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397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397A
KR20080013397A KR1020060074862A KR20060074862A KR20080013397A KR 20080013397 A KR20080013397 A KR 20080013397A KR 1020060074862 A KR1020060074862 A KR 1020060074862A KR 20060074862 A KR20060074862 A KR 20060074862A KR 20080013397 A KR20080013397 A KR 20080013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abine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372B1 (ko
Inventor
김강영
우형주
박내현
장규섭
홍영기
김세현
송혜영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372B1/ko
Priority to EP07746797.5A priority patent/EP2049843B1/en
Priority to PCT/KR2007/002650 priority patent/WO2008018678A2/en
Publication of KR2008001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냉,난방 또는 정화 등 공기 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디스챠지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를 회전시키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됨과 아울러,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토출 기류가 형성될 수 있어 토출 기류감이 최적화될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유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실외기, 캐비닛, 디스챠지, 디스챠지 회전 유닛, 토출 기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ir-condition's Indoor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조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프론트 패널이 열렸을 때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스챠지 및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챠지 회전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챠지 회전 모드 운전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챠지 회전 정지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또 다른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실내기 2: 실외기
3: 냉매 배관 10: 캐비닛
11: 좌측 흡입구 12: 우측 흡입구
20: 탑 패널 21: 제1토출구
22: 제2토출구 23: 제3토출구
24: 제1토출 루버 25: 제2토출 루버
26: 제3토출 루버 30: 베이스
40: 메인 프레임 41: 좌측 패널
42: 우측 패널 43: 후면 패널
44: 좌측 흡입그릴 47: 우측 흡입그릴
50: 프론트 패널 52: 탑 패널
54: 프론트 이너 패널 60: 송풍기
70: 열교환기 100: 디스챠지
102: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 104: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
106: 디스챠지 탑 패널 110: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120: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구동유닛 160: 디스챠지 회전유닛 브래킷
170: 디스챠지 베어링 180: 디스챠지 홀더
190,192: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200: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기구
201,202: 드라이브 기어 204: 드리븐 기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비닛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을 따라 바뀔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공조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필터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 측에 냉각/방열 기능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 측에 방열/냉각 및 압축 기능의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 압축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700)의 전면 상부 중앙에 전면 중앙 토출구(702)가 형성되고,상기 캐비닛(70)의 전면 상부 양측에 각각 전면 좌,우 토출구(70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7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좌,우 흡입구(706)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702)에는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7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토출 그릴(710)이 배치된다.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704)에는 각각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704)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71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좌,우 흡입구(706)에는 각각 상기 좌,우 흡입구(706)에는 흡입 그릴(714)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706)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캐비닛(700) 내부에서 냉각/가열 등 공조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702) 및 전면 좌,우 토출구(704)를 통해 실내기의 상부 전방을 향해 토출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좌,우 흡입구(706)와 전면 중앙 토출구(702) 및 전면 좌,우 토출구(704)가 상기 캐비닛(700)의 전면 측에만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하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상부로만 토출되므로, 토출 기류의 방향이 한정적이고 항상 같기 때문에 효율적인 냉/난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기류의 방향으로 인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제약을 받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의 상측부에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내 상측부에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디스챠지가 회전 가능토록 구비됨으로써, 토출 기류감이 최적화될 수 있고, 토출 기류 방향으로 인한 설치 위치 제약이 없어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디스챠지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를 회전시키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의 전면은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 배치된 프론트 이너 패널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토출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보조 토출구 베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는 적어도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부위가 다각형 구조이고, 상기 디스챠지는 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챠지의 하면에는 디스챠지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챠지의 둘레면에는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와 대향되는 디스챠지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챠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디스챠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를 개폐하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과;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에 고정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디스챠지와 결합된 드리븐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은, 상기 디스챠지와 직결된 회전축을 갖는 디스챠 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조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공기 조화가 요구되는 실내(I)에 적어도 한 대 이상 설치되고, 실내(I) 밖에 설치된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실외기(2)와 냉매배관(3)으로 연결되어 실내(I)를 냉/난방시키거나 정화시킨다. 이하 한 대의 실내기(1)와 한 대의 실외기(2)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프론트 패널이 열렸을 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캐비닛(10)이 상하방향으로 길고, 원형 구조도 가능하고 다각형 구조도 가능한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대략 팔각형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일측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12)가 형성되고, 타측에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14)(1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12)는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 성되는데, 흡입 기류 방향이 다양하면 실내의 공기가 신속하고 고르게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1)(12)가 2개로 구비되고, 외관 수려함을 위해 눈에 잘 띄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10)이 실내의 벽에 근접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상기 캐비닛(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좌측에 배치된 흡입구(11)를 좌측 흡입구(11)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우측에 배치된 흡입구(12)를 우측 흡입구(12)라 한다.
