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592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592A
KR20080013592A KR1020060075302A KR20060075302A KR20080013592A KR 20080013592 A KR20080013592 A KR 20080013592A KR 1020060075302 A KR1020060075302 A KR 1020060075302A KR 20060075302 A KR20060075302 A KR 20060075302A KR 20080013592 A KR20080013592 A KR 2008001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bstrates
fixing
light emitt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시준
김기철
장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3592A/ko
Priority to JP2007012008A priority patent/JP2008041639A/ja
Priority to EP07015050A priority patent/EP1895355A3/en
Priority to TW096129179A priority patent/TW200815843A/zh
Priority to US11/836,284 priority patent/US20080036940A1/en
Priority to CNA2007101701846A priority patent/CN101149532A/zh
Publication of KR2008001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복수의 기판을 결합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면광원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제 1 기판을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이와 인접한 제 2 기판을 상기 제 1 기판으로 고정시켜 기판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 부재의 개수를 줄여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백 라이트 유닛, 휘도, 고정부재, 중첩, 휘도, 면광원, 발광 다이오드, MCPCB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BACKLIGTH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부 실장을 설명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제 2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발광 소자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9 내지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기판 110 : 발광 소자부
120, 130 : 고정 패턴 150 : 커넥터부
160 : 제 1 고정 부재 170 : 반사 부재
200 : 수납 부재 210 : 제 2 고정 부재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복수의 회로 기판 들의 들뜸 방지는 물론 회로 기판 접합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 중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단위 픽셀의 액정 배열을 변화시켜 광 투과량을 조절하여 목표로 하는 화상을 표시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사용하였다. 이는 소비 전력이 높고 휘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저 소비 전력과 고 휘도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기판 상에 실장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의 사이즈가 증대됨에 따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복수의 회로 기판을 배치시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하였다. 이때, 복수의 기판을 액정 표시 장치 하부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고정 부재는 기판들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었다. 이로인해 기판들이 밀착되는 영역에서는 각 기판들의 고정 부재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가 인접 배치되는 경우 인접 기판 사이의 간격 및 고정 부재들로 인한 휘도 저하가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고정 부재를 체결하는 시간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은 고정 부재가 증가되는 대화면 액정 표시 장치에서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기판들 간을 결합 및 고정시키는 고정 패턴을 기판의 일측 영역에 형성하여 고정부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기판들의 인접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는 한쌍 이상의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고정 패턴과 중첩되는 제 2 고정 패턴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 패턴 상측에 상기 제 2 고정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기판 하부의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 패턴은 하향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면이고, 상기 제 2 고정 패턴은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상향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 1 고정 패턴과 상기 제 2 고정 패턴이 접촉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 하측 영역이 돌출된 제 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판의 상측 영역이 돌출된 제 2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고정 패턴은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패턴은 상기 제 1 요철부에 대응되는 제 2 요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 영역의 두께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두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기판 각각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는 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제 1 내지 제 3 양 및 음 단자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납 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영역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나사, 상기 수납 부재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측 돌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고정하는 갈고리,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하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이 각기 결합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기판들이 상기 수납 부재 내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는 한쌍 이상의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고정 패턴과 중첩되는 제 2 고정 패턴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 영역 상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 영역의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마련된 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판 하부의 상기 수납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면의 수직 단면 형상은 사선, 절곡된 직선 및 곡선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납 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영역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나사, 상기 수납 부재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측 돌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고정하는 갈고리,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하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이 각기 결합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기판들이 상기 수납 부재 내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부재와,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고, 상기 수납 부재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판 및 서로 인접 하는 기판들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의 상기 중첩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거나, 상기 중첩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 부재와 인접한 기판들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상기 복수의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행 방향, 열 방향 또는 행 방향과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판들 간이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첩 영역의 두께와 상기 기판의 두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서로 인접 하는 기판들은 상기 인접 영역 내에서 복수번 중첩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기판 각각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부재와,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고, 상기 수납 부재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판 및 서로 인접 하는 기판들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판 상에 형성된 반사판과, 상기 복수의 기판 상에 배치된 확산판 및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의 상기 중첩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거나, 상기 중첩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수납 부재와 인접한 기판들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행 방향, 열 방향 또는 행 방향과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판들 간이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부 실장을 설명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제 2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발광 소자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되고 제 1 고정 패턴(120)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101a, 101b; 101)과,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되고, 상기 제 1 고정 패턴(120)에 대응하는 제 2 고정 패턴(130)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판(102a, 102b; 102)과,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200)와, 상기 제 2 기판(102)과 수납 부재(200)를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부재(20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제 1 및/또는 제 2 기판(101, 102)을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측에 각기 마련된 반사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광학시트, 확산판 및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금속성의 기판 상에 도전성 패턴들이 인쇄된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 코어 인쇄 회로 기판(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MCPC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각각은 금속판(10)과, 금속판(10) 상에 마련된 제 1 절연막(20)과, 상기 제 1 절연막(20) 상에 패터닝된 도전성 패턴(30)과, 금속판(1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30)과 접속된 커넥터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1) 각각은 이들의 인접 영역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판(10)으로 0.5mm 내지 5mm 두께의 알루미늄(Al)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금속판(10)은 금속성의 모든 물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10) 상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될 실장 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도전성 패턴(30)은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 형태의 패턴이다. 