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964A -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964A
KR20080044964A KR1020060113824A KR20060113824A KR20080044964A KR 20080044964 A KR20080044964 A KR 20080044964A KR 1020060113824 A KR1020060113824 A KR 1020060113824A KR 20060113824 A KR20060113824 A KR 20060113824A KR 20080044964 A KR20080044964 A KR 2008004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tray
cooking chamber
cook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3873B1 (en
Inventor
허진열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873B1/en
Publication of KR2008004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bstract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is provided to apply heat generated from a heating unit uniformly to trays in a cooking chamber through the convection of air.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includes a tray body(50) and a shield member(52). The tray bodies, each having an opening, are arranged in multiple layers in a cooking chamber(3). The shield member is mounted on the tray body to close the opening and allow microwav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opening.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전기 오븐이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oven using a microwav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오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 oven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오븐의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the electric oven shown in FIG.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전기 오븐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 electric ove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의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의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전기 오븐 2: 케이싱1: electric oven 2: casing

3: 조리실 4: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3: cooking chamber 4: microwave supply unit

5: 히팅 유닛 6: 컨백션 유닛5: heating unit 6: convection unit

7: 도어 9: 컨트롤 패널7: door 9: control panel

10,100,200: 트레이 20: 마그네트론10,100,200: Tray 20: Magnetron

22: 웨이브 가이드 30: 제 1 히터22: wave guide 30: first heater

32: 제 2 히터 40: 컨백션 챔버32: second heater 40: convection chamber

42: 컨백션 팬 44: 컨백션 히터42: convection fan 44: convection heater

50,101,201: 트레이 본체 52,102,202: 차폐부재50,101,201: tray body 52,102,202: shielding member

53,103: 결합돌기 54,104,204: 개구부53,103: engaging projection 54,104,204: opening

56: 안착부 57: 결합홀56: seating portion 57: coupling hole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의 내부에 복수개의 트레이들을 다단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요리가 가능하고, 트레이의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ok by microwav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rays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ray can be ensured. It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는, 음식물과 같은 부도체(이하, ‘조리물’이라 칭함)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照射)하여 조리물 내부의 분 자진동에 의해 단시간 내에 조리물의 심부까지 가열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microwave cooking apparatus uses a microwave to irradiate a non-conductor such as fo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material”) to heat the core of the food within a short time by molecular vibration in the food. Device.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에는,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조리하는 전자 레인지(Microwave oven, MWO)와, 가스 레인지와 같은 다른 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Hood) 기능이 추가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ver the range, OTR)와,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히터와 함께 마이크로웨이브로 조리하는 오븐(Oven) 등이 있다.In the cooking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 the microwave oven (Microwave oven, MWO) for cook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cooking apparatus such as a gas stove to discharge the smoke and smell to the outside There is a hood-over microwave (OTR) with a hood function and an oven for cooking food contained in a cooking chamber with a heater using a microwave.

이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트레이(Tray)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요리하고자 하는 조리물이 놓이게 된다. In the cooking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 a tray (Tray) is detachably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the food to be cooke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는, 상기 트레이가 유전체(dielectric)로 제작될 경우, 상기 트레이가 외부 충격이나 급격한 온도변화 등에 의해 파손될 위험성이 높고, 상기 트레이의 성형성이 낮아 제작이 어려우며, 상기 유전체의 단가가 높아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전체는 부도체 또는 전기전도도가 매우 작은 물질로써,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되는 특성을 갖는다.However, the cooking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tray is made of a dielectric (dielectric),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tray is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or a sudden temperature change, and the moldability of the tray is low This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unit price of the dielectric is high. Such a dielectric is a non-conductor or a material having ver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as a property of transmitting microwaves.

