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522A -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incinerating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incinerating food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522A
KR20080101522A KR1020070048737A KR20070048737A KR20080101522A KR 20080101522 A KR20080101522 A KR 20080101522A KR 1020070048737 A KR1020070048737 A KR 1020070048737A KR 20070048737 A KR20070048737 A KR 20070048737A KR 20080101522 A KR20080101522 A KR 2008010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belt conveyor
gas
powder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38347B1 (en
Inventor
김재화
최시영
이재구
Original Assignee
김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화 filed Critical 김재화
Priority to KR102007004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47B1/en
Publication of KR2008010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5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incinerating a food waste is provided to incinerate a dried food waste completely to minimize noxious fume. A food waste is dehydrated in a dehydration unit(10). A drying unit(20) is in one end of a chamber(30). And the drying unit includes the first steam discharge hole(32)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in the chamber is discharged. A burner(46) heats a food waste within the first transfer apparatus(42) in an external tube(44). A transfer and heating unit includes the second stream discharge hole(48)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within the external tube is discharged. A pulverization unit(50) pulverizes the dried food waste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apparatus.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INCINERATING FOOD WASTE}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unit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INCINERATING FOOD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the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의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저온용 및 고온용 버너(84, 85, 86, 87)의 바람직한 예인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의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of an oil co-injection burner which is a preferred example of the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burners 84, 85, 86, 87 of FIG. 2.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도 5는 도 3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기(180)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or 180 of FIG. 3.

도 6은 도 2의 재 침적부(94)에 대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re-deposited portion 94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의 개략도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탈수부 20: 건조부10: dehydration part 20: drying part

40: 이송 및 가열부 50: 분말화부40: conveying and heating part 50: powdered part

70: 투입부 80: 소각부70: inlet 80: incineration

90: 재 제거부90: ash removal uni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서 소각하는 소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ineration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food waste.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재활용 가능한 다른 쓰레기와 분리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수분이 포함되어 있고 특유의 냄새가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쉽게 부패하는 특성이 있다. Food waste from homes and restaurants is disposed of separately from other recyclable waste. Most of these food wastes contain water, have a peculiar smell, and are easily decayed over time.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쓰레기 매립장에 매립하는 방법이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며, 그 침출수가 하천이나 강물 또는 상수원까지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As a method of treating food waste, there is a method of landfilling in a landfill, but when food waste is buried, the water contained in food waste contaminates the soil, and the leachate contaminates rivers, rivers, or water supplies. Have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염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료로 이용하기도 곤란하다.In addition, since food was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salt,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 fertilizer.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소각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다이옥신,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 배기가스가 다량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a method of incineration after removing water from food waste is us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harmful exhaust gases such as dioxins and carbon monoxide are generated by incomplete combus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연소시켜 유해 배기가스를 극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completely burn dried food waste to minimize harmful exhaust ga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는 (a)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탈수되는 탈수부; (b) 상호간 이격되어 적층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최상층의 제1벨트 컨베이어 아래의 제2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보다 전진 배치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 아래의 제3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보다 후진 배진되며, 다시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 아래의 제4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보다 전진 배치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통기성 벨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로 낙하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로 낙하하며,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4벨트 컨베이어로 낙하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벨트 컨베이어 구동부와,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방을 향하여 열풍을 불어주어 상기 통기성 벨트 위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풍팬과,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에워싸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1수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건조부; (c)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중 최하층의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 장치와, 상기 제1이송 장치를 이격되게 에워싸는 외곽 튜브와, 상기 외곽 튜브 내에서 상기 제1이송 장치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버너와, 상기 외곽 튜브 내에서 발생 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수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이송 및 가열부; 및 (d) 상기 제1이송 장치로부터 이송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말화하는 분말화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dehydration unit into which food waste is input and dehydrated; (b) the second belt conveyor below the first belt conveyor of the uppermost layer is arranged to be moved forward than the first belt conveyor, and the third belt conveyor below the second belt conveyo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belt conveyors arranged backward in a manner that the back belt is discharged backward from the two belt conveyor, and the fourth belt conveyor under the third belt conveyor i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in a forward arrangement than the third belt conveyor, and made of a breathable belt, and the dewatering part The food waste dehydrated in the first belt conveyor moves in one direction, falls to the second belt conveyor, and moves from the second belt convey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belt conveyor. Falls to a three-belt conveyor, the third belt conveyor in the second belt conveyor A belt conveyor driving unit which drives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to move in a zigzag mann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ame direction and then falls into the fourth belt conveyor, and is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and is hot air upward. A hot air fan for drying food waste on the breathable belt by blowing air, a chamber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and a first steam outlet disposed at one end of the chamber to discharg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chamber; Drying section; (c) a first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dried food waste conveyed from a belt conveyor of a lowermost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first conveying apparatus spaced apart, and the first tube in the outer tube A transfer and heating unit including a burner for heating food waste in a transfer device, and a second steam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in the outer tube is discharged; And (d) a powdering unit for powdering the dried food waste conveyed from the first transfer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는 (a)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실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 장치와, 상기 제3이송 장치에 의하여 이송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실 측벽을 통하여 연소실 내로 불어넣는 제1송풍기를 포함하는 투입부; (b) 연소실과, 상기 투입부보다 하부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불어넣어진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키는 저온용 버너와, 상기 투입부보다 상부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불어넣어진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키며, 상기 저온용 버너보다 고온을 발생시키고, 상기 저온용 버너가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킬 때 발생된 불완전연소 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고온용 버너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상기 저온용 버너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스톨과, 상기 로스톨 부근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로스톨 상에서 부유하고 있거나 상기 로스톨 상에 침적되어 있는 연소 잔류물을 상방으로 불어올리는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소각부; 및 (c) 상기 로스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스톨을 통하여 낙하하는 재를 제거하는 재 제거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third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the powdered food waste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powdered food waste conveyed by the third conveying apparatus. An inlet comprising a first blower for blowing waste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sidewalls; (b) a combustion chamber, a low-temperature burn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lower than the input unit and burning the injected powdered food waste, and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bove the input unit, and the powder injected A high temperature burner which burns the ignited food waste, generate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low temperature burner, and completely burns the incomplet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low temperature burner burns the powdered food waste, and exhaust gas is discharged. Blown upwards, a roast stall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temperature burner, and combustion residue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near the rostol and suspended on the rostol or deposited on the rostol. An incinerator including a second blower; And (c) a ash removal unit positioned below the rostol to remove ash falling through the rosto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 및 상기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nd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는 탈수부(10), 건조부(20), 이송 및 가열부(40), 및 분말화부(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is, the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watering unit 10, a drying unit 20, a conveying and heating unit 40, and a powdering unit 50.