또한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는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면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공조될 수 있는 바, 실내의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하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3)(14)(15)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다양하면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공조될 수 있는 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동일 수평면 상에서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실내 공간이 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실내의 벽에 근접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면 중 실내의 벽과 근접한 면은 실내의 벽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므로,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면 중 실내의 벽과 근접한 면을 제외한 면 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3)(14)(15)가 3개로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을 정면에 배치된 토출구(13)를 전면 토출구(13)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좌측에 배치된 토출구(14)를 좌측 토출구(14)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우측에 배치된 토출구(15)를 우측 토출구(15)라 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13)(14)(15)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게 하는 보조 토출구(16)(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토출구(16)(미도시)는 상기 캐비닛(10)의 실내의 벽에 근접하면 토출 기류 저항이 커지므로,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 사이와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우측 토출구(15) 사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 사이에 배치된 보조 토출구(16)를 좌측 보조 토출구(16)라 하고,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우측 토출구(15) 사이에 배치된 보조 토출구(16)를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라 한다.
상기한 캐비닛(10)은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가 형성된 하부와 상기 전면 토출구(13), 좌측 토출구(14), 우측 토출구(15)가 형성된 상부로 분리된 구조도 가능하고, 일체형 구조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일체화된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일체형 구조의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을 이루는 베이 스(30)와,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정면을 제외한 7개의 둘레면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40)과,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정면을 이루는 프론트 패널(50)과,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상측에 올려져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을 이루는 탑 커버(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프론트 패널(50)이 올려져 설치되는 베이스 인스톨부(32)와,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열교환기(70)가 올려짐과 아울러 열교환기(7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팬부(34)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향 돌출된 좌측 판부(35)와, 상기 좌측 판부(35)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향 돌출된 우측 판부(36)와, 상기 좌측 판부(35)와 우측 판부(36)의 상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배수홀(37a)이 형성된 상측 박스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박스부(37)에는 상기 배수홀(37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 호스(38)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30)는 플라스틱 사출되어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드레인 팬부(34)를 베이스 인스톨부(32)와 일체로 돌출 성형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팬부(34) 특히, 상기 상측 박스부(37)의 하부에 개구부(30a)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개구부(30a)의 하단을 막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의 저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베이스 커버(30b)를 더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의 저면이 실내의 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과 접촉되는 별도의 베이스 패널(39) 위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가 올려져 체결되는 베이스 패널(3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3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좌측 패널(41)과, 상기 베이스(3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 우측 패널(42)과, 상기 베이스(3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후면 패널(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그 하측부에 상기 좌측 흡입구(11)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고, 그 상측부에 좌측 토출구(14)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흡입구(11)에 배치된 좌측 흡입 그릴(44)이 결합된다.
상기 좌측 흡입 그릴(44)에는 상기 좌측 흡입 그릴(44)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좌측 프리 필터(45a)가 착탈된다.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프리 필터(45a)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좌측 고성능 필터(45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고성능 필터(45b)가 착탈되는 좌측 필터 가이드(45c)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패널(42)은 상기 좌측 패널(41)과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측 패널(42)은 그 하측부에 상기 우측 흡입구(12)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고, 그 상측부에 상기 우측 토출구(15)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상기 우측 흡입구(12)에 배치되는 우측 흡입 그릴(47)이 결합된다.
상기 우측 흡입 그릴(47)에는 상기 우측 흡입 그릴(47)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우측 프리 필터(48a)가 착탈된다.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우측 프리 필터(48a)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우측 고성능 필터(48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상기 우측 고성능 필터(48b)가 착탈되는 우측 필터 가이드(48c)가 설치된다.
상기 후면 패널(43)은 그 일측에 상기 배수 호스(38)와 후술하는 열교환기(70)의 냉매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관통홀(43a)이 형성된 배관 커버(43b)가 장착되는 바, 그 하부에 상기 배관 커버(43b)가 장착되는 배관 커버 장착부(43c)가 구비된다.
