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680A - 냉장 소매 유닛 - Google Patents

냉장 소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680A
KR20080068680A KR1020087010281A KR20087010281A KR20080068680A KR 20080068680 A KR20080068680 A KR 20080068680A KR 1020087010281 A KR1020087010281 A KR 1020087010281A KR 20087010281 A KR20087010281 A KR 20087010281A KR 20080068680 A KR20080068680 A KR 2008006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drawer
unit
acces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 데이비드 우드
소지 카스트로 펠라요
알렉산드라 이브 쉘튼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611877A external-priority patent/GB061187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617097A external-priority patent/GB0617097D0/en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86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for charging, display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 소매 유닛은 지지 구조체, 접근 개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진열 위치와 개방된 상부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완전 접근 위치 사이에서 구조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가 개방된 절연성 용기를 갖는다. 용기는 완전 접근 위치에 있을 때 찬 공기를 내부에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유닛은 용기의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과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 절연성 덮개를 더 포함한다. 용기는, 진열 위치에 있을 때 덮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는 전체 상부 평면 영역을 형성하며, 이때 덮개에 의해 덮이지 않는 용기의 상기 영역의 나머지는 접근 개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냉장 소매 유닛{REFRIGERATED RETAIL UNITS}
본 발명은, 식품 및 다른 상하기 쉬운 것들을 저장하는 냉장고 및 냉동고와 같은 제품들을 포함한 냉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온 저장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소매 환경에서의 사용을 위한, 예를 들어 상점에서 냉동 또는 냉장된 식품 및 음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 진열장 및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간결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진열장 및 디스펜서를 냉장 소매 유닛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에 출원된 공개 공보에 설명된 개념을 발전시킨 것이다. 이들 이전 특허 출원의 예로는 WO 01/20237, WO 02/073104, WO 02/073105, WO 02/073107, WO 2005/024315, 및 WO 2006/021819가 있다. 그 내용들을 본원에서 참조한다.
WO 01/20237의 서두를 간단히 언급하자면, 식품 및 다른 상하기 쉬운 물품들을 냉장 및 격리 수용 상태로 저장하는 것의 장점은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다. 냉장은 이러한 물품들이 변하는 것을 늦추며, 격리 수용은 이들의 교차 오염 방지를 돕는다. 따라서 냉장고 및 냉동고와 같은 현대의 저온 저장 제품들은 비록 자주 효과적인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가 상이한 종류의 식품을 상이한 칸에 저장할 수 있도 록 통상적으로 구획화된다. 이러한 제품들은 모두, 비록 내부 제품들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위해 소매상 응용에서는 절충될지라도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한다는 부가적인 목적을 갖는다.
냉장 소매 유닛은 일반적으로 절연된 캐비넷 내부에 대류 루프를 발생시키는 쿨러 유닛을 포함한다. 쿨러 유닛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캐비넷의 바닥쪽으로 가라앉고, 이 공기가 하방 이동 중에 열을 흡수하면 데워져서 다시 쿨러 유닛으로 상승하고 여기에서 다시 냉각된다. 캐비넷 내부의 또는 이것과 연통하는 팬에 의한 강제 공기 순환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캐비넷 내부에는 선반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의 순환에 거의 저항하지 않도록 대개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일부 냉장 소매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절연된 캐비넷을 포함하는 상자형 냉동고(chest freezer)의 형식을 갖는다. 캐비넷은 그 내용물에의 편리한 접근을 위해 개방해 둘 수 있지만, 주변 공기로부터 캐비넷 내부로의 계속되는 열전달의 불이익이 따른다.
이러한 열흡수(heat gain)의 문제는 슬라이딩식 접근 패널 또는 수평 힌지식(horizontally-hinged)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절연된 덮개로 캐비넷의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캐비넷 내의 제품들에 대한 더 힘든 접근의 불이익은 이러한 해법이 소매상 응용에서 자주 채택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자형 냉동고가 캐비넷 내부에 찬 공기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그 형식은 불편하며, 캐비넷 바로 위의, 접근에 필요하고 덮개를 개방하기 위해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는 공간의 활용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공간 낭비적이다. 상방으로 개방되는 덮개 대신 슬라이딩식 접근 패널이 이용되더라도 캐비넷 상부에 물품을 편리하게 놓을 수 없다. 또한 큰 상자형 냉동고의 내용물에의 접근이 극히 어려워서, 캐비넷 내의 저온 저장 체적의 바닥에 있는 물품에 닿으려면 상체를 굽혀 무겁고 고통스러울 정도로 차가운 여러 물품들을 옮겨야 한다.
상자형 냉동고 형식의 단점의 관점에서, 대부분의 냉장 소매 유닛들은 직립 전면 개방형의 절연된 캐비넷을 이용한다. 캐비넷의 내부 저장 체적은 통상적으로 선반들에 의해 분할된다. 이것은 유닛의 주어진 평면 영역 또는 '도달 범위(footprint)'에 대해 더 많은 제품들이 진열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닥 공간을 더 잘 활용하게 만든다. 선반을 사용하면 또, 보고 선택하기에 더 편리한 높이에 제품들을 놓을 수 있고, 따라서 캐비넷이 충분히 높은 경우 이들 제품들에의 접근을 더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두드러진 유닛으로는 슈퍼마켓과 테이크아웃식 샌드위치 가게 및 카페테리아에서는 전면 개방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유닛은 음료수의 셀프서비스 소매상에서도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응용에서는 일반적으로 문이 달린다.
일반적으로 바에서 병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낮은 '언더 카운터(under-counter)' 유닛에는 용이한 접근의 장점이 적용되지 않는데, 여기에서는 제품들이 통상적으로 바닥 가까이에 있어서, 이것들을 보고 접근하려면 허리를 굽히거나 또는 심지어 무릎을 구부려야 한다. 빠른 냉각을 위해 병들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곳에서는 이것이 소중한 카운터 공간을 낭비한다는 것도 주목된다.
용이한 접근의 장점은 실제 허리 높이 위 그리고 눈높이 아래의 선반 상에 지지된 제품들에만 적용되며, 또 각 선반의 앞쪽에 있는 제품들에만 적용된다. 선반의 뒤쪽에 있는 제품들에의 접근은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이것은 캐비넷 내의 유효 저장 공간을 감소시키고, 가장 차갑고 유통 기한이 가장 빠른 제품에의 접근을 방해한다. 손님들은 선반 앞쪽에 가장 편리하게 놓인 물품을 고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효과적인 재고 순환(stock rotation)에 대한 더 큰 수요를 일으킨다. 그러나 기존의 전면 개방형 냉장 소매 유닛의 전면 적재식 설계도 이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고 순환을 방해한다.
전면 개방형 직립 캐비넷들은 재고가 보충되고 순환해야 할 때 특정한 문제를 만난다. 이것들은 전면 보충(front-fill) 해법만 제공하여, 상하기 쉬운 물품들이 캐비넷의 뒤쪽에 놓인 경우 유통기한이 만료될 수 있는 위험을 제기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시나리오는 선입 후출(first-in, last out)로 요약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은 재고 순환을, 여러 무겁고 차가운 물품들을 캐비넷 내의 불편한 위치로부터 옮기는 일이 있을 수 있는 힘든 수작업으로 만든다. 이것은 물품을 손상과 교차 오염의 위험에 처하게 하고, 일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위험을 야기한다. 적어도 일부 물품이 효과적으로 순환되지 않아 판매 전에 유통기간이 만료될 가능성도 있다.
물론, 직립 전면 개방형 캐비넷의 주 문제는 사용 중인 캐비넷의 바닥으로부터 찬 공기가 자유로이 유동하여 상부에서 유입되는 따뜻한 주변 공기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변 공기의 진입은 캐비넷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따라서 쿨러 유닛을 가동하여 이 상승을 바로 잡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들어오는 주변 공기는 공기를 통한 오염의 가능성을 제기하고, 이 공기 중의 수분도 캐비넷 내에 응결과, 결빙을 일으킨다. 한편, 캐비넷에서 흘러나온 찬 공기는 쇼핑객과 직원들에게 불편을 끼칠 정도로 주위 영역을 냉각시키고, 심지어 환경 규제에 위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이에 통로를 두고 평행한 대향 줄로 여러 냉장 소매 유닛이 배열될 때 특히 분명하다.
소매점을 닫을 때마다 직립 캐비넷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질러, 제거가능한 나이트 커버를 부착 또는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나이트 커버는 매우 비효과적이고, 설치가 시간소모적이어서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찬 공기 유출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더 일반적인 접근에서는, 캐비넷에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는, 수직으로 밀폐된 힌지식 또는 슬라이딩식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는 폐쇄되어 있는 동안만 찬 공기 유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소매상 응용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이, 도어가 더 오래 더 자주 개방될수록, 찬 공기가 더 많이 흘러나와, 따뜻하고 습기가 있으며 오염되었을 수 있는 주변 공기로 교환된다.
상자형 냉동고의 덮개처럼, 도어는 캐비넷 내의 제품들을 보고 그것들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비록 도어가 통상적으로 소매상 환경에서는 판유리로 되어 있지만, 그 뒤에 있는 제품을 보는 것이 계속 가능하게 하려면 오물 및 응결이 없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쇼핑객이 바구니를 들고 있거나 유아를 안고 있어서 양손이 자유롭지 못할 때에는 도어를 개방해야 하는 것이 불편하다. 이것은 특히 캐비넷 내의 압력 감소의 효과에 대항하거나, 또는 도어를 폐쇄되도록 미는 스프링이나 램프(ramp)와 같은 바이어스 수단에 대항하여 도어를 강제로 개방해야 하는 곳에서 적용된다. 도어 개방의 불편함은 도어가 걸쇠로 폐쇄되어 있거나 언더카운터 유닛에처럼 아래에 낮게 배치된 경우에 증가한다.
예를 들어 유닛이 좁은 바의 뒤에서 사용되도록 된 곳에서는 힌지식 도어가 맞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슬라이딩식 도어가 맞을 수도 있지만,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항상 캐비넷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질러서 놓이게 되어, 뒤에 있는 캐비넷 내의 제품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옆으로 슬라이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근에 방해가 된다.
수직 시일(seal)의 한계는,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도 찬 공기의 손실과 따뜻한 공기의 유도가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장 찬 공기는 더 따뜻한 공기보다 밀도가 커서, 캐비넷의 바닥에 모이고, 시일링 경계면에 압력을 가하여서, 시일이 도어와 캐비넷 사이에 완전한 시일을 형성하지 않으면 이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공지의 냉장 소매 유닛들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이것들이 상이한 유형의 식품과 다른 상하기 쉬운 물품들을 교차 오염이 예방되도록 효과적으로 격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실제, 식품의 격리 수용은 이 유닛들이 의존하는 대류 및/또는 강제 공기의 원리에 의해 절충된다. 실질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캐비넷 내의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선반들은 습기, 효소, 및 해로운 박테리아의 순환도 촉진시킨다. 또한 요리되지 않은 육류에서 흘러나오는 즙과 같이 흘러나오거나 새어나오는 액체는 개방 선반에 의해 담기지 않고 아래에 있는 제품들 위로 떨어진다.
공지의 냉장 소매 유닛의 또 다른 문제점은, 부분적으로 절연 캐비넷에 대한 이것의 의존성에서 생기는 유연하지 못한 설계이다. 예를 들어, 이것의 전체적인 형태는 지리한 입방체이기 쉽고, 판매 중인 제품들에 대한 접근을 가리거나 방해하지 않고 광고나 가격과 같은 제품 정보를 표시할 공간이 거의 없다.