탈수부(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탈수되는 부분으로, 접하는 2개의 롤러(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롤러(12)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고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The dewatering unit 10 is a portion into which food waste is input and dewatered, and preferably includes two rollers 12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ood waste is dewatered by the two rollers 12 and the dewa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건조부(20)는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 벨트 컨베이어 구동부(27, 28), 열풍팬(29), 챔버(30), 및 제1수증기 배출구(32)를 포함한다. The drying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belt conveyors 21, 22, 23, 24, and 25, belt conveyor drives 27 and 28, hot air fans 29, chambers 30, and first steam outlets 32. It includes.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는 상호간 이격되어 적층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최상층의 제1벨트 컨베이어(21) 아래의 제2벨트 컨베이어(22)가 제1벨트 컨베이어(21)보다 전진 배치되고, 제2벨트 컨베이어(22) 아래의 제3벨트 컨베이어(23)가 제2벨트 컨베이어(22)보다 후진 배진되며, 다시 제3벨트 컨베이어(23) 아래의 제4벨트 컨베이어(24)가 제3벨트 컨베이어(23)보다 전진 배치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도 1에서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는 5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21, 22, 23, 24, 25 are arranged in a stacked mann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belt conveyor 22 under the first belt conveyor 21 of the uppermost layer is the first belt conveyor ( 21, the third belt conveyor 23 underneath the second belt conveyor 22 is reversed back than the second belt conveyor 22, and the fourth belt conveyor under the third belt conveyor 23 The 24 i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in a manner that is arranged forward than the third belt conveyor 23. In FIG. 1, five belt conveyors 21, 22, 23, 24, and 25 are illustrat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belt conveyors may be used as necessary.

벨트 컨베이어(21)는 양단의 구동휠(21a, 21b)에 벨트(21d)가 감겨져 있으며, 양단의 구동휠(21a, 21b) 사이에 벨트(21d)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휠(21c)이 설치되어 있다. The belt conveyor 21 has a belt 21d wound around the driving wheels 21a and 21b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support wheels 21c for supporting the belt 21d between the driving wheels 21a and 21b at both ends are provided. It is installed.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21d)는 망과 같은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열풍팬(29)에 의해서 열풍이 아래로부터 불어질 때 벨트(21d) 위에서 이송중인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를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belt 21d of the belt conveyor is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such as a net, so that it is easy to dry the food waste being transported on the belt 21d when the hot air is blown from below by the hot air fan 29 to be described later. Let's do it.