한편, 상기 트레이가 스틸(Steel)과 같은 금속 전도체로 제작되면, 상기 유전체로 제작된 트레이에 비하여 강도와 내구성 및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전도체의 단가가 저렴하여 제작비용도 절감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전도체는 마이크로웨이브에 대하여 불투과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금속 전도체로 제작된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의 내측에 다단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면, 상기 트레 이들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의 전파(傳播)가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들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조리장치 중 트레이가 다단으로 배치되는 모델에서는, 상기 트레이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의 전파 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전체로 제작된 트레이만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y is made of a metal conductor, such as steel (Steel), not only is excellent in strength, durability and formability compared to the tray made of the dielectric, but also the cost of the metal conductor is low,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reduced . Here, the metal conductor has an impermeable property with respect to the microwave. However, when a plurality of trays made of the metal conductors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microwaves are blocked by the trays, and thus microwaves may be microwaved with foods placed in the plurality of tray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elivered smoothly. That is, in a model in which trays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only a tray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can be us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microwaves by the tray.

본 발명은, 조리실의 내부에 복수개의 트레이들이 다단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요리가 가능하고, 트레이의 강도와 성형성 등이 우수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which is capable of cooking by microwave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rays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formability of the trays.

본 발명은, 조리실의 내부에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될 수 있도록 유전체(dielectric)로 형성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body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rrang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dielectric disposed to shield the opening and disposed at the tray main body so that microwaves can pass through the opening. It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including a formed shielding member.

상기 트레이 본체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에 대하여 1/4 이상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body may include a metal. The opening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y body. The opening may be formed in a width of 1/4 or more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the microwave.

상기 차폐부재는 강화 유리와 강화 플라스틱 및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될 수 있다. The shield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mpered glass, tempered plastic, and ceramic. The shielding member may be insert molded into the tray body.

또는,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장착되는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차폐부재와 트레이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hield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panel mounted to the tray body. One of the shielding member and the tray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and the other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전기 오븐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오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오븐의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전기 오븐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ove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electric ove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the electrical shown in Figure 1 4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the ove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3,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 electric ove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오븐(1)은, 전면이 개구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면에 조리물이 출입되는 출입구(3a)가 형성된 조리실(3)과, 상기 조리실(3)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과, 상기 조리실(3)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 유닛(Heating unit)(5)과, 상기 조리실(3)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 공기를 순환 가열시키는 컨백션 유닛(Convection unit)(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electric oven 1 includes a casing 2 having an open front face, and a cooking chamber having an entrance 3 a disposed inside the casing 2 and having food in and out on the front face. (3), a microwave supply unit (4) disposed above the cooking chamber (3) to supply microwaves into the cooking chamber (3), and dispos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3) and the cooking chamber ( A heating unit 5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chamber 3 and a convection unit 6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 for circulating and heating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3. It includes.

상기 케이싱(2)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3)과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 등이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2)의 전면에는 상기 출입구(3a)를 개폐시키는 도어(7)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어(7)는 드롭다운(Drop down) 방식으로 개폐되고, 전면 상부에 손잡이(8)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2)의 전면 중 상기 도어(7)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컨트롤 패널(9)이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9)은, 상기 전자 (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9a)와, 상기 전기 오븐(1)의 조리 모드를 선택하거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9b)를 포함한다. The casing 2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the cooking chamber 3 and the microwave supply unit 4 are disposed therein. The front door 7 of the casing 2 is rotatably arrang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7a. The door 7 is opened and closed in a drop down manner, and a handle 8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ront surface. The control panel 9 is mounted a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2 where the door 7 is not formed. The control panel 9 includes a display portion 9a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 outside, and an operation portion 9b for selecting a cooking mode or adjus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ic oven 1. .

