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431A -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431A
KR20080101431A KR1020070048530A KR20070048530A KR20080101431A KR 20080101431 A KR20080101431 A KR 20080101431A KR 1020070048530 A KR1020070048530 A KR 1020070048530A KR 20070048530 A KR20070048530 A KR 20070048530A KR 20080101431 A KR20080101431 A KR 2008010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signal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s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익
김희덕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431A/en
Publication of KR2008010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4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and an emergency cal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transmit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in case that a user urgently calls. When inputt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call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s collected(S204). A process for generating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 emergency call signaling process maps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n map(S205). The map in which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s mapped is converted into an image. The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image is generate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긴급호출 방법{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메뉴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n emergency call menu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관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긴급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긴급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n emergency cal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and an emergency call method thereof comprising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저장 및 재생이 가능 하며, 옵션기능에 부가된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는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전자수첩기능, 게임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 단말가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각종 금융결제나 멀디미디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천재지변에 대비할 수 있는 재난재해 문자 서비스 및 화재나 추락,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자신의 긴급구조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긴급호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easy to carry, can store and play a variety of application programs, and is widely used in a large number of fields due to its excellent utilization added to optional functions.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an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a game function,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s well as a communication function call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s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ice increases, various types of financial settlement and multimedia services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use a disaster call service that can prepare for disasters and emergency call function that can notify their emergency rescue situ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 fall or a traffic accident.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기능은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긴급호출 기능에서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긴급호출을 수신한 사람은 긴급호출한 사람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실제 처한 긴급 상황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긴급호출 기능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Since the emergency call function of such a mobile terminal provides only limited information, it is difficult for a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use it practically. That is, sinc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is limited, it is difficult for the person who receives the emergency call to know what situation the emergency caller is in. For this reas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requires an emergency call function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actual emergency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긴급호출을 할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긴급호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en the user makes an emergency call. Emergency calling methods can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긴급 호출 요청에 해당하는 신호 입력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긴급호출 신호 생성 과정은,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지도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가 매핑된 지도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and the emergency call includ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outside. The emergency call signal generation process includes: mapp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map; and mapp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converting the map into an image, and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the im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긴급호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신호 생성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성항법장치부;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지도에 매핑하여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부;를 포함하고, 긴급호출 수신번호, 긴급호출 문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unit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generation; A controller which maps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map and converts the image into a map and generates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the map; And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outside, and storing the emergency call reception number and the emergency call sente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 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예를 들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위성항법장치를 포함하고,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위성항법장치 및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항법장치 또는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y ta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and communicating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an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may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satellite navigation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ere, a method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satellite navigation apparatus or a base sta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이동통신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mobile terminal. Such mobile terminals includ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smart phon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rminal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s,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terminal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s and the applic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 통신부(110), 위성항법장치부(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115), 카메라부(120), 영상처리부(130), 표시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입력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unit 110,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PS) 115, and a camera unit ( 120, an image processor 130, a display unit 140, an audio processor 150, an input unit 160, a storage unit 170, and a controller 180.

RF 통신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RF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전송한다. 이러한 RF 통신부(110)는 채널 주파수에 튜닝(Turning)하여 해당 채널 주파수에 실려오는 신호를 추출하는 튜너,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F communication unit 1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voice call. The RF communication unit 110 wirelessly transmits user data to another external mobile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The RF communication unit 110 tunes to a channel frequency (Turning) to extract a signal on the channel frequency, a tuner,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low-noise amplification and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It may include an RF receiver for converting down.

GPS(115)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GPS 위성이 송신하는 소정의 위치 데이터를 안테나로 수신한다. GPS(115)는 제어부(180)에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GPS 115 receives, by an antenna, predetermined position data transmitted by one or more GPS satellites in order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GPS 115 transmits the location data to the controller 180.

카메라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상응하여 소정의 대상물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화상/영상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부(120)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receives a data signal by capturing a predetermined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data signal, and converts the input data signal into an image / video signal. To this end, the camera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sensor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have.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camera sensor may include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or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The camera unit 12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영상 처리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위치정보 확인 서비스 동작과 관련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frame)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40)의 특성 및 규격에 맞추어 출력한다.The image processor 13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2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2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related to a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he image processor 13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2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of the display unit 140.