벨트 컨베이어 구동부(27, 28)는 탈수부(10)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1벨트 컨베이어(21)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2벨트 컨베이어(22)로 낙하하고, 제2벨트 컨베이어(22)에서 제1벨트 컨베이어(21)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3벨트 컨베이어(23)로 낙하하며, 제3벨트 컨베이어(23)에서 제2벨트 컨베이어(22)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4벨트 컨베이어(24)로 낙하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를 구동한다. In the belt conveyor driving units 27 and 28, the food waste dewatered from the dewatering unit 10 moves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belt conveyor 21, and then falls to the second belt conveyor 22, and the second belt conveyor ( In 22, the first belt conveyor 21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belt conveyor 21 and then falls to the third belt conveyor 23,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hird belt conveyor 23 at the second belt conveyor 22. A plurality of belt conveyors 21, 22, 23, 24, and 25 are driven to move in a zigzag manner by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urth belt conveyor 24.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의 구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구동모터(27a)의 회전력이 제1구동벨트(27b)에 의하여 제5구동휠(25b)에 전달되고, 다시 제1체인(27c)에 의하여 제3구동휠(23b)과 제1구동휠(21b)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제2구동모터(28a)의 회전력도 제2구동벨트(28b)와 제2체인(28c)에 의하여 제4구동휠(24a)과 제2구동휠(22a)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 위의 벨트(21d, 22d, 23d, 24d, 25d)는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이동하게 되고, 벨트(21d, 22d, 23d, 24d, 25d)에 놓여진 음식물 쓰레기도 지그재그식으로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열풍팬(29)에 의해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Looking specifically at the driving of the belt conveyor 21, 22, 23, 24, 25,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e motor 27a is transmitted to the fifth drive wheel (25b) by the first drive belt (27b), The first chain 27c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third driving wheel 23b and the first driving wheel 21b. Similar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28a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fourth driving wheel 24a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2a by the second driving belt 28b and the second chain 28c. Accordingly, the belts 21d, 22d, 23d, 24d, and 25d on the belt conveyor move zigza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 and the food waste placed on the belts 21d, 22d, 23d, 24d, and 25d. The zigzag moves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In this case, since the moving path of the food waste becomes long, sufficient drying can be achieved by the hot air fan 29 described later.

열풍팬(29)은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방을 향하여 열풍을 불어주어 통기성 벨트(21d, 22d, 23d, 24d, 25d) 위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The hot air fan 29 is positioned below the belt conveyors 21, 22, 23, 24, and 25, and blows hot air upwards to remove food waste on the breathable belts 21d, 22d, 23d, 24d, and 25d. It is to dry.

챔버(30)는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21, 22, 23, 24, 25)를 에워싸는 것이다. The chamber 30 surrounds a plurality of belt conveyors 21, 22, 23, 24, 25.

제1수증기 배출구(32)는 챔버(30)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상단에 위치하며 챔버(30)에서 열풍팬(29)에 의한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수증기 배출량은 밸브(32a)에 의해 조절된다. The first steam outlet 32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chamber 30, preferably at an upper end thereof, and is a place where steam generated by drying by the hot air fan 29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30. Water vapor discharge is controlled by the valve 32a.

이송 및 가열부(40)는 제1이송 장치(42), 외곽 튜브(44), 버너(46), 및 제2수증기 배출구(48)를 포함한다. The conveying and heating section 40 includes a first conveying device 42, an outer tube 44, a burner 46, and a second steam outlet 48.

제1이송 장치(42)는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중 최하층의 벨트 컨베이어(제5벨트 컨베이어)(25)로부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곳이다. 최하층 벨트 컨베이어(25)로부터 직접 제1이송 장치(42)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될 수도 있으나, 최하층 벨트 컨베이어(25)와 제1이송 장치(42) 사이에 제2이송 장치(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이송 장치(42, 60)는 각각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이송 장치(42, 60)를 모두 구비할 때에는, 양자의 연결부위에 제2이송 장치(60)의 말단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받쳐주는 호퍼(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ransfer device 42 is a place where the dried food waste is transported from the belt conveyor (the fifth belt conveyor) 25 of the lowermost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Food waste may be transferred from the lowermost belt conveyor 25 directly to the first conveying device 42, but provided with a second conveying device 60 between the lowermost belt conveyor 25 and the first conveying device 42. It is preferable.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devices 42, 60 are screw conveyors, respectively.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devices 42 and 60 are provided, a hopper 43 is provided at both connecting portions to support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transfer device 60 so as not to fall to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o.

제1이송 장치(42)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버너(46)에 의해서 제1이송 장치(42)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device 42 is preferably open, which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generated when the food waste inside the first transfer device 42 is heated by the burner 46 to be described later. For that.

외곽 튜브(44)는 제1이송 장치(42)를 이격되게 에워싸는 것이다. The outer tube 44 surrounds the first transfer device 42 spaced apart.

버너(46)는 제1이송 장치(42)와 외곽 튜브(44)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특히 제1이송 장치(42)의 하부에 화염을 가하여, 제1이송 장치(42) 내에서 이송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한번 더 건조시키는 것이다. The burner 46 conveys the flame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conveying device 42 and the outer tube 44, in particular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veying device 42, and transports it in the first conveying device 42. The food waste being used is to dry once more.

제2수증기 배출구(48)는 버너(46)의 가열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이 수증기는 제1이송 장치(42)의 전술한 개방부위를 통하여 배출된다. The second steam outlet 48 is a place where steam generated from food waste is discharged by heating the burner 46. This water vapor is discharg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device 42.

