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915A -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915A
KR20080018915A KR1020077030564A KR20077030564A KR20080018915A KR 20080018915 A KR20080018915 A KR 20080018915A KR 1020077030564 A KR1020077030564 A KR 1020077030564A KR 20077030564 A KR20077030564 A KR 20077030564A KR 20080018915 A KR20080018915 A KR 2008001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vessel
holder
culture
convey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우오즈미
야스지로 기요타
노부히코 마이야
히로후미 시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08001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2Mobile; Means for transpor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0Means for positioning or orienta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이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를 구비한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를 유지하는 배양용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최적인 속도로 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양용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까지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찰 스테이지의 소정의 위치에 홀더를 용이, 확실히 위치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를 상기 속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반송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용 홀더{TRANSFER DEVICE FOR CULTURE VESSEL, CULTURE DEVICE, AND HOLDER FOR CULTURE VESSEL}
본 발명은,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이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를 구비한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를 유지하는 배양용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정의 분위기에 유지되는 챔버 내에, 다수의 선반을 구비한 스태커를 배치하여, 각 선반에 수용되는 배양용기내의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양장치에서는, 각 선반에의 배양용기의 반입 및 반출이 챔버내에 배치되는 반송장치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선반에 배양용기를 반입할 때에는, 챔버에 형성되는 반출입구에 놓여진 배양용기가 반송장치에 의해 소정의 선반까지 반송된다. 또한, 배양용기를 반출할 때에는, 소정의 선반의 배양용기가 반송장치에 의해 반출입구까지 반송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180675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44126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송장치는, 배양용기의 하나인 웰 플레이트를 반출입구까지 신속히 옮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예를 들면, 웰 플레이트 이외의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배양용기내의 배양액의 흔들림에 의해 세포에 다대(多大)한 부하가 작용하여, 배양용기내의 세포가 바닥면으로부터 벗겨져 사멸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배양용기내의 세포가 사멸할 우려는, 배양용기에서 배양되는 세포의 종류 혹은 상태에 따라서도 크게 변화한다. 또한, 배양용기내의 배양액의 흔들림에 의해 배양액이 누설하여 배양장치내를 오염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최적인 속도로 반송할 수 있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및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양용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까지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할 수 있는 배양용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찰 스테이지의 소정의 위치에 홀더를 용이,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배양용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를 상기 속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반송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제 1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는, 웰 플레이트, 플라스크 또는 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양용기 내에서 배양되는 상기 세포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상기 세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를 상기 속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반송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제 3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포의 정보는, 상기 세포의 종류 또는 세포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제 1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설정수단은, 상기 배양용기의 과거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는, 제 3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설정수단은, 상기 배양용기의 과거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의 배양장치는, 제 1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의 배양장치는, 제 3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배양기 내에 수용되는 배양용기가 얹어놓여져서, 상기 배양기 내에 상기 배양용기와 함께 운반되는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가 얹어 놓여지는 얹어놓음면이 형성된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설치되어,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상기 배양용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배양용기에 대응한 배양용기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 유지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3점 지지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 유지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템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1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템플레이트에는, 상기 배양용기의 위치 결정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배양기내에 수용되는 배양용기가 얹어놓여져, 상기 배양기내에 상기 배양용기와 함께 운반되는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가 얹어 놓여지는 얹어놓음면이 형성된 홀더 본체와, 상기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의 높이를 조정함과 함께 수평으로 유지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얹어놓음면의 뒤쪽의 면에 설치된 높이조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3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상기 홀더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용 홀더는, 각각 다른 상기 높이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3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상기 홀더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6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3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용 홀더의 각각의 상기 홀더 본체의 얹어놓음면은, 각각 다른 종류의 상기 배양용기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각각의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각각의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놓여진 상기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이 동일 높이로 조정되는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7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용 홀더의 각각의 상기 홀더 본체는, 외형 형상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각각의 홀더 본체에, 상기 관찰 스테이지상에서 상기 홀더 본체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동일한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8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7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찰 스테이지의 위치결정 핀에 끼워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7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에,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의 바닥면의 두께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는 투명의 두께 조절용 시트를 얹어놓고, 상기 두께 조절용 시트상에 상기 배양용기를 얹어놓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0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1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용 시트는,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1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는, 제 9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에서는, 배양용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를 최적인 속도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세포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를 최적인 속도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에 의해 배양용기를 반송하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를 최적인 속도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에서는, 높이조정부재에 의해,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의 높이 위치 및 수평을 유지하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까지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송수단에 유지되어 반송되는 홀더 본체에, 관찰 스테이지상에서, 홀더 본체의 위치결정을 실시하는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했으므로, 관찰 스테이지의 소정의 위치에 홀더를 용이,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배양용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더 본체의 외형 형상을 동일한 형상으로 했으므로, 배양용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반송수단에 의해 용이, 확실히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양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양장치에 수용되는 배양용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양장치의 배양용기의 반입시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양장치의 배양용기의 반출시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실시형태가 사용되는 배양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홀더에 유지되는 배양용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홀더의 상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홀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5의 홀더의 관찰 스테이지에의 위치결정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5의 홀더의 다른 예의 상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홀더의 관찰 스테이지에의 위치결정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홀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홀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홀더에 유지되는 웰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홀더에 유지되는 플라스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홀더에 유지되는 디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홀더에 크기가 다른 디쉬를 유지했을 때의 다리부의 길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홀더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를 관찰장치로 관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홀더 본체에 배치되는 다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홀더 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배양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양장치는, 항온 및, 항습의 분위기에 유지되는 챔버(11)를 갖고 있다.