상기 조리실(3)은, 상기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Cavity)를 갖도록 전도체 재질로 형성된 박스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조리실(3)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물이 놓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트레이(tray)(10)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조리실(3)의 양측면에는 상기 트레이(1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10)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쳐지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는 상기 조리실(3)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0)는 상기 조리실(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ooking chamber 3 is a box-shaped member formed of a conductor material to have a cavity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The tray 10 in which the food is placed and cook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3 is detachably disposed. Sliding guides 11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 3 so that the tray 10 slides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both ends of the tray 10 are slidably attached to the sliding guides 11. The losing flange portion 12 is formed. The sliding guide part 11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 (3). Therefore, the tray 10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oking chamber 3.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은, 상기 조리실(3)과 케이싱(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Magnetron)(20)과, 상기 마그네트론(20)과 조리실(3)의 상부 사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안내하는 웨이브 가이드(22)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론 (20)은, 상기 조리실(3)과 케이싱(2) 사이에 형성된 전장실(13)에 배치된다. 상기 전장실(13)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9)과 도어(7) 및 마그네트론(20) 등을 냉각시키는 냉각팬(24)이 설치된다. 상기 웨이브 가이드(22)와 조리실(3)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방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교반되도록 팬(Fan) 형상의 스터러(Stirrer)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microwave supply unit 4 is dispos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 3 and the casing 2 to generate a magnetron 20 and the magnetron 20 and the cooking chamber 3. It is form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includes a wave guide 22 for guiding the microwave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3). The magnetron 20 is disposed in the electric chamber 13 form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 3 and the casing 2. The electrical compartment 13 is provided with a cooling fan 24 for cooling the control panel 9, the door 7, the magnetron 20, and the like. A fan-shaped stirrer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ve guide 22 and the cooking chamber 3 so that the microwaves radiated into the cooking chamber 3 are stirred. .

상기 히팅 유닛(5)은, 상기 조리실(3)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 1 히터(30)와, 상기 조리실(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광선 형태로 복사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히터(30)로는 금속 보호관의 내부에 열선이 배치된 시즈 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되고, 상기 제 2 히터(32)로는 할로겐 원소가 주입된 석영관의 내부에 열선이 배치된 할로겐 히터(Halogen heater)가 사용된다. The heating unit 5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ooking chamber 3 to heat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3, and is disposed above the cooking chamber 3, and thus the heating unit 5 is disposed above the cooking chamber 3. It includes a second heater 32 for supplying radiant heat in the form of light rays into the cooking chamber (3). As the first heater 30, a sheath heater in which a heating wire is disposed in a metal protection tube is used, and in the second heater 32, a halogen heater in which a heating wire is disposed in a quartz tube into which a halogen element is injected. Halogen heater is used.

상기 컨백션 유닛(6)은, 상기 트레이(10)에 올려진 조리물로 가열된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조리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컨백션 유닛(6)은, 상기 조리실(3)의 배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3)의 내부 공간과의 사이에 흡입구(40a)와 토출구(40b)가 형성된 컨백션 챔버(40)와, 상기 컨백션 챔버(40)의 내부에 배치된 컨백션 팬(42)과, 상기 컨백션 팬(42)과 토출구(4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4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컨백션 히터(44)를 포함한다.The convection unit 6 shortens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by forcibly circulating the heated air with the food placed on the tray 10. That is, the convection unit 6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a suction opening 40a and a discharge opening 40b formed between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40, the convection fan 42 disposed inside the convection chamber 40, and the convection fan 42 and the discharge port 40b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0b. It includes a convection heater 44 for heating the air to be.

상기 컨백션 챔버(40)는 상기 조리실(3)의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리실(3)의 내부에는 배면 전방에 격판(46)이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3)의 배 면과 격판(46) 사이에 컨백션 챔버(40)가 형성된다. 상기 격판(46)의 중앙에는 복수개의 흡입구(40a)가 형성되고, 상기 격판(46)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토출구(40b)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The convection chamber 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3. That is, a diaphragm 46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 to form a convection chamber 40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 and the diaphragm 46.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40a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46,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40b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phragm 46.

