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486A -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486A
KR20080012486A KR1020060073366A KR20060073366A KR20080012486A KR 20080012486 A KR20080012486 A KR 20080012486A KR 1020060073366 A KR1020060073366 A KR 1020060073366A KR 20060073366 A KR20060073366 A KR 20060073366A KR 20080012486 A KR20080012486 A KR 2008001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weight
germination
vegetation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467B1 (ko
Inventor
박완선
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록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록원
Priority to KR102006007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4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3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inorganic fibres, e.g. mineral w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지 목,초본류의 자생적 식생환경을 제공하여 종자의 자연발아, 매토종자 및 천이유도등 자연복원력에 의한 자연녹화를 이룰 수 있는 현장발생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그 녹화방법은 시공현장의 임야에서 벌목 후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채취 및 수거하는 단계; 채취 및 수거된 임목폐기물을 분쇄하여 칩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임목폐기물 칩에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재를 취부장치를 이용하여 녹화대상지에 취부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재가 취부된 법면에서 자생종자의 자연 발아 및 식생상태를 단위 영역별로 구획하여 측정 및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단위 구역에서 평가된 종자의 발아, 식생 및 생장상태에 따라 종자의 추가 취부를 결정 및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친환경적 자원 리사이클링 법면녹화, 임목폐기물, 자연복원력, 생태적 식생복원

Description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Method for tree-planting cutting-side recycling forest tree was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법면 녹화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녹화방법에 적용되는 식생기반재 취부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자생종자의 자연발아 및 식생상태를 측정 및 평가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도 1의 종자의 추가적인 취부단계를 상세히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은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목폐기물을 현지에서 파쇄하여 법면의 녹화를 위한 식생재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을 리사이클링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수림이 우거진 임야 또는 산에서 토목 또는 건설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의 나무들을 벌목하여 영역을 확보한다. 이 같은 벌목시, 벌목된 대부분의 나무는 목재로 재활용되지만, 벌목후 존재하는 하부 및 뿌리부분은 임목폐기물로 현장에 잔존하게 된다. 이 같은 임목폐기물은 다시 많은 인력을 이용하여 제거된 후, 해당부분에 식생기반재 및 종자가 취부되어 녹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등록특허 제10-500378호에는 산림의 벌목 후 잔존하는 임목폐기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이용하는 일명 리싸이클링 에코녹화공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에코녹화공법은, 산림이 훼손되어 복원하고자 하는 산림복원 대상지역에서 발생하는 표토를 재활용하여 식생복원을 위해 조성한 토공기반층에 포설하는 표토 포설단계; 산림복원 대상지역의 생육기반환경 조성을 위해 표토유실방지책과 고정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산림복원 대상지역에서 맹아력이 우수한 수종의 자생수목그루터기를 굴취, 이식하거나 현지에서 자생포트수목을 수고70cm~130cm로 재배하여 포트수목을 혼합식재하여 녹화하는 식재단계; 산림복원 대상지역에서 폐기되는 기존 수목을 활용하여 핀칩형의 우드칩을 만들어 표토층위에 멀칭하는 멀칭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사이클링 에코녹화공법은, 실제로 현장에서 표토를 확보하기가 곤란하고, 수목의 그루터기를 굴취, 이식 및 포트재배를 위한 인력, 시공비 및 기간이 과도하게 소모되며, 특히 이식의 경우 맹아력이 좋은 수종만을 대상으로 하여야 하므로 이들의 확보가 곤란하고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충분한 토심이 확보되어야 하지만 시공지가 발파암, 리핑?풍화암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토심, 특히 표층토의 확보가 불충분하여 곤란하므로 법면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현장에서 직접 파쇄하여 재활용하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법면을 녹화할 수 있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법면 녹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은, 임야의 절개시 발생되는 법면과 같은 절개지를 현지 생태분위기 또는 경관분위기에 조화되도록 녹화하기 위한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법면 녹화방법에 있어서, 시공현장의 임야에서 벌목 후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채취 및 수거하는 단계; 채취 및 수거된 임목폐기물을 분쇄하여 칩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임목폐기물 칩에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를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재를 취부장치를 이용하여 녹화대상지에 취부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재가 취부된 법면에서 자생종자의 자연 발아 및 식생상태를 단위 영역별로 구획하여 측정 및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단위 구역에서 평가된 종자의 발아, 식생 및 생장상태에 따라 종자의 추가 취부를 결정 및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녹화방법에 적용되는 식생기반재 취부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생종자의 자연발아 및 식생상태를 측정 및 평가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종자의 추가적인 취부단계를 상세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법면 녹화공법은 기본적으로 시공현장의 임야에서 벌목 후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채취 및 수거한다(S100). 특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파쇄기를 활용한 임목폐기물의 원활한 폐기를 위하여 지역 또는 거리를 고려하여 영역별로 임목폐기물을 수거 및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임목폐기물이라 함은 벌목후의 나무의 하부, 뿌리는 물론 가지 등 모두를 포함한다.
임목폐기물이 채취 및 수거되면 그 임목폐기물을 분쇄한다(S102). 이 같은 임목폐기물의 분쇄에는 이동식 분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같은 이동식 분쇄기는 필요에 따라 1대 또는 복수 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별로 수거된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임목폐기물을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분쇄물의 크기는 녹화지역의 특성에 따라 또는 작업자가 임의로 선정할 수 있다.