챔버(11)내에는, 스태커(13), 반송장치(15) 및 관찰장치(17)이 배치되어 있다.
스태커(13)는, 기대(19)상에 배치되어, 선반(13a)에 의해 상하방향에 칸막이되어 있다. 선반(13a)의 상면에는, 홀더(21)가 얹어놓여져 있다. 각 홀더(21)에는,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23)가 유지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양용기(23)은, 도 2의(a),(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웰 플레이트(23A), 플라스크 (23B), 디쉬(23C)의 3종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배양용기(23)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한 홀더(21)에 유지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유지되어 있다.
반송장치(15)는, 기대(19)상에 배치되는 프레임(25)을 갖고 있다. 프레임 (25)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에 나사축(27)이 배치되어 있다. 나사축(27)에는 이동부재(29)가 나사식 맞춤되어 있고, 제 1 모터(31)에 의해 나사축(27)을 회전하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부재(29)의 아래쪽에는, 이동부재 (29)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반송아암(3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반송아암(33)은 제 2 모터(35)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찰장치(17)는, 기대(37)상에 배치되는 현미경(39)을 갖고 있다. 이 현미경(39)은, 비교적 배율이 낮은 간이형의 현미경으로 되어 있다. 기대(37)상에는, 반송아암(33)에 의해 반송된 홀더(21)를 얹어놓는 시료대(4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료대(41)는 수평방향(X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시료대 (41)에 배양용기(23)를 홀더(21)와 함께 얹어놓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내의 세포가 관찰된다.
챔버(11)의 측면의 현미경(39)의 위쪽이 되는 위치에는, 반출입구(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출입구(43)의 안쪽측에는, 제 3 모터(45)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47)가 배치되어 있다. 반출입구(43)의 안쪽에는, 홀더(21)를 얹어놓는 얹어놓음부(4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얹어놓음부(49)에는, 홀더(21)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51)는 얹어놓음부(49)에 홀더(21)가 얹어놓여지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챔버(11)의 측면의 바깥쪽에는, 반출입구(43)로부터 반입되는 배양용기(23)의 종류, 및, 배양용기(23)에서 배양되는 세포의 종류, 상태 등을 입력하는 정보입력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보입력부(53)는, 액정표시부(55) 및 터치센서(미도시)를 갖고 있다. 또한, 정보입력부(53)의 아래쪽에는, 반송아암(33)의 반송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57)는, 제 1 및 제 2 모터 (31,35)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반송아암(33)의 반송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 3 모터(45)를 구동하여 도어(47)의 개폐를 실시한다.
도 3은, 이 실시형태의 배양장치에 있어서의 배양용기(23)의 반입시의 제어부(57)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스텝 S1에서는, 반출입구(43)의 얹어놓음부(49)에 홀더(21)가 얹어놓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센서(51)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유무에 의해 행하여져, 센서(51)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얹어놓음부(49)에 홀 더(21)가 얹어놓여져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스텝 S2에서는, 유저에게 배양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 입력의 요구는 정보입력부(53)의 액정표시부(55)에 입력사항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실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1) 배양용기(23)의 종류, (2) 배양세포의 종류, (3) 배양의 상태, (4) 과거의 이력의 유무, (5) 보관해야 할 선반(13a)을 표시한다. 이 표시에 대응하여 유저는 액정표시부(55)의 터치센서(미도시)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입력을 실시한다.
여기서 (1) 배양용기(23)의 종류의 입력이란, 배양용기(23)가 웰 플레이트 (23A), 플라스크(23B), 디쉬(23C)의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입력하는 것, 및, 배양용기(23)의 크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2) 배양세포의 종류의 입력이란, Hela 세포 등의 세포의 종류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3) 배양상태의 입력이란, 계대 직후, 실험조작 직후 등의 배양상태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4) 과거의 이력의 유무의 입력이란, 배양용기(23)가 과거에 챔버(11)내에서 배양된 것인 경우에 그 취지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배양용기(23)에 관리번호가 붙여져 있어, 이 관리번호를 입력한다.
(5) 보관해야 할 선반(13a)의 입력이란, 보관해야 할 선반(13a)을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에, 스텝 S3에서는, 스텝 S2에서 입력된 배양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 S4에서는, 과거의 이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에 있어서, 입력된 관리번호로부터 과거의 이력을 검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7)에는, 관리번호에 대응하는 배양용기(23)의 이력정보, 즉, 상술한(1) 배양용기(23)의 종류, (2) 배양세포의 종류, (3) 배양의 상태가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 S6에서는, 이력정보와 이번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아암 (33)의 최적인 반송속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이력정보로부터 배양을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시간 및 생육상황을 구한다. 그리고, 이번 입력된 정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험조작 등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속도를 설정한다.
한편, 스텝 S4에 있어서 과거의 이력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7에 있어서 (1) 배양용기(23)의 종류, (2) 배양세포의 종류, (3) 배양의 상태를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 S8에서는, 이것 등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아암(33)의 최적인 반송속도를 설정한다.
설정되는 최적인 반송속도 T1은 예를 들면 이하의 식에 의해서 표시된다.