수년 동안 냉장 소매 유닛의 설계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란노 등의 US 5599079는 특히 바나나를 진열하기 위한 냉장 제품 진열 스탠드를 개시한다. 이 스탠드는 접근을 위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어 나와 위로 기울여질 수 있는, 내부가 냉각되고 상부가 개방된 비절연 서랍을 갖는다. 냉각은 외부의 냉각 수단으로부터 찬 공기를 공급해 넣는, 각 서랍의 후면 벽으로의 유연한 호스에 의해 실행된다. 서랍들은 수평일 때 찬 공기를 유지할 수 있지만, 서랍이 위로 기울여지면 찬 공기가 새어나오게 된다. 또한, 개방된 상부와 비절연 벽들을 통한 서랍 내부로의 대량의 열흡수와, 서랍 내에 형성되는 응결의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응결은 미생물 생장의 주요인이다.
긴네스의 GB 2028480은 중력 공급 서랍을 가진 병 쿨러를 개시하는데, 각 서랍은 경사진 내부 베이스와 서랍 내의 병의 하방 운동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가이드를 갖는다. 각 서랍의 전면 벽에 있는 전면 접근 개구는 수직 평면에 놓인다. 접근 개구 상에는 찬 공기의 커튼(curtain)을 발생시키는 설비가 있다. 접근 개구는 또, 셔터 또는 윈도우에 의해, 비록 이러한 셔터 또는 윈도우는 사용 중인 서랍 내부에의 접근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가능해야 하겠지만, 폐쇄될 수도 있다.
벽에 개구를 가진 서랍은, 비록 개구가 대부분의 시간 동안 폐쇄되어 있지 만, 본질적으로 새는 틈이 있다. 또한 GB 2028480은 서랍이 개방될 때 공기가 새어나오고 내부에서는 공기가 서랍들 사이에서 순환하며 혼합되는 냉각 캐비넷 설계를 개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각 서랍의 베이스는 개방된 틀(framework)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주목하게 된다. 또 다시, 낮은 작동 온도로 인한 결빙의 추가 위험과 함께 열흡수와 응결이 문제가 된다.
일렉트로룩스의 EP 0853456은 절연된 전면 개방형 캐비넷에 위아래로 배치된 복수의 비절연 서랍을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을 개시한다. 폐쇄되었을 때 각 서랍의 베이스-바닥 서랍 이외의 것-는 각 서랍의 베이스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전면 벽에 의해 형성된 전면 접근 개구를 제외하고, 아래에 있는 서랍의 개방된 상부 대부분을 덮는다.
서랍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도 접근 개구를 통해 물품을 제거할 수 있다. 각 서랍의 내부 베이스는 물품들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접근 개구가 있는 전방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기울여져 있다.
지지 구조체는 찬 공기를 각 서랍의 후부에 공급하는 공유 공기실(plenum chamber)를 형성한다. 서랍들과 공기실은 찬 공기의 순환과 따뜻해진 공기의 복귀를 위해 연통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랍들은 그 후면 벽에 공기실의 전면 벽의 구멍과 협동하는 구멍을 갖는다. 불리한 점은, 서랍들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되면 서랍과 공기실 모두로부터 찬 공기가 이 구멍들 밖으로 넘쳐나온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웃한 한 쌍 중 상위 서랍이 개방될 때, 이 찬 공기는 이 쌍의 하위 서랍의 개방된 상부로 직접 빠져나온다.
이웃한 각 쌍의 상위 서랍으로부터 하위 서랍의 접근 개구를 가로질러, 하위 서랍으로의 찬 공기의 직접적인 유출도 있다. 이것은 단지 사용자의 손이 접근 개구에 진입할 때 유쾌한 차가운 느낌을 주기 위한 것이다.
한 서랍에서 다른 서랍으로의 공기 전달을 위한 공유 공기실 및 설비는, EP 0853456이 서랍의 저온 저장 체적들을 효과적으로 격리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지 않음을 증명한다. 또한 EP 0853456은 여전히 초기 선행 기술의 냉각 캐비넷 원리에 집착하여 캐비넷의 절연에 의존한다. 이것은 설계의 자유를 제한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서랍의 외부가 아래의 주변 공기로부터 서랍으로의 열전달과 서랍으로부터의 찬 공기의 손실로 인해 아래의 주변 공기에 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EP 0853456은 여전히 캐비넷으로의,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서랍으로의 열흡수를 겪는다. 이것은 캐비넷의 개방된 전면을 통한 찬 공기의 손실과 더 따뜻한 주변 공기에 의한 대체, 및 이 더 따뜻한 공기에의 비절연 서랍의 노출 때문이다.
안으로 들어오는 주변의 따뜻한 공기는 캐비넷 내로 수증기를 나른다. 그래서 서랍 외부, 캐비넷 내부, 및 서랍 활주부와 같은 캐비넷 내의 다른 요소들의 온도가 주변의 이슬점 아래로 떨어지면, 이것들의 표면상의 응결이 불가피하다. 응결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한다. 이것도 잠열(latent heat)을 전달하고, 보기 흉하여 눈에 거슬리며, 부식을 일으키고, 유닛이 바닥에 웅덩이가 커지게 놓아두지 않으려면 계속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또한 유닛이 냉동고로서 사용되는 경우, 응결이 결빙을 일으킬 수도 있다.
각 이웃한 쌍의 상위 서랍과 하위 서랍 사이에 갭이 있어서 결빙은 EP 0853456에서 특히 위험 요소이다. 이러한 갭의 목적은 이웃한 서랍들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허용하는 것이지만, 이들 갭 내로 이동하는 응결물은 서랍 내용물의 온도가 0도씨 아래일 경우 불가피하게 얼게 된다.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갭은 결국 서랍들을 얼어붙게 만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은,
지지 구조체;
접근 개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진열 위치와, 개방된 상부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완전 접근 위치 사이에서 구조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연성 상부 개방 용기;
완전 개방 위치에서 내부에 실질적으로 찬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
용기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 및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 절연성 덮개를 가진 냉장 소매 유닛에 있어서,
용기는, 진열 위치에 있을 때 덮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는 전체 상부 평면 영역을 형성하고, 덮개에 의해 덮이지 않는 용기의 상기 영역의 나머지는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는 구조체에 고정된다. 용기는 진열 위치를 지나 덮개에 의해 용기의 개방된 상부가 완전히 폐쇄되는 완전 폐쇄 위치로 덮개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다.
용기는 서랍으로서 구조체와 덮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고, 구조체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용기가 서랍으로서 이동하는 곳에서는, 용기와 구조체 사이의 포개어 끼우는 식의 활주부가 접근 용이성을 위해, 실질적으로 용기의 개방된 상부 전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용기가 구조체로부터 꺼내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덮개가 실질적으로 수평한 하면을 갖고, 용기의 개방된 상부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면을 형성하며, 용기는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덮개의 하면과 용기의 상면은 하방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이 경우, 용기는 대응하여 기울어진 평면에서 이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유닛은 상방 위치에 용기를 유지하는 걸쇠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유닛은 또한, 혹은 또 달리, 용기를 상방으로 미는 바이어스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또는 각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비절연 캐비넷 또는 케이싱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이것은 상당한 설계의 자유를 제공한다.
용기는 그 안에 중2층(mezzanine) 선반을 구비하여 각 용기의 진열 영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유닛은 위아래로 적어도 2개의 용기를 가져, 하위 용기와 상위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위 용기의 덮개와 상위 용기의 바닥 사이에 공극이 존재한다. 용기들은 진열 위치에 있을 때 계단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용기는 상위 용기보다 전면에서 후면까지가 더 길 수 있다. 하위 용기의 덮개는 하위 용기보다 더 짧을 수 있지만, 상위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을 때 하위 용기는 상위 용기보다 구조체로부터 더 꺼내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위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 벽을 갖고, 하위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상위 용기의 전면 벽보다 덜 기울어진 전면 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하위 용기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용기의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인 전면 벽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서랍 내의 공간과 서랍에의 접근을 최대화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위 용기가 상위 용기보다 측면 간 폭이 더 크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하위 용기의 덮개는, 하위 용기보다 더 좁고, 상위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용기 중 하나는 서랍으로서 구조체에 대하여 이동하고, 다른 용기는 구조체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냉각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덮개와 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수단은 덮개 내에 팬 코일을, 또는 덮개 내에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내의 공기실은 부분적으로 공기실을 형성하는 파티션의 개구들을 통해 증발기 및 용기와 연통할 수 있다.
덮개와 용기 사이에 독립된 공기 순환을 냉각 수단이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용기가, 접근 개구를 가로질러 내뿜어진 공기 커튼으로부터의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가진 재순환 덕트를 포함한다. 공기 커튼은 접근 개구를 통해 덮개로부터 내뿜어질 수 있으며, 재순환 덕트는 공기를 덮개로 안내하기 위한 출구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출구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후면에 있다.
일반적으로 냉각 수단은, 열교환기, 덮개 바깥의 찬 공기원으로부터 덮개를 통해 연장하는 찬 공기 덕트, 또는 자기 냉장(magnetic refrigeration)과 같은 다른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냉각의 대부분은 덮개에 의해 일어나고, 냉각 수단은 용기의 외부를 냉각시키지 않는다.
상기, 또는 각 용기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직립하여 개방된 상부를 형성하는 전면, 후면, 및 측면 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후면 벽과 측면 벽들은 실질적으로 베이스로부터 덮개까지 연장할 수 있고, 전면 벽은 후면 벽보다 짧을 수 있다. 전면 벽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용기의 전면 벽에 절연성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면, 후면, 및 측면 벽들이 베이스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전면 벽 및/또는 후면 벽은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측면 벽들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도 바람직하다.
적어도 전면 벽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용기 내의 물품들을 보기 위해 투명하다. 추가적으로, 측면 벽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투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의 적어도 내면은 접근 개구가 있는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이 경우, 내면은 접근 개구로 이어지는 평팽한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접근 개구에 인접한 베이스의 기울어진 내면의 전방의 작은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이 면의 후방의 주 부위보다 더 가파르게 기울어진다. 예를 들어, 용기의 전면 벽은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전방의 작은 부위는 전면 벽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베이스의 내면은 하방으로 기울어져 용기의 제2 접근 개구로부터 멀리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닛이 위아래로 적어도 2개의 용기를 가진 곳에서는 하위 용기의 덮개가, 상위 용기의 베이스의 외측 경사와 맞도록 기울어진,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전면 벽은 베이스에 대하여 내각이 둔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벽들의 전방의 연장부는 각각 기울어져 상방을 향하고 전면 벽의 상부로 연장하는 엣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엣지와 전면 벽의 상부는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 개구를 형성한다. 후면 벽이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측면 벽들의 후방 연장부는 각각, 상방을 향하는 기울어지고 후면 벽의 상부까지 연장하는 엣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엣지와 후면 벽의 상부는 함께, 제2 접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적절하게는, 주 접근 개구는 전면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근 개구는 측면 벽의 전방 연장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덮개의 전방 엣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벽이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진 곳에서는, 측면 벽들의 전방 연장부가 각각,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전면 벽의 상부로 연장하는 엣지를 갖고, 상기 엣지와 전면 벽의 상부는 함께, 이들 사이에 접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근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향하는데, 바깥쪽으로 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개구는 전방으로 향하거나 측면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지 접근 개구는 덮개에, 예를 들어 덮개의 전방 및/또는 덮개의 적어도 일 측면에 적절하게 인접한다. 따라서, 접근 개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덮개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덮개는 접근 개구를 통한 접근 용이성을 위해 하방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접근 개구에 인접한 단부면을 가질 수 있다.