상기 후면 패널(43)에는 상기 좌측 패널(41)에 돌출되게 구비된 후크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홀(미도시)과, 상기 우측 패널(42)에 돌출되게 후크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홀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은 그 상측부에 상기 정면 토출구(13)가 전후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 토출구(13)는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좌우 중앙에 위 치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그 상측부에 상기 정면 토출구(13)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전후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에는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를 개폐하는 좌측 보조 토출구 베인(18)이 배치된다.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 베인(18)은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를 개폐토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에는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를 개폐하는 우측 보조 토출구 베인(19)이 배치된다.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 베인(19)은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를 개폐토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부품의 서비스가 용이토록 일측에 프론트 패널 홀(50a)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을 개폐하는 프론트 도어(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은 각각 후술할 송풍기(60)와 열교환기(70), 디스챠지 회전 유닛과 각각 대응되도록 3개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도어(52)는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의 개폐를 위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전후 또는 상하로 회동되면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되느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전후로 회동되면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프론트 도어(52)는 그 좌,우측 중 일측 상,하단에 각각 상기 프론트 패널(50) 또는 상기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지는 힌지 축(52a)(52b)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도어(52)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력 또는 후크, 래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을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도어(52)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52)의 여닫힘 동작이 용이토록 프론트 도어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52)를 중심으로 상기 프론트 도어(5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작 내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상황 표시 등의 목적을 위한 디스플레이(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2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상측에 올려져서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프론트 패널(50)이 열렸을 때 상기 캐비닛(10)의 복잡한 내부가 차폐될 수 있도록(도 3 참조),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을 차폐하는 프론트 이너 패널(5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은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을 전부 차폐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 일부만을 차폐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 일부만을 차폐하되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을 전부 차폐토록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은 상기 프론트 패널(50)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5)에 의해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힌지 구조에 의해 여닫힘 가능토록 구비되는 것을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에는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의 취부가 용이토록 프론트 이너 패널 손잡이(56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이너 커버(56)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무선 운전 조작을 위한 리모콘(58) 등의 악세서리 보관이 가능토록 악세서리 보관부(56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이미지를 고품격화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에 끼워진 데코레이션 링(5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코레이션 링(59)은 상기 캐비닛(10)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신속한 냉,난방을 위해 토출 기류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쪽을 향해 집중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 외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분포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22)(23)(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22)(23)(24)는 실내의 온도 분포 센싱 정확도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상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상기 좌측, 우측 흡입구(11)(12)를 통해 흡입시켜 상기 캐비닛(10)의 상부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기(6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열교환기(70)의 상측에 설치된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와,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에 설치된 송풍기 모터(62)와,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축(62a)에 축설된 송풍팬(64)과,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64)을 둘러싸는 오리피스(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64)은 원통형의 허브(64a)와, 상기 허브(64a)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64b)와, 상기 허브(64a)의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축(62a)이 결합되는 원판부(6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64b)는 상면이 오목하고 하면이 볼록한 활 모양의 단면을 갖 는다.
상기 오리피스(66)는 상기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중앙부의 유로가 상부 및 하부의 유로 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하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제 1 열교환부(7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 2 열교환부(72)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일측을 막도록 결합된 제 1 커버(73)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타측를 막도록 결합된 제 2 커버(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71)는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부(34)에 올려지고, 상단이 상기 좌측 패널(41)의 좌측 흡입구(11)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좌측 흡입구(11)의 우측에 좌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열교환부(72)는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부(34)에 올려지고, 상단이 상기 우측 패널(42)의 우측 흡입구(12)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우측 흡입구(12)의 좌측에 우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제 1 커버(73)의 상단 좌측과 상기 제 2 커버(74)의 상단 좌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70)의 상단 좌측과 상기 좌측 패널(41) 사이를 막는 좌측 기밀 부재(75)와, 상기 제 1 커버(73)의 상단 우측과 상기 제 2 커버(74)의 상단 우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70)의 상단 우측과 상기 우측 패널(42) 사이를 막는 우측 기밀부재(7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열교환기(70)는 상기 좌측 패널(41)과 우측 패널(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상기 제 1 커버(73)에는 좌측 브라켓(80)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1)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좌측 브라켓(80)이 상기 좌측 패널(41)에 걸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상기 제 1 커버(73)에는 우측 브라켓(82)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3)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우측 브라켓(90)이 상기 우측 패널(42)에 걸어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제 1 커버(74)의 상단에 ‘??’자 단면 모양으로 절곡되는 절곡부(8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84)에는 그 전면부에 영구자석(85)이 장착된다.
