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089A -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089A
KR20080088089A KR1020070030498A KR20070030498A KR20080088089A KR 20080088089 A KR20080088089 A KR 20080088089A KR 1020070030498 A KR1020070030498 A KR 1020070030498A KR 20070030498 A KR20070030498 A KR 20070030498A KR 20080088089 A KR20080088089 A KR 2008008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headset
information
tag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민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8089A/ko
Publication of KR2008008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은 헤드셋만을 이용하여 키워드 음성인식 기반으로 다수개의 음원 중 하나를 선곡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음원의 태그 수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헤드셋은 MP3 모듈, 음성 인식 모듈, 음원 선곡부 및 태그 명 수정부를 포함하며,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DB 및 선곡 또는 태그 명을 수정할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블루투스, 헤드셋, 셔플, 태그 수정

Description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HEADS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셋 제어부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P3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중 음원 선곡 기능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음원 선택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P3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의 태그 수정을 위한 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태그 명 수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적으로 MP3 기능 구현이 가능이 헤드셋에서의 음원 선곡 및 음원의 태그 변경이 가능한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이동의 편리함 등의 기능에 힘입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전자기기 제품 중 하나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 및 이동뿐만 아니라,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옵션 예를 들면, MP3 기능, DMB 기능, 동화상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이 추가되어 그 이용영역이 더 없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의 옵션 기능은 일반적으로 화상과 함께 소리를 재생하게 되는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소리를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소리 정보를 언제든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피커의 이용은 자신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인원들에게까지 소리 정보를 전달하게 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된 소리 정보가 타 인원에게 노이즈로 작용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어 폰 또는 헤드셋이 개발되어 보급되었으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이어 폰 또는 헤드셋의 이용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소리 정보를 고립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헤드셋은 점차적으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더욱 유용한 제품으로서 거듭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헤드셋은 휴대 단말기의 음성 통화를 무선으로 지원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휴대 단말기의 음원 재생에 따른 음악 청취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셋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보조 옵션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에 부가적으로 동작하는 기기이다. 이에 따라, 종래 헤드셋의 영역 을 넓혀 보다 폭넓은 적용사례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상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 기능을 가지며, MP3 기능의 음원 선곡 기능, 음원의 태그 변경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P3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은 음원 재생을 위한 음원 재생 모듈; 음성 인식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음원 재생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의 활성화 및 상기 음원 선택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음원 선택을 위한 선택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인식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음성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에 매칭되는 음원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헤드셋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운용방법은, 키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을 이용하여 재생할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운용 방법은, 키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을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음원 재생 중 상기 음원의 태그 명 수정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할 수정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정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운용방법은, 저장된 다수개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키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음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선택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상기 음성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음원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음원의 태그에 기입할 수정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정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인식된 수정 정보를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은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통화음 또는 음원 재생 음을 수신 및 전달하는 오디오 전달 기능과, 소리 재생 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MP3 기능,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선곡할 수 있는 음원 선곡 기능, 음원 재생 중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음원의 태그 명을 수정할 수 있는 태그 명 수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태그 명 수정 기능에 있어서, 태그 타입은 음원의 특성 예를 들면, 곡명, 가수 명, 장르, 제작 년일시, 저장 년일시 및 앨범 등의 정보를 