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288A -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288A
KR20080051288A KR1020060122085A KR20060122085A KR20080051288A KR 20080051288 A KR20080051288 A KR 20080051288A KR 1020060122085 A KR1020060122085 A KR 1020060122085A KR 20060122085 A KR20060122085 A KR 20060122085A KR 20080051288 A KR20080051288 A KR 2008005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coupling
portable terminal
headset
ea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605B1 (ko
Inventor
박재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6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 장치 및 이어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마이크 장치와 이어 스피커 장치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귀바퀴를 감싸는 형상의 이어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 후크부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는 이어 후크부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헤드 셋 장치, 이어 후크, 결합부, 결합수단, 결합돌기, 스크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HEAD SE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셋 장치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 셋 장치의 이어 후크부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본체부 102: 결합부
103: 이어 후크부 104: 결합수단
121: 결합돌기 131: 결합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헤드 셋 장치를 귀에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이어 후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헤드 셋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음향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음향 기기를 통한 녹음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기기에 해당한다.
헤드 셋 장치는 텔레마케터와 같이 음성통화를 통한 홍보, 대고객 상담이 주업무인 사용자들 또는 인터넷을 통한 음성 채팅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헤드 셋 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로 구성되면서 하나의 개체 형태로 제작된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통신 기술 및 장비의 발달과 더불어, 점차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그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MP3와 같이 음악 파일 등의 압축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이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의 한계를 넘어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고자 헤드 셋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헤드 셋 장치를 이용하여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에서 음성의 청취 및 음성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헤드 셋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도 통화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는 돌출된 스피커부가 사 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착용되면서, 마이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 셋 장치는 스피커부만으로 착용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안정된 착용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헤드 셋 장치에 이어 후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귓바퀴를 감싸는 상태로 착용하고 있으나, 고정된 형태의 이어 후크를 구비하는 헤드 셋 장치는 어느 한쪽의 귀에만 착용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탈식 이어 후크가 제공되어 헤드 셋 장치를 좌, 우 어느 쪽 귀에도 착용할 수 있으나, 착탈식 이어 후크는 분실의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 후크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 장치 및 이어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마이크 장치와 이어 스피커 장치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귀바퀴를 감싸는 형상의 이어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 후크부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셋 장치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 셋 장치(100)의 이어 후크부(103)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100)는 본체부(101), 결합부(102) 및 이어 후크부(10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01)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됨)을 내장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송수신을 하면서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101)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음향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101)에는 이어 스피커 장치(111)와 마이크 장치(113)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는 상기 본체부(101)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 셋 장치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다.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음성 송수신할 때,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 장치(113)는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1)의 일면 타단부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가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면, 상기 마이크 장치(113)는 사용자의 입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 장치(113)는 상대방에게 제공될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와 조합되어 상대방과의 음성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02)는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와 마이크 장치(113)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본체부(10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02)에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1)는 상기 결합부(102)로부터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 방향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121)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이어 후크부(103)는 사용자의 귀바퀴를 감싸는 형상이고, 연성의 재질이다. 상기 이어 후크부(103)의 일단부에는 그를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홀(131)이 배치된다. 상기 결합홀(131)에 상기 결합돌기(121)가 삽입되면서, 상기 이어 후크부(103)는 상기 결합부(102)에 지지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02)를 중 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101)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어 후크부(103)는 상기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02)와 이어 후크부(103)를 결합하기 위해 스크류와 같은 결합수단(104)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21)가 상기 결합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104)은 상기 결합돌기(121)의 암나사에 상기 결합수단이 체결되어 상기 이어 후크부(103)가 상기 결합부(10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어 후크부(103)는 상기 결합부(131)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한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 후크부(103)로 상기 헤드 셋 장치(100)를 자신의 귓바퀴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어 후크부(103)가 상기 결합부(102)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헤드 셋 장치(100)를 양쪽 귀에 선택적으로 착용가능하고, 상기 헤드 셋 장치(100)에서 상기 이어 후크부(10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본체부(101)의 일면을 기준으로 살펴 보면, 상기 이어 후크부(103)가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본체부(101)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착용된다. 반면에, 상기 이어 후크부(103)가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111)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본체부(101)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착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좌, 우측 귀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헤드 셋 장치(10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는 본체부, 결합부 및 이어 후크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어 후크부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셋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기에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다. 아울러, 헤드 셋 장치는 이어 후크부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함에 따라 안정적이면서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 장치 및 이어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마이크 장치와 이어 스피커 장치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귀바퀴를 감싸는 형상의 이어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 후크부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이어 후크부의 일단부를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 및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이어 후크부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스크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후크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지지를 받아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스피커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면서, 상기 마이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후크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양쪽 귀에 선택적으로 착용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후크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KR1020060122085A 2006-12-05 2006-12-05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KR10084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085A KR100842605B1 (ko) 2006-12-05 2006-12-05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085A KR100842605B1 (ko) 2006-12-05 2006-12-05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288A true KR20080051288A (ko) 2008-06-11
KR100842605B1 KR100842605B1 (ko) 2008-07-01

Family

ID=3980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085A KR100842605B1 (ko) 2006-12-05 2006-12-05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565A2 (ko) * 2009-02-24 2010-09-02 Shin Sung Hwan 접이식 이어후크를 수용 가능한 휴대용 무선 헤드셋
KR101014077B1 (ko) * 2008-10-14 2011-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헤드 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766A (ja) * 2003-12-25 2005-07-14 Seiko Instruments Inc 携帯用電子機器
KR100676322B1 (ko) 2004-02-21 2007-01-30 최호준 귀걸이형 헤드셋
KR100655221B1 (ko) * 2005-06-29 2006-12-08 시코드 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077B1 (ko) * 2008-10-14 2011-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헤드 셋
WO2010098565A2 (ko) * 2009-02-24 2010-09-02 Shin Sung Hwan 접이식 이어후크를 수용 가능한 휴대용 무선 헤드셋
WO2010098565A3 (ko) * 2009-02-24 2010-11-25 Shin Sung Hwan 접이식 이어후크를 수용 가능한 휴대용 무선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605B1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428B1 (ko) 선택형 스테레오 헤드 셋 장치
KR100703327B1 (ko) 무선형 스테레오 헤드 셋 시스템
KR20060110063A (ko) 케이블 접속형 스테레오 헤드 셋
TWI338518B (ko)
US8416961B2 (en) Detecting the repositioning of an earphone using a microphone and associated action
US7388960B2 (en) Multimedia speaker headphone
KR100727547B1 (ko) 무선 이어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
US8265325B2 (en)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80317274A1 (en) Apparatus for Necklace Type Radio Headset
JP2011130334A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JP4816043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2003348208A (ja) 骨伝導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電話機
WO2016067754A1 (ja) 音響出力装置
KR100903606B1 (ko) 방수기능을 갖는 골전도 이어폰장치
KR1008426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KR100730737B1 (ko) 골전도 헤드셋
JP2023096092A (ja) 音響出力装置
US10911857B2 (en) Sound output apparatus
TW202239216A (zh) 具可拆卸式外接式配件的耳機
ATE439010T1 (de) Kommunikationskopfhörer
KR20080045865A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 셋 장치
JP3155362U (ja) ヘッドホン
KR100506806B1 (ko) 골전도 무선통신장치
KR100790167B1 (ko) 헤드 셋 장치
KR20080004145U (ko) 목걸이형 젠더가 구비된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통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