상기 절곡부(84)는 그 상면부가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 및 오리피스(6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6)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후면 패널(43)과 후방 브래킷(87)으로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 교환부(7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3)의 일측을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제 1 커버(73)에 고정하는 냉매 배관홀더(8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냉매 배관(3)이 상기 제 1 커버(73)를 관통하여 제 1 커버(73)의 전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버(73)에 형성된 배관 관통홀(73a)과, 상기 배관 관통홀(73a)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배관 관통홀(73a)을 관통한 냉매배관(3)의 일부를 덮는 배관 커버(89)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스챠지 및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를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구비된다.
상기 디스챠지(100)는 원형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다각형 구조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챠지(100)는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에서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로 바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 비닛(10) 내 상측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디스챠지(100)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하면을 이루는 원형의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상측에 배치된 링형의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과, 상기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의 상측에 올려져 상기 디스챠지(100)의 상면을 이루는 원형의 디스챠지 탑 패널(106)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디스챠지 흡입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원활히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에는 일측에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를 향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와 대향되는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는 토출 기류가 집중될 수 있도록 1개로 구비되고, 대략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어느 하나와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에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를 개폐 및 토출 기류 풍향 조절을 하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토출 루버(110)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된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112)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블 레이드(112)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에 회전 가능토록 끼움 결합된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112)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한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 개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 및 다양한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바 상기 디스챠지(100)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토록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열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복수 개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120)에 의해 일체로 자동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12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의 회전축(121)에 축설되고 상기 복수 개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4)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와,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와 치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디스챠지 랙 기어(126)와,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와 치합되고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 언 기어(124)와 치합되지 않은 나머지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4)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디스챠지 기어 하우징(129) 외측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2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 특히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과 결합된다.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챠지 기어 하우징(129)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 설치된다.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 특히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과 결합된다.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 루버(110)가 360도 회전되지 않고 일 예로써 대략 90도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되므로,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처럼 원형이 아니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스챠지 및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자동으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100)와 송풍기(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게 하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대향되도록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패널 사이에 설치된 디스챠지 베어링(170)과, 상기 디스챠지(100)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디스챠지 홀더(180)와,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송풍기(6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송풍기(60)에 올려져 상기 송풍기(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송풍기(60)에 올려지되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풍기(60)의 진동을 직접 전달받지 않도록 상기 송풍기(6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를 거쳐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크기의 브래킷 메인 패널(161)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디 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에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기구(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캐비닛(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에 면접되는 브래킷 체결 보스(163)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체결 보스(163)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형성된 브래킷 홀(164)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홀(164)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가 수직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 홀(164)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송풍기(60)와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캐 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리브(165)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브래킷 홀(164)을 에워싸고,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돌출된 링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그 단면이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해 일정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그 단면이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해 갈수록 점차 줄어들거나 점차 늘어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지지 및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가 상하방향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로부터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돌출된 브래킷 플랜지(166)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로부터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66a)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수직부(166a)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21)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166b)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가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브래킷 체결 보스(163)와 상기 브래킷 홀(164)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에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 사이에 걸어질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안쪽에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가 위치되는 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로부터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브래킷 플랜지(166)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상기 디스챠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80)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80)가 설치되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가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 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브래킷 홀(164)과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홈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좌우방향 회전을 안내토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구비된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 내부에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다.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시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을 항상 안내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 간격보다 그 상하 길이가 더 짧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 부(166b)와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100)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 선 접촉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디스챠지 베어링(17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 레그(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H)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의 축(172a)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그 회전 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 레그(174)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아래에서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을 관통되게 설치된다.