분말화부(50)는 제1이송 장치(42)로부터 이송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말화하는 것이며, 접하는 2개의 롤러(5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및 가열부(40)에서 2차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호퍼(54)를 통하여 롤러(52)에 유입되어 분말화된다. 이 분말이 후술하는 소각 장치에서 소각된다. 한편, 이 분말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동물의 사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The powdering unit 50 is to powder the dried food waste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device 42, and preferably includes two rollers 52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od waste, which is secondarily dried in the transport and heating unit 40, flows into the roller 52 through the hopper 54 and is powdered. This powder is incinerated in an incineration apparatus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wder is derived from food waste, it can also be used as feed for animal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는 투입부(70), 소각부(80), 및 재 제거부(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is,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70, an incineration unit 80, and a ash removal unit 90.

투입부(70)는 제3이송 장치(72) 및 제1송풍기(74)를 포함한다. The input unit 70 includes a third transfer device 72 and a first blower 74.

제3이송 장치(72)는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실(82) 쪽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며,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72a는 스크류, 72b는 호퍼, 72c는 스크류축, 72d는 커플링(coupling), 72e는 모터를 나타낸다.The third transfer device 72 transfers the powdered food waste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82, and is preferably a screw conveyor. 72a represents a screw, 72b represents a hopper, 72c represents a screw shaft, 72d represents a coupling, and 72e represents a motor.

제1송풍기(74)는 제3이송 장치(72)에 의하여 이송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실 측벽을 통하여 연소실(82) 내로 불어넣는 것이다.The first blower 74 blows the powdered food waste conveyed by the third transfer device 72 into the combustion chamber 82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sidewalls.

소각부(80)는 연소실(82), 저온용 버너(86, 87), 고온용 버너(84, 85), 배기구(88), 로스톨(rostol)(89), 및 제2송풍기(81)을 포함한다. Incinerator 80 is combustion chamber 82, low temperature burners (86, 87), high temperature burners (84, 85), exhaust port 88, rostol (89), and the second blower (81) It includes.

연소실(82)은 투입부(70)에서 투입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연소되는 곳이다. The combustion chamber 82 is a place where the powdered food waste injected from the input unit 70 is burned.

저온용 버너(86)는 투입부(70)보다 하부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불어넣어진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화염으로 연소시키는 것이다. 저온용 버너(86, 87)는 1000℃ 정도의 온도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 temperature burner 86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lower than the input unit 70, and burns the powdered food waste with the flame. Low-temperature burners 86, 87 are preferably to generate a temperature of about 1000 ℃.

고온용 버너(84, 85)는 투입부(70)보다 상부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불어넣어진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키며, 저온용 버너(86, 87)보다 고온(1800~2000℃ 정도)을 발생시키고, 저온용 버너(86, 87)가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킬 때 발생된 불완전연소 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것이다. 불완전연소 가스로는 다이옥신, 일산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The high temperature burners 84 and 85 ar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bove the input unit 70, and burn the powdered food waste that is blown in, and have a higher temperature (1800 to 2000 ° C.) than the low temperature burners 86 and 87. Degree) and the incomplet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low-temperature burners 86 and 87 burn the powdered food waste. Examples of incomplete combustion gases include dioxins and carbon monoxide.

투입부(70)에서 제1송풍기(74)에 의해서 연소실(82) 내로 불어넣어진 음식물 쓰레기 분말은 연소실(82)의 위, 아래로 퍼져서 동시에 저온용 버너(86, 87) 및 고온용 버너(84, 85)에 의해서 연소되며, 저온용 버너(86, 87)에 의해 불완전연소된 가스는 상승하여 고온용 버너(84, 85)에 의해 완전연소된다. The food waste powder blow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82 by the first blower 74 in the input unit 70 is spread above an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82, and at the same time, the low temperature burners 86 and 87 and the high temperature burner ( 84, 85 are burned, and the gas incompletely burned by the low temperature burners 86, 87 rises and is completely burned by the high temperature burners 84, 85.

상기 저온용 및 고온용 버너(84, 85, 86, 87)는 각각 가스 및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burners 84, 85, 86 and 87 are preferably gas and oil simultaneous injection burners, respectively.

도 3은 이러한 가스 및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of such a gas and oil simultaneous injection burner, and FIG. 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 및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84, 85, 86, 87)는 공기챔버(air chamber)(160), 팬(fan)(170), 공기분사구(130), 가스노즐(110), 가스배관(112), 가스공급수단(180), 기름노즐(120), 기름배관(122), 및 기름공급수단(190)을 포함한다. 3 and 4, the gas and oil simultaneous injection burners 84, 85, 86, and 87 may include an air chamber 160, a fan 170, an air injection port 130, The gas nozzle 110, the gas pipe 112, the gas supply means 180, the oil nozzle 120, the oil pipe 122, and the oil supply means 190 are included.

