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816A -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816A
KR20080043816A KR1020087005622A KR20087005622A KR20080043816A KR 20080043816 A KR20080043816 A KR 20080043816A KR 1020087005622 A KR1020087005622 A KR 1020087005622A KR 20087005622 A KR20087005622 A KR 20087005622A KR 20080043816 A KR20080043816 A KR 20080043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shroom
derived
manufactur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엔도
히토시 사카키바라
야스시 핫토리
구미 사사키
이쿠노신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G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 C07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로부터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추출 용매로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를 이용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 그리고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의약.

Description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METHOD OF PRODUCING EXTRACT DERIVED FROM HYPSIZIGUS MARMOREUS}
본 발명은 느티만가닥 버섯 (Lyophyllum Ulmarium)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담자균류로부터의 생리 활성 물질 검색이 활발해져, 여러가지 보고가 이루어져 있다.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생리 활성 성분으로서는, SBS 라는 물질이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및 항발암 프로모터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 SBS 는 쓴맛 성분인 테르펜 화합물 (테르페노이드) 의 일종이며, 느티만가닥 버섯에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의 테르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테르펜 화합물은 많은 식물에 존재하는 유기 화합물로서, 탄소수가 5 의 배수이고, n 개의 이소프렌 혹은 이소펜탄으로 구성되는 전구 물질에서 유래한다. n=2 인 것은 모노테르펜, n=3 은 세스퀴테르펜, n=4 는 디테르펜, n=5 는 세스터테르펜, n=6 은 트리테르펜, n=8 은 테트라테르펜, 그 이상은 폴리테르펜이라 칭해 진다. 테르펜 화합물에는 아포토시스를 유발하는 작용도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트리테르펜의 아포토시스 유발 작용의 보고 등, 다수 존재한다.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테르펜 화합물은 물에 난용성인 것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그 테르펜 화합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로부터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나, 열처리한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를 70% 에탄올로 추출하는 방법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04795호
비특허 문헌 1 : Sawabe A. 외 3 명,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1996년, Vol.31, P921-925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느티만가닥 버섯으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추출하는 경우, 대량의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에탄올이나 아세트산에틸은 위험물로서 취급되는 것으로서, 공업화에 있어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그 취급이나 보관, 관리, 사용 등에는 충분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그것들의 보관, 관리를 위한 설비도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이 다 함께,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원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어 있어, 공업화시에 큰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얻어진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식품에 사용하는 경우, 유기 용제의 추출물 중에 잔류하여 식품의 풍미를 해친다는 문제나, 유기 용제가 독성 물질인 경우에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비록 이들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잔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하였다 하더라도, 완전히 잔류 유기 용제를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유기 용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느티만가닥 버섯으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테르펜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저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느티만가닥 버섯을 알칼리성의 추출 용매로 처리함으로써,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을 개설하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로부터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추출 용매로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를 이용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얻어진 추출물을 산에 의해 중화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또한,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추가로 유화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 1 발명에 사용되는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로서는 탄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이 예시된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로서는 40 ∼ 120℃ 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추출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제 2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추출물로서는, 테르펜 화합물을 건고물 환산으로 0.4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를 알칼리성의 추출 용매로 처리하여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얻는 공정, 및
(b) 공정 (a) 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정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5 발명에 사용되는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로서는 탄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이 예시된다.
제 5 발명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에 의한 처리로서는 40 ∼ 120℃ 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처리가 예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그 제조 방법은, 제조에 유기 용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식품에 적합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제조 방법에 비해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그 제조 방법에 의해,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식품에 적합한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그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의약이 제공된다. 또한, 저렴한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느티만가닥 버섯은 자연계에 있어서는 가을에 여러 가지 활엽수의 고목에 총생(叢生) 혹은 이생(離生)하고 있고, 다른 버섯과 비교하여 형태가 좋고, 씹히는 맛이 좋은 육질이기 때문에, 맛좋은 버섯으로서 섭취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톱밥에 쌀겨나 그 밖의 영양원을 배합한 배양기를 이용하여, 병 또는 상자에서 재배하는 균상(菌床) 인공 재배법이 확립되어, 계절에 관계없이 1 년 내내 안정적으로 버섯을 수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의 원료가 되는 느티만가닥 버섯은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어, 의약이나 건강 식품 원료로서도 적합하다.