이동가능하거나 제거가능한 폐쇄부가 상기 또는 각 접근 개구를 덮을 수 있다. 폐쇄부는, 예를 들어 덮개에 힌지식으로 달림으로써 덮개에 의해 지지될 수 될 수 있다. 폐쇄부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덮개 내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리세스에 넣을 수 있다. 폐쇄부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할 수 있다.
용기는 복수의 지지 플랫폼에 나란히 배치된 상부가 개방된 절연 상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자 중의 하나는 접근 개구 아래에 놓일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자는 완전히 덮개 밑에 있을 수 있다. 상자들은 적절하게 협동하여, 덮개의 평면 하면과 협동가능한 평면 상면을 형성한다.
상자들은 플랫폼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 플랫폼은 상자들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슬라이딩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울어진 플랫폼상의 하위 상자는 바람직하게는 플랫폼으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플랫폼 상의 하나 이상의 상위 상자들을 아래로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기울어진 플랫폼은 하위 상자를 지지하기 위해 전면 벽을 가질 수 있다.
플랫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구조체에 대한 서랍으로서, 구조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플랫폼은 바람직하게는 포개어 끼우는 식의 활주부에 의해 지지되며, 플랫폼의 후부에 상자를 놓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구조체로부터 꺼내어 질 수 있다.
각 상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플랫폼으로부터 덮개로 연장하는 후면 벽과 측면 벽, 및 후면 벽보다 짧은 전면 벽을 갖는다. 접근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면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유닛은,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을 때 용기 내부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제2 접근 개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접근 개구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 중 적어도 하나는 용기로부터 물품을 제거하기 위한 출구 개구이다. 이 경우, 접근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용기 내에 물품을 놓기 위한 입구 개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덮개와 용기의 상부 사이에서 시일이 작용한다. 이 시일은 자기 슬라이딩 시일일 수 있으며, 덮개의 하면을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는, 시일은 구조체에 대하여 용기의 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시일의 제1 횡방향 부재는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을 때 덮개와 용기의 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부재 전방의 시일의 제2 횡방향 부재는 용기가 완전 접근 위치에 있을 때 덮개와 용기의 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시일의 제2 횡방향 부재는 용기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덮개와 용기의 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1 횡방향 부재 후방의 시일의 제3 횡방향 부재는 용기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덮개와 용기의 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다.
시일은, 바람직하게는 구조체에 대하여 용기의 운동 방향에 평행한 종방향 부재를 갖는다. 시일의 종방향 부재는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거나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덮개와 용기의 측면 벽 사이에서 적절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이 더 쉽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 이제 예시적인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a와 도 1b는 식품을 진열하고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1a는 폐쇄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1b는 재고 확충을 위해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병을 진열하고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2a는 폐쇄된 서랍과 커버를 도시하고, 도 2b는 폐쇄된 서랍과 개방된 커버를 도시하며, 도 2c는 개방된 서랍과 커버를 도시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서랍들이 쌓여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로서, 도 3a는 적층된 모든 서랍들과 그것들의 폐쇄된 커버들을 도시하고, 도 3b는 폐쇄된 모든 서랍과 이 서랍으로부터의 병의 제거를 위해 개방된 하나의 커버를 도시하며, 도 3c는 새로운 병의 공급으로 재고 확충을 하기 위해 개방된, 서랍 중의 하나와 커버 중의 하나를 도시한다.
도 4a와 도 4b는 서랍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2 접근 개구를 가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4a는 폐쇄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4b는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5는 접근 개구들이 덮개를 갖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5에서는 서랍은 폐쇄되어 있고 양쪽 덮개는 개방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가 어떻게 쌓여서 다중 서랍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서랍과 커버들이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8a는 폐쇄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8b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서랍을 도시하며, 도 8c는 완전히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서랍들이 쌓여서 다중 서랍 유닛을 형성하는, 제5 실시예의 변형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9a는 폐쇄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9b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서랍을 도시하며, 도 9c는 완전히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입단면도로서, 도 10a는 서랍이 폐쇄된 측단면도이고, 도 10b는 서랍들이 개방된 측단면도인 도 10a와 도 10c에 대응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접근 개구를 가로지르는 공기 커튼을 위한 설비를 가진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11a는 폐쇄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11b는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적층된 서랍들이 각각 복수의 카세트를 지지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12a는 카세트가 가득 쌓인 유닛을 도시하고, 도 12b는 유닛의 바닥 서랍으로부터 카세트가 제거되는 것을 도시하며, 도 12c는 이 제거의 결과 나머지 카세트들이 바닥 서랍 내에서 어떻게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지를 도시하고, 도 12d는 바닥 서랍이 개방되어 새로운 카세트로 재고가 채워지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용기가 유닛으로부터 제거가능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13a는 유닛 내의 용기들을 도시하고, 도 13b는 용기들이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도시하며, 도 13c는 유닛으로부터 제거된 용기들을 도시한다.
도 14a와 도 14b는 제9 실시예의 용기들과 유사한 용기가 아래쪽의 서랍과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도 14a는 폐쇄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14b는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투명한 벽으로 된 하위 서랍으로의 접근을 조성하도록 투명한 벽으로 된 상위 서랍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15a는 서랍들이 폐쇄된 측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며, 도 15c는 개방된 상위 서랍과 폐쇄된 하위 서랍을 도시하며, 도 15d는 개방된 하위 서랍과 폐쇄된 상위 서랍을 도시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서랍의 전면 및 측면 벽이 불투명한 제1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그렇지 않으면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도 15b, 도 15c, 및 도 15d에 각각 대응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여러 가지 공통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가능하면 동일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각 경우에 냉장 소매 유닛은, 통상적으로 각각 폐쇄와 개방에 해당하는 수축된 상태와 연장된 상태 사이에서 구조체(22)에 대한 운동을 위해 구조체(22)에 의해 지지되고 절연 서랍(20)의 형태로 된, 하나 이상의 용기를 갖는다. 포개어 끼우는 식의 활주부(24)는 청소와 보급의 용이성을 위해, 위로부터 서랍(20)의 개방된 상부 전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도로, 서랍(20)이 구조체(22)로부터 꺼내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서랍(20)은 유닛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 서랍(20)은 필요할 때까지 보관 지역에 보관되었다가 신속히 유닛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공급자는 포장되어 준비된 물품들을 서랍(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닛 내의 서랍(20)의 수와 크기는 유닛에 저장되어 진열되는 물품들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특히, 서랍(20)은, 상이한 물품들, 예를 들어 소프트드링크 캔, 500ml와 2/3 리터 병을 수용하기에 적절한 어느 높이든지 가질 수 있다.
상기, 또는 각 서랍(20)은 구조체(22)에 고정되어 이것에 의해 지지된 절연 덮개(26)를 갖는다. 덮개(26)는 서랍(20)이 폐쇄될 때 서랍(20)의 개방된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서랍(20)은, 서랍(20)이 폐쇄될 때 덮개(26)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는 상부 평면 영역 전체를 형성한다. 이때 덮개(26)에 의해 덮이지 않는 서랍(20)의 상부 평면 영역 전체 중 나머지는 폐쇄된 서랍(20)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개구(28)를 형성한다.
냄새 오염과 같은 교차 오염을 최소화하고, 또 에너지의 낭비와 결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덮개(26)와 서랍(20)의 개방된 상부 사이에 시일(30)이 제공될 수 있다. 열선 수단(trace heating means)(미도시)도 결빙을 막기 위해 시일(30)과 결합될 수 있다.
서랍(20)의 외부가 아닌 내부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 수단이 제공된다.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냉각 수단이 덮개(26)와 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대부분의 실시예들은 덮개 내에 팬(32), 공기실(34), 및 증발기(36)를 포함하는 팬 코일 유닛을 이용한다. 기류(air flow)는, 공기실(34)의 하측을 형성하고 서랍(20) 둘레에 찬 공기를 분산시키는 파티션(38) 내의 개구들을 통해, 덮개(26)와 서랍(20) 사이의 독립된 순환의 일부로서 팬(32)에 의해 증발기(36)를 가로질러 구동된다. 여기에 구체적으로 인용하지 않지만 성애제거 배수 수단이 공지의 방식으로 증발기(36)와 결합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는, 덮개(26) 내의 증발기(36), 또는 덮개(26)를 통해 덮개(26) 외부의 찬 공기 소스로부터 연장하는 찬 공기 덕트와 같은 열교환기일 수 있다. 자기 냉장과 같은 다른 냉장 수단이 가능하다. 덜 바람직하지만 냉각 수단이 덮개(26)와 결합되지 않은 것도 가능하다.
상기, 또는 각 서랍(20)의 외부는 응결 및 결빙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 해,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 있는 공기에 노출된다.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 출원 WO 01/20237과 WO 02/073105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유닛 내와 폐쇄된 서랍 주위에서 주변의 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촉진하기 위해, 수단(미도시)이 제공될 수도 있다.
서랍(20)은, 관련 덮개(26)와 함께 서로 상하로 쌓여서, 덮개(26)와 서랍(20)이 적층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서랍(20)과 덮개(26)는 또한, 혹은 또 달리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조합되어 다양한 응용에 대한 이상적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개별 모듈에 서랍(20)과 그 덮개(26)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식품 또는 다른 내용물에 맞도록 하고, 최소한 섭씨 0도보다 높은 냉장과 섭씨 0도 훨씬 아래의 냉동과 같은 상이한 저온 저장 조건에 맞도록 상이한 서랍(20)에서 상이한 온도를 선택하는 설비가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주어진 서랍(20)이 냉장고에서 냉동고로, 그리고 그 역으로 쉽게 전환되어,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닛 내에 냉동고 공간에 대한 냉장고 공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닛은 이러한 방식으로 변화하는 저온 저장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면 중에서 도 1a와 도 1b를 보면, 이 도면들은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40으로 표시한 식품 및 음료수를 진열하고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유닛은, 예를 들어 패키지로 된 아이스크림을 진열하는 냉동고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자동판매기나 카운터톱(counter-top) 유닛일 수도 있다.
도 1a는 덮개(26) 밑에 폐쇄된 서랍(20)을 도시하고, 도 1b는 완전히 개방된 서랍(20)을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되면, 서랍(20)은, 서랍(20)의 완전히 개방된 상부 영역을 통한 재고 확충을 허용하기 위해 구조체(22)가 없는 위치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포개어 끼우는 식의 활주부(24)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랍(20)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냉장 소매 유닛보다 재고 확충 공정이 더 용이하다. 서랍의 전체 영역은 용이하고 빠른 재고 검사와, 필요한 경우 재고 확충이나 재고 회전을 허용하도록 접근가능하다. 특히, 용이한 후면 보급은 바람직한 선입 선출(FIFO) 재고 회전의 강화를 돕는다.
덮개(26)는 평행한 상면과 하면을 가진 절연 블록으로서, 이들 면 중 하나는 폐쇄되었을 때 서랍(20)과 경계를 이루는 수평 밑면(42)이다. 덮개(26)의 전면(44)은 기울기가 상이한 2개의 부위(46, 48)로 되어 전방의 하방으로 기울어져 전면 엣지(50)에서 끝난다. 하위 부위(48)의 기울기가 상위 부위(46)의 기울기보다 작다.
공기실(34)은 덮개(26)의 밑면(42) 안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공기실(34)의 하측을 형성하는 파티션(38)은 밑면(42)에 평행하게 놓인다. 팬(32)과 증발기(36)는 공기실(34) 내의 덕트에 배치된다.