T0 = f(A0, A1) …(1)
T1 = f(T0, A2) …(2)
A0 : 배양용기(23)의 종류에 있어서의 배양액이 넘쳐 흐르지 않는 최고속도(mm/sec)
A1 : 세포의 종류에 있어서의 진동 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인자
A2 : 배양장치에 도입전의 세포의 상태에 의한 영향인자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배양용기(23)를 Φ35mm의 디쉬로 하여, 이 디쉬의 리미트까지, 배양액(배지)을 넣었을 때, 반송의 진동에 의해서 액면이 디쉬의 뚜껑을 덮지 않고 있을 수 있는 최고속도 T0 = 20mm/sec이었다고 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배양용기(23)내의 Hela 세포가 진동에 의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대부분, 받지 않는 세포로 하면, 인자 A1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배양장치내에서의 최고속도는 20mm/sec인 채가 된다. 그리고, 이 최고속도를 넘지 않도록 최적인 반송속도가 설정된다.
한편, 유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의해, 배양장치에의 도입전에 계대 조작을 하고 있었다고 하면, 세포는 배양액중에 부유한 상태에 있으므로, 접착한 상태에 비하여 반송시의 스트레스의 영향이 강해진다. 따라서, 이 영향의 비율을 인자 A2에 대입함으로써, 최고속도 T1은 예를 들면 T1 = 16mm/sec 정도로 줄일 수 있어, 이 속도를 넘지 않도록 최적인 반송속도가 설정된다.
다음에, 스텝 S9에 있어서, 스텝 S6 또는 스텝 S8에서 구한 최적인 반송속도를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S10에 있어서, 반송아암(33)을 반출입구(43)의 도어(47)의 앞까지, 반송장치(15)의 최고속도로 이동한다.
다음에, 스텝 S11에 있어서, 반출입구(43)의 도어(47)를 연다.
다음에, 스텝 S12에 있어서, 반송아암(33)을 이동하여 얹어놓음부(49)상에 얹어 놓여지는 홀더(21)를 유지한다.
다음에, 스텝 S13에 있어서, 반송아암(33)을 스텝 S6 또는 스텝 S9에서 설정된 반송속도로 이동하여, 스텝 S2에서 지정된 선반(13a)에 수용한다.
도 4는, 이 실시형태의 배양장치에 있어서의 배양용기(23)의 반출시의 제어부(57)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스텝 S1에서는, 유저로부터 홀더(21)를 반출하는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정보입력부(53)에, 반출하는 홀더(21)의 관리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홀더(21)를 반출하는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스텝 S2에서는, 입력된 관리번호로부터 반출하는 지시가 있었던 홀더(21)의 배양용기(23)의 과거의 이력을 검색한다.
다음에, 스텝 S3에서는, 과거의 이력을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 S4에서는, 과거의 이력정보로부터 경과시간 및 생육상황을 요구한다. 다음에, 스텝 S5에서는, 이것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아암(33)의 최적인 반송속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배양용기(23)가 배양장치 내에 보관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정상적인 배양이 진행되고 있으면, 배양용기(23)내에서는 배양용기(23)의 바닥면에 세포가 침하하여, 바닥면에 접착한 상태가 된다.
이 일정시간 경과후의 속도 T2는 이하의 식에 의해서 나타난다.
T2=f(T1, t2, A3) …(3)
T1 : 배양용기(23)의 반입시에 정해진 최적속도(mm/sec)
t2 : 배양장치에의 반입으로부터의 경과시간
A3 : 세포의 생육상황 인자
예를 들면 반입시의 최적속도 T1 = 16mm/sec이었다고 하고, 배양용기(23)의 반입으로부터 10시간 정도가 경과하여, 세포가 문제없이 배양용기(23)의 바닥면에 접착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경과시간 t2의 경과에 수반하여 세포는 배양용기(23)의 바닥면에 접착하고 있으므로, 세포의 반송시의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은 줄어져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경과시간 및 생육상황의 인자를 t2 및 A3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후의 최적속도 T2는, 예를 들면 T2 = 18mm/sec 정도로까지 복원된다. 다만, 최고속도 T0 = 20mm/sec 이상이 되는 일은 없다.
한편, 정상적인 배양이 일어나지 않았던 경우에는, 세포는 바닥면에 접착하지 않고, 배양액상에 부유한 채로 되기 때문에, 이 상황을 예를 들면 관찰장치(17)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 반송속도를 보다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6에 있어서, 설정된 반송속도를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S7에 있어서, 반송아암(33)을 지시된 홀더(21)의 선반(13a)까지, 반송장치(15)의 최고속도로 이동하여, 홀더(21)를 유지한다.
다음에, 스텝 S8에 있어서, 스텝 S5에서 설정된 반송속도로, 반송아암(33)을 반출입구(43)의 도어(47)의 앞까지 이동한다.
다음에, 스텝 S9에 있어서, 반출입구(43)의 도어(47)를 연다.
다음에, 스텝 S10에 있어서, 반송아암(33)을 이동하여 얹어놓음부(49)상에 홀더(21)를 얹어놓는다.
상술한 배양장치에서는, 배양용기(23)의 종류에 기초하여 배양용기(23)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23)내의 배양액의 흔들림에 의해 배양액이 누설되어 배양장치내를 오염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양용기(23)내의 배양액의 흔들림에 의해 세포에 다대한 부하가 작용하여, 배양용기(23)내의 세포가 바닥면으로부터 벗겨져 사멸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양장치에서는, 세포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양용기(23)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23)내의 배양액의 흔들림에 의해 세포에 다대한 부하가 작용하여, 배양용기(23)내의 세포가 바닥면으로부터 벗겨져 사멸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실시형태가 사용되는 배양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배양장치는, 항온 및 항습의 분위기에 유지되는 챔버(11)를 갖고 있다. 챔버(11)내에는, 스태커(13), 반송장치(15) 및 관찰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스태커(13)는, 기대(19)상에 배치되어, 선반(13a)에 의해 상하방향에 칸막이되어 있다. 선반(13a)의 상면에는, 홀더(21)가 얹어놓여져 있다. 각 홀더(21)에는,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23)가 유지되어 있다.