원료로서 사용되는 느티만가닥 버섯은 천연의 것이어도 되고 인공 재배품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Lyophyllum ulmarium M-8171 (FERM BP-1415, 기탁일: 1986년 8월 23일), 또는 Lyophyllum ulmarium K-0259 (FERM P-12981, 기탁일: 1992년 6월 2일) 가 예시된다 (이들 균주는 모두,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특허 생물 기탁 센터 ((우)305-8566 일본 이바라키현 츠쿠바시 히가시 1 쵸메 1 번지 1 중앙 제 6) 에 기탁되어 있다). 또한, 이들 균주는, 상품명 「야마비코혼시메지 (등록 상표)」 혹은 「Super 야마비코시메지 (등록 상표)」 로서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느티만가닥 버섯으로서 인공 재배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 중의 테르펜 화합물의 함유량을 향상시킨다는 물질, 예를 들어 콩껍질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재배된 느티만가닥 버섯의 자실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자실체는 포기인 상태나 분쇄한 것 모두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날것이어도 되고 가열 건조, 천일 건조, 동결 건조 등에 의해 건조된 자실체 건조물이라도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료로서 느티만가닥 버섯의 균사체나 그 동결 건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자실체 또는 균사체를 열수에 의해 세정한 것도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추출 용매로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에 난용성인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테르펜 화합물로서는 전술한 비특허 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폴리테르펜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추출 용매로서는,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무기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바륨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염;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탄산수소염; 탄산암모늄; 암모니아 등) 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수용액, 유기 염기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유기산염; 포름산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유기산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피페리딘 등의 아민류; 피리딘 등의 함질소 복소환 화합물 등) 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수용액, 및 음이온 교환 수지를 함유하는 알칼리성의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탄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중화시킨 경우에 추출물 유래의 침전물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중화 후의 추출액이 발포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 중의 무기 염기, 유기 염기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추출 용매의 pH 가 후술하는 범위내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용매의 pH 는 알칼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8 ∼ 12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12 이다.
추출 용매에 의한 처리 온도는 테르펜 화합물을 원하는 양 추출할 수 있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4 ∼ 120℃ 에서 처리할 수 있는데, 단시간에 보다 많은 테르펜 화합물을 추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온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처리 온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40 ∼ 12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1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105℃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 100℃ 이다.
추출 용매에 의한 처리 시간은 처리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4 ∼ 60℃ 의 처리 온도인 경우에는 16 ∼ 24 시간, 90 ∼ 105℃ 의 처리 온도인 경우에는 0.5 ∼ 5 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산에 의해 중화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다. 중화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추출물을 식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되는 산이 바람직하다.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숙신산, 아세트산 및 타르타르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시트르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추가로 적당한 유화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제에 의한 안정화로 인해, 물에 난용성인 테르펜 화합물의 침전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계 기구, 부재료에 대한 흡착도 억제할 수 있다. 유화제의 첨가 시기는,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에 의한 추출 전, 추출 후, 또는 추출 중의 어느 타이밍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4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추출 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화제의 첨가 후에 상기의 중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로일락트산칼슘, 대두 유래 레시틴, 난황 유래 레시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추가로 추출 잔사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 추출 잔사를 제거하는 공정으로서는, 원심 분리, 여과, 한외 여과가 예시되는데,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여과법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과시에는 여과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고, 여과 보조제로서는 Celite #545 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이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조작을 실시하는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그 물질에 추가로 여과, 원심 분리, 농축, 한외 여과, 분자 체침, 