임목폐기물이 분쇄기에서 파쇄되면 이를 수집하여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를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형성한다(S104). 여기서, 임목폐기물의 파쇄물은 녹화될 토양의 수분 함량, 비료성분의 함량 등에 따라 생칩 상태로 혼합하거나 또는 생칩을 부숙시킨 상태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식생기반재는 녹화될 지역의 토질 또는 기후조건에 따라 적합한 인공토, 배양토와 같은 유기퇴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식생기반재의 예로는 10~15중량%의 바크퇴비, 10~15중량%의 피트모스, 20~30중량%의 토탄, 20~30중량%의 마사토, 5~10중량%의 혼합퇴비, 5~10중량%의 질석, 1~3중량%의 고분자 첨가제 및 0.5 내지 1중량%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질부숙토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크퇴비는 종자의 식생 및 성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보비력을 위한 것이고, 피트모스는 종자의 발아 및 식생을 유지시키기 위한 양분의 보유력의 향상을 위한 것이며, 토탄은 흡수성 또는 흡습성을 향상시켜 종자의 발아 및 식생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고, 마사토는 종자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발아되도록 함과 동시에 과도하게 중량이 무거워져 객토의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혼합퇴비는 질소 및 탄소 성분이 부족하여 종자의 발아 및 성장속도가 느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종자의 발아 및 성장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풀 또는 초목의 밀식현상에 의해 재발생율이 저하됨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질석은 통기성과 배수성이 저하되어 소실되거나 유실됨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강 알카리화되어 식생에 곤란함을 초래함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고분자 첨가제는 응집력이 부족하여 쉽게 유실됨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고결화가 증가되고 통기성이 저하되어 발아 및 식생물의 성장을 저해함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미생물은 식생기반재의 산소공급 및 부영양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입단화제로는 31~33중량%의 CaO와, 29~31중량%의 SiO2와, 9~11중량%의 Al2O3 및 29~31중량%의 SO3 로 구성되는 고차원 입단화제인 것이 바람 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차원 입단화제는 침식방지 안정제로 사용되며, 150㎛이하의 포졸란 반응을 갖는 플라이애쉬, 응회암, 고로슬래그 등과 같은 분체(粉體)에, 석고와 유산나트륨, 유산칼륨, 유산마그네슘 등의 유산염과, 유산수소나트륨, 유산수소칼륨, 유산수소마그네슘 등과 같은 중유산염을 혼합 조성한 강력한 침식방지 효과 및 고차 입단구조를 형성한다. 하는 고차원 입단화제(Geo Bind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포졸란 반응이란 실리카 혼합물로서 그 자체는 수경성이 없으나 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석회와 결합하여 불용성의 실리카질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물질로서 물과 접촉하면 미량의 칼슘과 규산이 용출되어 입자의 표면에 불용성의 치밀한 수화물과 함께 비결정질의 실리카 및 알루미나 수화물이 생성되는 반응이다. 이러한 포졸란 반응을 식생기반재에 적용시킴으로서 식생기반재의 응결, 고화를 통한 내침식성강화로 침식이나 동결에 의한 유실을 방지하며 또한 분말도가 좋고 구형인 포졸란 반응 분체는 미세공극 조직층을 형성하여 식생기반재의 보수성, 통기성 등을 향상시키는 고차 입단화제 기능을 함으로서 식물의 발아 및 생육에 유리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고차원 입단화제는 수분이 과도한 경우에도 레이턴스가 발생하지 않고 과도하게 경화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식물 생육에 적당한 pH 영역을 나타냄으로서 식생의 양호한 발아 및 생육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임목폐기물의 파쇄물과,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가 혼합된 식생기반재(혼합물)를 녹화대상지에 취부한다(S106). 이 같은 혼합물의 취부는 다양한 취부기 또는 취부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녹화공법에 적용되는 취 부장치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기반재 공급탱크(1), 침식방지제 공급탱크(2), 비료공급탱크(3), 상기 각각의 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식생기반재, 침식방지제 및 비료를 공급받아 혼합하기 위한 제1트로이(4)와, 그 트로이를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콘베이어(5)와, 제1콘베이어(5)에 의해 이송되는 제1트로이(4)로부터 식생기반재를 공급받는 제2트로이(6)와, 제2트로이(6)를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콘베이어(7)와, 제2트로이(6)로부터 식생기반재를 공급받아 소정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송출기(8)와, 송출기(8)의 출구에 연결되어 송출기(8)로부터 송출되는 식생기반재를 이송시키며 작업자가 취부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송관(9)과, 송출기(8)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10)로 구성되는 취부장치가 바람직하다. 물론, 그 취부장치에는 물탱크(11a), 물펌프(11b), 호스(11c) 및 물공급 조절밸브(11d)로 구성되는 물 공급장치(11)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12),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13) 등이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임목폐기물의 칩을 보조식생기반재와 혼합하여 법면에 취부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취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임목폐기물을 분쇄한 그대로의 생칩으로 보조식생기반재와 함께 취부하는 경우에는 식물생육에 유해한 식물독소제거를 위해, 임목폐기물 생칩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제올라이트, 1~3 중량부의 활성탄소섬유, 0.5~2 중량부의 규조토, 0.5~1 중량부의 연소재를 첨가하여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첨가되는 제올라이트등 흡수제는 생칩 자연부숙시에 발생하는 각종유기산, 암모니아,메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식물생육억제 제를 흡착하고 더불어 식물생육에 이로운 무기영양분을 흡수하여 식생 발아 생육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10%이상 혼합시에는 식생기반재의 삼상구조 비율에 영향을 미쳐 조성물의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여 식생 뿌리분에 원활한 산소공급에 지장을 줄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목폐기물을 생칩상태로 보조식생기반재와 함께 취부하는 경우 취부 후 분해될 때 식생기반재내에서 질소의 부족으로 인한 질소기아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임목폐기물 생칩 1㎥당 황산암모늄 5~30g을 혼합하여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황산암모늄이 5g 미만이면 그 양의 부족으로 인해 기아 형상을 예방할 수 없는 반면, 30g 이상이면 질소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식생이 발아 생육하는데 있어 영양불균형 초래 및 역삼투압 현상발생으로 식생생육을 저해 할수 있다.
또한, 취부후 당해년에는 5~30g을 취부하지만 2차년도부터는 그 양을 반감하는 방식으로 부가하거나 살포할 수 있다.