반송장치(15)는, 기대(19)상에 배치되는 프레임(25)을 갖고 있다. 프레임 (25)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에 나사축(27)이 배치되어 있다. 나사축(27)에는 이동부재(29)가 나사식 맞춤되어 있고, 제 1 모터(31)에 의해 나사축(27)을 회전하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부재(29)의 아래쪽에는, 이동부재(29)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반송아암(3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반송아암(33)은 제 2 모터(35)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찰장치(17)는, 관찰부(36)와 관찰 스테이지(38)를 갖고 있다. 관찰부(36)에는, 현미경(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현미경(42)은, 도립형(倒立型)의 현미경으로 되어 있다. 관찰부(36) 상에는, 반송아암(33)에 의해 반송된 홀더(21)를 얹어놓는 관찰 스테이지(38)가 배치되어 있다. 관찰 스테이지(38)는, 베이스부재(40)와 시료대(41)를 갖고 있다. 이 시료대(41)에 배양용기(23)를 홀더(21)와 함께 얹어놓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내의 세포가 관찰된다.
챔버(11)의 측면의 현미경(42)의 위쪽이 되는 위치에는, 반출입구(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출입구(43)의 안쪽측에는, 제 3 모터(45)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47)가 배치되어 있다. 반출입구(43)의 안쪽에는, 홀더(21)를 얹어놓는 얹어놓음부(4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얹어놓음부(49)에는, 홀더(21)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51)는 얹어놓음부(49)에 홀더(21)가 얹어놓여지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챔버(11)의 측면의 바깥쪽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53)가 설 치되어 있다.이 정보입력부(53)은, 액정표시부(55) 및 터치센서(미도시)를 갖고 있다.
정보입력부(53)의 아래쪽에는, 반송아암(33)을 이동하기 위한 제어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57)는, 제 1 및 제 2 모터(31,3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반송아암(33)의 이동을 실시한다. 또한, 제 3 모터(45)를 구동하여 도어(47)의 개폐를 실시한다.
그리고, 정보입력부(53)에, 관찰장치(17)에 의해 관찰해야 할 홀더(21)의 관리번호가 입력되면, 반송아암(33)을 이동하여, 관리번호에 대응하는 홀더(21)를, 스태커(13)의 선반(13a)으로부터 관찰장치(17)의 시료대(41)상으로 반송한다.
도 6의(a), (b), (c)는, 홀더(21)에 유지되는 배양용기(23)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양용기(23)로서 웰 플레이트(23A), 플라스크(23B), 디쉬(23C)의 3종류의 배양용기(23)가 사용된다. 그리고, 웰 플레이트(23A), 플라스크(23B), 디쉬(23C)의 바닥부의 두께가, 각각 t1, t2, t3으로 되어 있다.
도 7은, 배양용기(23)를 유지하는 홀더(21)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홀더(21)는 홀더 본체(61)를 갖고 있다. 홀더 본체(61)는, 백색 투명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의 양측에는, 위쪽으로 돌출하여 벽부 (61b)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61b)의 상단에는, 반송아암(133)(자세한 것은 후술한다)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부(61c)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의 한 쪽에는, 돌출부(61d)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반사부(61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의 반 사부(61e)의 양측이 되는 위치에는, 직사각형형상 및 삼각형형상의 오목부(61f, 61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에는, 두께 조절용 시트 (63)를 통하여 템플레이트(65)가 배치되어 있다. 두께 조절용 시트(63) 및 템플레이트(65)에는,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에 형성되는 오목부(61f)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63a,6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61h)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63a,65a)가 형성되어 있다. 두께 조절용 시트(63)는, 백색 투명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두께 조절용 시트(63)는, 홀더 본체(61)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의 바닥면의 두께(예를 들면 도 6의 t1, t2, t3)에 따라서 다른 두께로 되어 있다. 템플레이트(65)는, 수지,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템플레이트(65)에는, 배양용기(23)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멍부(65c)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디쉬(23C)의 바닥부가 삽입되는 원형형상의 구멍부(65c)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템플레이트(65)에 형성되는 구멍부(65c)의 형상 및 크기는, 홀더(21)에 유지되는 배양용기(23)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배양용기(23)로서 웰 플레이트(23A) 또는 플라스크 (23B)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웰 플레이트(23A) 또는 플라스크(23B)의 바닥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구멍부가 형성되어, 이 구멍부에 웰 플레이트(23A) 또는 플라스크(23B)의 바닥부가 삽입되어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
이 홀더(21)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61)의 바닥부 (61a)의 상면에 두께 조절용 시트(63)가 얹어놓여지고, 이 두께 조절용 시트(63)의 상면에 템플레이트(65)가 얹어놓여진다. 그리고, 템플레이트(65)에 형성되는 구멍부(65c)에, 디쉬(23C)의 바닥부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홀더 본체(61)의 소정의 위치에 디쉬(23C)가 위치결정된다.