중화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물질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물질을 공지된 방법으로 분획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획이나, 분획 조작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상기의 분획 수단으로서는, 추출, 분별 침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가루형, 고형상, 액상 중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가루형으로 하는 경우,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원료로부터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추가로 덱스트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유당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건조, 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당해 추출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조립 (造粒) 하여 얻은 입상의 고형물을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조립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전동 조립, 교반 조립, 유동층 조립, 기류 조립, 압출 조립, 압축 성형 조립, 해쇄 조립, 분사 조립 또는 분무 조립 등이 예시된다. 또한, 액상의 추출물로서는, 상기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액체 자체, 그 농축물이나 희석물 외에, 상기의 가루형의 추출물을 액체, 예를 들어 물이나 알코올 등에 용해시켜 액상으로 한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은,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생리 활성 성분인 SBS 등의 테르펜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예를 들어, 건고물 환산으로 0.4 중량% 이상의 테르펜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고물 환산으로 0.4 중량% ∼ 1.0 중량% 의 테르펜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이다. 건고물 환산에서의 중량% 란, 액체를 이바포레이터 등으로 건조시켰을 경우에 얻어지는 건조물 전체의 중량에 차지하는, 목적으로 하는 성분의 중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상기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SBS 등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테르펜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항발암 프로모터 작용, 및 항암 작용을 갖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당해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항발암 프로모터 작용, 또는 항암 작용에 의한 원하는 효과의 발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라는 취지를 표시한 건강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배합, 조리, 가공 등은 일반 식품의 것에 따르면 되고, 그들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얻어진 식품에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 그 자체를 식품으로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에 있어서 「함유」 란,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함유」 란 식품 중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물이 함유된다는 양태를, 「첨가」 란 식품의 원료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물을 첨가한다는 양태를, 「희석」 이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물에 식품의 원료를 첨가한다는 양태를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곡물 가공품 (예, 소맥분 가공품, 전분류 가공품, 프리믹스 가공품, 면류, 마카로니류, 빵류, 팥고물류, 메밀류, 밀기울, 비픈(쌀국수), 당면, 포장떡 등), 유지 가공품 (예, 가소성 유지, 튀김유, 샐러드유, 마요네즈류, 드레싱 등), 대두 가공품 (예, 두부류, 된장, 낫토 등), 식육 가공품 (예, 햄, 베이컨, 프레스햄, 소시지 등), 수산 제품 (예, 냉동 으깬 어육, 카마보코(어묵), 치쿠와(관 모양의 어묵), 한펜(생선을 반달형으로 쪄서 굳힌 식품), 사츠마아게(어육 야채 튀김), 츠미래(등푸른 생선으로 만든 완자), 힘줄, 어육 햄, 소세지, 가다랑어포, 생선알 가공품, 수산 통조림, 생선 조림 등), 유제품 (예, 원료유, 크림, 요구르트, 버터, 치즈, 연유, 분유, 아이스크림 등), 야채·과실 가공품 (예, 페이스트류, 잼류, 절임류, 과실 음료, 야채 음료, 믹스 음료 등), 과자류 (예, 초콜릿, 비스켓류, 과자빵류, 케이크, 병과자, 쌀과자류 등), 알코올류 (예, 일본술, 중국술, 와인, 위스키, 소주, 보드카, 브랜디, 진, 럼주, 맥주, 청량 알코올 음료, 과실주, 리큐어 등), 기호 음료 (예, 녹차, 홍차, 우롱차, 커피, 건강 음료, 청량 음료, 유산 음료 등), 조미료 (예, 간장, 소스, 식초, 미림 등), 통조림·병조림·봉지 식품, 반건조 또는 농축 식품 (예, 간 페이스트, 기타 스프레드, 메밀 국수·우동의 스프, 농축 스프류 등), 건조 식품 (예, 즉석 면류, 즉석 카레, 인스턴트 커피, 분말 주스, 분말 스프, 즉석 된장국, 조리된 식품, 조리된 음료, 조리된 스프 등), 냉동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상기 추출물이 함유되는 것이면 특별히 그 형상에 한정은 없고, 타블렛형, 과립형, 캡슐형 등의 형상의 경구적으로 섭취 가능한 형상물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 글리세린 등을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농축된 건강 식품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 관능과 활성 발현의 관점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식품 중에 있어서의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으로, 0.1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9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쓴맛을 억제하고 맛을 순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화제를 첨가하여 얻어진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으로서는, 테르펜 화합물의 체내로의 흡수가 좋다는 점에서, 실시예 4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음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은 상기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의약으로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추출물을 공지된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통상, 상기 추출물을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함으로써 제조되고, 소망에 의해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나 통상 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액상으로 할 수 있는 건조품이나, 기타, 외용제로 할 수도 있다.