도전성 패턴(30)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를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 접속시킬 수 있다. 제 1 절연막(20)은 금속판(10)과 도전성 패턴(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금속판(10)과 도전성 패턴(30)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제 1 절연막(20)은 금속판(10)과 도전성 패턴(30) 사이의 열전달을 방해하지 않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 절연막(20)으로 열 전도성 수지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패턴(30) 상측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제 2 절연막(40)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절연막(40)은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된 영역의 도전성 패턴(30)은 노출시킨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적색, 청색 및 녹색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부(110)는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의 색 조합을 통해 백색 광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백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만으로 상기 발광 소자부(110)가 제작될 수도 있다.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70)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 키지(70)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 단자(60)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부(110)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에 정의된 실장 영역에 실장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의 리드 단자(60)는 솔더링에 의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의 도전성 패턴(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도전성 패턴(30)과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는 솔더 범프(50)에 의해 결합된다. 이의 제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실장 영역에 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를 배치시킨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의 리드 단자(60)와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도전성 패턴(30) 사이에는 금속성의 솔더를 배치한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100 내지 200도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금속성의 솔더를 녹여 상기 리드 단자(60)와 도전성 패턴(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각각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부(110)의 개수는 백라이트 유닛 상측에 마련되는 표시 패널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의 발광 효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부(110)의 개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술한 커넥터부(150)는 외부 전원과 접속하여 도전성 패턴(30)을 통해 복수 의 발광 소자부(110)에 전원을 인가한다.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은 도전성 패턴(30)을 통해 커넥터부(150)의 두 단자(양단자(+) 및 음단자(-)) 사이에서 직렬 및/또는 병렬 접속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판(102)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된 커넥터부(150)의 양단자(+)와 음단자(-) 사이에서 적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 1 발광 다이오드(111)가 각기 직렬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부(150)의 양단자(+)와 음단자(-) 사이에서 녹색을 발광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112)가 각기 직렬 접속된다. 그리고, 커넥터부(150)의 양단자(+)와 음단자(-) 사이에서 청색을 발광하는 제 3 발광 다이오드(113)가 각기 직렬 접속된다. 도 5 및 도 7에서는 각기 12개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가 커넥터부(150)의 양단자(+)와 음단자(-) 사이에 각기 직렬 접속됨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및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가 각기 직렬 접속되어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을 형성한다. 3개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이 커넥터부(150)의 양단자(+)와 음단자(-) 사이에 각기 병렬 접속된다. 이때, 상기 직렬 접속되는 발광 다이오드 및 병렬 접속되는 발광 다이오드 그룹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자(+)와 음단자(-)가 하나의 몸체 내에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자(+)와 음단자(-)가 각기 마련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를 각기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111, 112, 113) 각각의 구동 전압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각각에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커넥터부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에 마련된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를 기판 별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고정 패턴(120)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101)과 제 2 고정 패턴(130)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판(102)을 결합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하되, 제 1 고정 패턴(120)과 제 2 고정 패턴(130)간이 중첩되도록 한다.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을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 상측에 배치시켜 제 1 기판(101)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120)은 제 1 기판(10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01)의 제 1 경사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각은 둔각이고, 제 1 경사면과 하부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2 고정 패턴(1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판(102)의 하부면에서 상부면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기판(102)의 제 2 경사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고, 제 2 경사면과 하부면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기판(101)의 제 1 경사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둔각과, 상기 제 2 기판(102)의 제 2 경사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예각의 합은 180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제작은 다음과 같다. 제 1 기판(101)의 일측 벽면을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가공하여 제 1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 2 기판(102)을 뒤집은 다음 제 2 기판(102)의 일측 벽면을 상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가공하여 제 2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의 중첩 영역의 수직 단면을 보면 하부영역에는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이 마련되고, 상부영역에는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배치된다. 수직 단면의 형상은 사선 형상이다. 따라서,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을 그 상부에서 누르기 때문에 제 1 기판(101) 일측 영역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 인접 영역에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14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고정 부재(160)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101, 102)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101, 102)의 홈을 관통하여 기판 하부의 상기 수납 부재(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40)을 관통하는 나사와 같은 제 1 고정 부재(160)를 통해 수납 부재(200)와 제 2 기판(102)은 결합 및 고정된다. 제 1 고정 부재(160)를 통해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 부재(160)로 나사를 사 용하는 경우 상기 수납 부재(200)에 관통공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고정 부재(160)는 나사가 아닌 갈고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 갈고리 형태의 고정 부재가 수납 부재(2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부재(200)의 양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을 고정하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재(210)가 마련된다. 제 2 고정 부재(210)는 수납 부재(200)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수납 부재(200)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납 부재(200)는 사각형 형상의 바닥면과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고정 부재(210)는 상기 바닥면에 마련될 수도 있고, 측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고정 부재(210)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제 2 고정 부재(210)는 갈고리 형태로 제작되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 부재(210)가 상기 측벽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 2 고정 부재(210)는 돌기 형태로 제작되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고정 부재(210)로 나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나사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과 수납 부재(200) 간을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은 각기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과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은 각기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60, 21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양측 영역을 별도의 고정 부재와 고 정 패턴으로 눌러줌으로 인해 이들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 기판(102)의 경우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60, 210)의 고정력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기판(101)은 제 2 고정 부재(210)의 고정력과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의 고정력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직사각형 형태의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일측영역과 마주보는 타측 영역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시켜 기판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사각형 형태의 기판의 두 변 영역 이상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고정 부재(16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기판의 일변 영역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제 1 고정 부재(160)가 필요할 경우를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각각의 일변 영역을 2개의 제 1 고정 부재(160)를 사용하여 고정시켰다. 