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233A - 위장관 기능 촉진제 - Google Patents

위장관 기능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233A
KR20080069233A KR1020087013545A KR20087013545A KR20080069233A KR 20080069233 A KR20080069233 A KR 20080069233A KR 1020087013545 A KR1020087013545 A KR 1020087013545A KR 20087013545 A KR20087013545 A KR 20087013545A KR 20080069233 A KR20080069233 A KR 20080069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ent
optionally
group
gastrointestinal
group option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로 다나카
히사유키 우네야마
신이치 후지타
사오리 오가와
유스케 아미노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bet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인 위장관 기능 촉진제,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 식욕 조절제 등을 제공하고, 또한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T1R 효능제를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위장관 기능 촉진제, 및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장관 기능 촉진제, 식욕 조절제, T1R 수용체, 기능성 위장관 장애, 위식도 역류 질환

Description

위장관 기능 촉진제{Gastrointestinal function promoter}
본 발명은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와 같은 위장관 기능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기능성 위장관 장애(FGID), 특히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 예를 들면 기능성 소화불량(FD) (예: 복통, 더부룩함, 속쓰림 등), 위식도 역류 질환(GERD) 등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욕 조절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진단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상복부 통증, 불쾌, 식후 더부룩함, 오심, 구토 등과 같은 상부 위장관 증상의 호소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지만, 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종합 건강진단으로는 어떠한 기질성 질환도 발견되지 않고, 증상을 설명하는 어떠한 소견도 유용하지 않은 이러한 상태를 FD (기능성 소화불량: 비궤양성 소화불량 (NUD): 상복부 소화불량)라고 말한다. 미국위장병학회(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에 따르면, FD는 기질성 질환, 예를 들면 소화궤양 및 암 증상은 관찰되지 않지만, 위 장 내의 내용물의 정체에 따라, 복부 팽만감, 오심·구토,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장운동 이상 등과 같은 상복부 소화불량이 4주 이상 동안 계속되는 병상으로 정의된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이러한 병상을 기질적 소견에 관계없이 "만성 위염과 관련된 상복부 위장관 증상호소"로 판정하였고,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위염" 또는 "만성 위염"으로 진단하였다. 현재, FD의 아형에는 궤양형, 위장관 운동장애형 및 비특이적형이 포함되고, 여기에는 통상적인 위이완증, 신경성 소화불량 및 위장관 신경증이 포함된다.
기질성 질환 (역류성 식도염, 소화궤양, 급성 위염, 위장관암, 췌장·담도 질환 등)이 명확하게 관찰되는 경우에도, 복부 통증, 복부 불쾌, 식후 더부룩함, 오심·구토 등이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불쾌감을 개선하여 환자의 보다 나은 삶의 질(QOL)을 보장하는데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다. FD를 변비로 인한 배변 장애, 배변후 불편감, 복통, 복부 팽만감 등과 같은 하복부 소화불량과 합하면, 일본 총 인구의 약 30 내지 50%가 다소의 소화불량을 겪은 것으로 생각되고, 이 중 1/3은 실제로 병원에 내원하였다고 한다. 복부 소화불량의 발병은 성별, 연령, 스트레스 및 서구식 식사로 인한 과체중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복부 소화불량은 생활습관 관련 질환과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의 대표적인 질환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심각한 건강 문제이지만, 소화불량의 병인은 다양한 질환 (만성 위염, 당뇨병, 과체중, 변비 등)과의 관계가 암시되어 있을 뿐이고, 이의 발병 기전은 단순히 위장관 운동 기능의 저하라고 제안된 것에 불과하다. 위장관 운동 기능이 전체 실제 FD 환자의 30%에서만 저하되었다는 사실을 함께 고려하면, FD의 발병 기전 이 완벽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헌팅턴 무도병(Huntington chorea), 올리브다리소뇌위축(olivopontocerebellar atrophy) 등과 같은 진행성 퇴행성 뇌 질환, 및 뇌졸중 등을 겪고 있는 많은 환자에서 위장관 운동 기능장애가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위장관 운동 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개선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환자에는 언어 장애, 의식 장애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소화불량을 말할 수 없는 많은 환자가 포함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기질적 기능장애의 치료와 동시에 수행되는 소화불량 등과 같은 감각 이상의 제거를 위한 치료는 진정한 의미에서 삶의 질의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
FD의 치료를 위하여, 5-HT 4 수용체 효능제(agonist) 등과 같은 운동 개선제 등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시사프라이드 및 메토클로프라미드는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키고, 만성 위염, 복부 팽만감, 역류성 식도염, 복부 소화불량 및 가성 장폐색 등과 같은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하지만, 메토클로프라미드는 중추 신경계에서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작용과 관련된 추체외로 (extrapyramidal) 증상을 포함하는 부작용을 나타내고, 시사프라이드는 파킨슨 증상뿐만 아니라 QT 연장 (QT prolongation) 등과 같은 순환계에 대한 부작용도 나타낸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모사프라이드 등이 사용되지만, 효과가 종종 불충분하다. 또한, 복부 팽만감, 위장통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위식도 역류 질환(GERD)형의 치료를 위하여, H2 길항제 및 양성자 펌프 억제제가 사용된다. 장기간 투여의 경우, 안전성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진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 보하면서, 이러한 현존하는 약제로부터 치료 효과를 얻는 것은 어렵다.
식욕 조절제로는, 작용 지점으로서 중추 신경에 작용하는 펜플루라민 및 펜테르민; 시부트라민, 마진돌 등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구강 건조, 변비, 발한, 심계항진 등이 부작용으로서 나타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식욕 조절제가 바람직하다.
그동안, 미각의 시그날 전달이 다양한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최근 수년간 규명되었다. 포유동물의 미각 수용체로는, T1R 및 T2R이라고 하는 두가지 계열의 G 단백질 결합형 수용체가 밝혀졌다[참조: 국제공개공보 제WO2003/001876호, 제WO2005/015158호, 제WO2005/041684호]. 이들은 사람 및 설치류의 혀에 있는 미각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5가지 기본 미각 중 단맛, 감칠맛(umami) 및 쓴맛의 수용에 관련되어 있다. T1R은 단맛 및 감칠맛을 인식하는 수용체이고, T2R은 쓴맛 수용과 관련된 계열을 형성한다. T1R에 있어서, T1R1, T1R2 및 T1R3이 공지된 서브유닛이다. T1R2와 T1R3이 이종이량체(heterodimer)를 형성하면, 이는 천연 및 인공 감미료에 반응하여 단맛 수용체로서 기능한다. T1R1과 T1R3이 결합하면, 이들은 아미노산 등과 같은 감칠맛 물질에 반응한다. 이러한 미각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미공지된 전달물질이 미각 세포로부터 방출되고, 이는 미각 신경을 자극시켜, 미각 시그날이 뇌로 전달된다. 하지만, 소화계에서 이들의 존재 및 기능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내용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인 위장관 기능 촉진제, 특히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 식욕 조절제,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 문제와 관련하여 고안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T1R 수용체에 주목하여 이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T1R 수용체가 위장내 점막층 및 소장 점막층에 존재한다는 것과, T1R 수용체가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 특히 가스트린 생산 세포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구체적으로, 위장 및 소장에서는, 위장관 호르몬 내분비 세포가 양성이다. 특히, 위장 유문 전정부에서는, 위장관 호르몬인 가스트린을 생산하는 세포가 양성이다. 위장·소장 점막 샘플에서, 미각 수용체 T1R1+3으로서 기능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T1R1 mRNA 뿐만 아니라 T1R3 mRNA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관찰결과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사람 또는 동물 유래의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를 사용하여, 이들이 T1R 수용체의 효능제 등에 대해 스크리닝하는 방법, 및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등에 대해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T1R 수용체에 대한 효능제 (본원에서 이후에 종종 간단하게 "T1R 효능제"라고도 할 것이다)를 사용한 연구의 결과로서, T1R 수용체 효능제가 위장 내용물의 제거 (본원에서 이후에 종종 간단하게 "위장 배출(gastric emptying)"이라고도 할 것이다)를 촉진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위장 배출은 위장 운동에 의해서만 조절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위장 내용물이 전달되는 십이지 장내 및 십이지장 이후에서의 소화의 용이함을 반영한다. 이는 소화 및 흡수를 방해하는 지방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의 경우에 위장 배출이 지연되는 것으로부터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소화·흡수 촉진 효과, 즉 위장관 기능 촉진 작용이 위장 배출 촉진 작용을 갖는 T1R 효능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위장 배출의 촉진은 식후 초기에 비정상적인 복부 팽만감을 감소시키고 식욕부진을 개선시킨다. 또한, 위장 배출의 촉진은 소화 및 흡수를 촉진시키고, 이는 혈중 영양소 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식후 초기에 만족감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결과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T1R 효능제가 위장관 기능 촉진 및 식욕 조절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T1R 효능제를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촉진제 및 식욕 조절제, 및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적어도 다음이 포함된다.