도 9는, 관찰 스테이지(38)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관찰 스테이지(38)의 베이스부재(40)상에는, 시료대(4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료대(41)는, 베이스부재(40)에 대해서 수평방향(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료대(41)에는, 부세부재(6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부세부재 (67)는, 토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점(6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힘이 가해져 있다. 시료대(41)의 부세부재(67)와 반대측에는, 위치결정 핀(71,73)이 배치되어 있다. 시료대(41)에는, 현미경(42)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창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료대(41)의 위치결정 핀(71, 73)의 사이에는, 적외선 센서(75)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40)에는, 시료대(41)에 배치되는 부세부재(67)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운동 저지부재(77)가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저지부재(77)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료대(41)가 베이스부재(40)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시료대(41)의 부세부재(67)에 접촉하여 부세부재(67)의 회전운동을 저지한다.
이 관찰 스테이지(38)에서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 (61)의 걸어멈춤부(61c)의 아래쪽에, 반송장치(15)의 반송아암(33)을 걸어멈춤한 상태로, 홀더(21)가 배양용기(23)와 함께 반송된다. 이 상태에서는, 시료대(41)가 베이스부재(40)의 좌측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료대(41)의 부세부재(67)가 회전운동 저지부재(77)에 접촉하여 부세부재(67)의 회전운동이 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아암(33)에 의해 반송되어 온 홀더(21)가 시료대(41)상의 소정 위치에 얹어놓여진다. 홀더(21)가 시료대(41)상에 얹어놓여졌는지 아닌지는, 적외선 센서(75)에 의해 검출된다. 즉, 홀더(21)가 시료대(41)상의 소정 위치에 얹어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75)로부터의 적외광이 홀더 본체(61)의 반사부(61e)로 반사되기 때문에, 이 반사광을 적외선센서(75)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의해, 홀더(21)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료대(41)를 베이스부재(40)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시료대(41)의 부세부재(67)가 회전운동 저지부재(77)로부터 이간한다. 이것에 의해, 부세부재(67)가 지점(6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부세부재(67)가 홀더 본체(61)의 돌출부(61d)를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홀더(21)가 시료대(41)상을 우측으로 이동되어 홀더 본체(61)의 오목부(61f,61h)에 위치결정 핀(71,73)이 끼워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홀더 본체(61) 이 부세부재(67)와 위치결정 핀(71,73)과의 사이에 고정되어, 시료대(41)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도 10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플라스크(23B)의 반송에 사용되는 홀더(21)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홀더(21)에서는, 도 9에 나타낸 템플레이트 (65)에, 플라스크(23B)의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직사각형형상의 구멍부 (65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께 조절용 시트(63)의 두께가, 플라스크(23B)의 바닥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변경되어 있다. 홀더 본체(61)는, 도 7에 나타낸 홀더 (21)와 동일하다.
도 11은, 이 홀더(21)를 관찰 스테이지(38)에 반송하여 시료대(41)상에 위치 결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에 나타낸 홀더(21)와 같이 하여 시료대 (41)상에의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
상술한 배양용기용 홀더에서는, 반송장치(15)에 유지되어 반송되는 홀더 본체(61)에, 관찰 스테이지(38)의 시료대(41)상에서 홀더 본체(61)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오목부(61f,61h)를 형성했으므로, 관찰 스테이지(38)의 시료대(41)의 소정의 위치에 홀더(21)를 용이, 확실히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본체(61)에, 홀더 본체(61)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의 위치를 결정하는 템플레이트(65)를 배치했으므로, 템플레이트(65)에 형성하는 구멍부 (65c)의 형상 및 크기를 바꾸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반송장치(15)에 의해 용이, 확실히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배양용기용 홀더에서는, 홀더 본체(61)에, 홀더 본체(61) 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의 바닥면의 두께에 따라 다른 두께의 투명의 두께 조절용 시트(63)를 얹어놓고, 두께 조절용 시트(63)상에 배양용기(23)를 얹어놓도록 했으므로, 배양용기(23)의 종류에 관계없이, 현미경(42)의 대물렌즈와 배양용기 (23)내의 시료까지의 광로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현미경(42)의 초점 조절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웰 플레이트(23A), 플라스크(23B), 디쉬(23C)의 3종류의 배양용기(23)에서는, 배양용기(23)의 바닥면의 두께(예를 들면 도 6의 t1, t2, t3)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두께 조절용 시트(63)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미경(42)의 대물렌즈와 배양용기(23)내의 시료까지의 광로길이가 각각 달라, 현미경(42)의 초점 조절이 번잡하게 된다. 그러나, 배양용기(23)의 바닥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두께 조절용 시트(63)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배양용기(23)의 바닥면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두께 조절용 시트(6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의 종류에 관계없이, 현미경(42)의 대물렌즈와 배양용기(23)내의 시료까지의 광로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현미경(42)의 초점 조절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두께 조절용 시트(63)의 재질을, 홀더 본체(61)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와 동일한 재질로 하는 것에 의해, 광로길이의 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61)는, 백색 투명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에는, 배양용기(23)를 위치 결정하기 위 한 오목함몰부(61j)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디쉬(23C)의 바닥부가 삽입되는 원형형상의 오목함몰부(61j)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홀더 본체(61)의 바닥부(61a)에 형성되는 오목함몰부(61j)의 형상 및 크기는, 홀더 본체(61)에 유지되는 배양용기(23)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배양용기(23)로서 웰 플레이트(23A) 또는 플라스크(23B)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웰 플레이트(23A) 또는 플라스크(23B)의 바닥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오목함몰부(61j)가 형성되고, 이 오목함몰부(61j)에 웰 플레이트(23A) 또는 플라스크(23B)의 바닥부가 삽입되어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61)에 얹어 놓여지는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배양용기(23), 예를 들면, 웰 플레이트(23A), 플라스크(23B), 디쉬 (23C)의 3종류의 배양용기(23)에 대해서, 홀더 본체(61)의 외형 형상이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외형 형상이 동일한 형상이란, 적어도 홀더 본체(61)의 높이 H, 길이 L, 및, 폭 W가 동일한 것을 말한다.