저장한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음원의 헤더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헤드셋의 통신은 블루투스 칩을 이용한 통신을 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은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지그비, UWB(Ultra Wide Band), 인프라 레드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라면 어떠한 통신모듈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은 헤드셋 제작 시에 입력될 수 도 있으나,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 후,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메모리에 특정 음원이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모듈, 음성 인식 DB도 상기 음원과 동일하게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거나, 헤드셋 제작 시 기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 인식 DB의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헤드셋과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헤드셋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가지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휴대 인터넷 단말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드셋(100)은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 오디오 신호를 재생 및 수집하는 오디오 처리부(130), 키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120),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40) 및 제어를 위한 헤드셋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헤드셋(100)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전달 기능과, 헤드셋 자체에 저장된 데이터 즉 음원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재생하는 MP3 기능 및 재생할 음원을 선곡하는 선곡 기능,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들의 태그를 수정할 수 있는 태그 수정 기능을 가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UWB(Ultra Wide Band) 통신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보급률을 고려하여 블루투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이 블루투스 모듈로 형성되는 경우 음원전송을 위하여 블루투스 코딩 방식의 표준인 SBC(Sub Banding Coding) 디코더 및 디코딩된 신호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SP는 음성인식 처리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헤드셋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DSP는 상기 SBC 디코더가 디코딩하거나, 오디오 처리부(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노 타입 또는 스테레오 타입으로 신호처리하거나, 디코딩된 데이터를 믹싱하여 헤드셋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은 휴대 단말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은 상기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오디오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은 상기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음성 인식에 필요한 음성 인식 DB 및 음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블루투스는 근거리, 일대다,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에 대한 표준이다. 상기 블루투스는 약 10cm에서 10m에 이르는 거리 내의 단말기 간 통신이 가능하고, 전파를 높이면 100m까지도 확장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 (2.402GHz ~ 2.480GHz)을 이용하며, 1Mbps의 전송 속도와, 간섭방지를 위한 주파수 호핑 방식 (79/23 hop, 1600 hop/sec)을 이용하며, 저 소비 전력(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이 가능하고, 전송거리 10m 및 Option으로 100m까지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역에 있어서 2.4GHz~2.402GHz 사이의 로우 가드 밴드와, 2.48GHz~2.4835GHz 사이의 업 가드 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송신 파워에 따라 클래스로 구분되며, 클래스 1,2,3의 송신 파워는 각 100mW, 2.5mW, 1mW로 정의 된다. 또한 블루투스는 GFSK (Gua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이용하며 A-Law, u-Law PCM, CVSDs(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3채널의 Voice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보안 시스템 VCR on/off 등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IEEE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직접 확산 스펙트럼(DS-SS)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250kbps이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통화에 필요한 음성 등의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경우, 재생된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고, 이를 헤드셋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0)는 상기 헤드셋 각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키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오디오 전달 기능과, MP3 기능 및 태그 수정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헤드셋 제어 부(150)에 전달한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헤드셋이 오디오 전달 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한 통화기능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 기능에 필요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20)는 헤드셋이 MP3 기능을 수행할 경우, 음원 재생 모듈 예를 들면 MP3 모듈을 재생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및 음원 재생 제어에 필요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헤드셋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상기 음원 재생 제어는 음원의 시작, 빨리 감기, 되감기, 잠시 멈춤 및 정지 등의 재생 제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20)는 상기 오디오 전달 기능 또는 MP3 기능 수행 중에 태그 수정 기능 전환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태그 수정 기능은 상기 MP3 기능 활성화 기간 중 옵션 기능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헤드셋의 경우, 그 수가 제한적이고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헤드셋의 각 기능 전환에 따른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키 매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0)는 별도의 키 마련 없이, 동일키의 누름 시간 즉, 롱 키 또는 숏 키에 따라 다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도 있다. 