공기챔버(160)에는 팬(170)이 연결되어 있고 공기챔버(160)의 전단부(140)에는 공기분사구(130, 131)가 형성되어 있다. 팬(17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챔버(160)를 경유하여 공기분사구(130, 131)로 유출된다. The fan 170 is connected to the air chamber 160, and the air injection ports 130 and 131 are formed at the front end 140 of the air chamber 160. Air introduced by the fan 170 flows out through the air chamber 160 to the air injection holes 130 and 131.

공기챔버(160)의 전단부(140)에는 공기분사구(130, 131)와 인접하여 가스노즐(110, 1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스노즐에 인접하여 기름노즐(120)이 설치되어 있다. 가스노즐(110, 111)에는 가스배관(112)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가스배관(112)에 가스공급수단(180)이 연결된다. 기름노즐(120)에는 기름배관(122)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기름배관(122)에 기름공급수단(90)이 연결된다. The gas nozzles 110 and 111 are provided in the front end part 140 of the air chamber 160 adjacent to the air injection ports 130 and 131, and the oil nozzle 120 is provided adjacent to this gas nozzle. A gas pipe 112 is connected to the gas nozzles 110 and 111, and a gas supply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gas pipe 112. An oil nozzle 120 is connected to an oil pipe 122, and an oil supply means 90 is connected to the oil pipe 122.

상기와 같은 구조로부터, 가스노즐(110, 111)에서 분사되는 가스, 기름노즐(120)에서 분사되는 기름, 및 공기분사구(130, 131)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혼합유체를 매개로 하여 화염이 형성된다. From the above structure, a flame is formed through a mixed fluid of gas injected from the gas nozzles 110 and 111, oil injected from the oil nozzle 120, and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ports 130 and 131. do.

상기 공기챔버(160)의 전단부(140)에서, 기름노즐(120)이 그 중앙에 위치하고, 가스노즐(110, 111)이 다수개 존재하여 기름노즐(120)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며, 공기분사구(130, 131)가 다수개 존재하여 가스노즐(110)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스, 기름, 및 공기의 혼합유체의 연소에 의한 화염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In the front end portion 140 of the air chamber 160, the oil nozzle 120 is locat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gas nozzles 110 and 111 are present to surround the oil nozzle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holes 130 and 131 so as to surround the gas nozzle 110. By doing so, a flame is formed uniformly by the combustion of a mixed fluid of gas, oil and air.

상기 가스공급수단으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기(18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gas supply means,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or 180 that generates a hydrogen-oxygen mixed gas by electrolyzing water.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기(180)는 전해조(182)에 전해액(물에 전해질을 녹인 전해질 수용액)을 주입하고, 전해조(182) 양단에 직류 전원(186)을 인가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전해조(182)의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하며, 발생된 수소와 산소를 그대로 합치면 화학당량비 2:1의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얻어진다.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or 180 injects an electrolytic solution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electrolyte is dissolved in water) into the electrolytic cell 182 and generates a hydrogen and oxygen by applying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186 to both ends of the electrolytic cell 182. to be. Hydrogen is generated at the cathode of the electrolyzer 182 and oxygen is generated at the anode, and when the generated hydrogen and oxygen are combined together, a hydrogen-oxygen mixed gas having a chemical equivalent ratio of 2: 1 is obtained.

이러한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단독으로 연소시키게 되면 불꽃의 중심을 향해 수축하는 응집성 폭발(응폭)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응폭 현상에 의해 2,000 내지 3,000℃ 정도의 고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When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is burned alone, a coherent explosion (condensation) phenomenon contrac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lame occurs, and a high temperature of about 2,000 to 3,000 ° C. can be obtained by the condensation phenomenon.

상기 가스 및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는 상기와 같이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단독으로 연소시키지 않고, 여기에 기름을 분사하고 공기를 송풍시켜서, 버너용으로 적합한 불꽃을 형성시킨 것이다. The gas and oil simultaneous injection type burner does not burn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lone, but injects oil therein and blows air to form a flame suitable for the burner.

한편, 도 3에서 전방 공기챔버(162)와 후방 공기챔버(164)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판(150)은, 연소가 필요한 소정 위치에 버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은 체결공(152)을 통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in FIG. 3, the fixing plate 150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air chamber 162 and the rear air chamber 164 is for fixing the burn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combustion is required. The fixing is ma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152.

가스공급수단(180)에 인접한 가스배관(112) 부위에는 밸브(116)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한다.The valve 116 is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gas pipe 112 adjacent to the gas supply means 180 to adjust the amount of gas introduced therein.