[1] 활성 성분으로서 T1R 효능제를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촉진제.
[2] 상기 [1] 항목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인 제제.
[3] 상기 [2] 항목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제제.
[4] 상기 [2] 항목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제제.
[5] 활성 성분으로서 T1R 효능제를 포함하는 식욕 조절제.
[6] 상기 [1] 내지 [5]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Cyclamate)인 제제.
[7] 상기 [6]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제제.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 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8] 상기 [6] 또는 [7]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제제.
[9] 상기 [1] 내지 [8]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상기 [1] 내지 [8]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로서, 상기 제제 중의 활성 성분이 상기 식품 또는 음료의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함유된 식품 또는 음료.
[11]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12] 상기 [11] 항목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 T1R 효능제 또는 T1R 조절인자인 방법.
[13]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a)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G 단백질의 활성화를 측정하고,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활성화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14] 상기 [13] 항목에 있어서, G 단백질의 활성화 측정을 위한 지표가 세포내 칼슘 농도, 세포내 cAMP의 양, 세포외 양성자의 양 및 세포내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5]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a) 검사 물질 및 T1R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리간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b) 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한 리간드의 양을 측정하고,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16] 유효량의 T1R 효능제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키는 방법.
[17] 상기 [16] 항목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인 방법.
[18] 상기 [17]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방법.
[19] 상기 [17]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방법.
[20] 유효량의 T1R 효능제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방법.
[21] 상기 [16] 내지 [20]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인 방법.
[22] 상기 [21]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2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23] 상기 [21] 또는 [22]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방법.
[24] 상기 [16] 내지 [23]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T1R 효능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
[25] 상기 [16] 내지 [23]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T1R 효능제를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
[26] 위장관 기능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T1R 효능제의 용도.
[27] 상기 [26] 항목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인 용도.
[28] 상기 [27]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용도.
[29] 상기 [27]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용도.
[30] 식욕 조절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T1R 효능제의 용도.
[31] 상기 [26] 내지 [30]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인 용도.
[32] 상기 [31]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용도.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3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33] 상기 [31] 또는 [32]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용도.
[34] 상기 [26] 내지 [33]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조성물이 약제 제품인 용도.
[35] 상기 [26] 내지 [33]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조성물이 T1R 효능제를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인 용도.
[36] 활성 성분으로서 T1R 효능제를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촉진용 조성물.
[37] 상기 [36] 항목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개선인 조성물.
[38] 상기 [37]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조성물.
[39] 상기 [37] 항목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조성물.
[40] 활성 성분으로서 T1R 효능제를 포함하는 식욕 조절용 조성물.
[41] 상기 [36] 내지 [40]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인 조성물.
[42] 상기 [41]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4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 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43] 상기 [41] 또는 [42] 항목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조성물.
[44] 상기 [36] 내지 [43]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약제 제품인 조성물.
[45] 상기 [36] 내지 [43] 항목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인 조성물.
도 1은 항 T1R1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의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서, 화살표 는 염색된 세포를 나타내고, (A)는 위장·유문 전정부, (B)는 소장, (C)는 미뢰의 미각 세포이다.
도 2는 항-T1R1 항체 및 항-가스트린 항체를 사용한 동일한 영역에서의 이중 면역염색의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서, (A)는 T1R1 염색이미지, (B)는 가스트린 염색 이미지, (C)는 (A)와 (B)의 중첩 이미지이다.
도 3은 각각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PCR 산물의 전기영동의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서, 좌측 끝은 RNA 마커이고, 좌측부터 2 내지 5번 레인은 역 전사효소의 존재 하에서의 증폭 반응 산물이고, 6 내지 7번 레인은 역 전사효소의 부재 하에서의 반응 산물이다 (좌측 끝: RNA 마커, 2번 레인: 혀·용상유두(fungiform papillae), 3번 레인: 혀·비-미뢰 조직, 4번 레인: 위장·선위(glandular stomach) 점막, 5번 레인: 위장·유문 전정부 점막).
도 4는 사이클라메이트 및 MSG를 투여했을 때의 위장 배출률을 보여준다.
도 5는 화합물 1 (1 중량 ppm 및 10 중량 ppm)을 투여했을 때의 위장 배출률을 보여준다.
도 6은 화합물 4, 5 및 6 (각각 10 중량 ppm)을 투여했을 때의 위장관 운동 검사 결과를 보여준다.
도 7은 화합물 2, 3, 4 및 5 (각각 10 중량 ppm)을 투여했을 때의 위장 배출률을 보여준다.
본 발명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은 위장관 운동의 촉진 또는 소화 및 흡수의 촉진을 의미하고, 이는 위장관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에 의한 기능적 촉진이거나, 내분비계에서의 분비 (호르몬 등)의 촉진, 혈류의 개선 등을 통한 2차적 기능적 촉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에는 위장관 기능장애로 인한 감소된 기능을 보이는 위장관의 다양한 증상의 개선, 건강한 개체의 위장관 기능의 향상,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장관 기능 촉진용 제제 및 상기 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위장관 기능 촉진용 조성물)은 위장관 기능의 촉진에 사용될 수 있고, 기질성 질환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계없이, 아래에 언급되는 소화불량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위장관 장애"는 기질성 질환, 예를 들면 소화궤양 및 암 증상은 관찰되지 않지만, 위장관, 특히 위장 내의 내용물의 정체 등에 따라, 복부 팽만감, 오심, 구토, 복통, 식욕부진, 위산 역류, 장운동 이상 (변비, 설사 등) 등과 같은 복부 소화불량이 계속되는 병상을 말한다. 이는 위장관의 기질성 질환은 없지만,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재현성 위장관 증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여기에는 기능성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 질환, 당뇨병성 위마비(diabetic gastroparesis), 역류성 식도염, 수술후 위장관 기능장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위장관"은 소화에 관련된 식도부터 항문에 이르는 일련의 관강 기관(luminal organ)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식도, 위장, 소장 (십이지장, 공장, 회장) 및 대장이 언급될 수 있다.