여기서 롱 키는 키를 길게 누르는 것, 숏 키는 키를 짧게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메모리(140)는 헤드셋 운용에 필요한 운영 체제를 저장하여, 헤드셋 턴-온 시 상기 헤드셋을 초기화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4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0)이 수신한 데이터 예를 들면, 음원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메모리(140)는 MP3 기능 수행을 위한 MP3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MP3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은 MP3 기능 활성화, 음원 선곡 또는 태그 명 수 정 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에 로딩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40)는 음성 인식 모듈을 지원하기 위한 음성 인식 DB(Data 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키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오디오 전달 기능과 MP3 기능, 선곡 기능 및 태그 명 수정 기능의 전환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전환된 각각의 오디오 전달 기능, 선곡 기능, 태그 명 수정 기능 및 MP3 기능에 필요한 신호흐름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MP3 기능, 음원 선곡 기능 및 태그 명 수정 기능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MP3 기능, 음원 선곡 기능 선택 시 메모리(140)에 저장된 MP3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을 로딩하여, 음성 인식 기반으로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을 선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태그 명 수정 기능 선택 시 메모리(140)에 저장된 MP3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로딩하여 태그 명 수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모듈(152), 음성 인식 모듈(154), 음원 선곡부(156) 및 태그 수정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P3 모듈(152)은 헤드셋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을 음원 재생의 MP3 기능 또는 음원 선곡 기능으로서 이용하기 위해 키입력신호를 생성하면, 메모리(140)로부터 헤드셋 제어부(150)에 로딩된다. 이러한 MP3 모듈(152)은 셔플(Shuffle) 모드와 선곡 모드를 지원한다. 셔플 모드는 상기 MP3 모듈(152)이 디폴트(Default)로 지원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러한 셔플 모드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선곡 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재생하는 모 드이다. 상기 선곡 모드에 대해서는 음원 선곡부(156)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셔플 모드 및 상기 선곡 모드의 전환은 키입력부(120)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드 전환은 셔플 모드가 디폴트로 제공될 경우, 키입력부(120)의 특정 키를 길게 누를 경우, 셔플 모드에서 선곡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MP3 모듈(152)은 음원 재생 시, DSP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기능 또는 모노 기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은 DSP가 처리한 수집 음성을 음성 인식 DB를 기반으로 음성 인식한다. 이러한, 음성 인식 모듈(154)은 한국어 음성 인식 시 먼저, 음절의 음소 즉, 초성, 중성 및 종성을 각각 구분하여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은 상기 구분된 음소를 이용하여 음절을 조합하고, 다시 음절을 특정 단어와 매핑하여 최근사치를 선택함으로써,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은 저장된 음성 인식 DB를 기반으로 상기 단어를 문장으로 구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어 음성 인식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인식 DB가 영어, 불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에 대한 DB를 가질 경우,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은 해당 언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은 인식된 단어나 문장을 음원 선곡부(156)에 전달한다.
상기 음원 선곡부(156)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로부터 수신된 단어나 문장을 이용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을 선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140)는 저장된 각 음원에 대한 색인을 별도의 테이블 또는 리스트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인은 상기 음원의 곡명, 년일시, 시간, 음원의 장르, 가수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서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인은 각 카테고리별로 정렬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인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된 정보로서 태그의 타입이 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선곡부(156)는 곡명을 이용하여 음원을 찾을 경우, 부분 단어를 포함하는 곡명들을 선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이 "사랑"이라는 단어를 인식하여 이를 음원 선곡부(156)에 전달하였다고 가정하기로 하자. 이에 따라, 상기 음원 선곡부(156)는 "사랑"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곡명, 가수 등을 선별한다. 다른 예로, 상기 음원 선곡부(156)는 "발라드"라는 단어를 기준으로 음원을 선곡할 경우, 곡명, 가수뿐만 아니라 장르에서 음원을 선곡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선곡부(156)는 이렇게 선곡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리스트화 하고, 이를 상기 MP3 모듈(152)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MP3 모듈(152)은 선곡된 음원들을 검출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P3 모듈(152)은 검출된 음원들을 셔플 기능 기반으로 무작위로 재생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음원 선곡부(156)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이 전달한 단어나 문장에 해당하는 음원이 없는 경우, 이를 기 설정된 음성 등으로 알람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의 태그를 수정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태그 수정부(158)는 헤드셋이 턴-온 된 상태 또는 특정 음원을 재생하는 MP3 기능으로부터 키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기능 전환된다. 상기 태그 수정부(158)의 태그 명 수정 기능은 상기 MP3 기능 활성화 기간 중에는 옵션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태그 수정 기능 활성화 시, 음성 인식 모듈(154)로부터 전달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음원을 선별한다. 이후,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선별된 음원에 사용자가 원하는 태그 명을 기입한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키입력부(120)로부터 태그 수정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키입력신호가 전달되면 활성화된다. 이후, 사용자가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음성을 전달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은 인식한 단어나 문장을 상기 태그 수정부(158)에 전달한다.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로부터 단어나 문장을 전달받은 경우, 해당 음원을 선곡한다. 