의약용 담체는,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고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분, 유당, 백당, 만니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무기염 등이 담체로서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의 제조에 있어서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 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 (矯味劑),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환제로 하는 경우에는, 소망에 의해 자당, 젤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당의 또는 위용성 혹은 장용성 물질의 필름으로 피복해도 된다. 액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제수, 에탄올 등이 담체로서 이용된다. 또한, 추가로 소망에 의해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경구 투여에 의해서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는 점에서, 그 투여의 간편성의 관점에서 경구 투여용의 의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한편, 비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상법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을 희석제로서의 주사용 증류수, 생리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주사용 식물유, 참기름,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용해 내지 현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살균제, 안정제, 등장화제, 무통화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용 전에 무균수 또는 무균의 주사용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외용제로서는, 경피 투여용 또는 경점막 (구강내, 비강내) 투여용의, 고체, 반고체상 또는 액상의 제제가 포함된다. 또한, 좌제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유제, 로션제 등의 유탁제, 외용 팅크제, 경점막 투여용 액제 등의 액상 제제, 유성 연고, 친수성 연고 등의 연고제, 필름제, 테이프제, 퍼프제 등의 경피 투여용 또는 경점막 투여용의 첩부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각종 제제는, 각각 공지된 의약용 담체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제에 있어서의 추출물의 함유량은 그 투여 형태, 투여 방법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투여량 범위에서 당해 추출물을 투여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 중의 상기 추출물의 함유량으로서는, 건조 중량으로 0.1 ∼ 100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당해 의약의 투여 대상인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며,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상기 추출물량을 건조 중량으로 나타냈을 경우의 투여량으로, 예를 들어 성인 1 일 당 1㎍ ∼ 100㎎/㎏ 체중, 바람직하게는 5㎍ ∼ 50㎎/㎏ 체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mg/kg 체중이다. 물론 투여량은, 여러 가지의 조건에 의해 변동하므로,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혹은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투여는, 원하는 투여량 범위내에 있어서, 1 일내에 있어서 1 회, 또는 몇차례로 나누어 행해도 된다. 투여 기간도 임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은 그대로 경구 투여하는 것 외에, 임의의 음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a)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를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로 처리하여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얻는 공정, 및 (b) 공정 (a) 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정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당해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공정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로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이 예시된다. 또한, 당해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로서는 탄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추출 용매에 의한 처리 온도는 테르펜 화합물을 원하는 양 추출할 수 있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4 ∼ 120℃ 에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본 발명의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추출물을 추출하는 공정에 있어서 유기 용매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테르펜 화합물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의 테르펜 화합물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04795호에 기재된 물질 SBS 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물질은 사와베 외의 문헌 (Sawabe A. 외 3 명,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1996년, Vol.31, P921-925) 에 기재되어 있는, hypsiziprenol A9 와 동일 물질이다. 또한, SBS 이외의 본 발명의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테르펜 화합물로서는, 상기 사와베 외의 문헌에 기재된 hypsiziprenol A8, A10, A11, A12, A13, A14, B8, B9, B10, B12, C9 등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테르펜 화합물이 예시된다.
느티만가닥 버섯을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정제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추출, 분별 침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들 방법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서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예시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표준 물질의 제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04795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추출,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한 정제, 및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 조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분획 중, 분획 G, 및 SBS 를 함유하는 분획을 HPLC/MS 법을 이용하여 해석하고, 이들 2 개 분획의 정제물이, 각각 상이한 구조를 갖는 테르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획 G 는 사와베 외의 문헌 (Sawabe A. 외 3 명,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1996년, Vol.31, P921-925) 에 기재되어 있는, hypsiziprenol A8 과 동일 물질이었다. 또한, SBS 는 상기 사와베 외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hypsiziprenol A9 와 동일 물질이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분획 G, 및 SBS 의 정제물을, 각각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테르펜 화합물의 표준 물질 hypsiziprenol A8, 및 SBS 로 하였다.
실시예 1 알칼리성 용매에 의한 추출 1
느티만가닥 버섯 (Lyophyllum ulmarium M-8171) 의 자실체를 Constant Temperature Oven (Yamato 사 제조) 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건조물을 쿠킹 밀 (NATIONAL 사 제조) 에 의해 분쇄하여, 느티만가닥 버섯 건조 분쇄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그 느티만가닥 버섯 건조 분쇄물 5g 에 1% Na2CO3 수용액 (pH 11.93) 0.1ℓ 를 첨가하고 95℃ 에서 3 시간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후, 10,000r/min, 10 분의 원심 분리 조작 (원심 분리 장치 (TOMY 사 제조) 으로 불용물을 제거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μBondapak C18 φ0.39×300㎜ (Waters 사 제조), 용매=메탄올:에탄올:물=3:4:4 (용량비), 유속=0.7㎖/min, 칼럼 오븐 온도=40℃, 검출 파장=210㎚) 를 실시하여, 그 추출물에 함유되는 테르펜 화합물량을 정량하였다. 정량에는, 전술한 제조예에서 제조한 2 종류의 테르펜 화합물을 표준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 패턴을 도 1A 에 나타낸다. 도 1A 의 종축은 흡광도 (210㎚) 를, 횡축은 용출 시간 (분) 을 나타낸다.
