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812A -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812A
KR20080098812A KR20070044144A KR20070044144A KR20080098812A KR 20080098812 A KR20080098812 A KR 20080098812A KR 20070044144 A KR20070044144 A KR 20070044144A KR 20070044144 A KR20070044144 A KR 20070044144A KR 20080098812 A KR20080098812 A KR 20080098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4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7111B1 (en
Inventor
박성은
박희석
박영민
박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111B1/en
Publication of KR2008009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111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The unevenness pattern of the nano size can be easily formed to improve the optical extraction efficiency. A step is for preparing the single crystal substrate. A step is for growing the porosity intermediate layer having the air gap of the nano size on the substrate for the single crystal growth. A step is for grow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o fill the air gap on the porosity intermediate layer. A step is for growing successively, the active layer(35),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ion semiconductor layer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tep is for forming the conductive supporting substrate(38) on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ion semiconductor layer. A step is for remov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and porosity intermediate layer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hav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nano pattern. A step is for forming the electrode(39) in the partial region of the exposed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Description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요철 패턴을 갖는 일반적인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uneven pattern.

도 2a 내지 도 2d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요철 구조의 형태에 따른 광추출효율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2A to 2D show simulation results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neven structure in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3A to 3I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rocesse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다공성 중간층의 상면을 촬영한 AFM(Atomic Force Microscope) 사진이다.Figure 4a is an AFM (Atomic Force Microscope) photograp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도 4b는 상기 AFM 사진을 분석하여 다공성 중간층의 일 단면에서의 높낮이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b shows the height at one cross section of the porous interlayer by analyzing the AFM imag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31: 사파이어 기판 32: 언도프 GaN층31: sapphire substrate 32: undoped GaN layer

33: 다공성 중간층 34: n형 질화물 반도체층33: porous intermediate layer 34: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5: 활성층 36: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 active layer 36: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7: 반사금속층 38: 도전성 지지기판37: reflective metal layer 38: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9: n측 전극39: n-side electrode

본 발명은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사이즈의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광추출효율이 향상된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forming a nano-sized uneven pattern.

반도체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가 가해지면 p,n형 반도체의 접합 부분에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기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이다. 이러한 LED는 필라멘트에 기초한 발광소자에 비해 긴 수명, 낮은 전원, 우수한 초기 구동 특성, 높은 진동 저항 및 반복적인 전원 단속에 대한 높은 공차 등의 여러 장점을 갖기 때문에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청색 계열의 단파장 영역에서 발광이 가능한 III족 질화물 반도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BACKGROU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light of various colors based on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at a junction portion of a p and n type semiconductor when current is applied thereto. These LEDs have a number of advantages over filament based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long life, low power, excellent initial driving characteristics, high vibration resistance, and high tolerance for repetitive power interruptions. In recent years,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s capable of emitting light in a blue short wavelength region have been in the spotlight.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전극이 배치되는 구조와 관련하여 수평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는 전류의 흐름이 협소 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협소한 전류 흐름으로 인해, 발광소자의 순방향 전압(Vf)이 증가하여 전류효율이 저하되며, 이와 더 불어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직 전극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요구된다.I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horizont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s a problem of narrow current flow in relation to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are disposed. Due to such a narrow current flow, the forward voltage V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creased to decrease the current efficiency,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of being vulnerable to electrostatic dischar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is required.

한편, 상기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 활성층에서 발생된 광은 공기/GaN 계면에 입사 시, 입사각에 따라 반사 정도가 달라진다. 이 경우, 이론적으로 입사각이 26° 이상인 경우, 활성층에서 발생된 광은 모두 내부 전반사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여 외부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이 외부로 투과되는 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hen the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incident on the air / GaN interface, the degree of refle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incident angle. In this case, theoretically, when the incident angle is 26 ° or more, all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such a problem and improv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 uneven pattern may be formed on a surfac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광 출사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와 요철 패턴의 형상에 따른 발광 효율을 설명한다.1 and 2, the light emitt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uneven pattern on the light exit surface and the uneven patter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은 요철 패턴을 갖는 일반적인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rst,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uneven pattern.

