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278A -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278A
KR20080064278A KR1020070001006A KR20070001006A KR20080064278A KR 20080064278 A KR20080064278 A KR 20080064278A KR 1020070001006 A KR1020070001006 A KR 1020070001006A KR 20070001006 A KR20070001006 A KR 20070001006A KR 20080064278 A KR20080064278 A KR 2008006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riented polyester
biaxially oriented
primer layer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종현
서기봉
김상필
강창원
황창익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4278A/ko
Publication of KR2008006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라이머층에 사용되던 도포액이 기재와의 접착력 또는 후가공 공정에서의 프라이머층과의 접착력이 부족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라이머층에 도포되는 조액을 새롭게 조제함으로써,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층으로 코팅한 후에 기재와의 접착성 및 후가공 공정에서도 접착력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이 분지 모노머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크릴계 수지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폴리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가 90:10~10:90이며,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0.01~60중량%이고,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2%이상, 헤이즈 값이 0.4~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카 입자, 프라이머층, 전 광선투과율, 헤이즈

Description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BIAXIALLY ORIENTED POLYESTER LAMINATED FILM FOR OPTICAL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도.
본 발명은 접착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라이머층에 사용되던 도포액이 기재와의 접착력 또는 후가공 공정에서의 프라이머층과의 접착력이 부족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라이머층에 도포되는조액을 새롭게 조제함으로써,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층으로 코팅한 후에 기재와의 접착성 및 후가공 공정에서도 접착력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치수 안정성, 두께 균일성 및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 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용 재료로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광학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프라이머층은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착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과의 접착성은 충분하지만, 프리즘렌즈, 반사방지층 또는 하드 코팅층 등으로 여러 가지 후가공 처리 후 사용되는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불충분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시 이접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을 이용한 프라이머층을 코팅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으로서는, 하드 코트층 등의 바깥층과의 접착력은 향상하지만,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바깥층과의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광학용으로 사용되는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후가공의 프리즘 렌즈 가공이나 하드 코트 가공, AR 가공을 위해 우수한 접착성이 요구되는 외에, 내스크래치성 및 광학적인 결점의 원인이 되는 필름 중에 포함되는 미소한 이물도 매우 적을 것이 요망되고, 또한 이러한 광학용 필름에는 우수한 투명성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축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 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 렌즈가공이나 하드코트가공, AR 가공 등의 후가공시의 열처리공정에서 필름의 반송성 등의 후가공 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전투과율이 높고, 헤이즈 값은 작은 특성 때문에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이 분지 모노머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크릴계 수지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폴리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가 90:10~10:90이며,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0.01~60중량%이고,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2%이상, 헤이즈 값이 0.4~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후가공 공정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 중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 아크릴계 수지를 혼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조 공정 중에 수행한 프라이머층의 이접착성이 기재인 폴리에스터 필름과 후가공에서의 코팅공정을 한 후에도, 이접착성이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은 종래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과는 달리, 기재와의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의 이접착성도 우수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기재필름이 가지고 있는 광학적 특성을 유지 또는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형성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 르계 수지란,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분지된 글리콜 성분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지된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메틸-2-부틸-1,3-프로판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2-메틸-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메틸-2-n-헥실-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에틸-2-n-부틸-1,3-프로판디올, 2-에틸-2-n-헥실-1,3-프로판디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2-n-부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및 2,2-디-n-헥실-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분지된 글리콜 성분은 전체 글리콜 성분 중에 10몰% 이상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의 비율이다. 또한 상기의 분지된 글리콜 성분은 전체 글리콜 성분 중에 80몰% 이하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몰% 미만에서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합물 이외의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소량이면,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구성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소량이면 다른 디카르복실산, 특히 디페닐카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방향족디카르복실산을 가하여 공중합시켜도 좋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외에, 수분산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5-술포이소프탈산을 1∼1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4-술포나프탈렌이소프탈산-2,7-디카르복실산 및 5-(4-술포페녹시) 이소프탈산 및 그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이접착필름의 프라이머층에 사용하는 폴리아크릴계 수지로는, 1분자 중에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량체 및 프리폴리머 중 1종 이상과 1분자 중에 1~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펜타에리스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테트라(메타)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프리폴리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프리폴리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프리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 및 프리 폴리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중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에폭시계 경화제를 병용하면 기재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는 수용성 코팅액에 사용가능하며, 기재 필름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코팅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 공지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필요량 사용 하여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층은 1차 연신 후의 필름 위에 수지 바인더 등과 함께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 때 수지가 도포된 층의 두께는 0.01 ~ 5.0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05~3.00㎛으로 하는 것이 좋다. 