비교예 1 증류수에 의한 추출
1% Na2CO3 수용액 대신 증류수 (pH 6.78) 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 중의 테르펜 화합물량을 정량하였다.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 패턴을 도 1B 에 나타낸다. 도 1B 의 종축은 흡광도 (210㎚), 횡축은 용출 시간 (분) 을 나타낸다.
비교예 2 KCl 수용액에 의한 추출
1% Na2CO3 수용액 대신 0.15M KCl 수용액 (pH 6.54) 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 중의 테르펜 화합물량을 정량하였다.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 패턴을 도 1C 에 나타낸다. 도 1C 의 종축은 흡광도 (210㎚), 횡축은 용출 시간 (분) 을 나타낸다.
비교예 3 산성 용매에 의한 추출
1% Na2CO3 수용액 대신 1% 시트르산 수용액 (pH 2.46) 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 중의 테르펜 화합물량을 정량하였다.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 패턴을 도 1D 에 나타낸다. 도 1D 의 종축은 흡광도 (210㎚), 횡축은 용출 시간 (분) 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3 의 테르펜 화합물량의 정량 결과를 함께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6741720-PCT00001
표 1 과 같이, 증류수, 0.15M KCl, 1% 시트르산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서 사용한 경우의 추출물 (비교예 1 ∼ 3) 은, 테르펜 화합물 함유량이 정량 한계 이하인 것에 반해, 실시예 1 의 1% Na2CO3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서 사용한 경우의 추출물은 142㎍/㎖ 의 테르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었다.
실시예 2 여러 가지의 알칼리성 용매에 의한 추출과 추출물의 중화
실시예 2-1 Na2CO3 수용액에 의한 추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 중의 SBS 량을 정량하였다. 계속해서, 그 추출물을 식품 또는 음료에 사용하기 위해, 시트르산 분말을 첨가하여 그 추출물을 중화시켰다. 그 중화 후의 추출물에 대하여, 디지털 당도계 Palette (ATAGO 사 제조) 를 이용하여 당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색조, 발포의 유무 및 침전의 유무에 대해서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색조에 대해서는 육안에 의한 확인 외에, 분광 광도계 UV-160A (시마즈 제작소(주) 제조) 에 의한 측정도 행하였다.
실시예 2-2 NaOH 수용액에 의한 추출
0.1N NaOH 수용액 (pH 11.52) 을 1% Na2CO3 수용액 대신 사용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SBS 함유량 측정, 중화, 및 당도 측정을 실시하고, 색조, 발포, 침전에 대해서도 관찰하였다.
실시예 2-3 음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추출
5% 이온 교환 수지 다이아이온 SA10AOH (닛폰 렌스이사 제조) 현탁수 (pH 10.54) 를 1% Na2CO3 수용액 대신 사용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SBS 함유량 측정, 중화, 및 당도 측정을 실시하고, 색조, 발포, 침전에 대해서도 관찰하였다. 실시예 2-1 ∼ 실시예 2-3 의 결과를 함께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6741720-PCT00002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알칼리성 추출 용매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SBS 를 많이 함유하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추출에 음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른 알칼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추출물의 당 함유량이 적어, 순도가 비교적 높은 SBS 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추출에 음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추출물을 중화시킨 후에 발포나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것은, 추출물의 농축 등, 그 후의 취급이 용이하다는 점에 있어서 유리하다.
실시예 3 냉 알칼리에 의한 추출
5% 이온 교환 수지 다이아이온 SA10AOH (닛폰 렌스이사 제조) 현탁수를 이용하여 저온 조건하 (5℃, 24 시간) 에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5℃, 24 시간 처리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2-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SBS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6741720-PCT00003
그 결과, 5℃, 24 시간의 추출 조건에서도 SBS 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추출물이 얻어지는 것이 명백해졌지만, 그 SBS 함유량은 95℃, 3 시간 처리한 경우에 비해 적은 것이었다.