도 1에 도시된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10)는 p형 GaN층(13)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12), n형 GaN층(11) 및 요철 패턴층(14)을 구비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전성 지지기판과 전극 구조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n active layer 12, an n-type GaN layer 11, and an uneven pattern layer 14 sequentially formed on the p-type GaN layer 13.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the electrode structure, and the like are not shown.

상기 요철 패턴층(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n형 GaN층(11)과 다른 물질 또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요철 구조(P)의 형태에 따른 광추출효율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요철 구조의 형태에 따른 광추출효율의 변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광추출효율에 대한 수치는 다른 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uneven pattern layer 14 is to improve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or the same material as the n-type GaN layer 11. In this case, a simulation result fo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neven structure 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D. However, these simulation results are intended to explain the variation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neven structure, and the numerical value fo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vary according to changes in other conditions.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패턴이 없는 경우(도 2a, 30.04%)에 비하여 요철 패턴이 있는 경우 광추출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요철 패턴의 단면이 사각형(도 2b, 34.99%)인 경우보다, 삼각형(도 2c, 41.46%) 또는 사다리꼴(도 2d, 42.18%)인 경우 광추출효율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to 2D, when the uneven pattern is presen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uneven pattern (FIG. 2A, 30.04%), and the cross-section of the uneven pattern is square (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higher when the triangle (Fig. 2c, 41.46%) or the trapezoid (Fig. 2d, 42.18%) than the case of Figure 2b, 34.99%).

한편,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상기 요철 패턴은 마이크로 사이즈로서 그 크기가 작을수록 광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철 패턴이 나노사이즈가 되는 경우에는 광추출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even pattern shown in FIGS. 2b to 2d is a micro size, the smaller the size can incre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particular, when the concave-convex pattern becomes nano siz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종래 기술의 경우, 반도체 단결정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건식 및 습식 식각 공정이나 포토 레지스터, 유전체 패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나노사이즈의 요철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나노사이즈의 요철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이 요구된다.In the prior art, the process of forming the uneven pattern on the semiconductor single crystal generally uses a dry and wet etching process, a photoresist, a dielectric pattern, or the like. However, such a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nano-sized concave-convex patter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forming nano-sized concave-convex pattern is required.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사이즈의 요철 패턴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more easily form a nano-sized uneven pattern for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re is.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상에 나노 사이즈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중간층 상에 상기 공극을 채우도록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순차적으로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도전성 지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나노패턴의 노출면을 갖도록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및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Preparing a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growing a porous intermediate layer having nano-sized pores on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and grow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o fill the pores on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Growing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sequentially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Remov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so that the semiconductor layer has an exposed surface of the nanopattern, and forming an electrode in a portion of the exposed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Provided is a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이 경우, 상기 다공성 중간층은 SixC3 - xN2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x는 0 ≤ x ≤ 3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orous interlayer is made of Si x C 3 - x N 2 , where x satisfies 0 ≦ x ≦ 3.

또한, 상기 공극은 다공성 중간층의 성장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것 일 수 있으며, 나노미터 크기 공극이 자발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는, 성장 온도가 900 ~ 1200℃이며, SiH4의 주입량이 50 ~ 500 nmol/min인 조건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중간층의 두께가 5 ~ 100㎚가 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es may be spontaneously formed during the growth of the porous interlayer, the conditions for spontaneously forming nanometer size pores, the step of growing the porous interlayer, the growth temperature is 900 ~ 1200 ℃ , SiH 4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50 to 500 nmol / min. Further, the step of growing the porous interlayer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ous interlayer is 5 ~ 100nm.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상에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버퍼층 상에 성장되는 발광구조물의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efore growing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rowing a buffer layer on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thereby improving crystallinity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grown on the buffer layer.

추가적으로,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2 도전형 질화물층 상에 반사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reflective metal layer on the second conductive nitride layer between the forming of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and the removing of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이 경우, 상기 반사금속층은 Ag, Ni, Al, Ph, Pd, Ir, Ru, Mg, Zn, Pt, Au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lective metal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layer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Ni, Al, Ph, Pd, Ir, Ru, Mg, Zn, Pt, Au, and combinations thereof.