상기 컨백션 팬(42)은, 상기 컨백션 챔버(40)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40a)와 대향되게 배치된 원심팬(47)과, 상기 원심팬(47)에 회전축이 연결되도록 상기 컨백션 챔버(40)에 장착된 모터(48)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팬(47)이 모터(48)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조리실(3)의 내부공기는 흡입구(40a)를 통해 컨백션 챔버(40)로 흡입되고, 상기 토출구(40b)를 통해 조리실(3)의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며, 상기 토출된 공기는 복수개의 트레이(10)들을 거친 다음 상기 흡입구(40a)로 다시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3)의 내부에는 공기의 대류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조리물의 열풍 조리가 실시된다. The convection fan 42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47 disposed to face the inlet 40a in the convection chamber 40, and the convection fan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fan 47. And a motor 48 mounted in the chamber 40. When the centrifugal fan 47 is rotated by the motor 48, the internal air of the cooking chamber 3 is sucked into the convection chamber 40 through the suction port 40a, and the cooking chamb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40b).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3), and the discharged ai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rays 10 and is then sucked back into the suction port 40a. Therefore, convection of air is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3 to perform hot air cooking of the food.

상기 컨백션 히터(44)는, 상기 원심팬(47)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 링 형상의 시즈 히터이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 히터(44)는 상기 원심팬(47)에 의해 토출구(40b)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므로, 상기 조리물의 열풍 가열 성능이 향상된다.The convection heater 44 is a ring-shaped sheath heater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rifugal fan 47. Therefore, since the convection heater 44 heats the air blown to the discharge port 40b by the centrifugal fan 47, the hot air heating performance of the food is improved.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10)는, 일측에 개구부(54)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50)와, 상기 트레이 본체(50)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54)를 차폐하고 상기 개구부(54)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될 수 있도록 유전체(dielectric)로 형성된 차폐부재(52)를 포함한다. 3 and 4, the tray 10 includes a tray main body 50 having an opening 54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tray main body 50 disposed at the tray main body 50 to shield the opening 54 and open the opening. And a shielding member 52 formed of a dielectric so that microwaves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54.

상기 트레이 본체(50)는, 강도와 내구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트레이 본체(50)의 바닥면에는 단수개의 개구부(54)가 형성된다. 상 기 개구부(54)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부(54)의 폭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파장의 1/4보다 작으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tray body 5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xcellent in strength, durability, and formability.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50 is formed with a single opening 54. The opening 54 is formed to a size through which the microwave can pass. That is, if the width of the opening 54 is less than 1/4 of the microwave wavelength, the microwave cannot pass through.

상기 차폐부재(52)는 상기 트레이 본체(50)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유전체 패널(52)이다. 상기 유전체 패널(52)은 강화 유리와 강화 플라스틱 및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hielding member 52 is a dielectric panel 52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50. The dielectric panel 52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of tempered glass, tempered plastic, and ceramic.

상기 트레이 본체(50)는 상기 개구부(54)를 따라 유전체 패널(52)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56)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6)는 상기 트레이(10)의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유전체 패널(52)의 두께만큼 하측으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tray main body 50 has a seating portion 56 on which an edge of the dielectric panel 52 is seated along the opening 54. The seating part 56 is formed in a structure recessed downward by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panel 52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10 is formed flat.

상기 유전체 패널(52)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53)들이 하측으로 하향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53)의 하단부에는 걸림턱(53a)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6)에는 상기 결합돌기(53)가 결합되는 결합홀(5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전체 패널(52)이 상기 안착부(56)에 안착되면, 상기 결합돌기(53)가 결합홀(57)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홀(57)을 관통한 걸림턱(53a)이 걸려 상기 유전체 패널(52)이 트레이 본체(5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53 protrude downward downward at an edge of the dielectric panel 52, and a locking step 53a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53. The seating part 56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57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53 is coupled. Therefore, when the dielectric panel 52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56, the coupling protrusion 5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7, and the locking jaw 53a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57 is formed. The dielectric panel 5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5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1)의 작동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lectric ove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복수개의 트레이(10)에 조리물을 각각 올려놓고, 전기 오븐(1)의 도어(7)를 열어 상기 트레이(10)들을 조리실(3)의 슬라이딩 가이드부(11)에 다단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를 닫아 조리실(3)을 밀폐시키고, 컨트롤 패널(9)을 통해 조리물의 조리 모드를 설정한 다음 상기 전기 오븐(1)을 작동시킨다. First, the food is placed on a plurality of trays 10, and the doors 7 of the electric oven 1 are opened to arrange the trays 10 in the sliding guide 11 of the cooking chamber 3 in multiple stages. . Then, the door is closed to seal the cooking chamber 3, the cooking mode of the food is set through the control panel 9, and the electric oven 1 is operated.