기름배관(122)에 연결되는 기름공급수단(127)은 기름탱크(127), 펌프(128), 및 모터(129)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129)가 회전하면서 펌프(128)를 구동하여 기름탱크(127)의 기름을 펌핑(pumping)하게 된다. 기름공급수단(190)에 인접한 기름배관(122) 부위에도 밸브(126)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기름량을 조절한다. The oil supply means 127 connected to the oil pipe 122 may include an oil tank 127, a pump 128, and a motor 129. The motor 129 rotates to drive the pump 128 to pump oil of the oil tank 127. The valve 126 is also installed in the oil pipe 122 portion adjacent to the oil supply means 190 to adjust the amount of oil introduced therein.

도 3 및 도 4에서 미설명 번호 114, 124는 압력계, 161은 전방 케이스, 163은 후방 케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3 and 4, reference numerals 114 and 124 denote pressure gauges, 161 denote front cases, and 163 denote rear cases.

가스공급수단으로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기(180)를 사용할 경우 가스 및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에 점화할 때,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먼저 공급하여 점화한 다음에 기름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 반대로 기름을 먼저 공급하여 점화한 다음에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버너가 폭발할 위험이 있다.When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or 180 is used as a gas supply means, when igniting a gas and oil simultaneous injection type burner,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must be supplied first to ignite and then oil. On the contrary, if the oil is first supplied and ignited, and then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is supplied, the burner may be explode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의 소각부(80)를 계속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cineration portion 80 of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소각부(80)에서 배기구(88)는 저온용 및 고온용 버너(84, 85, 86, 87)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분말이 완전연소된 후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곳이다.The exhaust port 88 in the incinerator 80 is a place where exhaust gas is discharged after the food waste powder is completely burned by the low-temperature and high-temperature burners 84, 85, 86, and 87.

로스톨(rostol)(89)은 저온용 버너(86, 87)의 하부에 설치된다.Rostol (89)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temperature burners (86, 87).

제2송풍기(81)는 로스톨(89) 부근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로스톨(89) 상에서 부유하고 있거나 로스톨(89) 상에 침적되어 있는 연소 잔류물을 상방으로 불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리하여 저온용 버너(86, 87) 및 고온용 버너(84, 85)에 의해 상기 연소 잔류물이 재연소된다. The second blower 81 is installed on the combustion chamber sidewall near the rostol 89 and serves to blow up the combustion residue suspended on the rostol 89 or deposited on the rostol 89. . Thus, the combustion residues are reburned by the low temperature burners 86 and 87 and the high temperature burners 84 and 85.

한편, 재 제거부(90)는 로스톨(89)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스톨(89)을 통하여 낙하하는 재를 제거하는 곳이다. 재 제거부(90)는 재 침적부(94) 및 재 배출부(9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sh removal unit 9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all 89 to remove ash falling through the stall 89. The ash removal portion 90 preferably includes a ash deposition portion 94 and a ash discharge portion 96.

로스톨(89)에서 낙하된 재가 재 침적부(94)에 침적하게 되고, 침적된 재가 재 배출부(96)를 통하여 배출된다. Ash dropped from the rostol 89 is deposited on the ash deposit 94, and the deposited ash is discharged through the ash discharge part 96.

재 침적부(94)에는 침적된 재를 재 배출부(96)로 밀어 떨어뜨리는, 모터(99)로 구동되는 회전날개(95)가 설치되어 있다. The ash deposit 94 is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95 driven by a motor 99 for pushing down the deposited ash to the ash discharge part 96.

도 6은 이러한 재 침적부(94)의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such a repositioned portion 94.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재 침적부(94)에 재가 침적되면 모터(99)를 구동하여 회전날개(95)로 침적물을 밀어서 배출구(96-1)로 낙하시킨다. 95-1은 회전축, 91은 감속기를 나타낸다. 2 and 6, when ash is deposited on the ash deposit 94, the motor 99 is driven to push the deposit onto the rotary blade 95 to fall to the outlet 96-1. 95-1 represents a rotating shaft, 91 represents a speed reducer.

재 배출부(96)에는 재 침적부(94)에서 회전날개(95)에 의해 밀어 떨어뜨려진 재를 다시 외부로 밀어내는 피스톤 부재(97)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부재(97)는 유압 실린더(98)로 구동된다. The ash discharge part 96 is provided with the piston member 97 which pushes the ash pushed away by the rotary blade 95 from the ash deposit 94 back to the outside. The piston member 97 is driven by the hydraulic cylinder 9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는 전술한 도 1과 같은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와 도 2와 같은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를 그대로 조합한 것이다. Referring to this, the 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the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s shown in Figure 1 and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연소시켜 유해 배기가스를 극소화하며,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동물의 사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The 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harmful exhaust gas by completely burning the dried food waste and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powdered food waste as animal fe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

Claims (12)