한편,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은 Cu, Ni, Au, W, Ti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Ni, Au, W, Ti and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may be made of nitride.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이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may be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may be a p-type semiconductor lay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나노패턴의 노출면을 갖도록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및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중간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제거한 후,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는, 레이저 리프트오프 공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moving of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such that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has an exposed surface of the nanopattern includes remov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so that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is exposed, and then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It can be carried out by removing the step, in which case, the step of remov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laser lift-off process.

한편,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건식 또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ving of the porous interlayer may be performed by a dry or wet etching proc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전극은 Ni/Au 층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lectrode formed in a portion of the exposed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a Ni / Au lay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3A to 3I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rocesse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a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31) 상에 언도프 GaN층(32)을 성장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3A, the undoped GaN layer 32 is grown on the sapphire substrate 31.

상기 사파이어 기판(31)은, 육각-롬보형(Hexa-Rhombo R3c) 대칭성을 갖는 결정체로서 c축 방향의 격자상수가 13.001Å, a축 방향으로는 4.765Å의 격자 간 거리를 가지며, 사파이어 면방향(orientation plane)으로는 C(0001)면, A(1120)면, R(1102)면 등을 갖는다. 이러한 사파이어 기판(31)의 C면의 경우 비교적 질화물 박막의 성장이 용이하며, 고온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질화물 성장용 기판으로 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단결정 성장용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31)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단결정 성장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SiC, MgAl2O4, MgO, LiAlO2 및 LiGaO2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도 채용이 가능하다.The sapphire substrate 31 is a crystal having hexagonal-Rhombo R3c symmetry and has a lattice constant of 13.001Å in the c-axis direction and 4.765Å in the a-axis direction, and has a sapphire plane direction. An orientation plane includes a C (0001) plane, an A (1120) plane, an R (1102) plane,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C surface of the sapphire substrate 31, the nitride thin film is relatively easy to grow and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 and thus is mainly used as a nitride growth substrate. However,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a substrate for single crystal growing in, Fig substrate made of single crystal growth in general that can be used as SiC, MgAl 2 O 4, MgO, LiAlO 2 and LiGaO 2, etc. employed It is possible.

한편, 상기 언도프 GaN층(32)은 상기 언도프 GaN층(32) 상에서, 이후에 성장 될 반도체 단결정의 격자 결함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결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버퍼층에 해당한다.Meanwhile, the undoped GaN layer 32 corresponds to a buffer layer on the undoped GaN layer 32 to secure excellent crystallinity by minimizing lattice defects of semiconductor single crystals to be grown later.

이어, 도 3b와 같이, 상기 언도프 GaN층(32) 상에 다공성(porous) 중간층(33)을 형성한다.3B, a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s formed on the undoped GaN layer 32.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은 후술할 바와 같이, 발광소자에서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광 출사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공극(h)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극(h)에서 성장된, 구체적으로, 상극(h)을 채우도록 성장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 영역이 요철 패턴이 된다. 나아가,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은 후술할 바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31)을 분리하기 위해 레이저(L)를 조사할 경우, 발광구조물에 레이저가 입사되거나 열이 확산 되는 것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s formed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has a plurality of voids (h). In this case,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region grown in the void h, specifically, grown to fill the upper electrode h becomes an uneven pattern. Further, as described below,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may prevent the laser from enter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or spreading heat when the laser L is irradiated to separate the sapphire substrate 3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은 다수의 공극(h)을 가지는데, 상기 공극(h)은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성장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ous interlayer 33 has a plurality of pores h, which are spontaneously formed during the growth of the porous interlayer 33.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공극(h)은 미리 정해진 형태가 아닌 임의의 형태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형태로 패터닝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voids h may be formed in any shape other than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orming by patterning in a predetermined form.

나아가, 상기 공극(h)은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n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나노사이즈(w)의 요철 패턴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void h has a size in nanome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even pattern of the nanosize w can be more easily formed in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이 경우,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에 자발적으로 공극(h)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SiH4의 주입량을 50 ~ 500 nmol/min로 하여 성장 온도가 900 ~ 1200℃인 조건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성장 시간은 10 ~ 300초가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두께는 약 5 ~ 100㎚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void h to be spontaneously formed in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the SiH 4 may be grown at a growth temperature of 900 to 1200 ° C. with an injection amount of 50 to 500 nmol / min. Furthermore, the growth time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s preferably 10 to 300 seconds, an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may be about 5 to 100 nm.

