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383A -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383A
KR20080051383A KR1020060122339A KR20060122339A KR20080051383A KR 20080051383 A KR20080051383 A KR 20080051383A KR 1020060122339 A KR1020060122339 A KR 1020060122339A KR 20060122339 A KR20060122339 A KR 20060122339A KR 20080051383 A KR20080051383 A KR 2008005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bile communication
usb
communication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102006012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383A/en
Publication of KR2008005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data interfac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a USB(Universal Serial Bus) host function is provided to realize direct data communication between connected mobile terminals by connecting data communication connector of the mobile terminals requiring the data communication. A first connector(310) includes a connecting terminal inserted into a data communication connector of a first mobile terminal. A second connector(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ith a cable and is inserted into the data communication connector of a second mobile terminal. A controller(340) controls U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by being installed in the first or second connector,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or second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includes a USB communicator(341) connecting a communication path and enabling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nected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indicator(342) displaying normal connection and a data communication operation between the connected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

Description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도 1 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접속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도 4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using the embodiment of FIG. 4.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컴퓨터 11: USB 접속구10: Computer 11: USB Port

100: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 110: 접속구100: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nection port

200: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210: 접속구200: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connection port

300, 300':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10: 제 1 연결부300, 300 ': data interface device 310: first connection portion

320: 제 2 연결부 330: 케이블320: second connection portion 330: cable

340, 340': 제어부 341, USB 통신부340, 340 ': control unit 341, USB communication unit

342: 동작 표시부 343: 전원부342: operation display unit 343: power supply unit

350: 제 3 연결부 351: USB 접속 단자350: third connection portion 351: USB connection terminal

360: 제 4 연결부 361: 삽입홈360: fourth connection portion 361: insertion groove

362: 제 1 접속 단자 363: 제 2 접속 단자362: first connection terminal 363: second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USB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to enable U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에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수신용 접속구를 구비하고, 이러한 접속구는 컴퓨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기능 등을 위한 데이터 통신과 차량의 핸즈프리와의 인터페이스기능 및 외부전원을 이용한 충전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한다.In general,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omputer), and the access port is an interface between a data communication and a hands-free interface of a vehicle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a computer. It is used to provide the function and charging function using external power.

도 1은 종래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접속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10)와 이동 통신 단말기(2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가 설치된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cable. As shown in FIG. 1, a data interface device 30 is provided between the computer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power supply.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컴퓨터(10)의 일측에 설치된 USB 접속구(11)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의 USB 연결부(31)가 삽입되고,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속구(21)에 단말기 연결부(32)가 삽입되며, USB 연결부(31)와 단말기 연결부(32)에는 케이블(33)이 설치되어 컴퓨터(10)와 이동 통신 단말기(2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In more detail, the USB connector 31 of the data interface device 30 is inserted into the USB connector 1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mputer 10 and the connector 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terminal connector 32 is inserted into the cable, and a cable 33 is installed at the USB connector 31 and the terminal connector 32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computer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단순히 컴퓨터(10)와 이동 통신 단말기(20)를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할 뿐 이동 통신 단말기(20)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미도시)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ata interface device 30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ply operates by connecting the computer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not shown).

더욱이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의 저장 용량이 확대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음악파일 및 영상파일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콘텐츠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n increased storage capacity of the memory and can store various content files of the user together with music files and image fil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직접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없어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 interface device capable of directly provid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computer.