실시예 4 테르펜 화합물 함유 음료의 제조
느티만가닥 버섯의 자실체를 항온 오븐 (Constant Temperature Oven) (Yamato 사 제조) 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건조물을 쿠킹 밀 (NATIONAL 사 제조) 에 의해 분쇄하였다. 증류수 1 리터에 느티만가닥 버섯 분쇄물 50g 및 열수 세정된 이온 교환 수지 다이아이온 SA10AOH (닛폰 렌스이사 제조) 50g 을 혼합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설정 온도 95℃ 에서 1 시간마다 교반을 계속하고 3 시간 보온하였다. 이어서 냉각시켜, 냉각물 1.1 리터를 얻었다. 이어서 50 메시 체 (눈금 300㎛) 를 이용하여 냉각물로부터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하여, 약 1 리터의 상청액을 제조하였다. 상청액에 대두 유래 레시틴을 2g 첨가하고, 30 분 실온에서 교반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pH 를 10.25 에서 6.85 로 조정하였다. 그 pH 조정액으로부터 추출 잔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pH 조정액 1 리터에 60 그램의 여과 보조제 Celite #545 를 첨가한 후, 여과 보조제 Celite #545 를 3 그램으로 프리코팅한 누체 (Nutsche) 로 흡인 여과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여과액 850 밀리리터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테르펜 화합물 함유 음료로 하였다. 그 음료는, 실시예 1 ∼ 3 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쓴맛의 느낌이 경감되어, 마시기 좋은 음료였다.
실시예 5 알칼리성 용매에 의한 추출 2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느티만가닥 버섯 건조 분쇄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그 느티만가닥 버섯 건조 분쇄물 500g 에 증류수 10ℓ 를 첨가하여 열수 세정을 95℃ 에서 1 시간 행하였다. 열세정 후, 4,500r/min, 30 분의 원심 분리 조작 (원심 분리 장치 (HITACHI 사 제조)) 에 의해 상청을 제거하여,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열수 세정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열수 세정물에 증류수 10ℓ 및 열수 세정된 이온 교환 수지 다이아이온 SA10AOH (닛폰 렌스이사 제조) 500g 을 첨가하고 95℃ 에서 3 시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열처리 후, 50 메시 체 (눈금 300㎛) 를 이용하여 냉각물로부터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하여, 약 10 리터의 상청액을 제조하였다. 상청액에 대두 유래 레시틴을 20g 첨가하고, 30 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pH 를 9.75 에서 6.44 로 조정하였다. 이 pH 조정액을 4,500r/min, 20 분의 원심 분리 조작 (원심 분리 장치 (HITACHI 사 제조)) 으로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pH 조정액의 상청 10 리터에 100 그램의 여과 보조제 Silika #600S 를 첨가한 후, 여과 보조제 Silika #600S 를 100 그램으로 프리코팅한 누체로 흡인 여과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여과액 9500 밀리리터를 로터리 이바포레이터로 농축·동결 건조시킨 것을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로 하였다.
실시예 6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종양 증식 억제 활성
CDF1 마우스 (닛폰 SLC 사) 는, 6 주령의 암컷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IMC carcinoma (이하 IMC) 종양 세포는, CDF1 마우스의 복강에 이식하여 복수를 만들어, 7 일마다 다른 마우스에 이식하여 계대하였다. 계대하고 7 일째의 복수를 채취하고, PHOSPHATE BUFFERED SALTS (다카라 바이오사) 완충액으로 원심 세정 후, 동일 완충액에 현탁하여 세포수 카운트 후, 5×107개/㎖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 0.1㎖ 를 CDF1 마우스의 우측 복부 피하에 이식하고, 7 일 후의 고형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종양 크기의 평균이 각 군에서 균등해지도록, 1 군 10 마리가 되도록 마우스를 군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5 의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중량비로 1.4% 가 되도록, 통상의 분말 사료 CE-2 에 대하여 혼합하여 마우스에게 주었다. 또한, 비교 대조로서 아가리쿠스 유래 추출물 (센세이로 엑스 골드 (산도리사 제조)) 을 중량비로 2.4% 가 되도록, 분말 CE-2 사료에 대하여 혼합하고, 이것을 건조시켜 마우스에게 주었다. 투여량은 표 4 와 같다. 컨트롤군에는 CE-2 만을 주었다. 종양의 크기는, IMC 세포 이식 후 4 주째에 측정하였다. 또한, 종양의 크기는 장경과 단경을 측정하고, 이하의 계산식에 따라 체적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2 회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종양 체적 (㎣) = (장경)×(단경)2/2
또한, 종양 억제 활성은, 이하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종양 억제 활성(%)=(컨트롤군의 종양 체적 - 추출물 투여군의 종양 체적)/컨트롤군의 종양 체적×100
Figure 112008016741720-PCT00004
그 결과, 비교 대조의 아가리쿠스 유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IMC 고형 종양 증식의 억제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어느 실험에 있어서도 IMC 고형 종양 증식의 억제를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테르펜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식품, 의약에 적합한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테르펜 화합물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이나 의약 분야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도 1 은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A, B, C 및 D 는 각각 알칼리성 용매에 의한 추출, 증류수에 의한 추출, KCl 수용액에 의한 추출 및 산성 용매에 의한 추출의 결과를 나타낸다.