해당 음원이 다수 개일 경우,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이를 음성 등으로 알람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음원이 다수 개일 경우, 상기 음원들 전체를 하나의 태그 명으로 수정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각각의 음원별로 태그 명 수정을 원하는 키입력부(120)의 키입력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보다 상세한 음원 관련 추가 정보 예를 들면 전체 곡명, 가수 + 부분 곡명, 장르 + 가수 + 부분 곡명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음원 또는 음원 그룹이 태그 명을 수정하기 위해 선택되면, 수정할 태그 명을 음성 인식 모듈(154)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상기 음원 및 음원 그룹들의 각 태그에 기입한다. 상기 태그 수정부(158)는 MP3 기능에 의해 특정 음원이 재생되는 중에 태그 수정을 위한 키입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태그 명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헤드셋의 운용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헤드셋의 운용방법에 대해서 음원 선곡 기능과 음원의 태그 명 수정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운용방법 중 음원 선곡 기능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원 선곡 기능에 따른 헤드셋 운용방법은 먼저, 헤드셋 제어부(150)가 MP3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입력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101).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전달 기능, 음원 재생의 MP3 기능, 음원 선곡 기능 및 태그 명 수정 기능 중 상기 MP3 기능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S101 단계에서, MP3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입력신호가 발생하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MP3 모듈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에 로딩하여 활성화 한다(S102). MP3 기능 선택을 위한 키입력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기능 예를 들면, 볼륨 업/다운, 헤드셋 턴-온/턴-오프, 오디오 전달 기능 및 태그 명 수정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S103).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MP3 모듈(152)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음원 선곡을 위한 키입력신호 발생여부를 확인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신호가 음원 선곡이 아닌 음원 재생을 위한 키입력신호일 경우(S105),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셔플 기능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들을 무작위로 재생한다(S106). 상기 S105 단계에서 음원 재생 위한 키입력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입력된 키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S103 단계로 분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4 단계에서, 음원 선곡을 위한 키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 모듈(154)을 활성화한다.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원 선곡을 위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 입력받는다(S108). 그리고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을 기반으로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도록 제어한다(S109).
예를 들면, 특정 키입력부(120)의 키가 숏 키로 입력된 경우,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MP3 모듈(152)의 셔플 기능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들을 무작위로 재생한다. 한편,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키입력부(120)의 키가 롱 키로 입력된 경우, 음원 선곡을 위한 신호로 인식하여, 음성 인식 모듈(154)을 활성화 하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른 음성 인식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 인식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인식 DB를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찾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의 결과로 획득된 단어나 문장을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과 비교 검출한다(S110).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검출된 음원 또는 음원들을 재생한다(S111). 여기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검출된 음원이 다수 개일 경우, 상기 다수 개의 음원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거나, 무작위로 재생할 수 있다. 음성 인식된 결과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 비교를 위하여, 상기 음원은 색인들을 테이블이나 리스트 형태로 정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110 단계에서,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으로 획득된 상기 단어나 문장이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과 대비되는 항목이 없을 경우, 이를 음성 등으로 알람할 수 있다(S112).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선택 정보를 음성으로 수신하는 S108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음원이 복수 개일 경우, 하나의 음원을 검출하기 위한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헤드셋 사용자는 검출된 음원이 복수 개일 경우(S201), 복수 개의 음원 중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원에 대한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헤드셋 제어부(150)는 복수개의 음원이 검출된 상태에서,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키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고(S202), 상기 추가 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S203). 상기 S202 단계에서 복수개의 음원 중 하나의 음원 선택을 위한 키입력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S111 단계로 분기하여 복수개의 음원을 검출된 순서대로 재생하거나, 셔플 기능에 따라 무작위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수신된 추가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S204), 그 결과를 상기 검출된 복수개의 음원과 비교한다(S205).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인식된 추가 정 보와 매칭된 음원을 검출한다(S206).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검출된 음원이 다시 복수 개 여부를 확인하고(S207),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S201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추출된 음원을 자동 또는 수동 즉, 입력되는 키입력신호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S208). 이때, 상기 추가 정보는 전체 곡명, 가수명과 부분 곡명, 가수명과 장르 및 부분 곡명 등 다양한 정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태그 수정을 위한 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태그 수정 방법은, 먼저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전달 기능, 음원 재생의 MP3 기능, 태그 명 수정 기능 중 상기 태그 명 수정 기능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검출한다(S301).