유연한 자기 슬라이딩 시일(30)은 덮개(26)의 밑면(42)으로부터 매달려 있지만, 또 달리 서랍(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시일(30)의 배열은 일반적으로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 출원 WO 2005/024315에 개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서랍(20)은, 일반적으로 각각 평면 및 평행한 측면으로 된 일체로 성형된 절연 벽을 갖는다. 벽들은, 전방의 하방으로 경사진 기울어진 베이스(52)와, 덮 개(26)의 밑면(42)에 직각인 직립 후면 벽(54), 및 베이스(52)와 둔각인 내각을 형성하는 전면 벽(5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면 벽(56)은 베이스(52)로부터 바깥쪽 상방으로 경사져서, 서랍(20)이 폐쇄되었을 때 덮개(26)의 엣지(50)에 대하여 전방의 하방으로 끝난다. 도 1a와 도 1b의 단면도에서 그 하나만 보이는 평행한 측면 벽(58)들은, 베이스(52)와 후면 벽(54), 및 전면 벽(56) 각각에 대하여 직각으로 놓인다.
측면 벽(58)의 전방 부위는 전면 벽(56)과 협동하여, 직사각형 접근 개구(28)가 상부에 놓인 비탈진 수로와 같은 채널 또는 포켓을 형성한다. 접근 개구(28)의 하위 엣지는 전면 벽(56)의 기울어진 상부 엣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측면 엣지는 측면 벽(58)의 전방 부위의 유사하게 기울어진 상위 엣지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부 엣지는 덮개(26)의 전면 엣지(50)에 의해 형성된다. 서랍(20)이 닫혀 있을 때에는, 덮개(26)의 전면(44)의 하위 부위(48)와 거의 동일하게 작은 기울기의 상방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평면에 접근 개구(28)가 놓인다.
서랍(20)에 저장된 물품(40)은 베이스(52)의 경사에 의해 서랍(20)의 전면으로 밀린다. 이것은 가장 차가운 물품(40)을 서랍(20)의 전면에 놓아서, 사용자가 접근 개구(28)를 통해 물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재고에 다시 채워진 물품(40)은 항상 서랍(20)의 뒤쪽에 놓여서, 접근 개구(28)를 통해 꺼내어지기 전에 냉각될 기회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서든 물품(40)의 전방 운동은 물품과 서랍(20)의 후면 벽(54) 사이에서 작용하는 푸셔 기구(미도시)의 도움을 받는다.
서랍(20)의 전면에 있는 상방 바깥쪽으로 향하는 접근 개구(28)는 서랍(20)을 개방하지 않고 사용자가 물품(40)을 보고 쉽게 닿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편리성은 심지어 서랍(20)이 허리 아래 높이나 무릎 아래의 높이에 있는 곳에서 적용된다. 심지어 눈 높이 이상에 진열된 물품(40)에 손을 뻗어 접근하기가 편리하다. 전면 벽(56)의 경사는, 접근을 위해 사용자가 어깨 높이 위로 자신의 팔꿈치를 들어야 할지라도 접근 개구(28)를 통한 사용자의 손과 아래팔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 서랍(20)의 적어도 전면 벽(56)이 판유리로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투명하여, 서랍(20)의 내용물에의 접근을 시도하기 전에 그것이 보이도록 허용한다면 특히 도움이 된다.
이제 도 2a 내지 도 2c를 보면, 이 도면들은, 특히 병(60)을 진열하고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냉각된 음료수나 식품을 내포한 캔들을 보관하고 꺼내는데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접근 개구(28) 위의 이동가능한 또는 제거가능한 커버(62)와 서랍(20)의 베이스(52)의 더 가파르게 경사진 전방 부위(64)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병과 캔들이 서랍(20)을 통해 하방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 이것들의 정렬을 돕기 위해 서랍(20)의 내부 베이스(52)에 전방으로 연장하는 채널(미도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62)는 상위 수평 엣지를 따라 덮개(26)의 전면(44)의 하위 부위(48)에 힌지식으로 달린 직사각형 플랩 또는 도어이다. 커버(62)는 바람직하게는 서랍(20) 내의 병(60)들을 보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판유리 또는 2중 판유리로 되어 있다. 서랍(20)과 커버(62)가 모두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을 때, 커버(62)는 찬 공기가 서랍(20) 밖으로 새는 것을 막아, 서랍(20) 내부로의 열전달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유닛을 더 효율성 있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버(62)는, 서랍(20)이 폐쇄되어 있을 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60)에의 접근을 위해 쉽게 올려질 수 있으며,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20)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커버(62)가 올려질 수 있다.
또 다른 배열에서는, 덮개(26)가 아닌 서랍(20)에 커버(62)가 부착될 수 있으며, 서랍(20)이나 덮개(26)에 대한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장착될 수 고, 또는 서랍(20)이나 덮개(26)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매 시간 외에만 커버가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베이스(52)의 가파르게 경사진 전방 부위(64)는 서랍(20)의 전면 벽(56)에 대하여 직각으로 놓인다. 그 목적은 가장 앞쪽의 병(60)들을 사용가가 명확히 보고 그것들을 붙잡아 접근 개구(28)를 통해 쉽게 제거하는 각도로 그것들을 서랍(20)에 배치하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서랍(20)들과 그 덮개(26)들이 쌓일 수 있다. 3쌍의 서랍(20)과 덮개(26)들이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쌍이 2쌍 또는 4쌍 이상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특징들은 제2 및 제3 덮개(26)가 각각 위쪽 서랍(20)의 베이스(52)의 전반적인 외형을 따르도록 형성된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와 똑같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덮개(26) 각각의 상면은, 베이스(52)의 주 후방 부위에 대응하는 경사가 완만한 후방 부위(66)와, 베이스(52)의 가파르게 경사진 전방 부위(64)에 대응하는 더 가파르게 경사진 전방 부위(68)를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덮개(26)와 위쪽 서랍(20)의 베이스(52) 사이의 공극은 유리하게도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이것은 덮개(26)와 베이스(52)의 모두의 절연재에 걸쳐 양호한 온도 구배를 유지함으로써 응결과 결빙을 저지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서랍(20)이 허리 높이 또는 무릎 높이 아래에 있는 곳에서도 어떻게 서랍(20)의 전면에 있는 상방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접근 개구(28)가 물품들을, 이 경우에는 병(62)들을 보이게 하고, 서랍(20)을 개방하지 않고도 쉽게 닿게 하는지를 강조한다. 무릎을 구부리거나 카운터 아래를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없고, 개방이 불편한 도어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대 공간이 보존된다. 실제로 유닛이 적절한 높이에 있으면, 유닛의 상부는 작업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접근 개구(70)가 후면으로부터 서랍(20)의 내부와 연통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4a와 도 4b는, 각각 폐쇄 및 개방된 서랍(20)을 도시하는 도 1a와 도 1b와 일치한다.
후면 접근 개구(70)는 유닛 뒤로부터 폐쇄된 서랍(20) 내로의 물품(40) 적재를 위해 마련되는데, 이때 물품(40)은 유닛의 전면에 있는 제1 접근 개구(28)를 통해 물품(40)이 꺼내어질 때 서랍(20)의 기울어진 베이스(52) 위에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카페테리아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환경에서 '주방 영역(back of house)'의 식품 준비와 '접대 영역(front of house)'의 소매 서비스 사이에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물품 들이 뒤쪽에서 적재되므로, 이것은 FIFO 재고 회전의 강화를 돕는다.
전면 접근 개구(28)와 같이, 후면 접근 개구(70)는 서랍(50)의 베이스(52)로부터 바깥쪽 상방으로 경사진 기울어진 후면 벽(72)과 협동하는 측면 벽(58)의 후방 부위들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이다. 이것은 접근 개구(70)가 상부에 있는 비탈진 수로와 같은 채널 또는 포켓을 형성한다. 접근 개구(70)의 하위 엣지는 후면 벽(72)의 기울어진 상부 엣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측면 엣지는 측면 벽(58)의 후방 부위의, 마찬가지로 기울어진 상위 엣지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부 엣지는 덮개(26)의 후면 엣지(74)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는 제3 실시예의 접근 개구들이 모두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들과 같이 커버(62)를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덮개(26)의 기울어진 전후면은, 각 면이 하위 부위(48)의 경사가 상위 부위(46)의 경사보다 낮게 상이하게 기울어진 2개의 부위(46, 48)를 포함하도록 된, 서로의 거울 이미지이다. 커버(62)들은 각각의 하위 부위(68)들에 힌지식으로 달리지만, 슬라이딩식이거나 제거가능할 수도 있다. 전면은 덮개(26)의 전면 엣지(50)에서 끝나고, 후면은 덮개(26)의 후면 엣지(74)에서 끝난다.
도 6은 도 5의 변형이 어떻게 쌓여서 다중 서랍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서랍(20)의 수는 중요하지 않다. 도 5의 변형에 대한 주요 개조 내용은 최상위 덮개(26) 이외의 모든 덮개(26)들은 각각 위쪽 서랍의 베이스(52)의 기울기와 맞는 기울어진 상면(76)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전과 같이 절연 두께를 최대화하며, 각 덮개(26)와 이웃하는 위쪽 서랍(20) 사이에 공극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2중 접근의 실시예가, 일측으로부터만 적재되고, 타측으로부터 비워질 수 있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면 접근 개구(28)로부터, 또는 후면 접근 개구(70)로부터,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또는 측면으로부터 물품들에 접근할 수 있는 소매상 응용의 냉장 시스템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기울어진 베이스(52)가 생략되거나, 혹은 베이스(52)가 접근 개구들(28, 70) 사이의 중앙 피크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지는 2중 경사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은 모두, 서랍(20)의 전면 벽(56) 및/또는 힌지식 커버(62)에 의해 형성된 간판 상에 상표나 다른 제품 정보가 표시될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것은 서랍(20)에 저장된 물품들을 보거나 그것들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시선을 사로잡는 정보성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이제 도 7a 내지 도 7b를 보면, 이 도면들은 서랍과 커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유연 온도의 소매상 진열 유닛은, 상위 진열 서랍(20U), 하위 진열 서랍(20L), 및 저장 서랍(20S)의 3개의 서랍을 지지하는 구조체(22)를 갖는다. 각 서랍(20U, 20L, 20S)은, 증발기(36) 및 증발기(36) 주위의 공기실과 같은 찬 공기 분산 수단에 의해, 조합된 서랍(20U, 20L, 20S)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각각의 덮개(26U, 26L, 26S)를 갖는다.
상위와 하위의 진열 서랍(20U, 20L)은 단면이 J자 형상이고, 그 각각은 각 덮개(26U, 26L)에 대하여 밀폐하는, 완전한 높이의 직립 후면 벽(78)과, 후면 벽(78)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수평 베이스(80), 및 베이스(8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짧은 직립 전면 벽(82)을 갖는다. 평행한 측면 벽들(개략적인 본 도면에는 미도시)은 후면 벽(78), 베이스(80), 및 전면 벽(8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한다.
상위 및 하위 접근 개구(84U, 84L)은 각각 전면 벽(82)의 상부 엣지와 덮개(26U, 26L)의 전면 엣지 사이에 형성된다. 상위 접근 개구(84U)는 상위 덮개(26U)가 상위 진열 서랍(20U)의 베이스(80)의 전체 길이를 연장할 때 수평 방향을 향한다. 하위 접근 개구(84L)는, 하위 덮개(26L)가 하위 진열 서랍(20L)의 베이스(80) 위의 일부만을 연장하기 때문에 상방의 바깥쪽을 향한다.