덧붙여, 자발적으로 공극이 형성될 수 있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을 이루는 물질은 SixC3 - xN2 일 수 있으며, 여기서 x는 0 ≤ x ≤ 3 을 만족한다.In addition, as a condition for being in a void spontaneously be formed, the material forming the porous middle layer 33 is Si x C 3 - may be an N x 2, wherein x satisfies 0 ≤ x ≤ 3.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도 4a는 다공성 중간층의 상면을 촬영한 AFM(Atomic Force Microscope) 사진이다. 상기 AFM 사진은 5×5 ㎛2 사이즈에 해당한다. Figure 4a is an AFM (Atomic Force Microscope) photograp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The AFM photograph corresponds to a 5 × 5 μm 2 size.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AFM 사진에서 다수의 그레인(grain) 형태로서 밝게 보이는 부분이 다공성 중간층(33)이며, 어두운 부분은 언도프 GaN층(32)이다. 이 경우, 상기 언도프 GaN층(32)이 보이는 어두운 부분이 공극에 해당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공극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 brightly visible portion of the grains in the AFM image is a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nd a dark portion is an undoped GaN layer 32. In this case, the dark portions where the undoped GaN layer 32 is visible correspond to the voids, an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voids are irregularly formed.

한편, 도 4b는 상기 AFM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일 단면 에서의 높낮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상면 높이를 기준으로 극소점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부분이 공극(h)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b shows the height in one cross section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by analyzing the AFM image. A portion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 minimum point based on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s a void h.

도 4b의 단면 분석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은 각각의 그레인의 폭이 약 250㎚ 정도이고, 두께가 약 30㎚, 인접한 그레인 간의 거리는 약 100㎚ 정도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f FIG. 4B,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has a width of about 250 nm, a thickness of about 30 nm, and a distance between adjacent grains of about 100 nm.

즉, 다공성 중간층(33)이 임의의 형태로 형성된 나노사이즈 공극을 가지고 성장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은 불규칙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사이즈(w) 공극(h)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다공성 중간층(33) 상에 성장되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에는 상기 공극(h)과 같은 형태의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s grown with nano-sized pores formed in any shap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A,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has a plurality of nanosize (w) pores (h) formed irregularly. Accordingly, a nano-size concave-convex patter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void h may be formed in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grown on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성장 공정 후, 도 3c와 같이, 다공성 중간층(33) 상에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을 성장시킨다. 이 경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은 다공성 중간층(33)의 공극을 채우도록 성장된다. 즉,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은 상기 공극을 통하여 상기 언도프 GaN층(32)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After the growth process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s shown in Figure 3c,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is grown on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n this case,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is grown to fill the pores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That is,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ndoped GaN layer 32 through the gap.

이와 같이,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의 나노사이즈 공극을 채우도록 성장됨에 따라,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에서 성장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극에 대응하여 나노사이즈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이 형성된 면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31) 및 다공성 중간층(33)의 제거와 함께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광 출사면이 된다. 따라서, 수직구조 발광 소자에 있어서 광추출효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as it is grown to fill the nano-size pores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 nano-sized uneven pattern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growth starts in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corresponding to the pores. The surface on which the nano-sized uneven pattern is formed becomes a light exit surface in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ith the removal of the sapphire substrate 31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mprovement effect can be obtained in the vertical structure light emitting device.