"상부 위장관"은 식도, 위장 및 십이지장을 말하고,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는 앞서 언급한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를 말하고, 여기에는 기능성 소화불량, 당뇨병성 위마비, 역류성 식도염, 수술후 위장관 기능장애 등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소화불량"은 기질성 질환, 예를 들면 소화궤양 및 암 증상은 관찰되지 않지만, 위장 등 안의 내용물의 정체 등에 따라, 복부 팽만감, 오심, 구토,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등과 같은 상복부 소화불량이 계속되는 병상을 말한다. 이는 위장관의 기질성 질환은 없지만,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재현성 위장관 증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소화불량에는 현재까지 만성 위염 및 위염으로 진단된 질환이 포함되고, 이는 종종 복통, 더부룩함, 속쓰림 등의 증상을 보인다. 최근에는, 의료 기관의 외래환자 중 40 내지 60%가 기능성 소화불량을 겪는다고 하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제거 요법은 기능성 소화불량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위식도 역류 질환"에는 역류성 식도염이 포함되고, 이는 위산의 역류에 의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속쓰림, 위산이 입으로 올라옴 등의 특정한 증상을 보인다. 또한, "삼킴"은 물 또는 음식을 삼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식도 등에 음식물 덩어리 등이 붙어 잘못 삼켜지고 구토가 일어나는 것으로 증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구강 및 인두뿐만 아니라 식도 등과 같은 위장관의 운동에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기능성 위장관 장애에서 개선가능한 특정한 소화불량 증상에는 대표적인 상부 위장관 소화불량, 예를 들면 오심, 구토, 불쾌감, 속쓰림, 복부 팽만감, 더부룩함, 트림, 흉부 고통, 흉통, 위장 불쾌, 식욕부진, 삼킴곤란, 위산 역류 등; 하부 위장관 소화불량, 예를 들면 복통, 변비, 설사 등; 및 관련된 증상호소, 예를 들면 호흡정지, 질식감, 의욕 저하, 인두 폐색·이물질감 (중의학에서 "baikakuki"), 쉽게 피로함, 뻣뻣한 목, 근육긴장, 구강 건조 (건조 구강·갈증), 빈호흡(tachypnea), 사지의 작열감·냉감각, 집중 곤란, 초조함, 수면 장애, 두통, 전신 권태, 심계항진, 도한(night sweat), 불안, 어지러움, 현기증, 작열감, 일과성 열감(hot flash), 발한, 복통, 변비, 우울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또한, "식욕 조절"은 식욕부진인 개체의 식욕을 향상시키고, 과식하는 경향이 있는 개체를 정상적인 식습관으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위장관 기능 촉진제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 및 식욕 조절제는, 재현성이 있어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기능성 위장관 장애, 특히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 예를 들면 기능성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 질환 등의 예방 또는 개선용 제제로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이후에 이들을 종종 간단하게 본 발명의 제제라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선" 또는 "개선시킴"은 "치료" 또는 "치료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T1R 효능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T1R 효능제"는 T1R 수용체의 활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는 T1R 수용체와 결합하여 T1R 수용체를 직접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물질뿐만 아니라, T1R 효능제의 작용을 확대시키는 T1R 조절인자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T1R 효능제로는, 다양한 공지된 T1R 수용체 효능제 및 T1R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임의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한 스크리닝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여기서, T1R 수용체는 T1R1, T1R2 및 T1R3의 서브유닛, 및 임의의 서브유닛 또는 이러한 변이체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서브유닛의 조합을 의미하고, 임의의 이러한 서브유닛 또는 다수의 서브유닛의 임의의 효능제가 사용될 수 있다. T1R1, T1R2 및 T1R3은 사람, 원숭이, 마우스, 개, 소 및 래빗과 같은 포유동물, 또는 조류, 어류 등과 같은 임의의 동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이거나, 이들의 변이체일 수 있다. T1R1, T1R2 및 T1R3의 서열은 각각 Genebank에 다음과 같이 등록되어 있다:
T1R1: mRNA Tas1r1, 마우스 NM_031867, 래트 XM_342986, 사람 NM_138697
T1R2: mRNA Tas1R2, 마우스 NM_031873, 래트 AF127390, 사람 NM_152232 및
T1R3: mRNA Tas1r3, 마우스 NM_031872, 래트 NM_130818, 사람 XM_371210.
공지된 T1R 효능제로는, 사이클라메이트 (N-사이클로헥실설팜산) 및, 예를 들면, 국제공개공보 제WO2005/041684호에 기술된 화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T1R 효능제"에는 아미드 유도체 (아미드의 부분적 구조를 갖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의 화학식 I의 아미드의 부분적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포함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5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본원에서, "2 내지 2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은 2 내지 25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그룹이고, 예를 들면,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프로필 그룹, 이소프로필 그룹, 부틸 그룹, 이소부틸 그룹, 2급-부틸 그룹, 3급-부틸 그룹, 펜틸 그룹, 이소펜틸 그룹, 네오펜틸 그룹, 1-메틸부틸 그룹, 2-메틸부틸 그룹, 2-에틸프로필 그룹, 1,1-디메틸프로필 그룹, 1,2-디메틸프로필 그룹, 헥실 그룹, 이소헥실 그룹, 1-메틸펜틸 그룹, 2-메틸펜틸 그룹, 3-메틸펜틸 그룹, 1-에틸부틸 그룹, 2-에틸부틸 그룹, 헵틸 그룹, 1-메틸헥실 그룹, 2-메틸헥실 그룹, 3-메틸헥실 그룹, 4-메틸헥실 그룹, 5-메틸헥실 그룹, 1-에틸펜틸 그룹, 2-에틸펜틸 그룹, 3-에틸펜틸 그룹, 1-프로필부틸 그룹, 옥틸 그룹, 노닐 그룹, 데실 그룹, 운데실 그룹, 도데실 그룹, 트리데실 그룹, 테트라데실 그룹, 펜타데실 그룹, 헥사데실 그룹, 헵타데실 그룹, 옥타데실 그룹, 노나데실 그룹, 이코실 그룹, 헤니코실 그룹, 도코실 그룹, 트리코실 그룹, 테트라코실 그룹, 펜타코실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고, 1-에틸프로필 그룹, 1-프로필부틸 그룹 등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3 내지 2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3 내지 25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그룹이고,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 그룹, 사이클로부틸 그룹, 사이클로펜틸 그룹, 사이클로헥실 그룹, 사이클로헵틸 그룹, 사이클로옥틸 그룹, 사이클로노닐 그룹, 사이클로데실 그룹, 사이클로운데실 그룹, 사이클로도데실 그룹, 사이클로트리데실 그룹, 사이클로테트라데실 그룹, 사이클로펜타데실 그룹, 사이클로헥사데실 그룹, 사이클로헵타데실 그룹, 사이클로옥타데실 그룹, 사이클로노나데실 그룹, 사이클로이코실 그룹, 사이클로헤니코실 그룹, 사이클로도코실 그룹, 사이클로트리코실 그룹, 사이클로테트라코실 그룹, 사이클로펜타코실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고, 사이클로헥실 그룹 등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벤젠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될 수 있다. 벤젠과 축합된 사이클로알킬 그룹으로는,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등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아릴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 그룹, 나프틸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아르알킬 그룹"은 알킬 그룹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아릴 그룹으로 치환된 그룹이고, 이때 아릴 및 알킬 그룹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알킬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구체적인 아르알킬 그룹으로는, 예를 들면, 벤질 그룹, 페닐에틸 그룹, 2-나프틸메틸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아릴알케닐 그룹"은 알케닐 그룹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아릴 그룹으로 치환된 그룹이고, 이때 함유될 아릴 잔기는 앞서 언급된 아릴 그룹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알케닐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예를 들면, 비닐, 알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아릴알케닐 그룹으로는, 예를 들면, 스티릴 그룹, 신나밀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헤테로아릴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환 원자(들)로서 산소 원자, 황 원자 및 질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개의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이종 환 그룹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6원환 그룹으로는, 피리딜 그룹, 피리다지닐 그룹, 피리미딜 그룹 (=피리미디닐 그룹) 및 피라지닐 그룹이 언급될 수 있고; 5원환 그룹으로는, 푸릴 그룹, 티에닐 그룹, 피롤릴 그룹, 이소옥사졸릴 그룹, 옥사졸릴 그룹, 이소티아졸릴 그룹, 티아졸릴 그룹, 피라졸릴 그룹, 이미다졸릴 그룹, 옥사디아졸릴 그룹, 티아디아졸릴 그룹, 트리아졸릴 그룹 및 테트라졸릴 그룹이 언급될 수 있고; 6-5원환 그룹으로는, 벤조푸라닐 그룹, 벤조티에닐 그룹, 인돌릴 그룹, 이소인돌릴 그룹, 벤즈옥사졸릴 그룹 (=벤조옥사졸릴 그룹), 벤조티아졸릴 그룹, 벤즈이미다졸릴 그룹 (=벤조이미다졸릴 그룹), 인다졸릴 그룹, 벤즈이소옥사졸릴 그룹, 벤즈이소티아졸릴 그룹, 벤조푸라자닐 그룹, 벤조티아디아졸릴 그룹, 퓨리닐 그룹 및 벤조디옥솔릴이 언급될 수 있고; 6-6원환 그룹으로는, 퀴놀릴 그룹 (=퀴놀리닐 그룹), 이소퀴놀릴 그룹,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그룹, 퀴나졸리닐 그룹, 퀴녹살리닐 그룹, 프테리디닐 그룹이 언급될 수 있고; 5-5원환 그룹으로는, 이미다조옥사졸릴 그룹, 이미다조티아졸릴 그룹, 이미다조이미다졸릴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헤테로아르알킬 그룹"은 알킬 그룹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헤테로아릴 그룹으로 치환된 그룹이고, 함유될 헤테로아릴 그룹 및 알킬 그룹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알킬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피리딜에틸 그룹, 벤조푸라닐메틸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은 알케닐 그룹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헤테로아릴 그룹으로 치환된 그룹이고, 함유될 헤테로아릴 그룹 및 알케닐 그룹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피리딜에틸렌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들은 치환가능한 위치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하이드록실 그룹, 옥소 그룹, 아미노 그룹,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 (예: 메틸 그룹, 에틸 그룹 등),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예: 메톡시 그룹, 에톡시 그룹, 메틸렌디옥시 그룹 등),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 그룹 (예: 카복실 그룹, 아세틸 그룹, 프로피오닐 그룹 등),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보닐 그룹 (예: 카바모일 그룹),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카바모일 그룹, 7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카바모일 그룹, 5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카바모일 그룹, 8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알킬카바모일 그룹, 6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알킬카바모일 그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치환기는 치환가능한 위치에 앞서 언급된 치환기와 같은 치환기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R1으로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등이 바림직하다.