또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데이터의 전송량에 한계가 있어 전송 시간이 증가하고, 이와 함께 사용 시간의 증가에 따른 사용요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there is a limit in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which increases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age fe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use tim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that connects to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quir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enables direc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terface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 또는 제 2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에 접속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연결부에 접속한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USB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into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of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by a cable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USB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It includes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에 각각 접속된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통신 경로가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USB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USB 호스트로 동작하는 USB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respectively, and to transmit / receive USB dat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USB communication unit operating as a USB host,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power from any one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상 연결 여부 및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display unit which display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rmally connected and whether data is transmitted or receiv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1 연결부 또는 제 2 연결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tore power applied from on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상기 제 1 연결부의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컴퓨터의 USB 접속구에 삽입되도록 USB 접속 단자를 형성한 제 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면 상기 USB 통신부는 USB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ertion groove to be detachably coupled with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r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n one side,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to be inserted into the USB connection port of the computer on the other sid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ion unit formed, and when connected to the computer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unit, the USB communication unit operates as a USB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상기 제 1 연결부의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와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 단자를 형성한 제 4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with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r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a fourth connection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200) 사이에 별도의 외부 기기(예를들면,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등) 연결 없이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110)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제 1 연결부(310)와, 제 1 연결부(310)와 케이블(330)로 연결되고,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210)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제 2 연결부(320)와, 제 1 연결부(310) 또는 제 2 연결부(3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 1 연결부(310)에 접속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제 2 연결부(320)에 접속한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320) 사이에 USB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한다.The data interface device 300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external device (eg, desktop)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 first connection part 310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in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nector 110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as to enable direc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out a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DA, and the like, and a first connection par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connected to the cable 310 and a cable 330,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in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nector 210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r USB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stalled in any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s 320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Control unit 34 to contro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0).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하단부에 상기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구(110)를 구비하고,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하단부에 상기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구(210)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는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기기와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a connection port 110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has a connection port (to allow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t the lower end) 210, and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preferabl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by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제 1 연결부(310)는 일측에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접속구(110)와 대응되는 접속 단자가 접속되고, 타측에 케이블(330)이 접속된다. 제 1 연결부(310)의 접속 단자는 공지된 구성으로 정보통신부 표준 24핀 접속 단자 또는 정보통신부 표준 20핀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이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 110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one side, the cable 3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is a known configuration, eithe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standard 24 pin connection terminal 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standard 20 pin connection terminal.

제 2 연결부(320)는 일측에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접속구(210)와 대응되는 접속 단자가 설치되고, 타측에 케이블(330)이 접속된다. 제 2 연결부(320)의 접속 단자는 공지된 구성으로 정보통신부 표준 24핀 접속 단자 또는 정보통신부 표준 20핀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이다.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 210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n one side, the cable 330 on the other side ) Is connecte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is a known configuration, eithe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standard 24 pin connection terminal 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standard 20 pin connection terminal.

제어부(340)는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 사이에 USB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USB 통신부(341)를 포함하고, 제 1 연결부(310) 및 제 2 연결부(320)에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 사이에 USB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The controller 340 includes a USB communication unit 341 for controlling U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and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320. A communication path is set up so that USB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즉 제어부(340)는 제 1 연결부(310)에 접속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제 2 연결부(320)에 접속된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USB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 선로를 연결하거나, 상기 통신 선로가 차단되도록 스위칭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34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are suitable for USB data communication. Determine and connect a communication line so that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or switch to block the communication line.

또한, USB 통신부(341)는 바람직하게 임베디드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써 제 1 연결부(310) 및 제 2 연결부(320)에 접속된 장치의 USB 통신 레벨에 따라 USB 데이터 통신시에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하거나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동작한다.In addition, the USB communication unit 341 is preferably an embedded USB host controller and operates as a USB host controller during USB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communication level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Act as a device controller

즉 USB 통신부(341)는 제 1 연결부(310) 또는 제 2 연결부(320) 중 어느 하나에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 등에 설치된 USB 호스트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USB 디바이스 장치로 동작되도록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가 되고, 제 1 연결부(310) 및 제 2 연결부(320)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데이터 인페이스 장치(300)가 USB 호스트 장치로 동작되도록 USB 호스트 컨트롤러가 된다.That is, when the USB communication unit 341 detects an operation signal of a USB host controller installed in the desktop computer, the notebook computer, or the PDA at either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the data interface device 300 is detected. Is a USB device controller to operate as a USB device device, and when an operation signal of a USB device controller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at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the data interface device 300 receives the USB device. It becomes a USB host controller to operate as a host device.

따라서 USB 통신부(341)는 USB 디바이스 장치로 동작하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310)와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320) 사이에 USB 데이터 통신시에 USB 호스트 장치로 동작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 사이에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B communication unit 341 operates as a USB host device during U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that operate as the USB device device, thereb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USB data communication is enabled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또한, 제어부(340)는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표시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LED 램프로 이루어지며 제 1 연결부(310) 또는 제 2 연결부(320)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40 may display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are normally connected, and whethe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peration indicators, preferably made of LED lamps ar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to be exposed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 기(100) 또는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접속되면,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ata interfac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power source from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activated.