다음,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일체화되고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걸림되는 후크 구조의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82a)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와 브래킷 메인 패널(161)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하측에서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걸리도록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직부(182a)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18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직부(182a)는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간 마찰 방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한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견실한 지지 및 상기 디 스챠지(1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사이에 위치된 홀더 베어링(184)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에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에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에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선 접촉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홀더 베어링 롤러(185)와, 상기 헤두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홀더 베어링 롤러 레그(186)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H)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의 축(185a)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견실한 지지 및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처짐 방지를 위해 상기 헤더 베어링(170)과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열된다. 즉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를 중심으로 상기 헤더 베어링(170)과 상하방향으로 대향 배치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에 위치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94)(195)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고정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AC 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회전을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축(191)(193)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디스챠지(1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벨트-풀리 또는 기어 세트 또는 링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기어 세트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 터(190)(192)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상시 치합되고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된 드리븐 기어(204)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축(191)(193)에 축설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기어치수 또한 적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92)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간섭되지 않도록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외접토록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로 향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즉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형성된 디스챠지 홀(101)을 가리지 않도록 그 중앙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에어 홀(204a)이 형성된 링형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에어홀(204a)은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에 형성된 디스챠지 홀(101)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면접되어 체결되는 드리븐 기어 보스(204b)가 구비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 보스(204b)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외접하므로 상기 드리븐 기어(204)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 보스(204b)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체결을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 직 하방에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에어 가이드 리브(165)가 위치되므로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운전 정지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60) 및 디스챠지(10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에 의해 닫혀진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운전시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운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챠지 회전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토록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운전 조작되면, 상기 송풍기 모터(62)가 구동되고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64)이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송풍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가 구동되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어 기어(124)가 회전되고,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가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 또는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와 일체로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열린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완전 개방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일부 개방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가 구동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가 회전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회전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회전되면, 상기 드리븐 기어(204)와 일체로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측방향과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연속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왕복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는 경우, 상기 디스챠지(100)의 왕복 회전 범위는 1가지 모드 이상으로 기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송푸이(60)가 구동되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열리며,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면, 상기 캐비닛(10) 외부 공기가 상기 송풍 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로 송풍되고, 상기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되면서 상기 좌측,우측 프리 필터(45a)(48a) 및 좌측,우측 고성능 필터(45b)(48b)에 필터링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70) 내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부(71)과 우측 열교환부(72) 사이 공간에서 혼합된 후, 상기 좌측 열교환부(71)과 우측 열교환부(72)의 사이의 상부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기(60) 특히 오리피스(66)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64)의 상부로 회오리류를 형성하면서 송풍된다.
상기 송풍팬(64)의 상부로 송풍된 회오리류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66) 상측으로 토출된 후,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브래킷 홀(164)과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 및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와 대향된 토출구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기 때문에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됨과 아울러 역동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4) 중 일부를 통해 토출되기 때문에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될 수 있고, 원거리 토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챠지 회전 모드 운전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17)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그리고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17) 중 일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토출 방향이 보다 더 다양함으로써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챠지 회전 정지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 정지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그리고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17) 중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와 대향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는 경우보다 정적인 토출 기류가 형성되어 차분한 분위기의 실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기류가 특정한 곳을 향해 집중적으로 원거리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를 회전 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디스챠지 토출 구(103)의 위치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가 특정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또 다른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이 상기 적외선 센서(22)(23)(24)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센서(22)(23)(24)의 센싱 결과, 실내의 특정 부위 온도 분포가 상대적으로 더 높으면, 상기 토출 기류가 실내의 특정 부위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 정지될 수 있다. 