(a)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탈수되는 탈수부;(a) a dewatering part into which food waste is input and dehydrated; (b) 상호간 이격되어 적층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최상층의 제1벨트 컨베이어 아래의 제2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보다 전진 배치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 아래의 제3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보다 후진 배진되며, 다시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 아래의 제4벨트 컨베이어가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보다 전진 배치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통기성 벨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와,(b) the second belt conveyor below the first belt conveyor of the uppermost layer is arranged to be moved forward than the first belt conveyor, and the third belt conveyor below the second belt conveyo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belt conveyor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in such a manner that the back belt is discharged backward from the two belt conveyor, and the fourth belt conveyor under the third belt conveyor is arranged forward than the third belt conveyor.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로 낙하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로 낙하하며, 상기 제3벨트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4벨트 컨베이어로 낙하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벨트 컨베이어 구동부와,The food waste dewatered by the dewatering unit moves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belt conveyor and then falls to the second belt conveyor, and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belt conveyor in the second belt conveyor.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so as to fall to the third belt conveyor and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belt conveyor in the third belt conveyor and then zigzag in a falling manner to the fourth belt conveyor. Belt conveyor drive unit for driving the,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방을 향하여 열풍을 불어주어 상기 통기성 벨트 위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풍팬과,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hot air fan for blowing hot air upwards to dry the food waste on the breathable belt,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에워싸는 챔버와,A chamber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상기 챔버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 1수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건조부; A drying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chamber and including a first steam outlet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in the chamber is discharged; (c)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중 최하층의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 장치와, (c) a first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dried food waste conveyed from the belt conveyor of the lowest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belt conveyors; 상기 제1이송 장치를 이격되게 에워싸는 외곽 튜브와,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first transfer device spaced apart; 상기 외곽 튜브 내에서 상기 제1이송 장치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버너와,A burner for heating food waste in the first conveying device in the outer tube; 상기 외곽 튜브 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수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이송 및 가열부; 및A conveying and heating unit including a second steam outlet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in the outer tube; And (d) 상기 제1이송 장치로부터 이송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말화하는 분말화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D) a food waste powdering device comprising a powdering unit for powdering the dried food waste transported from the first transf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최하층의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 장치를 연결하는 제2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And a second convey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lowermost belt conveyor and the first convey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및 제2이송장치는 각각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apparatus is a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screw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탈수부는 접하는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watering portion includes two rollers in conta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송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The first conveying apparatus is a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말화부는 접하는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The powdering unit is a food waste powd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rollers in contact. (a)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실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 장치와, (a) a third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owdered food waste to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제3이송 장치에 의하여 이송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실 측벽을 통하여 연소실 내로 불어넣는 제1송풍기를 포함하는 투입부;An input unit including a first blower for blowing the powdered food waste transported by the third transfer device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sidewall; (b) 연소실과,(b) a combustion chamber, 상기 투입부보다 하부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불어넣어진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키는 저온용 버너와,A low temperature burner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an the input unit and burning the injected powdered food waste; 상기 투입부보다 상부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불어넣어진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키며, 상기 저온용 버너보다 고온을 발생시키고, 상기 저온용 버너가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소시킬 때 발생된 불완전연소 가스를 완전연소 시키는 고온용 버너와,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bove the input unit, and burns the powdered food waste that is blown, generate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low temperature burner, and is generated when the low temperature burner burns the powdered food waste. High temperature burner which completely burns incomplete combustion gas,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와,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exhaust gas is discharged, 상기 저온용 버너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스톨과,Rostol and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temperature burner, 상기 로스톨 부근의 연소실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로스톨 상에서 부유하고 있거나 상기 로스톨 상에 침적되어 있는 연소 잔류물을 상방으로 불어올리는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소각부; 및An incineration portion disposed on a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near the rostol, the incinerator including a second blower that floats on the rostol or blows up the combustion residues deposited on the rostol; And (c) 상기 로스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스톨을 통하여 낙하하는 재를 제거하는 재 제거부를 포함하는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C) a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including a ash removal unit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stol to remove ash falling through the rostol.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3이송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The third conveying apparatus is a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conveyo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저온용 및 고온용 버너는 각각,The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burners are respectively, 공기챔버;Air chamber; 상기 공기챔버에 연결되는 팬;A fan connected to the air chamber; 상기 공기챔버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An air injection port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air chamber; 상기 공기챔버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구에 인접하는 가스노즐;A gas nozzle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air chamber and adjacent to the air injection port; 상기 가스노즐에 연결되는 가스배관;A gas pipe connected to the gas nozzle;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되는 가스공급수단;Gas supply means connected to the gas pipe; 상기 공기챔버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노즐에 인접하는 기름노즐;An oil nozzl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air chamber and adjacent to the gas nozzle; 상기 기름노즐에 연결되는 기름배관; 및An oil pipe connected to the oil nozzle; And 상기 기름배관에 연결되는 기름공급수단을 포함하며, It includes an oil supply means connected to the oil pipe, 상기 가스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상기 기름노즐에서 분사되는 기름, 및 상기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혼합유체를 매개로 하여 불꽃이 형성되는 가스 및 기름 동시 분사형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Powdered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and oil simultaneous injection burner, the flame is formed through the mixed fluid of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nozzle, the oil injected from the oil nozzle, and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port Garbage incinerato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기름노즐이 상기 공기챔버의 전단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노즐이 다수개 존재하여 상기 기름노즐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공기분사구가 다수개 존재하여 상기 가스노즐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The oil nozzl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air chamber, the plurality of gas nozzles are locat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oil nozzles,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holes exist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gas nozzles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The gas supply means is a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or for electrolyzing water to generate a hydrogen-oxygen mixed ga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장치; 및 Food waste pow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화 및 소각 장치.A food waste powdering and incineration device comprising the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device of claim 7.
KR1020070048737A 2007-05-18 2007-05-18 Apparatus for incinerating pulverized food waste KR100938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37A KR100938347B1 (en) 2007-05-18 2007-05-18 Apparatus for incinerating pulverized food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37A KR100938347B1 (en) 2007-05-18 2007-05-18 Apparatus for incinerating pulverized food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522A true KR20080101522A (en) 2008-11-21
KR100938347B1 KR100938347B1 (en) 2010-01-22