저장 서랍(20S)도 직립 후면 벽(78)과, 후면 벽(78)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수평 베이스(80), 및 베이스(8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직립 전면 벽(82)을 갖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면 벽(82)이 후면 벽(78)과 동일한 높이이기 때문에 저장 서랍(20S)은 U자 구역이다. 또한 저장 서랍(20S)의 덮개(26S)는, 저장 서랍(20S)이 폐쇄될 때 덮개(26S)의 하측에 대하여 전후면 벽(82, 78)이 모두 밀폐되도록 베이스(80)의 전체 길이를 연장한다. 결국 서랍(20S)이 폐쇄되면 저장 서랍(20S)으로의 접근 개구가 존재하지 않아, 내용물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때는 서랍(20S)이 꺼내어져야 한다.
상위 진열 서랍(20U)은 냉장고로서만 작용하는 반면, 하위 진열 서랍(20L)은 냉장고 또는 냉동고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위 및 하위의 진열 서랍(20U, 20L) 내 의 선택 사양인 중2층 선반(86U, 86L)은 각각 다중 레벨의 진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선반(86U, 86L)은 각각 찬 공기와 흘러나온 것을 유지하고 물품들이 선반(86U, 86L)에서 떨어지는 것과 만일의 경우 아래쪽 서랍(20U, 20L) 내의 물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돕는 얕은 U자 구역을 갖는다.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절연된 상위 나이트 커버(88)는, 도 7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들여 넣어져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위 진열 서랍(20U)의 덮개(26U)의 상부에 놓인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되어 사용될 때에는, 상위 나이트 커버(88)는 상위 진열 서랍(20U)의 전면 벽(82)과 덮개(26U)의 전면 엣지 사이에 수직으로 끼워 맞추어져 상위 접근 개구(84U)를 폐쇄한다.
마찬가지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절연된 하위 나이트 커버(90)는, 하위 나이트 커버(90)가 들여 넣어져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하위 진열 서랍(20L)의 덮개(26L)의 상부에 놓인다. 덮개(26L)는 이러한 목적으로 하위 나이트 커버(90)가 수평으로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리세스(92)를 형성하는 계단식 상면을 갖는다. 원하는 경우 덮개(26U)는 상위 나이트 커버(88)를 위한 유사한 적재 설비를 가질 수 있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 연장되면, 하위 나이트 커버(90)는 덮개(26L) 앞에 수평으로 끼워 맞추어지고, 하위 접근 개구(84L)를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하위 접근 개구(84L)의 나머지는 하위 진열 서랍(20L)의 전면 벽(82)의 앞에 수직으로 놓일 수 있는 절연 패널(94)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패널(94)의 상부는 하위 나이트 커버(90)와 협동하여 접근 개구(84L)를 폐쇄한다.
원하는 경우, 패널(94)은 하위 나이트 커버(90) 없이 하위 진열 서랍(20L)의 전면을 가로질러 직립으로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이것은 하위 진열 서랍(20L)이 냉동고로서 작동될 때 하위 진열 서랍(20L) 내의 찬 공기 유지를 도움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패널(94)은 불투명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저장 서랍(20S)의 덮개(26S)도 수평으로 놓이면 패널(94)을 수용할 수 있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리세스(96)를 형성하는 계단식 상면을 갖는다.
상하위 나이트 커버(88, 90)와 패널(94)로 인해, 제4 실시예의 유닛은 하기와 같이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제1 구성에서는, 상하위 진열 서랍(20U, 20L) 모두 냉장고 온도에서 작동하고 있고, 서랍들(20U, 20L)과 이들의 중2충 선반(86U, 86L) 상에 진열된 물품들(미도시)에 대한 우수한 가시성과 접근성을 제공한다.
도 7b에 도시된 제2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94)을 연장하여 이것을 서랍(20L)의 전면의 자리에 고정시킴으로써 하위 진열 서랍(20L)이 에너지 효율성이 있는 진열 냉동고로 전환되었다. 이것은 냉동고 진열칸에 대한 리치인(reach-in) 고객 접근을 허용한다.
도 7c에 도시된 제3 구성에서는, 소매점이 닫힌 시간에 밀폐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상하위 나이트 커버(88, 90)와 패널(94)이 배치되었다. 이것은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나이트 커버(88, 90)와 패널(94)이 가까이 있고, 쉽게 넣어지며, 적재 장소로부터 제거하기가 용이하고, 유닛에 부착이 용이함을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이 필요할 때 이것들을 사용하게 만든다.
도 7d에 도시된 제4 구성에서는, 상하위 진열 서랍(20U, 20L)의 재고 확충, 또는 저장 서랍(20S)의 재보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장 서랍(20S)이 활주부(24) 상에서 개방되었다.
도 7e에 도시된 제5 구성에서는, 재고 확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위 진열 서랍(20U)이 활주부(24) 상에서 개방되었다. FIFO 재고 회전은 중2층 선반(86U)의 뒤로부터 상위 진열 서랍(20U)의 하위부를 채움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f에 도시된 제6 구성에서는, 재고 확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위 진열 서랍(20L)이 활주부(24) 상에서 개방되었다. FIFO 재고 회전은 중2층 선반(86L)의 뒤로부터 하위 진열 서랍(20L)의 하위부를 채움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소매상 진열 유닛이 단일 서랍(20)과, 서랍(20)의 내부와 그 내부에 포함된 물품(40)들을 냉각시키는 덮개(26) 내의 냉각 수단을 지지하는 구조체(22)를 갖는다. 냉각 수단은 팬(32), 증발기(32), 및 증발기(32) 둘레의 공기실(34)을 포함하는데, 공기실(34)은 증발기(32)로부터 서랍(20) 내로 찬 공기를 분산시키고 서랍(20)으로부터 증발기(32)로의 더 따뜻한 공기의 복귀를 위해 마련된 천공 파티션(38)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서랍(20)은, 직립 후면 벽(98), 후면 벽(98)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수평 베이스(100), 및 후면 벽(98)과 동일한 높이까지 베이스(10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직립 전면 벽(102)을 포함하는 U자 구역이다. 평행한 측면 벽(104)(이중 하나만 본 종방향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은 후면 벽(98), 베이스(100), 및 전면 벽(10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한다.
덮개(26)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20)이 완전히 폐쇄될 때 덮개(26)의 하측에 대하여 전후면 벽(102, 98)이 모두 밀폐되도록 베이스(100)의 전 길이를 연장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후면 벽(102, 98)과 협동하고 이것들에 대하여 밀폐되도록 전방 및 후방 자기 슬라이딩 시일(30)이 덮개(26)의 하측 상의 그 전단부와 후단부 근처에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소매점이 닫힐 때 서랍(20)은 덮개(26)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밀폐될 수 있다. 이것은 에너지를 절약시키고 완전히 안정한 상태로 물품(40)을 저장한다.
소매점이 다시 열리면, 서랍(20)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6)에 대하여 전방의 중간 위치까지 활주부(24) 상에 수평으로 꺼내어짐으로써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이것은 전면 벽(102)의 상위 엣지와 덮개(26)의 전면 엣지 사이에 서랍(20) 내의 물품(40)들을 보고 접근할 수 있는 상방을 향하는 접근 개구(28)를 형성한다.
도 8b에 도시된 전방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때 서랍(20)의 후면 벽(98)은 시일(30)로부터 연결이 풀리고, 대신 후면 시일(30)의 전방쪽의 덮개(26)의 하측에 달려서 서랍의 운동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중간 시일(30A)에 대하여 밀폐된다. 시일링 루프의 일부로서 평행한 측면 시일 부재(미도시)가 서랍의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서랍(20)은 폐쇄된 위치에서 전방의 중간 위치로 서랍(20)이 이동할 때 측면 시일 부재와의 슬라이딩 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재고 확충과 청소가 필요할 때에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시일(30A)로부터 후면 벽(98)의 연결을 푸는 과정에서 서랍(20)이 완전 전방 위치로 꺼내어질 수 있다. 이것은 서랍의 개방된 상부의 전체 평면 영역을 가로지르는 서랍(20)의 내부에의 접근을 허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랍(20)의 후면 벽(98)은 이때 덮개(26)의 냉각 수단으로부터 찬 공기의 손실을 막는 것을 돕는 전방 시일(30)과 맞물릴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변형예는 구조체(22) 내에 서랍(20)과 덮개(26)를 쌓아 다중 서랍 유닛을 형성한다. 도시된 변형예는 3쌍의 서랍(20)과 덮개(26)를 갖는다. 물론 이 쌍들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쌍이 있을 수 있다. 서랍(20)과 덮개(26)는 상부에서 바닥으로 계단식으로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각 서랍(20)이 그 덮개(26)에 대하여 동일한 정도로 개방될 때, 이렇게 해서 형성된 접근 개구(28)가 위쪽 서랍(20)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때 유닛의 전면은 계단식의 테라스 또는 캐스케이드 외형을 갖는다.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뒤이어지는 서랍(20)이 위쪽 서랍(20)보다 덮개(26)에 대하여 더 꺼내어지는 서랍(20)에서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하위 서랍(20)이 그 덮개(26)로부터 도달 범위가 더 작기 때문에 이것은 덜 바람직하다.
이제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제6 실시예를 보면, 이 실시예는 측면이 도 9a, 도 9b, 및 도 9c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와 유사하고, 동일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측면에서 주된 차이는 서랍(20)이 덮개(26) 밑에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서랍(20)의 전방 중간 위치가 없으며, 중간 시일(30A)이 필요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랍(20)들이 각각 도 10a에 도시된 폐쇄 위치와 도 10c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후방 및 전방 시일(30)은 서랍(20)의 후면 벽(98)에 대하여 밀폐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의 냉장 소매 유닛은 또, 적층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서랍(20)과 덮개(26)의 3쌍을 지지하는 구조체(22)를 갖는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 쌍의 수는 중요하지 않다. 이 쌍들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팬(32), 공기실(34), 증발기(36), 및 파티션(38)을 포함하는 각 덮개(26) 내의 냉각 수단은 앞의 실시예들의 냉각 수단과 유사하다. 또 다시, 서랍(20)들과 그 덮개(26)들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유닛의 전면이 계단식 테라스 또는 캐스케이드 외형을 갖도록 상부에서 바닥까지 계단식으로 크기가 증가한다. 서랍(20)들이 폐쇄되면, 각 덮개(26)는 관련된 서랍(20)을 따라 전방으로 일부 연장하여, 상방으로 향하는 접근 개구(28)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접근 개구(28)는 위쪽 서랍(20)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도 10b의 정면도는 제6 실시예가 앞의 모든 실시예들에 대하여 핵심적인 차이를 가짐을 도시한다. 이는 덮개(26)들이 서랍(20) 측면 벽(104)들 사이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덮개(26)들이 그것과 조합된 서랍(20)의 종 방향 중앙 축 상에 배치되면, 이는 도 10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근 개구(28)가 C자형 평면을 갖고, 덮개(26)들의 전면으로부터 덮개(26)들의 각 측면까지 연장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유닛도 전면이 계단식 테라스 또는 캐스케이드인 외형을 갖고, 시각적으로 끌리고 서랍(20) 내의 물품(40)들에 대한 우수한 가시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는 유닛을 형성한다. 서랍(20)의 전면 벽(102)과 측면 벽(104)은 판유리로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투명하여, 이러한 이점을 더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6 실시예는 특히 소매점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갖는 홍보성 '핫스팟(hot spot)'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물품(40)들은 유닛의 둘레로 좌측, 우측, 전면으로부터 180°에서 보고 접근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랍(20)은 개방될 때 전체 평면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용이한 재고 확충과 청소를 허용한다.