물론 실내의 온도 분포가 바뀌면 토출 기류의 토출 방향 또한 바뀌도록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러면 토출 기류가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으로 집중 토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이 상대적으로 온도 변화가 급변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냉,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 범위 또는 연속 회전시간, 상기 디스챠지(100)의 정지시간 등은 상기 적외선 센서(23)(24)(25)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300)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301)(302)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301)(302)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301)(302)가 내접되고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된 드리븐 기어(304)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301)(302)는 상기 드리븐 기어(304)에 내접될 수 있도록 상기 드리븐 기어(304)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304)는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에 합치된 링형 구조로 구비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디스챠지와 디스챠지 회전 유닛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챠지 회전 유닛(500)은 상기 디스챠지(100)와 직결된 회전축(511)을 갖는 하나의 디스챠지 모터(51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511)은 상기 디스챠지(100)가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안정적이면서 균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100')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511)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디스챠지 탑 패널(106)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브래킷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디스챠지 탑 패널(106)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511)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디스챠지 탑 패널(108)에 고정되면, 상기 디스챠지(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는 상기 캐비닛(10) 내 디스챠지(100) 하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10)과 디스챠지(100)에 걸쳐지듯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위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챠지 모터(510)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캐비닛(10)의 상하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거나, 상기 캐비닛(10) 내 송풍기(60)나 열교환기(70) 등의 레이 아웃이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디스챠지 모터(510)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축(511)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디스챠지 탑 패널(106)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511)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디스챠지(100)가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500)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를 지지하는 디스챠지 모터 브래킷(5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챠지 모터 브래킷(520)은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를 견실하게 지지하되,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대략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챠지 모터 브래킷(520)은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를 받치고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21)로 체결되는 베이스부(522)와, 상기 베이스부(522)를 중심으로 대략 120°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522)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5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32)에 의해 체결되는 3개의 다리부(524)(525)(5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디스챠지 모터 브래킷(520)은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디스챠지(100)에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위치된 상기 디 스챠지 모터(510) 및 회전축(511) 은닉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 및 회전축(511)을 에워싸는 디스챠지 이너 커버(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이너 커버(530)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탑 패널(12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의 내부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 및 회전축(5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된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디스챠지 이너 커버(530)에는 그 둘레면에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의 방열을 위한 방열 홀(5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디스챠지와 디스챠지 회전 유닛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챠지 회전 유닛(600)은 상기 디스챠지(100)와 직결되고 그 중심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H)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회전축(611)을 갖는 하나의 디스챠지 모터(61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611)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 정된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는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611)과 결합되는 삼발이 구조의 회전축 브래킷(62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챠지 모터(61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 내 디스챠지 모터 브래킷(6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모터 브래킷(630)은 상기 디스챠지 모터(510)를 견실하게 지지하되,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대략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술할 토출구 루버 및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토출구(13)에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의 개폐 및 상기 전면 토출구(13)를 통한 토출 기류의 풍향 조절을 할 수 있는 전면 토출구 루 버(70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70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한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 및 다양한 토출 기류 방향 조성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7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열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각 전면 토출구 루버(700)는 상기 전면 토출구(13)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된 전면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702)와,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702)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토록 끼움 결합된 전면 토출구 루버 축(70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 축(704)은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702)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한 전면 토출구 루버(700)는 후술할 전면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710)에 의해 자동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71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면 토출구 루버 모터(712)와,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 모터(712)의 회전축(711)에 축설되고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70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전면 토출구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714)와, 상기 전면 토출구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714)와 치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전면 토출구 랙 기어(71)와, 상기 전면 토출구 랙 기어(716)와 치합되고 상기 전면 토출구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714)와 치합되지 않은 전면 토출구 토출 루버(24)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전면 토출구 드리븐 피니언 기어(7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토출구 토출 루버 모터(712)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 토출구 랙 기어(71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전면 토출구 기어 하우징(719) 외측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71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전면 토출구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714)는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24) 특히 전면 토출구 루버 축(704)과 결합된다.
상기 전면 토출구 랙 기어(7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토출구 기어 하우징(719)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전면 토출구 드리븐 피니언 기어(718)는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700) 특히 전면 토출구 루버 축(704)과 결합된다.