또한, 영상 처리부(130)는 영상 코덱을 포함하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선택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3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n a selected manner or reconstruct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into original frame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includ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and the like.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various men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user data input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or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4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may be included in an input means when the LC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8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5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8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5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150 reproduc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80 or transmits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80. That is, the audio processor 150 converts the voice / sound data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outputs the audible sound.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50 outputs audio data such as voice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MIC.

입력부(160)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입력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6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볼륨 키 및 핫키 등의 기능키를 더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긴급호출(이하, SOS) 핫키를 입력하면,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The input unit 160 receives text information and transmits a key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setting of various functions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controller 180. The input unit 160 may be form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touch pad, a keypad of a general key arrangement, and a QWERTY keypad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nput unit 160 further includes function keys such as a direction key, a volume key, and a hot key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nputs an emergency c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S) hotkey, the input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80.

저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외부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SOS 메뉴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가 SOS 메뉴에서 입력하는 SOS 수신번호들 및 SOS 문장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상기 지도 데이터를 활성화한다. The storage unit 170 stores the content downloaded from an external web server, user data generated by a user, data transmitted / received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cluding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a fun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user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n SOS menu program. The storage unit 170 may largel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In particular, the data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SOS reception numbers and SOS sentences that a user inputs in the SOS menu. In addition, the data area stores map data, and activates the map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마이크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및 RF 통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처리부는 RF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는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data processor function for processing audio data transmitted from a microphone, numeric / character data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data transmitted from the RF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may include a transmitter configured to encode and modulate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communicator 110,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demodulate and decode the received signal. Therefore, the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SOS 메뉴에서 SOS 문장을 입력하면, 이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SOS 핫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SOS 수신번호 목록을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SOS 신호를 생성하여 SOS 수신번호 목록의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SOS 핫키를 입력하면, GPS(115)로부터 전송 되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즉,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곳의 경도 및 위도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는 GPS(115)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망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네트워크 아이디(Network ID), 베이스 아이디(Base ID) 등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한 위치 정보를 지도에 맵핑하고, 상기 지도를 이미지로 변환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SOS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SOS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여기서, SOS 신호는 문자 메시지 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nputs the SOS sentence in the SOS menu,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70.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SOS hot key, the controller 180 checks the SOS reception number list, generates a SOS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SOS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SOS reception number list. In detail, when the user inputs the SOS hotkey, the controller 180 uses the lo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GPS 115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Extract the longitude and latitude of.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received from the GPS 1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llected using a service ID, a network ID, a base ID,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network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The controller 180 maps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map and converts the map into an image.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n SOS signal including the im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S signal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Here, the SOS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for exampl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or a voice message.

또한 제어부(180)는 SOS 신호를 수신한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람하지 않고 바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 수신시, 사용자에게 상기 응답 호 수신을 알람하지 않고 바로 상기 SOS 수신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 호 수신을 알람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응답 호를 수락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카메라부(120)를 활성화하여 카메라부(12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SOS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SOS 설정 메뉴에서 저장된 SOS 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OS 신호가 음성 메시지일 경우, 상기 SOS 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 하여 SOS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SOS signal, the controller 180 can directly connect the call without alarming the user. That is, whe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80 immediately performs a voice call with the SOS receiving terminal without alarming the user from receiving the response call. Herein, the controller 180 may alarm the response call reception and accept the response call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perform a voice call.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response call,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the camera unit 120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20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Also, the controller 180 may convert the SOS sentence stored in the SOS setting menu into voice data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SOS signal is a voice message, the SOS sentence may be converted into voice data and transmitted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voic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한편,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 방송 모듈 및/또는 휴대(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FIG. 1 illustrates a block configuration required for describ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and / or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module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100)에서 SOS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SOS 방법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SOS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SOS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SOS 메뉴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SOS 메뉴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rst, the SOS menu se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S menu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SOS 메뉴를 요청하면, 제어부(180)는 S101 단계에서 상기 SOS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SOS 설정 메뉴에서 SOS 신호를 수신할 SOS 수신 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S102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103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SOS 수신 번호를 저장한다. 예컨대, SOS 수신 번호는 일반적인 긴급전화 119, 112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 requests the SOS menu,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OS setting menu in step S101. When the user inputs the SOS reception number to receive the SOS signal in the SOS setting menu,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in step S102 and stores the input SOS reception number in step S103. For example, the SOS received number may be a general emergency call 119, 112, or the like, and may be a phone number frequently used by a user.