코팅 두께가 0.05㎛보다 얇으면 투명성은 양호해지나 접착력이 떨어지며, 3㎛보다 두꺼울 경우 접착특성은 우수하나 투명성 및 코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 도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팅성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코팅액에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러한 첨가제로는 유기입자, 무기입자,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 프라이머층에 수지와 굴절률 차이가 비교적 적은 무기 입자를 함유시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하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30㎚미만이 되면 미세입자가 시트나 필름에서 주행성 및 내스크래치성에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투입의 효과를 주지 못하며, 미세입자의 평균입경이 500㎚를 초과하게 되면 헤이즈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입자의 크기는 3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 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접착력이 90% 이상, 전광선투과율이 92% 이상, 헤이즈가 0.4%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재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이하 'PET'로 약칭함)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구체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 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이 될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투명성, 기계적 강도,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지름 0.3㎛의 실리카 입자를 0.2중량% 함유하는 PET 팔레트를 180℃에서 약 2시간 진공 건조해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230~30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한 다음, T자형 구금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 형상물을 경면의 냉각드럼 상에서 냉각 고착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 때 캐스트 드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정전 인가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70~120℃로 가열한 롤의 길이방향으로 2~5배 연신을 행한다. 길이방향 연신은 결정 배향을 낮추고, 또 열결정화를 진행시키는 조건이 바람직하고, 연신시에 방사히터로 가열하면서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이와 같이 1축으로 연신된 필름의 표면 또는 양면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폴리아크릴계 수지(B)를 중량비가 90:10~10:90으로 하며, 평균입경이 50~300㎚인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이 0.01~60중량%, 계면활성제로는 수용성 코팅액에 사용가능하며, 기재 필름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코팅액을 균일하게 도포 하기 위해 공지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필요량 사용하여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인도한다. 텐터 내에서 예열 후, 폭 방향으로 약 2~5배 연신한다. 폭 방향으로 연신된 적층필름을 3~10%의 이완 처리를 더 행하면서, 기재필름의 결정화와 도막경화를 완료시키는 열처리(대략,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융점온도, PET의 경우에는 200~245℃)를 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경화에 필요한 열로는 스팀 히터, 전기 히터, 적외선 히터 또는 원적외선 히터 등을 사용해서 온도를 적어도 140℃ 이상으로 가온 시킨 공기, 불활성 가스를 슬릿 노즐을 사용해서 기재, 도막에 분사ㆍ접촉시킴으로써 가해지는 열이 열거되고, 그 중에서도 200℃ 이상으로 가온된 공기에 의한 열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으로 가온된 질소에 의한 열이 경화속도가 빠르므로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포액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수분산액 12.0중량%, 폴리아크릴계 수지 42% 수용액 4.8중량%, 에폭시계 경화제는 고형분이 70중량%인 수지 0.7중량% 및 물 77.43중량%를 혼합하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 수용액 5.0중량%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 70% 수용액 0.07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펠렛을 135℃에서 6시간 감압건조(1.3hPa)한 후, 이를 압출기로 공급한 다음, 약 280℃에서 시트상으로 용 융압출하고, 표면온도 20℃로 유지한 금속롤 상에서 급냉고화하여 두께 1024㎛의 캐스팅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캐스팅필름을 가열된 롤 군(roll group) 및 적외선 히터 1OO℃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 군으로 종방향으로 3.2배 연신비로 연신하여 일축배향 PET 필름을 얻어 이를 기재로 사용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리버스 롤법으로 일축배향 PET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이때의 도포량(고형분 중량)은 0.08g/㎡이었다. 계속해서 필름을 클립으로 단부에 파지하고, 열풍영역으로 도입하고, 건조하였다. 그 후 130℃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비로 연신하고, 240℃에서 열고정한 다음, 200℃에서 3%의 횡완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두께 10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 필름의 두께를 1280㎛, 제막 후 필름의 두께를 12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 필름의 두께를 1925㎛, 제막 후 필름의 두께를 18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도포액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수분산액을 14.8중량%, 에폭시계 경화제는 고형분이 70중량%인 수지 0.7중량%, 물 77.43중량% 혼합하고, 또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0% 수용액을 5.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는 70% 수용액을 0.07중량% 첨가하여 도포액으로 하였다.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0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실시예 2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필름의 두께를 1280㎛로 하고,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125㎛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실시예 3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필름의 두께를 1925㎛로 하고,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188㎛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도포액은 폴리아크릴계 수지 42% 수용액 16.8중량%, 에폭시계 경화제는 고형분이 70중량%인 수지 0.7중량%, 물 77.43중량% 혼합하고, 또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0% 수용액을 5.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는 70% 수용액을 0.07중량% 첨가하여 도포액으로 하였다.