따라서, 4개의 제 1 고정 부재(160)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기판(101)의 일변 영역을 제 2 기판(102)으로 누르기 때문에 제 1 기판(101)의 일변 영역에서는 별도의 제 1 고정 부재(160)가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단지 제 2 기판(102)의 일변을 고정하는 2개의 제 1 고정 부재(160)만으로도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일변 영역들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부재(160)의 개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60, 210)를 모두 나사를 사용하 는 경우에 비하여 나사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의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각기 4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두 변 영역(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고정하였다. 즉, 전체 8개의 나사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은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고정 패턴)에 의해 고정되고,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은 2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은 모두 수납 부재(200)의 갈고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전체 2개의 나사만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백라이트 유닛의 조립을 위한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의 개수를 줄여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는 발광 소자부(110)가 발광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발광 소자부(110)의 광 방출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두 기판의 인접 영역 양측에 고정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고정 부재에 의해 두 기판의 인접 영역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 기판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는 고정 부재의 개수를 줄여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의 조립은 먼저 제 1 기판(101)을 수납 부재(200)에 배치시킨다. 이때, 제 1 기판(101)의 타측 영역을 먼저 제 2 고정 부재(210)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 2 기판(102)을 수납 부재(200)에 배치한다. 이때, 먼저 제 2 기판(102)의 타측 영역을 제 2 고정 부재(210)에 삽입한 다음,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중첩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고정 부재(160)로 수납 부재(200)와 제 2 기판(102) 간을 고정한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과 수납 부재(200) 사이에는 점성을 갖는 써멀 패드(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써멀 패드를 통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열을 수납 부재(200)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써멀 패드의 점성으로 인해 수납 부재(200)와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에는 반사 부재(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반사부재(170)는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된 다수의 발광 소자부(110) 실장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기판(102) 상에 형성되는 반사부재(170)는 제 2 기판(102)의 발광 소자부(110) 실장 영역과 관통홀(140)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사부재(170)를 통해 발광 소자부(110)가 발광하는 광 중 하부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170)를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 영역에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된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상측 영역에 확산판(미도시)과 복수의 광학 시트(미도시)를 배치한다. 확산판은 복수의 발광 다아이오드부(110)의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킨다. 광학 시트는 확산된 광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 시트 내에는 프리즘 시트가 포함되어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120)은 제 1 기판(101)의 하부면 일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부의 두께는 제 1 기판(101)의 두께를 1로 하였을 경우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2 고정 패턴(130)은 제 2 기판(102)의 상부면 일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 2 돌출부의 두께는 제 2 기판(102)의 두께를 1로 하였을 경우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두께를 1로 하였을 경우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두께는 각각 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기판(102)의 제 2 돌출부 인접 영역에는 상기 수납 부재(200)와 고정된 제 1 고정 부재(160)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에는 각기 제 2 고정 부재(210)가 마련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2 기판(102)의 제 2 돌출부가 제 1 기판(101)의 제 1 돌출부 상에 마련되어 제 1 기판(101) 일측 영역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의 중첩 영역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절곡된 직선 형상이다.
따라서,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은 각기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즉, 제 2 돌출부)과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은 각기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60, 210)에 의해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120)은 제 1 기판(101)의 측면 일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제 1 기판(101)의 두께를 1로 하였을 경우 0.2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2 고정 패턴(130)은 제 2 기판(102)의 측면 일부가 들어간 오목부를 포함한다. 오목부의 개구 두께는 돌출부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기판(101)의 돌출부가 제 2 기판(102)의 오목부에 내삽된다. 제 2 기판(102)의 오목부 인접 영역에는 상기 수납 부재(200)와 고정되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제 2 기판(102)의 오목부 영역은 제 1 고정 부재(160)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고, 제 1 기판(101)은 제 2 기판(102)의 오목부에 삽입된 돌출부에 의해 그 들뜸이 방지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기판(101)의 돌출부 인접 영역에 수납 부재(200)와 제 1 기판(101) 간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 1 기판(101)의 돌출부 영역은 제 1 고정 부재(160)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고, 제 2 기판(102)은 제 2 기판(102)의 오목부에 삽입된 제 1 기판(101)의 돌출부에 의해 그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중첩 영역의 수직 단면을 보면 제 1 기판(101)의 상하에 제 2 기판(102)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기판(102)으로 제 1 기판(101)을 눌러 제 1 기판(10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기판(101)으로 제 2 기판(102)을 눌러 제 2 기판(102)의 들뜸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도,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에는 각기 제 2 고정 부재(210)가 마련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1)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120)은 제 1 기판(101)의 측벽면에 형성된 제 1 요철부를 포함한다. 제 2 기판(102)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2 고정 패턴(130)은 제 2 기판(102)의 측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요철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 2 요철부를 포함한다. 즉, 제 1 기판(101)의 측벽면 상측에 철(凸)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요(凹)부가 형성된다. 동시에 상기 제 2 기판(102)의 측벽면 상측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철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요철부는 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요철부가 결합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결합 영역의 수직 단면 형상은 곡선 형상(S자 형상)이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요철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 기판(102)의 제 2 요철부 인접 영역에 상기 제 2 기판(102)과 수납 부재(200)를 결합하는 제 1 고정부재(160)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 기판(102)은 제 1 고정 부재(160)에 의해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기판(101)은 제 2 요철부와 결합된 제 1 요철부에 의해 그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기판(101)의 제 1 요철부 인접 영역에 상기 제 1 기판(101)과 수납 부재(200)를 결합하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부(101)가 각기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101)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판(102)을 결합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앞선 종래기술에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사이즈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는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되는 기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기판의 사이즈를 크게 할 경우에는 큰 사이즈의 기판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쉽게 휘어 지는 등의 기판 제어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제 1 기판(101a, 101b)과 두개의 제 2 기판(102a, 102b)을 구비한다. 즉, 첫번째 제 1 기판(101a)은 수납 부재(200)의 좌측 하단에 배치한다. 첫번째 제 2 기판(102a)은 첫번째 제 1 기판(101a)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첫번째 제 2 기판(102a)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중첩되도록 수납 부재(200)의 우측 하단에 배치한다. 두번째 제 1 기판(101b)은 첫번째 제 2 기판(102a)과 그 일변이 밀착되도록 수납 부재(200)의 우측 상단에 배치한다. 두번째 제 2 기판(102b)은 첫번째 제 1 기판(101a)과 그 일변이 밀착되고, 두번째 제 1 기판(101b)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두번째 제 2 기판(102b)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중첩되도록 좌측 상단에 배치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이 중첩된 첫번째 제 1 및 제 2 기판(101a, 102a)과 두번째 제 1 및 제 2 기판(101b, 102b)이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밀러 대칭되도록 수납 부재(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이용 하여 이들을 다양하게 배치시켜 대면적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기판의 인접 영역들을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으로 결합시켜 대면적의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제 2 실시예의 기술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각기 실장된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판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은 제 1 고정 패턴(120a, 120b; 120)과 제 1 고정 패턴(120)에 대응하는 제 2 고정 패턴(130a, 130b; 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은 수납 부재(200) 내에서 인접 배치된다. 일 기판의 제 1 및/또는 제 2 고정 패턴(120, 130)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기판들의 제 1 및/또는 제 2 고정 패턴(120, 130)과 중첩된다.