다음으로, 도 3d와 같이,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 상에 순차적으로 활성층(35)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36)을 성장시켜 발광구조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구조물'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 활성층(35), p형 질화물 반도체층(3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구조물 의미한다. Next, as illustrated in FIG. 3D, the active layer 35 and the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6 are sequentially grown on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to form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the active layer 35, and the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6.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34, 36)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n형 불순물 및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GaN, AlGaN, InGaN이 있다. 또한, 상기 n형 불순물로 Si, Ge, Se, Te 또는 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p형 불순물로는 Mg, Zn 또는 Be 등이 대표적이다.The n-type and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s 34 and 36 are Al x In y Ga (1-xy) N composition formulas, where 0 ≦ x ≦ 1, 0 ≦ y ≦ 1, and 0 ≦ x + y ≦ 1. N-type impurity and p-type impurity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material doped, and typically GaN, AlGaN, InGaN. In addition, Si, Ge, Se, Te or C may be used as the n-type impurity, and the p-type impurity may be representative of Mg, Zn or Be.

상기 활성층(35)은 단일 또는 다중 양자 웰 구조를 갖는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되며,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소정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방출한다.The active layer 35 is composed of an undoped nitride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single or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 and emits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energy by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한편, 상기 언도프 GaN층(32),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34, 36), 활성층(35)은, 단결정 성장 공정, 특히, 질화물 단결정 성장 공정으로서 공지된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OCVD), 분자빔성장법(MBE) 및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VPE) 등의 방법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doped GaN layer 32, the n-type and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s 34, 36, and the active layer 35 have an organometallic vapor deposition method (MOCVD) known as a single crystal growth process, in particular, a nitride single crystal growth process. ), Molecular beam growth (MBE) and hybrid vapor deposition (HVPE).

이어, 도 3e와 같이,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36) 상에 순차적으로 반사금속층(37) 및 도전성 지지기판(38)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E,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and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8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6.

상기 반사금속층(37)은 수직구조의 발광소자에서, 상기 활성층(35)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6) 방향으로 반사하는 기능을 하며, 70%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functions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35 toward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6 in a vertical light emitting device, and preferably has a reflectance of 70% or more. .

또한, 상기 반사금속층(37)은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36)과 오믹콘택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functions to form an ohmic contact with the p-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6.

이러한 상기 반사금속층(37)의 반사와 오믹콘택 기능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반사금속층(37)은 Ag, Ni, Al, Rh, Pd, Ir, Ru, Mg, Zn, Pt, Au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금속층(37)은 통상적인 금속층 성장방법인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Considering the reflection and ohmic contact functions of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is formed of Ag, Ni, Al, Rh, Pd, Ir, Ru, Mg, Zn, Pt, Au,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is preferably formed of at least one layer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may be formed by a deposition method or a sputtering process, which is a conventional metal layer growth method.

다만, 상기 반사금속층(37)은 광추출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채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므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채용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is adopted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is not an essential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not be employed in other embodiments.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38)은 최종 수직구조 발광소자에 포함되는 요소로서, p측 전극 역할과 함께 상기 발광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후술할 레이저리프트 오프 공정 등으로 상기 사파이어 기판(31)을 제거할 시에,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38)에 의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상기 발광구조물을 보다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8 is an element included in the final vertical structure light emitting device, and serve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p-side electrode. In particular, when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removed by a laser lift-off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emitting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may be more easily handled by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8.

상술한 기능들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38)으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물질로는 Si, Cu, Ni, Au, W, Ti 및 그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 material preferably used as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8 may be Si, Cu, Ni, Au, W, Ti,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38)이 금속인 경우에는 도금, 증착, 스퍼터링 등의 공정이 가능 하나, 공정 효율상 도금 공정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 공정은 전해도금, 비전해도금, 증착도금 등 금속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도금 공정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도금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전해도금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의 형성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웨이퍼 본딩을 통하여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38)을 상기 반사금속층(37)에 접합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8 is a metal, it is possible to perform plating, deposition, sputtering, or the like, but the plating process is preferable in terms of process efficiency. The plating process includes a known plating process used to form a metal layer, such as electroplating, non-plating, and deposition plating, and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ectroplating method that requires a short plating time.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38 may be bonded to the reflective metal layer 37 through wafer bonding.