R1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으로는,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페닐 그룹 등이 바림직하다.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1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등이 바람직하고, 염소, 메톡시 그룹, 에톡시 그룹, 메틸렌디옥시 그룹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으로는,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스티릴 그룹 등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로는, 1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등이 바람직하고, 메톡시 그룹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으로는,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벤조푸라닐 그룹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R1에 있어서, 3,6-디클로로-2-메톡시페닐, 2,5-디클로로페닐, 5-벤조[1,3]디옥솔, 4-에톡시페닐, 2-(4-메톡시페닐)비닐, 벤조푸라닐 등이 바람직하다.
R2로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 -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등이 바람직하다.
R2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으로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페닐 그룹 등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로는, 1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룹 등이 바람직하고, 에톡시 그룹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R2로는, 4-에톡시페닐, 1-에틸프로필, 1-프로필부틸,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T1R 효능제, 특히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염으로는, 무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유기 염기와의 염 등이 언급될 수 있고,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리튬 등; 알칼리성 토금속염, 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등; 암모늄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할로겐화수소산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 황산, 질산, 인산과의 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석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히스티딘과의 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염기성 아미노산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등), 뉴클레오티드 (퓨린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등), 알칼로이드와의 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수득된 공지 또는 신규 화합물로부터의 T1R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물질 (화합물) 등이,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하여 검사 물질에 의한 T1R 수용체의 활성화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사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T1R 수용체의 효능제 또는 조절인자가 언급될 수 있고, 이는 T1R 수용체 활성이 향상되도록 조절하는 물질이다. T1R 수용체의 조절인자에는 T1R 수용체 효능제의 활성을 확대시키는 물질이 포함된다.
T1R 수용체의 활성화의 존재 또는 부재는 이와 결합하는 물질(리간드), T1R 수용체의 활성을 조절하는 시그날의 반응을 억제시키는 물질, 리간드와 T1R 수용체가 결합하여 생성된 시그날을 전달하는 물질 (제2 메신저 등) 등의 양을 측정하여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1R 수용체의 활성화는, 글루탐산 등과 같은 리간드가 T1R 수용체와 결합하여 생성된 제2 메신저를 검출하여 검사할 수 있다. 또한, T1R 수용체의 활성화는, 공지된 표지된 리간드를 사용하여 표지된 리간드와 T1R 수용체 간의 결합을 측정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T1R 수용체는 리간드의 결합으로 인하여 GTP 결합 단백질 (G 단백질이라고도 함: Gs, Gi, Gq, Ggust 등)에 작용하고, cAMP 등과 같은 제2 메신저를 통해 다양한 세포 기능을 조절한다. 이 가운데, Gq의 활성화는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시그날 전달에 의한 세포내 칼슘 농도 증가의 하류단계로는, 칼모듈린, 단백질 키나제 C,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등과 같은 세포내 효소의 활성화, 및 급성기(acute stage)에서 세포질·막 단백질의 인산화에 의한 기능적 조절이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내 효소의 활성화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채널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T1R 수용체가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 특히 가스트린 생산 세포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러므로, 검사 물질에 의한 T1R 수용체의 활성화의 존재 또는 부재는,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고, 지표로서 세포내 칼슘 농도, cAMP의 세포내 축적량, 채널의 기능 (예: 세포외 양성자 생성량), 위장관 호르몬 분비 등의 측정된 값을 사용하여 G 단백질의 활성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서 사용될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는, 예를 들면, 마우스, 래트, 햄스터, 기니피그, 래빗, 개, 원숭이, 사람 등과 같은 포유동물; 닭 등과 같은 조류 등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동물 등으로부터 유래된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위한 검사 물질은 임의의 공지된 화합물 또는 신규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핵산,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펩티드, 저분자량 유기 화합물, 조합 화학 기술을 사용하여 작제된 화합물 라이브러리, 고체상 합성 또는 파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 방법을 사용하여 작제된 무작위 펩티드 라이브러리, 또는 미생물, 식물, 동물 또는 해양 유기체 등으로부터 유래된 천연 성분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한다:
(a)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G 단백질의 활성화를 측정하고,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활성화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 (본원에서 이후에 방법 A라고도 할 것이다)에서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다. 검사 물질을 배양 배지 중에서 세포와 접촉시킨다. 배양 배지는 사용될 세포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에서의 G 단백질의 활성화를 우선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평가한다. 이어서, 활성화를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의 활성화와 비교한다. G 단백질의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는, 세포내 칼슘 농도, 세포내 cAMP의 양, 세포외 양성자의 양, 세포내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는, 활성화를,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평가한 결과, 검사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와 비교하여 이의 존재 하에서, 활성화의 증가·확대를 확인할 수 있으면, 상기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과 T1R 효능제를 상기 (a) 단계에서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고, T1R 효능제를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상기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G 단백질의 활성화와 T1R 효능제를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 상기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G 단백질의 활성화를 (b) 단계에서 비교하여, G 단백질의 활성화를 확대시킨 물질을 (c) 단계에서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T1R 조절인자)로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스크리닝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한다:
(a) 검사 물질 및 T1R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리간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b) 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한 리간드의 양을 측정하고,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에서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검사 물질 및 T1R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리간드와 접촉시킨다. 검사 물질 및 T1R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리간드를 배양 배지 중에서 세포와 접촉시킨다. 배양 배지는 사용될 세포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한 리간드의 양을 우선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평가한다. 이어서, 리간드의 양을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의 양과 비교한다. 결합된 리간드의 양은, 예를 들면, 방사선표지된 리간드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는, 리간드의 양을,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평가한 결과, 검사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와 비교하여 이의 존재 하에서 결합된 리간드 양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으면, 상기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리간드 결합량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는 물질은 앞서 언급된 스크리닝 방법 A에 의해 T1R 효능제로 확인될 수 있다.
T1R에 대해 작용하는 리간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글루탐산, 핵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 (T1R 수용체를 기능적으로 유지하는 세포)를 사용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1) 내지 (6)을 아래에 제시한다.
(1)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검사 물질을 칼슘 민감성 염료 (예: Fura-2, Indo-1, Fluo-3 등)를 도입시킨 T1R 수용체 발현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형광 강도 (세포내 칼슘 농도)를 측정하여,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의 강도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에서,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는 T1R 수용체 발현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이다. 예를 들면, 검사 물질을 칼슘 민감성 염료를 도입시킨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경우의 형광 강도 (세포내 칼슘 농도)의 변화에 따라 대상 물질을 조사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 및 T1R 효능제를 칼슘 민감성 염료 (예: Fura-2, Indo-1, Fluo-3 등)를 도입시킨 T1R 수용체 발현 세포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는,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T1R 수용체 발현 세포의 형광 강도 (세포내 칼슘 농도)가 변화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즉, 측정된 형광 강도 (세포내 칼슘 농도)를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의 측정치와 비교하여 평가한다. 형광 강도는 공지된 방법 그 자체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형광 강도를,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상기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형광 강도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는, 형광 강도를,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형광 강도를 평가한 결과, 세포내 칼슘 농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으면,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 판단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형광 강도 변화의 범위를 확대시킨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T1R 조절인자)로 선별될 수 있다.