Family

ID=4028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737A KR100938347B1 (en) 2007-05-18 2007-05-18 Apparatus for incinerating pulverized food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4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853B1 (en) * 2009-08-11 2010-09-28 양영진 Sludge drying furnace
KR101052271B1 (en) * 2009-02-04 2011-07-27 삼부산업주식회사 Combustion device
KR101112753B1 (en) * 2010-11-04 2012-03-15 승진산업 (주) Screw conveyor
KR101324989B1 (en) * 2013-06-19 2013-11-04 이춘우 Burner for food waste powder
WO2014204198A1 (en) * 2013-06-19 2014-12-24 Lee Chun-Woo Combustion device for flammable powder
CN112876027A (en) * 2021-02-10 2021-06-01 博爱县伊赛肉牛养殖有限公司 Dirty recovery unit that handles of beef cattle breeding excr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717B1 (en) 2011-02-16 2013-10-11 박계근 Dry gas burner using for wastes bur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59A (en) * 1989-06-06 1991-01-16 Fujitsu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196148Y1 (en) * 2000-02-19 2000-09-15 염호 Foodstuffs trash a dryer
KR100660991B1 (en) * 2006-05-03 2006-12-22 김재화 Two step combustion type waste incinerating and heat-using apparatus
KR100656093B1 (en) * 2006-08-25 2006-12-11 김영정 A combustion apparatus using waste and a energy collective system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271B1 (en) * 2009-02-04 2011-07-27 삼부산업주식회사 Combustion device
KR100983853B1 (en) * 2009-08-11 2010-09-28 양영진 Sludge drying furnace
KR101112753B1 (en) * 2010-11-04 2012-03-15 승진산업 (주) Screw conveyor
KR101324989B1 (en) * 2013-06-19 2013-11-04 이춘우 Burner for food waste powder
WO2014204198A1 (en) * 2013-06-19 2014-12-24 Lee Chun-Woo Combustion device for flammable powder
CN112876027A (en) * 2021-02-10 2021-06-01 博爱县伊赛肉牛养殖有限公司 Dirty recovery unit that handles of beef cattle breeding excr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347B1 (en)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2504B2 (en) Heat treatment equipment using superheated steam
US200300102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reducing solid and liquid waste and for recoverig waste heat
KR20080101522A (en)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incinerating food waste
KR200300286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bonization treatment of organic waste
KR20120110938A (en) Boiler system
KR100312137B1 (en) Pyrolysis Waste Incinerator
WO2010150412A1 (en) Organic sludge treatment equipment
KR101415450B1 (en) Incineration device for solid wastes
KR200226144Y1 (en) Device for drying and incinerating the sludge of incinerating furnace
KR100789703B1 (en) Waste&#39;s carbonization device
KR100983631B1 (en) waste&#39;s carbonization system
KR100933437B1 (en) High water content of smokeless device
KR100989703B1 (en) A trash boiler improved the efficiency of waste heat recovery and the ability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KR200443057Y1 (en) Apparatus for burning waste tires
KR200199740Y1 (en) The apparatus of the sludge and waste by incinerating
JP4077811B2 (en) Heat treatment equipment using superheated steam
KR20010103331A (en) The method for disposal of the sludge and waste by incinerating, and its apparatus
KR200422220Y1 (en) Apparatus for burning waste tires
KR20000054505A (en) Device for drying and incinerating the sludge of incinerating furnace
KR100823523B1 (en) A carbonizing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0933438B1 (en) High water content of carbonizing device
KR100499418B1 (en) Food Wastes Dry and Incineration System using a Brown Gas Incinerator
KR20010077414A (en) Multiple grate incinerator
KR200290646Y1 (en) Incinerator
KR20110119924A (en) Incineration apparatus for wasted-tire and boil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23

Effective date: 200912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