본 실시예의 제 1 및 제 3 기판(103, 105)은 각기 두개의 제 1 고정 패턴(120a, 120b)을 포함하고,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은 각기 두개의 제 2 고정 패턴(130a, 130b)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03)의 첫번째 제 1 고정 패턴(120a)과 제 2 기판(104)의 첫번째 제 2 고정 패턴(130a)이 중첩되고, 제 1 기판(103)의 두번째 제 1 고정 패턴(120b)과 제 4 기판(106)의 첫번째 제 2 고정 패턴(130a)이 중첩된다. 제 3 기판(105)의 첫번째 제 1 고정 패턴(120a)과 제 2 기판(104)의 두번째 제 2 고정 패턴(130b)이 중첩되고, 제 3 기판(105)의 두번째 제 1 고정 패턴(120b)과 제 4 기판(106)의 두번째 제 2 고정 패턴(130b)이 중첩된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3 기판(103, 105)의 4변 중 두개의 변은 각기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의 두개의 제 2 고정 패턴(130a, 130b) 인접 영역에는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과 수납 부재(200)를 결합하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마련된다. 이때,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의 제 2 고정 패턴(130) 인접 영역에는 상기 제 1 고정 부재(160)가 관통하는 관통홀(140)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측벽면에서 돌출된 제 2 고정 부재(210)가 마련되어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을 고정한다.
도 13에서는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두개의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을 제 2 고정 부재(210)로 고정함을 도시하였다. 이를 통해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의 3변을 고정시켜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기판(103) 및 제 3 기판(105)의 4변 중 두 변은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의 제 2 고정 패턴(130)에 의해 고정되고, 한 변은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고정된다. 제 2 기판(104) 및 제 4 기판(106)의 두 변은 제 1 고정 부재(160)에 의해 고정되고, 한 변은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두개의 변 모두를 고정하도록 제 2 고정 부재(210)를 마련하여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의 4변이 모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3)의 두개의 제 1 고정 패턴(120)이 중첩되는 영역과, 제 2 기판(104)의 두개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중첩되는 영역은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절단 영역으로 제 3 및 제 4 기판(105, 106)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의 조립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및 제 3 기판(103, 105)의 일부 변이 수납 부재(200)의 제 2 고정 부재(210)에 고정되도록 배치한다. 제 2 기판(140)을 수납 부재(200)의 제 2 고정 부재(210)에 고정되도록 한 다음 제 2 기판(104)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제 1 및 제 3 기판(103, 105)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제 1 고정 부재(160)를 이용하여 제 2 기판(104)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한다. 제 4 기판(106)을 수납 부재(200)의 제 2 고정 부재(210)에 고정되도록 한 다음 제 4 기판(106)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제 1 및 제 3 기판(103, 105)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이후 제 1 고정 부재(160)를 이용하여 제 4 기판(106)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이 고정된 수납 부재(200) 내에 확산판(미도시) 및 광학시트들(미도시)을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한다.
상기에서는 4개의 기판을 결합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함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4개의 기판보다 더 많은 수의 기판을 사용하여 대면적의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않고,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을 변경시켜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 간을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제 1 및 제 4 기판(103, 106)은 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을 포함하고, 제 2 기판(104)은 두개의 제 2 고정 패턴(130a, 130b; 130)을 포함하고, 제 3 기판(105)은 두개의 제 1 고정 패턴(120a, 120b; 12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03)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제 2 기판(104)의 첫번째 제 2 고정 패턴(130a)이 중첩된다. 제 2 기판(104)의 두번째 제 2 고정 패턴(130b)과 제 3 기판(105)의 첫번째 제 1 고정 패턴(120a)이 중첩된다. 제 3 기판(105)의 두번째 제 1 고정 패턴(120b)과 제 4 기판(106)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중첩된다. 제 4 기판(106)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제 1 기판(103)의 제 2 고정 패턴(130)이 중첩된다.