상기 S301 단계에서, 태그 명 수정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입력신호가 발생하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인식 모듈(154)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에 로딩하여 활성화 한다(S302). 태그 명 수정 기능 선택을 위한 키입력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기능 예를 들면, 볼륨 업/다운, 헤드셋 턴-온/턴-오프, 오디오 전달 기능 및 MP3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S303).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태그 명 수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태그 명을 수정할 음원을 선택하는 음성 신호 입력을 수신한다(S304). 상기 헤드셋 제어 부(15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듈(154)을 기반으로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도록 제어한다(S305). 다음으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의 결과로 추출된 단어나 문장과 매칭되는 음원을 메모리(140)로부터 검출한다(S306). 상기 S306 단계에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검출된 음원이 단수 개인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7). 단수 개일 경우,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검출된 음원이 있음을 음성 등으로 알람한다(S308). 상기 알람하는 S308 단계는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수정할 태그 명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 입력을 수신한다(S309). 여기서, 상기 음성 신호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는 음원이 검출된 상태를 헤드셋 제어부(150)로부터 확인하고, 그에 따른 확인 즉, 태그 명 수행을 진행할지 여부를 키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셋 사용자는 음원 검출 확인 이후, 태그 명을 수정할지 여부를 키입력부(120)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한편,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신호 입력을 수신한 경우, 이를 음성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한다(S310). 그리고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인식된 단어나 문장을 상기 검출된 음원의 태그에 기입한다(S311).
상기 S307 단계에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검출된 음원이 복수 개일 경우, 이를 음성 등으로 헤드셋 사용자에게 알람한다(S312).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헤드셋 사용자의 태그 명 변경을 복수개의 음원에 모두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한다(S313). 상기 S313 단계에서 복수개의 음원에 대한 태그 명 변경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S309 단계로 분기하여 진행하되, 상기 S311 단계에 서 검출된 모든 음원들의 태그 명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S313 단계에서, 상기 헤드셋 사용자가 단수개의 음원의 태그 명 변경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복수개의 음원 중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S314), S307 단계로 분기한다. 상기 S314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하게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정보를 음성 신호로 입력 받아, 이를 음성 인식한다.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된 결과와 상기 검출된 복수개의 음원들의 태그 명 예를 들면, 음원의 곡명, 가수 명, 장르, 년일시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고, 매칭되는 결과를 검출한다. 상기 헤드셋 사용자는 하나의 음원 선택을 위해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원을 선곡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저장된 음원의 태그 명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헤드셋의 태그 명 수정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태그 명 수정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MP3 기능 활성화 중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태그 명 수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그 명 수정 기능 운용방법은 먼저, 헤드셋이 특정 음원에 대하여 재생하는 동안(S401),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태그 명 수정을 위한 키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402). 상기 S402 단계에서, 태그 명 수정을 위한 키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신호 입력을 수신한다(S403). 별도의 태그 명 수정을 위한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특정 음원의 재생 작업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성 신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한다(S404). 이후,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성 인식된 단어나 문장을 현재 재생되는 음원의 태그 명에 기입한다(S405). 상기 S405 단계에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음원의 태그 명 기입 시, 기 설정된 태그에 기입할 수 도 있으나, 입력되는 음성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태그 명 기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인식 결과가 "가수 이기찬"일 경우, 가수 태그 란에 "이기찬"을 기입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헤드셋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인식 결과가 "장르 발라드"일 경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의 태그 중 장르 란에 "발라드"를 기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다수의 소리 재생 장치에서 수신하여 활성화하여 다수의 인원이 공통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Claims (17)

  1. 헤드셋에 있어서,
    키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을 이용하여 재생할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선택과정은
    선곡 정보를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선곡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선곡 정보를 음성 인식된 결과에 매칭되는 음원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곡 정보는
    상기 음원의 부분 또는 전체 곡명, 가수 명, 장르, 제작 년일시, 저장 년일시, 앨범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음원이 다수 개인 경우,
    추가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추가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음원들 중에 상기 추가 정보의 음성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음원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전체 곡명 및 상기 선곡정보들의 조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6. 헤드셋에 있어서,
    키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을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음원 재생 중 상기 음원의 태그 명 수정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할 수정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정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기능의 헤드셋 운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타입은