또한, 임목폐기물의 칩의 크기는 법면 상태, 임목폐기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바, 임목폐기물의 칩의 크기가 5~50mm의 핀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토양의 유실 방지 및 법면의 안정화를 위해 법면 구배에 따라 식생기반재에 대해 1~50체적%로 혼합되어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유기질소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임목폐기물의 칩은 식생기반재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솔잎을 혼합한 혼합물과 함께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법면에 임목폐기물 칩,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식생기반재(혼합물)를 취부기로 취부한 후에는 자연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녹화를 위해 자생종자의 자연 발아 및 식생상태를 측정 및 평가한다(S108).
자생종자의 발아 및 식생상태의 측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식생기반재(혼합물)가 취부된 법면을 1㎡ 내지 2㎡ 단위로 구획한다(S108-1). 이후, 각각의 구역(A)에서의 초본류 및 목본류의 종류를 확인하고, 각각의 초본류 및 목본류의 생장상태 및 개수를 측정한다(S108-2). 초본류 및 목본류의 개수가 계산되면 각각의 구역(A)에서의 목초본류의 생자분포를 계산하여 생장 분포도가 70% 이상일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등급으로 평가하고, 50% 내지 70%에서는 일정기간 후 재평가가 요구되는 관심등급으로 평가하며, 50% 미만인 경우에는 즉시 종자를 취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종자취부 등급으로 평가한다(S108-3).
각각의 구역(A)에서의 초목본류의 발아, 식생 또는 생장상태가 평가되면, 초목본류의 분포가 50% 미만으로 판단된 영역을 선별하여 종자를 취부한다(S110). 이와 같은 종자의 취부는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은 취부장치가 이용되거나 또는 휴대용 취부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자의 취부는 각각의 다른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발아 및 식생이 이루어진 종자를 선택하여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목본류 생장상태 및 개수 측정단계(S108-2)에서 측정되고 등급 평가단계(S108-3)에서 평가된 것을 기초로 하여 가장 높게 평가된 영역의 목초본류의 종자를 획득하거나 그와 유사한 종자를 획득하여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자의 취부단계는 종자의 확보, 선정 및 처리단계를 거쳐 최상의 상태 의 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종자의 취부단계는 다음과 같은 연속 단계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면과 같은 절개지를 녹화할 종자를 확보한다(S110-1).특히, 상기 종자확보 단계(S110-1)는 녹화를 실시할 지역, 즉 도로의 건설, 주택지 또는 산업단지의 개발, 호안의 구축 등과 같은 공사가 시공될 지역에 자생하는 목초본류 종자를 직접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기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직접적인 종자의 확보가 불가한 경우에는 해당 지역을 현지조사하거나 표본조사한 후, 해당지역 주변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목초본류의 종자를 확보하거나, 해당지역을 표본조사한 후 종자를 선택하여 외부로부터 종자를 도입하여 확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종자가 확보되면 해당지역에 실제로 파종되거나 취부될 종자를 선정한다(S110-2). 물론, 이와 같은 종자의 선정은 전술된 바와 같이 초목본류 생장상태 및 개수 측정단계(S108-2)에서 측정되고 등급 평가단계(S108-3)에서 평가된 값을 기초로 하며, 여기에 복원지역의 기후, 주변식생, 잠재자연식생, 경관적 특징, 생태계 보존 및 복원 등을 조사 및 고려하고, 또한 복원지역 법면의 기울기, 토양 경도, 암의 균열 정도 등을 조사 및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자 선정단계(S110-2)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높은 목본류를 주구성종으로 한 종자배합설계의 표준타입을 기본으로 하고 이 중에서 해당 시공지역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같은 표준타입 이외에도 주변 환경이나 입지특성에 부합되도록 다양한 구성종의 사용이 가능한 맞춤형 특수타입 의 종자의 선정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선정된 주구성종 가운데 양질의 종자의 확보가 어려운 식물이나 파종공법에서의 도입이 곤란한 식물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파종공법에 식재공법을 병용할 수 있다. 물론, 식재공법에 사용하는 목본류는 성목(成木)이 아니라 식재후의 활착률이나 성장이 양호하게 될 수 있도록 극력(極力)이 작은 묘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법면과 같은 절개지 현장으로부터 또는 그 주위로부터 초목본의 종자를 채취하기가 곤란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역과 가장 유사한 분위기를 갖는 지역에서 식생되는 목초본류의 종자를 선정하거나 또는 시공자나 주변의 분위기에 가장 적합한 목본형, 즉 생물종 다양성 복원형의 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의 자연경관에 가까운 군락이나 다양성이 풍부한 군락으로부터 선정하며, 산간지의 경관이나 생태계의 보전을 중시하는 복원녹화목표를 기본으로 하고, 주변식생이나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의 구성종을 주체로 한 것을 기본으로 하여 종자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종자의 선정에 대한 실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복원녹화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구성종, 보전종 및 초본종으로 분류하여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구성종은 녹화를 위한 수림화형성에 중심이 되는 식물로, 주변의 식생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고, 복원녹화목표인 생물종 다양성 군락의 주체가 되는 식물로서, 지역의 천이도가 중~극상종 또는 2차림의 구성종이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일반적으로 2~4종류가 선정되는 바, 그 예로는 소나무, 고로쇠나무, 붉나무, 상수리, 자작나무, 단풍나무, 산검양옻나무 등이 있다. 그리고 보전종은 초본 종과 함께 토양의 이화학성을 개선해서 토양을 비옥화 하고, 지상부가 생육하는 것에 의해 미기상을 완화해서 주구성종의 생육을 돕는 식물로서, 비료목이나 선구수종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1~3종류가 선정되는 바, 그 예로서 자귀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사방오리나무, 보리수나무, 참싸리, 낭아초, 산오리나무 등이 있다. 또한, 초본종은 초기단계의 표토층을 형성하여 생태계 회복의 기점을 형성하고 초기의 녹화의 확보나 식생기반재의 침식을 방지하는 식물로서, 외래도입초본 등의 초본류가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1~3종류가 선정되는 바, 그 예로서 톨훼스큐, 크리핑레드훼스큐, 페레니얼라이그라스 등이 있다.