이를 통해 제 3 기판(105)의 4변 중 두 변은 각기 제 2 및 제 4 기판(104, 106)에 의해 고정된다. 제 4 기판(106)의 하나의 변은 제 1 기판(103)에 의해 고정되고, 제 1 기판(103)의 하나의 변은 제 2 기판(104)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기판(104)의 첫번째 제 2 고정 패턴(130a) 인접 영역에는 제 2 기판(104)과 수납부재(200)를 결합하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마련된다. 제 2 기판(104)에는 상기 제 1 고정 부재(160)가 관통하는 관통홀(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재(210)로 나사를 사용하여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하였다. 이에 제 1 내지 제 4 기판(103, 104, 105, 106)에는 각기 제 2 고정 부재(210)가 관통하는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제 1 기판(103)은 제 2 고정 부재(210)와 제 2 기판(105)에 의해 들뜸이 방지된다. 제 2 기판(104)은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60, 210)에 의해 들뜸이 방지된다. 제 3 기판(105)은 제 2 및 제 4 기판(104,106)과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들뜸이 방지된다. 제 4 기판(106)은 제 1 기판(103)과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들뜸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기판을 동시에 수납 부재에 고정시켜 대면적 백라이트 유닛의 제작을 위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제 3 실시예의 기술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101a, 101b; 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판(102a, 102b; 102)과,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이 수납되는 수납 부재(200)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중첩 영역에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을 상기 수납 부재(200)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01)은 제 2 기판(102)과 중첩되는 제 1 고정 패턴(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 패턴(120) 내에는 제 1 고정 부재(160)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141)이 마련된다. 제 2 기판(102)은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중첩되는 제 2 고정 패턴(130)을 포함한다. 제 2 고정 패턴(130) 내에는 제 1 고정 부재(160)이 관통하는 제 2 관통홀(142)이 마련된다. 도 16 및 도 1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패턴은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 2 고정 패턴은 제 1 고정 패턴에 대응하는 상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기판의 제 1 고정 패턴과 제 2 기판의 제 2 고정 패턴이 중첩되는 경우 제 2 고정 패턴이 제 1 고정 패턴의 상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을 중첩 시킬 경우 중첩 영역의 두께는 제 1 및 제 2 기판의 두께와 동일하게 된다.
제 1 고정 부재(160)는 제 1 및 제 2 관통홀(141, 142)을 통과하여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 영역과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 영역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시킨다. 제 1 고정 부재(160)는 나사 또는 고정 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납 부재(200)에 마련된 갈고리 형상의 돌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 부재(160)를 통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일측 영역(즉,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이 중첩되는 영역)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 영역을 중첩시키고, 이 중첩 영역을 제 1 고정 부재(160)로 수납 부재(200)에 고정시켰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 고정을 위한 제 1 고정 부재(16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기판에 각기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 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제 4 실시예의 기술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101a, 101b; 101),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및 제 2 기판(102a, 102b; 102)과,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이 수납되는 수납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일측 영역에는 각기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이 마련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제 1 기판(101a)은 3개의 제 1 고정 패턴(120)과, 제 1 고정 패턴(120) 사이에 마련된 2개의 제 2 고정 패턴(130)을 포함한다. 첫번째 제 2 기판(102a)은 3개의 제 2 고정 패턴(130)과, 제 2 고정 패턴(130) 사이에 마련된 2개의 제 1 고정 패턴(120)을 포함한다. 첫번째 제 1 기판(101a)의 3개의 제 1 고정 패턴(120)은 첫번째 제 2 기판(102a)의 3개의 제 2 고정 패턴(130)에 대응되고, 첫번째 제 1 기판(101a)의 2개의 제 2 고정 패턴(130)은 두번째 제 2 기판(102a)의 2개의 제 1 고정 패턴(120)에 대응된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수납 부재(200) 내에 수납되고, 이때 제 1 기판(101)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과 제 2 기판(102)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 영역이 중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고정 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판(102)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 인접 영역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 1 기판(101)의 제 1 고정 패턴(120)은 제 2 기판(102)의 제 2 고정 패턴(130)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기판(101)의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20, 130) 인접영역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는 제 2 기판(102)이 제 1 고정 패턴(120)이 제 1 기판(101)의 제 2 고정 패턴(130)에 의해 고정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타측 영역은 수납 부재(200)의 측벽 영역에 돌출된 제 2 고정 부재(210)에 의해 수납 부재(200)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4변 중 대응하는 두 변 영역(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수납 부재(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고정을 위한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1000)과,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20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00)은 액정 표시 패널(600) 및 구동 회로부(700)를 포함 한다.
액정 표시 패널(60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rm transistor; TFT) 기판(610)과 공통 전극 기판(620)을 포함한다. 상기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610)과 공통 전극 기판(620) 사이에는 액정층이 마련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610)과 공통 전극 기판(620)은 유리와 같은 투광성 절연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61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로 방향으로 뻗은 게이트 라인과 세로 방향으로 뻗은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극 기판(62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과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액정 표시 패널(600)의 구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이를 통해 데이터 라인의 전기적 신호를 화소 전극에 공급하여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전계가 변화시킨다. 이로 인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공통 전극 기판 사이에 마련된 액정의 배열이 변화되어, 액정층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700)는 액정 표시 패널(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회로들이 마련된 제어 회로 기판(710)과 상기 제어 회로 기판(710)과 액정 표시 패널(600)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7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 기판(7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신호 공급부가 IC 칩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신호 공급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610)의 주변 영역에 스테이지 형태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서는 하나의 제어회로 기판(710)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게이트 신호 공급부가 IC 칩 형태로 배치된 별도의 제어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회로 기판(710)은 외부 전원과 영상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에 맞는 전원과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조립시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720)이 절곡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710)가 백라이트 유닛(2000)의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600)의 상측에는 상부 수납 부재(800)가 마련된다. 상기의 상부 수납 부재(300)는 강도가 우수하고, 가벼우며, 변형이 적은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사각 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부 수납 부재(300)는 액정 표시 패널(6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600) 및 백라이트 유닛(2000)을 보호한다.