도 5를 참조하면, 히팅 유닛(5)에 의해 조리실(3)의 내부가 가열되고,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에 의해 조리실(3)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M)가 조사되며, 컨백션 유닛(6)에 의해 조리실(3)의 내부에 공기의 대류(C) 현상이 발생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3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5, and the microwave M is irradiated into the cooking chamber 3 by the microwave supply unit 4. The convection C phenomenon of air is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3 by the unit 6.

상기 히팅 유닛(5)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리실(3)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 1 히터(30)가 작동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가 복사열(H1)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조리실(3)의 상측에 배치된 제 2 히터(32)가 작동되어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광파(H2)가 전달된다. 특히, 상기 제 2 히터(32)는 광파(H2) 형태로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히터(30)에 비하여 열손실이 작고 신속하게 가열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히터(30)와 제 2 히터(32)에 의해 상기 트레이(10)들에 올려진 조리물이 조리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5 in detail, the first heater 30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ooking chamber 3 is operat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3 is heated by radiant heat H1. The second heater 32 disposed above the cooking chamber 3 is operated to transmit the light wave H2 into the cooking chamber 3.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heater 32 transmits heat in the form of light wave H2, the second heater 32 has an advantage that the heat loss is small and is rapidly heat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heater 30. As described above, the food placed on the trays 10 is cooked by the first heater 30 and the second heater 32.

상기 컨백션 유닛(6)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컨백션 챔버(40)의 내부에 배치된 컨백션 히터(44)가 작동되어 컨백션 챔버(40)의 내부 공기가 가열되고, 원심팬(47)이 구동되어 컨백션 챔버(40)의 내부 공기가 출입구(3a)를 통해 조리실(3)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출입구(3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조리실(3) 내부의 트레이(10)들을 거친 다음, 흡입구(40a)를 통해 컨백션 챔버(4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실(3)의 내부 공기가 컨백션 유닛(6)에 의해 강제 순환되면, 상기 히팅 유닛(5)의 열량이 공기의 대류(C) 현상으로 인해 다단으로 배치된 트레이(10)들에게 골고루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오븐(1)은 조리물의 균일 가열 성능이 향상되고, 상기 조리물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되어 조리 시간이 단축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ction unit 6 in detail, the convection heater 44 disposed inside the convection chamber 40 is operated to heat the air in the convection chamber 40, and the centrifugal fan. The 47 is driven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of the convection chamber 40 into the cooking chamber 3 through the entrance 3a.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ntrance 3a passes through the trays 10 inside the cooking chamber 3 and is then sucked into the convection chamber 40 through the suction port 40a. When the internal air of the cooking chamber 3 is forcedly circulated by the convection unit 6 as described above, the trays 10 arranged in multiple stages due to the air convection C phenomenon of the heating unit 5 are disposed. It is delivered evenly to Therefore, the electric oven 1 improves the uniform heating performance of the food, and the amount of heat delivered to the food is increased, thereby shortening the cooking time.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그네트론(20)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M)가 생성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M)는 웨이브 가이드(22)를 따라 조리실(3)의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조리실(3)과 웨이브 가이드(22)의 연결 부위에서 조리실(3)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M)가 방사된다.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방사된 마이크로웨이브(M)는, 상기 트레이(10)들에 놓인 조리물에 입사되어 상기 조리물을 심부까지 가열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icrowave supply unit 4 in detail, the microwave (M) is generated by the magnetron 20, the microwave (M) along the wave guide 22 of the cooking chamber (3) Moved to the upper portion, the microwave (M) is 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3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3 and the wave guide 22. The microwaves M radiated into the cooking chamber 3 are incident on the foods placed on the trays 10 and heat the foods to the deep part.