위와 같이 종자의 배합설계가 완료되면, 선정 및 배합설계된 종자의 조기 발아력 시험을 행한다(S110-3).
종자의 조기 발아력 시험은 기본적으로, 선정된 종자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샤레에 습윤 여과지를 깔고, 그 위에 종자를 배열하여 예컨대, 23℃의 상온에서 종자를 발아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그 발아력을 시험 또는 측정한다. 이 같은 조기발아력 시험법은 종자가 발아되기 쉬운 조건을 설정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발아를 촉진시켜 약 1주일 이라고 하는 단기간에 종자를 발아시켜, 발아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종자의 비율을 백분율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획득한다. 실제적으로, 종자는 외관상 동일한 경우에도 각각 다른 휴면성을 가지고 있는 바, 예컨대 생리적으로 휴면하고 있는 1차 휴면, 종피(種皮)가 두꺼워서 물이나 산소의 공급을 막는 경실(硬實)휴면, 종자 자체는 성숙해 있지만 내부에서는 배가 미숙의 상태에 있는 후숙 휴면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조기발아력 시험법은 위에 열거된 휴면성의 타입 등 의 생리적 특성이나 종자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각각의 종자에 적합한 수 종류의 처리방법을 선택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기 발아력을 시험하기 위해 선행되는 처리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전처리, 치상처리, 발아촉진처리로 구분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전처리는 해당 종자의 종자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처리로서 해당 종자를 미리 일정시간 물에 담가 두어 종피나 종자조직을 부드럽게 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종자의 발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종자를 정제하고, 살균처리하며,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험 중에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종자 정제 방법을 통하여 과육 등을 제거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종자는 미리 살균처리를 한다. 또한, 종피의 유지성분을 제거해 종자내로 산소와 물 공급을 촉진시킨다. 물론, 이와 같은 전처리는 종자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상처리는 조기발아력 시험법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종자를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게 복수의 방법을 사용해서 발아되기 쉬운 상태로 가공하여 샤레에 놓여진 여과지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처리한다. 이와 같은 지상처리는 종자의 구조적 특성, 생리적 특성에 근거하여 종피의 제거, 종자조직의 절단, 종피의 박층화, 종피에 상처를 내는 등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종피의 제거와 종자조직의 절단이 병행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종자가 발아되기 위한 중요 인자로서 산소와 물이 있는데, 종자가 발아될 때 그 종자의 조직에서 최초로 생장을 개시하는 조직은 축(軸)조직이며, 이에 따라 치상처리를 하는 이유는 축조 직내로 산소와 물의 공급을 억제하는 종피를 제거, 박층화, 상처내기 또는 종자조직자체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축조직내로 산소와 물의 공급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종래의 발아시험법 보다 단기간에 종자의 품질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발아촉진처리는 휴면성이 강하고, 전술된 바와 같은 치상처리법을 이용해도 약 1주일 기간내에 발아가 되지 않는 종자, 소형의 종자, 자체적인 구조적 문제로 인해 가공이 쉽지 않은 종자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처리법이다. 발아촉진처리로는, 식물 호르몬을 첨가하거나, 발아촉진물질을 첨가하거나, 또는 고압 산소 하에서 치상처리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식물호르몬이나 발아촉진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은 종자의 발아패턴에 따라 첨가하는 물질을 선택하거나, 휴면의 정도나 종자의 크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물질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여러 종류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발아촉진물질(휴면타파제)로서 0.2%의 KNO3 와 Thiourea 용액을 사용하거나, 100ppm의 Gibberellin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산소 하에서 치상처리 방법은 종자가 있는 샤레를 데시케이터 등의 완전 밀폐 용기에 넣은 후 고압산소를 주입시켜 고압산소 하에서 치상처리 하는 방법으로서, 종자발아에 필요한 산소를 강제적으로 공급하여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처리방법도 종자의 휴면 정도 또는 상태에 따라 식물호르몬, 발아촉진물질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조기발아력 시험법은 종자자체가 갖고 있는 발아력만으로 발아를 이루기 곤란한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능한 한 발아촉진처리를 억 제하고 치상처리만으로 발아촉진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만 발아촉진법을 이용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그와 같은 처리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발아력을 시험하거나 평가할 수 있다. 이 같은 발아력의 평가는 조기 발아력의 시험 종료시 발아징후를 나타내고 있는 개체와 전체 개체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 구할 수 있다. 이 때, 나타나는 발아의 징후 또는 결과는 종자의 발아특성이나 치상방법에 따라 상태가 다르고, 상황에 따라 발아징후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정하는 방법이 다르다. 이 같은 판정기준은 어린뿌리나 축조직이 신장(伸長) 또는 종자조직에서 돌출한 개체의 수, 어린뿌리나 축조직이 중력방향으로 휜 개체의 수, 자엽(子葉)조직이 견고하게 유지된 채로 팽장(膨張)한 개체의 수, 자엽조직에 엽록소가 형성되고 녹색화한 개체의 수 및 부정근(不定根)이 형성된 개체의 수 등을 고려하여 발아력을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발아의 평가는 발아력 시험의 종료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시험기간은 1주일 이내로 한다. 그러나 휴면성이 매우 강한 종자의 경우에는 1주일 이상의 시험기간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선정된 종자들의 조기 발아력의 시험이 완료되면 실제적으로 취부될 현장의 생태환경 또는 분위기에 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설정된 혼합설계에 따라 종자배합한다(S110-3). 선택적으로, 종자들을 실제적으로 시공지 주변의 환경이나 시행자 또는 발주자의 요청 등에 의해 복원녹화목표가 효율성 있게 달성되도록 종자를 선정하는 경우, 또는 지역성 등이 중시되는 등의 이유로 표준타입과 다른 종자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현장에 적합한 배합설계를 통해 종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 같은 종자배합설계에 의하면, 종자의 배합비는 해당 복원지역의 복원목표에 따라 결정되며, 파종량은 발생기대본수를 기준으로 하는 다음식, 즉
W= A B×C×D×E×F×G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중, W는 도입종자별 파종량(g/㎡)이고, A는 발생기대본수(본/㎡)이며, B는 취부두께에 대한 출아가능복토 두께에 의한 보정율이고, C는 입지조건에 대한 보정율이며, D는 시공시기에 대한 보정율이고, E는 사용종자의 발아율 또는 조기발아력 검정치이고, F는 사용종자의 단위입수(립/g)이며, G는 사용종자의 순량율이다.