(2)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cAMP의 양을 측정하여,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a) 및 (b) 단계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Chaudhari N, Nat Neurosci 2000 Feb; 3(2): 113-9; Flor PJ, Neuropharmacology 1995 Feb; 34(2): 149-55]의 기술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cAMP의 양은 시판되는 검정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 및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cAMP의 양을,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상기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양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는, cAMP의 양을,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cAMP의 양을 평가한 결과, cAMP 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으면,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cAMP 양의 증가를 향상시킨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T1R 조절인자)로 선별될 수 있다.
(3)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검사 물질 및 T1R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공지된 리간드 (예: 글루탐산, 핵산 등)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b) 세포의 세포막과 결합된 리간드의 양을 측정하여,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a) 및 (b) 단계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Naples MA, Neuropharmacology 2001; 40(2): 170-7; Thomsen C, Neuropharmacology 1997 Jan; 36(1): 21-30]의 기술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공지된 리간드의 양은 물질의 일부를 방사선으로 표지하여 세포막과 결합된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는, 리간드의 양을,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리간드의 양을 평가한 결과, 결합된 리간드 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으면,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 판단될 수 있다.
(4)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검사 물질을 cAMP 민감성 형광 단백질 (예: FlCRhR 등)을 도입시킨 T1R 수용체 발현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형광 강도 (세포내 cAMP 농도)를 측정하여,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측정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a) 및 (b) 단계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Adams SR, Nature 1991 Feb 21; 349(6311): 694-7]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서,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이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 및 T1R 효능제를, cAMP 민감성 형광 단백질 (예: FlCRhR 등)을 도입시킨 T1R 수용체 발현 세포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형광 강도 (세포내 cAMP 농도)를,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상기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측정치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 형광 강도를,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형광 강도를 평가한 결과, 형광 강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으면,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 판단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형광 강도의 증가를 향상시킨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T1R 조절인자)로 선별될 수 있다.
(5)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세포외 양성자 생산량을 측정하여,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양성자 생산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a), (b) 및 (c) 단계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McConnell HM, Science 1992 Sep 25; 257(5078): 1906-12]의 기술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서,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이고, 예를 들면, T1R 수용체 효능제 및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위장관 호르몬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킨 경우의 세포외 양성자 생산량을 측정하여, 양성자 생산량을 지표로서 사용하여 대상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양성자 생산량은 사이트 센서(site sensor)로 측정한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 및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세포외 양성자 생산량을,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상기 세포와 접촉시킨 경우의 생산량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 양성자 생산량을,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양성자 생산량을 평가한 결과, 세포외 양성자 생산량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으면,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 판단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세포외 양성자 생산량의 증가를 향상시킨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T1R 조절인자)로 선별될 수 있다.
(6) 다음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을 측정하여, 검사 물질을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본원에서,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이고, 예를 들면, T1R 수용체 효능제 및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와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경우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을 측정하여,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을 지표로서 사용하여 대상 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은 시판되는 검정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a)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 및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b) 단계에서,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검사 물질의 존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경우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을, 검사 물질의 부재 하에서 T1R 효능제를 상기 세포와 접촉시키는 경우의 분비량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의 (c) 단계에서,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을, 예를 들면, 유의적인 차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비교한다.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을 평가한 결과,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면, 검사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 판단될 수 있다. T1R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경우,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 변화의 범위를 확대시킨 물질은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T1R 조절인자)로 선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으로서 유용하고, 투여 피험체는, 예를 들면, 포유동물 (예: 사람, 마우스, 래트, 햄스터, 래빗,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위장관 기능 촉진 및 식욕 조절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T1R 효능제의 용도, 및 유효량의 T1R 효능제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키고 식욕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제를 약제학적 조성물 중에 함유시키는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T1R 효능제 및 담체를 함유한다. 담체는 약제로서 허용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래에 언급된 제제용 물질 (예: 부형제, 용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원에서 이후에 간단하게 약제라고도 할 것이다)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투여 경로, 예를 들면 경구 투여, 직장 투여, 주사 또는 수혈에 의한 투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에는 과립제, 미립제, 산제, 제피 정제, 정제, 좌제, 산제, (마이크로)캡슐제, 씹을 수 있는 제형, 시럽제, 주스제, 액제, 현탁액제, 에멀젼제 등이 포함된다. 주사의 경우에는, 약제의 일반적인 투여형, 예를 들면 직접 정맥내 주사, 점적 주입, 활성 물질의 방출을 연장시키는 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에 필요한 경우,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제제용 물질이 (보조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제제용 물질은 제제의 투여형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형제, 희석제, 첨가제, 붕해제, 결합제, 코팅제, 윤활제, 활택제, 윤활제, 풍미제, 감미제, 가용화제, 용매 등이 포함된다. 제제용 물질의 구체적인 예에는 탄산마그네슘, 티타늄 디옥사이드, 락토스, 만니톨 및 기타 당류, 탈크(talc), 유단백질, 젤라틴, 전분,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동물성 및 식물성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용매, 예를 들면 멸균수 및 1가 또는 다가 알콜 (예: 글리세롤 등)이 포함된다.
경구 투여용 본 발명의 약제의 용량은 투여의 대상이 될 환자의 증상 및 연령, 및 투여 방법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체중 60kg)의 경우 활성 성분의 1일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0.001mg 내지 1g, 바람직하게는 약 0.01mg 내지 1g,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mg 내지 1g이다.
점적 주입, 주사 (경정맥 투여) 등에 의한 비경구 투여(섭취)의 용량은 앞서 언급한 바람직한 경구 투여 용량(섭취량)의 약 1/10 내지 1/20이다.
본 발명의 약제는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약제로서, 예를 들면, 산 분비 억제제, 예를 들면 H2 수용체 길항제, 양성자 펌프 억제제 등; 운동 기능 개선제, 예를 들면 5-HT 수용체 효능제, D2 길항제 등; 제산제, 예를 들면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 항-가스트린 약물, 항콜린성 약물 등; 점막 보호제, 예를 들면 테프레논, 플라우노톨, 오르노프로스틸, 엔프로스틸, 미소프로스톨, 레바미피드, 수크랄페이트, 폴라프레징크, 아줄렌, 에구알렌 나트륨, 글루타민, 알디옥사, 게파르네이트, 에카베트 나트륨 등; 염증성 결장염 치료제, 예를 들면 설파살라진, 5-ASA 제제, 스테로이드, 레미케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종류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를 식품 또는 음료에 함유시킬 수 있다. 식품 또는 음료에 함유시키는 경우,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한 임의의 통상적인 식이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한 풍미제를 첨가하여 청량 음료 및 분말 음료와 같은 음료를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주스, 우유, 과자류, 젤리 등과 혼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이 정의한 "건강 정보 표시 식품 (Food with Health Claim)", 특히 "특정 보건용 식품 (Food for Specified Health Use)", "영양소 기능 강조 표시 식품 (Food with Nutrient Function Claim)" 등과 같은, 위장관 기능 촉진 및 식욕 조절 등의 본 발명의 용도를 나타내는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를 압축 액상 식이에 첨가하거나 식이 보충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이 보충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현탁액제, 씹을 수 있는 제형, 시럽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식이 보충제에는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도 포함되고, 여기에는 영양 보충제, 보충제 (특히 식이 보충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제를 식품 또는 음료에 함유시키는 경우, 활성 성분의 1일 섭취량은 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약 0.001mg 내지 1g,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 내지 1g,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mg 내지 1g이다. 본 발명의 제제를 식품 또는 음료에 함유시키는 경우, 식품 또는 음료 중의 활성 성분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0,000 중량 ppm,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000 중량 pp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00 중량 ppm이다.