다음으로, 도 3f와 같이, 레이저 리프트오프(Laser Lift Off, LLO) 공정에 의해 상기 사파이어 기판(31)을 제거한다. 즉, 상기 사파이어 기판(31) 하면으로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상기 발광구조물, 다공성 중간층(33) 및 언도프 GaN층(32)으로부터 사파이어 기판(31)을 제거한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빔(L)은 사파이어 기판(31)의 전면에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파이어 기판(31) 상에 형성된 최종 발광소자의 크기로 분리될 수 있도록 발광구조물 각각에 복수 회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s shown in FIG. 3F,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removed by a laser lift off (LLO) process. That is,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remov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nd the undoped GaN layer 32 by irradiating a laser beam 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apphire substrate 31. In this case, the laser beam L is not irradiat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sapphire substrate 31, but irradiated a plurality of times to each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s so as to be separated into the size of the final light emitting device formed on the sapphire substrate 31. It is preferable.

한편, 상기 사파이어 기판(31)을 제거하는 단계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레이저 리프트오프 공정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기계적 또는 화학적 공정을 통하여서도 상기 사파이어 기판(31)의 제거가 가능하다.Meanwhile, the step of removing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preferably a laser lift-off proces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pphire substrate 31 may be removed through other mechanical or chemical processes. Is possible.

상기 사파이어 기판(31)을 제거한 후, 도 3g 및 도 3h와 같이, 언도프 GaN층(32) 및 다공성 중간층(33)을 각각 제거한다. 이는 광 출사면에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을 갖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h는 상기 언도프 GaN층(32)과 다공성 중간층(33)이 모두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After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removed, the undoped GaN layer 32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re removed as shown in FIGS. 3G and 3H, respectively. This is to expose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having a nano-sized uneven pattern on the light exit surface to the outside. FIG. 3H shows a state in which both the undoped GaN layer 32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re removed.

이 경우, 상기 언도프 GaN층(32)과 다공성 중간층(33)를 제거할 수 있는 어떠한 공정도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언도프 GaN층(32)은 유도결합형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에칭(ICP-RIE)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중간층(33)은 건식 또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y process capable of removing the undoped GaN layer 32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may be employed. For example, the undoped GaN layer 32 may be removed by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ive ion etching (ICP-RIE) process,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may be removed by a dry or wet etching process. have.

한편, 상기 다공성 중간층(33) 제거 공정의 경우에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의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까지 제거되는 경우가 최소화 되도록 상기 다공성 중간층(33)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moving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remove only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so as to minimize the case that even the nano-sized uneven pattern of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is remov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이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이 형성된 노출면을 갖기 위한 단계로서, 사파이어 기판(31)을 제거한 후, 언도프 GaN층(32) 및 다공성 중간층(33)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사파이어 기판(31)의 제거 전에, 상기 언도프 GaN층(32) 또는 다공성 중간층(33)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is a step for having an exposed surface on which a nano-sized uneven pattern is formed. After the sapphire substrate 31 is removed, the undoped GaN layer 32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are removed.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a sequential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before removing the sapphire substrate 31,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removing the undoped GaN layer 32 or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33.