    상기 음원의 부분 또는 전체 곡명, 가수 명, 장르, 제작 년일시, 저장 년일시, 앨범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정보는
    상기 음원 특정 태그 타입을 지정하는 제 1 수정정보; 및
    상기 지정된 태그 타입에 기입될 제 2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9. 헤드셋에 있어서,
    저장된 다수개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키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음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선택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상기 음성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음원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음원의 태그에 기입할 수정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정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인식된 수정 정보를 상기 음원의 태그에 기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기능의 헤드셋 운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검출 과정에서 다수개의 음원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태그 기입 과정은
    상기 검출된 다수개의 음원의 태그에 동일한 수정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검출 과정에서 다수개의 음원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음원 검출 과정은
    추가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추가 정보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음원들 중에 상기 추가 정보의 음성 인식 결과와 매칭되는 음원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타입은
    상기 음원의 부분 또는 전체 곡명, 가수 명, 장르, 제작 년일시, 저장 년일시, 앨범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정보는
    상기 음원 특정 태그 타입을 지정하는 제 1 수정정보; 및
    상기 지정된 태그 타입에 기입될 제 2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운용방법.
  14. 헤드셋에 있어서,
    음원 재생을 위한 음원 재생 모듈;
    음성 인식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음원 재생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의 활성화 및 상기 음원 선택을 위한 키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음원 선택을 위한 선택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인식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음성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에 매칭되는 음원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헤드셋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제어부는
    상기 음원 재생 중 발생되는 키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의 태그 명 변경을 위한 수정 정보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고, 수신된 수정 정보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재생 중인 음원의 태그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타입은
    상기 음원의 부분 또는 전체 곡명, 가수 명, 장르, 제작 년일시, 저장 년일시, 앨범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정보는
    상기 음원 특정 태그 타입을 지정하는 제 1 수정정보; 및
    상기 지정된 태그 타입에 기입될 제 2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KR1020070030498A 2007-03-28 2007-03-28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80088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98A KR20080088089A (ko) 2007-03-28 2007-03-28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98A KR20080088089A (ko) 2007-03-28 2007-03-28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089A true KR20080088089A (ko) 2008-10-02

Family

ID=4015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98A KR20080088089A (ko) 2007-03-28 2007-03-28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80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0884A (zh) * 2018-05-11 2018-09-14 深圳市创成微电子有限公司 一种ai话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0884A (zh) * 2018-05-11 2018-09-14 深圳市创成微电子有限公司 一种ai话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39B1 (ko) 헤드셋의 스테레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57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리스트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20389B2 (en) Voice control of multimedia and communications devices
KR100782083B1 (ko)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EP2250736B1 (en)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wireless audio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086368B2 (ja) 放送通信装置
US20080046239A1 (en) Speech-based file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N101145386B (zh) 多路独立音频输出的音频播放器
CN102957796A (zh) 媒体转发和控制***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US77386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n audio file in a mobile device
KR100773443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테레오 지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20080048175A (ko) 휴대 단말기의 음원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
US20090150159A1 (en) Voice Searching for Media Files
KR20080088089A (ko) 헤드셋 및 이의 운용방법
CN101242440A (zh) 一种带语音复读功能的手机
JP2001290498A (ja)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ユニット
KR20000015759A (ko)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KR100540215B1 (ko)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
JP2002247156A (ja) 電話装置
KR100691992B1 (ko)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US20090144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erbal feedback messages in head-worn electronic devices
KR100379719B1 (ko) 무선전화기 및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컴퓨터 음성신호를청취하기 위한 청취시스템.
CN201044492Y (zh) 一种带语音复读功能的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