즉 제 1 및 제 2 연결부(310 및 320)는 각각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의 접속구(110 및 210)에 각각 접속하고, 이때 제 1 및 제 2 연결부의 접속 단자 중 일부가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200)의 접속구(110 및 210)에 설치된 전원 단자(미도시)와 접속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제어부(340)에 인가되도록 한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310 and 32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s 110 and 210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respectively, and among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power terminals (not shown)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s 110 and 210 so that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340.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llustrates a connectio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using the embodiment of FIG. 4. It is an illustra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4 and 5,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First,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1 연결부(310)와, 제 2 연결부(320)와, 케이블(330)과, 제어부(340') 및 제 3 연결부(350)를 포함한다.The data interface device 300 ′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the cable 330, and the controller 340. ') And the third connector 350.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40')는 제 1 연결부(310) 또는 제 2 연결부 (3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저장하여 제어부(34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부(343)를 더 포함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34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tores the power applied from either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340 ′. More).

전원부(343)는 제 1 연결부(310) 또는 제 2 연결부(320)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 이하, 컴퓨터라고 함)가 연결되면,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후 제 1 연결부(310) 및 제 2 연결부(320)에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연결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전원 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343 includes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a PDA, or a computer)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either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When connected, the power is supplied and stored,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n operat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 연결부(350)는 컴퓨터(10)에 설치된 USB 접속구(11)와 접속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제 1 연결부(310)의 접속 단자 또는 제 2 연결부(320)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도록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하고, 타측에 컴퓨터(10)의 USB 접속구(11)에 삽입되도록 USB 접속 단자(351)를 설치한다.The third connector 350 is inserted to be coupled to either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or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on one side to be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11 installed in the computer 10.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and a USB connection terminal 351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SB connector 11 of the computer 10.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 1 연결부(310) 또는 제 2 연결부(320)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제 3 연결부(350)를 결합하여 컴퓨터(10)와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USB 통신부(341)는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동작한다.Therefore, if necessary, the user connects the third connection unit 350 to on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and connects the computer 10 with the other connection unit. Can als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100). In this case, the USB communication unit 341 operates as a USB device controller.

한편, 미설명 부호 360은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 4 연결부로써, 일측에 제 1 연결부(310)의 접속 단자 또는 제 2 연결부(320)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도록 삽입홈(363)을 형성하고, 타측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와 연결되도록 다수의 접속 단자(361 및 36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360 is a fourth connection for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sertion groove to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on one side. 363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361 and 36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제 2 연결부(320)와 제 4 연결부(360)를 연결한 다음 제 4 연결부(360)의 접속 단자(361 및 362)에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미도시)를 접속하고, 제 1 연결부(310)와 연결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USB 통신부(341)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하여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0)들 사이에 USB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refore,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and the fourth connection unit 360 are connected, and then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361 and 362 of the fourth connection unit 360,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 USB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310 and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is case, the USB communication unit 341 operates as a USB host controller to perform U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process of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6, and 7.

제어부(340)는 전원이 인가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초기화되도록 하고(S100), 제 1 연결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한다(S110).The controller 340 causes the data interface device 300 to be initialized when the power is applied (S100), and detects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310 (S110).

상기 S110단계에서 검출한 신호를 제어부(340)에서 분석하여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지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The signal detected in step S110 is analyzed by the controller 340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output from the USB device controller or the signal from the USB host controller (S120).

상기 S120단계의 판단 결과,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인 경우 제어부(340)는 제 1 연결부(310)에 접속한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0, when the signal is output from the USB device controller, the controller 340 determines that th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B data communica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30).

상기 S13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USB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구동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동작 표시부(342)로 오동작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여 표시되도록 한다(S2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0, when USB data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for example, when a separate driving program is not installed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controller 340 returns to the operation display unit 342. Power is displayed to display the malfunction signal (S200).

상기 S130단계에서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제어부(340)는 제 2 연결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S140), 상기 S140단계에서 검출한 신호를 제어부(340)에서 분석하여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지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If USB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step S130, the controller 340 detects a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connector 320 (S140), and analyzes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140 in the controller 340 to analyze the USB device controll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gnal is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USB host controller (S150).

상기 S150단계의 판단 결과,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인 경우 제어부(340)는 제 2 연결부(320)에 접속한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0, when the signal is output from the USB device controller, the controller 340 determines that the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B data communica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60).

