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547A -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547A
KR20080091547A KR1020070034518A KR20070034518A KR20080091547A KR 20080091547 A KR20080091547 A KR 20080091547A KR 1020070034518 A KR1020070034518 A KR 1020070034518A KR 20070034518 A KR20070034518 A KR 20070034518A KR 20080091547 A KR20080091547 A KR 2008009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erminal
input
characters
g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667B1 (ko
Inventor
김종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6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종류의 문자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되는 문자 중에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거나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눈의 움직임만으로 문자 입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문자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따라 문자를 배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눈, 동공, 홍채, 주시, 선택

Description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 USING LOOK AND PICK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동작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단말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주시되는 문자를 눈 깜빡임으로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단말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는 단말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 패드의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 패드로 구비된 LCD 화면을 눌러야 한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사용자가 정보를 시각적으로 받아들인 후,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을 판단한 다음,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누르거나, 직접 화면을 눌러 선택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 선택 방식은 손가락이 불편한 사용자들에게는 오류를 자주 유발시키게 되고, 문자를 사용자의 시각으로 입력하는 방법과 선택하고자 하는 문자의 번호를 누르는 방법의 차이로 인해 사용자의 동작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에 단말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와 같은 조작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이 저하되어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거나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문자 입력이 용이한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시와 선택에 의한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종류의 문자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문자 중에서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주시와 선택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단말로서, 눈의 움직임을 인지하는 카메라와,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상기 문자 종류와 선택된 상기 문자 종류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 문자가 주시 중에 눈 깜빡임이 인지되면 상기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시(Look)"라는 용어는 어떤 목표물에 주의를 집중하여 보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이용하여 단말의 표시부에 배열되는 문자를 집중하여 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동공이나 홍채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 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오디오 기기,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카메라(101), 영상 처리부(103), 표시부(105), 메모리부(107) 및 제어부(109)의 구성을 갖는다.
카메라(10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101)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카메라(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고, 눈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카메라(101)는 사용자의 두 눈 중에서 하나의 눈을 선택하여 그 움직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카메라(101)는 눈동자의 동공이나 홍채를 인식한다. 카메라(101)는 눈동자가 설정된 시간동안 특정 문자를 주시하는 것과 눈의 깜빡임을 인지한다.
영상 처리부(103)는 카메라(101)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03)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 고, 표시부(105)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05)는 단말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주시와 선택(Look & Pick)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문자 종류 선택창(도 4a의 401 참조), 표시창(도 4a의 403 참조), 입력창(도 4a의 405 참조)을 표시한다. 문자 종류 선택창은 입력할 문자의 종류를 표시한다. 문자 종류 선택창에는 영어 대문자 키, 영어 소문자 키, 한글 키, 특수문자 키가 표시된다. 표시창은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를 표시하고, 입력창은 표시창에 표시된 문자들 중에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문자를 표시한다. 표시부(105)는 사용자에 의해 주시되는 부분에 포커스(도 4a의 407 참조)를 표시한다.
여기서, 문자 종류 선택창에 표시되는 영어 대문자 키, 영어 소문자 키, 한글 키, 특수문자 키는 각 키간 소정 간격을 가진다. 그 이유는 카메라(101)가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인지할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으면, 인지하기 힘든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표시부(105)는 문자 종류 선택창에서 하나의 문자, 예컨대 영어 대문자가 선택되면, 최초에는 임의대로 문자들을 배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이 수행되고, 그 이후에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표시부(105)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문자들을 배열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문자들은 눈 움직임의 인지 효과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 문자들간 간격이 유지되면서 배열된다.
또한, 표시부(105)는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들을 표시 중에, 카메라(101)에 의해 주시가 인지되면, 주시된 문자의 크기를 커지게 하면서 표시부(105)의 중앙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5)는 문자가 주시되는 중에, 카메라(101)에 의해 눈 깜빡임이 인지되면, 주시 중이던 문자를 표시부(105)의 입력창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5)는 특정 문자가 입력창에 표시되면,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다른 문자들을 배열하여 표시한다.
메모리부(107)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7)는 패턴 저장부(117)를 포함한다. 패턴 저장부(207)는 주시와 눈 깜빡임에 의한 문자 입력 패턴을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7)는 카메라(101)가 주시로 인식할 수 있는 주시 시간을 저장한다.