다음으로, 백라이트 유닛(2000)은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각기 실장된 복수의 기판(101, 102)과, 상기 복수의 기판(101, 102)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200)와, 상기 복수의 기판 상에 마련된 확산판(300) 및 광학 시트(400)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판(101, 102)은 수납 부재(200) 내에 단일 두께를 갖는 대략 한층으로 짜맞추어 형성된다. 이때, 복수 기판(101, 102)의 배열을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기판(101, 102)이 매트릭스 형태로 수납 부재(200) 내에 수납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기판(101, 102) 각각은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행 및/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판(101, 102)과 그 일부가 중첩된다. 그리고, 중첩 영역에서의 일 기판(101)은 하측에 마련되고 타 기판(102)은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첩 영역 상부에 배치된 기판(102)은 제 1 고정 부재(160)를 통해 상기 수납 부재(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 부재(160)는 중첩 영역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또는 제 1 고정 부재(160)는 중첩 영역에 마련되어 기판(101, 102)들을 상기 수납 부재(200)에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부재(200)와 인접 또는 밀착된 기판(101, 102)들은 제 2 고정 부재(210)를 통해 상기 수납 부재(200)와 고정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가 마련된 복수의 기판(101, 102)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인접한 기판(101, 102)들 사이를 갭이 없이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의 확산판(300)은 발광 소자부(110)의 광을 액정 표시 패널(600)의 정면으로 향하게 하고,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광을 확산시켜 액정 표시 패널(600)에 조사하게 한다. 이러한 확산판(300)으로는 양면에 소정의 광 확산용 부재가 코팅된 투명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시트(400)는 편광 시트 및 휘도 향상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시트는 편광축에 따라 입사광을 편광시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표시 패 널과 수직한 방향의 광만을 출력시켜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휘도 향상 시트는 투과축과 나란한 광은 투과시키고 수직한 광은 반사 시킨다. 상기 투과축은 편광 시트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작하여 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납 부재(200)는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하부 수납 부재(200)는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130, 140)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변과 대응하는 변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된 제 2 고정부재(210)를 포함한다. 제 2 고정 부재(210)는 수납 부재(2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물론 제 2 고정 부재(210)는 수납 부재(200)의 측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기판(101, 102) 뿐만 아니라 상기 확산 시트(300) 및 광학 시트(400)는 상기 수납 부재(200) 내측에 수납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 시트(300) 및 광학 시트(400)를 고정하는 몰드 프레임(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500)은 상측에 마련된 액정 표시 패널(600)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기판(101, 102) 각각의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기판 상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소자부(11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된 복수의 기 판을 결합시켜 백라이트 유닛의 면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기판을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이 일 기판의 일측 영역으로 다른 기판의 일측 영역을 고정하여 복수의 기판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판의 결합시 결합면 인접 영역에서 사용되는 고정 부재의 개수 및 기판간의 갭을 줄여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기판의 양 끝단을 수납 부재 내에 마련된 갈고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기판마다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각 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 소자부를 기판 별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31)

  1. 복수의 발광 소자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는 한쌍 이상의 제 1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
    상기 제 2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고정 패턴과 중첩되는 제 2 고정 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패턴 상측에 상기 제 2 고정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에 마련된 백라이트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기판 하부의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패턴은 하향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면이고, 상기 제 2 고정 패턴은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상향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면인 백라이트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패턴과 상기 제 2 고정 패턴이 접촉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 하측 영역이 돌출된 제 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판의 상측 영역이 돌출된 제 2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패턴은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패턴은 상기 제 1 요철부에 대응되는 제 2 요철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 영역의 두께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두께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각각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는 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제 1 내지 제 3 양 및 음 단자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백라이트 유닛.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영역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나사, 상기 수납 부재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측 돌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고정하는 갈고리,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하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이 각기 결합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기판들이 상기 수납 부재 내에 인접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14. 복수의 발광 소자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는 한쌍 이상의 제 1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된 제 1 고정 패턴;
    상기 제 2 기판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고정 패턴과 중첩되는 제 2 고정 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 영역 상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 영역의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마련된 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판 하부의 상기 수납부재에 고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의 중첩면의 수직 단면 형상은 사선, 절곡된 직선 및 곡선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백라이트 유닛.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영역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나사, 상기 수납 부재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홈을 관통하여 상측 돌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고정하는 갈고리,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하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패턴이 각기 결합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기판들이 상기 수납 부재 내에 인접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20. 수납 부재;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고, 상기 수납 부재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판; 및
    서로 인접 하는 기판들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의 상기 중첩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거나, 상기 중첩 영역에 마련된 백라이트 유닛.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인접한 기판들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행 방향, 열 방향 또는 행 방향과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판들 간이 중첩되는 백라이트 유닛.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의 두께와 상기 기판의 두께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서로 인접 하는 기판들은 상기 인접 영역 내에서 복수번 중첩되는 백라이트 유닛.
  2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 각각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7. 수납 부재와, 복수의 발광 소자부가 각기 실장되고, 상기 수납 부재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판 및 서로 인접 하는 기판들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 부재를 포함하 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판 상에 형성된 반사판과, 상기 복수의 기판 상에 배치된 확산판 및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중첩 영역 상측에 위치한 기판의 상기 중첩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거나, 상기 중첩 영역에 마련된 액정 표시 장치.