상기 S160단계의 판단 결과, USB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340)는 사용 불가를 표시하고(S200),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340)는 USB 통신부(341)가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되도록 설정하고(S170), 제 1 및 제 2 연결부(310 및 320) 사이에 스위칭을 통해 통신 선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S180), 동작 표시부(342)로 정상 동작이 표시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S19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0, when the USB data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controller 340 indicates that it is not available (S200), and when the USB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controller 340 causes the USB communication unit 341 to operate as a USB host controller. Set (S170), the communication line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 (310 and 320) (S180), and outputs a signal to display the normal operation to the operation display unit 342 (S190) ).

한편, 상기 S120단계에서 제 1 연결부(310)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340)는 제 1 연결부(310)에 접속된 장치를 USB 호스트 컨트롤러가 설치된 컴퓨터로 판단하여 USB 통신부(341)가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동작되도록 설정(S300)하고, 제 2 연결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한다(S310).Meanwhile, when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first connector 310 is not a signal output from the USB device controller in step S120, the controller 340 transfers th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310 to a computer on which the USB host controller is installed. In operation S300, the USB communicator 341 determines to operate as a USB device controller, and detects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nnector 320.

상기 S310단계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340)는 제 1 및 제 2 연결부(310 및 320) 사이에 스위칭을 통해 통신 선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S320), 동작 표시부(342)로 정상 동작이 표시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S330).When the signal is detected in step S310, the control unit 340 allows the communication line to be connected through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units 310 and 320 (S320), and the operation display unit 342 displays the normal operation. The signal is outputted so as (S33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직접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direc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y as many as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hanges may be made.

Claims (6)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로서,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제 1 연결부;A first connection portion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제 2 연결부; 및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by a cable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제 1 연결부 또는 제 2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에 접속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연결부에 접속한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USB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Installed in either the first connection unit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to control the USB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에 각각 접속된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통신 경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USB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하는 USB 통신부를 포함하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respectively, and to perform USB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B communication unit that acts as a USB host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is a data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power from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상 연결 여부 및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a norm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whether data is transmitted or receiv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제 1 연결부 또는 제 2 연결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toring power applied from either the first connection unit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The data interfac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USB host func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일측에 상기 제 1 연결부의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컴퓨터의 USB 접속구에 삽입되도록 USB 접속 단자를 형성한 제 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A third connection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r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USB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ide to be inserted into a USB connection port of a computer; More, 상기 제 3 연결부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면 상기 USB 통신부는 USB 디바이스로 컨트롤러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The USB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B hos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B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via the third connection unit operates as a controller as a USB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일측에 상기 제 1 연결부의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용 접속구와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 단자를 형성한 제 4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or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ourth connection portion formed thereon.
KR1020060122339A 2006-12-05 2006-12-05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KR200800513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39A KR20080051383A (en) 2006-12-05 2006-12-05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39A KR20080051383A (en) 2006-12-05 2006-12-05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83A true KR20080051383A (en) 2008-06-11

Family

ID=3980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339A KR20080051383A (en) 2006-12-05 2006-12-05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38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44A (en) * 2015-04-15 201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Performing Hybri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44A (en) * 2015-04-15 201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Performing Hybri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0319B2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EP1150525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7042459B2 (en)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to a display device in a scalable platform
KR20040052412A (en) Folding USB flash memory device for providing memory storage capacity
KR20040000816A (en) Memorydrive with multi connec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1006419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20060208096A1 (en) Flash memory expansion device & method
KR20080051383A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of mobile device having usb host function
US782571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243780B1 (en) Interface of a monitor communicating with personal computer
US202301528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device
EP1706861A1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50041008A1 (en) Electronic system having backlight adjustment function and method of adjusting backlight
KR10119938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plug and play and Method thereof
US20050073511A1 (en) Display for sharing display data channel
KR100605804B1 (en) A display chracter font tranf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N111886585A (en) Terminal device, debugging card and debugging method
KR100732716B1 (en)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62478B1 (en) Method for checking connection status of printer cable and apparatus thereof
US76649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KR20050006484A (en) Compatible usb connecto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it
CN220627041U (en) Data reading circuit, electronic whiteboard and data reading system
JP5008088B2 (en)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100479610B1 (en) Smart monito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619718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mode chang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