이제 도 11a와 도 11b의 제7 실시예를 보면, 이 도면은 본 발명이 어떻게 접근 개구(28)를 가로질러 공기 커튼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앞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구조체(22)는 서랍(20)과 덮개(26)를 지지한다. 서랍(20)이 폐쇄될 때는, 덮개(26)가 서랍(20)을 따라 전방으로 일부 연장하여, 상방을 향하는 접근 개구(28)를 형성한다. 서랍(20)이 폐쇄되면, 시일(30)에 의해 서랍(20)에 덮개(26)에 밀폐된다. 이 경우 시일(30)은 서랍(20)에 의해 운반된다. 서랍(20)이 활주부(24) 상에서 완전히 개방될 때에는, 청소와 재고 확충을 위해 서랍(20) 내부로의 완전한 평면 접근이 존재한다.
도 11a와 도 11b의 덮개(26)는, 하방의 전방을 향하여 덮개(26) 앞에 있는 접근 개구(28)를 통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덮개(26)의 전면(106)의 모서리가 깎인 것을 제외하고는 앞의 실시예의 덮개와 무척 흡사한 특징들을 갖는다. 덮개(26)는 또한 앞의 실시예들과 유사한 냉각 수단을 가지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차이점은 증발기(36) 밑의 파티션(38)이 후면에 공기 입구(108)를 갖고, 전면에 공기 출구(110)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 공기 출구(110)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32)에 의해 구동된 기류를 전방으로 내뿜어, 접근 개구(28)를 가로질러 공기 커튼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공기 커튼은 주변 공기가 냉각된 서랍(20)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것을 돕는다.
서랍(20)은 대체로 앞의 실시예들의 U자 구역 서랍과 유사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그러나 서랍(20)은 2가지 주요 측면에서 앞의 실시예들과 다르다. 우선, 서랍(20)이 여기에서는 전면 벽(102)의 역할을 하고 각 측면 벽(104)의 전면에까지 둘레로 연장하는 2중 판유리 창(112)으로 도시되어 있다. 둘째로, 서랍(20)은 전면(112), 베이스(116), 및 후면(118) 각각에 있는 내벽에 의해 형성되고 서랍(20)의 전면 벽(102), 베이스(100), 및 후면 벽(98)으로부터 이격된 U자형 재순환 덕트를 갖는다. 전면 내벽(114)과 후면 내벽(118)은, 재순환 덕트의 각 확대 단부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지향된 기울어진 상위 단부 부위(120, 122)를 갖는다.
후면 내벽(118)의 기울어진 상위 단부 부위(122)는 재순환 덕트의 후단부로부터 파티션(38)의 공기 입구(108)로의 기류 안내를 돕는다. 여기에서 팬(32)의 흡입 하의 저압은, 전면 내벽(114)의 기울어진 상위 단부 부위(120)가 공기 커튼으로 부터 덕트 내로 공기를 끌어들이는 재순환 덕트의 타단까지 전달된다. 이러한 점에서 전면 내벽(114)이 후면 내벽(118)보다 약간 낮아서, 기류를 형성하기에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커튼 원리는 이동 가능한 서랍(20)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동가능한 서랍에만 적용될 필요는 없다. 이 원리는 고정 덮개 우물 형상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제8 실시예에서는, 구조체(22)가 적층으로 번갈아 배치된 서랍(20)과 덮개(26)의 3쌍을 지지한다.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쌍의 수는 중요하지 않다. 팬(32)과 증발기(36)를 포함하는 각 덮개(26) 내의 냉각 수단은 앞의 실시예들의 냉각 수단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서랍(20)과 덮개(26)가 수평에 대해 약 30°의 각도로 유닛의 전면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서랍(20)은 동일 기울기의 평행 평면에서 하방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서랍(20)이 폐쇄되면, 각 덮개(26)는 조합된 서랍(20)을 따라 어느 정도 전방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방을 향하는 접근 개구(28)를 형성한다. 제7 실시예와 같이, 각 덮개(26)의 전면(106)은 하방의 전방을 향하도록 모서리가 깎여서, 서랍(20)이나 위쪽 덮개(26)에 의한 접근 개구(28)들의 막힘 없이 접근 개구(28)들을 통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각 서랍(20)은, 서랍(20)이 폐쇄되었을 때 덮개(26)의 하측까지 연장하는 완전한 높이의 후면 벽(124)을 포함하는 J자형 종방향 구역을 갖는다. J자 구역은 덮개(26)의 길이를 넘어 후면 벽(98)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베이스(126)로부터 직각으로 상승하는 짧은 전면 벽(128)에서 끝나는 베이스(126)를 더 포함한다.
이 제8 실시예에서, 각 서랍(20)의 벽(124, 128)과 베이스(126)는 복수의 카세트(13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이러한 카세트(130)가 서랍(20)의 베이스(126) 상에 나란히 끼워 맞추어지게 된다. 각 서랍(20)의 짧은 전면 벽(128)은 카세트(130)가 중력의 영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각 서랍(20)의 3개의 카세트(130)의 개방된 상부는 각 덮개(26)가 이들 3개의 카세트(130)의 내부를 냉각할 수 있도록 협동한다.
각 카세트(130)는, 덮개(26)의 하측까지 연장하는 완전한 높이의 후면 벽(132), 후면 벽(132)의 바닥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베이스(126), 및 베이스(126)의 전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상승하는 짧은 전면 벽(136)을 포함하는 절연된 J자 구역 벽을 가진 상부가 개방된 상자이다. 짧은 전면 벽(136)은 전면 접근 개구(28)를 형성하여 카세트(130)에 저장된 물품들에 대한 가시성과 접근성을 개선시킨다.
서랍(20)의 벽(124, 128)과 베이스(126)는 최소 절연을 가질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 대신, 카세트(130)의 벽(132, 136)과 베이스(134)에 의해 절연이 제공된다.
전면 카세트(130)가 비워지면, 소매상은 이것을 유닛 밖으로 들어낸다. 기울어진 베이스(126)는 비워진 카세트(130) 뒤의 카세트(130)가 전방으로 떨어져 그 자리를 차지하게 만든다. 그래서 카세트(130)가 도 12b의 바닥 서랍(20)에 있는 도시한 바와 같은 유닛의 서랍(20)으로부터 제거되면, 이 서랍(20)에 있는 나머지 카 세트(130)들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거의 결과로 서랍(20) 내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전체 카세트(130)들이 자동으로 전면쪽으로 하강하여, 서랍(20)이 비워질 때까지 전면 카세트(130)의 전체 내용물들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다.
도 12d는 개방되어 새로운 카세트(130)로 재고가 확충된 바닥 서랍(20)을 도시한다. 서랍(20)들은 개방과 폐쇄 운동을 위해 활주부(24)에 의해 지지된다. 서랍(20)들을 상방의 폐쇄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가능한 경우 개방 후 이 위치로 서랍(20)들을 다시 올리는 것을 돕기 위해 걸쇠 또는 바이어스 수단(미도시)이 적절하게 제공된다. 개방 시에, 서랍(20)들은 전체 카세트(130) 또는 재활용된 빈 카세트(130)가 뒤쪽에 쉽게 놓여 필요할 때 전방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완전한 평면 접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목표는 소매상 진열 응용에서 재고 관리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전면 카세트(130)들에 저장된 물품들만 접근이 가능하다. 전면 카세트(130) 뒤의 카세트(130)들은 전면 카세트(130)가 비워져 제거될 때까지 접근불가능 상태에 놓인다. 이것은 소매상이 FIFO 재고 회전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것을 돕고, 재고 관리를 지원한다.
소매상은 제거 후에 다양한 방식으로 빈 카세트(130)를 사용할 수 있다.
카세트(130)는, 소매점의 상점 영역으로부터, 또는 들어오는 배달로부터 재고 확충이 이루어질 때까지 보관될 수 있다.
카세트(130)가 식품 공급자에게 반환되고, 공급자는 수송 중에 온도 제어 저장을 보조하기 위해 절연된 카세트(130)를 이용하여 이것에 직접 재고를 채울 수 있다.
카세트(130)는 재고 확충이 되거나 식품 공급자에게 반환될 때까지 서랍(20) 내의 나머지 전체 카세트(130)의 뒤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물품들이 안전하게 수송될 수 있고, 차갑게 유지될 수 있으며,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절연된 카세트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미도시된 이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서랍(20)과 서랍(20) 한 개당 카세트(130)의 수는 저장되는 물품의 크기와 특성, 소매 환경의 유형, 및 재고 관리 및 보급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카세트(130)의 전부 또는 일부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표, 이미지, 및 정보는 카세트(130)의 외부에, 예를 들어 그 전면 벽(136)에, 또는 실제로 그 내측에 놓일 수 있다.
서랍(20)의 후면 벽(132)은 뒤쪽으로부터 카세트(130)에 재고 확충이 가능하도록 생략되거나 각 서랍(20)의 뒤쪽에 있는 개방 접근으로 낮추어질 수 있다. 이것은 연장성 서랍(20)의 필요를 제거할 수 있다. 실제로, 단순화된 유닛은 고정되어 기울어진 선반을 포함하여 기울어진 선반의 후면에서 보급이 이루어진 카세트(130)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한 레벨 상의 모든 카세트(130)의 제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덮개(26)가 수평에 대하여 약 30°의 각도로 유닛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진다는 점에서 도 8의 실시예와 일부 유사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거가능한 절연 용기(138)에 의해 서랍(20)이 대체된다. 여기에서 구조체(22)는 적층으로 번갈아 배치된 용기(138)와 덮개(26)의 2쌍을 지지하지만, 쌍의 수는 중요하지 않다.
앞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용기(138)가 덮개(26)의 밑에 있을 때에는, 덮개(26)가 용기(138)를 따라, 이 경우에 전방의 하방으로 일부 연장하여, 상방의 전방으로 향하는 접근 개구(28)를 형성한다. 덮개(26)의 전면(106)은, 하방의 전방으로 향하여 접근 개구(28)를 통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모서리가 깎여 있다. 덮개(26) 밑에 용기(138)가 있을 때에는, 시일(미도시)에 의하여 덮개(26)에 용기(138)가 밀폐될 수 있다.
각 덮개(26) 내의 냉각 수단은 제7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여, 접근 개구(28)를 가로질러 공기 커튼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덮개(26)는 팬(32)에 의해 구동된 기류가 전방으로 내뿜어져 접근 개구(28)를 가로질로 공기 커튼을 형성하도록, 후면에 공기 입구(108)와 전면에 공기 출구(110)를 형성하는 파티션(38)을 증발기(36) 밑에 갖는다. 또한 제7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138)는 U자 구역으로 되어 있고, 전면(114), 베이스(116), 및 후면(118) 각각에 있는 내벽에 의해 형성되어 용기(138)의 전면 벽(102), 베이스(100), 및 후면 벽(98)으로부터 이격된 U자형 재순환 덕트를 갖는다. 후면 내벽(118)은, 재순환 덕트의 후단부로부터 파티션(38)의 공기 입구(108) 내로 기류를 안내하는 안쪽으로 지향되어 기울어진 상위 단부 부위(122)를 갖는다. 여기에서 팬(32)의 흡입 하의 저압은, 공기 커튼으로부터 용기(138)의 전면 내벽(114)과 전면 벽(102) 사이의 덕트 내로 공기가 끌어 들여지는 재순환 덕트의 타단에까지 전달된다.