이 실시형태의 배양용기용 홀더에서는, 반송장치(15)에 유지되어 반송되는 홀더 본체(61)에, 관찰 스테이지(38)의 시료대(41)상에서 홀더 본체(61)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오목부(61f,61h)를 형성했으므로, 관찰 스테이지(38)의 시료대(41)의 소정의 위치에 홀더(21)를 용이,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본체(61)에, 홀더 본체(61)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의 위치를 결정하는 오목함몰부(61j)를 형성했으므로, 오목함몰부(61j)의 형상 및 크기를 바꾸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반송장 치(15)에 의해 용이, 확실히 반송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 본체(61)의 오목함몰부(61j)의 바닥면으로부터 홀더 본체(61)의 바닥면까지의 두께(t4)를, 홀더 본체(61)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의 바닥면의 두께(예를 들면 도 6의 t1, t2, t3)에 따라 다른 두께로 하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의 종류에 관계없이, 현미경(42)의 대물렌즈와 배양용기(23)내의 시료까지의 광로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두께 조절용 시트(63)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의 (a)는, 웰 플레이트(23A)를 유지하는 홀더(21A)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홀더(21A)는 홀더 본체(161)을 갖고 있다. 홀더 본체(161)의 상단의 양측에는, 반송아암(33)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부(161a)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 (161)의 바닥부(161b)에는 개구부(161c)가 형성되어 있다.또한,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의 상면에는, 웰 플레이트(23A)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163) 및 스프링부재(16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161b)의 아래쪽 면에는 다리부(167A)가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21A)에서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웰 플레이트(23A) 가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 얹어놓여져, 위치결정부재(163) 및 스프링부재(165)에 의해 홀더 본체(161)에 유지된다. 또한, 다리부(167A)의 길이는, 웰 플레이트(23A)의 웰(23a)의 안쪽 바닥면(23b)의 높이가 다리부(167A)의 하단으로부터 높이 H의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5의 (a)는, 플라스크(23B)를 유지하는 홀더(21B)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홀더(21B)는 홀더 본체(161)를 갖고 있다. 이 홀더 본체(161)는 도 14에 나타낸 홀더 본체(161)와 동일한 외형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다. 홀더 본체(161)의 상단의 양측에는, 반송아암(33)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부(161a)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는 개구부(16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의 상면에는, 플라스크(23B)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163), 핀 부재(169) 및 스프링부재(16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 (161b)의 아래쪽 면에는 다리부(167B)가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21B)에서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크(23B)가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 얹어 놓여져, 위치결정부재(163), 핀 부재(169) 및 스프링부재(165)에 의해 홀더 본체(161)에 유지된다. 또한, 다리부(167B)의 길이는, 플라스크(23B)의 안쪽 바닥면(23d)의 높이가 다리부(167B)의 하단으로부터 높이 H의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의 (a)는, 디쉬(23C)를 유지하는 홀더(21C)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홀더 (21C)는 홀더 본체(161)를 갖고 있다. 이 홀더 본체(161)는 도 14에 나타낸 홀더 본체(161)와 동일한 외형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다. 홀더 본체(161)의 상단의 양 측에는, 반송아암(33)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부(161a)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는 개구부(16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의 상면에는, 디쉬(23C)를 유지하기 위한 핀 부재(171) 및 스프링부재(17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161b)의 아래쪽 면에는 다리부(167C)가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21C)에서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쉬(23C)가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 얹어놓여져, 핀 부재(171) 및 스프링부재(173)에 의해 홀더 본체(161)에 유지된다. 또한, 다리부(167C)의 길이는, 디쉬(23C)의 안쪽 바닥면(23e)의 높이가 다리부(167C)의 하단으로부터 높이 H의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홀더 본체(161)에, 다른 크기의 디쉬(23C,23C')를 유지했을 때의 다리부(167C,167C')의 길이를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a)에서는, 디쉬(23C)의 바닥부(23C)의 두께와, 디쉬(23C)의 좌부(座部(23h)의 높이와,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의 두께와, 다리부(167C)의 길이를 더한 값이 소정의 높이 H가 되도록 다리부(167C)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도 17의 (b)에서는, 디쉬(23C')의 바닥부(23f')의 두께와, 디쉬(23C')의 좌부(23h')의 높이와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의 두께와, 다리부(167C')의 길이를 더한 값이 소정의 높이 H가 되도록 다리부(167C')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홀더(21)(21A,21B,21C)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료대(41)상에 다리부(167)(167A,167B,167C,167C')가 얹어놓여진다. 그리고, 현미경(42)에 의 해 배양용기(23)(23A,23B,23C,23C')의 안쪽 바닥면(175)(23b,23d,23e)에 부착한 세포(177)의 관찰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시료대(41)에 홀더(21)(21A,21B,21C)를 얹어놓으면, 배양용기(23)(23A,23B,23C,23C')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시료대 (41)로부터 배양용기(23)(23A,23B,23C,23C')의 안쪽 바닥면(175)(23b,23d,23e)까지의 높이 H가 같아진다. 따라서, 현미경(42)의 초점 조절을 한 번 실시하면, 종류 혹은 크기가 다른 배양용기(23)(23A,23B,23C,23C')마다 초점 조절을 실시하는 일 없이, 배양용기(23)(23A,23B,23C,23C')의 안쪽 바닥면(175)(23b,23d,23e)에 부착하고 있는 세포(177)를 관찰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사항)
이상,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형태에서도 좋다.