따라서, 상기 전자 오븐()은 히팅 유닛(5)과 컨백션 유닛(6) 및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에 의해 조리물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리하므로, 상기 조리물의 조리 성능이 향상되고, 다양한 조리 모드의 개발이 가능하며, 조리 시간과 에너지 소모가 감소된다.Therefore, the electronic oven () cooks food in different ways by the heating unit 5, the convection unit 6, and the microwave supply unit 4, so that the cooking performance of the food is improved, and Development of cooking modes is possible, and cooking time and energy consumption are reduced.

한편, 상기 조리실(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트레이(10)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유닛(4)의 마이크로웨이브(M)는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10) 중 가장 위쪽에 위치된 제 1 트레이(10a)로 방사된다. 이때, 상기 제 1 트레이(10a)에 입사된 마이크로웨이브(M)는 상기 제 1 트레이(10a)의 유전체 패널(52)을 투과하여 상기 제 1 트레이(10a)의 하측에 위치된 제 2 트레이(10b)로 방사되고, 상기 제 2 트레이(10b)에 입사된 마이크로웨이브(M)는 상기 제 2 트레이(10b)의 유전체 패널(52)을 투과하여 상기 제 2 트레이(10b)의 하측으로 방사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lurality of trays 10 are arranged in the cooking chamber 3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icrowave (M) of the microwave supply unit 4 is the highest of the plurality of trays (10) It is radiated to the first tray 10a located at. At this time, the microwave M incident on the first tray 10a passes through the dielectric panel 52 of the first tray 10a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tray 10 below the first tray 10a. 10B) and the microwave M incident on the second tray 10b passes through the dielectric panel 52 of the second tray 10b and is radiated downwardly to the second tray 10b. .

따라서, 상기 전자 오븐(1)은 조리실(3)에 복수개의 트레이(10)가 다단으로 배치된 경우라도, 상기 마이크로웨이브(M)가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10)들을 투과하여 모든 조리물에 방사되므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조리물의 다단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even when the tray 10 i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 the cooking chamber 3, the microwave oven 1 transmits the microwaves through all the trays 10 to all the food. Therefore, the multi-stage cooking of the food by the microwave is possible.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조리물의 요리가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9)의 표시부(9a)를 통해 요리가 끝났다는 신호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도어(7)를 열어 상기 트레이(10)들을 조리실(3)의 내부에서 하나씩 꺼내게 된다.When cooking of the food is complet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signal indicating that cooking is finished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9a of the control panel 9. At this time, the door 7 is opened to take out the trays 10 one by one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3.

한편, 상기 트레이(10)는, 금속 재질의 트레이 본체(50)에 개구부(54)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개구부(54)에 유전체 패널(52)을 장착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본체(50)에 의해 트레이(10)의 강도와 내구성이 확보되고, 상기 개구부(54)와 유전체 패널(52)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성이 확보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y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54 is formed in the tray body 50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n a dielectric panel 52 is mounted in the opening 54. Accordingly,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ray 10 are ensured by the tray body 50, and permeability of microwaves is secured by the opening 54 and the dielectric panel 5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의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In FIG. 6 and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 오븐이 도 1에 도시된 전기 오븐과 상이한 점은, 다양한 형상과 배열로 개구부(104)들이 형성된 트레이 본체(101)와, 상기 트레이 본체(101)의 개구부(104)들에 끼워져 장착되는 차폐부재(102)를 포함하는 트레이(100)에 상이점이 있다. 6 and 7, the electric oven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lectric oven illustrated in FIG. 1, in which the tray main body 101 having openings 104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arrangements, and the tray main body 101.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ray 100 including the shielding member 102 fitted into the openings 104 of the.