여기서, 발생기대본수(A)는 목표군락을 형성시키기에 필요한 발생본수로서, 파종후 1년간에 발생하는 개체의 총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물론 피압 등에 의해 도중에 고사하는 수도 포함한 값이다.
취부두께에 대한 출아가능 복토 두께에 의한 보정율(B)은 식물의 발아 및 생육은 식생기반재 질의 차이에 의해 크게 다르고, 취부 두께에 의해 발아 및 생육은 크게 좌우되며, 종자의 출아가능 복토두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취부두께에 대한 출아가능 복토두께에 의한 보정율은 다음 <표 1>을 기준으로 한다. `
출아가능 복토두께 식생기반재의 취부두께
3cm 5cm 7cm 10cm
0.5cm 0.17 0.10 0.07 0.05
1.0cm 0.33 0.24 0.14 0.10
2.0cm 0.67 0.40 0.29 0.20
3.0cm 1.00 0.60 0.43 0.30
입지조건에 대한 보정율(C)은 비탈면의 토질, 경사, 방위 등의 조건에 따라 설정된다. 이 같은 보정율은 다음 <표 2>를 기준으로 한다.
<표 2> 입지조건에 대한 보정의 기준
항목 입지조건 보정율
비탈면구배 ≥50° 0.9
〈50° 1.0
토질 경암 0.9
그외 1.0
비탈면 방위 경암(남향) 0.8
그외 1.0
강수량 〈1,000mm 0.7
≥1,000mm 1.0
시공시기의 보정율(D)은 부적기의 시공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불가피하게 부적기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공시기에 대한 보정을 해야 하며, 이 같은 보정율은 하기 <표 3>을 기준으로 한다.
<표 3> 시공시기에 대한 보정의 기준
시공기 초본식물 목본식물
3~6월 1.0 1.0
7~8월 0.8 0.7
9월 1.0 0.5
10~11월 0.7 0.5
11~2월 0.9 0.8
사용종자의 발아율(D) 또는 조기발아력 검정치는, 특히 발아율이 채취년도 및 저장상태에 따라 변화가 심하므로, 사전에 조사된 종자의 발아율, 또는 조기발아력 검정치를 이용하며, 보정치는 90%의 발아율의 경우 0.9로 한다.
사용종자의 단위입수(E)는 발아율과 같이, 채취 년도에 따라 변동이 심하므로 설계시 미리 검정한 단위 입수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녹화방법에서는 자연 채취한 종자를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종류에 따라서는 협잡(俠雜)물이 섞인 상태에서 단위입수를 계측할 수 있다.
사용종자의 순량율(G)은 순량율이 명확한 종자인 경우에는 그 값을 그대로 사용하며, 보정치는 95%의 순도의 경우 0.95로 한다. 그러나, 자연 채취한 종자는 단위입수에 이미 보정되어 있기 때문에 1.0으로 계산한다.
한편, 공사 현장이외에서 획득한 일반적인 종자 또는 수입 종자의 경우에는 취부시 원활한 발아를 위해 종자의 품질이 유지되도록 처리한다(S110-5).
이와 같은 종자의 품질유지 단계는 수입되거나 외부에서 조달된 종자를 1차적으로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종자 소독제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화학적 방법으로 나머지 잔류 소독제를 제거한 후,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장 창고에 보관하여 종자의 품질의 저하 없이 보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공질의 무기재료를 이용하는 품질 유지방법도 있다.
이와 같이, 다공질의 무기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종자와 함께 다공질 무기재료를 포함한 종자품질 보호재를 혼합하기 때문에, 미세한 공극을 갖는 다공질 무기재료 특유의 흡착성 및 통기성에 의해 적당한 습도 유지, 유해가스의 흡착, 살균, 제균 및 병해균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다공질 무기재료에는 종자품질 보호재와 같은 유용 토양균을 함유하므로 종자의 부패를 억제함과 동시에, 파종후에도 토양병해균의 억제, 생리활성의 향상, 식물의 비료 이용율의 향상 및 근계의 건전화 등의 작용이 기대된다.
대표적인 다공성 물질로서 제오라이트가 있으며, 이 제오라이트는 SiO2, Al2O3, CaO, Na2O, K2O, H2O로 구성되는 다공질의 함수 알루미노케이산 광물로 이루어지며, 공극의 직경은 약4~7Å의 초미세 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다공성 물질은 흡착성, 흡수성, 염기치환용량성 등의 특성이 있어 토양개량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높은 흡착성 및 염기치환용량성에 의해 비료의 유실이 방지되고, 보비력이 향상되며, 보수성 및 유해가스 흡착성이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병원균을 무독화하는 소독작용이나 수분존재하의 산화력에 의한 혐기성균(嫌氣性菌)의 활동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이와 같은 제오라이트의 특성에 의해, 종자와 혼합하여 보존할 경우, 종자를 알맞은 습도로 유지할 수 있고 통풍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에틸렌, 유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가스를 흡착할 수 있고, 병원균을 무독화하거나 제균 혹은 살균할 수 있으므로, 결국 종자의 건조를 방지하고, 부패가 억제되어 종자의 우수한 품질 및 발아율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제오라이트와 유사한 기능을 지니며, 본 발명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공성 물질로서 규조토, 소성품(燒成品), 항균세라믹, 펄라이트, 버미큐라이트 등이 있다.