Claims (12)

  1. 느티만가닥 버섯 (Lyophyllum Ulmarium) 자실체 또는 균사체로부터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추출 용매로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를 이용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얻어진 추출물을 산에 의해 중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화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가 탄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인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이 40 ∼ 120℃ 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테르펜 화합물을 건고물 환산으로 0.4 중량% 이상 함유하는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10. 하기 (a) 및 (b) 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테르펜 화합물의 제조 방법.
    (a) 느티만가닥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를 알칼리성의 추출 용매로 처리하여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을 얻는 공정;
    (b) 공정 (a) 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테르펜 화합물을 정제하는 공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가 탄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 현탁액인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수성 용매에 의한 처리가 40 ∼ 120℃ 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제조 방법.
KR1020087005622A 2005-08-09 2006-08-02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80043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0641 2005-08-09
JPJP-P-2005-00230641 2005-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816A true KR20080043816A (ko) 2008-05-19

Family

ID=3772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622A KR20080043816A (ko) 2005-08-09 2006-08-02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50955A1 (ko)
JP (1) JP5084505B2 (ko)
KR (1) KR20080043816A (ko)
CN (1) CN101384608A (ko)
WO (1) WO2007018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8755B1 (en) * 2007-12-18 2019-02-20 Amin Karmali Process for simultaneous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fine chemicals from spent mushroom compost, mushroom stems and partially degraded mushroom fruiting bodies
JP5356936B2 (ja) * 2008-12-11 2013-12-04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テルペン含有組成物
KR20110109959A (ko) * 2010-03-31 2011-10-06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CN102668889B (zh) * 2012-06-07 2013-11-13 山东荣丰食用菌有限公司 一种真姬菇杂交选育方法
JP2020069470A (ja) * 2018-10-29 2020-05-07 株式会社げんてん本店 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及び、リポソーム含有液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0963B2 (ja) * 1990-08-21 1999-02-24 寳酒造株式会社 新規物質sbs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561C (zh) * 1996-11-08 2003-02-05 宝酒造株式会社 编程性细胞死亡诱导剂
US20040175396A1 (en) * 2001-07-16 2004-09-09 Hiromu Ohnogi Remedies
EP1754473A4 (en) * 2004-05-31 2010-03-03 Takara Bio Inc ANTITUMOR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0955A1 (en) 2010-06-17
WO2007018095A1 (ja) 2007-02-15
JP5084505B2 (ja) 2012-11-28
JPWO2007018095A1 (ja) 2009-02-19
CN101384608A (zh)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559B1 (ko) 활성산소 소거능 저감 억제제
KR20080043816A (ko)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2007008899A (ja) 血管新生抑制剤
JP6044944B2 (ja) 新規梅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機能性組成物、食品組成物、医薬組成物
KR20180099052A (ko) 이노토디올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19490B1 (ko)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엑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JP2007099671A (ja) 抗酸化組成物
KR101691256B1 (ko) 흰손등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94649B1 (ko) 직립싸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118174A (ko) 항산화 작용을 갖는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98075B1 (ko)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6516B1 (ko) 락타리우스 볼레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062017A (ko) 큰실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6108242A (ja) 血中パラメータ改善剤
KR20150122547A (ko) 고구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69254B1 (ko) 넓은솔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20007B1 (ko) 큰실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34200B1 (ko) 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06431B1 (ko) 락타리우스 볼레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73221B1 (ko) 흰무당버섯아재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51105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9.2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101626191B1 (ko) 황소비단그물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