  30.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인접한 기판들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31.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행 방향, 열 방향 또는 행 방향과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판들 간이 중첩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75302A 2006-08-09 2006-08-0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13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02A KR20080013592A (ko) 2006-08-09 2006-08-0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7012008A JP2008041639A (ja) 2006-08-09 2007-01-22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EP07015050A EP1895355A3 (en) 2006-08-09 2007-08-01 Splice joint-like seams between LED panel tiles in a backlight unit for a display device
TW096129179A TW200815843A (en) 2006-08-09 2007-08-08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836,284 US20080036940A1 (en) 2006-08-09 2007-08-09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A2007101701846A CN101149532A (zh) 2006-08-09 2007-08-09 背光单元及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02A KR20080013592A (ko) 2006-08-09 2006-08-0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92A true KR20080013592A (ko) 2008-02-13

Family

ID=3873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302A KR20080013592A (ko) 2006-08-09 2006-08-0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36940A1 (ko)
EP (1) EP1895355A3 (ko)
JP (1) JP2008041639A (ko)
KR (1) KR20080013592A (ko)
CN (1) CN101149532A (ko)
TW (1) TW200815843A (ko)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310A2 (en) * 2008-06-11 2009-12-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emovable tiles for electronic display backlights
WO2010059930A2 (en) * 2008-11-20 2010-05-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ed tile luminance control circuitry and display containing the same
KR20110002895A (ko) * 2009-06-29 2011-01-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KR20110074812A (ko) * 2009-12-26 2011-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의 조립방법
US8125163B2 (en) 2008-05-21 2012-02-2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8351013B2 (en)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mbined serial/parallel light configuration and single layer PCB containing the same
US8369083B2 (en) 2010-02-16 2013-02-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engaging cooling fans within an electronic display
US8569910B2 (en) 2009-02-24 2013-10-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parameters response to current draw
US8988011B2 (en) 2008-05-21 2015-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cklight luminance variations
US9799306B2 (en) 2011-09-23 2017-10-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US9924583B2 (en) 2015-05-14 2018-03-20 Mna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US10126579B2 (en) 2013-03-14 2018-11-13 Manfu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igid LCD assembly
US10191212B2 (en) 2013-12-02 2019-01-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xpandable light guide for backlight
US10261362B2 (en) 2015-09-01 2019-04-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Optical sheet tensioner
US10431166B2 (en) 2009-06-03 2019-10-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US10466539B2 (en) 2013-07-03 2019-11-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Airguide backlight assembly
US10527276B2 (en) 2014-04-17 2020-01-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od as a lens element for light emitting diodes
US10578658B2 (en) 2018-05-07 2020-03-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isplay assembly
US10586508B2 (en) 2016-07-08 2020-03-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image capture device data
US10593255B2 (en) 2015-05-14 2020-03-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10607520B2 (en) 2015-05-14 2020-03-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10649273B2 (en) 2014-10-08 2020-05-1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ED assembly for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nd static graphic
US10782276B2 (en) 2018-06-14 2020-09-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CN113960836A (zh) * 2021-10-09 2022-01-21 星源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密封性能良好便于组装的miniLED背光模组
CN114137756A (zh) * 2021-12-09 2022-03-0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器
US11526044B2 (en) 2020-03-27 2022-12-1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WO2023234520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US12007637B2 (en) 2023-10-06 2024-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2116B2 (ja) * 2007-04-20 2010-09-0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968014B2 (ja) * 2007-11-22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438583B1 (ko) * 2008-01-21 2014-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368751B2 (ja) * 2008-08-28 2013-12-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1528884B1 (ko) * 2008-08-28 2015-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방법
JP4715895B2 (ja) * 2008-09-29 2011-07-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JP5222188B2 (ja) * 2009-03-16 2013-06-26 高山 陳 Ledライト用散熱器のモジュール構造
JP5351723B2 (ja) * 2009-05-22 2013-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EP2428719B1 (en) * 2009-06-15 2016-01-13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628228B1 (ko) 2009-09-10 2016-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1048835A1 (ja) * 2009-10-19 2011-04-2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322892B2 (ja) * 2009-11-06 2013-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67978A1 (ja) * 2009-12-02 2011-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8564731B2 (en) * 2009-12-23 2013-10-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JP2011237723A (ja) * 2010-05-13 2011-11-24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
CN102563386A (zh) * 2010-12-16 2012-07-11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灯具及其制造方法
JP5943937B2 (ja) * 2010-12-16 2016-07-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Ledに基づく組立品
JP5774861B2 (ja) * 2011-02-07 2015-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1881065B1 (ko) * 2011-12-21 2018-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닛
US9159271B2 (en) 2012-04-11 2015-10-13 Liquid Design Systems Inc.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136501B2 (ja) 2013-04-12 2017-05-31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020591B (zh) * 2014-06-18 2017-07-21 上海启钧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结构及其安装方法
TWI563324B (en) * 2014-09-11 2016-12-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with partially overlapped film design
TWI526740B (zh) * 2014-09-11 2016-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薄型背光模組
US20160227156A1 (en) * 2015-02-02 2016-08-04 Hisense Hiview Tech Co., Ltd. Modular television system
US11121298B2 (en) 2018-05-25 2021-09-14 Creeled, Inc. Light-emitting diode packages with individually controllable light-emitting diode chips
US11335833B2 (en) * 2018-08-31 2022-05-17 Creeled, Inc. Light-emitting diodes, light-emitting diode arrays and related devices
US11233183B2 (en) 2018-08-31 2022-01-25 Creeled, Inc. Light-emitting diodes, light-emitting diode arrays and related devices
KR102589620B1 (ko) 2018-10-29 202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799648B (zh) * 2019-04-10 2021-12-24 合肥京东方视讯科技有限公司 光源组件、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11101411B2 (en) 2019-06-26 2021-08-24 Creeled, Inc. Solid-stat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ing light emitting diodes in package structures
CN110703495B (zh) * 2019-09-17 2022-05-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13093434A (zh) * 2019-12-23 2021-07-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5698838A (zh) * 2020-04-29 2023-02-03 康宁公司 具有覆瓦状组件的显示设备
CN114217467B (zh) * 2021-12-10 2024-01-2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的制备方法、显示装置及拼接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9759B2 (ja) * 2003-04-23 2009-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ネル貼り合せ構造を有する表示装置