(1)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배양용기용 반송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배양장치 내에 배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배양장치 내의 배양용기를 외부의 정밀현미경 혹은 클린벤치 등에 자동적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2)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배양정보를 정보입력부(53)에 수동으로 입력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홀더(21) 혹은 배양용기(23) 등에 IC칩을 부착하여 자동적으로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3)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61)를 백색 투명의 수 지에 의해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4)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현미경(42)의 위쪽에 시료대(41)를 설치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세포를 관찰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현미경의 아래쪽에 시료대를 설치하여 위쪽으로부터 세포를 관찰하도록 해도 좋다.
(5)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템플레이트(65)에 형성되는 구멍부(65c), 혹은, 홀더 본체(61)에 형성되는 오목함몰부(61j)에 의해 배양용기(23)의 위치결정을 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템플레이트(65) 혹은 홀더 본체(61)에 위치 결정 마크를 인쇄하여 배양용기(23)의 위치 결정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템플레이트(65) 혹은 홀더 본체(61)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배양용기(23)의 위치 결정을 실시해도 좋다.
(6)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 고정되는 다리부(167)(167A,167B,167C,167C')에 의해, 홀더 본체(161)에 얹어 놓여지는 배양용기(23)(23A,23B,23C,23C')의 안쪽 바닥면(175)(23b,23d,23e)의 높이위치를 설정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배양용기의 바닥면과 홀더 본체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높이조정부재를 개재시켜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의 높이 위치를 설정해도 좋다.
(7)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현미경(42)의 위쪽에 시료대(41)를 설치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세포(177)를 관찰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현미경의 하부에 시료대를 설치하여 위쪽으로부터 세포를 관찰하도록 해도 좋다.
(8)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 다리부 (167)(67A,67B,67C,67C')를 고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161)의 바닥부(161b)에 관통구멍(161)을 형성하여, 이 관통구멍(161f)에 수지제의 다리부(167D)의 조부(167a)를 삽입하여, 홀더 본체 (161)의 바닥부(161b)에 다리부(167D)를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9)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161)에 단순한 개구부(161c, 161d,161e)를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161)의 개구부(161d)를 유리판(179) 등으로 밀폐하는 것에 의해, 배양용기(23B)로부터 누설한 배양액이 홀더(21B)의 외부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21C)(21A,21B,21C)를 내열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등의 재질로 함으로써, 홀더의 오토 크레이브가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11)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21C)(21A,21B,21C)에 바코드, IC태그 등을 부착함으로써, 홀더 내의 배양용기의 정보, 배양용기 내의 세포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1)

  1.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를 상기 속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반송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의 종류는, 웰 플레이트, 플라스크 또는 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3.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용기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양용기 내에서 배양되는 상기 세포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상기 세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를 상기 속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반송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의 정보는, 상기 세포의 종류 또는 세포의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설정수단은, 상기 배양용기의 과거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설정수단은, 상기 배양용기의 과거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반송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7. 제 1 항에 기재된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8. 제 3 항에 기재된 배양용기용 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9. 배양기 내에 수용되는 배양용기가 얹어놓여져, 상기 배양기 내에 상기 배양용기와 함께 운반되는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가 얹어 놓여지는 얹어놓음면이 형성된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설치되어,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상기 배양용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배양용기에 대응한 배양용기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 유지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3점 지지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 유지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템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레이트에는, 상기 배양용기의 위치 결정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3. 배양기 내에 수용되는 배양용기가 얹어놓여져, 상기 배양기 내에 상기 배양용기와 함께 운반되는 배양용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가 얹어 놓여지는 얹어놓음면이 형성된 홀더 본체와,
    상기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의 높이를 조정함과 함께 수평으로 유지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얹어놓음면의 뒤쪽의 면에 설치된 높이조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상기 홀더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용 홀더는, 각각 다른 상기 높이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상기 홀더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6.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용 홀더의 각각의 상기 홀더 본체의 얹어놓음면은, 각각 다른 종류의 상기 배양용기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배양용기용 홀더의 각각의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각각의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놓여진 상기 배양용기의 안쪽 바닥면이 동일 높이로 조정되는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7. 제 9 항에 있어서, 외형 형상이 다른 복수의 상기 배양용기용 홀더의 각각의 상기 홀더 본체는, 외형 형상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각각의 홀더 본체에, 상기 관찰 스테이지상에서 상기 홀더 본체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동일한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찰 스테이지의 위치 결정 핀에 끼워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에,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의 바닥면의 두께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는 투명의 두께 조절용 시트를 얹어놓고, 상기 두께 조절용 시트상에 상기 배양용기를 얹어놓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용 시트는, 상기 홀더 본체에 얹어 놓여지는 상기 배양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기용 홀더.