사용자가 SOS 설정 메뉴에서 SOS 문장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S104 단계 에서 이를 감지하고, S105 단계에서 상기 SOS 문장을 저장한다. 예컨대, SOS 신호가 문자 메시지이면 상기 SOS 문장이 텍스트 형태로 첨부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OS 신호가 음성 메시지일 경우, 상기 SOS 문장은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SOS 신호에 첨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상기 SOS 문장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SOS 메뉴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SOS 수신 번호를 저장한 후 SOS 문장을 저장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SOS 메뉴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SOS 문장을 저장한 후 SOS 수신 번호를 저장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the SOS sentence in the SOS setting menu,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in step S104 and stores the SOS sentence in step S105. For example, if the SOS signal is a text message, the SOS sentence may be attached and transmitted in text form. In addition, when the SOS signal is a voice message, the SOS sentence may be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attached to the SOS signal.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80 may convert the SOS senten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Here, the SOS menu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user stores an SOS sentence and then stores an SOS sente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OS menu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so that the user stores the SOS received number after storing the SOS sentence.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SOS 신호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SOS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Hereinafter, the SOS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SOS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SOS 핫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S20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202 단계에서 SOS 신호를 수신할 SOS 수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80)는 S203 단계에서 상기 SOS 수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S204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GPS(115)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데이터를 GPS(115)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도 및 경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경 우, 상기 위치 데이터는 망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네트워크 아이디(Network ID), 베이스 아이디(Base ID) 등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inputs an SOS hotkey,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in step S201 and checks whether an SOS reception number for receiving an SOS signal is stored in step S202.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SOS reception number is stored in step S203, the controller 18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step S204. In detail,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lo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GPS 115 or the base station. When the loc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GPS 115, the location data may includ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receiving location data from the base station, the location data may be a service ID (Network ID), a network ID (Base ID), etc. included in the network information.

제어부(180)는 S205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에 매핑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에 상기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는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형태로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S206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로 변환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SOS 신호를 생성하여 SOS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controller 180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map in step S205.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and convert the location information into an image. For example, the image may be in the form of a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JPEG).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n SOS signal including the map data converted into the image in step S206 and transmits the SOS signal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S207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SOS 수신 단말기와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한다. 제어부(180)는 S208 단계에서 카메라부(120)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SOS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진동이나 벨소리로 알림을 하지 않는 음소거 모드(Mute Mode)로 전환하고, 자동으로 상기 SOS 수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카메라부(120)를 활성화하고, 카메라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SOS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상기 SOS 수신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하기 위하여 형성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in step S207 and automatically connects a call with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the camera unit 120 in step S208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80 may switch to a mute mode that does not notify the user with vibration or a ringtone, and automatically connect a call with the SOS receiving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the camera unit 120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20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us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SOS receiving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form a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하지만 제어부(180)는 S203 단계에서 SOS 수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면, S209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해당 기능은 기설정된 방식으로 SOS 신호를 수신할 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SOS 요청을 감지하면, 통화목록에서 가장 최근에 통화한 번호 또는 통화 빈도수가 높은 번호로 SOS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SOS reception number is not stored in step S203,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in step S209. Here, the function refers to extracting a number to receive the SOS signal in a preset manner.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SOS reques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SOS signal to the most recently called number or the frequency of the call in the call li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S208 단계에서 저장부(170)에 저장된 SOS 문장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SOS 수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170)에 SOS 문장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80)는 SOS 문장이 저장됨을 확인하면 상기 SOS 문장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SOS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호 수신시, 카메라부(120)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메라부(12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SOS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SOS 수신 단말기는 상기 SOS 문장을 음성 신호로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the SOS senten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into a voice signal in step S208 and transmit it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In detail, w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response call from the SOS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SOS sentenc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When the controller 180 confirms that the SOS sentence is stored, the controller 180 converts the SOS senten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Here,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the camera unit 120 when receiving the response call, and transmit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20 to the SOS terminal. That is, the SOS receiving terminal may receive and listen to the SOS sentence as a voice signal, and may display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S205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S206 단계에서 상기 음성신호로 변환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SOS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SOS 신호는 음성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SOS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position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in step S205, and generates a SO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nverted to the voice signal in step S206. In this case, the SOS signal may be a voice message.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the voice message to the SOS receiving termin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 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긴급호출 방법은 사용자가 긴급호출을 할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mergency call method may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makes an emergency call.