상기 전면 토출구 드리븐 피니언 기어(718)는 상기 전면 토출구루버(700)가 360도 회전되지 않고 일 예로써 대략 90도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되므로, 상기 전면 토출구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714)처럼 원형이 아니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좌,우측 토출구(14)(15)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좌,우측 토출구(14)(15)의 개폐 및 상기 좌,우측 토출구(14)(15)를 통한 토출 기류의 풍향 조절을 할 수 있는 좌,우측 토출구 루버(720)(730)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토출구 루버(720)(730)는 상기 전면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710)과 동일한 좌,우측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740)(750)에 의해 자동 회전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는 한꺼번에 열리거나 닫히는 것도 가능하고, 일부는 열리고 그 나머지는 닫히는 것도 가능하여, 다양한 토출 기류 방향 조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정한 곳을 향한 집중 토출 기류 및 원거리 토출 기류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정지사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에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디스챠지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챠지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됨과 아울러 입체적이면서도 역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실내 공기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혼합되어 공기 조화 효율이 보다 더 극대화될 수 있고, 토출 기류의 분산 및 입체, 역동적인 토출 기류로 인해 토출 기류감이 최적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와 온도차가 큰 토출 기류가 사람이나 동물 등 생명체에 집중 토출되지 않게 되므로 생명체가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가 방지될 수 있고, 감기나 냉방병 등과 같은 질병과 관련한 건강 위협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었더라도 토출 기류가 상기 디스챠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 토출구에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원거리 토출 기류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가 회전 정지되게 하여 토출 기류가 실내 특정한 곳을 향해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토출 기류에 의한 기능이 다양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토출 기류 방향 때문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 위치 제약이 최소화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 자유도가 보다 더 높아지므로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에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토 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토출구에 보조 토출구 베인이 구비된 경우, 상기 캐비닛이 구조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고, 토출 기류의 방향이 보다 더 다양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의 디스챠지 토출구에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가 구비된 경우,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 정지시 상기 캐비닛 내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를 통한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에 의한 풍향 조절도 가능하여 토출 기류감이 최적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를 회전시키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이 기어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챠지를 회전토록 구비되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로 상기 디스챠지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디스챠지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이 상기 디스챠지와 직결된 회전축을 갖는 디스챠지 모터로 구비되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로 상기 디스챠지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챠지 모터가 상기 디스챠지를 직접 지지함으로써 상기 디스챠지와 캐비닛 사이에 마찰 방지를 위한 베어링 등 부품이 불필요하고 또한 상기 디스챠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홀더 등의 부품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는 상기 캐비닛이 여닫힘 가능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의해 상기 캐비닛 내부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어 상기 캐비닛 내 서비스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주로 실내에 위치되는데, 상기 캐비닛이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고 부품 별 서비스 홀이 형성된 프론트 이너 패널을 포함한 경우, 서비스를 위해 상기 프론트 패널을 열었을 때도 부품 별로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어 서비스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서비스 작업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리모콘 등과 같은 악세서리의 은닉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로 인해 방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디스챠지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상기 캐비닛 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를 회전시키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은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 배치된 프론트 이너 패널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토출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보조 토출구 베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는 적어도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부위가 다각형 구조이고, 상기 디스챠지는 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챠지의 하면에는 디스챠지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챠지의 둘레면에는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와 대향되는 디스챠지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챠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디스챠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를 개폐하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과;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에 고정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디스챠지와 결합된 드리븐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은, 상기 디스챠지와 직결된 회전축을 갖는 디스챠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74862A 2006-08-08 2006-08-0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62A KR101280372B1 (ko) 2006-08-08 2006-08-0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07746797.5A EP2049843B1 (en) 2006-08-08 2007-05-31 Air conditioner
PCT/KR2007/002650 WO2008018678A2 (en) 2006-08-08 2007-05-3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62A KR101280372B1 (ko) 2006-08-08 2006-08-0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397A true KR20080013397A (ko) 2008-02-13
KR101280372B1 KR101280372B1 (ko) 2013-07-02

Family

ID=3934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62A KR101280372B1 (ko) 2006-08-08 2006-08-0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6372A1 (zh) * 2011-08-25 2013-02-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101271056B1 (ko) * 2012-06-28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376123A4 (en) * 2016-01-07 2018-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19190112A1 (ko) * 2018-03-30 2019-10-03 코웨이 주식회사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WO2021167438A1 (ko) * 2020-02-19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06B1 (ko) * 2014-12-31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16364B1 (ko)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H715487B1 (de) * 2018-10-18 2022-02-28 Beat Kegel Umluftklimagerät zur Klimatisierung eines Raums in einem Gebäud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98A (zh) * 1995-07-19 1997-06-18 Lg电子株式会社 分体式空调器的扩散器开关装置
KR100252653B1 (ko) 1995-12-12 2000-04-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토출장치
KR100758949B1 (ko) * 2003-07-30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5397B1 (ko) * 2004-03-12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6372A1 (zh) * 2011-08-25 2013-02-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20140053338A (ko) * 2011-08-25 2014-05-07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에어 컨디셔너
KR101271056B1 (ko) * 2012-06-28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376123A4 (en) * 2016-01-07 2018-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0866000B2 (en) 2016-01-07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19190112A1 (ko) * 2018-03-30 2019-10-03 코웨이 주식회사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US11885528B2 (en) 2018-03-30 2024-01-30 Coway Co., Ltd. Air purifier with vertical rotation and horizontal rotation
WO2021167438A1 (ko) * 2020-02-19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372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339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3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37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7497090B2 (en) Air conditioner
US20050279118A1 (en) Air conditioner
EP2049843B1 (en) Air conditioner
KR101392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7257959B2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US20050056037A1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front panel thereof
TWI267611B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28294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134052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629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4592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8001339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6007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115345A (ko) 공기조화기
KR10150050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765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팬 지지구조
KR2004007897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안내구조
KR200900290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764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