제어부(109)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눈 움직임의 인식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09)는 주시와 선택 모듈(119)을 더 포함하고, 그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어부(109)는 사용자로부터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부(105)에 문자들을 배열한다. 그리고 카메라(101)에 의해 특정 문자에 대한 주시가 인지되면, 제어부(109)는 주시된 문자를 표시부(105)의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그 크기를 크게 한다. 그 후에 제어부(109)는 특정 문자를 주시 중에 카메라(101)에 의해 눈 깜빡임을 인지하면, 그 문자를 표시부(105)의 입력창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주시와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 패턴을 메모리부(107)에 저장한다. 제어부(109)는 주시와 선택에 의해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면,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문자들을 재배열하여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09)는 선택 빈도가 높은 문자들을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9)는 주시 시간을 설정한다. 카메라(101)에 의해 눈이 표시부(105)의 특정 부분을 주시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제어부(109)는 이를 주시로 인지한다.
전술한 단말은 무선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해 RF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RF 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문자 입력이 문자 메시지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RF 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단말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제어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부(109)는 주시와 선택 모듈(Look & Pick module; 119)을 포함한다.
주시와 선택 모듈(119)은 움직임 획득부(movement grabber; 201), 통계적 패턴 분석부(statistical pattern analyzer; 203), 패턴 발생부(patterns generator; 205) 및 수행부(executive; 207)를 포함한다. 움직임 획득부(201)는 눈의 움직임 좌표를 획득하여, 선택된 문자의 입력 패턴을 패턴 저장부(117)에 저장한다. 그리고 통계적 패턴 분석부(203)는 패턴 저장부(117)에 저장된 문자 입력 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패턴 발생부(205)는 통계적 패턴 분석부(203)로부터 분석된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패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수행부(207)는 패턴 발생부(203)로부터 발생된 패턴에 따라 문자를 표시부(105)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그 크기를 크게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단말의 동작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시와 선택에 의한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9)가 단말의 대기 모드를 인지한다(S301).
이어서, 제어부(109)는 사용자에 의해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여기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거나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에 용이한 것이고, 키입력부가 없을 수도 있으므로, 본 과정은 제어부(109)가 카메라(101)에 의 한 눈 움직임을 인지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9)는 표시부(105)에 표시되는 메뉴가 주시됨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표시되는 기능들 중에서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주시됨을 인지하여 본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제어부(109)는 표시부(105)에 문자 종류 선택창, 표시창, 입력창을 표시한다(S305). 본 과정의 동작 화면이 도 4a에 도시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부(105)에 문자 종류 선택창(401), 표시창(403), 입력창(405)이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부(105)에는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됨을 확인하는 확인(409) 키가 소프트키와 같은 형태로 표시된다.
문자 종류 선택창(401)에는 입력할 문자의 종류, 즉 영어 대문자 키, 영어 소문자 키, 한글 키, 특수문자 키가 표시된다. 표시창(403)에는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가 표시되고, 입력창(405)에는 표시창(403)에 표시된 문자들 중에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문자가 표시된다. 여기서, 문자 종류 선택창(401)에 표시되는 영어 대문자 키, 영어 소문자 키, 한글 키, 특수문자 키는 각 영역 간 소정 간격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어부(109)는 문자 종류 선택창(401)에 표시된 문자의 종류 중에서 원하는 문자 종류가 주시되고, 눈 깜빡임이 인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7). 제어부(109)는 문자 종류 선택창(401)에 표시되는 영어 대문자 키, 영어 소문자 키, 한글 키, 특수문자 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문자 종류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4a는 영어 대문자 키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다. 표시 부(105)에는 사용자에 의해 주시되는 부분, 즉 영어 대문자 키에 포커스(407)가 표시된다.
눈 깜빡임을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9)는 전술한 S305 과정으로 복귀한다. 반면에, 눈 깜빡임을 인지하면, 제어부(109)는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를 표시부(105)에 배열하여 표시한다(S309). 문자 종류 선택창(401)에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영어 대문자 키가 선택되고, 영어 대문자들이 표시창(403)에 표시된 화면이 도 4b에 도시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9)는 영어 대문자들을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09)는 문자 배열 시, 최초에는 임의대로 배열한다. 이 때, 제어부(109)는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문자들일수록 그 크기를 크게 하여 배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주 사용되는 문자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문자들은 카메라(101)에 의한 눈 움직임의 인지 효과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 제어부(109)는 문자들간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한다.