실시예 및 실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면역염색에 의한 T1R1 수용체의 위치성의 확인
<1> 래트 위장 및 소장의 절편 표본의 제조
래트 (Sprague-Dawley, 수컷, 350 내지 400g)를 에테르 마취 하에서 우심이(heart right auricle)를 절개한 후 방혈시켜 희생시키고, 그 후 즉시 위장 및 소장을 회수하였다. 위장으로부터는, 많은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가 분포하는 유문 전정부를 회수하였고, 소장으로부터는, 위장 유문으로부터 약 5cm 떨어진 부분을 회수하였다. 위장관에 다량의 소화물이 남아있는 경우, 장관을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적출한 위장 및 장관을 절개하여, 코르크판에 핀으로 꽂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 (4℃) 중에서 하루 동안 진탕하여 침지 고정시켰다. 그 후, 20% 수크로스-PBS 중에 3 내지 4일 동안 침지시켜 냉동보존시키고, 포매제 (OCT 화합물, 상표명: Tissue-Tek, Sakura Seiki Co., Ltd.) 중에 포매시켜, 냉동절편제작기(cyrostat)를 사용하여 5 내지 7㎛로 얇게 절편을 만들었다. 절편을 실온에서 건조시켜, 다양한 염색에 사용하기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2> 항-T1R1 수용체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
절편을 공지된 문헌[참조: Drengk et al., J. Auto. Nerv. Sys. 78: 109-112, 2000; Miampamba & Sharkey, J. Auto. Nerv. Sys. 77: 140-151, 1999]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면역염색하였다.
절편을 PBS로 세척하고, 3% 과산화수소·메탄올로 15분 동안 처리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제에 의한 반응을 방지하였다. 이어서, 절편을 PBS로 세척하고, 10% 일반 말 혈청을 함유하는 1% 소 혈청 알부민 첨가된 PBS (1% BSA-PBS)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절편을 PBS로 다시 세척하고, 1% 일반 말 혈청을 함유하는 1% BSA-PBS로 희석된 1차 항체(표 1)와 4℃에서 이틀 밤 동안 반응시켰다. 이 어서, 절편을 PBS로 세척하고, 1% BSA-PBS로 희석된 2차 항체(표 1)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ABC (아비딘-비오틴 복합체) 반응을 Vectorstain Elite 키트 [판매원: Vector]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0.025% 디아미노벤지딘으로 처리하여 발색되게 하였다. 반응 완료 후, 절편을 PBS로 세척하여, 에탄올·크실렌으로 탈수시키고, 봉입시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차 항체와 반응시키지 않은 절편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사용된 1차 및 2차 항체의 종류 및 희석률을 표 1에 제시한다.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6
<3> 헤마톡실린 염색
절편을 물로 세척하고, 핵을 메이어(Mayer) 헤마톡실린 [판매원: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으로 염색하여, 발색 후, 탈수·봉입시켰다.
<4> 결과
면역염색 결과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위장(도 1A) 및 소장(도 1B)에서, 위장관 점막에 산재된 세포가 항-T1R1 수용체 항체로 인하여 염색되었다. 위장 및 소장 둘 모두에서 양성 세포의 상단이 장관의 내강을 향하고 있는 형태학적 특징으로부터, 이러한 세포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지금까지는,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에서의 T1R1 수용체의 발현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T1R1 수용체가 위장관 호르몬 생산 세포에서 발현되었으므로, 위장관 호르몬의 내분비 조절과의 기능적 관계가 시사되었다. 항-T1R1 수용체 항체로 미뢰의 미각 세포가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C).
실시예 2 이중 면역염색에 의한 T1R1 수용체 및 가스트린의 위치성의 확인
<1> 항-T1R1 수용체 항체 및 항-가스트린 항체에 의한 이중 염색
위장 절편을 항-T1R1 수용체 항체 및 항-가스트린 항체로 이중 염색하였다. 절편을 먼저 PBS로 세척하고, 10% 일반 말 혈청을 함유하는 1% 소 혈청 알부민 첨가된 PBS (1% BSA-PBS)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절편을 다시 PBS로 세척하고, 1% 일반 말 혈청을 함유하는 1% BSA-PBS로 희석된 1차 항체의 혼합물 (표 2)을 4℃에서 이틀 밤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절편을 PBS로 세척하고, 1% BSA-PBS로 희석된 2차 항체 (표 2)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절편을 PBS로 세척하여, 에탄올·크실렌으로 탈수시키고, 봉입시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LSM 510; Zeiss,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1차 항체와 반응시키지 않은 절편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사용된 1차 및 2차 항체의 종류 및 희석률을 표 2에 제시한다.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7
<2> 결과
공초점 현미경으로 동일한 영역에서 관찰한 면역염색 결과는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위장 점막에 산재된 세포가 항-T1R1 수용체 항체 (도 2A) 및 항-가스트린 항체 (도 2B)에 의해 염색되었다. 도 2A와 도 2B를 중첩시킨 그림 (도 2C)에서, 염색된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였다. 이로부터, 위장에 있는 T1R1 양성 세포가 가스트린 (위장관 호르몬 중의 하나) 생산 세포라는 것이 규명되었다. T1R1이 가스트린 생산 세포에서 발현되었으므로, 가스트린 내분비 조절과의 기능적 관계가 시사되었다.
실시예 3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위장에서의 T1R1 mRNA 발현의 검출
<1> T1R1 mRNA 부분적 서열의 증폭
선위(glandular stomach) 및 유문 전정부의 점막을 래트 (Sprague-Dawley)의 위장으로부터 채취하였다. 혀로부터, 미뢰를 포함하는 용상유두(fungiform papillae) 및 미뢰가 없는 조직을 채취하였다. 위장 및 혀의 각 부분의 샘플로부터 추출한 전체 RNA를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SuperScrip 역 전사효소[판매원: Invitrogen, CA, USA]를 사용하여, 역전사를 수행하였다. 수득된 cDNA를 주형으로서 사용하여, T1R1을 다음의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및 LA taq [판매원: TaKaRa]를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사용된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를 아래에 제시한다.
서열번호 1: T1R1-824 정방향 5'-AGGACCACCGTGGTCGTGGTCTT-3'
서열번호 2: T1R1-2163 역방향 5'-GCACTCAAGAATCACCAGATGGG-3'
<2> 결과
동일한 크기의 PCR 산물이 위장·유문 전정부 점막 (도 3; 5번 레인) 및 혀·용상유두 (도 3; 2번 레인)로부터 유래된 샘플로부터 수득되었다. 서열 분석으로, 이러한 PCR 산물이 미각 세포로부터 유래된 T1R1의 서열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반면에, 위장·선위 점막 (도 3; 4번 레인) 및 혀·비-미뢰 조직 (도 3; 3번 레인)으로부터는 PCR 산물이 수득되지 않았다. 또한, 역 전사효소 없이 증폭 반응을 실시한 샘플 (도 3; 6, 7번 레인)로부터도 PCR 산물이 수득되지 않았다. 위장·유문 전정부는 특히 가스트린 생산 세포가 분포되어 있는 부분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해, 위장·유문 전정부의 점막에서의 T1R1의 발현이 면역조직화학 방법 뿐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해서도 입증되었다.
실시예 4 T1R 효능제를 사용한 위장 내용물 배출 검사
<실험 방법>
마우스 위장 배출 방법
수컷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0.05% 페놀 레드 및 검사 약물 (3.5 mM 사이클라메이트, 3.7 mM MSG (모노나트륨 글루타메이트), 다음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 (1 중량 ppm 및 10 중량 ppm))을 함유하는 5% 카세인 액상 식이 (0.5 mL)를 경구로 투여하고, 30분 후, 개흉하여 위장을 분리하였다. 위장을 0.1N 수산화나트륨 (14 mL) 중에 넣고, 균질화시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그대로 두었다. 2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0.5mL)을 5mL의 상청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였다 (3000rpm, 20분). 0.5N 수산화나트륨 (4 mL)을 상청액에 첨가하고, 흡광도를 흡수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560nm). 위장 배출률을 다음의 계산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위장 배출률 (%) = (1 - 검사 샘플의 흡광도 / 표준 샘플의 흡광도) x100
표준 샘플의 흡광도의 경우, 0.05% 페놀 레드 용액을 투여한 직후 분리한 위장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T1R 효능제를 사용한 위장관 운동 검사
<실험 방법>
각성상태의 개를 사용하여 위장관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
하룻밤 동안 금식시킨 암컷 비글을 1.0% 이소플루란으로 마취한 상태에서 복부 수술을 시행하였다; 위장관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를 환상근 수축을 측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위장 위에 꿰매고; 복부를 봉합하였다. 수술 2주 이상 후, 하룻밤 동안 금식시킨 후 위장관 운동을 측정하고; 다음의 제조 실시예에 기술된 검사 화합물 (T1R 효능제) 4, 5 또는 6 (각각 10 중량 ppm)을 함유하는 300ml의 압축 액상 식이 (Ajinomoto Co. Inc.,"MEDIEF BAG")를 강한 금식 수축 운동 3기 완료 후 10 내지 20분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각각의 검사 그룹의 경우 n = 1). 경구 섭취 60 내지 90분 후 기저선 및 수축 파동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으로서 운동성 지표를 계산하여, 상기 화합물이 없는 압축 액상 식이만을 경구로 투여한 대조군 그룹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다.