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0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실시예 2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필름의 두께를 1280㎛로 하고,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125㎛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비교예 4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실시예 3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필름의 두께를 1925㎛로 하고, 제막 후 필름의 두께가 188㎛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필름의 광투과성(%)를 측정하였다. C-광원을 사용하여 입사광에 대한 산란광의 비율을 %값으로 나타낸 헤이즈(Haze) 값을 헤이즈미터(일본 덴소쿠고교사의모델 NDH-1001예형)로 측정한 후 무처리 필름의 헤이즈값과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헤이즈의 편차가 작을수록 필름의 투명성이 우수하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필름의 기재와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4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이 접착되어 있는 표면에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성 테스트 시료를 도포시키고, 건조오븐기에 30초간, 150℃에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나서, 절단기로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필름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10×10의 매트릭스에 2㎜×2㎜ 정사각형들을 배치한다. 절단선은 접착층을 통과해 기재 필름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깊게 만든다. 절단선이 있는 필름에 셀로판 테잎(No. 405, NICHIBAN제 넓이: 24㎜)을 붙이고, 지우개로 테잎을 문질러서 필름에 강력하게 부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수직으로 테잎을 떼어낸다. 접착층에 남아있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다음 수학식에 의해 접착력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00954942-PAT00001
표 1에서의 기호 "○"는 90% 이상, "×"는 90% 미만을 나타낸다.
[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필름에 사용된 코팅용액의 광학적특성을 측정하였다. 광학적 특성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전투과율과 Hz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항목 기재필름 두께(㎛) 도포액의 종류 도포량 (g/㎡) 헤이즈값(%) 전광선투과율(%) 기재와의 접착성 후가공시 접착성
실시예1 100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0.08 0.62 93.1 O O
실시예2 125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0.08 0.71 92.7 O O
실시예3 188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0.08 0.79 92.2 O O
비교예1 100 폴리에스테르 0.08 0.83 92.8 O X
비교예2 125 폴리에스테르 0.08 0.90 92.6 O X
비교예3 188 폴리에스테르 0.08 1.18 91.9 O X
비교예4 100 폴리아크릴 0.08 0.48 92.6 X O
비교예5 125 폴리아크릴 0.08 0.59 93.2 X O
비교예6 188 폴리아크릴 0.08 0.94 93.0 X O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비교예들에 비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따르면, 이축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즘 렌즈가공이나 하드코트가공, AR 가공 등의 후가공시의 열처리공정에서 필름의 반송성 등의 후가공 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투과율이 높고, 헤이즈 값은 작은 특성 때문에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광학용 필름으로서, LCD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용 베이스필름이나 백라이트용 베이스필름, 하드 코트 가공이나 AR 필름용 베이스필름 및 CRT에서 보호필름 등으로서 유용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이 분지 모노머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크릴계 수지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폴리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가 90:10~10:90이며,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0.01~60중량%이고,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2%이상, 헤이즈 값이 0.4~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70001006A 2007-01-04 2007-01-04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8006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06A KR20080064278A (ko) 2007-01-04 2007-01-04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06A KR20080064278A (ko) 2007-01-04 2007-01-04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278A true KR20080064278A (ko) 2008-07-09

Family

ID=3981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006A KR20080064278A (ko) 2007-01-04 2007-01-04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4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931A (ko) * 2011-12-16 2013-06-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21317B1 (ko) * 2009-09-02 2016-05-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317B1 (ko) * 2009-09-02 2016-05-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20130068931A (ko) * 2011-12-16 2013-06-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0340B1 (en) Primer layer for multilayer optical film
JP5467752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940004B2 (ja)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
US9110229B2 (en) Silicate-containing antifog coatings
JP6326816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243051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10011194A (ko)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계 이접착 필름
KR101218146B1 (ko) 광학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19351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0887151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428679B2 (ja) 積層フィルム
JP6274243B2 (ja) 積層フィルム
KR100959000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KR20080064278A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021328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JP470317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70094871A (ko) 3층 구조의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KR10078139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JP6109212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42866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587901B2 (ja) 1軸延伸多層積層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6272048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98324A (ja) 多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KR20120038650A (ko) 휘도와 투명성이 향상된 다목적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349B1 (ko) 수용성 공중합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05

Effective date: 200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