마지막으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4)에서 다공성 중간층이 제거된 면, 즉,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이 형성된 면에 n측 전극(39)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n측 전극(39)은 APCVD, LPCVD, PECVD 등을 이용한 금속박막증착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Ni/Au 등으로 이루어진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Finally, the n-side electrode 39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type nitride semiconductor layer 34 from which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is removed,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nano-sized uneven pattern is formed. In this case, the n-side electrode 39 may be formed by metal thin film deposition using APCVD, LPCVD, PECVD, or the like, and a material made of Ni / Au may be employ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는 자발적으로 나노사이즈의 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다공성 중간층을 채용하여 수직구조 발광소자에 있어서 나노사이즈 요철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adopting a porous intermediate layer capable of spontaneously forming nano-sized pores,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the nano-sized uneven pattern in the vertical light emitting device. have.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얻기 위한 공정으로 상기 다공성 중간층 및 발광구조물을 이루는 물질이 질화물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질화물이 아닌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material forming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s nitride as a process for obtaining a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aterials other than nitri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manufactur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not be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ather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ccordingly,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alteration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which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나노사이즈의 요철 패턴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hich can more easily form a nano-sized uneven pattern for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laims (15)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Preparing a substrate for single crystal growth;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상에 나노 사이즈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Growing a porous interlayer having nano-sized pores on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상기 공극을 채우도록 상기 다공성 중간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Grow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on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to fill the voids;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순차적으로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Sequentially growing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도전성 지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나노패턴의 노출면을 갖도록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및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Remov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such that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has an exposed surface of a nanopattern; And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And forming an electrode in a portion of the exposed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공성 중간층은 SixC3 - xN2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x는 0 ≤ x ≤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porous interlayer is made of Si x C 3 - x N 2 , wherein x is satisfied with 0 ≤ x ≤ 3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극은 다공성 중간층의 성장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voi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pontaneously during the growth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는, 성장 온도가 900 ~ 1200℃이며, SiH4의 주입량이 50 ~ 500 nmol/min인 조건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growing of the porous interlayer, the growth temperature is 900 ~ 1200 ℃, SiH 4 injection method of the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of 50 ~ 500 nmol / min.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중간층의 두께가 5 ~ 100㎚가 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growing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the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s carried ou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is 5 ~ 100n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상에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And growing a buffer layer on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before the growing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2 도전형 질화물층 상에 반사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And forming a reflective metal layer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nitride layer between the forming of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and the removing of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Way.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반사금속층은 Ag, Ni, Al, Ph, Pd, Ir, Ru, Mg, Zn, Pt, Au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reflective metal layer includes at least one layer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Ni, Al, Ph, Pd, Ir, Ru, Mg, Zn, Pt, Au and combinations thereof.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전성 지지기판은 Cu, Ni, Au, W, Ti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Wherein the conductive support substrate is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Ni, Au, W, Ti, and combination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질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manufacturing method of a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nitri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이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An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나노패턴의 노출면을 갖도록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 및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하는 단계는,Remov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and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has an exposed surface of a nanopattern, 상기 다공성 중간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제거한 후, 상기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Removing the substrate for single crystal growth such that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is exposed, and then removing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결정 성장용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는, 레이저 리프트오프 공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removing of the single crystal growth substrate is performed by a laser lift-off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다공성 중간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건식 또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Removing the porous intermediate layer is a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a dry or wet etching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전극은 Ni/Au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formed in a portion of the exposed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comprises a Ni / Au layer.
KR1020070044144A 2007-05-07 2007-05-07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887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144A KR100887111B1 (en) 2007-05-07 2007-05-07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144A KR100887111B1 (en) 2007-05-07 2007-05-07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812A true KR20080098812A (en) 2008-11-12
KR100887111B1 KR100887111B1 (en) 2009-03-04

Family

ID=4028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144A KR100887111B1 (en) 2007-05-07 2007-05-07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11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1958B2 (en) 2008-11-25 2012-01-24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144523B1 (en) * 2009-12-04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101179700B1 (en) * 2010-09-01 2012-09-04 (재)한국나노기술원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atterned semiconducto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399948B2 (en) 2009-12-04 2013-03-19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KR20200004713A (en)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905B1 (en) * 2005-02-22 2006-10-11 삼성전기주식회사 Nitride single crystal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38880B1 (en) 2005-08-18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Semiconductor laminated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crystal substrate an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1958B2 (en) 2008-11-25 2012-01-24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144523B1 (en) * 2009-12-04 2012-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US8399948B2 (en) 2009-12-04 2013-03-19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KR101179700B1 (en) * 2010-09-01 2012-09-04 (재)한국나노기술원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atterned semiconducto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00004713A (en)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111B1 (en)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1164B2 (en) Nanostructur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41005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with cellular array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US748548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rtical group III-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TWI482262B (en) Light-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TWI378569B (en) Photonic crystal light emitting device
KR101125395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40209859A1 (en)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244207A (en) Nitride gallium based compound semiconductor luminous element
JP2010537408A (en) Micropixel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20120003119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62037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93747B (en) Light emitting diodes and manufacture thereof
KR10088711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982988B1 (en)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WI591854B (en) Light emitting diode comprising porous transparent electrode
KR100930187B1 (en) Vertic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5165668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9658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84340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ingle crystal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20085027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68864B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86781A (en)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121176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preparing therof
KR102128835B1 (en) Automotive applic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light amplification using graphene quantum dot
KR10084340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ingle crystal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