JP2005266285A (ja) * 2004-03-18 2005-09-2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86968B1 (ko) * 2004-05-28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어셈블리
US7997771B2 (en) * 2004-06-01 2011-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ED array systems
TWM265638U (en) * 2004-10-08 2005-05-21 Au Optronics Corp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backlight module thereof
KR101158897B1 (ko) * 2005-04-29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134375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ited B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8993B2 (en) 2008-03-03 2014-02-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mbined serial/parallel light configuration and single layer PCB containing the same
US8351013B2 (en)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mbined serial/parallel light configuration and single layer PCB containing the same
US9030129B2 (en) 2008-05-21 2015-05-1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8988011B2 (en) 2008-05-21 2015-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cklight luminance variations
US8829815B2 (en) 2008-05-21 2014-09-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9167655B2 (en) 2008-05-21 2015-10-2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10440790B2 (en) 2008-05-21 2019-10-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system with illumination control
US8125163B2 (en) 2008-05-21 2012-02-2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9867253B2 (en) 2008-05-21 2018-01-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8537302B2 (en) 2008-06-11 2013-09-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quid crystal display assembly comprising an LED backlight assembly and a movable element placed behind the LED backlight assembly having a hinge to allow access to a rear portion of the LED backlight assembly
WO2009152310A2 (en) * 2008-06-11 2009-12-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emovable tiles for electronic display backlights
WO2009152310A3 (en) * 2008-06-11 2010-03-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emovable tiles for electronic display backlights
WO2010059930A3 (en) * 2008-11-20 2010-09-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ed tile luminance control circuitry and display containing the same
WO2010059930A2 (en) * 2008-11-20 2010-05-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ed tile luminance control circuitry and display containing the same
US8569910B2 (en) 2009-02-24 2013-10-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parameters response to current draw
US10431166B2 (en) 2009-06-03 2019-10-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KR20110002895A (ko) * 2009-06-29 2011-01-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KR20110074812A (ko) * 2009-12-26 2011-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의 조립방법
US8649170B2 (en) 2010-02-16 2014-02-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engaging cooling fans within an electronic display
US8369083B2 (en) 2010-02-16 2013-02-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engaging cooling fans within an electronic display
US10255884B2 (en) 2011-09-23 2019-04-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US9799306B2 (en) 2011-09-23 2017-10-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US10831050B2 (en) 2013-03-14 2020-11-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igid LCD assembly
US10126579B2 (en) 2013-03-14 2018-11-13 Manfu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igid LCD assembly
US10466539B2 (en) 2013-07-03 2019-11-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Airguide backlight assembly
US10191212B2 (en) 2013-12-02 2019-01-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xpandable light guide for backlight
US10921510B2 (en) 2013-12-02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xpandable light guide for backlight
US10527276B2 (en) 2014-04-17 2020-01-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od as a lens element for light emitting diodes
US10649273B2 (en) 2014-10-08 2020-05-1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ED assembly for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nd static graphic
US11474393B2 (en) 2014-10-08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ghting assembly for electronic display and graphic
US10412816B2 (en) 2015-05-14 2019-09-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US10593255B2 (en) 2015-05-14 2020-03-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10607520B2 (en) 2015-05-14 2020-03-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9924583B2 (en) 2015-05-14 2018-03-20 Mna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US10321549B2 (en) 2015-05-14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US11275269B2 (en) 2015-09-01 2022-03-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Optical sheet tensioning device
US10768483B2 (en) 2015-09-01 2020-09-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Optical sheet tensioning device
US10261362B2 (en) 2015-09-01 2019-04-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Optical sheet tensioner
US11656498B2 (en) 2015-09-01 2023-05-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Optical sheet tensioning device
US10586508B2 (en) 2016-07-08 2020-03-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image capture device data
US10578658B2 (en) 2018-05-07 2020-03-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isplay assembly
US11656255B2 (en) 2018-05-07 2023-05-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 display assembly
US11022635B2 (en) 2018-05-07 2021-06-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isplay assembly
US11774428B2 (en) 2018-06-14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US11293908B2 (en) 2018-06-14 2022-04-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US10782276B2 (en) 2018-06-14 2020-09-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US11526044B2 (en) 2020-03-27 2022-12-1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US11815755B2 (en) 2020-03-27 2023-11-1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CN113960836A (zh) * 2021-10-09 2022-01-21 星源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密封性能良好便于组装的miniLED背光模组
CN113960836B (zh) * 2021-10-09 2024-01-12 星源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密封性能良好便于组装的miniLED背光模组
CN114137756B (zh) * 2021-12-09 2022-09-2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器
CN114137756A (zh) * 2021-12-09 2022-03-0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器
WO2023234520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US12007637B2 (en) 2023-10-06 2024-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1639A (ja) 2008-02-21
CN101149532A (zh) 2008-03-26
US20080036940A1 (en) 2008-02-14
TW200815843A (en) 2008-04-01
EP1895355A3 (en) 2008-03-26
EP1895355A2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359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140206B2 (ja) 表示装置
KR10129474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5583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7981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04892B1 (ko) 발광다이오드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27796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913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EP2068378B1 (en) LED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8003234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64871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세트
KR2013006325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8795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8848134B2 (en) LED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1813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172262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119453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161596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129421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277853A (ja) バックライト
KR10193354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5539A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60068029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