위와 같이 종자의 품질 유지처리를 행한 후에는, 종자의 취부시 실제적으로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처리한다(S110-6).
상기 종자의 발아촉진 처리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방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종자 발아촉진 시스템(Seed Speeding System)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발아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필요로 하거나 휴면성이 강한 종자에 대해서는 시공 전에 발아촉진처리를 하며, 필요에 따라 발아촉진처리 팩(pack)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종자 발아촉진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서,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종자의 휴면을 방지하여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아 촉진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종자의 종피에 부착된 유분 및 발아억제물질을 수산화나트륨, 염산, 황산(종피파상), 과산화칼슘(산소공급제) 등과 같은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제거한다(화학적 처리). 이후, 종자를 종피파상, 즉 종자를 서로 부딪히거나 마찰시켜 종피에 물리적 손상을 입힌 후, 진탕, 온탕, 건열, 저온, 고압 등으로 처리한다(물리적 처리). 최종적으로, 종자가 획득된 장소와 다른 장소에 취부되는 경우 그 종자 내부에서 변화되는 각종 생리 작용의 조절을 위해 인돌아세트산(Indole Acetic Acid), 지베렐린(Gibberellin), 시토키닌(Cytokinin), 플로리겐(Florigen),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등과 같은 호르몬을 이용하여 식물 호르몬 처리한다(식물 호르몬 처리). 이와 같은 식물호르몬 처리에 의해 배의 휴면과 다른 다양한 원인에 의한 종자의 휴면을 방지하고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종자의 발아촉진 처리후에는 실제로 시공현장에 투입하기 위해 패키지 처리한다(S110-7). 이 같은 종자의 패키징에는 발아촉진 처리팩이 이용된다.
상기 종자의 패키지 처리단계(S110-7)는, 발아촉진 처리된 종자와 고흡수성 고분자 물질인 테라코탐(Terra Cottem)을 약 15~30 중량비로 혼합하여 방수팩에 봉입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여기서, 테라코템은 자기 자신의 무게의 200배까지 물을 흡수하는 우수한 흡수성을 지님으로써, 팽윤한 상태에서 종자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자는 발아촉진처리 팩 안에서 항상 적당한 양의 수분을 공급받게 되어 시공현장 이동 중에 발아촉진처리가 완료될 수 있으며, 발아에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종자인 경우에도 시공 후에 관수를 공급하지 않거나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도 조기에 발아가 촉진될 수 있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종자가 패키지화 되면 해당 법면으로 이송한 후 취부한다(S110-8). 이때, 양호하고 우수한 종자의 발아 및 성장을 위해 생육조절제와 함께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와 같은 종자의 취부공정에는 취부 또는 파종되는 종자가 안정적이고 활발하게 발아 및 생장할 수 있도록 생육조절제와 함께 취부된다. 그 생육조절제는 질소, 인산, 칼륨 및 마그네슘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비, 즉 질소 : 인산 : 칼륨 : 마그네슘의 비는 6 : 40 : 6 : 15 의 비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질소가 부족하면 지엽의 생육이 저하되며 잎의 색깔이 담황색으로 나타나는 반면, 과하면 조직이 도장하여 병충해를 초래하기 쉽고 내한성도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8~12 중량부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산은 부족시 근 및 지상부의 발육 및 생장이 저하되지만, 과하면 과성숙으로 인한 단명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58~62중량부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칼륨은 탄수화물의 합성과 동화생산물의 이동에 관여하여 동화작용을 촉 진하고, 일조(日照)의 부족을 보충하는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줄기와 잎을 강하게 하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하며, 도장(徒長), 한해(寒害), 가뭄해에 저항성이 있도록 물질대사계에 참여하여 효소의 기능을 높여 간접적으로 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원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8~12중량부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그네슘은 엽록소를 구성하고 있는 금속원소로 광합성 작용을 위한 필수 구성요소로서 대체로 어린 세포나 대사가 왕성한 조직에 집적되며, 부족시 엽록체가 생성될 수 없으므로 식물체가 황색으로 변하는 반면, 과하면 괴사를 초래하며 뿌리 및 줄기의 생장점 발육과 종자의 성숙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18~24중량부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위와 같은 생육조절제는 복원될 식생군락의 생육특성, 식물생육의 필수 양분의 이용률, 양분의 효과기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조성되는 생육조절제의 양분의 지속기간은,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의 양을 생육기간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150일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생육조절제의 용출율을 25℃의 온도에서 시험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4> 생육조절제의 수중 용출율 [25℃물]
Figure 112006055886361-PAT00001
<표 5> 생육조절제의 수중 용출율 그래프
Figure 112006055886361-PAT00002
위 표 4 및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생육조절제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질소, 인산, 칼륨 및 마그네슘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용출되어 식물에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생육조절제의 전기전도도는 표3과 같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표 6> 생육조절제의 전기전도도 변화율 그래프
Figure 112006055886361-PAT00003
위 표 5 및 6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생육조절제의 전기 전도도는 한달이 경과한 후에는 거의 균일하게 유지되어 식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보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공 후의 산성도의 변화율은 다음 표 7와 같은 그래프와 같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표 7> 생육조절제의 산성도 변화율 그래프
Figure 112006055886361-PAT00004
위 표1 및 표 4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육조절제는 초기 60일 간은 다소 변동폭이 있으나, 그 이후에는 pH8 에 근사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산성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 표들과 같이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른 생육조절제의 초기용출율과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적인 복합비료 및 완효성비료의 초기 용출율을 비교하면 다음 표 8 및 표 9의 그래프와 같다.