구조체(22)는, 각 덮개(26) 밑에 용기(138)를 그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용하는, 도 13b와 도 13c에 가장 잘 도시된 저장소를 형성한다. 각 저장소는, 덮개(26)의 하측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후면 벽(142), 후면 벽(142)의 바닥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고 덮개(26)의 하측에 평행한 베이스(144), 및 베이스(144)의 전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상승하는 짧은 전면 벽(146)에 의해 형성된다. 전면 벽(146)은 중력의 영향에 대항하여 용기(138)들을 그 저장소(140)에 유지한다.
용기(138)가 일단 비워지면, 소매상은 용기(138)의 전면을 들어올려 전면 벽(146)으로부터 이것을 푼 다음, 저장소(140) 밖으로 용기(138)를 안내함으로써 도 13b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밖으로 이것을 들어낸다. 제거 후, 소매점의 저장 영역에서 또는 들어오는 배달로부터 재고 확충이 이루어질 때까지 소매상은 빈 용기(138)를 보관할 수 있다. 또 달리, 운송 중에 온도 제어 저장을 돕는 절연된 용기(138)를 이용하여, 직접 재고 확충을 할 수 있는 식품 공급자에게 빈 용기(138)가 반환될 수 있다.
도 14a와 14b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제8 및 제9 실시예의 혼합형으로서, 기울어진 제거가능한 용기(138)와 그 아래의 기울어진 서랍(20)을 결합한다. 제8 실시예의 카세트(130)는 도시한 제10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 러나 원한다면 제10 실시예가 서랍(20) 내에 카세트(130)를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분명할 것이다.
동일한 특징부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며, 이 특징부들에 대한 설명은 반복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용기(138)와 서랍(20), 그리고 이것들과 조합된 덮개(26)들은 접근 개구(28)를 가로질러 공기 커튼을 발생시키는 설비를 갖는다. 이러한 설비들은 제9 실시예의 용기(138) 및 덮개(26)에서와 같이 사용되며, 따라서 여기에서 다시 논의할 필요가 없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22)는 중력에 대항하여 상방 위치에서 폐쇄된 서랍(20)을 유지하는 립(lip)(148)을 가짐을 알게 될 것이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시에 하방 운동을 위해 서랍(20)을 풀기 위해서는 립(148) 위로 서랍(20)이 올려져야 한다.
도 15a 내지 도 15d에는 마지막 제1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한 실시예는 투명한 전면 벽과 측면 벽을 갖는 반면, 도 16a 내지 도 16c의 변형예는 불투명한 전면 벽과 측면 벽을 갖는다. 도 15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실시예는 앞의 실시예들의 여러 가지 특징들을 조합하며, 동일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절연된 서랍(20U(상위), 20L(하위))과 그 덮개(26)들은 적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서랍(20U, 20L)은 덮개(26)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폐쇄되었을 때 시일(30)에 의해 덮개(26) 쪽으로 밀폐된다. 하위 서랍(20L)은 상위 서랍(20U)보다 더 깊고(앞뒤 길이가 더 길고), 상위 서랍(20U)보다 전방으로 더 많이 돌출한다. 2개의 서랍(20U, 20L)을 가짐으로써, 진열 면적은 표준 우물형 냉동고에 비해 대략 두 배가 된다. 서랍(20U, 20L)을 이동시키고, 선택에 따라 제거하는 시설은 청소와 재고 확충을 용이하게 한다.
덮개(26)는 관련된 서랍(20U, 20L)의 길이를 따라 전방으로 일부 연장하여, 각 덮개(26)의 전방에 상방으로 향하는 접근 개구(28)를 남긴다.
제9 및 제10 실시예와 같이, 접근 개구(28) 위에 공기 커튼을 발생시키는 설비가 존재한다. 이 설비들은 증발기(36) 밑의 파티션(38)에 있는 입출구 덕트(108, 110)를 통해 덮개(26) 내의 팬(32)과 증발기(36)와 연통하는 재순환 덕트를 형성하는 내벽(114, 118)와 베이스(116)를 포함한다.
서랍(20U, 20L)들은 각각 후면 벽(98), 후면 벽(98)의 바닥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베이스(100), 전면 벽(102), 및 후면 벽(98), 베이스(100), 및 전면 벽(102)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전반적으로 평행한 측면 벽(104)의 절연 벽들을 포함한다.
각 서랍(20U, 20L)의 전면(102)은 도 15b 내지 15d, 그리고 도 16a 내지 16c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한 곡면이고, 이것이 측면 벽(104)과 연결되는 사선 모퉁이를 갖는다. 이것은 시선을 끌기와 가시성에 이롭다. 놀랍게도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전면 및 측면 벽(102, 104)이 2중 판유리(특징부(112) 참조)로 되어 있고, 따라서 서랍(20U, 20L) 내의 물품들을 용이하게 보도록 투명하고, 시각적인 효과를 최대화한다. 그러나 도 16a 내지 도 16c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성은 필수가 아니다. 이 변형예에서는 불투명 패널을 사용하여 상표 및 제품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상위 서랍(20U)의 전면 벽(102)은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베이스(100)와 둔각인 내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랍(20U)이 폐쇄되었을 때, 전면 벽(56)은 베이스(100)로부터 바깥쪽 상방으로 경사져서 상위 서랍(20U)의 덮개(26)의 전면 엣지 앞에서 수평으로 끝난다. 측면 벽(104)의 전방 부위는 전면 벽(102)과 협동하여, 상부가 접근 개구(28)로 된 비탈진 수로와 같은 채널 또는 포켓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다시 보면, 상위 서랍(20U)의 기울어진 전면 벽(102)은, 접근 개구(28)가 높아도 접근 개구(28)를 통한 사용자의 손과 아래팔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상기될 것이다. 이것은 수직 전면을 가진 경우보다 더 높은 레벨에 상위 서랍(20U)이 있게 하지만, 물품(40)들에 대한 접근과 재고 확충을 위해 접근이 가능하다. 기울어진 전면 벽(102)은, 상위 서랍(20U)의 바닥에 있는 물품들에 도달하려고 하는 기울어진 팔과 유사한 접근 각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체공학적인 접근 각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랍(20U, 20L)들은 모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그 용량 혜택이 더 클 수 있다.
하위 서랍(20L)은, 수직 전면 벽(102)이 접근 개구(28)를 통한 관찰과 접근을 헤치지 않을 정도로 낮다. 실제로는, 수직 전면 벽(102)이 더 공간 효율적이다. 상승 효과로서, 상위 서랍(20U)의 기울어진 전면 벽(102)은 하위 서랍(20L)의 접근 개구(28)를 막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고, 이 중 많은 것들을 위에서 언급하였고, 다른 것들은 숙력된 독자들에게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할 때, 앞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야 한다.

Claims (106)

  1. 지지 구조체;
    접근 개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진열 위치와, 개방된 상부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완전 접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내부에 찬 공기를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성 상부 개방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 및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 절연성 덮개를 가진 냉장 소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을 때 덮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는 전체 상부 평면 영역을 형성하고, 덮개에 의해 덮이지 않는 용기의 상기 영역의 나머지는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진열 위치를 지나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가 상기 덮개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는 완전 폐쇄 위치로 상기 덮개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냉장 소매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구조체로부터 제거가능한, 냉장 소매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구조체 및 상기 덮개에 대하여 서랍으로서 이동하는, 냉장 소매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상기 구조체 사이의 포개어 끼우는 식의 활주부는,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 전부를 실질적으로 노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용기가 꺼내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냉장 소매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하면을 갖고,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냉장 소매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면과 상기 용기의 상면이 하방 및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대응하여 기울어진 평면 내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냉장 소매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방 위치에 상기 용기를 유지하는 걸쇠 수단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방으로 상기 용기를 미는 바이어스 수단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또는 각 용기가 비절연 캐비넷 또는 케이싱에 지지되는, 냉장 소매 유닛.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냉장 소매 유닛.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 중2층(mezzanine) 선반이 있는, 냉장 소매 유닛.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하위 용기와 상위 용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용기를 상하로 갖는, 냉장 소매 유닛.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의 덮개와 상기 상위 용기의 바닥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는, 냉장 소매 유닛.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기들이 진열 위치에서 층층으로 쌓이는 관계에 있는, 냉장 소매 유닛.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가 상기 상위 용기보다 앞뒤 길이가 더 긴, 냉장 소매 유닛.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의 덮개가 상기 하위 용기보다 짧은, 냉장 소매 유닛.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의 덮개가 상기 상위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냉장 소매 유닛.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용기가 그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전면 벽을 갖고, 상기 하위 용기는 상기 상위 용기의 전면 벽보다 덜 기울어진 전면 벽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가,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면 벽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가, 상기 용기의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인 전면 벽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23.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가 상기 상위 용기보다 측면 간 폭이 더 넓은, 냉장 소매 유닛.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의 덮개가 상기 하위 용기보다 더 좁은, 냉장 소매 유닛.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하위 용기의 덮개가 상기 상위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인, 냉장 소매 유닛.
  26.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들이 진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위 용기가 상기 상위 용기보다 구조체로부터 더 꺼내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27.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용기는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서랍으로서 이동하고, 다른 용기는 상기 구조체로부터 제거가능한, 냉장 소매 유닛.
  2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덮개와 조합되는, 냉장 소매 유닛.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덮개 내의 팬 코일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
  30. 청구항 28 또는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덮개 내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공기실(plenum chamber)이, 공기실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파티션 내의 개구들을 통해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냉장 소매 유닛.
  32.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 사이의 독립된(self-contained) 공기 순환을 이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3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
  3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덮개 외부의 찬 공기원으로부터 상기 덮개를 통해 연장하는 찬 공기 덕트를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
  3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자기 냉장(magnetic refrigeration)을 이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3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냉각의 대부분이 상기 덮개에 의해 실행되는, 냉장 소매 유닛.
  3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용기의 외부를 냉각시키지 않는, 냉장 소매 유닛.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접근 개구를 가로질러 내뿜어진 공기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가진 재순환 덕트를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덕트가 상기 용기의 내외 벽 사이에 형성되는, 냉장 소매 유닛.
  40.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가로질러 상기 덮개로부터 상기 공기 커튼이 내뿜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41. 청구항 38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덕트가 상기 덮개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출구를 갖는, 냉장 소매 유닛.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용기의 후면에 있는, 냉장 소매 유닛.
  4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직립한 전면, 후면, 및 측면 벽을 가져서, 상기 개방된 상부를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후면 벽과 측면 벽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덮개까지 연장하고, 상기 전면 벽이 상기 후면 벽보다 짧은, 냉장 소매 유닛.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전면 벽에 부착가능한 절연성 패널을 더 포함하는, 냉장 소매 유닛.
  46.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후면, 및 측면 벽들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냉장 소매 유닛.
  47.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냉장 소매 유닛.
  48.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벽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냉장 소매 유닛.
  49.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벽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냉장 소매 유닛.
  50.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냉장 소매 유닛.
  51.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5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벽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투명한, 냉장 소매 유닛.
  52.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내면이 상기 접근 개구를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내면이 상기 접근 개구를 향하여 이어지는 평행 채널들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54. 청구항 52 또는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기울어진 내면의 전방의 작은(minor) 부위가 상기 내면의 후방의 큰(major) 부위보다 더 가파르게 기울어진, 냉장 소매 유닛.
