007-03-26 2007-03-26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415A true KR20080104415A (ko) 2008-12-03

Family

ID=4036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051A KR20080104415A (ko) 2007-03-26 2007-03-26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44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49B1 (ko) * 2011-07-12 2013-03-19 (주)마인스코퍼레이션 실시간 맞춤형 동영상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 장치
WO2017051955A1 (ko) * 2015-09-25 2017-03-30 이정빈 동영상 이펙트 적용 장치 및 방법
KR20180003012A (ko) * 2016-06-30 2018-01-09 전동혁 웹 기반 디지털 콘텐츠 편집 시스템 및 방법
CN114363712A (zh) * 2022-01-13 2022-04-15 深圳迪乐普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模板化编辑的ai数字人视频生成方法、装置及设备
WO2024099280A1 (zh) * 2022-11-07 2024-05-1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49B1 (ko) * 2011-07-12 2013-03-19 (주)마인스코퍼레이션 실시간 맞춤형 동영상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 장치
WO2017051955A1 (ko) * 2015-09-25 2017-03-30 이정빈 동영상 이펙트 적용 장치 및 방법
KR20180003012A (ko) * 2016-06-30 2018-01-09 전동혁 웹 기반 디지털 콘텐츠 편집 시스템 및 방법
CN114363712A (zh) * 2022-01-13 2022-04-15 深圳迪乐普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模板化编辑的ai数字人视频生成方法、装置及设备
CN114363712B (zh) * 2022-01-13 2024-03-19 深圳迪乐普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模板化编辑的ai数字人视频生成方法、装置及设备
WO2024099280A1 (zh) * 2022-11-07 2024-05-1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91627B (zh) 一种视频编辑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US8363058B2 (en) Producing video and audio-photos from a static digital image
US9754625B2 (en) Generation and use of user-selected scenes playlist from distributed digital content
US20070260968A1 (en) Editing system for audiovisual works and corresponding text for television news
US20070067707A1 (en) Synchronous digital annotations of media data stream
US20080034278A1 (en) Integrated interactive multimedia playing system
JP2008141746A (ja) 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82232A (ko) 실시간 비디오 특수 효과 시스템 및 방법
US9812169B2 (en) Operational system and architectural model for improved manipulation of video and time media data from networked time-based media
Brenneis Final Cut Pro 3 for Macintosh
WO2023030270A1 (zh) 音视频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0601260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20080104415A (ko)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20251081A1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US202401468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3711575A (zh) 用于基于表现即时组装视频剪辑的***和方法
JP2001209361A (ja) マルチメディア表示装置
KR100775187B1 (ko) 썸네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4129162B2 (ja) コンテンツ作成実演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実演方法
US11503148B2 (en) Asynchronous short video communication platform based on animated still images and audio
CN113038014A (zh) 应用程序的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100459668B1 (ko) 색인기반 동영상 콘텐츠의 녹화 및 편집 시스템
JP2005167822A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CN110880197A (zh) 信息处理装置、存储介质及信息处理方法
JP2005285076A (ja) 映像情報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