KR1020077030564A 2005-06-29 2006-06-27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용 홀더 KR200800189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9338 2005-06-29
JPJP-P-2005-00189338 2005-06-29
JPJP-P-2005-00189337 2005-06-29
JP2005189337 2005-06-29
JP2005290897 2005-10-04
JPJP-P-2005-00290897 2005-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915A true KR20080018915A (ko) 2008-02-28

Family

ID=3759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564A KR20080018915A (ko) 2005-06-29 2006-06-27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용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340764B2 (ko)
EP (1) EP1900806A4 (ko)
JP (1) JP5076893B2 (ko)
KR (1) KR20080018915A (ko)
CN (1) CN101213290B (ko)
WO (1) WO20070010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439A (ko) * 2018-11-16 2021-08-30 아익시노 리미티드 랩-웨어 및 세포 배양 프로세스에서 랩-웨어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495A (ja) * 2007-02-28 2008-09-11 Nikon Corp 培養容器用ホルダーの誤挿入防止構造
JPWO2008108092A1 (ja) * 2007-03-08 2010-06-10 株式会社ニコン 培養装置
ES2664744T3 (es) * 2008-07-05 2018-04-23 Unisense Fertilitech A/S Sistema de identificación individual
JP5175749B2 (ja) 2009-01-13 2013-04-03 三洋電機株式会社 搬送装置、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1004854A1 (ja) * 2009-07-08 2011-01-13 株式会社ニコン 細胞ピッキング支援装置、表示装置、及び培養容器
WO2011027563A1 (ja) * 2009-09-03 2011-03-10 株式会社ニコン 攪拌方法、細胞培養方法、攪拌装置及び細胞培養装置
JP2013179911A (ja) * 2012-03-02 2013-09-1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極付き細胞試験具の接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細胞試験装置
JP6283535B2 (ja) * 2014-02-28 2018-02-21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容器搬送トレイ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装置、搬送装置
JP6217809B2 (ja) * 2016-07-26 2017-10-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接続装置
JP6207708B2 (ja) * 2016-10-18 2017-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培養装置、及び細胞培養方法
EP3605185B1 (en) 2017-03-30 2022-12-21 FUJIFILM Corporation Observation device, observation control method, and observation control program
JP2020141588A (ja) * 2019-03-05 2020-09-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細胞製造システム
DE102019134003A1 (de) * 2019-12-11 2021-06-17 Aixinno Limite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ltivieren biologischer Zellen
DE102021102487A1 (de) 2021-02-03 2022-08-04 Aixinno Limited Verfahren zum Handhaben biologischer Zellkultur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120Y2 (ko) * 1984-11-30 1991-05-20
JPH0728720B2 (ja) * 1984-12-27 1995-04-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細胞培養装置
US6673595B2 (en) * 2001-08-27 2004-01-06 Biocrystal, Ltd Automated cell management system for growth and manipulation of cultured cells
JP4378909B2 (ja) * 2002-02-20 2009-12-0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生体細胞の培養制御方法及び培養装置の制御装置並びに培養装置
CN2577555Y (zh) * 2002-10-23 2003-10-08 詹大庆 菌类培养装置
JP2004180675A (ja) * 2002-11-19 2004-07-02 Sanyo Electric Co Ltd インキュベータ
JP2004344126A (ja) * 2003-05-26 2004-12-09 Olympus Corp 培養装置用トレイおよび自動培養装置
US7180253B2 (en) * 2003-09-30 2007-02-2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dimensional motion profiles
JP2005333823A (ja) 2004-05-24 2005-12-08 Olympus Corp 培養容器用アダプタおよび培養処理装置
JP2006101781A (ja) 2004-10-06 2006-04-20 Olympus Corp 自動培養装置
US20060178775A1 (en) * 2005-02-04 2006-08-10 George Zhang Accelerometer to monitor movement of a tool assembly attached to a robot end eff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439A (ko) * 2018-11-16 2021-08-30 아익시노 리미티드 랩-웨어 및 세포 배양 프로세스에서 랩-웨어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7902A1 (en) 2010-02-25
US9340764B2 (en) 2016-05-17
JPWO2007001002A1 (ja) 2009-01-22
EP1900806A4 (en) 2012-12-19
EP1900806A1 (en) 2008-03-19
WO2007001002A1 (ja) 2007-01-04
CN101213290B (zh) 2011-09-14
CN101213290A (zh) 2008-07-02
US20160298070A1 (en) 2016-10-13
JP5076893B2 (ja)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8915A (ko) 배양용기용 반송장치, 배양장치 및 배양용기용 홀더
US6838051B2 (en) Integrated sample-processing system
US6902703B2 (en) Integrated sample-processing system
Auld et al. Microplate selection and recommended practices in high-throughput screening and quantitative biology
JP4343955B2 (ja) 試験試料装置を保持する担体
JP2012524527A (ja) 細胞を平行して自動的に培養する装置
US5525512A (en) Incubator
US20110002525A1 (en) Method for distinguishing living cells during cell observation,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cell observation, and image processing device
JP4288283B2 (ja) 試験試料担体用運搬システム
JP2007510156A (ja) 試験試料を処理する小型一体型システム
WO2018155190A1 (ja) 自動分析装置
WO2010144859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ed sample preparation, assay, and analysis
WO2007004385A1 (ja) 培養装置
US9212010B2 (en) Carrier device and culture apparatus
JP2010158185A (ja) 培養観察装置
WO2000066269A1 (en) Integrated sample-processing system
WO2014125923A1 (ja) 自動分析装置及び試薬容器
JP2007522436A (ja) 試験試料装置用シーラ
JP2741623B2 (ja) 恒温槽を備えた全自動引張試験装置
JPWO2008108092A1 (ja) 培養装置
JP2013134145A (ja) 自動分析装置
EP3909680A1 (en) Sample preparation arrangement, microscopic exa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a sample for microscopic examination
JP4910617B2 (ja) 標本用プレート供給装置
US20240058819A1 (en) Modular well plate system with a reusable frame
JP2018044847A (ja) 自動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