즉, 상기 트레이 본체(101)는, 전기 오븐(1)의 설계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개구부(104)들이 다양한 형상과 배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 본체(101)는 전기 오븐(1)의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개구부(104)들의 형상과 배열을 변경하여 상기 개구부(104)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필드 패턴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 본체(101)의 바닥면에 사각 형상의 개구부(104)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 본체(101)에 복수개의 개구부(104)들이 이격되게 형성되면, 도 3과 같이 단수개의 개구부(104)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101)보다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상기 트레이(100)의 강도와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That is, the tray body 101, the plurality of openings 104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electric oven (1). That is, the tray body 101 may optimize the field pattern of the microwav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04 by chang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openings 104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electric oven 1. Hereinaft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rectangular openings 104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main body 101 so as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plurality of openings 10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y main body 101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tray 100 is structurally more stable than that of the tray main body 101 in which a single opening 104 is formed as shown in FIG. 3. And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차폐부재(102)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104)들에 끼워져 고정되는 유전체 패널(102)이다. 상기 유전체 패널(102)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 본체(101)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로 평활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전체 패널(102)의 하면에는 상기 트레이 본체(101)의 개구부(104)들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0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03)는 상기 개구부(104)와 동일한 크기로 상기 개구부(10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03)의 단부에는 상기 개구부(104)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103a)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member 102 is a dielectric panel 102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lurality of openings 104. The top surface of the dielectric panel 102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101.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03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electric panel 102 to be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openings 104 of the tray body 101. The coupling protrusion 103 protrudes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104 in the same size as the opening 104.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03, a locking step 103a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opening 104.

따라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트레이(100)는, 도 3에 도시된 트레이(10)에 비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트레이 본체(50)의 결합홀(57)이 생략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tray 100 shown in FIGS. 6 and 7 has superior strength and durability compared to the tray 10 shown in FIG. 3, and the coupling hole 57 of the tray main body 50 can be omitted. do.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의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of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8 and 9,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 오븐이 도 1에 도시된 전기 오븐과 상이한 점은, 다양한 형상과 배열로 개구부(204)들이 형성된 트레이 본체(201)와, 상기 트레이 본체(201)에 인서트 몰딩된 차폐부재(202)를 포함하는 트레이(200)에 상이점이 있다. 8 and 9, the electric oven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lectric oven illustrated in FIG. 1, in which the tray main body 201 having openings 204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arrangements, and the tray main body 201.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ray 200 including the shield member 202 insert molded in the).

즉, 상기 트레이 본체(201)는, 상기 트레이 본체(201)의 바닥면에 슬롯(Slot) 형상의 개구부(204)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 본체(201)에 복수개의 개구부(204)들이 이격되게 형성되면, 도 3과 같이 단수개의 개구부(204)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201)보다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상기 트레이(200)의 강도와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That is, the tray main body 20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main body 201 so that a plurality of slot-shaped openings 204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plurality of openings 20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y body 201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tray 200 is structurally more stable than that of the tray body 201 having a single opening 204 as shown in FIG. 3. And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상기 차폐부재(202)는, 상기 트레이 본체(201)에 인서트 몰딩된 유전체 코팅부(202)이다. 상기 유전체 코팅부(202)는 상기 트레이 본체(201) 중 상기 개구부(204)들이 형성된 바닥면에 평활하게 인서트 몰딩된다. 따라서, 상기 유전체 코팅부(202)의 내부에 상기 트레이 본체(201)의 바닥면이 배치되므로, 상기 개구부(204)들은 유전체 코팅부(202)에 의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구조로 차폐되고, 상기 유전체 코팅부(202)는 상면과 하면이 평탄한 구조로 성형된다.The shielding member 202 is a dielectric coating part 202 insert molded into the tray body 201. The dielectric coating 202 is insert molded smooth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201 in which the openings 204 are formed. Therefore,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201 is disposed inside the dielectric coating portion 202, the openings 204 are shielded by a structure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dielectric coating portion 202, the dielectric The coating part 202 is molded into a flat top and bottom surfaces.