  55.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전방의 작은 부위는 상기 전면 벽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56. 청구항 52 내지 청구항 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면이 상기 용기의 제2 접근 개구로부터 멀리 이어져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57. 청구항 52 내지 청구항 5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하로 적어도 2개의 용기를 갖고, 하위 용기의 덮개는 상기 상위 용기의 베이스의 외부 기울기와 맞도록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58.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59.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벽의 전방 연장부가, 각각 상기 전면 벽의 상부까지 연장하고 상방을 향하는 기울어진 엣지를 갖고, 상기 엣지와 상기 전면 벽의 상부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
  60.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5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벽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61.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벽의 후방 연장부가, 각각 상기 후면 벽의 상부까지 연장하고 상 방을 향하는 기울어진 엣지를 갖고, 상기 엣지와 상기 후면 벽의 상부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
  62.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6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전면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냉장 소매 유닛.
  63.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측면 벽의 전방 연장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냉장 소매 유닛.
  64.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6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덮개의 전방 엣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냉장 소매 유닛.
  65. 청구항 64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둔각인 내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측면 벽의 전방 연장부가, 각각 상기 전면 벽의 상부까지 연장하고 상방을 향하는 기울어진 엣지를 가지며, 상기 엣지와 상기 전면 벽의 상부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
  6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방을 향하는, 냉장 소매 유닛.
  67.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바깥쪽으로도 향하는, 냉장 소매 유닛.
  68.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전방으로 향하는, 냉장 소매 유닛.
  69.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측방향으로 향하는, 냉장 소매 유닛.
  7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덮개에 인접한, 냉장 소매 유닛.
  71. 청구항 70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덮개의 전방에 있는, 냉장 소매 유닛.
  72. 청구항 70 또는 청구항 7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덮개의 적어도 일 측면 쪽에 있는, 냉장 소매 유닛.
  73. 청구항 70 내지 청구항 7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덮개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냉장 소매 유닛.
  7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단부면을 갖고, 이 단부면은 하방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냉장 소매 유닛.
  7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또는 제거가능한 폐쇄부가 상기 접근 개구를 덮는, 냉장 소매 유닛.
  76. 청구항 75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가 상기 덮개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 소매 유닛.
  77. 청구항 76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가 상기 덮개에 힌지식으로 달린, 냉장 소매 유닛.
  78. 청구항 75 내지 청구항 77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덮개 내의 전방으로 개방된 리세스에 상기 폐쇄부가 보관될 수 있는, 냉장 소매 유닛.
  79. 청구항 75 내지 청구항 78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냉장 소매 유닛.
  8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지지 플랫폼 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상부가 개방된 절연성 상자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 소매 유닛.
  81.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상자들 중 하나는 상기 접근 개구 밑에 놓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자는 완전히 상기 덮개 아래에 있는, 냉장 소매 유닛.
  82. 청구항 80 또는 청구항 81에 있어서,
    상기 상자들이 협동하여, 상기 덮개의 평면 하면과 협동가능한 평면 상면을 형성하는, 냉장 소매 유닛.
  83. 청구항 80 내지 청구항 8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들이 상기 플랫폼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냉장 소매 유닛.
  84. 청구항 80 내지 청구항 8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기울어지는, 냉장 소매 유닛.
  85. 청구항 84에 있어서,
    상기 박스들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상기 플랫폼의 경사를 슬라이딩하여 내려가는, 냉장 소매 유닛.
  86. 청구항 84 또는 청구항 85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플랫폼상의 하위 상자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하위 상자가 제거될 때까지 상기 플랫폼을 슬라이딩하여 내려가는 것에 대항하여 상기 플랫폼 상에 하나 이상의 상위 상자들을 지지하는, 냉장 소매 유닛.
  87.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플랫폼이 상기 하위 상자를 지지하기 위한 전면 벽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88. 청구항 80 내지 청구항 8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냉장 소매 유닛.
  89.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서랍으로서 이동가능한, 냉장 소매 유닛.
  90. 청구항 89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포개어 끼우는 식의 활주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랫폼의 후면 상에 상자를 놓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상기 구조체로부터 꺼내어질 수 있는, 냉장 소매 유닛.
  91. 청구항 80 내지 청구항 9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자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덮개에까지 연장하는 후면 벽과 측면 벽, 및 상기 후면 벽보다 짧은 전면 벽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92. 청구항 9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가 상기 전면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냉장 소매 유닛.
  9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제2 접근 개구 를 갖는, 냉장 소매 유닛.
  9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접근 개구가 존재하고, 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용기로부터 물품을 꺼내기 위한 출구 개구인, 냉장 소매 유닛.
  95. 청구항 94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용기에 물품을 놓기 위한 입구 개구인, 냉장 소매 유닛.
  9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이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의 상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97. 청구항 96에 있어서,
    상기 시일이 자기 슬라이딩 시일(magnetic sliding seal)인, 냉장 소매 유닛.
  98. 청구항 96 또는 청구항 97에 있어서,
    상기 시일이 상기 덮개 하면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냉장 소매 유닛.
  99. 청구항 96 내지 청구항 9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부재들을 갖는, 냉장 소매 유닛.
  100. 청구항 99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일의 제1 횡방향 부재가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의 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101. 청구항 99 또는 청구항 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완전 접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횡방향 부재의 전방의 상기 시일의 제2 횡방향 부재가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의 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102. 청구항 101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일의 제2 횡방향 부재가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의 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103. 청구항 100 내지 청구항 10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횡방향 부재 후방의 상기 시일의 제3 횡방향 부재가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의 후면 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104. 청구항 96 내지 청구항 10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이,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운동 방향에 평행한 종방향 부재를 갖는, 냉장 소매 유닛.
  105.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진열 위치에 있거나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일의 종방향 부재가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의 측면 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냉장 소매 유닛.
  106.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하거나 그것에 도시된 냉장 소매 유닛.
KR1020087010281A 2005-09-29 2006-09-29 냉장 소매 유닛 KR20080068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9866.8 2005-09-29
GBGB0519866.8A GB0519866D0 (en) 2005-09-29 2005-09-29 Cold storage and dispensing of bottles, cans and the like
GB0523831.6 2005-11-23
GBGB0523831.6A GB0523831D0 (en) 2005-09-29 2005-11-23 Cold storage and dispensing of bottles, cans and other packages of beverages or foodstuffs
GB0611881.4 2006-06-15
GB0611882.2 2006-06-15
GB0611877A GB0611877D0 (en) 2005-09-29 2006-06-1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1882A GB0611882D0 (en) 2005-09-29 2006-06-1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1881A GB0611881D0 (en) 2005-09-29 2006-06-1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1879.8 2006-06-15
GB0611880A GB0611880D0 (en) 2005-09-29 2006-06-1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1878.0 2006-06-15
GB0611878A GB0611878D0 (en) 2005-09-29 2006-06-1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1877.2 2006-06-15
GB0611879A GB0611879D0 (en) 2005-09-29 2006-06-1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1880.6 2006-06-15
GB0617097A GB0617097D0 (en) 2005-09-29 2006-08-30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7101A GB0617101D0 (en) 2005-09-29 2006-08-30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617097.1 2006-08-30
GB0617099.7 2006-08-30
GB0617101.1 2006-08-30
GB0617099A GB0617099D0 (en) 2005-09-29 2006-08-30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680A true KR20080068680A (ko) 2008-07-23

Family

ID=3539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281A KR20080068680A (ko) 2005-09-29 2006-09-29 냉장 소매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18038A1 (ko)
JP (1) JP2009519044A (ko)
KR (1) KR20080068680A (ko)
CN (1) CN101278162A (ko)
GB (2) GB0519866D0 (ko)
RU (1) RU2008116343A (ko)
ZA (1) ZA20080243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3Y1 (ko) * 2010-11-22 2011-08-03 송영석 테이블 냉장고
KR101984939B1 (ko) * 2019-03-14 2019-05-31 황은태 식품 진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852B1 (ko) * 2008-03-06 2015-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IT1395744B1 (it) * 2009-09-16 2012-10-19 Oscartielle S P A Armadio frigorifero perfezionato.
DE202010003042U1 (de) * 2010-03-03 2010-06-10 Scholz, Markus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den Außenbereich
US20110239677A1 (en) * 2010-04-01 2011-10-06 The Coca-Cola Company Chest Cooler
US8925338B2 (en) * 2010-04-01 2015-01-06 The Coca-Cola Company Chest cooler
DE102011015665A1 (de) * 2010-11-10 2012-05-10 Mobil Invest Gmbh Schubkastenkühlbox
US20130181592A1 (en) * 2012-01-12 2013-07-18 EMS Mind Reader LLC Refrigerator
KR101476393B1 (ko) * 2014-08-20 2014-12-26 박영기 다단 적층식 수납장치
CN105261119B (zh) * 2015-10-28 2018-08-24 广东东吉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彩涂板发泡箱体
CN105844798A (zh) * 2016-06-02 2016-08-10 东莞嘉丰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热食贩卖机
IT201700022326A1 (it) * 2017-02-28 2018-08-28 Lenari Italia S R L Vetrina gelato e cassetto gelato
RU200855U1 (ru) * 2020-09-02 2020-11-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торговли" Торговое холодиль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9089A (en) * 1947-03-29 1950-02-28 Brill Refrigerated display case
GB727303A (en) * 1953-06-30 1955-03-30 Joseph John Grant An improved combined shop counter and display cabinet
US3006707A (en) * 1958-04-30 1961-10-31 Anthony T Rossi Dispensing and display cabinet
FR2585550B1 (fr) * 1985-08-05 1988-04-01 Herve Alain Dispositif pour la presentation en vue de la vente d'articles dans un magasin
DE19740900C2 (de) * 1997-09-17 1999-07-22 Schoeller Lebensmittel Tiefkühlgerät für Tiefkühlprodukte
JP2000065464A (ja) * 1998-08-21 2000-03-03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用ショーケース
JP2000125999A (ja) * 1998-10-26 2000-05-09 Kawajun Kk 販売ケース
JP2000253964A (ja) * 1999-03-08 2000-09-19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02253402A (ja) * 2001-03-05 2002-09-10 Fuji Denki Reiki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02323286A (ja) * 2001-04-23 2002-11-08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3Y1 (ko) * 2010-11-22 2011-08-03 송영석 테이블 냉장고
KR101984939B1 (ko) * 2019-03-14 2019-05-31 황은태 식품 진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802432B (en) 2009-01-28
JP2009519044A (ja) 2009-05-14
GB0519866D0 (en) 2005-11-09
GB0523831D0 (en) 2006-01-04
RU2008116343A (ru) 2009-11-10
US20080218038A1 (en) 2008-09-11
CN101278162A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8680A (ko) 냉장 소매 유닛
US4977754A (en) Next-to-be-purchased cold beverage merchandiser
US7380410B2 (en) Pull-out access cooler unit
AU2011235295B2 (en) Chest cooler
US6672092B2 (en) Countertop merchandiser unit with refrigerated and heated compartments and method thereof
JP2007187391A (ja) 冷蔵用ショーケース
RU2276759C2 (ru) Холодильная камера (варианты)
AU2006296390A1 (en) Refrigerated retail units
US3006707A (en) Dispensing and display cabinet
US4759193A (en) Horizontal refrigerator
JP2012161413A (ja) ショーケース
US6032475A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3048855B2 (ja) プレハブ冷却貯蔵庫付き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US2890573A (en) Upright refrigerator showcase
EP3367030B1 (en) Ice-cream display cabinet and ice-cream drawers
JPH0972649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H07151439A (ja) 移動式冷蔵庫
CN218033926U (zh) 一种内部分区可调节的后补式冷藏库
JPH05220032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H0742359Y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US2278021A (en) Cabinet
JPH07143927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3061794A (ja) ショーケース
JP2015112441A (ja) ボトルトレイ
KR20190072227A (ko) 서랍형 음료캔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