<실험 결과>
결과는 도 6에 제시되어 있다. 데이터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검사된 그룹은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위장관 운동의 증가를 보였다.
실시예 6 T1R 효능제를 사용한 위장 내용물 배출 검사
<실험 방법>
마우스 위장 배출 방법
수컷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0.05% 페놀 레드 및 검사 약물 (3.5 mM 사이클라메이트, 3.7 mM MSG (모노나트륨 글루타메이트), 다음의 제조 실시예의 화합물 2, 3, 4 또는 5 (각각 10 중량 ppm))을 함유하는 5% 카세인 액상 식이 (0.5 mL)를 경구로 투여하고, 30분 후, 개흉하여 위장을 분리하였다. 위장을 0.1N 수산화나트륨 (14 mL) 중에 넣고, 균질화시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그대로 두었다. 2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0.5mL)을 5mL의 상청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였다 (3000rpm, 20분). 0.5N 수산화나트륨 (4 mL)을 상청액에 첨가하고, 흡광도를 흡수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560nm). 위장 배출률을 다음의 계산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위장 배출률 (%) = (1 - 검사 샘플의 흡광도 / 표준 샘플의 흡광도) x100
표준 샘플의 흡광도의 경우, 0.05% 페놀 레드 용액을 투여한 직후 분리한 위장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결과는 도 7에 제시되어 있고, 여기서 수직축은 위장 배출률 (%)를 나타낸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화합물 2 내지 5는 위장 배출을 촉진시켰다.
제조 실시예
다음의 표 3에 기술된 화합물 1 내지 6을 다음의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화합물의 합성 방법은 다음의 실시예의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합성된 화합물의 구조를 자기 공명 스펙트럼 (Bruker AVANCE400 (400MHz)) 및 질량 분석 (Thermo Quest TSQ700)으로 확인하였다.
제조 실시예 1 3,6- 디클로로 -N-(4- 에톡시페닐 )-2- 메톡시벤즈아미드 (화합물 1)의 합성
아세토니트릴 (30mL)에 3,6-디클로로-2-메톡시벤조산 (1.68 g, 7.60 mmol) 및 p-페네티딘 (1.04 g, 7.60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3.21 g, 7.6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EA, 4.0 mL, 23.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 (50 mL), 수성 2N-염산 용액 (50 mL x 2), 포화 염수 (50 mL), 포화 수성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50 mL x 2) 및 포화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황산마그네슘을 여과시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으로부터 2회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1.11 g, 3.26 mmol, 42.9%)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δ): 1.44(t, J=7.0Hz, 3H), 3.99(s, 3H), 4.03(q, J=7.0Hz, 2H), 6.90(d, J=9.0Hz, 2H), 7.15(d, J=8.6Hz, 1H), 7.40(br.s, 1H), 7.36(d, J=8.6Hz, 1H), 7.50(d, J=9.0Hz, 2H).
ESI-MS: 340.2, 342.2(M+H)+.
제조 실시예 2 2,5- 디클로로 -N-(4- 에톡시페닐 ) 벤즈아미도 (화합물 2)의 합성
2,5-디클로로벤조산을 3,6-디클로로-2-메톡시벤조산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6.8%).
1H-NMR (CDCl3,δ): 1.42(t, J=7.0Hz, 3H), 4.04(q, J=7.0Hz, 2H), 6.90(d, J=10.2Hz, 2H), 7.38(s, 2H), 7.51(d, J=10.2Hz, 2H), 7.74(s, 1H), 7.78(br.s, 1H).
ESI-MS: 310.2, 312.2(M+H)+.
제조 실시예 3 N-(1-에틸프로필)- 벤조푸란 -2- 카복스아미드 (화합물 3)의 합성
벤조푸란-2-카복실산을 3,6-디클로로-2-메톡시벤조산 대신에 사용하고 3-아미노펜탄을 p-페네티딘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75.1%).
1H-NMR (CDCl3,δ): 1.03(t, J=7.4Hz, 6H), 1.48-1.59(m, 2H), 1.64-1.75(m, 2H), 3.98-4.07(m, 1H), 6.35(br.d, 1H), 7.26-7.31(m, 1H), 7.38-7.43(m, 1H), 7.46(s, 1H), 7.50(d, J=8.4Hz, 1H), 7.68(d, J=8.4Hz, 1H).
ESI-MS: 232.0(M+H)+.
제조 실시예 4 N-(1,2,3,4- 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1-일)- 벤조[1,3]디옥솔 -5- 카복스아미드 (화합물 4)의 합성
피페로닐산을 3,6-디클로로-2-메톡시벤조산 대신에 사용하고 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틸아민을 p-페네티딘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74.7%).
1H-NMR (CDCl3,δ): 1.84-1.96(m, 3H), 2.10-2.17(m, 1H), 2.76-2.88(m, 2H), 5.33-5.37(m, 1H), 6.01(s, 2H), 6.20(br.d, 1H), 6.80(d, J=8.5Hz, 1H), 7.12-7.33(m, 6H).
ESI-MS: 296.0(M+H)+.
제조 실시예 5 4- 에톡시 -N-(1-프로필부틸) 벤즈아미도 (화합물 5)의 합성
메틸렌 클로라이드 (30 mL)에 4-에톡시벤조산 (1.66 g, 10.0 mmol) 및 4-헵틸아민 (1.15 g, 10.0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빙조에서 0℃로 유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1.68 g, 11.0 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 2.11 g, 11.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빙조로부터 제거하여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 (50 mL), 5% 수성 시트르산 용액 (50 mL x 2), 포화 염수 (50 mL), 5% 수성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50 mL x 2) 및 포화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황산마그네슘을 여과시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2회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663 mg, 2.52 mmol, 25.2%)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δ): 0.90(t, 7.1Hz, 6H), 1.33-1.65(m, 15H), 4.07(q, J=7.0Hz, 2H), 4.10-4.20(m, 1H), 5.65-5.75(m, 1H), 6.90(d, J=8.8Hz, 2H), 7.71(d, J=8.8Hz, 2H).
ESI-MS: 264.0(M+H)+.
제조 실시예 6 3-(4- 메톡시페닐 )-N-(1-프로필부틸)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6)의 합성
4-메톡시 신남산을 4-에톡시벤조산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41.4%).
1H-NMR (CDCl3,δ): 0.90(t, J=7.0Hz, 6H), 1.30-1.55(m, 12H), 3.82(s, 3H), 4.05-4.15(m, 1H), 5.35-5.55(m, 1H), 6.27(d, J=15.5Hz, 1H), 6.87(d, J=8.8Hz, 2H), 7.43(d,J=8.8Hz, 2H), 7.58(d, J=15.5Hz, 1H).
ESI-MS: 276.1(M+H)+.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8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기능성 위장관 장애, 특히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 예를 들면 기능성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 질환 등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위장관 기능 촉진용 약제, 식품 또는 음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FD 등과 같은 위장관 기능장애와 관련된 소화불량의 예방 또는 개선을, 부작용 유발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약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활성 성분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생리학·생화학 분야의 실험에 유용하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2005-320827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60/738,561호를 바탕으로 하며, 이의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110> Ajinomoto Co., Inc. <120> Gastrointestinal function promoter <130> 09972 <150> JP 2005-320827 <151> 2005-11-04 <150> US 60/738,561 <151> 2005-11-22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 aggaccaccg tggtcgtggt ctt 23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2 gcactcaaga atcaccagat ggg 23

Claims (35)

  1. T1R 효능제(agonist)를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촉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인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제제.