이어서, 제어부(109)는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문자가 주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1). 제어부(109)는 카메라(101)에서 사용자가 특정 문자를 주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9)는 특정 문자, 예컨대 'M'이 사용자에 의해 주시됨을 인지하고, 'M'에 포커스를 표시한다.
원하는 문자가 주시됨을 인지하면, 제어부(109)는 주시된 문자의 크기를 크게 하여 표시부(105)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킨다(S313).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9)는 'M'의 크기를 크게 하고, 'M'을 표시부(105)의 중앙 부분에 배 열한다. 이 때, 문자의 이동은 애니메이션 플레이(animation play)와 같이, 2 차원이나 3 차원 효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9)는 표시부(105)의 중앙 부분에 배열된 문자를 주시 중에, 눈 깜빡임이 인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5). 제어부(109)는 카메라(101)에 의해 'M'을 주시 중에 눈 깜빡임이 인지되는지 확인한다.
눈 깜박임을 인지하면, 제어부(109)는 눈 깜빡임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표시부(105)의 입력창에 표시하고, 문자 입력 패턴을 메모리부(107)의 패턴 저장부(207)에 저장한다(S317). 눈 깜빡임에 의해 선택된 문자가 도시된 화면이 도 4c에 도시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을 주시 중에 눈 깜빡임이 인지되면, 제어부(109)는 'M'을 선택하여, 이를 입력창에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09)는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S319).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109)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종류 선택창이 주시되는지 확인한다(S321). 즉, 제어부(109)는 전술한 S307 과정에서 S317 과정으로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다른 문자 종류가 선택되어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지 확인한다. 문자 종류 선택창이 주시됨을 확인하면, 제어부(109)는 전술한 S309 과정으로 복귀한다.
한편, 문자 종류 선택창이 주시됨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9)는 선택된 문자 이후에 선택 빈도가 높은 문자들을 표시부(105)의 중앙 부분에 배열한다(S323). 'M' 이후에 선택 빈도가 높았던 문자들이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는 화면이 도 4d에 도시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 이후에 선택 빈도가 높았던 모음들이 표시창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411)한다.
그 후에, 전술한 S311 과정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9)는 'E'가 주시됨을 인지한다. 이어서, S313 과정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9)는 'E'를 그 크기를 크게 하여 표시창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S315 과정으로 제어부(109)는 눈 깜빡임을 인지하고, 'E'를 표시부(105)의 입력창에 표시함과 동시에 그 입력 패턴을 메모리부(107)에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S303 과정에서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됨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9)는 주시 시간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5).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01)에 의해 사용자의 동공이나 홍채를 인식하여 주시됨을 인지하기 위해, 제어부(109)는 어느 시간까지 주시되는 것을 전술한 주시로 인식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간을 설정한다.