<표 8> 생육조절제와 국내 비료의 초기용출율 비교(30℃물, 24시간정치)
품 명 항 목 일반 복합 비료(N사) 완효성 비료(P사) 생육조절제(Tree Controller)
N(%) 51.29 25.81 13.03
P2O5(%) 32.36 24.83 5.61
K2O(%) 48.44 51.51 52.36
<표 9> 생육조절제와 일반적인 비료의 초기용출율 비교 그래프
Figure 112006055886361-PAT00005
또한, 일반적인 복합비료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와 본 발명에 따른 녹화방법에 적용되는 생육조절제가 포함된 식생기반재를 시험시공한 후 초본류의 생육상태를 관찰한 결과, 도 3a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복합비료를 사용한 경우 시공후 2개월 후에는 황변현상이 발생한 반면, 도 3b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육조절제를 포함한 식생기반재에서는 황변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생육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기반재에 포함된 생육조절제의 용출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황변 현상을 초래하는 질소 및 인산의 초기용출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임목폐기물을 현장에서 직접 처리하여 경사면 또는 법면의 녹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최소한의 종자로 최대의 발아 및 성립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공법에 의하면, 공사현장에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파쇄하여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와 함께 법면에 취부하여 현지 목초본류의 자생적 식생환경을 제공하여 종자의 자연발아, 매토종자 및 천이유도에 의한 자연녹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자재, 물류비용등의 녹화비용이 절감되고 임목폐기물을 소각, 매립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저감 및 환경오염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녹화의 진행이 느리거나 부족한 녹화의 경우 현지 목초본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종자를 획득 및 처리하여 취부함으로써, 종자의 발아성능이 우수하고 현지 적응력 및 식생력이 우수하며, 절개지 본래의 생태학적 환경 및 경관적 조화가 최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0)

  1. 임야의 절개시 발생되는 법면과 같은 절개지를 현지 식생을 감안하고 자연의복원력을 이용, 주변경관과 조화되도록 녹화하기 위한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에 있어서,
    시공현장의 임야에서 벌목 후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채취 및 수거하는 단계;
    채취 및 수거된 임목폐기물을 분쇄하여 칩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임목폐기물 칩에 보조식생기반재 및 입단화제를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재를 취부장치를 이용하여 녹화대상지에 취부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재가 취부된 법면에서 자생종자의 자연 발아 및 식생상태를 단위 영역별로 구획하여 측정 및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단위 구역에서 평가된 종자의 발아, 식생 및 생장상태에 따라 종자의 추가 취부를 결정 및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목폐기물의 채취 및 수거단계는 지역 및 거리를 기본으로 하여 영역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식생기반재는 20~30중량%의 피트모스, 20~30중량%의 토탄, 20~30중량%의 마사토, 5~10중량%의 혼합퇴비, 5~10중량%의 질석, 1~3중량%의 고분자 첨가제 및 0.5 내지 1중량%의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단화제는 31~33중량%의 CaO와, 29~31중량%의 SiO2와, 9~11중량%의 Al2O3 및 29~31중량%의 SO3 로 구성되는 고차원 입단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의 자연 발아 및 식생상태를 측정 및 평가단계는
    자생종자의 발아 및 식생상태의 측정은 먼저 혼합물이 취부된 법면을 1㎡ 내지 2㎡ 단위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구역에서의 초본류 및 목본류의 종류를 확인하고, 각각의 초본류 및 목본류의 생장상태 및 개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초본류 및 목본류의 개수가 계산되면 각각의 구역(A)에서의 목초본류의 종자분포를 계산하여 생장 분포도가 70% 이상일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등급으로 평가하고, 50% 내지 70%에서는 일정기간 후 재평가가 요구되는 관심등급으로 평가하며, 50% 미만인 경우에는 즉시 종자를 취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종자취부 등급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적 법면 녹화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종자층 추가 취부 단계는
    종자를 추가로 취부할 구역 또는 그 주변의 자생종자 및 그와 유사한 종자를 확보하는 단계;
    확보된 종자 중 상기 종자의 자연 발아 및 식생상태를 측정 및 평가단계에서 평가된 값을 기초로 하고, 복원지역의 기후, 주변식생, 잠재자연식생, 경관적 특징, 생태계 보존 및 복원을 고려하여 종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종자의 배합설계에 따라 혼합된 종자의 조기 발아력을 시험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종자들을 취부될 법면의 생태환경 및 분위기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합설계하여 배합 하는 단계;
    공사 현장이외에서 획득한 일반적인 종자 또는 수입 종자의 경우 취부시 원활한 발아를 위해 종자의 품질이 유지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종자의 품질 유지처리 후 종자의 취부시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 위한 처리단계;
    상기 발아촉진 처리후 취부현장에 투입하기 위해 패키지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종자 패키지를 해당 구역에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 취부후 부숙시 발생할 수 있는 식물생육 에 유해한 식물독소제거를 위해, 임목폐기물 생칩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제올라이트, 1~3 중량부의 활성탄소섬유, 0.5~2 중량부의 규조토, 0.5~1 중량부의 연소재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 취부 후 생칩이 분해될 때 토양내 질소 기아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임목폐기물 생칩 1㎥당 황산암모늄 5~30g을 혼합하여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목폐기물 칩의 크기는 5~50mm의 핀칩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양의 유실 방지 및 법면의 안정화를 위해 법면 구배에 따라 보조식생기반재에 대해 1~50체적%로 혼합되어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목폐기물의 칩의 크기는 5~50mm 핀칩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기질소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임목폐기물의 칩은 보조식생기반재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솔잎을 혼합한 혼합물과 함께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KR1020060073366A 2006-08-03 2006-08-03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KR10083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366A KR100832467B1 (ko) 2006-08-03 2006-08-03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366A KR100832467B1 (ko) 2006-08-03 2006-08-03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86A true KR20080012486A (ko) 2008-02-12