Claims (15)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에 있어서,In the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긴급호출 요청에 해당하는 신호 입력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call request is input;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Emergency cal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호출 신호 생성 과정은,The emergency call signal generation process,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지도에 매핑하는 과정과,Mapp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map;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가 매핑된 지도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과,Converting the map to which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s mapped into an image;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And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the imag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위치 정보 수집 과정은,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위성항법장치 수신기로부터 경도 및 위도값을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longitude and latitude value from a satellite navigation receiver; 상기 경도 및 위도 값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longitude and latitude valu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긴급호출 신호 전송 과정은,The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ssion process,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수신한 타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시, 자동으로 상기 응답 호를 수락하는 과정과,Automatically accepting the response call upon receiving the response call from the other terminal receiv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긴급호출 문장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And converting the emergency call senten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sentence to the oth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수신한 타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시, 자동으로 상기 응답 호 수락하고, Upo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anoth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call signal, automatically accepts the response call,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And activating a camer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camera to the oth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Convert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상기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Emergency cal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containing the voice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긴급호출 신호는,The emergency call signal, 음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정보 수집 과정은,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기지국으로부터 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network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상기 망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Emergency cal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network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정보 수집 과정은,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상기 긴급호출 요청에 해당하는 신호 입력시, 상기 긴급호출 수신번호 목록을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the emergency call reception number list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s input; 상기 긴급호출 수신번호가 없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목록을수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If there is no emergency call reception number, the emergency cal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call list of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호출을 요청하는 신호는,The signal for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핫키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긴급호출 방법.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hotkey input.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긴급호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상기 신호 생성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성항법장치부;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unit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generation;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지도에 매핑하여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A controller which maps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map and converts the image into a map and generates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the map;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outside.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긴급호출 수신번호, 긴급호출 문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emergency call reception number and an emergency call sentence.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수신한 타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통화연결하고, 상기 긴급호출 문장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upo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anoth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call signal, automatically connects to a call, converts the emergency call senten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ther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obtaining image data from the outsi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수신한 타단말기로부터 응답 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통화연결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response call from the oth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call signal, automatically connects the call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to the other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망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망정보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cquiring network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network information.
KR1020070048530A 2007-05-18 2007-05-18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KR200801014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530A KR20080101431A (en) 2007-05-18 2007-05-18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530A KR20080101431A (en) 2007-05-18 2007-05-18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31A true KR20080101431A (en) 2008-11-21

Family

ID=4028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530A KR20080101431A (en) 2007-05-18 2007-05-18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43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953A (en) * 2010-02-02 2011-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larm system and alarm method of self-protection
KR101396876B1 (en) * 2012-10-04 2014-05-22 (주)휴빌론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ther in calling by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KR20140075369A (en) * 2012-12-11 201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emergency call in mobile terminal
KR102437305B1 (en) * 2021-08-03 2022-08-30 주식회사 대한기술단 Fire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firefighting system using communication facilities of apartment hous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953A (en) * 2010-02-02 2011-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larm system and alarm method of self-protection
KR101396876B1 (en) * 2012-10-04 2014-05-22 (주)휴빌론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ther in calling by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KR20140075369A (en) * 2012-12-11 201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emergency call in mobile terminal
KR102437305B1 (en) * 2021-08-03 2022-08-30 주식회사 대한기술단 Fire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firefighting system using communication facilities of apartment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5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546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dial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7464557B (en) Call record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080101431A (en) Portable devicr and method for urgent calling thereof
US8489125B2 (en) Mobile apparatus, and loc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location notification method for mobile apparatus
JP2011142370A (en) Cellular phone for transmitting urgent report message, program, and reporting method
US200800267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JP427306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notification method
KR20060128561A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of emergency signal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1004312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367873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13232792A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CN108366348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0953629B1 (en)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using mobile loaded GPS
JP4653016B2 (en) Mobile device, calling method and calling system
KR101737806B1 (en) Smart pager
KR20060034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 in mobile phone
KR1007602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189461A (en) Mobile termina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mergency mail transmission method
JP5599441B2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and safety confirmation method
KR101394262B1 (en)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KR20090067556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ps unit and method for calling thereof
TWI450564B (en) Mobile phone and method of emergency calling thereof
KR20070018188A (en) Mobile Phone having infomingg loc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70065752A (en) Method and system for dialing by using stored imag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