  4. 제2항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제제.
  5. T1R 효능제를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욕 조절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Cyclamate)인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제제.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09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제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제 중의 활성 성분이 식품 또는 음료의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함유된 식품 또는 음료.
  11.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 T1R 효능제 또는 T1R 조절인자인 방법.
  13. (a) 검사 물질을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b) 검사 물질과 접촉시킨 세포에서 G 단백질의 활성화를 측정하고,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활성화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G 단백질의 활성화 측정을 위한 지표가 세포내 칼슘 농도, 세포내 cAMP의 양, 세포외 양성자의 양 및 세포내 위장관 호르몬 분비량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5. (a) 검사 물질 및 T1R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리간드를 T1R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b) 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한 리간드의 양을 측정하고, 검사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16. 유효량의 T1R 효능제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키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방법.
  20. 유효량의 T1R 효능제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 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10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1R 효능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1R 효능제를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
  26. 위장관 기능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T1R 효능제의 용도.
  27. 제26항에 있어서, 위장관 기능의 촉진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인 용도.
  28. 제27항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상부 위장관 기능장애인 용도.
  29. 제27항에 있어서, 기능성 위장관 장애가 기능성 소화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인 용도.
  30. 식욕 조절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T1R 효능제의 용도.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1R 효능제가 아미드 유도체 또는 사이클라메이트인 용도.
  32. 제31항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다음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용도.
    화학식 I
    Figure 112008040310189-PCT00011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 R3-NH-CO- 또는 R3-NH- (여기서, R3은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이고,
    R2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2 -25 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C3-25 사이클로알킬 그룹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벤젠과 축합된다),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르알킬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아릴알케닐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 그룹,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르알킬 그룹 또는 임의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아릴알케닐 그룹이다.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아미드 유도체가,
    (1) 3,6-디클로로-N-(4-에톡시페닐)-2-메톡시벤즈아미드,
    (2) 2,5-디클로로-N-(4-에톡시페닐)벤즈아미드,
    (3) N-(1-에틸프로필)-벤조푸란-2-카복스아미드,
    (4) 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벤조[1,3]디옥솔-5-카복스아 미드,
    (5) 4-에톡시-N-(1-프로필부틸)벤즈아미드 및
    (6) 3-(4-메톡시페닐)-N-(1-프로필부틸)아크릴아미드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용도.
  34. 제26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제 제품인 용도.
  35. 제26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T1R 효능제를 0.01 내지 100,000 중량 ppm의 비율로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인 용도.
KR1020087013545A 2005-11-04 2006-11-02 위장관 기능 촉진제 KR20080069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0827 2005-11-04
JP2005320827 2005-11-04
US73856105P 2005-11-22 2005-11-22
US60/738,561 2005-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233A true KR20080069233A (ko) 2008-07-25

Family

ID=3800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545A KR20080069233A (ko) 2005-11-04 2006-11-02 위장관 기능 촉진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18161A1 (ko)
EP (1) EP1965832A4 (ko)
JP (1) JP2009516637A (ko)
KR (1) KR20080069233A (ko)
AU (1) AU2006309539A1 (ko)
CA (1) CA2628414A1 (ko)
RU (1) RU2395300C2 (ko)
WO (1) WO20070528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339A (ko) * 2014-02-11 2015-08-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5011A (ja) * 2010-10-19 2014-02-27 エルセリクス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感覚受容体リガンドに基づく治療法
JP2014503473A (ja) * 2010-10-19 2014-02-13 エルセリクス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感覚受容体リガンドに基づく治療法
RU2530615C1 (ru) * 2013-05-14 2014-10-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 Ломоносова" (МГУ)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язвенных поражений желудка, вызываемых приемом нестероидных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JP6450689B2 (ja) * 2014-01-17 2019-01-09 株式会社明治 食後早期飽満感または胃食道逆流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EA030786B1 (ru) * 2016-07-08 2018-09-28 Айтен Сабир Кызы Гырхларова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атонии желудк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0966A (en) * 1983-08-22 1987-04-28 Susan J. Pettigrew Non-saccaride sweetened product
DE3919076A1 (de) * 1989-06-10 1990-12-13 Thomae Gmbh Dr K Mittel zur behandlung von erkrankungen des zentralnervensystems und zur foerderung der cerebralen durchblutung
JPH08319296A (ja) * 1995-05-23 1996-12-03 Takeda Chem Ind Ltd ヒトlh−rh受容体タンパク質、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2001245666A (ja) * 2000-03-06 2001-09-11 Kyowa Hakko Kogyo Co Ltd 新規ポリペプチド
CN1510993A (zh) * 2001-05-01 2004-07-07 ���¿��ֹ�˾ 赤藓糖醇和d-塔格糖在零热量或低热量饮料和食品中的用途
US6676933B2 (en) * 2001-05-23 2004-01-13 Osmotica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osapride and pancreatin
NZ597500A (en) * 2003-08-06 2014-08-29 Senomyx Inc Novel flavors, flavor modifiers, tastants, taste enhancers, umami or sweet tastants, and/or enhancers and use thereof
US20050244810A1 (en) * 2003-09-29 2005-11-03 Egan Josephine M Taste signaling in gastrointestinal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339A (ko) * 2014-02-11 2015-08-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16637A (ja) 2009-04-23
US20090018161A1 (en) 2009-01-15
EP1965832A1 (en) 2008-09-10
RU2008122350A (ru) 2009-12-10
CA2628414A1 (en) 2007-05-10
AU2006309539A1 (en) 2007-05-10
WO2007052837A1 (en) 2007-05-10
EP1965832A4 (en) 2010-08-04
RU2395300C2 (ru) 201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ly et al. Sensing of amino acids by the gut-expressed taste receptor T1R1-T1R3 stimulates CCK secretion
EP2275138A1 (en) Promoter for bicarbonate secretion in gastrointestinal tract
RU2407524C2 (ru) Средство и продукт питан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уменьшения проявлений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пищеварения
Wang et al. Obesity alters adrenergic and chemosensory signaling pathways that regulate ghrelin secretion in the human gut
JP5533648B2 (ja) 免疫賦活剤
TW200902539A (en) Modulation of chemosensory receptors and ligands associated therewith
KR20080069233A (ko) 위장관 기능 촉진제
EA006556B1 (ru) Способы,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борьбы с ожирением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етаболизма жирных кислот
JP2014532669A (ja) N−ベンジルアニリン誘導体及びその使用
CN110177581A (zh) 髓过氧化物酶显像剂
Stoeger et al. Identification of bitter-taste intensity and molecular weight as amino acid determinants for the stimulating mechanisms of gastric acid secretion in human parietal cells in culture
RU2591210C2 (ru)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боли и других расстройств
JP6910188B2 (ja) Trpa1活性化剤
JP2016094389A (ja) (s)−(−)−ベンプロペリンを含むがん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11981695B2 (en) Linoleic acid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mprising said linole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s
BRPI0618201A2 (pt) agentes promotor da função gastrointestinal e regulador do apetite, composição farmacêutica, alimento ou bebida, métodos de triagem para uma substáncia capaz de promover uma função gastrointestinal, de promover uma função gastrointestinal e de regular um apetite, e, uso de um agonista de t1r
KR101724425B1 (ko) (z)―2―아세트아미도―3―(4―히드록시―3―메톡시페닐)아크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74748B2 (ja) Glp−1分泌促進剤
Bourin Physiology and Pharmacology of Melatonin
WO2023106325A1 (ja) β-アラニン吸収抑制剤
Cancello Cellular Cold Perception
KR101699659B1 (ko) (z)―5―(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질리덴)―2―티옥소이미다졸리딘―4―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63072A1 (en) Methods of treating disease
Li et al. The overlooked background of gastric MMC III: the signalling pathways of motilin receptors inducing canine left gastric artery relaxation
Vancleef Making sense of what we eat: amino acid taste receptors tune ghrelin release and smooth muscle contract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