주시 시간을 설정하고자 함을 확인하면, 제어부(109)는 시간이 설정됨을 확인한다(S327).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가 눈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가 선택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대신에 표시부 전체에 눈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할 수도 있다. 즉, 표시부에서 바로 어떤 문자가 주시되는지 그리고 어떤 문자를 주시 중에 눈 깜빡임이 인지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주시된 문자가 표시부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시된 문자들이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지 않고, 주시된 그 부분에서 크기만 커짐으로써, 눈 깜빡임으로 인해 주시된 문자가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눈이 표시부를 주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카메라에 의해 인지되는 눈의 움직임이 표시부를 벗어나면, 전술한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시키거나, 입력된 문자를 모두 지우고 초기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 대문자가 선택된 경우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어 소문자, 한글, 특수 문자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한글이 삼성자의 천지인 배열인 경우에 한글이 선택되면, 먼저 한글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표시부에 'ㅣ', '·', 'ㅡ',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ㅋ'을 입력하고자 하면, 'ㄱ'을 주시 중에 눈을 두 번 깜빡이고, 'ㄲ'을 입력하고자 하면, 'ㄱ'을 주시 중에 눈을 세 번 깜빡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거나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눈의 움직임만으로 문자 입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문자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따라 문자를 배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7)

  1. 주시와 선택에 의한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종류의 문자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문자 중에서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입력 후에,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에 의한 문자 입력 패턴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입력된 문자 이후에 통계적으로 자주 입력된 문자들이 상기 표시부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상기 입력할 문자의 종류를 표시하는 문자 종류 선택창, 상기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창,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문자들 중에서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문자들의 크기가 다른 문자들의 크기보다 커지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의 인지는,
    상기 눈의 동공 또는 홍채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알파벳,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주시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9. 눈의 움직임을 인지하는 카메라와,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상기 문자 종류와 선택된 상기 문자 종류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 문자가 주시 중에 눈 깜빡임이 인지되면, 상기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에 의한 문자 입력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눈의 움직임 좌표를 획득하는 움직임 획득부와,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입력 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통계적 패턴 분석부와,
    상기 통계적 패턴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패턴을 발생시키는 패턴 발생부와,
    상기 패턴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패턴에 따라 문자를 표시부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주시와 선택에 의한 문자 입력 모드 시, 상기 입력할 문자의 종류를 표시하는 문자 종류 선택창, 상기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창,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문자들 중에서 상기 주시와 눈 깜빡임으로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 시, 상기 이동하는 문자들 의 크기를 다른 문자들의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눈의 동공 또는 홍채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알파벳,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특정 문자가 주시됨을 인지하면, 상기 주시 중인 문자에 포커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시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 특정 문자가 주시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70034518A 2007-04-09 2007-04-09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41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518A KR101410667B1 (ko) 2007-04-09 2007-04-09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518A KR101410667B1 (ko) 2007-04-09 2007-04-09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47A true KR20080091547A (ko) 2008-10-14
KR101410667B1 KR101410667B1 (ko) 2014-06-24

Family

ID=4015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518A KR101410667B1 (ko) 2007-04-09 2007-04-09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128A (ko) * 2009-07-29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오브젝트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1331055B1 (ko) * 2010-08-18 2013-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 주의 분석에 근거한 시각 보조 시스템 및 상기 시각 주의 분석을 이용한 시각 보조 방법
KR20160022329A (ko) * 2016-02-05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오브젝트 탐색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801A (ja) * 1996-11-27 1998-06-19 Sony Corp 入力装置
JPH10260773A (ja) * 1997-03-19 1998-09-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22538A (ko) * 2001-09-11 2003-03-17 김태용 시점 추적 좌표 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
JP2003280805A (ja) * 2002-03-26 2003-10-02 Gen Tec:Kk データ入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128A (ko) * 2009-07-29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오브젝트 탐색 장치 및 방법
US9261958B2 (en) 2009-07-29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digital object using gaze information of user
KR101331055B1 (ko) * 2010-08-18 2013-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 주의 분석에 근거한 시각 보조 시스템 및 상기 시각 주의 분석을 이용한 시각 보조 방법
KR20160022329A (ko) * 2016-02-05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오브젝트 탐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667B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63437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원격 입력 방법
Tarasewich Wireless device for mobile commerce: User interface design and usability
KR102250599B1 (ko)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JP2019523898A (ja) 盲人または視覚障害者用コンピューティング機器のマルチメディアを管理するためのツール
CN101739149B (zh) 一种触摸笔及控制触摸笔的方法
Kuber et al. Determining the accessibility of mobile screen readers for blind users
CN112817443A (zh) 基于手势的显示界面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60070464A1 (en) Two-stage, gesture enhanced input system for letters, numbers, and characters
EP321151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Lee et al. Vouch: multimodal touch-and-voice input for smart watches under difficult operating conditions
KR101410667B1 (ko) 단말 및 주시와 선택에 의한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7093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US12013987B2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US20230009807A1 (en) Text entry method and mobile device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7037583A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システム
EP311586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50071597A (ko) 데이터 실행 장치
KR20160148567A (ko)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JP4728992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方法
CN212460508U (zh) 一种便携式智能通讯***
CN212460417U (zh) 一种便携式计算通讯一体机
KR20100105236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87033B1 (ko) 특수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의 문자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