KR100832467B1 KR100832467B1 (ko) 2008-05-26

Family

ID=3934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366A KR100832467B1 (ko) 2006-08-03 2006-08-03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46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12B1 (ko) * 2008-06-16 2009-10-2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다층의 식생 기반을 조성하는 사면 녹화 방법
KR101285326B1 (ko) * 2011-09-27 201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CN103563641A (zh) * 2013-11-18 2014-02-12 安徽德昌药业饮片有限公司 一种丹皮种植方法
CN103931385A (zh) * 2014-04-03 2014-07-23 董熙峰 一种地黄与辣椒间作提高地黄产量的种植方法
KR101429699B1 (ko) * 2014-03-11 2014-08-12 (주)장원조경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KR101457354B1 (ko) * 2014-04-03 2014-11-04 (주)래인 한국 자생식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시공방법
CN104137727A (zh) * 2014-07-28 2014-11-12 厦门加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金线莲的种植方法
CN104186171A (zh) * 2014-09-02 2014-12-10 杨斯华 花椒矮化密植免采摘高产种植方法
CN104737746A (zh) * 2015-03-05 2015-07-01 紫云自治县黔华农业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辣椒种植方法
KR102444233B1 (ko) * 2021-11-02 2022-10-14 주식회사 일림 산림표층토와 토양기반 개량을 통해 식생 정착을 유도하는 생태복원녹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340B1 (ko) 2009-04-21 2011-11-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탈면 녹화공법
CN106304984A (zh) * 2015-06-15 2017-01-11 镇江市官塘生态农业有限公司 辣椒的栽培方法
KR102233164B1 (ko) 2018-11-19 2021-03-30 일송지오텍(주) 임목파쇄칩 취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취부방법
KR102481420B1 (ko) 2021-03-16 2022-12-26 조수양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097B2 (ja) 1999-01-19 2005-09-21 技研興業株式会社 法面等の緑化工法
KR100379112B1 (ko) * 2001-03-14 2003-04-08 엔지니어스 주식회사 토양안정 및 개량용 조성물
KR100423004B1 (ko) 2002-11-14 2004-03-18 정라조경 (주) 산림표토성분 조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표토층조성에 의한 생태복원 녹화방법
JP3584468B2 (ja) 2003-02-25 2004-11-04 小柳建設株式会社 法面緑化工法
KR100838420B1 (ko) * 2005-12-30 2008-06-13 박성원 리사이클링 비탈면 녹화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KR100667005B1 (ko) 2006-05-23 2007-01-10 주식회사 풍록원 현지 생물종의 다양성이 복원가능한 절개지 녹화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12B1 (ko) * 2008-06-16 2009-10-2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다층의 식생 기반을 조성하는 사면 녹화 방법
KR101285326B1 (ko) * 2011-09-27 201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CN103563641A (zh) * 2013-11-18 2014-02-12 安徽德昌药业饮片有限公司 一种丹皮种植方法
KR101429699B1 (ko) * 2014-03-11 2014-08-12 (주)장원조경 임목폐기물과 표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조성물 및 녹화방법
CN103931385A (zh) * 2014-04-03 2014-07-23 董熙峰 一种地黄与辣椒间作提高地黄产量的种植方法
KR101457354B1 (ko) * 2014-04-03 2014-11-04 (주)래인 한국 자생식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시공방법
CN104137727A (zh) * 2014-07-28 2014-11-12 厦门加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金线莲的种植方法
CN104186171A (zh) * 2014-09-02 2014-12-10 杨斯华 花椒矮化密植免采摘高产种植方法
CN104186171B (zh) * 2014-09-02 2016-03-02 杨斯华 花椒矮化密植免采摘高产种植方法
CN104737746A (zh) * 2015-03-05 2015-07-01 紫云自治县黔华农业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辣椒种植方法
KR102444233B1 (ko) * 2021-11-02 2022-10-14 주식회사 일림 산림표층토와 토양기반 개량을 통해 식생 정착을 유도하는 생태복원녹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467B1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467B1 (ko)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Mendoza-Hernández et al. Compost and vermicompost of horticultural waste as substrates for cutting rooting and growth of rosemary
CN103708953B (zh) 一种蔬菜育苗基质及其制作方法
Ingram et al. Growth media for container grown ornamental plants
Seiter et al. Strategies for managing soil organic matter to supply plant nutrients
CN102047808A (zh) 一种利用丛枝菌根真菌降低烟草重金属残留的方法
US20150158779A1 (en) Plant growth medium
KR100667005B1 (ko) 현지 생물종의 다양성이 복원가능한 절개지 녹화방법
KR101951824B1 (ko) 비탈면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5205588B2 (ja) 人工ゼオライトを含む培養土改良材及び培養土
Ozores-Hampton et al. Compost use
KR100634569B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058183A (ja) 養生バークとフルボ酸を用いた育苗方法
KR200417955Y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6772B1 (ko) 바텀 애쉬를 이용한 잔디 지반용 토양개량제 조성물
Riley et al. Effects of bareroot nursery practices on tree seedling root development: an evolution of cultural practices at J. Herbert Stone nursery
KR101201346B1 (ko) 비탈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KR20100008171A (ko) 현지 생물종의 다양성이 복원가능한 절개지 녹화방법
CN107047119A (zh) 一种生产草卷土地基质化学性质的调控方法
KR101305475B1 (ko)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생토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318B1 (ko) 친환경 사면보호 복합식생토 조성물(gmp) 및 그제조방법
KR100478194B1 (ko) 경량화된 뗏장의 생산 방법
KR19980074216A (ko) 인공토양
JP2012167528A (ja) 森林土壌微生物とリサイクル資材を使った法面緑化工法
KR102195022B1 (ko)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