따라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트레이(200)는, 도 3에 도시된 트레이(10)에 비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트레이 본체(201)에 차폐부재(202)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돌기(53)나 결합홀(57)은 생략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tray 200 shown in FIGS. 8 and 9 has superior strength and durability compared to the tray 10 shown in FIG. 3, and the shielding member 20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ray body 201. Thus, the coupling protrusion 53 or the coupling hole 57 can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즉, 본 발명은 전기 오븐뿐만 아니라, 전자 레인지나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등과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모든 조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 본체의 개구부에 차폐부재가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electric oven, but also to any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such as a microwave oven or a microwave oven with a hoo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member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opening of the tray body with an adhesive.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는, 조리실의 내부에 복수개의 트레이들이 다단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요리가 가능하고, 트레이의 강도와 내구성 등이 충분히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The cooking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ok by microwave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rays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sufficiently ensuring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ray.

Claims (8)

조리실의 내부에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A tray body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rrang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트레이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될 수 있도록 유전체(dielectric)로 형성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And a shielding member disposed on the tray body, the shielding member formed of a dielectric so as to shield the opening and allow microwaves to pass through the op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트레이 본체는 금속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The tray body is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ontaining a meta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개구부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The opening is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tray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개구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에 대하여 1/4 이상의 폭으로 형 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The opening is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formed in a width of 1/4 or more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the microwav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차폐부재는 강화 유리와 강화 플라스틱 및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The shielding member is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ed glass, tempered plastic and ceramic.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인서트 몰딩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The shielding member is a cooking device using a microwave insert molded in the tray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장착되는 패널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The shield member is a cooking device using a microwave made of a panel mounted to the tray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차폐부재와 트레이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 나에는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Any one of the shield member and the tray body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he other is a cook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formed with a coupl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KR1020060113824A 2006-11-17 2006-11-17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263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24A KR101263873B1 (en) 2006-11-17 2006-11-17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24A KR101263873B1 (en) 2006-11-17 2006-11-17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964A true KR20080044964A (en) 2008-05-22
KR101263873B1 KR101263873B1 (en) 2013-05-20

Family

ID=3966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24A KR101263873B1 (en) 2006-11-17 2006-11-17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873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21B1 (en) * 1992-06-27 1994-09-22 최봉은 Steel containg for a range
KR19990003156U (en)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Multi-stage cooking rack of microwave
KR19990009700U (en) * 1997-08-25 1999-03-15 윤종용 Microwave Cooking Support Member
KR19990030652U (en)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Microwave Cooking Vessel
KR20000014786U (en) * 1998-12-30 2000-07-25 전주범 Microwave focused structure of microwave oven using tray
KR100714053B1 (en) * 2005-06-24 2007-05-04 김종현 Heat generate cooker for microwa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873B1 (en)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721B1 (en)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US6472647B2 (en) Microwave oven with radiant and convectional heating apparatus
KR100335050B1 (en) multiple micro wave oven
US20100282742A1 (en) Cooker
WO2008032903A1 (en) Cooking apparatus
KR20080024024A (en) Cooking apparatus
WO2017033457A1 (en) Heat cooking device
US8729441B2 (en)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KR100395559B1 (en) Microwave oven having a heater
KR101263873B1 (en) Cook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0633173B1 (en) Structure of machine room for Electric oven
US6900424B2 (en) Microwave delivery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CA2450252C (en) Microwave delivery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KR20090017299A (en) Electric oven with convection cover formed with air-guide
KR200353573Y1 (en) A cooling system of door in Electric oven
KR100819593B1 (en) Cooking apparatus
KR101207306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KR20100010394A (en) Micorwave oven
KR20230103499A (en) Microwave oven having hood
KR100680813B1 (en) A Heater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Device
KR20060037664A (en) Microwave oven
KR20050036439A (en) A structure of lower plate of cavity for microwave oven
KR101224269B1 (en) oven
KR100674720B1 (en) A mounting structure of Inner glass for Electric oven door
KR20080043297A (en) Coo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